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615A - 프리캐스트 기둥 및 프리캐스트 빔의 이음 구조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기둥 및 프리캐스트 빔의 이음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94615A KR20170094615A KR1020160015587A KR20160015587A KR20170094615A KR 20170094615 A KR20170094615 A KR 20170094615A KR 1020160015587 A KR1020160015587 A KR 1020160015587A KR 20160015587 A KR20160015587 A KR 20160015587A KR 20170094615 A KR20170094615 A KR 201700946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precast
- fixed
- coupling
- he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8—Details of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빔과 프리캐스트 기둥의 이음 구조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서로 반대를 향하는 제1면과 제2면에는 제1높이에 제1결합구 및 제2결합구가 고정되고, 서로 반대를 향하는 제3면과 제4면에는 상기 제1높이와 높이차이가 있는 제3높이에 제3결합구 및 제4결합구가 고정된 프리캐스트 기둥과; 상기 제1결합구와 연통하는 제1관통공이 상기 제1높이에 형성된 제1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면에 고정되는 제1프리캐스트 빔과; 상기 제2결합구와 연통하는 제2관통공이 상기 제1높이에 형성된 제2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2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2면에 고정되는 제2프리캐스트 빔과; 상기 제3결합구와 연통하는 제3관통공이 상기 제3높이에 형성된 제3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3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3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3면에 고정되는 제3프리캐스트 빔과; 상기 제4결합구와 연통하는 제4관통공이 상기 제3높이에 형성된 제4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4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4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4면에 고정되는 제4프리캐스트 빔을; 포함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기둥에 연결 볼트에 의해 4개의 프리캐스트 빔이 십자(十字) 형태로 연결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에 프리캐스트 빔을 십자(十字) 형태로 짧은 시간 내에 신속하게 연결하여 보다 견고한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빔과 프리캐스트 기둥의 이음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기둥과 프리캐스트 빔을 연결하는 이음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토목이나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는 데 있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에 프리캐스트 빔을 T자 형태나 십자(十字) 형태로 짧은 시간 내에 견고하게 연결하여 보다 견고한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이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철근을 배근한 후,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에 현장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시공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습식 공법에 의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시공 품질이 날씨, 온도 및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좌우되는 문제가 야기될 뿐만 아니라, 시공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장에서 미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주요 구성 요소인 빔, 기둥, 바닥판 형태로 제작한 프리캐스트 부재를 현장으로 이동시키고, 현장에서는 이미 제작된 프리캐스트 부재를 잇는 방식으로 토목이나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왔다.
이와 같은 프리캐스트 공법은 현장에서의 작업 시간을 보다 줄일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덜 민감하게 시공 품질을 높일 수 있으므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에 따라 시공되는 건축물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1에 도시된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공법에서는, 하부 기둥(1)을 설치한 후 하부 기둥(1) 위에 일정한 길이(통상 5㎝) 겹쳐서 한쌍의 프리캐스트 빔(2, 2')을 올려 놓고, 이와 동시에 프리캐스트 빔(2, 2')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 내에 갈골리 철근(3)을 배설한 후 하부 기둥(1)의 상부면과 한쌍의 빔(2, 2')사이 및 슬라브 위에 일정 두께의 토핑 콘크리트층(4)을 타설한 후, 토핑콘크리트층(4)이 충분히 양생된 후에 상부 기둥(1')의 주철근(5) 하부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을 통해서 하부 기둥(1)의 상부로 노출된 하부기둥(1)의 주철근(5')을 각각 삽입하여 상기 상부기둥(1')의 주철근(5) 하부에 형성된 타원 형상의 공간부 내에 각각 고강도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스플라이스 연결부(6)에서 주철근(5, 5')을 연결함으로써 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둥과 보의 연결은 토핑콘크리트층(4)의 양생 및 스플라이스 연결부(6)에서의 고강도 모르타르의 양생으로 인하여 시공 기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에 두 기둥(1,1')과 두빔(2, 2')의 연결부가 집중되어 구조가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공법이 제안되었다. 즉, 미리 공장에서 타설하여 양생시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1, 1')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 2')이 제작되어 준비되는데 빔(2. 2')가 연결될 부위의 기둥(1)에는 상하좌우에 각각 한쌍씩의 덕타일 로드(ductile rod)로 일컬어지는 결합구(7)가 매립되고, 결합구(7)의 나사공(7')이 기둥(1)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빔(2, 2')의 선단에는 보(2, 2')에 매립된 철근(8)의 선단이 연결블록(9)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블록(9)을 통해 볼트(9')를 결합구(7)의 나사공(7')에 체결함으로써 간단하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1)과 보(2, 2')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1)과 빔(2, 2')의 연결 방식은 단 볼트 4개만으로 프리캐스트 부재를 연속화할 수 있는 시공상의 잇점이 얻어지지만, 빔(2, 2')에 작용하는 하중을 기둥의 콘크리트가 지지하므로 하중 전달 효율이 낮아지고, 기둥(1)에 대하여 빔(2, 2')을 일자(一字) 형태로 수평 연결할 수 있을 뿐이어서 T자 형태나 십자(十字) 형태로 수평 연결하는 데 간섭 등의 문제로 시공이 까다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프리캐스트 기둥(1)과 빔(2, 2')을 설치한 이후에, 빔(2, 2')의 상면 높이가 모두 동일하여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위치를 잡고 설치하는 것에 필요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연결 블록(9)을 매개로 하는 연결 볼트의 체결이 좁고 까다로와지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빔을 볼트 체결로 간단히 연결하면서도, 빔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바닥판의 거치를 보다 쉽게 하고, 기둥의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하중 부담을 줄이면서, 수평 방향으로 T자 형태나 십자(十字) 형태의 연결을 간단히 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토목이나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는 데 있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에 프리캐스트 빔을 T자 형태나 십자(十字) 형태로 짧은 시간 내에 신속하게 연결하여 보다 견고한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이음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기둥과 프리캐스트 빔을 연결하여 구조물이 시공된 상태에서, 각각의 프리캐스트 빔들 간에 상호 강봉을 통해 연결되어,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프리캐스트 빔에 내설된 강봉에 의해 분산 지지하여 안정된 구조계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빔과 프리캐스트 기둥을 연결 볼트로 체결하여 연결하는 데 필요한 블록 아웃을 최소화하면서도, 연결 볼트의 체결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프리캐스트 빔의 상부에 정해진 두께의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쉽게 거치하여 건축 구조물을 보다 쉽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서로 반대를 향하는 제1면과 제2면에는 제1높이에 제1결합구 및 제2결합구가 고정되고, 제3면에는 상기 제1높이와 높이차이가 있는 제3높이에 제3결합구가 고정된 프리캐스트 기둥과; 상기 제1결합구와 연통하는 제1관통공이 상기 제1높이에 형성된 제1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면에 고정되는 제1프리캐스트 빔과; 상기 제2결합구와 연통하는 제2관통공이 상기 제1높이에 형성된 제2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2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2면에 고정되는 제2프리캐스트 빔과; 상기 제3결합구와 연통하는 제3관통공이 상기 제3높이에 형성된 제3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3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3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3면에 고정되는 제3프리캐스트 빔을; 포함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기둥에 연결 볼트에 의해 3개의 프리캐스트 빔이 T자 형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빔과 프리캐스트 기둥의 이음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에 프리캐스트 빔을 T자 형태로 짧은 시간 내에 신속하게 연결하여 보다 견고한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구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3결합구는 단면이 확대된 베어링 플레이트까지 강봉으로 각각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결합구에 연결되는 제1프리캐스트 빔과 제2프리캐스트 빔이 강재의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에 의해 서로 하중이 전달될 수 있으면서, 제3결합구에 연결되는 제3프리캐스트빔은 베어링 플레이트까지 강봉으로 연장된 제3결합구에 의해 프리캐스트 기둥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블록과 상기 제2고정블록의 후방에는 연결 볼트의 체결을 위한 블록 아웃 공간이 마련되어, 블록 아웃 공간을 이용하여 연결 볼트의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리캐스트 기둥에는 상기 제3면과 반대를 향하는 제4면에는 상기 제3높이에 제4결합구가 고정되고; 상기 제4결합구와 연통하는 제4관통공이 상기 제3높이에 형성된 제4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4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4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4면에 고정되는 제4프리캐스트 빔을; 더 포함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기둥에 연결 볼트에 의해 4개의 프리캐스트 빔이 십자(十字) 형태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구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3결합구와 상기 제4결합구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서로 일직선 형태로 제1결합구 및 제2결합구에 연결되는 제1프리캐스트 빔과 제2프리캐스트 빔이 강재인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를 통해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일직선 형태의 제3결합구 및 제4결합구에 연결되는 제3프리캐스트 빔과 제4프리캐스트 빔이 강재인 제3결합구와 제4결합구를 통해 하중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연결 볼트에 의해 프리캐스트 빔과 프리캐스트 기둥을 연결한 다음에는, 상기 블록 아웃 공간을 현장 타설하여 충전제로 메우는 것에 의해, 연결 볼트의 체결상태를 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물에 반복 하중이나 진동 등이 작용하더라도 빔과 기둥의 연결 상태는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블록과 상기 제1면의 사이와 상기 제2고정블록과 상기 제2면의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심 플레이트(shim plate)가 개재되어, 프리캐스트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빔의 기둥과의 간격을 미세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리고, 상기 제3고정블록과 상기 제3면의 사이와 상기 제4고정블록과 상기 제4면의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도 심 플레이트(shim plate)가 개재되어, 프리캐스트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빔의 기둥과의 간격을 미세 조절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상기 제3프리캐스트 빔과 상기 제4프리캐스트 빔에는 상면에 바닥판을 거치시키는 단턱면이 빔의 종방향을 따라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턱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이용하여 고정 블록과 결합구를 연결 볼트로 체결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기둥과 빔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일렬로 배열된 제3프리캐스트 빔과 제4프리캐스트 빔의 양측의 단턱면에 바닥판을 설치하는 공정이 훨씬 짧은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행해질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즉, 기둥의 제1면과 제2면에 연결되는 제1프리캐스트 빔과 제2프리캐스트 빔에는 단턱면이 형성되지 않고, 기둥의 제3면과 제4면에 연결되는 제3프리캐스트 빔과 제4프리캐스트 빔에만 단턱면이 양측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바닥판을 제3프리캐스트 빔과 제4프리캐스트 빔에만 거치시킴으로써, 평면이 넓은 구조물에 대해서도 빠른 시간 내에 바닥판을 시공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단턱면의 깊이는 바닥판의 두께와 일치시키는 두께로 정해질 수 있다.
한편, 프리캐스트 기둥에 프리캐스트 빔을 연결 고정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높이에서 빔을 기둥과 결합시켜 프리캐스트 빔을 프리캐스트 기둥에 연결 설치할 수도 있지만,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프리캐스트 빔의 상,하측에서 프리캐스트 기둥과 각각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프리캐스트 기둥에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에 상기 제1높이와 상기 제2높이에 대해 높이 편차가 있는 제6높이에 제6결합구 및 제7결합구가 고정되고, 상기 제3면과 상기 제4면에 상기 제1높이와 상기 제2높이와 제3높이에 대해 높이 편차가 있는 제8높이에 제8결합구 및 제9결합구가 고정되고; 상기 제1프리캐스트 빔에는 상기 제6결합구와 연통하는 제6관통공이 상기 제6높이에 형성된 제6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6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6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상기 제1면에 상기 제1프리캐스트 빔이 결합되고; 상기 제2프리캐스트 빔에는 상기 제7결합구와 연통하는 제7관통공이 상기 제6높이에 형성된 제7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7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7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상기 제2면에 상기 제2프리캐스트 빔이 결합되고; 상기 제3프리캐스트 빔에는 상기 제8결합구와 연통하는 제8관통공이 상기 제8높이에 형성된 제8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8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8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상기 제3면에 상기 제3프리캐스트 빔이 결합되고; 상기 제4프리캐스트 빔에는 상기 제9결합구와 연통하는 제9관통공이 상기 제8높이에 형성된 제9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9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9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상기 제4면에 상기 제4프리캐스트 빔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프리캐스트 빔에 설치된 상측 고정블록(예를 들어, 제1고정블록)과 하측 고정 블록(예를 들어, 제6고정블록)을 연결 강봉에 의해 연결하여, 빔과 기둥의 연결 구조가 보다 견고하고 외력에 의한 지지 능력이 향상되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전방'은 기둥을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며 '후방'은 기둥의 반대쪽을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고정 블록의 '후방'에 블록 아웃 공간이 형성되는 것은, 블록 아웃 공간이 기둥에 비하여 고정 블록에 보다 더 가까운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프리캐스트'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미리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작된 것으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종방향'은 빔이나 기둥의 연장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면에서는 프리캐스트 빔의 종방향은 수평 방향이고, 프리캐스트 기둥의 종방향은 수직 방향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에 프리캐스트 빔을 수평 평면 내에서 T자 형태 또는 십자(十字) 형태로 짧은 시간 내에 신속하게 연결하여 보다 견고한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빔에 내설된 강봉이 기둥의 결합구를 통해 인접한 프리캐스트 빔과 연결되어, 인접한 프리캐스트 빔 간에 기둥의 콘크리트 부분을 매개로 하지 않더라도 결합구를 통해 직접 연결되어 지지함으로써,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프리캐스트 빔에 내설된 강봉에 의해 분산 지지하여 안정된 구조계를 구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제3프리캐스트 빔과 제4프리캐스트 빔의 상단 양측에 종방향을 따라 단턱면이 형성됨으로써, 프리캐스트 빔과 프리캐스트 기둥을 연결 볼트로 체결하여 연결하는 데 필요한 블록 아웃 공간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더라도 연결 볼트의 체결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고, 프리캐스트 빔의 상부에 정해진 두께의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쉽게 거치하여 건축 구조물을 보다 쉽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게 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 및 도2는 빔과 기둥을 잇는 종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기둥 및 프리캐스트 빔의 이음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는 도3의 'A'부분의 확대도,
도5는 도3의 제1프리캐스트 빔 및 제2프리캐스트 빔의 확대도,
도6은 도3의 제3프리캐스트 빔 및 제4프리캐스트 빔의 확대도,
도7은 도3의 절단선 Ⅶ-Ⅶ에 따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기둥 및 프리캐스트 빔의 이음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기둥 및 프리캐스트 빔의 이음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는 도3의 'A'부분의 확대도,
도5는 도3의 제1프리캐스트 빔 및 제2프리캐스트 빔의 확대도,
도6은 도3의 제3프리캐스트 빔 및 제4프리캐스트 빔의 확대도,
도7은 도3의 절단선 Ⅶ-Ⅶ에 따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기둥 및 프리캐스트 빔의 이음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기둥 및 프리캐스트 빔의 이음 구조(100)는, 다수의 결합구(191-199)가 내설된 프리캐스트 기둥(190)과, 프리캐스트 기둥(190)의 4개의 표면(S1-S4)에 연결되는 프리캐스트 빔(110-140)과, 이들(110-140; 190)을 잇는 연결 볼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리캐스트 기둥(190)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시공 현장으로 운반된 것으로, 내부에 다수의 강봉(190a)과 철근이 종방향으로 내설되어 있어서 수직 방향의 하중에 대한 좌굴을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기둥(190)은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함) 단면으로 형성되어, 4개의 측면(S1, S2, S3, S4)에서 프리캐스트 빔(110, 120, 130, 140)과 각각 연결 결합된다.
그리고, 프리캐스트 기둥(190)에서 수평 방향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110, 120, 130, 140)이 연결되는 위치에 강재로 형성된 결합구(191-199)가 내설되어 있다. 결합구(191-199)는 연결 볼트(50)와 체결되는 암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반대측을 향하는 결합구(191, 192; 193, 194; 196, 197; 198, 199) 간에는 강봉(190x)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서로 반대측을 향하는 결합구(191, 192; 193, 194; 196, 197; 198, 199)는 하나의 강재 몸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결합구(191-199)에 체결되는 연결 볼트(50)에 의해 프리캐스트 빔(110, 120, 130)은 프리캐스트 기둥(190)의 콘크리트부에 지지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프리캐스트 빔(110, 120; 130, 140)이 서로 결합구(191-199) 및 강봉(190x)에 의해 힘이 전달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구조물을 지지한다.
여기서, 제1결합구(191) 및 제6결합구(196)는 프리캐스트 기둥(190)의 제1면(S1)에 형성되어 제1프리캐스트 빔(110)과 연결되고, 제2결합구(192) 및 제7결합구(197)는 프리캐스트 기둥(190)의 제2면(S2)에 형성되어 제2프리캐스트 빔(120)과 연결되며, 제3결합구(193) 및 제8결합구(198)는 프리캐스트 기둥(190)의 제3면(S3)에 형성되어 제3프리캐스트 빔(130)과 연결되고, 제4결합구(194) 및 제9결합구(199)는 프리캐스트 기둥(190)의 제4면(S4)에 형성되어 제4프리캐스트 빔(140)과 연결된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구(191)와 제2결합구(192)는 제3결합구(193)와 제4결합구(194)와 높이 편차(Hd)를 두고 배치되며, 제6결합구(196)와 제7결합구(197)는 제8결합구(198)와 제9결합구(199)와 높이 편차(Hd')를 두고 배치된다. 즉, 제1결합구(191)와 제2결합구(192)는 제1높이에 배치되고, 제3결합구(193)와 제4결합구(194)는 제2높이에 배치되며, 제6결합구(196)와 제7결합구(197)는 제6높이에 배치되고, 제8결합구(198)와 제9결합구(199)는 제7높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프리캐스트 빔(110)과 제2프리캐스트 빔(120)이 제1결합구(191), 제2결합구(192), 제6결합구(196) 및 제7결합구(197)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더라도, 그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프리캐스트 빔(130)과 제4프리캐스트 빔(140)이 제3결합구(193), 제4결합구(194), 제8결합구(198) 및 제9결합구(199)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프리캐스트 기둥(190)의 좁은 단면 내에서 연결 볼트(50)의 체결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십자(十字) 형태로 연결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프리캐스트 빔(110)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시공 현장으로 운반된 것으로, 횡단면의 상측과 하측에 다수의 강봉(111x, 116x)이 내설되고 철근(미도시)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근되어 있어서, 휨 모멘트 등의 외력에 대해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의 상측과 하측에 내설된 강봉(111x, 116x)은 프리캐스트 기둥(190)과 연결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제1고정블록(111) 및 제6고정블록(116)에 결합된다. 강봉(111x, 116x)은 고정 블록(111, 116)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도 있지만, 고정 블록(111, 116)에 형성된 암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제1고정블록(111)에는 제1관통공(111a)이 제1높이에 2군데 배치되어 제1결합구(191)와 연결 볼트(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되며, 제6고정블록(116)에도 제6관통공(116a)이 제6높이에 2군데 배치되어 제6결합구(196)와 연결 볼트(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고정블록(111)과 제6고정블록(116)은 연결 강봉(115x)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 강봉(115x)이 제1프리캐스트 빔(110)의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것에 의해 제1고정블록(111)과 제6고정블록(116)이 제1프리캐스트 빔(110)에 위치 고정된다. 연결 강봉(115x)은 제1고정블록(111)과 제6고정블록(116)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나사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 블록(111, 116)의 후방에는 블록 아웃부(111b, 116b)가 형성되어, 연결 볼트(50)를 체결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이 마련된다. 연결 볼트(50)에 의하여 고정 블록(111, 116)을 결합구(191, 196)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프리캐스트 빔(110)을 프리캐스트 기둥(190)의 제1면(S1)에 연결하면, 블록 아웃부(111b, 116b)는 무수축 콘크리트 등의 충전제에 의해 채워진다. 이에 따라, 연결 볼트(50)와 결합구(191, 196)의 결합 상태는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2프리캐스트 빔(120)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시공 현장으로 운반된 것으로, 제1프리캐스ㅌ 빔(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된다. 즉, 횡단면의 상측과 하측에 다수의 강봉(121x, 126x)이 내설되고 철근(미도시)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근되어 있어서, 휨 모멘트 등의 외력에 대해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의 상측과 하측에 내설된 강봉(121x, 126x)은 프리캐스트 기둥(190)과 연결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제2고정블록(121) 및 제7고정블록(126)에 결합된다. 강봉(121x, 126x)은 고정 블록(121, 126)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도 있지만, 고정 블록(121, 126)에 형성된 암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제2고정블록(121)에는 제2관통공(121a)이 제1높이에 2군데 배치되어 제2결합구(192)와 연결 볼트(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되며, 제7고정블록(126)에도 제7관통공(126a)이 제6높이에 2군데 배치되어 제7결합구(197)와 연결 볼트(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고정블록(121)과 제7고정블록(126)은 연결 강봉(125x)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 강봉(125x)이 제2프리캐스트 빔(120)의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것에 의해 제2고정블록(121)과 제7고정블록(126)이 제2프리캐스트 빔(120)에 위치 고정된다. 연결 강봉(125x)은 제2고정블록(121)과 제7고정블록(126)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나사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 블록(121, 126)의 후방에는 블록 아웃부(121b, 126b)가 형성되어, 연결 볼트(50)를 체결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이 마련된다. 연결 볼트(50)에 의하여 고정 블록(121, 126)을 결합구(192, 197)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프리캐스트 빔(120)을 프리캐스트 기둥(190)의 제2면(S2)에 연결하면, 블록 아웃부(121b, 126b)는 무수축 콘크리트 등의 충전제에 의해 채워진다. 이에 따라, 연결 볼트(50)와 결합구(192, 197)의 결합 상태는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3프리캐스트 빔(130)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시공 현장으로 운반된 것으로, 빔의 상부 양측에 프리캐스트 바닥판(미도시)를 거치할 수 있는 단턱면(130s)이 마련된다는 점에서 제1프리캐스트 빔(110) 및 제2프리캐스트 빔(120)의 횡단면 형상과 차이가 있다. 여기서, 단턱면(130s)의 깊이(즉, 빔(130)의 상면과 단턱면(130s)까지의 거리, H)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두께로 정해진다.
전술한 빔(110, 120)과 유사하게, 제3프리캐스트 빔(130)의 횡단면의 상측과 하측에 다수의 강봉(131x, 136x)이 내설되고 철근(미도시)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근되어 있어서, 휨 모멘트 등의 외력에 대해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의 상측과 하측에 내설된 강봉(131x, 136x)은 프리캐스트 기둥(190)과 연결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제3고정블록(131) 및 제8고정블록(136)에 결합된다. 강봉(131x, 136x)은 고정 블록(131, 136)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도 있지만, 고정 블록(131, 136)에 형성된 암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제3고정블록(131)에는 제3관통공(131a)이 제2높이에 2군데 배치되어 제3결합구(193)와 연결 볼트(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되며, 제8고정블록(136)에도 제8관통공(136a)이 제7높이에 2군데 배치되어 제8결합구(198)와 연결 볼트(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3고정블록(131)과 제8고정블록(136)은 연결 강봉(135x)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 강봉(135x)이 제3프리캐스트 빔(130)의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것에 의해 제3고정블록(131)과 제8고정블록(136)이 제3프리캐스트 빔(130)에 위치 고정된다. 연결 강봉(135x)은 제3고정블록(131)과 제8고정블록(136)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나사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고정 블록(131, 136)의 관통공(131a, 136a)이 제3결합구(193) 및 제8결합구(198)의 설치 높이(제2높이 및 제7높이)와 일치시키면서, 단턱면(130s)이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두께만큼의 깊이(H)로 설치될 수 있도록, 제3고정 블록(131)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면(130S)으로부터 돌출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프리캐스트 빔(130)에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이 거치할 수 있는 단턱면(130s)이 형성됨에 따라, 프리캐스트 빔을 성형할 때에 복잡한 형상의 블록 아웃부를 미리 형성하지 않더라도, 연결 볼트(50)를 체결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이 넓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보다 쉽고 간단하게 연결 볼트(50)로 고정 블록(131, 136)을 결합구(193, 198)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프리캐스트 빔(130)을 프리캐스트 기둥(190)의 제3면(S3)에 연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3고정블록(131)과 제8고정블록(136)의 관통공(131a, 136a)을 관통 설치되는 연결 볼트(50)의 머리부를 충전제로 매립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4프리캐스트 빔(140)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시공 현장으로 운반된 것으로, 제3프리캐스트 빔(130)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단턱면(140s)의 깊이(즉, 빔(140)의 상면과 단턱면(140s)까지의 거리, H)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두께로 정해진다.
제4프리캐스트 빔(140)의 횡단면의 상측과 하측에 다수의 강봉(141x, 146x)이 내설되고 철근(미도시)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근되어 있어서, 휨 모멘트 등의 외력에 대해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의 상측과 하측에 내설된 강봉(141x, 146x)은 프리캐스트 기둥(190)과 연결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제4고정블록(141) 및 제9고정블록(146)에 결합된다. 강봉(141x, 146x)은 고정 블록(141, 146)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도 있지만, 고정 블록(141, 146)에 형성된 암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제4고정블록(141)에는 제4관통공(141a)이 제2높이에 2군데 배치되어 제4결합구(194)와 연결 볼트(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되며, 제9고정블록(146)에도 제9관통공(146a)이 제7높이에 2군데 배치되어 제9결합구(199)와 연결 볼트(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4고정블록(141)과 제9고정블록(146)은 연결 강봉(145x)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 강봉(145x)이 제4프리캐스트 빔(140)의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것에 의해 제4고정블록(141)과 제9고정블록(146)이 제4프리캐스트 빔(140)에 위치 고정된다. 연결 강봉(145x)은 제4고정블록(141)과 제9고정블록(146)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나사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고정 블록(141, 146)의 관통공(141a, 146a)이 제4결합구(194) 및 제9결합구(199)의 설치 높이(제2높이 및 제7높이)와 일치시키면서, 단턱면(140s)이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두께만큼의 깊이(H)로 설치될 수 있도록, 제4고정 블록(141)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면(140S)으로부터 돌출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프리캐스트 빔(140)에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이 거치할 수 있는 단턱면(140s)이 형성됨에 따라, 프리캐스트 빔을 성형할 때에 복잡한 형상의 블록 아웃부를 미리 형성하지 않더라도, 연결 볼트(50)를 체결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이 넓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보다 쉽고 간단하게 연결 볼트(50)로 고정 블록(141, 146)을 결합구(194, 199)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프리캐스트 빔(140)을 프리캐스트 기둥(190)의 제4면(S4)에 연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4고정블록(141)과 제9고정블록(146)의 관통공(141a, 146a)을 관통 설치되는 연결 볼트(50)의 머리부를 충전제로 매립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프리캐스트 빔(110-140)과 프리캐스트 기둥(190) 사이의 미세 간격은 연결 볼트(50)의 일부 이상을 감싸는 쉼 플레이트(shim plate, 60)를 빔(110-140)의 끝단과 기둥 측면(S1, S2,...) 사이에 개재시키는 것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기둥 및 프리캐스트 빔의 이음 구조(10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190)의 4개의 측면(S1, S2, S3, S4)에 서로 다른 높이에 결합구(191, 192; 193, 194; 196, 197; 198, 199)를 내설하고, 결합구(191-199)의 구멍에 정렬되는 높이로 프리캐스트 빔(110-140)의 고정 블록(111, 116, 121,...)의 관통공(111a, 116a, 121a,..)을 배치시키고, 연결 볼트(50)가 관통공(111a,....)을 관통한 상태로 결합구(191-199)에 체결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수평 평면 내에서 프리캐스트 빔(110-140)을 십자(十字) 형태로 신속하게 연결하여 보다 견고한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프리캐스트 빔(110-140)에 내설된 강봉(111x, 116x, 121x,....)은, 강재로 형성된 고정 블록(111, 121,...)과, 강재로 형성된 연결 볼트(50)와, 강재로 형성된 결합구(191-199)와, 결합구를 연결하는 강봉(190x)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프리캐스트 빔(110-140)에 과도한 하중이 집중하여 작용하더라도, 높은 저항 능력을 갖는 강재로 종방향으로 인접한 프리캐스트 빔들(110, 120, 130, 140) 사이에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되므로,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프리캐스트 빔(110, 120,...)에 내설된 강재에 의해 분산 지지하여 안정된 구조계를 구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제3프리캐스트 빔(130)과 제4프리캐스트 빔(140)의 상단 양측에 종방향을 따라 단턱면(130S, 140S)이 형성되어, 프리캐스트 빔(130, 140)과 프리캐스트 기둥(190)을 연결 볼트(50)로 체결하여 연결하는 데 필요한 블록 아웃 공간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더라도 연결 볼트의 체결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서 작업이 간편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제3프리캐스트 빔(130)과 제4프리캐스트 빔(140)의 상단 양측에 종방향을 따라 단턱면(130S, 140S)이 형성되고, 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프리캐스트 빔(110)과 제2프리캐스트 빔(120)에는 단턱면이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프리캐스트 빔(130, 140)의 상부에 정해진 두께의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일방향으로 거치하여 건축 구조물을 보다 쉽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게 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프리캐스트 빔과 기둥의 이음 구조(100)는 입체적인 격자 형태의 건축 구조물에 적용되어, 보다 짧은 시간에 견고하고 튼튼한 뼈대 구조를 신뢰성있고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효용 가치가 높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100')에 따르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기둥(190)의 제1면(S1), 제2면(S2)에 각각 제1프리캐스트 빔(110)과 제2프리캐스트 빔(120)이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결합하되, 프리캐스트 기둥(190)의 제3면(S3)에만 제3프리캐스트 빔(130)이 제3높이에서 연결 볼트(50)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수평 평면에서 T자 형태로 연결 설치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3프리캐스트 빔(130)과 제3면(S3)을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2개씩의 제3결합구(193) 및 제8결합구(198)가 프리캐스트 기둥(190) 내에서 확장된 단면으로 형성된 베어링 플레이트(190x')까지 강봉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3결합구(193) 및 제8결합구(198)에 결합되는 제3프리캐스트 빔(130)의 연결 볼트(50)는 콘크리트 기둥(190) 내의 콘크리트에 의해 강봉(190x)에 비하여 보다 확장된 단면의 베어링 플레이트(190x)가 제자리를 유지함에 따라, 프리캐스트 기둥(190) 내의 철근과 콘크리트에 의해 제3프리캐스트 빔(130)으로부터 결합구(193, 198)에 전달되는 힘을 지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프리캐스트 기둥과 빔의 이음 구조
110: 제1프리캐스트 빔
111: 제1고정블록 116: 제6고정블록
120: 제2프리캐스트 빔 121: 제2고정블록
126: 제7고정블록 130: 제3프리캐스트빔
130s: 단턱면 131: 제3고정블록
136: 제8고정블록 140: 제4프리캐스트 빔
140s: 단턱면 141: 제4고정블록
146: 제9고정블록 190: 프리캐스트 기둥
190x: 강봉 191: 제1결합구
192: 제2결합구 193: 제3결합구
194: 제4결합구 196: 제6결합구
197: 제7결합구 198: 제8결합구
199: 제9결합구
111: 제1고정블록 116: 제6고정블록
120: 제2프리캐스트 빔 121: 제2고정블록
126: 제7고정블록 130: 제3프리캐스트빔
130s: 단턱면 131: 제3고정블록
136: 제8고정블록 140: 제4프리캐스트 빔
140s: 단턱면 141: 제4고정블록
146: 제9고정블록 190: 프리캐스트 기둥
190x: 강봉 191: 제1결합구
192: 제2결합구 193: 제3결합구
194: 제4결합구 196: 제6결합구
197: 제7결합구 198: 제8결합구
199: 제9결합구
Claims (10)
-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서로 반대를 향하는 제1면과 제2면에는 제1높이에 제1결합구 및 제2결합구가 고정되고, 제3면에는 상기 제1높이와 높이차이가 있는 제3높이에 제3결합구가 고정된 프리캐스트 기둥과;
상기 제1결합구와 연통하는 제1관통공이 상기 제1높이에 형성된 제1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면에 고정되는 제1프리캐스트 빔과;
상기 제2결합구와 연통하는 제2관통공이 상기 제1높이에 형성된 제2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2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2면에 고정되는 제2프리캐스트 빔과;
상기 제3결합구와 연통하는 제3관통공이 상기 제3높이에 형성된 제3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3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3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3면에 고정되는 제3프리캐스트 빔을;
포함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기둥에 연결 볼트에 의해 3개의 프리캐스트 빔이 T자 형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빔과 프리캐스트 기둥의 이음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구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3결합구는 확장 단면으로 형성되는 베어링 플레이트까지 강봉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빔과 프리캐스트 기둥의 이음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기둥에는 상기 제3면과 반대를 향하는 제4면에는 상기 제3높이에 제4결합구가 고정되고;
상기 제4결합구와 연통하는 제4관통공이 상기 제3높이에 형성된 제4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4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4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4면에 고정되는 제4프리캐스트 빔을;
더 포함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기둥에 연결 볼트에 의해 4개의 프리캐스트 빔이 십자(十字) 형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빔과 프리캐스트 기둥의 이음 구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구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3결합구와 상기 제4결합구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빔과 프리캐스트 기둥의 이음 구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리캐스트 빔에는 상기 제1고정블록과 연결되고 종방향으로 강봉이 내설되고, 상기 제2프리캐스트 빔에는 상기 제2고정블록과 연결되고 종방향으로 강봉이 내설되며, 상기 제3프리캐스트 빔에는 상기 제3고정블록과 연결되고 종방향으로 강봉이 내설되고, 상기 제4프리캐스트 빔에는 상기 제4고정블록과 연결되고 종방향으로 강봉이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빔과 프리캐스트 기둥의 이음 구조.
- 제 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블록의 후방에는 연결 볼트의 체결을 위한 블록 아웃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블록 아웃 공간을 현장 타설하여 메우는 충전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빔과 프리캐스트 기둥의 이음 구조.
- 제 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프리캐스트 빔과 상기 제4프리캐스트 빔에는 상면에 바닥판을 거치시키는 단턱면이 빔의 종방향을 따라 양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빔과 프리캐스트 기둥의 이음 구조.
- 제 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블록과 상기 제1면의 사이와 상기 제2고정블록과 상기 제2면의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간격을 조절하는 심 플레이트(shim plate)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빔과 프리캐스트 기둥의 이음 구조.
- 제 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기둥에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에 상기 제1높이와 상기 제2높이에 대해 높이 편차가 있는 제6높이에 제6결합구 및 제7결합구가 고정되고, 상기 제3면과 상기 제4면에 상기 제1높이와 상기 제2높이와 제3높이에 대해 높이 편차가 있는 제8높이에 제8결합구 및 제9결합구가 고정되고;
상기 제1프리캐스트 빔에는 상기 제6결합구와 연통하는 제6관통공이 상기 제6높이에 형성된 제6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6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6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상기 제1면에 상기 제1프리캐스트 빔이 결합되고;
상기 제2프리캐스트 빔에는 상기 제7결합구와 연통하는 제7관통공이 상기 제6높이에 형성된 제7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7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7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상기 제2면에 상기 제2프리캐스트 빔이 결합되고;
상기 제3프리캐스트 빔에는 상기 제8결합구와 연통하는 제8관통공이 상기 제8높이에 형성된 제8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8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8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상기 제3면에 상기 제3프리캐스트 빔이 결합되고;
상기 제4프리캐스트 빔에는 상기 제9결합구와 연통하는 제9관통공이 상기 제8높이에 형성된 제9고정블록이 고정되어, 상기 제9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9결합구와 연결 볼트에 의해 상기 제4면에 상기 제4프리캐스트 빔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빔과 프리캐스트 기둥의 이음 구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블록과 상기 제6고정블록을 연결하는 연결강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빔과 프리캐스트 기둥의 이음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5587A KR20170094615A (ko) | 2016-02-11 | 2016-02-11 | 프리캐스트 기둥 및 프리캐스트 빔의 이음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5587A KR20170094615A (ko) | 2016-02-11 | 2016-02-11 | 프리캐스트 기둥 및 프리캐스트 빔의 이음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4615A true KR20170094615A (ko) | 2017-08-21 |
Family
ID=5975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5587A KR20170094615A (ko) | 2016-02-11 | 2016-02-11 | 프리캐스트 기둥 및 프리캐스트 빔의 이음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94615A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62349A (zh) * | 2018-10-25 | 2019-01-08 | 安徽建筑大学 | 一种h型钢可替换装配式连接节点 |
CN109162354A (zh) * | 2018-10-25 | 2019-01-08 | 安徽建筑大学 | 一种双牛腿的装配式连接节点 |
KR20190022132A (ko) * | 2017-08-25 | 2019-03-06 | (주)까뮤이앤씨 | 각형강관과 합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활용한 pc 탑다운공법 |
CN109853728A (zh) * | 2019-03-29 | 2019-06-07 | 安徽建筑大学 | 一种装配式建筑干式梁柱连接节点 |
CN110145023A (zh) * | 2019-06-25 | 2019-08-20 | 安徽建筑大学 | 一种预制装配式混凝土矩形梁柱连接节点 |
CN110173044A (zh) * | 2019-07-03 | 2019-08-27 | 安徽建筑大学 | 一种采用高强度螺栓连接的混凝土梁柱连接节点 |
CN110173043A (zh) * | 2019-07-03 | 2019-08-27 | 安徽建筑大学 | 一种采用高强度螺栓装配的梁柱连接节点 |
CN113700139A (zh) * | 2021-09-05 | 2021-11-26 | 中建八局第四建设有限公司 | 一种预制装配式螺栓连接构造柱圈梁及施工方法 |
-
2016
- 2016-02-11 KR KR1020160015587A patent/KR2017009461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2132A (ko) * | 2017-08-25 | 2019-03-06 | (주)까뮤이앤씨 | 각형강관과 합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활용한 pc 탑다운공법 |
CN109162349A (zh) * | 2018-10-25 | 2019-01-08 | 安徽建筑大学 | 一种h型钢可替换装配式连接节点 |
CN109162354A (zh) * | 2018-10-25 | 2019-01-08 | 安徽建筑大学 | 一种双牛腿的装配式连接节点 |
CN109853728A (zh) * | 2019-03-29 | 2019-06-07 | 安徽建筑大学 | 一种装配式建筑干式梁柱连接节点 |
CN110145023A (zh) * | 2019-06-25 | 2019-08-20 | 安徽建筑大学 | 一种预制装配式混凝土矩形梁柱连接节点 |
CN110173044A (zh) * | 2019-07-03 | 2019-08-27 | 安徽建筑大学 | 一种采用高强度螺栓连接的混凝土梁柱连接节点 |
CN110173043A (zh) * | 2019-07-03 | 2019-08-27 | 安徽建筑大学 | 一种采用高强度螺栓装配的梁柱连接节点 |
CN113700139A (zh) * | 2021-09-05 | 2021-11-26 | 中建八局第四建设有限公司 | 一种预制装配式螺栓连接构造柱圈梁及施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94615A (ko) | 프리캐스트 기둥 및 프리캐스트 빔의 이음 구조 | |
US10260225B2 (en) | Precast concrete member with prefabricated plate and fixing channels | |
KR101937680B1 (ko) | 구조적 강성이 보강된 조립식 pc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479613B1 (ko) | 박스형 연결보를 이용하여 바닥판 이음부를 형성하는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연결 방법 | |
KR101225661B1 (ko) |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 |
KR101420203B1 (ko) | 건축용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 |
KR20020011706A (ko) | 조립식 교각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 |
KR102120884B1 (ko) | Rc 벽체와 합성보 간 접합구조가 개선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463106B1 (ko) | 건축용 pc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 |
CN111877752A (zh) | 一种建筑模板的加固系统及其施工方法 | |
JP3896032B2 (ja) | プレキャスト柱頭部及び橋脚柱頭部の施工方法 | |
KR200233313Y1 (ko) | 에이치-파일의 볼트체결식 두부보강구조 | |
KR20070027432A (ko) |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 |
CN114215179B (zh) | 钢梁楼板体系与钢框墙板体系的中柱节点湿式施工方法 | |
KR100860592B1 (ko) | Pc블럭 적층시공용 가설구조 | |
KR102330481B1 (ko) | 분절된 pc 격자보를 이용한 반도체 공장 구조물 | |
JP7339865B2 (ja) | 壁パネルの建て込み方法 | |
JP2004263507A (ja) | 建物の基礎工法及び建築用基礎構造物 | |
KR20010090294A (ko) | 공동주택에 적용되어 가변형 평면을 가능하게 하는 피시구조 | |
KR101591224B1 (ko) | 조립식 플레이트와 정착 채널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 |
KR100626326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 |
JP3909488B2 (ja) |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JP7479228B2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 |
KR101685632B1 (ko) | 강도와 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단 접합부 | |
JP2005054493A (ja) | プレキャスト組立暗渠ブロック工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