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777A - 어댑터 - Google Patents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777A
KR20170092777A KR1020160013867A KR20160013867A KR20170092777A KR 20170092777 A KR20170092777 A KR 20170092777A KR 1020160013867 A KR1020160013867 A KR 1020160013867A KR 20160013867 A KR20160013867 A KR 20160013867A KR 20170092777 A KR20170092777 A KR 20170092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tation
case
connector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599B1 (ko
Inventor
김태혁
안성진
김태헌
최진호
서창근
우원명
하가산
박선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3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599B1/ko
Priority to EP16169917.8A priority patent/EP3203593B1/en
Priority to US15/168,851 priority patent/US9660391B1/en
Priority to CN201710064157.4A priority patent/CN107069351B/zh
Publication of KR20170092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59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5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5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on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01R24/6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mounted on directly pluggable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구조를 포함하는 어댑터를 개시한다.
어댑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접속 핀이 설치되는 회전 부재와,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 부재의 회전을 가이드 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댑터{Adapter}
본 발명은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플러그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구조를 포함하는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들은 전자 기기의 종류 및 사용처에 따라 사용되는 전압이 서로 다르며 전원을 제공받는 입력부의 모양 또한 각 제품에 따라 서로 상이하다.
이에 따라,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그 입력부에 적합한 모양을 가진 커넥터를 통해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적절한 전압의 전원을 제공해야 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전원 변환 공급장치인 전원 어댑터이다.
특히, 전원 어댑터는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노트북, PC, 디스플레이 모니터, 휴대폰 등의 각종 전자 기기에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해주는 장치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전자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주는 장치로 입력 전원으로부터 필요한 출력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원 어댑터는 교류/직류 변환 및 변압 회로가 내장된 본체에 전원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와 전자 장치에 접속되는 커넥터가 구비되어 콘센트를 통해 입력된 고전압의 교류 전원을 적정 전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자 장치로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어댑터는 멀티탭 콘센트를 사용함에 있어 주변의 콘센트들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멀티탭의 사용성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회전 가능한 플러그를 포함하는 어댑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각도 및 단계별 회전 가능한 플러그에 의해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킨 어댑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어댑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접속 핀이 설치되는 회전 부재;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가이드 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그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핀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회전 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돌기 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가 내부에 수용되는 와이어 수용부가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수용부의 내부에서 서로 교차하여 적어도 한번 이상의 꼬임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그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 바디와, 상기 케이스 바디의 개방된 일면을 커버하고,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베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는 회전 상태 표시를 위한 제1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베이스에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각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표시부에 대응되는 제2표시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표시부는, 0 도 내지 90 도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접속 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러그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회전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상기 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 홈부의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돌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 돌기는, 0 도 내지 90 도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어댑터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커넥터를 수용, 지지하고, 상기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커넥터 홀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 홀더는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돌기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회전 돌기 홈이 내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와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가 수용되는 와이어 수용부와, 상기 와이어 수용부에 형성되는 와이어 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수용부의 내부에서 서로 교차하여 적어도 한번 이상의 꼬임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커넥터 홀더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어댑터는 케이스; 커넥터가 설치되는 커넥터 홀더;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커넥터 홀더를 수용하는 커버; 상기 커넥터 홀더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가 수용되는 와이어 수용부와, 상기 와이어 수용부에 형성되는 와이어 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는, 상기 커버의 내측에서 상호 교차되어 적어도 한번 이상의 꼬임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가능한 플러그에 의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도 및 단계별 회전 가능한 플러그에 의해 멀티탭 단자의 배치에 무관하게 여러 개의 어댑터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플러그의 회전 후 멀티탭에 단단히 고정되어 여러 개의 어댑터를 사용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속 핀을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속 핀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핀과 회전 부재, 가이드 부재 그리고 커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6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부재의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부재의 회전에 따른 접속 핀의 회전 각도 변화 및 그에 따른 어댑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내지 도 1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의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 내지 도 1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회전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설치되는 접속 핀(30), 그리고 접속 핀(30)에 결합되는 플러그(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10V와 220V 겸용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AC/DC 어댑터(이하, 어댑터(1) 라 함)는 AC 110V/220V의 상용 전압을 소정의 DC 전압으로 변환해 주는 정류기이다. 이러한, 어댑터(1)는 대부분이 스위치 전환(미도시)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AC 110V 와 220V 전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에 따라 어댑터(1) 케이스(10)에는 기본적으로 110V 전원을 사용하기 위한 한 쌍의 110V 형 접속 핀(이하, 접속 핀(30)이라 함)이 돌출되어 있다.
어댑터(1)는 케이스(10)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11) 등이 설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케이스 바디(10a)와, 케이스 바디(10a)에 결합되는 케이스 베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바디(10a)는 육면체 형상으로 적어도 일면은 개방된 개구부(10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케이스는 상면과 하면 중 일면이 개방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스 바디(10a)는 절연성의 수지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인쇄회로기판(11) 등의 구성요소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케이스 바디(10a)의 개구부(10b)에는 케이스 베이스(20)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 베이스(20)는 케이스 바디(10a)의 개구부(10b)를 커버 하도록 마련된다. 케이스 베이스(2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베이스(20)의 하측 단부에는 전자제품(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원선(3)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전원선 설치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선(3)은 그 단부에 전자제품과의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전기 단자(3a)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베이스(20)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핀(30)이 마련되는 회전 부재(1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속 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속 핀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핀과 회전 부재와, 가이드 부재 그리고 커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베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접속 핀(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다. 접속 핀(30)은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접속 핀(30)은 우측에 배치되는 제1핀(31)과, 좌측에 배치되는 제2핀(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핀(31)과 제2핀(32)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핀(31)과 제2핀(32)은 도전성 막대 형태로 마련된다. 제1핀(31)과 제2핀(32)은 그 일단은 케이스 베이스(20)에 결합되고 타단은 케이스 베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케이스 베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된 제1핀(31)과 제2핀(32)은 플러그(2)에 결합되어 콘센트(300)에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도 9 참고)
한편, 제1핀(31)과 제2핀(32)은 연결부재(33)를 통해 와이어(4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33)는 제1핀(31)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33a)와 제2핀(32)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33b)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접속 핀(30)은 연결부재(33)를 통해 와이어(40)와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와이어(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40)는 제1연결부(33a)를 통해 제1핀(31)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41)와, 제2연결부(33b)를 통해 제2핀(32)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부(33a)와 제2연결부(33b)는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부(33a)와 제1연결부(33a)의 대칭 위치에 따라 각각 연결되는 제1와이어(41)와 제2와이어(42) 역시 대칭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33a)와 제2연결부(33b)는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제1핀(31)과 제2핀(32)은 각각 연결부재(33)와 와이어(40)를 통해 케이스 바디(10a) 내부의 인쇄회로기판(11)에 결합되어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접속 핀(30)은 케이스 베이스(20)에 회전 부재(10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 부재(100)는 케이스 베이스(2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접속 핀(3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부재(100)는 회전 바디(10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바디(10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바디(101)는 원판 형상의 제1바디(101a)와, 링 형상의 제2바디(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01a)는 제1핀(31)과 제2핀(32)이 각각 삽입 될 수 있도록 핀설치홀(103)이 형성될 수 있다. 핀설치홀(103)은 제1핀(31)과 제2핀(32)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핀설치홀(103)은 제1핀(31)과 제2핀(32)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핀설치홀(103)은 제1핀(31)과 제1핀(31)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핀설치홀(103)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101b)는 제1바디(101a)의 테두리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101b)는 내부에 구획되어 마련되는 와이어 설치부(104)를 형성할 수 있다.
회전 부재(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돌기(20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돌기(201)는 제2바디(101b)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돌기(201)는 두 개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회전 돌기(201)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전 돌기(201)는 두 개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와이어 설치부(104)는 제1핀(31)과 제1연결부(33a), 그리고 제1와이어(41)가 설치되기 위한 제1와이어설치부(104a)와, 제2핀(32)과 제2연결부(33b), 그리고 제2와이어(42)가 설치되기 위한 제2와이어설치부(10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설치부(104a)와 제2와이어설치부(104b)는 구획벽(102)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구획벽(102)은 제1와이어설치부(104a)와 제2와이어설치부(104b)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구획벽(102)은 제1와이어설치부(104a)와 제2와이어설치부(104b)를 대칭되게 형성한다. 구획벽(102)은 제2바디(101b)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구획벽(102)의 중심에는 회전 부재(100)의 회전 시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C)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부재(100)의 제1와이어설치부(104a)에 형성된 핀설치홀(103)을 관통하는 제1핀(31)은 제1연결부(33a) 및 제1와이어(41)와 함께 제1와이어설치부(104a)에 설치되고, 제2와이어설치부(104b)에 형성된 핀설치홀(103)을 관통하는 제2핀(32)은 제2연결부(33b) 및 제2와이어(42)와 함께 제2와이어설치부(104b)에 설치된다.
이때 제1연결부(33a)에 연결된 제1와이어(41)와 제2연결부(33b)에 연결된 제2와이어(42)는 구획벽(102)에 의해 구획되어 연결부로부터 와이어가 끊김 되는 경우 제1와이어(41)와 제2와이어(42)가 접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 베이스(20)에는 회전 부재(1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설치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홀(21)은 케이스 베이스(20)의 적어도 일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홀(21)은 회전 부재(1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회전 부재(100)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베이스(20)의 설치홀(21)을 통해 접속 핀(30)이 결합된 회전 부재(100)는 케이스 베이스(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케이스 베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된 접속 핀(30)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플러그(2)가 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2)는 절연성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2)의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전성 재질의 플러그 단자가 마련되어, 접속 핀(30)과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플러그 단자는 어댑터(1)의 접속 핀(30)에 연결되어 플러그(2)와 어댑터(1)를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한편, 케이스 베이스(20)의 설치홀(21) 후면에는 회전 부재(100)의 회전을 가이드 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부재(12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20)는 설치홀(21)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20)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20)는 그 내주면에 회전 부재(100)가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이드 부재(120)는 케이스 베이스(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는 케이스 베이스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20)는 회전 부재(100)의 회전 돌기(20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회전 돌기 홈(20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돌기 홈(202)은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20)의 회전 돌기 홈(202)은 0도 내지 90 도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20)의 회전 돌기 홈(202)은 제1회전돌기홈(202a)과, 제2회전돌기홈(202b), 그리고 제3회전돌기홈(20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돌기홈(202a)은 회전 부재(100)에 설치된 접속 핀(30)이 회전되지 않고 케이스 바디(10a)의 세로 길이(H)와 나란하게 배치(0도)되는 상태에 위치(θ1)하도록 형성된다. 제2회전돌기홈(202b)은 제1회전돌기홈(202a)으로부터 소정 각도(θ2)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3회전돌기홈(202c)은 제2회전돌기홈(202b)으로부터 소정 각도(θ3)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20)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회전 돌기 홈(202)에 회전 부재(100)가 회전하면서 회전 돌기(201)가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부재(120)의 후방에는 커버(130)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40)가 수용되기 위한 와이어 수용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40)는 서로 교차하여 꼬임 형태로 형성된다. 제1와이어(41)와 제2와이어(42)는 와이어 수용부(131) 내부에서 서로 교차하여 적어도 한번 이상의 꼬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130)의 와이어 수용부(13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40)가 꼬임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와이어 수용부(13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40)가 꼬여 꼬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40)가 꼬임 되여 형성되는 높이 또는 그 이상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30)는 와이어 수용부(13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40)를 수요 및 지지하여 와이어(40)의 끊김 및 접선을 방지하도록 보호할 수 있다. 커버(130)는 가이드 부재(120)의 후방에서 가이드 부재(12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130)는 가이드 부재(120)와 고정되어 가이드 부재(120) 내부의 회전 부재(100)를 수용 및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부재의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120)와 회전 부재(100)의 회전 동작에 따른 접속 핀(30)의 상태를 설명한다.
가이드 부재(120)의 회전 돌기 홈(202)은 제1회전돌기홈(202a)과 제2회전돌기홈(202b), 그리고 제3회전돌기홈(202c)를 포함한다.
제1회전돌기홈(202a)은 제1회전돌기홈(202a)은 회전 부재(100)에 설치된 접속 핀(30)이 회전되지 않고 케이스 바디(10a)의 세로 길이(H)와 나란하게 배치(최초위치, 0도)되는 상태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 제2회전돌기홈(202b)은 제1회전돌기홈(202a)에서 소정 각도(최초 위치에서부터 45도)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부재(100)의 회전 돌기(201)가 제2회전돌기홈(202b)에 위치 시 접속 핀(30)은 회전 부재(100)와 함께 이동되어, 소정 각도로 회전되게 된다.
또, 제3회전돌기홈(202c)은 제2회전돌기홈(202b)에서 소정 각도(최초 위치에서부터 90도)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부재(100)의 회전 돌기(201)가 제3회전돌기홈(202c)에 위치 시 접속 핀(30)은 회전 부재(100)와 함께 이동되어, 소정 각도로 회전된다.
이때, 회전 부재(100)는 회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1표시부(61)를 포함 할 수 있다. 제1표시부(61)는 회전 부재(100)의 제1바디(101a)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표시부(61)는 회전 부재(100)의 회전 돌기(201)가 가이드 부재(120)의 제1회전돌기홈(202a)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 바디(10a)의 세로 길이(H)에 나란하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 베이스(20)에는 제1표시부(61)에 대응되는 제2표시부(6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표시부(62)는 회전 부재(100)의 회전 각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회전 부재(100)의 외측 원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표시부(62)는 세 개의 눈금으로 0도, 45도, 90도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부재의 회전에 따른 접속 핀의 회전 각도 변화 및 그에 따른 어댑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마련되는 콘센트(300)에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어댑터(1)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속 핀(3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콘센트(300)는 접속 핀(30) 또는 플러그(2)를 끼워 전기를 통하게 하는 장치로서, 여러 개의 접속 핀(30) 또는 플러그(2)를 동시에 꽂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 때, 콘센트(300)는 병렬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여러 개의 접속 핀(30) 또는 플러그(2)를 동시에 꽂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는 회전 가능한 접속 핀(30)에 의해 병렬도 나란하게 배치되는 콘센트(300)에 복수개가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 가능하여,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는 회전 부재(100)를 회전시키기 않는 기본 배열 상태(도 7 참고)와 회전 부재(100)를 소정 각도(θ2) 회전시켜 접속 핀(30)이 45도 회전되어 콘센트(300)에 설치되는 상태(도 8 참고)와, 회전 부재(100)를 회전시키기 않은 상태와 회전 부재(100)를 소정 각도(θ3) 회전시켜 접속 핀(30)이 90도 회전되어 콘센트(300)에 설치되는 상태(도 9 참고)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어댑터(1)의 크기 및 어댑터(1)의 설치 방향에 제한이 없어 어댑터(1)의 사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 내지 도 1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의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한다.
도 12 내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A)는 본체(10A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터(30A)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1A)는 본체(10Aa)와, 본체(10Aa)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커넥터(30A)와, 커넥터(30A)에 결합되는 플러그(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3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다. 커넥터(30A)는 제1접속핀(30Aa)과 제2접속핀(30Ab)이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접속핀(30Aa)과 제2접속핀(30Ab)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접속핀(30Aa)과 제2접속핀(30Ab)은 도전성 막대 형태로 마련된다.
커넥터(30A)는 커넥터 홀더(100A)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30A)의 일단은 커넥터 홀더(100A)에 의해 케이스 베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케이스 베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케이스 베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된 커넥터(30A)의 제1접속핀(30Aa)과 제2접속핀(30Ab)은 플러그(2)에 결합되어 콘센트(300)에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커넥터(300)는 커넥터 연결부(31A)를 통해 와이어(40)와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300)는 커넥터 연결부(31A)를 통해 본체(10Aa) 내부의 인쇄회로기판(12)에 결합되어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 홀더(100A)는 커넥터(30A)를 수용 및 지지하고 본체(10Aa)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커넥터 홀더(100A)는 케이스 베이스(2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커넥터 홀더(100A)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홀더(100A)는 커넥터(30A)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핀설치홀(103)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홀더(100A)의 테두리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홈부(201A)를 포함한다. 회전 홈부(201A)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201Aa)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회전 홈부(201A)는 커넥터 홀더(100A)의 외주면에 외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홈부(201A)는 두 개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전 홈부(201A)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전 홈부(201A)는 두 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케이스 베이스(20)의 설치홀(21) 후면에는 커넥터 홀더(100A)의 회전을 가이드 하도록 마련되는 회전 돌기부(202A)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 돌기부(202A)는 커넥터 홀더(100A)의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돌기부(202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202Aa,202Ab,202Ac)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돌기부(202A)의 돌기(202Aa,202Ab,202Ac)는 커넥터 홀더(100A)의 회전 홈부(201A)에 형성된 홈(201A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돌기부(202A)의 돌기(202Aa,202Ab,202Ac)는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돌기부(202A)의 돌기(202Aa,202Ab,202Ac)는 0도 내지 90도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회전 돌기부(202A)의 돌기(202Aa,202Ab,202Ac)는 제1돌기(202Aa)와, 제2돌기(202Ab), 그리고 제3돌기(202Ac)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202Aa,202Ab,202Ac)는 커넥터 홀더(100A)에 설치된 커넥터(30A)가 회전되지 않고, 본체(10Aa)의 세로 길이(H)와 나란하게 배치(0도)되는 상태에 위치(θ'1)하도록 형성된다. 제2돌기(202Ab)는 제1돌기(202Aa)로부터 소정 각도(θ'2)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3돌기(202Ac)는 제2돌기(202Ab)로부터 소정 각도(θ'3)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홀더(100A)는 회전 하면서, 회전 돌기부(202A)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에 회전 홈부(201A)가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 홀더(100A)의 후방에는 커버(130A)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130A)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40)가 수용되기 위한 와이어 수용부(131A)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40)는 서로 교차하여 꼬임 형태로 형성된다. 제1와이어(41)와 제2와이어(42)는 와이어 수용부(131A) 내부에서 서로 교차하여 적어도 한번 이상의 꼬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130A)의 와이어 수용부(131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40)가 꼬임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와이어 수용부(131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40)가 꼬여 꼬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40)가 꼬임되어 형성되는 높이 또는 그 이상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30A)는 본체(10Aa)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돌기(13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커버(130A)는 고정돌기(13A)에 의해 고정되어 커넥터 홀더(100A)를 수용 및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 베이스(20)에는 커넥터 홀더(100A)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설치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홀(21)은 케이스 베이스(20)의 적어도 일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홀(21)은 커넥터 홀더(100A)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커넥터 홀더(100A)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회전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A)의 커넥터(30A)는 회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1표시부(61)를 포함 할 수 있다. 제1표시부(61)는 커넥터 홀더(100A)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 베이스(20)에는 제1표시부(61)에 대응되는 제2표시부(6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표시부(62)는 커넥터 홀더(100A)의 회전 각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커넥터 홀더(100A)의 외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표시부(62)는 커넥터 홀더(100A)가 이동하지 않는 0도 상태의 제1위치표시(62a)와, 커넥터 홀더(100A)가 초기 위치로부터 90도 회전한 상태의 제2위치표시(62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 참고)
또, 제2표시부(62)는 커넥터 홀더(100A)가 이동하지 않는 0도 상태의 제1위치표시(62a)와, 커넥터 홀더(100A)가 초기 위치로부터 90도 회전한 상태의 제2위치표시(62b)와, 커넥터 홀더(100A)가 초기 위치로부터 30도 회전된 상태의 제3위치표시(62c)와, 커넥터 홀더(100A)가 초기 위치로부터 60도 회전된 상태의 제4위치표시(62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 참고)
또한, 제2표시부(62)는 커넥터 홀더(100A)가 초기 위치로부터 각각 22.5도씩 회전 이동된 상태의 제1 내지 제5위치표시(62a,62b,62c,62c,62d,62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표시부(62)는 적어도 두 개 내지 다섯개의 눈금으로 0도, 22.5도, 45도, 67.5도, 90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넥터 홀더의 회전 각도는 다양하게 설정 및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A)는 커넥터 홀더(100A)의 회전에 의해 커넥터(30A) 및 커넥터(30A)에 결합되는 플러그(2)가 회전 가능하여, 병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콘센트(300)에 복수개가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 가능하여,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어댑터(1A)의 크기 및 어댑터(1A)의 설치 방향에 제한이 없어 어댑터(1A)의 사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어댑터 2 : 플러그
3 : 전원선 10 : 케이스
10a : 케이스 바디 11 : 인쇄회로기판
20 : 케이스 베이스 21 : 설치홀
30 : 접속 핀 30A : 커넥터
33 : 연결부재 40 : 와이어
61 : 제1표시부 62 : 제2표시부
100 : 회전 부재 100A : 커넥터 홀더
120 : 가이드 부재 130, 130A : 커버
131,131A : 와이어 수용부 132 : 와이어 홀
201 : 회전 돌기 202 : 회전 돌기 홈
201A : 회전 홈부 201Aa : 홈
202A : 회전 돌기부 202Aa : 돌기

Claims (20)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접속 핀이 설치되는 회전 부재;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가이드 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그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핀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어댑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회전 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돌기 홈을 포함하는 어댑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가 내부에 수용되는 와이어 수용부가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어댑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홀을 포함하는 어댑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수용부의 내부에서 서로 교차하여 적어도 한번 이상의 꼬임 형태로 마련되는 어댑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그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 바디와,
    상기 케이스 바디의 개방된 일면을 커버하고,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베이스를 포함하는 어댑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회전 상태 표시를 위한 제1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베이스에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각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표시부에 대응되는 제2표시부가 형성되는 어댑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부는,
    0 도 내지 90 도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어댑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어댑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회전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상기 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 홈부의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돌기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돌기는,
    0 도 내지 90 도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어댑터.
  13.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커넥터를 수용, 지지하고, 상기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커넥터 홀더;를 포함하는 어댑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홀더는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돌기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회전 돌기 홈이 내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어댑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와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가 수용되는 와이어 수용부와,
    상기 와이어 수용부에 형성되는 와이어 홀을 포함하는 어댑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수용부의 내부에서 서로 교차하여 적어도 한번 이상의 꼬임 형태를 포함하는 어댑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커넥터 홀더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어댑터.
  18. 케이스;
    커넥터가 설치되는 커넥터 홀더;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커넥터 홀더를 수용하는 커버;
    상기 커넥터 홀더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어댑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가 수용되는 와이어 수용부와,
    상기 와이어 수용부에 형성되는 와이어 홀을 포함하는 어댑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와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는, 상기 커버의 내측에서 상호 교차되어 적어도 한번 이상의 꼬임 형태를 포함하는 어댑터.
KR1020160013867A 2016-02-04 2016-02-04 어댑터 Active KR102551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867A KR102551599B1 (ko) 2016-02-04 2016-02-04 어댑터
EP16169917.8A EP3203593B1 (en) 2016-02-04 2016-05-17 Adapter
US15/168,851 US9660391B1 (en) 2016-02-04 2016-05-31 Adapter having a rotating member with a connector pin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CN201710064157.4A CN107069351B (zh) 2016-02-04 2017-02-04 适配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867A KR102551599B1 (ko) 2016-02-04 2016-02-04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777A true KR20170092777A (ko) 2017-08-14
KR102551599B1 KR102551599B1 (ko) 2023-07-06

Family

ID=5601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867A Active KR102551599B1 (ko) 2016-02-04 2016-02-04 어댑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60391B1 (ko)
EP (1) EP3203593B1 (ko)
KR (1) KR102551599B1 (ko)
CN (1) CN10706935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487A (ko) *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제이엠테크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923B1 (ko) * 2016-01-12 2023-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러그 일체형 어댑터
USD932442S1 (en) 2020-10-15 2021-10-05 E. Mishan & Sons, Inc. Surge prot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232A (ko) * 2001-02-06 2002-08-13 (주)일원테크 회전식 플러그를 갖는 어댑터
US20130105595A1 (en) * 2011-10-28 2013-05-02 Jesse Richard Rotatable plug assembly and method of reducing strain in a wir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2122A (en) * 1992-12-15 1994-10-04 Speyer Henning J Rotatable electrical connector
US6093028A (en) * 1999-03-25 2000-07-25 Yang; Wen-Yuan Night lamp with side mounting type rotary powder input plug
US6488510B2 (en) * 2001-03-21 2002-12-03 Long-Beam Enterprise Co., Ltd. Rotary-plug wall lamp
TW519330U (en) * 2001-09-04 2003-01-21 Delta Electronics Inc Rotating plug
US6793499B1 (en) * 2003-08-05 2004-09-21 Tsang-I Chen Rotatable electrical plug
CN100530849C (zh) * 2005-09-29 2009-08-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源装置
US7658625B2 (en) * 2008-03-07 2010-02-09 Microsoft Corporation AC Power adapter with swiveling plug having folding prongs
CN101272026B (zh) * 2008-05-05 2010-06-02 李俊生 具有旋转电源开关的旋转式电源转换器
CN201204543Y (zh) * 2008-05-26 2009-03-04 胡建坤 一种改进的电源适配器
US7896702B2 (en) * 2008-06-06 2011-03-01 Apple Inc. Compact power adapter
US20110053421A1 (en) * 2009-08-31 2011-03-03 Mostoller Matthew Edward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the end of an electrical cable
TWI427875B (zh) * 2009-10-28 2014-02-21 Powertech Ind Co Ltd 具有旋轉及摺合的插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232A (ko) * 2001-02-06 2002-08-13 (주)일원테크 회전식 플러그를 갖는 어댑터
US20130105595A1 (en) * 2011-10-28 2013-05-02 Jesse Richard Rotatable plug assembly and method of reducing strain in a wi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487A (ko) *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제이엠테크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03593A1 (en) 2017-08-09
CN107069351B (zh) 2020-04-28
CN107069351A (zh) 2017-08-18
US9660391B1 (en) 2017-05-23
EP3203593B1 (en) 2018-09-26
KR102551599B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889B1 (ko) 전원어댑터플러그
US10069263B2 (en) Rotatable universal socket
CN103972688B (zh) 旋转式插头
US9281638B2 (en) Connectors
US20160197431A1 (en) Multi-function charger
JP3149993U (ja) 電源プラグ
KR20170092777A (ko) 어댑터
JP3227837U (ja) 電源アダプター
WO2016073950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otatable prongs
US20120270414A1 (en) Freely Rotatable Electrical Conduction Structure And Receptacle Using The Same
CN206850197U (zh) 插座
TWM624117U (zh) 電源轉接裝置
GB2410844A (en) Swivel electrical connector
JP3197062U (ja) 新型の回転式ソケット
JP3197061U (ja) 多機能の回転式ソケット
KR200474302Y1 (ko) 분리형 배선 분기장치
JP3164427U (ja) コンセント
CN210576665U (zh) 隐蔽式电插座
KR101473379B1 (ko) 전기콘센트
KR101435154B1 (ko) 전원연결장치
CN109120042B (zh) 一种桌面无线充电器
KR20140129794A (ko) 전원연결장치
KR101437036B1 (ko) 전원연결장치
JP3215377U (ja) 電源供給器及び交換可能なアダプタ部品を有する電源コンバータ
JP3197060U (ja) 回転式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2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3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