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0198A - 주방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0198A
KR20170080198A KR1020150191496A KR20150191496A KR20170080198A KR 20170080198 A KR20170080198 A KR 20170080198A KR 1020150191496 A KR1020150191496 A KR 1020150191496A KR 20150191496 A KR20150191496 A KR 20150191496A KR 20170080198 A KR20170080198 A KR 20170080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od
frame
partial
filter membra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2152B1 (ko
Inventor
김창범
박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츠
Priority to KR1020150191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1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1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환기장치는, 가열조리기구의 상방에 위치되는 후드와, 상기 후드의 상면에 배치된 팬박스내에 구비되어 흡기작용을 행하는 송풍팬과, 상기 후드의 저부에 장착되는 좌측 및 우측 필터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필터유닛은 아래위로 배치되어 서로 이격된 상측 및 하측 매쉬망과, 상기 상측 및 하측 매쉬망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프레임과, 상기 상측 및 하측 매쉬망 사이에 개재되어 매쉬망이 형성하는 흡기영역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부분 필터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분 필터막은 섬유재질 또는 종이재질로서 평판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좌측 및 우측 필터유닛이 후드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막은 후드의 중심부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유닛의 프레임은 그 일측에 개방형 끼움슬롯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분 필터막은 상기 개방형 끼움슬롯을 통하여 인입되어 상측 매쉬망과 하측 매쉬망 사이에 끼움장착될 수 있다.
상기 부분 필터막은 다수회 절곡된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막의 서로 마주보는 선단에는 한쌍의 걸림막대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의 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서 그 양선단에 상기 걸림막대가 끼워지는 걸림홀이 구비된 폐쇄형 끼움슬롯이 각각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주방용 환기장치{range hood}
본 발명은 송풍팬의 하우징 표면에서 응축되어 생성된 유분을 포집하여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 환기장치 주방용 환기장치는 가스레인지나 전기레인지 등의 가열조리기구를 이용하여 조리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연소 가스나, 음식냄새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일종의 배기장치로서,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가열조리기구(S)의 상면에 배치되는 후드(10)와, 후드(10)내에 구비된 송풍팬(2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후드(10)는 실외로 이어지는 배기덕트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후드(10)의 저부에는 필터(12)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주방용 환기장치에 의하면, 송풍팬(20)의 작동에 의해 후드(10)측으로 흡기작용이 이루어짐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조리기구(R)에서 발생하는 미연소 가스나, 음식냄새 등이 후드(10)를 통해 흡기된 다음, 배기덕트를 통하여 실외로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음식물의 가열조리시에는 수분증발에 따른 증기와 휘발된 기름성분, 미세먼지 등이 혼합된 이른바 오일 미스트(oil mist)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오일 미스트는 점성 및 오염도가 높기 때문에 후드 내부로 그대로 유입될 경우 후드(10)내에 배치된 송풍팬(20) 및 각종 기기들에 점착되어 작동상의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후드(10)의 저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12)가 구비됨으로써 흡기작동시에 오일미스트의 상당량은 필터(12)에 의해 여과되도록 하고 있는데, 오일미스트의 흡입량은 필터(12)의 여과수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오일미스트의 흡입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필터(12)의 여과수준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필터(12)의 여과수준을 높이게 되면 오일미스트에 의한 문제가 감소되기는 하지만 상대적으로 필터(12)에 의한 흡기저항이 커짐으로써 흡기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필터(12)의 여과수준을 무리하게 높일 수는 없으며, 흡기저항이 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필터(12)의 여과수준이 적정치로 제한되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필터가 메쉬(mesh) 금속망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필터는 형태 특성상 기타 섬유재로 이루어진 필터에 비하여 흡기저항이 작기는 하지만, 여과성능이 크게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금속망형태의 필터에 섬유재질의 필터막을 덧붙여서 사용하는 기술이 안출되기도 하였는 바, 이에 따르면, 섬유재질의 필터막에 의해 여과 성능은 향상되지만 상대적으로 흡기저항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흡기집중도가 높은 부위에만 부분적으로 섬유재질의 필터막이 배치됨으로서, 전체적으로 흡기저항이 높아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오일미스트에 대한 필터링 성능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오일미스트에 의한 문제점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주방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환기장치는, 가열조리기구의 상방에 위치되는 후드(hood)와, 상기 후드의 상면에 배치된 팬박스내에 구비되어 흡기작용을 행하는 송풍팬과, 상기 후드의 저부에 장착되는 좌측 및 우측 필터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필터유닛은 아래위로 배치되어 서로 이격된 상측 및 하측 매쉬망과, 상기 상측 및 하측 매쉬망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프레임과, 상기 상측 및 하측 매쉬망 사이에 개재되어 매쉬망이 형성하는 흡기영역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부분 필터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분 필터막은 섬유재질 또는 종이재질로서 평판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좌측 및 우측 필터유닛이 후드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막은 후드의 중심부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유닛의 프레임은 그 일측에 개방형 끼움슬롯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분 필터막은 상기 개방형 끼움슬롯을 통하여 인입되어 상측 매쉬망과 하측 매쉬망 사이에 끼움장착될 수 있다.
상기 부분 필터막은 다수회 절곡된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막의 서로 마주보는 선단에는 한쌍의 걸림막대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의 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서 그 양선단에 상기 걸림막대가 끼워지는 걸림홀이 구비된 폐쇄형 끼움슬롯이 각각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환기장치에 의하면, 오일미스트의 흡입량이 많은 후드의 중심부만에 한정하여 필터링 성능이 강화되기 때문에 오일미스트에 의해 오염되는 현상을 보다 적극적으로 방지함과 더불어 흡기저항이 낮아지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사용편의성 및 사용효율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일반적인 주방용 환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 본 발명에 있어서 필터유닛과 부분 필터막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본 발명에 있어서 필터유닛에 부분 필터막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본 발명에 있어서 필터유닛에 부분 필터막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본 발명에 있어서 필터유닛의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배치도
도 6: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부분 필터막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필터유닛과 부분 필터막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필터유닛에 부분 필터막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2 부터 도 8 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환기장치는 후드의 저부에 장착되는 좌측 및 우측 필터유닛(30)(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도 5 참조)
도 2, 3,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필터유닛(30)은 아래위로 배치되어 서로 이격된 상측 및 하측 매쉬망(32)(32')과, 상기 상측 및 하측 매쉬망(32)(32')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프레임(34)과, 상기 상측 및 하측 매쉬망(32)(32') 사이에 개재되어 각 매쉬망(32)(32')이 형성하는 흡기영역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부분 필터막(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분 필터막(36)은 섬유재질 또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지며, 평판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필터유닛(30)의 프레임(34)은 그 일측에 개방형 끼움슬롯(34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분 필터막(36)은 상기 개방형 끼움슬롯(34a)을 통하여 인입되어 상측 및 하측 매쉬망(32)(32') 사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좌측 및 우측 필터유닛(30)(30')이 후드(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각 필터유닛(30)(30')에 장착된 부분 필터막(36)은 후드(10)의 중심부 즉, 브릿지(14)의 좌우측면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후드(10)의 중심부에 배치된 송풍팬(20)의 위치특성상 송풍팬(20)에 의한 흡기작용은 후드(10)의 중심부에서 가장 강하게 이루어지고, 가장자리로 가면서 약해지게 되며, 오일미스트 역시 후드(10)의 중심부에서 많은 양이 흡입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좌측 및 우측 필터유닛(30)(30')이 후드(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부분 필터막(36)이 후드(10)의 중심부(브릿지의 좌우측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후드(10)의 중심부는 상기 부분 필터막(36)에 의해 여과밀도가 높아지게 되며, 가장자리는 흡기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메쉬(mesh) 금속망 형태의 필터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서는 흡기작용면에서 약간 불리하지만 대신에 필터링 성능이 대폭 향상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금속망형태의 필터 전체에 섬유재질의 필터막을 덧붙여서 사용하는 종래기술에 비하면 흡기저항이 크게 낮기 때문에 배기작용이 상당히 원활하게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6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다수회 절곡된 지그재그형태의 부분 필터막(38)이 사용되고, 상기 부분 필터막(38)의 서로 마주보는 선단에는 한쌍의 걸림막대(381)가 부착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필터유닛(30)의 프레임(34)에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서 그 양선단에 상기 걸림막대(381)(381')가 끼워질 수 있는 갈고리 형태의 걸림홀(34c)(34c')이 각각 구비된 폐쇄형 끼움슬롯(34b)이 각각 형성된다.
이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부분 필터막(38)의 장착방식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양 걸림막대(381)의 간격을 좁혀서 부분 필터막(36)이 접히도록 한 상태에서 폐쇄형 끼움슬롯(34b)의 일측 걸림홀(34c)에 끼워넣어서 일측 걸림막대(381)가 일측 걸림홀(34c)에 걸리도록 한 다음, 타측 걸림막대(381')를 잡아당겨서 부분 필터막(38)이 펼쳐지도록 하게 된다.
부분 필터막(38)을 펼진 다음에는 타측 걸림막대(381')를 타측 걸림홀(34c')에 걸리도록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하면 부분 필터막(38)이 다시 접히지 않고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8 참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능적으로는 상기 부분 필터막(38)에 의해 부분적으로 여과밀도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부분 필터막(38)이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진 특성상 흡기 정압이 크게 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부분필터막(38)의 양 선단에 걸림막대(381)(381')가 구비되도록 하고, 프레임(34)에 끼워서 펼쳐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장착하는 것은 지그재그 형태의 부분 필터막(38)이 스스로 접히려고 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단순 끼움방식으로는 장착이 어렵다는 점을 감안한 것이다.
따라서, 이 같은 이른바 끼움후 펼침방식에 의하면 지그재그 형태의 부분 필터막(38)을 장착하기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장착후의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30: 필터유닛 32: 메쉬망
34: 프레임 34a: 개방형 끼움슬롯
34b: 폐쇄형 끼움슬롯 34c: 걸림홀
36: 부분 필터막 38: 부분 필터막
381: 걸림막대

Claims (7)

  1. 가열조리기구의 상방에 위치되는 후드(hood)와, 상기 후드의 상면에 배치된 팬박스내에 구비되어 흡기작용을 행하는 송풍팬과, 상기 후드의 저부에 장착되는 좌측 및 우측 필터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필터유닛은
    아래위로 배치되어 서로 이격된 상측 및 하측 매쉬망과,
    상기 상측 및 하측 매쉬망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프레임과,
    상기 상측 및 하측 매쉬망 사이에 개재되어 매쉬망이 형성하는 흡기영역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부분 필터막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필터막은 섬유재질 또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환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필터막은 평판형태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환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필터유닛이 후드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막은 후드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환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의 프레임은 그 일측에 개방형 끼움슬롯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분 필터막은 상기 개방형 끼움슬롯을 통하여 인입되어 상측 매쉬망과 하측 매쉬망 사이에 끼움장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환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필터막은 다수회 절곡된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막의 서로 마주보는 선단에는 한쌍의 걸림막대가 부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환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의 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서 그 양선단에 상기 걸림막대가 끼워지는 걸림홀이 구비된 폐쇄형 끼움슬롯이 각각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환기장치.
KR1020150191496A 2015-12-31 2015-12-31 주방용 환기장치 Active KR101802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496A KR101802152B1 (ko) 2015-12-31 2015-12-31 주방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496A KR101802152B1 (ko) 2015-12-31 2015-12-31 주방용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198A true KR20170080198A (ko) 2017-07-10
KR101802152B1 KR101802152B1 (ko) 2017-11-28

Family

ID=59355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496A Active KR101802152B1 (ko) 2015-12-31 2015-12-31 주방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1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114A (ko) 2018-01-16 2019-07-24 삼성물산 주식회사 공동주택 주방급기용 환기시스템
CN110056930A (zh) * 2019-05-30 2019-07-26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集烟装置及油烟机
CN112902242A (zh) * 2019-11-19 2021-06-04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用于烟机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直流烟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2892A (ja) * 2004-11-09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114A (ko) 2018-01-16 2019-07-24 삼성물산 주식회사 공동주택 주방급기용 환기시스템
CN110056930A (zh) * 2019-05-30 2019-07-26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集烟装置及油烟机
CN112902242A (zh) * 2019-11-19 2021-06-04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用于烟机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直流烟机
CN112902242B (zh) * 2019-11-19 2022-10-28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用于烟机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直流烟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152B1 (ko)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9904B2 (en) Lint catching system and exhaust assembly
CN106192332B (zh) 一种干衣机的线屑过滤装置及干衣机
KR101802152B1 (ko) 주방용 환기장치
CN105408694A (zh) 过滤器、支架和安装过滤器的方法
JP2016105027A (ja) 空気調和機
KR101578162B1 (ko) 주방 후드용 필터 조립체
JP6150742B2 (ja) 熱交換換気装置
JP4284530B2 (ja) 除湿乾燥機
JP6405524B2 (ja) 空気調和機
WO2020108210A1 (zh) 衣物护理设备
CN208139467U (zh) 一种清洁型除湿装置
KR20000056581A (ko) 공기 조화기의 흡입 장치
CN214506293U (zh) 一种配电柜的通风装置
JP2021501664A (ja) 衣類乾燥機
TWI221894B (en) Composite filter for range hood
CN110030637B (zh) 一种除湿机
KR20170119858A (ko) 주방용 환기장치의 보조필터유닛
JPWO2018230007A1 (ja) 送風装置
WO2019142240A1 (ja) 浴室乾燥機
CN109405072B (zh) 空调室内机
KR20170004358U (ko) 주방용 환기장치의 보조필터유닛
CN218295944U (zh) 具有蚊虫诱捕组件的空调器
JP2015205224A (ja) 空気清浄機
KR20170003153U (ko) 주방용 환기장치
JP6169015B2 (ja) 熱交換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1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4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10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4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