KR20170095968A -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968A
KR20170095968A KR1020177019437A KR20177019437A KR20170095968A KR 20170095968 A KR20170095968 A KR 20170095968A KR 1020177019437 A KR1020177019437 A KR 1020177019437A KR 20177019437 A KR20177019437 A KR 20177019437A KR 20170095968 A KR20170095968 A KR 20170095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ed
item
mode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1150B1 (ko
Inventor
아키오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5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5/23245
    • H04N5/2329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장치를 갖고 자세를 취한 상태로 표시되는 항목에 대한 조작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항목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라, 터치된 항목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표시부에 포함되는 제1의 표시 영역과, 상기 제1의 표시 영역보다도 해당 장치를 보유하기 위한 그립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제2의 표시 영역 중,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항목을, 복수의 항목으로부터 선택해서 레이아웃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레이아웃 설정된 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는 미리 정해진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Description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본 발명은, 촬영시에 설정을 행하기 위한 표시 항목의 표시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촬상 장치등의 표시부의 영역에 대하여 표시가능한 항목수는 한정되어 있고, 한정된 표시 항목을 보다 조작성 좋게 배치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1에는, 좌우 어느 쪽으로부터도 그립(grip) 가능한 카메라의 터치패널 표시부에 있어서, 조작 버튼을 표시하는 영역을 그립된 것이 오른쪽인가 왼쪽인가에 따라서 설정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는, 터치패널 표시부에 표시되는 버튼의 표시의 유무와,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2004-340991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공개2011-159180호 공보
특허문헌1에 기재된 표시 방법에서는, 그립하는 위치에 따라서 터치 조작에 의해 설정 변경 조작을 하기 쉬운 위치에 항목이 표시되므로, 그립한 손에 의해 조작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특허문헌1에 기재된 표시 방법에서는, 그립된 측의 영역에 항목이 표시되지만, 그 밖의 영역에는 항목은 표시되지 않고, 많은 항목을 표시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그립된 측의 영역이외의 영역도 사용해서 많은 항목을 표시하고 싶을 경우에, 그립된 측의 영역과 그 밖의 영역에 각각 어떤 항목을 표시하면 조작성이 좋은 것인지의 검토가 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2의 표시 방법에서는, 유저는 원하는 항목을 표시부의 좌우단의 원하는 위치(또는 영역)에 표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를 자세를 취했을 때의 조작하기 쉬움까지 고려해서 표시 위치를 결정하지 않는 한, 디지털 카메라를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조작성이 좋아지게 항목이 표시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장치를 쥐고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표시되는 항목에 대한 조작성을 보다 향상시킨 표시 제어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표시 제어장치는,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항목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라, 터치된 항목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표시부에 포함되는 제1의 표시 영역과, 상기 제1의 표시 영역보다도 해당 장치를 보유하기 위한 그립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제2의 표시 영역 중,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항목을, 복수의 항목으로부터 선택해서 레이아웃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레이아웃 설정된 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는 미리 정해진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를 갖고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표시되는 항목에 대한 조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을 적용가능한 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도.
[도 2]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을 적용가능한 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 본 실시예의 FUNC커스터마이즈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항목의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 본 실시예의 촬영 대기 화면 표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 본 실시예의 정지 화상의 촬영 대기 화면 표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영 대기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 모드별 표시 영역에 각 기능이 표시되는 것인가 아닌가를 촬영 모드별로 도시한 도면.
[도 10] 커스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각 기능이 그레이 아웃 표시되는 조건을 도시한 도면.
[도 11] 모드별 표시 영역에 각 기능이 그레이 아웃 표시되는 조건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a), (b)에 본 발명의 표시 제어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크게 본체부(203)와 그립부(202)로 이루어진다. 도 1(a)에는 디지털 카메라(100)를 표시부(28)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도 1(b)에는, 디지털 카메라(100)를 촬상 렌즈(103)측으로부터 본 외관도를 나타낸다.
표시부(28)는 본체부(203)에 포함되어 있고, 화상이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다. 표시부(28)와 중첩해서 터치 조작을 검출가능한 터치패널(70a)이 배치된다.
그립부(202)에 포함되는 셔터 버튼(61)은 촬영 지시를 행하기 위한 조작부(촬영 지시부)다. 모드 전환 스위치(60)는 각종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부다. 조작부(70)는 유저로부터의 각종 조작을 접수하는 각종 스위치, 버튼, 터치패널 등의 조작 부재로 이루어지는 조작부다. 콘트롤러 휠(73)은 조작부(70)에 포함되는 회전 조작가능한 조작 부재다. 콘트롤러 휠(73)의 4방향에는 십자 키(82)가 설치되고, 상하 좌우 각각의 버튼의 누름에 의해 선택 항목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콘트롤러 휠(73)과 십자 키(82)의 중앙에는, SET버튼(83)이 설치되어 있고, 선택중의 항목으로서 설정하기 위한 조작부다. 메뉴 버튼(84)을 누르면, 메뉴 화면이 표시부(28)에 표시되어, 메뉴 화면에 있어서는 촬영에 관한 설정이나 모드의 전환이 가능하다. 전원 스위치(72)는, 전원 온, 전원 오프를 전환하기 위한 누름 버튼이다. 기록 매체(200)는,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다. 기록 매체 슬롯(201)은 기록 매체(200)를 격납하기 위한 슬롯이다. 기록 매체 슬롯(201)에 격납된 기록 매체(200)는, 디지털 카메라(100)와의 통신이 가능해져 기록이나 재생이 가능해진다. 도면에 있어서는, 뚜껑을 열어서 기록 매체 슬롯(201)으로부터 기록 매체(200)의 일부를 추출해서 노출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촬상 렌즈(103)는, 피사체상을 취득하기 위한 렌즈다. 도 1(b)에서는 촬상 렌즈(103)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촬상 렌즈(103)는 반드시 장착되지 않아도 좋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100)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다.
도 2에 있어서, 촬상 렌즈(103)는 줌렌즈, 포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군이다. 셔터(101)는 조리개 기능을 갖춘 셔터다. 촬상부(22)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CCD나 CMOS소자등으로 구성되는 촬상 소자다. A/D변환기(23)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A/D변환기(23)는, 촬상부(22)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배리어(102)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촬상 렌즈(103)를 포함하는 촬상계를 덮는 것에 의해, 촬상 렌즈(103), 셔터(101), 촬상부(22)를 포함하는 촬상계의 오물이나 파손을 방지한다.
화상처리부(24)는, A/D변환기(23)로부터의 데이터, 또는, 메모리 제어부(15)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소보간, 축소라고 한 리사이즈 처리나 색 변환처리를 행한다. 또한, 화상처리부(24)에서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가 행해지고, 얻어진 연산 결과에 근거해서 시스템 제어부(50)가 노광 제어, 측거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TTL(스루·더·렌즈)방식의 AF(오토포커스)처리, AE(자동노출)처리, EF(사전발광)처리가 행해진다. 화상처리부(24)에서는, 더욱,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고, 얻어진 연산 결과에 근거해서 TTL방식의 AWB(오토화이트 밸런스)처리도 행하고 있다.
A/D변환기(23)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는, 화상처리부(24) 및 메모리 제어부(15)를 통해, 혹은, 메모리 제어부(15)를 통해, 메모리(32)에 직접 기록된다. 메모리(32)는, 촬상부(22)에 의해 얻어져 A/D변환기(23)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화상 데이터나, 표시부(28)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다. 메모리(32)는, 소정매수의 정지 화상이나 소정기간의 동화상 및 음성을 격납하는데에 충분한 기억 용량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32)는 화상표시용의 메모리(비디오메모리)를 겸하고 있다. D/A변환기(13)는, 메모리(32)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표시용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표시부(28)에 공급한다. 이렇게 해서, 메모리(32)에 기록된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는 D/A변환기(13)를 통해 표시부(28)에 의해 표시된다. 표시부(28)는, LCD등의 표시기상에, D/A변환기(13)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에 따른 표시를 행한다. A/D변환기(23)에 의해 한번 A/D변환되어 메모리(32)에 축적된 디지털 신호를 D/A변환기(13)에 있어서 아날로그 변환하고, 표시부(28)에 차차 전송해서 표시함으로써, 전자 뷰 파인더로서 기능하고, 스루 화상표시(라이브 뷰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56)는, 전기적으로 소거·기록가능한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이며, 예를 들면 EEPROM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56)에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용의 정수,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다. 여 기에서 말하는, 프로그램이란, 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각종 흐름도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디지털 카메라(100) 전체를 제어한다. 전술한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 함으로써, 후술하는 본 실시예의 각 처리를 실현한다. 시스템 메모리(52)에는, RAM을 사용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52)에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용의 정수, 변수, 불휘발성 메모리(56)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 등을 전개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모리(32), D/A변환기(13), 표시부(28)등을 제어 함에 의해 표시 제어도 행한다.
시스템 타이머(53)는 각종 제어에 사용하는 시간이나, 내장된 시계의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 측정부다.
모드 전환 스위치(60), 셔터 버튼(61), 조작부(70)는 시스템 제어부(50)에 각종의 동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수단이다.
모드 전환 스위치(60)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 모드를 정지 화상 모드, 동화상 모드, 재생 모드 등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한다. 정지 화상 모드에 포함되는 모드로서, 오토 촬영 모드, 오토 씬 판별 모드, 메뉴얼 모드, 촬영 씬별의 촬영 설정이 되는 각종 씬 모드, 프로그램 AE모드, 커스텀 모드 등이 있다. 모드 전환 스위치(60)로, 메뉴 버튼에 포함되는 이것들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직접 전환할 수 있다. 혹은, 모드 전환 스위치(60)로 메뉴 버튼으로 일단 전환한 후에, 메뉴 버튼에 포함되는 이것들의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다른 조작 부재를 사용해서 전환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동화상 모드에도 복수의 모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제1 셔터 스위치(62)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설치된 셔터 버튼(61)의 조작 도중, 소위 반가압(촬영 준비 지시)으로 ON이 되어 제1 셔터 스위치 신호SW1을 발생한다. 제1 셔터 스위치 신호SW1에 의해, AF(오토포커스)처리, AE(자동노출)처리, AWB(오토화이트 밸런스)처리, EF(사전 발광)처리 등의 동작을 개시한다.
제2셔터 스위치(64)는, 셔터 버튼(61)의 조작 완료, 소위 완전가압(촬영 지시)으로 ON이 되고,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를 발생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에 의해, 촬상부(22)로부터의 신호 판독으로부터 기록 매체(200)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할 때까지의 일련의 촬영 처리의 동작(촬영 제어)을 개시한다.
전원제어부(80)는, 전지검출 회로, DC-DC컨버터, 통전하는 블록을 전환하는 스위치 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전지의 장착의 유무, 전지의 종류, 전지잔량의 검출을 행한다. 또한, 전원제어부(80)는, 그 검출 결과 및 시스템 제어부(50)의 지시에 근거해서 DC-DC컨버터를 제어하고, 필요한 전압을 필요한 기간, 기록 매체(200)를 포함하는 각부에 공급한다. 전원 스위치(72)는, 전원의 온과 오프의 전환을 접수하고, 전원제어부(80)는 전원 스위치(72)로 접수되었던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을 제어한다.
전원부(30)는, 알칼리 전지나 리튬 전지등의 일차전지나 NiCd전지나 NiMH전지, Li전지등의 이차전지, AC어댑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기록 매체I/F(18)는,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200)와의 인터페이스다. 기록 매체(200)는,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이며, 반도체 메모리나 광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조작부(70)의 하나로서, 표시부(28)에 대한 접촉을 검지가능한 터치패널을 가진다. 터치패널과 표시부(28)는 일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패널을 광의 투과율이 표시부(28)의 표시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표시부(28)의 표시면의 상층에 부착한다. 그리고, 터치패널에 있어서의 입력 좌표와, 표시부(28)상의 표시 좌표를 대응시킨다. 이에 따라, 마치 유저가 표시부(28)상에 표시된 화면을 직접적으로 조작가능한 것 같은 GUI(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패널에의 이하의 조작. 혹은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패널에 터치하지 않고 있었던 손가락이나 펜이 새롭게 터치패널에 터치한 것. 다시 말해, 터치의 개시(이하, 터치다운(Touch-Down)이라고 칭한다).
·터치패널을 손가락이나 펜으로 터치하고 있는 상태인 것(이하, 터치 온(Touch-0n)이라고 칭한다).
·터치패널을 손가락이나 펜으로 터치한 채 이동하고 있는 것(이하, 터치 무브(Touch-Move)라고 칭한다).
·터치패널에 터치하고 있었던 손가락이나 펜을 떼어 놓은 것. 다시 말해, 터치의 종료(이하, 터치업(Touch-Up)이라고 칭한다).
·터치패널에 아무것도 터치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하, 터치 오프(Touch-Off)라고 칭한다).
터치다운이 검출되면, 동시에 터치 온인 것도 검출된다. 터치다운 후, 터치업이 검출되지 않는 한은, 통상은 터치 온이 계속 검출된다. 터치 무브가 검출되는 것도 터치 온이 검출되어 있는 상태다. 터치 온이 검출되어 있어도, 터치 위치가 이동하지 않고 있으면 터치 무브는 검출되지 않는다. 터치하고 있었던 모든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업 한 것이 검출된 후는, 터치 오프가 된다. 또한, 터치패널상을 터치다운으로부터 일정한 터치 무브를 경과해서 터치업을 했을 때, 스트로크를 그린 것으로 한다. 재빠르게 스트로크를 그리는 조작을 플릭이라고 부른다. 플릭은, 터치패널상에 손가락을 터치한 채 어느 정도의 거리만큼 재빠르게 옮기고, 그대로 떼어 놓는다고 한 조작이며, 바꿔 말하면 터치패널상을 손가락으로 튕기도록 재빠르게 덧그리는 조작이다. 소정거리이상을, 소정속도이상으로 터치 무브한 것이 검출되고, 그대로 터치업이 검출되면 플릭이 행하여졌다고 판정할 수 있다.복수의 표시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 플릭 조작을 행하면, 현재 선택(혹은 표시)되어 있는 표시 아이콘과는 인접하지 않고 있는 떨어진 위치에 있는 표시 아이콘을 선택(혹은 표시)할 수 있다. 플릭 조작을 행하는 것으로 몇회나 같은 조작을 행하지 않아도, 벗어난 위치에 있는 항목의 선택이나, 표시되지 않고 있는 영역의 표시를 할 수 있다.
이들의 조작·상태나, 터치패널상에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하고 있는 위치 좌표는 내부 버스를 통해서 시스템 제어부(50)에 통지되고, 시스템 제어부(50)는 통지된 정보에 근거해서 터치패널상에 어떤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판정한다. 터치 무브에 대해서는 터치패널상에서 이동하는 손가락이나 펜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도, 위치 좌표의 변화에 근거하여, 터치패널상의 수직성분·수평성분마다 판정할 수 있다. 터치패널은, 저항막방식이나 정전용량방식, 표면탄성파 방식, 적외선방식, 전자 유도방식, 화상인식 방식, 광 센서 방식등, 여러가지 방식의 터치패널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의 것을 사용해도 좋다. 방식에 따라서, 터치패널에 대한 접촉이 있었던 것으로 터치가 있었다고 검출하는 방식이나, 터치패널에 대하여 손가락이나 펜이 접근하고 있어도 접촉하지 않는 것도 터치가 있었다고 검출하는 방식의 것이 있지만, 어느쪽의 방식이라도 좋다.
FUNC커스터마이즈 설정(이하, 기능 표시 설정이라고 칭한다)에서는, 촬영의 대기중에 표시부(28)에 표시되는 기능 중, 커스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능을 선택하고, 표시하는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터치 버튼인 FUNC버튼의 선택에 따라서 표시부(28)에는 촬영에 관한 설정을 접수하는 복수의 기능이 우측과 좌측의 2열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기능 표시). 이 기능 표시 중 표시부(28)의 그립부(202)측(촬영 지시를 하는 셔터 버튼(61)측)에 있는 기능의 표시 영역이 커스텀 표시 영역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부(202)에는 셔터 버튼(61)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그립부(202)는 촬영자로부터 보아서 본체부(203)에 대하여 표시부(28)의 (저면을 아래로 했을 경우) 우측에 배치하고 있다. 유저는 그립부(202)를(본 실시예에서는 오른손의 중지, 약지, 소지를 중심으로 해서) 쥔 상태에서, 셔터 버튼(61)에 손가락(집게 손가락)을 걸도록 하면 원하는 타이밍에서 금방 촬영 지시를 하기 쉽게 촬영 기회를 놓치기 어려워진다. 이때, 다른쪽에 쥔 손(본 실시예에서는 왼손)에서는, 촬상 렌즈(103) 부분이나 디지털 카메라(100)의 본체부(203)의 위치가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하게 보유하므로, 쥔 손을 설정 조작을 위해 옮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00)를 양손으로 쥐고 자세를 취한 상태일 때에는, 표시부(28) 중 그립부(202)측쪽이 유저의 손가락이 미치기 쉽기 때문에, 조작도 하기 쉽다.표시부(28)의 터치패널(70a)에의 조작으로 설정을 행할 때는, 그립부(202)를 쥐고 있는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표시부(28) 중 그립부(202)측에 재빠르게 터치해서 설정 변경할 수 있게 기능을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특히 촬영중의 조작 등은 그립부(202)측의 쥔 손으로 행하면, 디지털 카메라(100)를 안정하게 보유한 상태에서, 설정 등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촬영에 관한 설정을 접수하는 기능에는, 촬영 모드나 셀프 타이머 등의 동일 촬영환경 또는 소정기간내에서는 설정의 변경을 별로 행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것과, 원하는 화상을 얻기 위해서 촬영중에 설정을 변경(정지 화상에서는 촬영마다 변경)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 있다.
촬영을 행할 때는 촬영을 행하고 있는 환경이나 라이브 뷰, 레크 리뷰(rec review)를 보고서 설정의 변경을 행하므로, 유저가 촬영을 행하고 있는 도중에 변경을 하도록 항목은 그립부(202)측의 커스텀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설정 변경을 행하기 쉽게 한다.
기능 표시 설정에서는 커스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기능으로서, 동화상이면 동화상 기록중, 정지 화상이면 촬영을 행하고 있는 도중에 설정 변경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항목군) 중, 유저가 원하는 기능을 커스텀 표시 영역의 원하는 위치에 표시하도록 설정한다. 기능 표시 설정을 함으로써, 유저가 사용하는 빈도가 높은 기능을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표시시키거나, 별로 사용하지 않는 기능에 대해서는 표시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한, 기능 선택 화면 중, 기능을 표시하도록 설정가능한 항목(위치)은 최대로 10개(10개소) 있어, 5개씩 2페이지에 걸쳐서 표시된다. 각 항목에는 각각 표시하는 기능을 설정 가능(레이아웃 설정 가능)이며, 1개(동일)의 기능을 2개이상의 항목(위치)에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촬영 대기중에 표시부(28)에 라이브 뷰 화상이외에 표시하는 설정이나 기능 등을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은 될 수 있는 한 작은 쪽이 바람직하고, 또한, 라이브 뷰 화상의 중앙부근에 주요 피사체가 있도록 촬영하는 것이 많다. 따라서,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은 표시부(28)의 끝에 표시한 쪽이 낫다. 따라서 설정가능한 기능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한정된 영역에 표시하지 않으면 라이브 뷰 화상의 시인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표시부(28)의 우단과 좌단에 표시 아이템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다시 말해, 라이브 뷰 화상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반대측에 커스텀 표시 영역과 모드별 표시 영역을 배치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 항목, 기능의 선택을 터치 조작에 따라서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터치 조작으로 행하지 않아도 좋고, 십자 키(82)나 SET버튼(83)을 눌러서 행해도 좋다. 십자 키(82)로 선택 조작을 행할 경우에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항목으로부터 눌려진 십자 키(82) 중 상하좌우 키(82a, 82b, 82d, 82c)의 방향에 따른 위치에 있는 항목에 선택되는 항목이 옮겨간다.
도 3을 사용하여, FUNC커스터마이즈 설정(레이아웃 설정)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플로우는 동화상, 정지 화상 각각의 대기 화면에서 FUNC버튼이 선택된 것에 따라서 개시한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52)에 전개해서 시스템 제어부(50)가 실행함으로써 실현한다.
S3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촬영 모드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동화상의 촬영 모드라고 판정했을 경우는, S302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322에 진행된다.
S3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에 동화상 시스템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도 4(a)는 동화상시의 시스템 설정 화면, (b)는 동화상시의 항목선택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화상의 시스템 설정 화면(418)에서는, 동화상 FUNC커스터마이즈, 탤리(tally) 램프, 오토 파워 오프 등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설정명(401)은 동화상 FUNC커스터마이즈를 나타내고 있다.
S3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시스템 설정 화면(418)을 닫는 지시가 이루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화상의 시스템 설정 화면(418)에는 닫는 버튼(403)이 표시되어 있고, 닫는 버튼(403)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304에 진행되고, 촬영 대기 화면의 플로우에 옮긴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S305에 진행된다.
S304에서는, 촬영 대기 화면의 표시나 기능의 설정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촬영 대기 화면에 대해서는 도 6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S3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시스템 설정 화면(418)에 표시되어 있는 설정명 중 동화상 FUNC커스터마이즈가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동화상 FUNC커스터마이즈(설정명401)가 선택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308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306에 진행된다.
S3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시스템 설정 화면(418)에 표시되어 있는 설정명 중, 동화상 FUNC커스터마이즈이외의 설정명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다른 설정명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307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303에 진행된다.
S3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다른 설정명에 관한 설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오토 파워 오프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유저는 ON 또는 OFF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설정명에 관한 설정에 대해서는 할애한다. 다른 설정명에 관한 설정을 행한 후는, 계속하여 다른 설정명에 관한 설정을 행해도 좋고, 닫는 버튼(403)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촬영 대기 화면에 되돌아가도 좋다.
S3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에 동화상의 항목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도 4(b)-1은, 동화상에 있어서의 항목선택 화면(419)에는, 10개의 항목 중 현재 선택가능한 항목(404∼408)이 표시되어 있다. 10 개의 항목은 기능을 표시하는 각 위치를 도시하고 있고, 도 4(b)-1의 상태로부터 스크롤 다운 버튼(409)이 선택된 것에 따라서 현재 표시되지 않고 있는 항목(기타의 항목 페이지)이 표시된다. 이렇게 2페이지에 걸쳐 있는 10개소의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기능을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도 4(b)에 있어서 각 항목(404∼408, 411∼415)에 표시되어 있는 기능은, 만일 각 항목에 표시중의 기능을 설정한 경우의 것이고, 반드시 항목선택 화면(419)과 같이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반드시 각 항목에 기능이 할당되는 것도 아니다.
항목선택 화면(419)에는, 동화상의 FUNC커스터마이즈(동화상의 기능 표시 설정)를 행하는 화면인 것을 나타내는 설정명(402)이 표시되고, FUNC 커스터마이즈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420)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유저는 동화상의 촬영에 관한 기능 표시 설정을 행하는 설정 화면인 것과, 그 설정의 방식을 안다.
S3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항목 페이지 전환이 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는, 도 4(b)에 도시하는 스크롤 다운 버튼(409) 또는 스크롤 업 버튼410 중, 표시중의 이송 버튼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항목 페이지가 전환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310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311에 진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가능한 항목은 5개씩 2페이지에 걸쳐서 표시되어 있고, 이렇게 페이지 전환을 하는 스크롤 다운 버튼(409) 또는 스크롤 업 버튼(410)이 선택된 것에 따라서 항목 페이지의 전환이 행해진다. 또한, 항목 페이지 전환은 플릭 조작에 의해서도 행할 수 있다.
S3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 표시중의 항목 페이지와는 다른 항목 페이지를 표시부(28)에 표시한다.
S3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항목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도 4(b)-1이 표시되어 있는(1페이지째의) 경우는, 항목404∼408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도 4(b)-2가 표시되어 있는(2페이지째의) 경우는, 항목411∼415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항목(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에의 터치 조작에 의해, 항목의 선택 조작을 행할 수 있다. 항목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314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312에 진행된다.
S3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항목선택 화면을 닫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항목선택 화면(419)이 닫는 버튼(403)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선택된 것에 따라, 항목선택 화면(419)뿐만 아니라 동화상의 기능 표시 설정에 관한 화면을 닫고(비표시로 하고), S304의 촬영 대기 화면의 표시의 플로우에 진행된다.
S3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항목선택 화면에서 시스템 설정 화면으로 되돌아갈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항목선택 화면(419)이 되돌아가는 버튼(416)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선택된 것에 따라, 원래의 시스템 설정 화면(418)이 표시부(28)에 표시된다. 이상, S312, S3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닫는 버튼(403)이 선택된다고 표시중의 화면에 상관없이 동화상의 기능 표시 설정을 행하는 화면을 비표시로 하고, 되돌아가는 버튼(416)이 선택되면 1개 전에 표시되어 있었던(전의 계층의) 화면이 표시부(28)에 표시된다.
한편, S311에 있어서 항목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S314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에 동화상의 기능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도 5에는 기능 선택 화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5(a)는 동화상의 기능 선택 화면, (b)는 정지 화상의 기능 선택 화면이다. 도 5(a)에 도시하는 동화상의 기능 선택 화면(522)은, 항목404∼408과 각 항목에 설정가능한 기능(503∼515)이 표시되어 있다. 선택중의 항목은 항목404와 같이, 식별 표시(524)와 같은 다른 항목과는 다른 색채의 표시 형태(기호부분은 속이 빔, 다른 부분은 그레이)로 표시된다.
S3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선택중의 항목에 할당하는 기능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기능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316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318에 진행된다.
동화상의 기능 선택 화면(522)에 있어서의 기능503∼515는, 동화상의 기능 표시 설정으로서, 각 항목에 할당 가능한 기능이다. 기능503은 셔터 스피드, 기능504는 조리개, 기능505는 ISO감도, 기능506은 화이트 밸런스, 기능507은 EXP 록(lock)을 도시하고 있고, 현재의 노출 상태에 고정할 수 있는 기능이다. 기능508은 마이크 레벨, 기능509는 제브라(zebra)의 표시, 기능510은 라이브 뷰 화상의 확대 표시, 기능511은 피킹(peaking)의 표시를 설정하는 기능이다. 또한, 기능512는 디지털 텔테컨버전, 기능513은 파워드(powered) IS, 기능514는 AE쉬프트량, 기능515는 터치 포커스를 설정하는 기능이다. 이것들의 기능은 동화상의 촬영중에 설정을 변경가능한 기능이다. 각 기능의 선택 조작은 터치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기능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식별 표시(524)로 도시되어 있는 선택중의 항목(위치)에 대하여, 그 기능을 할당한다. 이와 같이, 기능을 표시하는 위치를 선택한 후에, 표시하는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기능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S3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S315에 있어서 선택된 기능을 식별 표시한다. 또한, 선택중의 기능의 기능명이나 설명을 기능 설명(502)에 도시한다. 도 5(a)에서는 기능503이 선택되었을 경우의 표시 예를 도시하고 있고, 기능 선택 화면(522)의 기능503은 식별 표시(525)의 표시 형태로 다른 기능과는 다른 색채로 도시되어 있다.
S31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선택중의 항목에 S315에서 선택한 기능을 할당한다. 도 5(a)의 예에서는, 항목404와 기능503이 선택되어 있으므로, 항목404에 대하여 기능503의 셔터 스피드를 할당한다. 도 5(a)의 동화상의 기능 선택 화면(522)의 상태에서는, 항목404가 선택되어 있으므로, 선택된 기능503을 나타내는 셔터 스피드의 표시 아이템이 항목404에도 표시되어 있다. 다른 기능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항목404에 표시되는 표시 아이템도 전환한다.
여기서, 십자 키(82)의 조작에 의해 각 항목에 기능을 할당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항목선택 화면에 있어서 항목을 선택한 후, 기능 선택 화면으로 천이하면, 선택중의 항목에 현재 할당되어 있는 기능이 선택된다. 선택되어 있는 기능으로부터 상하 좌우 키(82a, 82b, 82c, 82d)를 조작함으로써, 선택되는 기능이 이동(커서가 이동)하고, SET 버튼(83)의 누름에 의해, 선택중의 항목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기능 선택 화면에 있어서는 SET버튼(83)의 누름에 따라서 기능 선택과 항목선택을 행하는 계층이 이행한다.
S31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기능 선택 화면(522)에 있어서 다른 항목(항목405∼408, 411∼415중 어느 하나)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다른 항목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315에 되돌아가 선택한 항목에 할당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319에 진행된다.
S31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기능 선택 화면(522)에 있어서 스크롤 다운 버튼(409) 또는 스크롤 업 버튼(410) 중, 표시중의 이송 버튼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항목 페이지 전환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315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320에 진행된다.
S32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기능 선택 화면(522)을 닫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동화상의 기능 선택 화면(522)의 닫는 버튼(403)이 선택된 것에 따라, 기능 선택 화면(522)뿐만 아니라 동화상의 기능 표시 설정에 관한 화면을 닫고(비표시로 하고), S304의 촬영 대기 화면의 표시의 플로우에 진행된다.
S32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기능 선택 화면에서 항목선택 화면에 되돌아갈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동화상의 기능 선택 화면(522)의 되돌아가는 버튼(501)이 선택된 것에 따라, 원래의 항목선택 화면(419)에 되돌아간다. 이상, S320, S32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닫는 버튼(403)이 선택되면 표시중의 화면에 상관없이 동화상의 기능 표시 설정을 행하는 화면을 비표시로 하고, 되돌아가는 버튼(501)이 선택되면 1개 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항목선택 화면(419)이 표시부(28)에 표시된다.
S302∼S321은 동화상의 경우의 기능 표시 설정의 플로우이며, S322∼S341은 정지 화상의 경우의 기능 표시 설정의 플로우다. 동화상과 정지 화상의 기능 표시 설정은, 따로따로 시스템 메모리(52)에 기록되고, 촬영 중에는 각각의 모드에 따라서 설정된 기능 표시가 표시된다. 각각 촬영중에 설정가능한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선택가능한 기능이 일부 다르다. 단, 정지 화상의 기능 표시 설정과 동화상의 기능 표시 설정은 같은 조작 순서로 행하므로, 다른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S302∼S321에 있어서, 동화상의 시스템 설정 화면(418), 동화상의 항목선택 화면(419), 동화상의 기능 선택 화면(522)으로 설명했지만, 정지 화상에 있어서는 각각 정지 화상의 화면이 표시부(28)에 표시된다. 정지 화상의 시스템 설정 화면에 있어서는, 동화상의 경우와는 달리 설정명(401)의 개소에, 도 5(b)의 항목명(526)의 정지 화상의 FUNC커스터마이즈를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이 표시된다. 또한, 정지 화상의 항목선택 화면(523)에는, 항목명(526)과 같은 정지 화상의 FUNC커스터마이즈를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이 표시된다. 정지 화상의 항목선택 화면(523)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화상의 경우와는 다르고, 정지 화상의 기능 설정에 있어서 각 항목에 할당 가능한 기능503∼507, 509∼511, 514∼515가 표시된다. 동화상의 경우에 할당 가능한 기능이며 기능508(마이크 레벨), 기능512(디지털 텔레컨버전), 기능513(파워드 IS)은 정지 화상에 있어서는 할당할 수는 없다. 또한, 정지 화상의 커스텀 표시 영역에는 설정가능한 기능이 동화상의 경우와는 다르고, 항목516∼520과 스크롤 다운 버튼(521)의 선택에 따라서 표시되는 항목 페이지에 있는 항목에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 이렇게 커스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능은 정지 화상인가 동화상인가에 따라서 따로따로 설정가능하다.
커스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능을 유저가 선택하고, 더욱 표시하는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유저는 사용 빈도가 높은 기능을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표시시킬 수 있다. 유저는 설정 조작을 행할 때에, 촬영중에 설정 변경하는 기능을 판별한 후에 더욱, 표시하는 기능을 선택할 필요가 없고, 이미 표시되어 있는 기능으로부터 선택 조작을 행하면 좋다. 또한, 정지 화상과 동화상에서는 각각에 설정된 기능의 표시를 하므로, 한쪽의 촬영 모드에서는 사용하지만, 다른쪽의 촬영 모드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기능까지도 한정된 영역에 표시되어, 장소를 차지하는 경우도 없다.
도 8을 사용하여, 기능 표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촬영 대기 화면 및 촬영중의 표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기능 표시가 되지 않은 경우의 동화상의 촬영 대기 화면의 일례다. 도 8(b)에는 HD동화상 촬영의 AV모드로 설정되었을 경우, (c)는 4K동화상 촬영의 AUTO모드로 설정되었을 경우, (d)는 정지 화상촬영의 M모드로 설정되었을 경우의 촬영 대기 화면의 일례다. (e)는 4K동화상 촬영의 M모드로 설정되었을 경우의 촬영중의 화면의 일례다. 도 8에 있어서는, 라이브 뷰 화상(802)은 간략화를 위해, 흑색의 면을 촬영한 것으로 한다.
도 8(b)∼(e)에 도시되는 커스텀 표시 영역(803)은 그립부(202)측의 영역에 표시되어 있고, 모드별 표시 영역(804)은, 표시부(28) 중 커스텀 표시 영역(803)보다도 그립부(202)측으로부터 떨어진 영역에 표시되어 있다. 커스텀 표시 영역(803)에는, 도 3의 FUNC커스터마이즈에 있어서 설정된 기능이 표시된다. 모드별 표시 영역(804)에는, 모드에 따른 기능이 표시된다. 커스텀 표시 영역(803)에는, 동화상의 촬영중 또는 정지 화상의 촬영을 행하고 있을 때에, 설정 변경하는 기능이 표시되어 있고, 유저는 촬영 대기를 한 상태에서 재빠르게 기능의 설정 변경을 할 수 있다. 모드별 표시 영역(804)에는, 각각의 촬영 모드에 있어서 설정 변경가능한 기능이 표시되고, 설정 변경할 수 없는 기능에 대해서는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모드별 표시 영역에서는 같은 기능이라도 표시되는 위치가 모드에 따라서 다르고, 또 표시되는 기능의 수가 모드에 따라서 다르다. 모드별 표시 영역에는 정지 화상 모드가 동화상 모드뿐만 아니라, 기록 형태나 화질에 따라서 표시되는 기능이 다르다. 모드별 표시 영역에는, 동화상 모드의 경우이면, 동화상의 촬영중이 아니고 촬영 전이나 후에 설정 변경을 행하는 기능이 표시되어 있다. 모드별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기능의 설정 변경은, 그립부(202)를 쥐고 있는 디지털 카메라(100)를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는 모드별 표시 영역까지 손가락(엄지 손가락)이 닿지 않고 터치 조작에서는 행할 수 없다. 모드별 표시 영역에 표시된 기능에 터치하기 위해서는, 렌즈 부분을 왼손으로 쥐고 디지털 카메라(100)를 보유한 상태에서, 그립부(202)로부터 오른 손을 떨어지게 해(즉, 셔터 버튼(61)에 걸린 손가락을 떨어지게 해), 떨어진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터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동화상의 촬영 중에는,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100)를 안정적으로 보유되어 있지 않은 상태, 혹은 촬영 지시를 금방 할 수 없는 상태에서는, 얻어지는 화상에 흔들림이 생기거나, 촬영 타이밍을 놓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동화상의 촬영중에 이러한 상태가 안되더라도 설정 변경을 행할 수 있도록, 동화상의 촬영중에 설정 변경이 가능한 기능은 모드별 표시 영역이 아니고, 커스텀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촬영 중에는 설정 변경할 수 없는 기능이여도, 기능 또는 기능의 설정 항목(설정 값)을 나타내는 것은 유용하다. 그 때문에, 이러한, 동작의 촬영중에 설정 변경은 할 수 없지만, 기능 또는 기능의 설정 항목(설정 값)을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을 모드별 표시 영역에 표시하므로, 유저는 설정 내용을 확인하면서 촬영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스텀 표시 영역(803)에는 정지 화상의 촬영 모드이면 정지 화상의 FUNC커스터마이즈에 있어서 설정된 기능이, 동화상의 촬영 모드이면 동화상의 FUNC커스터마이즈에 있어서 설정된 기능이, 표시된다. 각 기능의 설정 변경은 함께 설정 영역(819)에 있어서 행한다. 여기에서, 표시되는 각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은, 각 기능에 있어서 설정중의 파라미터(설정 영역(819)에 있어서 설정된 설정 항목)를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이다.
다음에, 촬영 대기 화면의 표시 플로우에 대해서 도 6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이 플로우는 촬영 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 도 3의 S303 또는 S323에서 시스템 설정 화면이 닫힌 경우, S312 또는 S332에서 항목선택 화면이 닫힌 경우, S320 또는 S340에서 기능 선택 화면이 닫힌 경우의 처리의 상세이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52)에 전개해서 시스템 제어부(50)가 실행 함으로써 실현한다.
S6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촬영 모드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동화상의 촬영 모드라고 판정했을 경우는 S602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42에 진행된다.
S6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모드가 전환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촬영 모드가 전환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601에 되돌아가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03에 진행된다. 촬영의 대기 화면의 표시중에 기능 표시를 하는 지시가 되면, 전환된 촬영 모드에 따른 기능 표시가 된다.
S6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모드가 종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촬영 모드가 종료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촬영 대기 화면의 표시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04에 진행된다. 촬영 모드의 종료란, 전원의 OFF나, 재생 화면에의 전환이다.
S6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 촬영 대기 화면을 표시부(28)에 표시한다. 도 8(a)∼(c)는 동화상 촬영 대기중의 표시부(28)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지만, (a)는 기능 표시되지 않은 경우, (b), (c)는 기능 표시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S604에 있어서는, 도 8(a)와 같이 기능 표시하지 않고, 촬상부(22)로부터 얻어진 라이브 뷰 화상(802)을 표시한다. 더욱, FUNC버튼(801), 마이크 레벨을 나타내는 마이크 레벨 표시(821), 동화상의 촬영 대기중인 것을 나타내는 대기 아이콘(823)과 같은 촬영 모드 촬영 설정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FUNC 버튼(801)은, 그립부(202)측에 표시되어 있고, 디지털 카메라(100)를 자세를 취한 상태로 터치 조작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기능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표시부(28)에 표시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 중, 미리 정해진 설정 값 또는 설정 항목으로 설정이 변경된 기능은, 변경된 설정 값 또는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이 표시된다.
S6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FUNC버튼이 선택(터치)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도 8(a)에 도시하는 FUNC버튼(801)은 기능 표시가 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 라이브 뷰 화상(802)에 중첩하도록 표시되는 표시이며, FUNC버튼(801)이 선택된 것에 따라서 표시부(28)로부터 비표시가 된다. FUNC 버튼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606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19에 진행된다.
S6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모드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기능을 판정한다. 도 9는 촬영 모드와, 각 촬영 모드에 있어서 모드별 표시 영역(804)에 표시되는 기능을 도시한 도다. 촬영 모드는 4K동화상 촬영, HD동화상 촬영, 정지 화상 촬영의 3종류의 촬영 방법에 더욱 AUTO(오토), P(프로그램), TV(셔터 우선), M(메뉴얼), SCN(씬)모드가 있다. 동화상 모드(4K동화상 촬영 또는 HD동화상 촬영)를 선택하면, 더욱 선택한 동화상 모드 중에서 어느쪽의 모드로 촬영하는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동화상 모드 전환).모드별 표시 영역(804)에 표시되는 기능은, 각 촬영 방법과 모드를 곱하여서 얻어진 촬영 모드 중 총 9종류의 표시 패턴으로 나눌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패턴에 의해 표시되는 기능과 표시되지 않는 기능이 있고, 변경전의 촬영 모드가 속하는 패턴과는 다른 패턴에 속하는 촬영 모드로 변경(모드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모드별 표시 영역(804)에 표시되는 기능이 변경된다. 예를 들면, HD동화상 촬영의 AV모드로부터 4K촬영의 AUTO모드로 변경되었을 경우에는, 도 8(b)와 (c)의 모드별 표시 영역(80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되는 기능이 다르다. 도 8(b)에서는, 기능812∼816까지가 표시되어 있고, 더욱, 스크롤 다운 버튼(817)의 선택에 의해 표시되는 도시되지 않은 기능이 1개 있다. 도 8(c)에는, 기능813, 815, 816이 표시된다. 이렇게 모드별 표시 영역(804)에서는 촬영 모드에 따라, 각 촬영 모드에 있어서 변경가능한 기능을 정리해서 (위쪽에서 차례차례로) 표시하고, 설정 변경할 수 없는 기능은 표시하지 않는다(비표시로 한다). 따라서, 모드별 표시 영역(804)에는 설정 변경가능한 기능을 표시하고, 설정 변경불가능한 기능한 표시하지 않으므로, 보다 적은 선택지로부터 재빠르게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모드별 표시 영역(804)에 표시되는 기능은 동화상의 촬영 중에는 설정 변경되지 않는 기능이지만, 직전의 촬영이 종료한 후, 재빠르게 설정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음 촬영을 금방 개시할 수 있다.
S6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설정된 커스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기능 중, 그레이 표시하는 기능을 판정한다. 도 10은, 도 3의 FUNC커스터마이즈에 있어서 설정가능한 기능과, 각 기능이 그레이 표시되는 촬영 모드 또는 촬영시의 설정을 도시한 도다. 마이크 레벨, 파워드 IS, 디지털 텔레컨버전은 동화상의 경우만 선택가능한 기능이며, 정지 화상의 경우에는 FUNC커스터마이즈에 있어서 선택할 수 없으므로, 표시도 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HD동화상 촬영의 AV모드로부터 4K촬영의 AUTO모드로 변경되었을 경우에는, 도 8(b)와 (c)의 커스텀 표시 영역(80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레이 표시되는 기능이 다르다. 도 8(b)에서는, 기능806∼810 중 기능806과 기능808이 그레이 표시되고, (c)에서는 기능806∼809가 그레이 표시된다. 또한, (b)에서는, 기능807, 809, 810이 통상 표시(도 8에 있어서는 백색표시)되고, (c)에서는 기능810이 통상 표시되어 있다. 모드별 표시 영역(804)과는 달리, 커스텀 표시 영역(803)에서는 설정된 기능의 표시 위치는 촬영 모드에 따라서 바뀌지 않지만, 촬영 모드나 설정에 따라서 설정 변경할 수 없는 기능은 그레이 표시된다. 커스텀 표시 영역(803)은 유저가 표시하는 기능과, 각 기능의 표시 위치를 설정한 영역이며, 표시 위치를 모드나 설정에 따라서 변경되지 않으므로, 유저는 보다 감각적으로 어느 모드나 설정에 있어서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S6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기능 표시를 한다. S604에서 표시한다고 판별된 기능을 모드별 표시 영역(804)에, 커스텀 표시 영역(803)에는 S605에서 그레이 표시한다고 판별된 기능을 그레이 표시하고, 그 밖의 기능을 통상 표시한다. 기능 표시를 했을 경우에는, 원래의 촬영 대기 화면에 있어서 표시되어 있었던 표시 아이템에는, 그대로 표시되는 것과, 다른 형식으로 표시되는 것과, 표시되지 않게 되는 것이 있다. 동화상의 촬영 대기중인 것을 나타내는 대기 아이콘(823)은 그대로 표시되고, 마이크 레벨을 나타내는 마이크 레벨 표시(821)는 마이크 레벨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810)으로 표시된다. 또한, FUNC버튼(801)은 비표시가 된다. 기능 표시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설정이 미리 정해진 설정으로부터 변경된 기능 또는 일부의 기능만이 표시부(28)에 표시되어 있었지만, 기능 표시에서는 각 기능의 설정에 상관없이 그 기능은 표시된다. 또한, 각 기능의 설정 내용을,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을 선택 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S6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되어 있는 기능 중 현재 선택중의 기능을 식별 표시한다. 도 8(b)에서는, 기능812가 선택되어 있고, 기능812가 식별 표시(818)의 표시 형태(다른 색채)로 표시된다. 유저로부터의 기능의 선택 지시가 없는 초기 상태에서는 커스텀 표시 영역(803)의 선두의 기능(도 8(b), (c)에 있어서는 기능806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기능)이 식별 표시(818)의 표시 형태로 표시된다.
S6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선택중의 기능의 설정을 변경하는 영역으로서 설정 영역(819)에, 선택중의 기능의 파라미터나 설정 항목이 표시된다. 도 8(b)에서는, 선택중의 기능812(룩(look) 기능)로서 설정가능한 항목이 설정 영역(819)에 표시된다.
기타의 기능이 선택된 것에 따라서 설정 영역(819)에 표시되는 항목도 변한다. 예를 들면, 도 8(c)는 기능813의 오디오 씬이 선택되어 있고, 설정 영역(819)에는 오디오 씬의 선택 항목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스탠다드가 설정중이므로, 스탠다드를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으로 모드별 표시 영역(804)의 오디오 씬(기능813)이 나타내어져 있다.
S6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설정 영역(819)에 대한 선택 조작에 의해, 선택중의 기능의 설정이 변경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선택 조작은 설정 영역(819)에 표시되어 있는 설정 항목 또는 설정 값에의 터치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설정 영역(819)에의 선택 조작은, 그립부(202)를 쥐고, 자세를 취한 상태로, 그립부(202)를 쥐고 있는 엄지 손가락이 닿으므로 설정중의 기능에 대한 설정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십자 키(82)에의 조작으로 선택중의 기능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십자 키(82)로 설정 변경하는 기능을 선택할 경우에는, 십자 키(82)로 커서를 설정 변경하는 기능에 맞춘 후에, SET버튼(83)을 누르고, 설정 변경하는 기능을 확정한다. SET버튼(83)을 누른 것에 따라서 설정 영역(819)에 표시되어 있는 항목 중 현재 설정되어 있는 설정 값을 나타내는 위치, 또는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표시 아이콘상에 커서가 맞는다. 설정 영역(819)내에서는 좌우 키82c, d에의 조작에 따라서 설정의 변경이 가능하다. 설정 영역(819)내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 상하 키82a, b에의 조작을 행하면 현재 선택중의 기능에 커서가 이동한다(선택중의 기능이 선택되어, 기능의 선택 계층에 이동한다). 설정이 변경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612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13에 진행된다.
S6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선택중의 기능의 설정을 S611에서 변경된 기능의 설정 항목 또는 설정 값에 설정한다. 이때, 모드별 표시 영역(804) 또는 커스텀 표시 영역(803)에 있어서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이 설정중의 설정 항목으로 표시되는 기능은,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도 S612에 있어서 설정된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으로 변경된다.
S6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 선택중의 기능으로부터 다른 기능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기능의 선택은, 표시된 기능에 터치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그립부(202)를 쥐고, 자세를 취한 상태로, 커스텀 표시 영역에 그립부(202)를 쥐고 있는 엄지 손가락이 닿으므로, 자세를 취한 상태로 기능의 선택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십자 키(82)의 상하 키82a, b로 커서를 이동시켜서 선택할 수도 있다. 다른 기능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614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09에 진행된다. S611∼S614를 반복하여서 모드별 표시 영역(804)과 커스텀 표시 영역(803)에 표시중의 기능에 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저는 원하는 설정으로 촬영을 행할 수 있다. 십자 키(82)로 기능의 선택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드별 표시 영역 및 커스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능은, 각각 종으로 늘어서서 표시되어 있다. 좌우 키에의 조작에서는, 모드별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기능으로부터 커스텀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기능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상하 키의 조작에서는, 각각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기능과, 메뉴 아이콘(820) 또는 닫는 아이콘(805)과의 이동이 가능하다. 또 표시되어 있는 기능 중 끝에 표시되어 있는 기능이 선택되어 있고, 상단의 경우는 위에, 하단의 경우는 아래에 항목 페이지가 있을 경우에는, 상 키(82a), 하 키(82b)에의 조작에 따라서 항목 페이지의 전환이 가능하다.
S6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뉴 아이콘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도 8(b)∼(d)에 도시하는 메뉴 아이콘(820)(또는 메뉴 버튼84)을 선택한 것에 따라서 FUNC커스터마이즈의 설정을 포함하는 메뉴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메뉴 아이콘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615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16에 진행된다.
S6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도 3에서 설명한 FUNC커스터마이즈의 설정의 처리를 행한다.
S6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지시가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촬영 지시(촬영 지시 조작)가 있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626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17에 진행된다. 촬영 지시는 셔터 버튼(61)을 완전 가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S61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기능 표시를 닫는가(비표시로 하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기능 표시를 닫는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618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38에 진행된다. 기능 표시는 닫는 아이콘805가 선택된 것에 따라서 비표시가 된다.
S61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에 표시하고 있었던 기능 표시를 비표시로 하고, S602에 되돌아간다.
S61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지시가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촬영 지시가 있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620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02에 되돌아간다.
S62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촬영 처리를 행한다. S618에 있어서 동화상의 촬영 지시가 되어, 동화상의 촬영이 개시했으므로, 촬영중의 동화상에 대한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 S620은 S603에 있어서 FUNC버튼(801)이 선택되지 않고 촬영이 개시되었으므로, 표시부(28)에 기능 표시되지 않고 있다.
S62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S603과 마찬가지로 FUNC버튼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FUNC 버튼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624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22에 진행된다.
S62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종료 지시가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촬영 종료 지시가 있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623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20에 되돌아간다. 촬영 종료 지시는 촬영의 개시의 지시를 마찬가지로 셔터 버튼(61)의 완전 가압에 의해 행해진다.
S62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종료 처리를 행한다. 촬영 종료 처리는, 촬영한 동화상의 압축 처리, 섬네일의 작성 등을 행하고, 촬영 일시와 함께 기록한다.
S624∼S625는, S606∼S607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다.
S62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모드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기능 중 동화상의 촬영중에 그레이 표시하는 기능을 판정한다. 이 처리는 동화상의 기능 표시중에 동화상의 촬영이 개시되었을 경우(S616) 또는 동화상의 촬영중에 기능 표시를 하는 지시가 되었을 경우(S621)에 행해진다. 도 11은, 모드별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능의 그레이 표시되는 조건을 도시한 도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드별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능은 동화상의 촬영 중에는 설정 변경할 수 없는(접수 없는) 기능이므로, 동화상의 촬영 중에는 그레이 표시된다. 또한, 드라이브 모드는 정지 화상의 경우만 표시된다. 프리(pre) REC와 셀프 타이머는 동화상 촬영중이외에도 그레이 표시되는 조건이 있다.
한편으로, 커스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능은 도 10에 있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화상 촬영중(기록 중)이 된 것에 따라서 그레이 표시되는 기능은 없고, 촬영 대기중에 표시되어 있었던 기능은, 동화상 촬영중이라도 설정 변경할 수 있다.
S62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S608과 마찬가지로 기능 표시를 한다. S624에서 표시한다고 판별된 기능을 모드별 표시 영역(804)에, 커스텀 표시 영역(803)에는 S625에서 그레이 표시한다고 판정된 기능을 그레이 표시하고, 그 밖의 기능을 통상 표시한다. 단, S626의 판정에 따라, 모드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기능을 그레이 표시한다. 도 8(e)는 4K동화상 촬영의 M모드로 설정되었을 경우의 촬영중의 표시부(28)의 일례이며, 모드별 표시 영역(804)에 표시되어 있는 기능812∼816은 그레이 표시되어, 설정 변경할 수 없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으로, 도 8(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스텀 표시 영역(803)에 표시되어 있는 기능 중, 동화상의 촬영 개시전에 통상 표시되어 있었던 기능은 동화상의 촬영이 개시되어도 그레이 표시되지 않는다. 기능806∼808, 810은 통상 표시된 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809가 나타내는 EXP록은 M모드에서는 그레이 표시되는 기능이므로, 동화상의 촬영중인가 아닌가에 관계되지 않고 그레이 표시된다. 동화상 촬영의 대기중에 모드별 표시 영역(804)에 표시되어 있는 기능812∼816이 선택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동화상의 촬영이 개시한 것에 따라, 선택중의 기능의 설정 변경을 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이 표시된다(도시되지 않음). 또한, 대기 아이콘(823)을 비표시로 하고, 동화상 촬영중인 것을 나타내는 촬영중 아이콘(822)을 표시한다.
S62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뉴 아이콘(820)을 그레이 표시한다. 동화상의 촬영 중에는 FUNC커스터마이즈의 설정이나 다른 항목에 관한 설정 등은 행할 수 없으므로, 그레이 표시해 설정 변경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낸다.
S629∼S630은, S609∼S610과 마찬가지의 처리다.
S63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S620과 마찬가지로 동화상의 촬영 처리를 행한다.
S63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S622와 마찬가지로 촬영 종료 지시가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촬영 종료 지시가 있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636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33에 진행된다.
S633∼S635의 처리는, S611∼S613과 마찬가지의 처리다.
S63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S627에 있어서 기능 표시했을 때에, 그레이 표시된 모드별 표시 영역(804)에 표시되어 있는 기능과, 메뉴 아이콘(820)을 통상 표시로 한다.
S63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S623과 마찬가지로 촬영 종료 처리를 행한다.
S63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S603과 마찬가지로 촬영 모드가 종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촬영 모드가 종료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촬영 대기 화면의 표시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39에 진행된다.
S63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모드가 전환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촬영 모드가 전환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640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09에 되돌아간다.
S64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S601과 마찬가지로 동화상의 촬영 모드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동화상의 촬영 모드라고 판정했을 경우는 S606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41에 진행된다.
S64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정지 화상 대기 화면의 표시를 행한다. 정지 화상 대기 화면의 표시의 플로우의 상세한 것은 도 7에서 설명한다.
S642는, S601에서 동화상 모드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시스템 제어부(50)는, S641과 마찬가지로 정지 화상 대기 화면의 표시를 행한다.
다음에, 정지 화상의 촬영 대기 화면의 표시 플로우에 대해서 도 7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이 처리는 도 6의 S642의 처리의 상세이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52)에 전개해서 시스템 제어부(50)가 실행 함으로써 실현한다.
S7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도 6의 S601과 마찬가지로 동화상의 촬영 모드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동화상의 촬영 모드라고 판정했을 경우는 S726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702에 진행된다.
S702∼S703의 처리는, 도 6의 S602∼S603과 마찬가지의 처리다.
S7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정지 화상 대기 화면을 표시부(28)에 표시한다.
S705∼S715의 처리는, 도 6의 S605∼S615와 마찬가지의 처리다. 단, S708의 기능 표시에 있어서, 커스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능은 정지 화상 모드의 FUNC커스터마이즈(기능 표시 설정)에 있어서 설정되어, 정지 화상 모드의 기능 표시 설정으로서 시스템 메모리(52)에 기록되어 있는 기능이 표시된다.
S7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지시가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촬영 지시가 있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719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717에 진행된다. 촬영 지시는 셔터 버튼(61)을 완전 가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셔터 버튼(61)의 반가압에서는 촬영 준비를 행한다. 촬영 준비란, AF처리, AE처리, AWB처리, EF처리 등의 동작이다.
S717∼S718의 처리는, 도 6의 S617∼S618과 마찬가지의 처리다.
S71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정지 화상의 촬영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는, 촬상부(22)에 의해 얻어진 화상(정지 화상)을 기록 매체(200)에 기록한다.
S72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모드가 종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촬영 모드의 종료란, 전원의 OFF나, 재생 화면에의 전환이다. 촬영 모드가 종료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촬영 대기 화면의 표시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721에 진행된다.
S72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모드가 전환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촬영 모드가 전환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622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09에 되돌아간다.
S72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S701과 마찬가지로 동화상의 촬영 모드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동화상의 촬영 모드라고 판정했을 경우는 S623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06에 되돌아간다.
S72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대기 화면의 표시를 행한다. 촬영 대기 화면의 표시의 플로우의 상세한 것은 도 6에서 설명한 처리다.
S72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S716과 마찬가지로 촬영 지시가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촬영 지시가 있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725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702에 되돌아간다.
S72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S719과 마찬가지로 정지 화상의 촬영 처리를 행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100)를 자세를 취한 상태로 조작가능한 영역에는, 촬영중에 재빠르게 설정 변경하는 기능 중 유저가 원하는 기능을 표시하고, 그렇지 않은 영역에는 촬영 모드에 따른 기능을 표시한다. 설정 변경가능한 기능 중 유저가 설정한 기능을, 그립부(202)를 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커스텀 표시 영역 중 원하는 위치에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중에는 그립부(202)를 쥔 상태, 촬영 지시를 금방 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100)를 자세를 취한 상태이여도 재빠르게 설정을 변경할 수 있고, 원하는 화상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동화상의 촬영 중에는 설정 변경할 수 없는, 또는 정지 화상의 촬영 중 촬영 환경이 바뀔 때까지 설정 변경하지 않는, 소정기간 설정 변경하지 않는 등의 기능은 표시부(28) 중 커스텀 표시 영역에서도 그립부(202)로부터 떨어진 모드별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모드별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능은, 동화상의 촬영 중등에는 설정 변경하지 않는 기능이며, 화면의 좌단에 표시해 촬영중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지만, 모드에 따라서 설정 변경가능한 기능을 표시하므로, 보다 재빠르게 설정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커스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기능을 설정할 때는, 유저는 촬영중에 설정 변경가능한 기능으로부터 선택을 하면 좋으므로, 기능마다 설정 변경한 상황을 고려하면서 표시 위치의 설정을 행하지 않아서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항목을 선택하고나서, 상기 항목에 할당하는 기능을 선택하는 것으로 했지만, 기능을 선택하고나서 상기 기능을 할당하는 항목을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동화상 촬영의 대기중에 모드별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기능이 선택되어 있었을 경우에, 동화상의 촬영이 개시한 것에 따라, 선택중의 기능의 설정 변경을 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을 한다고 했지만, 다른 기능을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즉, 동화상의 촬영이 개시한 것에 따라, 모드별 표시 영역의 기능이 선택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커스텀 표시 영역의 기능이 선택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는 1개의 하드웨어가 행해도 좋고, 복수의 하드웨어가 처리를 분담 함으로써, 장치전체의 제어를 행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을 그 적합한 실시예에 근거해서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여러가지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더욱, 상술한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고, 각 실시예를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디지털 카메라(100)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조작에 의해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항목의 선택을 행할 수 있는 표시 제어장치이면 적용가능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휴대전화단말이나 휴대형의 화상 뷰어, 디지털 포토 프레임,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전자 북 리더등에 적용가능하다. 특히, 그립부를 갖고 기기를 보유해서 이용할 필요가 있는 휴대형의 기기에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이하의 처리를 실행하여서도 실현된다. 다시 말해,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네트워크 또는 각종 기록 매체를 통해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등)이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해서 실행하는 처리다. 이 경우, 그 프로그램, 및 해당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공표하기 위해서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Claims (24)

  1.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항목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라, 터치된 항목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표시부에 포함되는 제1의 표시 영역과, 상기 제1의 표시 영역보다도 해당 장치를 보유하기 위한 그립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제2의 표시 영역 중,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항목을, 복수의 항목으로부터 선택해서 레이아웃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레이아웃 설정된 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는 미리 정해진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2.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항목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라, 터치된 항목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과,
    동화상 모드에 포함되는 모드 중, 적어도 제1의 모드와 제2의 모드로 전환가능한 동화상 모드 전환 수단과,
    상기 제1의 모드로부터 상기 제2의 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에, 상기 표시부에 포함되는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었던 복수의 항목을, 상기 제2의 모드에 있어서도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의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 영역보다도 해당 장치를 보유하기 위한 그립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었던 복수의 항목 중, 적어도 1개의 항목은 상기 제2의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3.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항목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라, 터치된 항목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과,
    촬영 지시부에 대한 촬영 지시 조작에 따라서 촬영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촬영 제어 수단과,
    상기 표시부에 포함되는 제1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촬영 지시 조작에 따라서 개시된 촬영중에 설정 변경이 가능한 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제1의 표시 영역보다도 상기 촬영 지시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제2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촬영중에 설정 변경할 수 없는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동화상 모드에 포함되는 모드 중, 적어도 제1의 모드와 제2의 모드로 전환가능한 동화상 모드 전환 수단을 더욱 갖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1의 모드로부터 상기 제2의 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의 모드일 때에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었던 복수의 항목을, 상기 제2의 모드에 있어서도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의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었던 복수의 항목 중, 적어도 1개의 항목은 상기 제2의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항목으로부터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항목을 선택해서 레이아웃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더욱 갖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레이아웃 설정된 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는 미리 정해진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항목으로부터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항목을 선택해서 레이아웃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동화상 모드에 포함되는 모드 중, 적어도 제1의 모드와 제2의 모드로 전환가능한 동화상 모드 전환 수단을 더욱 갖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레이아웃 설정된 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는 미리 정해진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의 모드로부터 상기 제2의 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의 모드일 때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었던 복수의 항목을, 상기 제2의 모드에 있어서도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의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었던 복수의 항목 중, 적어도 1개의 항목은 상기 제2의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7. 제 1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제1의 항목군으로부터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레이아웃 설정된 항목을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제2의 항목군 중 모드에 따라서 미리 정해져 있는 항목을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항목과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항목은 같은 계층의 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정지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정지 화상 모드와 동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동화상 모드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 수단을 더욱 갖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정지 화상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항목과, 상기 동화상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항목을, 각각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에서의 레이아웃 설정할 때에, 상기 정지 화상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항목으로서 선택가능한 항목군과, 상기 동화상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항목으로서 선택가능한 항목군과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복수의 항목으로부터 선택된 항목을, 상기 제1의 표시 영역 중 유저에 지시된 위치에 표시하도록 레이아웃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동일한 항목을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의 다른 위치에 표시하도록 레이아웃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은 표시부 중 끝을 포함하는 영역에 있고,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은 상기 끝과는 다른 끝을 포함하는 영역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동화상의 촬영이 개시된 것에 따라서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항목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항목과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항목에 관한 설정 내용을 변경하는 설정 변경 수단을 더욱 갖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항목과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항목 중 선택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해서, 상기 표시부 중 제3의 표시 영역에 상기 항목에 대해서 설정가능한 선택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설정 변경 수단은, 상기 제3의 표시 영역에의 선택 조작에 따라, 해당 항목에 관한 설정 내용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 영역과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항목 중 적어도 1개의 항목은, 상기 항목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설정 내용을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촬상 수단을 더욱 갖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부에 상기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화상을 표시함과 아울러, 해당 화상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반대측에 상기 제1의 표시 영역과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은, 상기 그립부를 가진 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 조작이 가능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1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지시부는, 해당 표시 제어장치를 가진 손의 손가락에 의해 조작가능하고,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은, 해당 손의 다른 손가락에 의해 터치 조작이 가능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
  20.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항목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라, 터치된 항목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 스텝과,
    상기 표시부에 포함되는 제1의 표시 영역과, 상기 제1의 표시 영역보다도 해당 장치를 보유하기 위한 그립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제2의 표시 영역 중,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항목을, 복수의 항목으로부터 선택해서 레이아웃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설정 스텝에 있어서 레이아웃 설정된 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는 미리 정해진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21.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항목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라, 터치된 항목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 스텝과,
    동화상 모드에 포함되는 모드 중, 적어도 제1의 모드와 제2의 모드로 전환가능한 동화상 모드 전환 스텝과,
    상기 제1의 모드로부터 상기 제2의 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에, 상기 표시부에 포함되는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었던 복수의 항목을, 상기 제2의 모드에 있어서도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의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 영역보다도 해당 장치를 보유하기 위한 그립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었던 복수의 항목 중, 적어도 1개의 항목은 상기 제2의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22.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항목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라, 터치된 항목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 스텝과,
    촬영 지시부에 대한 촬영 지시 조작에 따라서 촬영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촬영 제어 스텝과,
    상기 표시부에 포함되는 제1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촬영 지시 조작에 따라서 개시된 촬영중에 설정 변경이 가능한 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제1의 표시 영역보다도 상기 촬영 지시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제2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촬영중에 설정 변경할 수 없는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23. 컴퓨터를, 청구항 1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제어장치의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24. 컴퓨터를, 청구항 1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제어장치의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7019437A 2014-12-25 2014-12-25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61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84429 WO2016103428A1 (ja) 2014-12-25 2014-12-25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968A true KR20170095968A (ko) 2017-08-23
KR101861150B1 KR101861150B1 (ko) 2018-06-29

Family

ID=5614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437A KR101861150B1 (ko) 2014-12-25 2014-12-25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58800B2 (ko)
EP (1) EP3239774B1 (ko)
JP (1) JP6541690B2 (ko)
KR (1) KR101861150B1 (ko)
CN (1) CN107111214B (ko)
WO (1) WO20161034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5820B2 (ja) * 2015-08-28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
EP3343286B1 (en) * 2016-12-27 2021-08-18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8116237A (ja) * 2017-01-20 2018-07-26 株式会社リコー 撮影装置
CN110313173B (zh) * 2017-02-17 2021-01-01 富士胶片株式会社 摄影装置和其控制方法及非易失性的计算机可读介质
JP7027071B2 (ja) * 2017-08-31 2022-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3454545A1 (en) 2017-09-04 2019-03-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2019106677A (ja) * 2017-12-14 2019-06-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587807B2 (en) 2018-05-18 2020-03-10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abilizing videos
JP7187190B2 (ja) * 2018-06-29 202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10432864B1 (en) 2018-09-19 2019-10-01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abilizing videos
JP7313865B2 (ja) * 2019-03-29 2023-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US11588971B2 (en) * 2019-04-03 2023-02-21 Sony Group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with two operation interfaces for setting imaging conditions
US10824303B1 (en) * 2019-05-17 2020-11-03 Gopro, Inc. Image capture device controls
US11439365B2 (en) * 2019-07-16 2022-09-13 GE Precision Healthcare LLC Method and systems for periodic imag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5617A (ja) * 1998-06-05 1999-12-24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器付きカメラ
JP2004340991A (ja) 2003-05-13 2004-12-02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JP2011159180A (ja) 2010-02-02 2011-08-18 Canon Inc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2129963A (ja) * 2010-11-25 2012-07-05 Panasonic Corp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8065A1 (en) * 2001-09-25 2004-11-04 Schinner Charles E. Personality modes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8947543B2 (en) * 2002-05-08 2015-02-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of personalizing a user interfac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900835B2 (en) * 2002-08-23 2005-05-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rioritizing menu items of an electronic device
US20040263658A1 (en) * 2003-06-26 2004-12-30 Cozier Robert P Display system and method having a customizable menu using levels of abstraction
KR100678916B1 (ko) * 2005-07-21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57776B1 (ko) * 2007-04-25 201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설정정보 변경이 용이한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045559B2 (ja) * 2008-06-02 2012-10-10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KR20100018334A (ko) * 2008-08-06 2010-02-17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 컨텐츠를 적용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상기방법에 의해 동작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JP5207930B2 (ja) * 2008-11-20 2013-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335519B2 (ja) * 2009-03-30 2013-11-0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装置
JP5127792B2 (ja) * 2009-08-18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218353B2 (ja) * 2009-09-14 2013-06-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24218B1 (ko) * 2009-09-14 201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451407B2 (ja) * 2010-01-07 2014-03-26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5652652B2 (ja) * 2010-12-27 2015-01-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2013017088A (ja) * 2011-07-05 2013-01-24 Canon Inc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5936183B2 (ja) * 2012-02-07 2016-06-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影機器
JP5565450B2 (ja) * 2012-05-22 2014-08-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入出力装置
JP2014241547A (ja) * 2013-06-12 2014-12-2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装置
CN105847670B (zh) * 2015-02-04 2019-06-21 佳能株式会社 电子设备、摄像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JP6425573B2 (ja) * 2015-02-04 2018-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と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5617A (ja) * 1998-06-05 1999-12-24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器付きカメラ
JP2004340991A (ja) 2003-05-13 2004-12-02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JP2011159180A (ja) 2010-02-02 2011-08-18 Canon Inc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2129963A (ja) * 2010-11-25 2012-07-05 Panasonic Corp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58800B2 (en) 2018-12-18
US20160191800A1 (en) 2016-06-30
WO2016103428A1 (ja) 2016-06-30
CN107111214B (zh) 2020-12-04
JP6541690B2 (ja) 2019-07-10
JPWO2016103428A1 (ja) 2017-10-19
EP3239774A4 (en) 2018-11-14
KR101861150B1 (ko) 2018-06-29
EP3239774A1 (en) 2017-11-01
CN107111214A (zh) 2017-08-29
EP3239774B1 (en)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150B1 (ko)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3602B1 (ko)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79947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005334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56836B2 (ja) 撮像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833535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64423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436764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225004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9086701A (ja) 撮像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09849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562832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529300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21029034A (ja) 露出設定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632396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873792B2 (ja) 撮像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8022291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6827860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034601B2 (ja) 撮像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789839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6855317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23089744A (ja) 画像処理装置、マーキング方法、プログラム
JP2023077994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21029033A (ja) 露出設定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21128242A (ja) 撮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