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3711A - 스패츠 세트 - Google Patents

스패츠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3711A
KR20170093711A KR1020170012137A KR20170012137A KR20170093711A KR 20170093711 A KR20170093711 A KR 20170093711A KR 1020170012137 A KR1020170012137 A KR 1020170012137A KR 20170012137 A KR20170012137 A KR 20170012137A KR 20170093711 A KR20170093711 A KR 20170093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lid
shoe
present
w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종훈
방미경
Original Assignee
방종훈
방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종훈, 방미경 filed Critical 방종훈
Publication of KR2017009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발목 착용부와 발목 착용부의 외부 둘레에 배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스패츠 세트가 제공된다. 발목 착용부와 덮개부는 원사를 서로 연결된 다수개의 루프로 형성하는 원형 편직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원형 편직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목 착용부와 덮개부는 다른 제2루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제1루프의 다수개가 종방향으로 연결된 신장루프선이 둘레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된다. 덮개부는 또한 발목 착용부와 별개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를 신발에 부착하는 홀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덮개부가 안정적으로 덮는 자세를 유지한다.

Description

스패츠 세트{SPATS SET}
본 발명은 스패츠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양말 또는 발목 착용부와 신발 속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스패츠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패츠(spats)는 발과 다리를 보호하는 도구로서 신발의 발목 부분을 커버하는 형태나 발목부분을 커버하면서 무릎 아래까지에 이르는 형태와 다양한 형태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스패츠는 신발위 발목 부분를 커버하면서 보온하고 이물질이나 물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운동선수들이나 등산과 같은 야외활동에서 많이 사용되며, 이러한 일반적인 스패츠는 신발 위에 착용한다.
그런가 하면, 양말은 발에 착용하도록 섬유로 편직한 편직물로서, 발을 보호하거나 보온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양말은 또한 땀을 흡수하거나 배출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부활동을 할 때에는 늘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사람들이 항상 착용하는 일반 양말이 있는가 하면, 운동 경기, 등산, 작업 등과 같이 특수한 활동에 적합하도록 제조되는 양말도 있다. 이들 특수한 양말은 통상적으로 목이 길고 두께가 두꺼운 형태를 가진다. 그럼으로써 발을 더 보호할 수 있고 금방 헤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바지의 아랫단 집어넣어 단속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특수한 양말들 조차도 신발 속으로 흙과 같은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은 갖추지 못하고 있었다. 운동경기, 등산, 작업 등과 같은 경우에는 흙이나 오물이 신발 속으로 많이 투입되지만 종래의 일반적인 양말이나 특수 양말은 공히 그를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는 기능이 없었던 것이다.
양말과 스패츠 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공개특허 1998-028074호와 공개실용 1999-0036056호와 같이 덮개가 달린 양말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덮개 양말(100)들은,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부(120) 또는 커버부가 양말 본체(110)에 달려 있는 형태로서 활동이 지속되는 동안 점차 덮개부(120)가 밀려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덮개가 정위치에 있지 못하고 위로 말려서 올라가면, 도 1b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신발(B) 상단부와 발 사이가 노출되어 오물이나 흙이 유입을 방지하는 제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 착용자는 자주 매만져서 바로잡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하여야 한다.
덮개부(120)가 이렇게 말려 올라가는 이유는 덮개부(120)가 발목보다 둘레가 넓은 발등 상부까지 덮어야 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현재 양말의 제조는 원형 편직기를 이용한 대량 생산 방식이기 때문에 덮개부(120)라고 할지라도 편직기로 편직을 할 때는 일반적으로 발목 부위와 둘레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게 제작될 수밖에 없다는데 근본 원인이 있다. 나아가, 상술한 종래의 덮개 양말들은 끄집어 내려서 아무런 조치없이 발등 상부 부위에 위치시키는 단순한 방식이기 때문에, 말려 올라가는 현상을 전혀 방지할 수 없다.
이렇게 덮개부(120)가 말려 올라가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덮개부(120)를 양말 본체(110)와는 별도로 제작하여 양말 본체(110)에 부착하는 방식은 생산 과정이 복잡해져서 제조 원가가 대폭 상승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국 공개특허 1998-028074 한국 공개실용 1999-003605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발목 착용부와 덮개부가 모두 편직으로 제조된 스패츠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덮개부가 상대적으로 훨씬 더 신축되도록 편직됨으로써 안정적으로 덮는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스패츠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홀딩수단을 구비하여 덮개부가 덮는 자세에서 이탈되지 않는 스패츠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발목 착용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덮개부를 구비하는 스패츠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덮개부가 상대적으로 두터워서 신발 속으로 이물질이나 물기가 침투하는 것을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는 스패츠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패츠 세트를 제공하며, 이는: 적어도 발목이 삽입 착용되는 발목 착용부; 및 상기 발목 착용부의 외부 둘레에 배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목 착용부는 양말 또는 발목에 압박력을 가하는 발목 보호대일 수 있다.
상기 발목 착용부와 상기 덮개부는 원사를 서로 연결된 다수개의 루프로 형성하는 원형 편직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상기 덮개부는 다른 제2루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제1루프의 다수개가 종방향으로 연결된 신장루프선이 둘레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신장루프선은 둘레방향으로 주기적인 간격으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발목 착용부의 외부 둘레에 연결되어 편직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발목 착용부과 별개로 이루어지고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발목 착용부에 결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발목 착용부는 외부 둘레에 연장 형성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연장부와 상기 덮개부에 대응짝이 나뉘어 형성된 하나이상의 스냅단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방수천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덮개부가 덮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신발에 부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홀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홀딩수단 각각은 신발에 고정되는 후크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후크요소에 걸려서 덮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후크요소는 적어도 하나는 신발의 뒤축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홀딩수단은 벨크로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홀딩수단은 일측이 신발의 바닥부위에 걸리고 타측이 신발의 뒤축부위에 걸릴 수 있는 단일 밴드를 포함하여, 상기 덮개부가 덮는 자세일 때 상기 뒤축부위에 걸린 상기 타측이 해당부위의 덮개부를 신발에 눌러서 상기 덮개부를 홀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홀딩수단은 일측이 신발의 바닥부위에 걸리고 타측이 신발의 뒤축부위에 걸릴 수 있는 제1밴드부와 상기 제1밴드부에 양단이 연결된 제2밴드부를 포함하여, 상기 덮개부가 덮는 자세일 때 적어도 상기 뒤축부위에 걸린 상기 제1밴드부의 타측이 상기 덮개부의 해당부위를 신발에 눌러서 홀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밴드부는 상기 덮개부가 덮는 자세일 때 상기 제2밴드부가 발등부위에 위치하여 해당부위의 덮개부를 신발에 눌러서 홀딩할 수 있다.
상기 덮개 양말의 덮개부는 덮는 자세에서의 적어도 뒤축에 해당하는 부위의 안쪽에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 밴드의 타측 또는 상기 제1밴드부의 타측이 상기 덮개부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발목 착용부의 둘레에 상기 발목 착용부 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형태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발목 착용부와 연결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종단면이 O링의 형태를 가지도록 편직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발목 착용부는 양말이고, 상기 덮개부 아래쪽의 발등 부위에는 상대적으로 촘촘하게 편직된 부위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양말은 덧신 형태일 수 있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덧신의 탑라인 부위에 배치되는 제1 O링부와 제2 O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패츠 세트가 제공된다. 이러한 스패츠 세트는 편직 과정을 통해 양말 본체와 덮개부가 모두 제조되는 덮개 양말형일 수 있다. 이러한 덮개 양말형 스패츠 세트는 덮개부가 양말 본체보다 더 신축되도록 편직됨으로써 둘레가 상대적으로 더 넓은 발등 상부 부위에서 안정적으로 덮는 자세를 유지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패츠 세트는덮개부가 홀딩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말려 올라가는 현상을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직 방식으로 양말 본체와 덮개부를 모두 편직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착용자는 덮개부가 안정적으로 덮는 자세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활동에 아무런 제약 없이 심리적인 안정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덮개 양말은 신발끈 등을 덮개부 내로 단속할 수 있기 때문에 노출된 신발끈이 다른 신발의 고리나 타 물체에 걸림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불상사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O링 형태로 양말 또는 발목 착용부의 둘레에 연결 형성되는 덮개부를 제공한다. 이러한 O링 형태는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짐으로써 운동화나 등산화 같은 신발의 탑(TOP)라인 부위에 덮개부가 위치되면서 신발 속으로 이물질이나 물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눈에 잘 띄지 않기 때문에 평상시에도 부담없이 착용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덮개 양말을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의 착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의 스패츠 세트에 구비되는 덮개부의 편직 조직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홀딩수단의 일예를 포함하는 제1실시예의 스패츠 세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홀딩수단의 다른 예를 포함하는 제1실시예의 스패츠 세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홀딩수단의 또 다른 예를 포함하는 제1실시예의 스패츠 세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홀딩수단의 또 다른 예를 포함하는 제1실시예의 스패츠 세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스패츠 세트에 채용되는 홀딩수단의 또 다른 예로서 밴딩형 홀딩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밴딩형 홀딩 수단을 포함하는 제1실시예의 스패츠 세트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밴딩형 홀딩 수단을 포함하는 제1실시예의 스패츠 세트의 다른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로서 양말을 포함하는 스패츠 세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로서 발목 보호대를 포함하는 스패츠 세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를 착용한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b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 및 16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b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의 다른 예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간략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발등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부를 구비하는 스패츠 세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스패츠 세트는 덮개부가 양말이나 발목 보호대와 같은 발목 착용부에 연결되어 적어도 발등 상부 부위를 덮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발등 상부 부위를 덮는 자세일 경우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는 신발과 발 사이의 틈새를 덮게 된다. 그럼으로써 그 틈 사이로 흙이나 오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스패츠 세트의 일예는 덮개부가 상대적으로 훨씬 더 신축되도록 편직됨으로써 덮는 자세에서 말려 올라가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발목 착용부의 편직 시에 함께 편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발목 착용부와 덮개부가 별개로 구비되는 스패츠 세트의 다른 예들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발목 착용부와 덮개부가 별개로 제공될 때, 그들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부는 방수천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O링 형태의 덮개부를 가지는 스패츠 세트를 제공한다. O링 형태의 덮개부는 양말 또는 발목 착용부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신발의 탑라인에 위치하여 신발 속으로 이물질이나 물기가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여기에서 "스패츠 세트"는 양말이나 발목 보호대와 같이 발목에 착용하는 발목 착용부와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발목 착용부와 덮개부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스패츠 세트의 예들은 착용시 덮개부의 덮는 자세(또는 착용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홀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200)의 착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200)는 발목 착용부(210)와 발목 착용부(210)의 바깥 둘레로부터 연결되어 연장 형성된 덮개부(220)를 포함한다. 참고적으로,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200)의 발목 착용부(210)는 도시한 예에서와 같이 양말일 수 있고,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발목 보호대일 수도 있다.
도 2a는 덮개부(220)가 위로 올려진 상태이고, 도 2b는 아래로 내려진 상태이다. 도 2b의 상태가 '덮는 자세'가 되는 것으로서, 도 3과 같이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신발(B)의 입구인 탑라인(top line)을 덮어서 가리게 된다. 그럼으로써 착용자의 발과 신발(B) 사이의 틈이 가려져서 흙과 같은 이물 및 물기가 신발 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제1실시예의 스패츠 세트(200)는 발목 착용부(210)와 덮개부(220)는 원형 편직기를 이용하여 편직으로 연결되어 제조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스패츠 세트에 구비되는 발목 착용부 및 덮개부의 편직 패턴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원형편직기의 주요부분들에 관한 도면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200)의 덮개부(220)는 도 4a에서 도시한 편직 패턴과 같이, 다른 제2루프(S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제1루프(S1)의 다수개가 종방향으로 연결된 신장루프선(SL)이 둘레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되는 편직 패턴을 가진다. 그럼으로써 덮개부(220)는 발목 착용부(210)와 함께 동일한 원형 편직기에서 편직되더라도 상술한 제1루프(S1)들이 종방향으로 연결된 신장루프선(SL)에 의해 발목 착용부(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더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덮개 양말에 비해 말려 올라가는 현상이 현저하게 억제된다. 이하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제2루프(S2)가 종방향으로 연결된 루프선은 비신장루프선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신장루프선(SL)들은 바람직하게는 둘레방향으로 주기적인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발등 부위를 덮는 부위에는 더 넓은 간격으로 배치되고, 뒤축을 덮는 부위에는 신장루프선(SL)들이 더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거나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등 부위를 덮는 부위는 횡방향(둘레방향)으로 제1루프(S1)들의 사이에 1개 이상의 제2루프(S2)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고, 반면에 뒤축을 덮는 부위는 제1루프(S1)들이 없거나, 제1루프(S1)들이 2개 이상의 제2루프(S2)를 사이에 두고 주기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200)는 신발(B)을 착용한 상태에서 덮개부(220)를 아래로 끄집어 내려서 적어도 신발의 탑라인(top line)을 덮을 수 있는 위치까지 이르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 여기서는 '덮는 자세'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덮는 자세에서 덮개부(220)는 신발 입구를 가리게 된다. 참고적으로, 여기서 말하는 신발의 탑라인은 착용 시에 복사뼈를 노출시키는 통상적인 구두나 운동화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패츠 세트(200)를 편직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200)의 덮개부(220)에 적용되는 편직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위에서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200)의 채용되는 덮개부(220)의 일례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판사(Y1)와 일반원사(Y2)를 포함할 수 있는 원사를 이용하여 원형 편직기를 통해 편직된다. 편직 패턴은 일반 루프인 제2루프(S2)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루프인 제1루프(S1)가 종방향으로 연결된 신장루프선(SL)이 2개의 제2루프(S2)를 사이에 두고 둘레방향으로 배치된다. 도시한 편직 패턴은 일예에 해당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부(220)의 편직 패턴은 신장루프선(SL)이 제2루프(S2)이 종방향으로 연결된 비신장루프선들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편직 패턴의 다른 예는 3개의 비신장루프선을 사이에 두고 신장루프선(SL)이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는 신장루프선(SL)은 발등 부위를 덮는 부위에만 배치되고, 뒤축을 덮는 부위에는 신장루프선(SL)이 없는 형태도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의 덮개부(220)의 편직 패턴은 신장루프선(SL)을 포함하되 발등 부위를 덮는 부위에 배치되는 신장루프선(SL)의 수가 뒤축 부위를 덮는 부위와 같거나 더 많이 배치되는 것들을 포함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스패츠 세트를 편직하는데 이용되는 원형 편직기의 주요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도 4b의 실린더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d는 도 4b 및 도 4c에서의 싱커와 니들을 도시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200)의 덮개부(220)의 편직 패턴의 일례에 적용되는 싱커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적으로, 여기에서 설명되는 원형 편직기는 제1실시예와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2실시예의 발목 착용부(210, 310)인 양말이나 발목 보호대를 편직하는데 공통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의 스패츠 세트(200)에 채용되는 덮개부(220) 뿐만 아니라 제2실시예의 스패츠 세트(300)에 채용되는 덮개부(320)의 경우에도 편직으로 형성할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스패츠 세트를 편직하는데 이용되는 원형 편직 장치의 주요부분만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실린더(1), 니들(2), 싱커(3), 및 싱커캠부(5)를 보여준다.
원통형 드럼 또는 실린더(1)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편직 동작 시에 모터와 같은 회전동력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1)는 내부드럼(11)과 외부드럼(1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사이에 다수개의 니들(2)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니들(2)은 도 4c 및 도 4d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위에 원사를 걸 수 있도록 고리부(21)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위(또는 중간부위)에 돌출부 또는 니들버트(22: needle butt)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니들버트(22)는 니들캠부(4)에 의해 제공되는 그루브(groove) 형태의 니들안내홈(41)에 삽입됨으로써 실린더(1)가 회전할 때 정해진 위치에서 정해진 높이로 상승하였다가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니들(2)이 니들캠부(4)에 의해 정해진 높이로 상승하였다가 공급되는 원사(Y1, Y2)를 고리부(21)에 걸고 내려오면서 도 4a와 같은 제1루프(S1)과 제2루프(S2)를 포함하는 패턴으로 연속적인 루프를 횡방향(둘레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편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계속적으로 둘레방향으로 루프들을 형성해 나가면 제1루프(S1)들은 제1루프(S1)들끼리 종방향으로 연결되고, 제2루프(S2)들은 제2루프(S2)들끼리 종방향으로 연결된다. 그러한 결과로서 신장루프선(SL)과 비신장루프선이 형성되며, 본 발명의 스패츠 세트(200)의 덮개부(220) 일례의 편직 패턴에 적용되는 싱커의 배열이 도 4e에 도시되었다.
한편, 도 4b와 같이, 실린더(1)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싱커슬릿(13)이 형성되어 있고, 각 싱커슬릿(13)에는 싱커(3)가 삽입된다. 싱커(3)는 해당 싱커슬릿(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진이 가능한 상태에 있다.
결국 각 니들(2)들이 싱커(3)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편직 동작 시에 원사(Y1, Y2)가 싱커(3)들에 지지된 상태에서 니들(2)이 그 사이로 순차로 상승하여 원사(Y1, Y2)를 끌어내리면서 루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200)의 덮개부(220)의 편직 패턴은 도 4c와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b)의 롱싱커(3a)와 좌측 (a)의 숏싱커(3b)를 포함하며, 그 차이는 후단에 형성된 싱커버트(35a, 35b)의 높이에 있다.
싱커(3a, 3b) 각각은 선단부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니브(31~34: nib)를 가진다. 이들 니브(31~34)에 의해 그 사이에는 각각 홈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는 이러한 홈에 원사가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니들(2)이 끌어 내려서 루프를 형성하지만, 본 발명의 제1루프(S1)를 형성할 때에는 스판사(Y1)와 일반 원사(Y2)를 포함하는 원사가 상단 리브(31) 위에 지지된 상태에서 니들(2)에 의해 끌어 내려진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원사가 지지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큰 제1루프(S1)가 형성되는 것이다.
싱커(3a, 3b)의 후단부위에 싱커버트(35a, 35b: sinker butt)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싱커버트(35a, 35b)는 각각 높이(또는 크기)가 다를 수 있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싱커(3a, 3b)는 2종류의 높이를 가진다. 따라서, 싱커(3a)는 상대적으로 높은 싱커버트(35a)를 가지고, 싱커(3b)는 상대적으로 낮은 싱커버트(35b)를 가진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싱커(3)를 롱싱커(3a)와 숏싱커(3b)로 칭할 수도 있다.
제2루프(S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스판사(Y1)와 일반 원사(Y2)를 최상단 니브(31)와 그 바로 아래 리브(32) 사이에 위치시키고, 제1루프(S1)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스판사(Y1)와 일반 원사(Y2)를 최상단 니브(31) 위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는 롱싱커(3a)를 숏싱커(3b) 보다 안쪽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제1루프(S1)을 규칙적인 간격으로 형성하게 되면, 편직물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제1루프(S1)가 연결된 신장루프선(SL)이 규칙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신장루프선(SL)에 의해 다른 부위에 비해 훨씬 더 많이 이완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200)의 덮개부(220)의 편직 패턴의 일례는 원사의 지지 위치를 낮은 위치의 지지 2회 마다 높은 위치 지지 1회가 되도록 한다. 즉, '롱싱커-숏싱커-숏싱커-롱싱커'의 배열로서 구현될 수 있고, 이는 롱싱커(3a) 대 숏싱커(3b)의 비율이 1:2, 1:1 또는 1:3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20)에서 신장루프선(SL)을 발등 부위를 덮는 부위에만 형성할 경우에는 1:2의 비율이 경우, '롱싱커-숏싱커-숏싱커-롱싱커'의 배열이 발등 부위를 편직하는 영역의 싱커들에만 해당 배열을 적용하고, 뒤축 부위를 포함하는 나머지 영역에는 숏싱커들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신장루프선(SL)들 사이에 비신장루프선을 3개 배치할 때에는 '롱싱커-숏싱커-숏싱커-숏싱커-롱싱커'이 배열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200)는 원형 편직기를 이용하여 발목 착용부(210)와 덮개부(220)가 편직되며 적어도 덮개부(220)가 발목 착용부(210)보다 훨씬 더 신장력이 좋도록 하는 편직 패턴으로 편직됨으로써 기존의 덮개 양말보다 덮개부(220)가 말려 올라가는 현상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200)은 덮개부(220)의 편직 패턴으로서 다양한 예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편직 패턴의 예들은 신발의 형상이나 용도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홀딩수단>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스패츠 세트에 채용되는 홀딩수단 및 그 사용예를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홀딩수단은 본 발명의 상술한 제1실시예의 스패츠 세트(200)은 물론 후술되는 제2스패츠 세트(300) 에 채용되어 덮개부(220, 320)를 '덮는 자세'로 고정할 수 있는 수단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의 스패츠 세트(200)에 채용된 예를 들어 홀딩수단을 설명하기로 한다.
홀딩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덮개부(220)를 신발(B)에 홀딩시키며, 스패츠 세트(200)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200)에 채용되는 홀딩수단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는 덮개부(220)가 상부로 올려진 상태이며, 홀딩수단의 일예로서 신발에 고정된 후크요소(231)를 보여준다. 이러한 후크요소(231)는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지만, 도시한 예에서는 신발(B)의 뒤축에 배치된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후크요소(231)는 덮개부(220)를 안쪽에서 걸어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220)가 덮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후크요소(231)가 걸리는 대응짝은 덮개부(220) 자체일 수도 있고, 덮개부(220)에 있어서 그 대응 부위에 고리요소가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다.
후크요소(231)는 신발(B)에 접착제 또는 다른 접착수단에 의해 신발에 접착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스패츠 세트(200, 300)에 채용되는 홀딩수단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홀딩수단의 다른 예는 벨크로테이프(232)를 포함한다. 홀딩수단으로 채용되는 벨크로테이프(232)는 테이프의 1면 요소(2321)가 신발에 부착되고, 테이프의 2면 요소(2322)가 덮개부(220)에 부착되는 방식일 수 있다. 여기서도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예에서와 같이 벨크로테이프(232)가 신발(B)의 뒤축 부위에 배치될 수 있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신발의 양측면에 각각 테이프의 1면 요소를 부착하고 그에 대응하는 덮개부(220)의 부위인 양측면의 안쪽에 각각 테이프의 2면 요소를 부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테이프의 1면 요소와 2면 요소는 각각 갈고리 모양의 돌기가 형성된 면과 올가미가 형성된 면을 말한다.
도 5a와 5b에 도시된 홀딩수단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착용상태를 보여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패츠 세트에 채용되는 또 다른 예의 홀딩수단을 보여준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홀딩수단의 또 다른 예는 끈요소(233)를 이용하는 것이다. 끈요소(233)는 덮개부(220)의 양측면에 양단부가 접합 또는 부착, 또는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신발(B)의 밑바닥에 걸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끈요소(233)는 탄성을 가지는 것이나 탄성을 갖지 않는 것이나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끈요소(233)의 양단부를 덮개부(220)에 접합 또는 부착하는 방식에는 특별한 제약이 있는 것은 아니나, 양단부가 모두 덮개부(220)의 양측면에 모두 봉제로 결합될 수 있다. 끈요소(233)를 덮개부(220)의 양측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는 방식의 예는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거나 스탭단추 또는 자석단추와 같은 단추결합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르게는, 덮개부(220)의 일측면에 끈요소(233)의 일단부가 봉제로 결합되고 덮개부(220)의 타측면과 끈요소(233)의 타단부는 벨크로테이프, 결합단추, 고리 등의 결합과 해제가 가능한 결합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스패츠 세트에 채용되는 또 다른 예의 홀딩수단으로서 밴딩형 홀딩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밴딩형 홀딩수단을 채용한 덮개 양말 세트의 사용예를 보여준다.
도 7a 내지 도 9b에 도시된 홀딩수단의 또 다른 예는 밴드형이다. 즉, 밴드형 홀딩수단은 도 7a, 8a, 및 8b의 단일 밴드(234)의 예와, 도 7b, 9a, 및 9b의 복합 밴드(235)의 예가 있을 수 있다.
단일 밴드(234)는 하나의 링 형태로서는 이음새가 있거나 없는 형태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복합 밴드(235)는 단일 밴드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제1밴드부(2351) 및 제1밴드부(2351)에 양단부가 연결된 제2밴드부(23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2밴드부(2351)의 양단부는 제1밴드부(2351)의 몸통을 감싸면서 연결되어 제1밴드부(2351) 몸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채용된 단일 밴드(234) 홀딩수단의 사용예를 보여주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채용된 복합 밴드(235) 홀딩수단의 사용예를 보여준다.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밴드(234)는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고 덮개부(220)를 덮는 자세로 취한 상태에서 단일 밴드(234)를 이용하여 덮개부(220)의 덮는 자세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단일 밴드(234)는 일측이 신발의 바닥 부위에 걸리고 타측은 뒤축 부위의 덮개부(220) 상에 걸리는 형태가 됨으로써 덮개부(220)를 신발(B)로 눌러서 덮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단일 밴드(234) 홀딩수단이 채용될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양말의 덮개부(220)의 덮는 자세에서의 안쪽에 걸림부(221)가 배치될 수 있다. 걸림부(221)의 일예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을 향하는 태그 형태일 수 있다. 단일 밴드(234)가 이러한 태그형 걸림부(221)에 걸린 상태가 되기 때문에 더욱 확실하게 덮개부(220)가 덮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a와 도 9b는 복합 밴드(235)의 사용예를 보여준다. 복합 밴드(235)는 제1밴드부(2351)는 상술한 단일 밴드(234)와 같이 일측이 신발 바닥 부위에 걸리고 타측은 뒤축 부위의 덮개부(220) 상에 걸리는 형태가 되어 덮개부(220)를 눌러서 덮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에 더해, 복합 밴드(235)는 제2밴드부(2351)가 덮개부(220)의 발등 부위 상에 놓여져서 덮개부(220)의 뒤축 부위는 물론 발등 부위까지 눌러서 잡아주게 된다. 복합 밴드(235)가 채용될 경우에는 덮개 양말 덮개부(220)의 덮는 자세에서의 안쪽 뒤축 부위에는 상방향을 향하는 걸림부(221)가 형성되어 제1밴드부(2351)가 걸려서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걸림부(221)는 상술한 단일 밴드에서의 걸림부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발등 부위를 덮는 덮개부(220) 부위의 안쪽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걸림부가 배치되어 제2밴드부(2351)가 덮개부(220)를 압박하는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걸림부(221)의 도시된 예는 태그형이지만, 그 외에도 단추 등 밴드가 걸릴 수 있는 다른 모든 형태가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밴드형 홀딩수단은 사용자가 신발과 덮개 양말을 벗은 상태에서 신발의 바닥 부위와 뒤축 부위에 양측이 걸린 상태에서 벗겨지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등산화나 운동화와 같이 덮개 양말이 적용되는 신발에 그대로 두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스패츠 세트(200) 및 홀딩수단은 덮개부(220)가 안정적으로 덮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운동, 등산, 작업 등과 같은 활동 중에 이물이 신발 속으로 전혀 유입되지 않게 된다. 나아가, 덮개부(220)가 기존과 같이 말려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는 심리적으로 편안한 상태에서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3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로서 양말을 포함하는 스패츠 세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로서 발목 보호대를 포함하는 스패츠 세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1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300)는 발목 착용부(310)와 덮개부(320)가 별개체로 제조된 것이다. 덮개부(320)는 발목 착용부(310)의 외부 둘레에 결합수단(330)을 통해 결합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300)의 발목 착용부(310)는 양말(도 10a 내지 10c 참조) 또는 발목 보호대(도 11a 내지 11c 참조)일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은 원형편직기를 통해 편직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1a 내지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발목 보호대의 경우는 양말에 비해 더 강한 압박력을 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발목 착용부(310)는 또한 외부 둘레에 연장 형성된 연장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연장부(340)에 결합수단(330) 또는 결합수단(330)의 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수단(330)은 스냅단추형일 수 있고, 스냅단추의 대응짝 중 하나(330a)가 연장부(340)에 설치되고 다른 나머지 하나(330b)가 덮개부(320)의 대응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을 위해 결합될 수 있다.
연장부(340)는, 도 10a 내지 도 11c에 도시한 예에서와 같이, 발목 착용부(310)의 외둘레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거나, 전면 부위나 후면 부위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방식도 가능하다.
도시한 예와 같이 연장부(340)를 위로 올린 상태(도 10b, 도 11b)에서 결합수단(330)인 스탭단추(330a, 330b)들을 채우고, 다시 연장부(340)를 아래로 내리면 도 10a 및 도 11b와 같은 착용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덮개부(320)의 뒤쪽(양단부)를 결합하기 위한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결합수단(3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300)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300)는 발목 착용부(310)와 별개체로 구비되기 때문에, 필요할 때 발목 착용부(310)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는 발목 착용부(310)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300)는 필요에 따라서 덮개부(320)를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산행이나 운동 중에 젖거나 오물이 과다하게 묻은 경우에 다른 덮개부(320)로 바꿀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300)에 채용되는 덮개부(320)는 방수 기능을 포함하는 소재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스패츠 세트(300)의 덮개부(320)를 신발(B)에 고정하기 위한 홀딩수단도 제2실시예에서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홀딩수단은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덮개부(320)를 덮는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실시예의 스패츠 세트(300)에 채용되는 덮개부(320) 역시 상술한 원형편직기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실시예에 채용되는 덮개부(320)와 마찬가지로 제2루프보다 상대적으로 큰 제1루프가 다수개 연결되어 형성된 신장루프선이 다수개의 배열되어 덮개부(320)가 원형편직으로 제조되어도 좋은 신장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b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4에서는 일부분만을 단면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400)는 양말 또는 발목 착용부(410)과 O링 형태로 발목 착용부(410)의 둘레에 배치되는 덮개부(420)를 포함한다.
O링 형태의 덮개부(420)는 발목 착용부(4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짐으로써 신발 속으로 이물질이나 물기가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덮개부(420)는 발목 착용부(410)와 연결되어 편직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O링 형태는 종단면의 형상을 말하며, 이 경우 내부가 빈 형태이거나 그렇지 않은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O링 형태의 덮개부(420)는 운동화, 등산화, 작업화 등과 같이 탑라인이 복숭아뼈 아래에 위치하는 종류의 신발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를테면, 이러한 신발에서는 덮개부(322)가 신발의 탑라인의 약간 위쪽에 놓여지게 되어 신발과 발목 착용부(310) 사이의 틈을 완벽하게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눈에 잘 띄지 않기 때문에 평시에도 부담없이 착용할 수 있다. 나아가, 발목 착용부(420)가 양말일 경우에 양말이 신발 안쪽에서 벗겨지거나 밀려 내려가는 현상을 억제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O링 형태의 덮개부(420)는 발목 착용부(410)와 일체로 편직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부(420)의 바로 아래쪽 발등 부위에는 상대적으로 더 촘촘하게 편직된 부위(C)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해당 부위가 촘촘하게 편직되어 덮개부(420)의 앞쪽 부위를 당겨주는 효과가 있고, 그럼으로써 착용 시 앞쪽과 뒤쪽이 밸런스가 잘 잡히게 된다. 즉, 양말(발목 착용부(410))와 O링형 덮개부(420)를 동시에 편직하는 경우, 덮개부(420)의 존재 때문에 일반적인 방식으로 편직을 하게 되면, 덮개부(420)가 있는 양말의 앞부분이 당겨지는데 일반 양말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두꺼운 덮개부(420)가 있기 때문에 덮개부(420)가 위쪽으로 당겨 올라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시간이 흐를수록 계속 가중된다. 따라서, 양말의 전면부에 있어서 덮개부(420)의 아래 부위를 더 촘촘하게 편직(C 부위)하게 되면 그러한 현상이 해결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일반적인 양말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대략 1:1로 편직을 하게 된다. 즉, 발꿈치 부위나 전면 부위나 동일하게 루프를 형성하는 방식이지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발꿈치 부분의 4개의 루프를 형성하는 동안 'C 부위'에서는 1개를 루프를 형성하도록 곱씹는 방식으로 촘촘한 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6a 및 16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b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의 다른 예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도 17에서는 일부분만을 단면으로 도시하였다.
제3실시예의 다른 예는 덧신 형태로, 발목 부위가 짧거나 없다. 제3실시예의 다른 예에 따른 스패츠 세트(500)는 덧신부(510)의 상단 둘레에 제1 및 제2 O링 형태의 덮개부(520a, 520b)가 형성된다.
제3실시예의 다른 예도 마찬가지로 덮개부(520a, 520b) 아래쪽 양말의 발등 부위에는 상대적으로 촘촘하게 편직된 부위(C 부위)가 배치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실린더 2: 니들
3: 싱커 3a: 롱싱커
3b: 숏싱커 31~34: 니브
35a, 35b: 싱커버트 4: 니들캠부
5: 싱커캠부 13: 싱커슬릿
200, 300, 400: 스패츠 세트 210, 310, 410: 발목 착용부
220, 320, 420: 덮개부 231: 후크요소
232: 벨크로테이프 233: 끈요소
234: 단일 밴드 235: 복합 밴드
2351: 제1밴드부 2352: 제2밴드부
221: 걸림부 330, 350: 결합수단
340: 연장부

Claims (13)

  1. 스패츠 세트로서:
    적어도 발목이 삽입 착용되는 발목 착용부; 및
    상기 발목 착용부의 외부 둘레에 배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목 착용부는 양말 또는 발목에 압박력을 가하는 발목 보호대인 스패츠 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목 착용부와 상기 덮개부는 원사를 서로 연결된 다수개의 루프로 형성하는 원형 편직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상기 덮개부는 다른 제2루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제1루프의 다수개가 종방향으로 연결된 신장루프선이 둘레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된 것인, 스패츠 세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장루프선은 둘레방향으로 주기적인 간격으로 배열된 것인, 스패츠 세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발목 착용부의 외부 둘레에 연결되어 편직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인, 스패츠 세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발목 착용부과 별개로 이루어지고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발목 착용부에 결합 가능한 것인, 스패츠 세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방수천으로 형성된 것인, 스패츠 세트.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가 덮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신발에 부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홀딩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스패츠 세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홀딩수단은 일측이 신발의 바닥부위에 걸리고 타측이 신발의 뒤축부위에 걸릴 수 있는 제1밴드부와 상기 제1밴드부에 양단이 연결된 제2밴드부를 포함하여, 상기 덮개부가 덮는 자세일 때 적어도 상기 뒤축부위에 걸린 상기 제1밴드부의 타측이 상기 덮개부의 해당부위를 신발에 눌러서 홀딩하는 것인, 스패츠 세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발목 착용부의 둘레에 상기 발목 착용부 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형태로 배치된 것인, 스패츠 세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발목 착용부와 연결되어 형성된 것인, 스패츠 세트.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종단면이 O링의 형태를 가지도록 편직된 것인, 스패츠 세트.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발목 착용부는 양말이고, 상기 덮개부 아래쪽의 발등 부위에는 상대적으로 촘촘하게 편직된 부위가 배치된 것인, 스패츠 세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양말은 덧신 형태이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덧신의 탑라인 부위에 배치되는 제1 O링부와 제2 O링부를 포함하는 것인, 스패츠 세트.
KR1020170012137A 2016-02-05 2017-01-25 스패츠 세트 KR201700937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715 2016-02-05
KR20160014715 2016-02-05
KR1020160076274A KR20170093673A (ko) 2016-02-05 2016-06-20 스패츠 세트
KR1020160076274 2016-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711A true KR20170093711A (ko) 2017-08-16

Family

ID=597525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274A KR20170093673A (ko) 2016-02-05 2016-06-20 스패츠 세트
KR1020170012137A KR20170093711A (ko) 2016-02-05 2017-01-25 스패츠 세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274A KR20170093673A (ko) 2016-02-05 2016-06-20 스패츠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0936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1651A (en) * 2016-12-22 2018-10-24 George Davies Brian A protective garment for protecting a foot and leg of a wear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8949B (zh) * 2021-07-28 2023-10-13 河南康疗实业有限公司 一种穿戴式助力助行康复环保鞋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3003A (en) * 1956-06-11 1960-09-20 H E Crawford Company Inc Circular multi-feed hosiery and method
US4393522A (en) * 1981-12-04 1983-07-19 Calabrese Diane M Ankle garter with foot stirrup
US4513589A (en) * 1983-12-19 1985-04-30 Montgomery Hosiery Mill, Inc. Sock with simulated lace edge and method
US4702091A (en) * 1985-09-30 1987-10-27 Good David S Cuff member and sock
US5428975A (en) * 1994-03-28 1995-07-04 Crescent Hosiery Mills Double roll footee sock
US20020088254A1 (en) * 2001-01-08 2002-07-11 Singleton Kenneth Paul Dual sleeved so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361372Y1 (ko) * 2004-06-22 2004-09-10 임채홍 스패츠기능을 갖춘 양말
KR200386463Y1 (ko) * 2005-03-14 2005-06-16 노진구 이중 발목부를 갖는 레져용 양말
KR200434219Y1 (ko) * 2006-08-25 2006-12-18 (주)토리다 양면편성구조 또는 파일구조를 갖는 항균양말
JP3164218U (ja) * 2010-09-07 2010-11-18 Kbフクスケ株式会社 タイツ等のウエスト部の構造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3003A (en) * 1956-06-11 1960-09-20 H E Crawford Company Inc Circular multi-feed hosiery and method
US4393522A (en) * 1981-12-04 1983-07-19 Calabrese Diane M Ankle garter with foot stirrup
US4513589A (en) * 1983-12-19 1985-04-30 Montgomery Hosiery Mill, Inc. Sock with simulated lace edge and method
US4702091A (en) * 1985-09-30 1987-10-27 Good David S Cuff member and sock
US5428975A (en) * 1994-03-28 1995-07-04 Crescent Hosiery Mills Double roll footee sock
US20020088254A1 (en) * 2001-01-08 2002-07-11 Singleton Kenneth Paul Dual sleeved so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361372Y1 (ko) * 2004-06-22 2004-09-10 임채홍 스패츠기능을 갖춘 양말
KR200386463Y1 (ko) * 2005-03-14 2005-06-16 노진구 이중 발목부를 갖는 레져용 양말
KR200434219Y1 (ko) * 2006-08-25 2006-12-18 (주)토리다 양면편성구조 또는 파일구조를 갖는 항균양말
JP3164218U (ja) * 2010-09-07 2010-11-18 Kbフクスケ株式会社 タイツ等のウエスト部の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1651A (en) * 2016-12-22 2018-10-24 George Davies Brian A protective garment for protecting a foot and leg of a wear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673A (ko)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4093B2 (en) Leg apparel
US6209141B1 (en) Decorative band for sock
ES2597002T3 (es) Una prenda, en particular una prenda de compresión, para empleo médico
US20080060118A1 (en) Multipurpose open-toed stocking
KR200474152Y1 (ko) 벗겨짐 방지용 덧버선
CN109068778A (zh) 用于服饰物品的装饰件
US20130160192A1 (en) Multipurpose open-toed stocking
KR101988651B1 (ko) 실리콘사를 이용한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93711A (ko) 스패츠 세트
KR20090130816A (ko) 양말
KR101458883B1 (ko) 면양말 및 그 제조방법
KR101431984B1 (ko) 벗겨짐 방지용 덧신양말 및 그 제조방법
EP2441336B1 (en) Leg cover
US20020088254A1 (en) Dual sleeved so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60278439A1 (en) Leg garment with expansive panel
GB2529243A (en) A Method of Holding a sock of varied length in a comfortable position on the foot during sporting activities and/or prolonged periods of rigorous movement
JP6253257B2 (ja) フットカバー
US20190029330A1 (en) Leg garment with expansive panel
KR200405633Y1 (ko) 보조밴드가 구비된 발덮개
JP3165725U (ja) 足カバー
KR20110010605U (ko) 양말
KR102594643B1 (ko) 띠신발
KR20170002097U (ko) 논슬립부 형성을 위한 덧버선의 힐
WO2009066269A1 (en) Sock
JP7124251B2 (ja) ルームシュー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