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9820A -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올벼쌀 건조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올벼쌀 건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9820A
KR20170079820A KR1020150190798A KR20150190798A KR20170079820A KR 20170079820 A KR20170079820 A KR 20170079820A KR 1020150190798 A KR1020150190798 A KR 1020150190798A KR 20150190798 A KR20150190798 A KR 20150190798A KR 20170079820 A KR20170079820 A KR 20170079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drying
main body
body housing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0866B1 (ko
Inventor
안점섭
Original Assignee
안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점섭 filed Critical 안점섭
Priority to KR1020150190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866B1/ko
Publication of KR20170079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04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2Rotary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2Preserving by heating
    • A23B9/025Preserving by heating with use of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올벼쌀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타공판이 설치되는 본체 하우징에, 올벼쌀 건조를 위한 가열 공기를 제공하는 가열 공기 제공수단을 구비하고, 본체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며 타공판에 펼쳐진 올벼쌀을 분산시키는 낟알 분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올벼쌀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 상부에 건조된 낟알을 수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건조 낟알 수거장치를 구비하여 올벼쌀 건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올벼쌀 건조와 수거 및 배출을 자동화하여 올벼쌀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노동력 및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이와 같은 구성의 올벼쌀 건조장치로부터 상기 건조 낟알 수거장치를 통해 수거되는 올벼쌀을 이송하는 올벼쌀 이송수단과, 올벼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올벼쌀을 수용하여 포대 등의 적재용기에 적재하는 올벼쌀 적재수단을 구비하여 올벼쌀 건조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생산된 올벼쌀을 포대 등의 별도의 적재용기에 적재하는 공정까지 전자동화할 수 있는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올벼쌀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올벼쌀 건조시스템{An apparatus for drying steamed-grain with dried-grain collecting mechanism and the steamed-grain dry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올벼쌀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타공판이 설치되는 본체 하우징에, 올벼쌀 건조를 위한 가열 공기를 제공하는 가열 공기 제공수단을 구비하고, 본체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며 타공판에 펼쳐진 올벼쌀을 분산시키는 낟알 분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올벼쌀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 상부에 건조된 낟알을 수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건조 낟알 수거장치를 구비하여 올벼쌀 건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올벼쌀 건조와 수거 및 배출을 자동화하여 올벼쌀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노동력 및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이와 같은 구성의 올벼쌀 건조장치로부터 상기 건조 낟알 수거장치를 통해 수거되는 올벼쌀을 이송하는 올벼쌀 이송수단과, 올벼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올벼쌀을 수용하여 포대 등의 적재용기에 적재하는 올벼쌀 적재수단을 구비하여 올벼쌀 건조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생산된 올벼쌀을 포대 등의 별도의 적재용기에 적재하는 공정까지 전자동화할 수 있는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올벼쌀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올벼쌀이란, 완전히 황숙되기 전의 찰벼를 수확하여 쭉정이를 제거한 후, 찜 솥의 증기로 찐 다음 건조 및 도정 작업을 통해 제조되는 쌀을 말한다.
이러한 올벼쌀은 과거에는 이른 가을에 식량을 확충하기 위하여 찰벼가 완전히 익기 전에 찰벼를 베어다 탈곡한 후 쪄서 식량으로 이용되기도 하였으며, 영양분이 풍부하고 독특한 향기가 있어서 간식 등으로 애용되거나, 밥을 할 때 일정양을 넣어 밥을 부드럽게 하고 밥맛을 좋게 하는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종래에는 올벼쌀을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 가마솥 또는 찜 솥에 찐 찰벼를 햇빛을 이용하여 자연건조시킴으로써 올벼쌀을 제조하였으나, 최근에는 노동력 및 작업시간을 절감하고 올벼쌀을 보다 효과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올벼쌀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올벼쌀을 생산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기술의 예가 한국등록특허 제0885059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4-009084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0885059호는 본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 등록된 올벼쌀 건조장치로서,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육면체 형태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타공판과, 하우징 내부를 관통하는 열전달 파이프와, 상기 열전달 파이프를 가열하는 버너와,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기와, 하우징 상부에 구비되어 타공판에 올려진 올벼쌀을 분리시켜주기 위한 낟알 분리기와, 상기 버너, 송풍기 및 낟알분리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0885059호의 올벼쌀 건조장치는, 버너 및 열전달 파이프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송풍기를 통해 타공판의 상부로 배출하도록 하여 상기 타공판에 펼쳐있는 찐 찰벼를 건조시킨 후, 털이개가 구비된 낟알분리기를 이용하여 서로 붙어있는 낟알들을 분리시켜주어 일련의 올벼쌀 건조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올벼쌀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올벼쌀 건조장치는 타공판 위에 펼쳐진 올벼쌀을 건조하는데 상당히 효율적인 장점이 있으나, 건조된 올벼쌀을 수거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타공판 위에 펼쳐진 올벼쌀을 작업자가 삽 등으로 퍼올려 수거해야 함으로써, 여전히 노동력 및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어 수거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2014-0090842호의 올벼쌀 건조장치의 경우, 상술한 한국등록특허 제0885059호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어 올벼쌀을 건조하고 있으며, 하우징 일측면부에 적재함을 형성하고, 적재함 내부에 스크류를 구비하여, 건조된 올벼쌀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하우징 일측면부의 적재함에 올벼쌀을 밀어넣고 스크류를 회전시켜 적재함 일측에 구비된 배출구를 통해 올벼쌀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어, 건조된 올벼쌀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올벼쌀 건조장치를 개량하고 있기는 하나, 이 역시도 작업자가 삽 등을 이용하여 일일이 타공판에 펼져진 올벼쌀을 하우징의 일측면부에 구비된 적재함으로 퍼나르거나 밀어넣어만 스크류를 통해 올벼쌀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여전히 노동력 및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0885059호(등록일: 2009.02.16) "올벼쌀 건조장치" 2. 한국공개특허 제2014-0090842호(공개일: 2014.07.18) "올벼쌀 건조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에 타공판이 설치되는 본체 하우징에, 올벼쌀 건조를 위한 가열 공기를 제공하는 가열 공기 제공수단을 구비하고, 본체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며 타공판에 펼쳐진 올벼쌀을 분산시키는 낟알 분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올벼쌀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 상부에 건조된 낟알을 수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건조 낟알 수거장치를 구비하여 올벼쌀 건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올벼쌀 건조와 수거 및 배출을 자동화하여 올벼쌀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노동력 및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이와 같은 구성의 올벼쌀 건조장치로부터 상기 건조 낟알 수거장치를 통해 수거되는 올벼쌀을 이송하는 올벼쌀 이송수단과, 올벼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올벼쌀을 수용하여 포대 등의 적재용기에 적재하는 올벼쌀 적재수단을 구비하여 올벼쌀 건조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생산된 올벼쌀을 포대 등의 별도의 적재용기에 적재하는 공정까지 전자동화할 수 있는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올벼쌀 건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올벼쌀을 건조하기 위한 올벼쌀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의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개구된 상부에 설치되며, 판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타공판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타공판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을 통해 가열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가열된 공기를 제공하는 가열 공기 제공수단;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되며 상기 타공판 위에서 건조되는 올벼쌀 낟알들을 분산시키는 낟알 분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타공판 위에서 건조된 올벼쌀을 수거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는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는, 본체 하우징에 구비된 가열 공기 제공수단을 통해 타공판 위에 놓여진 올벼쌀을 건조시키고, 낟알 분리기에 구비된 털이개를 이용하여 서로 붙어 있는 올벼쌀을 분리시켜주어 올벼쌀을 건조 과정을 수행하며, 건조된 올벼쌀을 수거하는 경우에는, 건조 낟알 수거장치에 구비된 가로판 및 스크류를 이용하여, 가로판으로 타공판 위에 놓여진 올벼쌀을 쓸어 모으는 동시에, 가로판에 의해 모아지는 올벼쌀을 회전하는 스크류를 통해 본체 하우징 측면부에 구비되는 개폐도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올벼쌀 건조와 수거 및 배출을 자동화할 수 있어 올벼쌀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노동력 및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올벼쌀 건조 시스템은, 올벼쌀을 건조하는 올벼쌀 건조장치와, 올벼쌀 건조장치로부터 상기 건조 낟알 수거장치를 통해 수거되는 올벼쌀을 이송하는 올벼쌀 이송수단 및 상기 올벼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올벼쌀을 수용하여 포대 등의 적재용기에 적재하는 올벼쌀 적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올벼쌀 건조장치를 통해 생산된 올벼쌀을 포대 등의 별도의 적재용기에 적재하는 공정까지 전자동화할 수 있어, 올벼쌀 생산 공정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의 외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 하우징에 구비된 개폐도어(111)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건조 낟알 수거장치의 구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벼쌀 건조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폐도어를 통해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올벼쌀을 컨베이어 벨트로 가이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의 외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 하우징에 구비된 개폐도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낟알 분리기와 건조 낟알 수거장치의 구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100)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의 본체 하우징(110)과;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개구된 상부에 설치되며, 판체에 다수개의 관통공(121)이 형성되는 타공판(120)과;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상기 타공판(120)에 형성된 관통공(121)을 통해 가열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에 가열된 공기를 제공하는 가열 공기 제공수단(130); 및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되며 상기 타공판(120) 위에서 건조되는 올벼쌀 낟알들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낟알 분리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낟알 분리기(200)의 일측에 건조 낟알 수거장치(150)가 구비되어, 올벼쌀의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건조 낟알 수거장치(150)를 통해 타공판(120) 위의 건조 완료된 올벼쌀을 수거하여 본체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건조 낟알 수거장치(150)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낟알 분리기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낟알 분리기와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는, 상부에 타공판이 설치되는 본체 하우징에, 올벼쌀 건조를 위한 가열 공기를 제공하는 가열 공기 제공수단을 구비하고, 본체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며 타공판에 펼쳐진 올벼쌀을 분산시키는 낟알 분리기를 구비하는 동시에, 타공판 위의 건조 완료된 낟알을 수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건조 낟알 수거장치를 구비하여 올벼쌀 건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올벼쌀 건조와 수거 및 배출을 자동화하여 올벼쌀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노동력 및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체 하우징(110)은 상부가 개구된 직육면체의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설치 장소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체 하우징(110)에는 건조된 올벼쌀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본체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면부에 개폐도어(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개폐도어(111)는 힌지 결합 구조에 의해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본체 하우징의 일측면부에서 개방되거나, 또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개폐도어가 각각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본체 하우징의 일측면부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개폐되는 개폐도어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개폐도어(111)가 상부도어(111a) 및 하부도어(111b)로 이루어져, 각각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타공판(120)은 본체 하우징(110)의 개구된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평판으로서, 상부에 올벼쌀 건조시 올벼쌀이 펼쳐져 놓여지며, 판체에는 올벼쌀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타공판(120)은 열전도가 좋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타공판(12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관통공(121)은 각각 대략 1mm ~ 3mm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타공판(120)을 구성하는 물질로서 아연으로 도금된 철판을 사용하였으며, 타공판(120)의 판체에는 직경 2mm 정도의 관통공(121)을 1cm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하였다.
가열 공기 제공수단(130)은 본체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상기 타공판(120)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121)을 통해 가열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에 가열된 공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열 공기 제공수단(130)은 본체 하우징(110)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동시에 유입된 외부 공기를 가열하여, 가열된 공기가 타공판(120)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121)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이와 같은 가열 공기 제공수단(130)은, 본체 하우징(110)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에 구비되어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기(131)와,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를 관통하는 열전달 파이프(132)와, 상기 열전달 파이프(132)의 일단에 연결되어 열전달 파이프(132)를 가열시키는 버너(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체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된 송풍기(131)를 통해 본체 하우징(11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면, 유입된 공기가 본체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열전달 파이프(132)에 의해 가열되어 타공판(120)의 관통공(121)을 통하여 타공판(120) 상부로 배출되며, 관통공(121)을 통해 배출되는 가열공기와 가열공기에 의해 가열된 타공판(120)에 의해 타공판(120) 상부에 펼쳐져 놓여진 올벼쌀들이 효과적으로 건조될 수 있게 된다.
낟알 분리기(200)는 본체 하우징(110)의 상부측에서 본체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타공판(120) 위에서 건조되는 올벼쌀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낟알 분리기(200)는, 본체 하우징(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본체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 프레임(210)과, 상기 이송 프레임(210)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털이개(221)가 장착되는 회전축(220)과, 상기 회전축(220)을 회전시키는 제1 구동모터(230)와, 이송 프레임(210)을 본체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이송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 프레임(210)은 본체 하우징(110)의 상부에서 본체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일 예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10)의 개구부 상단 양측에 이송 프레임(210)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12)이 형성되어 있고, 이송 프레임(210)의 하부 양측에는 본체 하우징(110)의 가이드 레일(112)을 따라 회전하며 이송 프레임(210)을 이송하는 가이드 롤러(211)가 구비되어 있어, 이송 프레임(210)이 본체 하우징(110)의 가이드 레일(112)을 타고 본체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롤러 방식을 통해 이송 프레임(210)이 본체 하우징(110)의 상부에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상술한 가이드 방식 이외에도 LM 가이드 방식 등 다른 다양한 이송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축(220)에는 다수의 털이개(221)가 회전축(220)의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장착되고, 방사형을 이룬 털이개(221)들이 회전축(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털이개(221)는 연철, 알루미늄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저강도의 재질로 제조되며, 털이개(221)의 단부에는 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직물 등으로 이루어진 완충부재(22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구동모터(230)는 이송 프레임(210)에 고정되며 회전축(220)과 연결되어 회전축(220)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220)에 장착된 다수의 털이개(221)가 회전되면서 타공판(120) 위에 서로 엉켜 붙어있는 낟알들을 흐트러뜨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구동모터(230)는 낟알 분리기(200)의 설계 구조에 따라, 회전축(220)의 일측 끝단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축(2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구성되거나, 또는 체인/스프로킷이나 벨트/풀리 등의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회전축(220)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축(2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송부(240)는 이송 프레임(210)에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송 프레임(210)을 본체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서는 이송 프레임(210)이 가이드 롤러(211) 및 가이드 레일(112) 구조에 의해 본체 하우징(110) 상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송 프레임(210)에 구비된 가이드 롤러(211)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본체 하우징(110) 상에서 이송 프레임(210)을 이동시키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서 이송부(240)는 회전축(220)을 회전시키는 제1 구동모터(230)의 동력을 이용하여 이송 프레임(210)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240)는, 회전축(2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스프로킷(241)과, 이송 프레임(21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 롤러(211)와 동축 상에 각각 구비되는 제2 스프로킷(242)과, 상호 대응하게 배치된 제1 스프로킷(241)과 제2 스프로킷(242) 간을 각각 연결하는 동력전달체인(24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1 구동모터(230)가 회전축(220)을 회전시키면, 회전축(2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스프로킷(241)이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 스프로킷(242)을 연결하는 동력전달체인(243)이 이송 프레임(2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2 스프로킷(24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제2 스프로킷(242)과 동축 상에 구비되는 가이드 롤러(211)가 회전하게 되어 본체 하우징(110)의 가이드 레일(112) 상에서 이송 프레임(210)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구동모터(230)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제1 구동모터(23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에 따라 본체 하우징(110)의 가이드 레일(112) 상에서 이송 프레임(210)을 좌·우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을 회동시키는 제1 구동모터와 연동하여 이송부를 동작시키고 있으나, 이송 프레임이 레일/롤러 구조가 아닌 다른 이송구조를 구비함에 따라 제1 구동모터와 연동하지 못하는 경우, 이송부에 별도의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이송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부의 구조가 스프로킷/체인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상기 이송부의 구조를 풀리/벨트 구조 등 다른 다양한 구조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건조 낟알 수거장치(300)는 올벼쌀의 건조가 완료되면 타공판(120) 위에 펼쳐진 올벼쌀을 수거하여 본체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후술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 낟알 수거장치(300)가 낟알 분리기(200)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낟알 분리기(200)의 이송부(240) 구동에 따라 본체 하우징(110)에서 낟알 분리기(200)와 건조 낟알 수거장치(300)가 동시 이송되는 구조에 대해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낟알 분리기(200)와 건조 낟알 수거장치(300)에 각각 별도의 이송부를 구비하여, 낟알 분리기(200)와 건조 낟알 수거장치(300)를 별개로 이송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낟알 수거장치(300)는, 낟알 분리기(200)의 이송 프레임(210) 일측에 구비되는 수직 가이드 프레임(310)과, 이송 프레임(210)의 이동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직 가이드 프레임(310)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낟알 수거시 수직 가이드 프레임(310)을 따라 하강하여 타공판(120) 위에 펼쳐져 놓여진 올벼쌀을 훑으며 쓸어모으는 가로판(320)과, 상기 가로판(320)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동에 의해 상기 가로판(320)에 의해 쓸어 모아진 올벼쌀을 본체 하우징(110)의 일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류(330) 및 상기 스크류(330)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모터(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 가이드 프레임(31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이송 프레임(210)의 일측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의 수직 가이드 프레임(310)에는 가로판(320)의 양측 가장자리가 삽입 결합되기 위한 승강 가이드홈(31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수직 가이드 프레임(310)은 이송 프레임(210)의 일측 양단부에 일체로 고정됨으로써, 이송 프레임(210)과 같이 본체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로판(320)은 타공판(120)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한 쌍의 수직 가이드 프레임(310)에 각각 형성된 승강 가이드홈(311)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승강 가이드홈(311)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수직 가이드 프레임(310)이 구비되는 이송 프레임(210)의 상부측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로판(3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수단(35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수단(35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프레임(210) 상부에 축고정되어 구비되는 권취봉(351)과, 권취봉(351)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권취봉(351)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회전 손잡이(352)와, 일단이 권취봉(351)에 권취되고 타단이 가로판(320)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권취봉(351)의 회전에 따라 권취봉(351)에 권취되거나 풀려져 가로판(320)을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3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손잡이(352) 쪽에는 상승 또는 하강된 상태의 가로판(32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동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가 회전 손잡이(352)를 조작하여 권취봉(351)을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권취봉(351)에 와이어(353)를 감거나 풀어 와이어(353)에 고정된 가로판(320)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수동으로 구동되는 승강수단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승강수단에 모터 및 스위치 구조를 추가하여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가로판을 승·하강시키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반드시 승강수단을 구비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직접 가로판을 승강 방향으로 들어올리거나 들어내린 후 고정핀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가로판의 위치를 고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건조 낟알 수거장치(300)를 작동시킴에 있어서, 낟알 수거에는 수직 가이드 프레임(310)에서 가로판(320)을 하강시켜 가로판(320)의 하단을 타공판(120)의 상면에 접하게 함으로써, 이송 프레임(210)의 이송 과정에서 가로판(320)을 통해 타공판(120) 위에 펼쳐져 놓여진 올벼쌀을 훑으며 쓸어모을 수 있게 되며, 또한 낟알 건조시 또는 낟알 분리시에는 수직 가이드 프레임(310)에서 가로판(320)을 상승시켜 타공판(120)으로부터 가로판(320)을 이격하여 고정하게 된다.
또한, 가로판(320)의 일측에는 회동 가능하게 축고정되는 스크류(330)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크류(330) 역시 이송 프레임(210)의 이동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송 프레임(210)의 이동 과정에서 가로판(320)에 의해 쓸어 모아진 올벼쌀을 상기 스크류(330)의 회동을 통해 본체 하우징(110)의 일측면부에 구비된 개폐도어(111) 쪽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개폐도어(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스크류(330)는 가로판(320)의 상부에 고정된 제2 구동모터(340)와 체인 또는 벨트 등을 통해 연결되어 제2 구동모터(340)의 구동에 따라 회동하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올벼쌀을 건조하는 과정에서는, 먼저 본체 하우징(110) 상부에 구비된 타공판(120) 위에 올벼쌀을 골고루 펼쳐 올려놓고, 가열 공기 제공수단(130)을 작동시켜, 송풍기(131)를 통해 본체 하우징(11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동시에, 버너(133) 및 열전달 파이프(132)를 통해 본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켜 타공판(120)의 관통공(121)을 통하여 타공판(120) 상부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과정으로, 타공판(120)의 관통공(121)을 통해 배출되는 가열공기와 가열공기에 의해 가열된 타공판(120)에 의해 타공판(120) 상부에 펼쳐져 놓여진 올벼쌀들이 효과적으로 건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낟알 분리기(200)에 구비된 제1 구동모터(230)를 작동시켜 다수개의 털이개(221)가 장착된 회전축(220)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회전축(220)과 연동하는 이송부(240)를 통해 회전축(220)이 구비된 이송 프레임(210)을 본체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회전하는 다수개의 털이개(221)에 의해 타공판(120)에 펼쳐져 서로 엉켜 붙어있는 올벼쌀 낟알들을 고르게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이송 프레임(210)을 이송하며 털이개(221)를 통해 타공판(120)에 펼쳐진 올벼쌀을 분리하는 과정에서는, 제1 구동모터(230)를 조작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이송 프레임(210)을 본체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왕복 이동시켜 올벼쌀 낟알들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올벼쌀 건조 과정에서는, 수직 가이드 프레임(310)에 구비된 가로판(320)이 타공판(120)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한편, 올벼쌀 건조가 완료된 후에는 가열 공기 제공수단(13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건조 낟알 수거장치(300)를 통해 타공판(120) 위에 펼쳐져 놓여진 올벼쌀을 수거하여 배출하게 된다.
이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프레임(210)을 이송시켜 건조 낟알 수거장치(300)를 본체 하우징(110) 일측 끝단의 초기 위치에 배치시킨 후, 건조 낟알 수거장치(300)의 승강수단(350)에 구비된 회전 손잡이(352)를 조작하여 가로판(320)이 타공판(120)의 상면에 접하도록 가로판(320)을 수직 가이드 프레임(310)에서 하강시켜 배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승강수단에 모터 및 스위치 구조를 추가하여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가로판을 승·하강시키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 하우징(110)의 일측면부에 구비된 개폐도어(111,도2 참조)를 개방하여, 타공판(120)에 놓여진 올벼쌀들이 개방된 본체 하우징(110)의 일측면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개방된 본체 하우징(110)의 일측면부 쪽에는 건조 낟알 수거장치(300)에 의해 본체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는 올벼쌀들을 받아들여 이송하는 올벼쌀 이송수단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 도 8과 관련된 설명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낟알 수거장치(300)에 구비된 제2 구동모터(340)를 작동시켜 가로판(320)의 일측에 구비된 스크류(330)를 작동시키고, 더불어 제1 구동모터(230)를 작동시켜 회전축(220)과 연동하는 이송부(240)를 통해 이송 프레임(210)을 본체 하우징(110)의 타측 끝단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타공판(120)의 상면에 접하도록 구비된 가로판(320)이 타공판(120) 위에 펼쳐져 놓여진 올벼쌀을 훑으며 쓸어모으게 되며, 이와 동시에 가로판(320)의 일측에 구비된 스크류(330)가 회동하여 가로판(320)에 의해 쓸어 모아진 올벼쌀을 본체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측면부에 쪽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본체 하우징(110) 외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는, 본체 하우징에 구비된 가열 공기 제공수단을 통해 타공판 위에 놓여진 올벼쌀을 건조시키고, 낟알 분리기에 구비된 털이개를 이용하여 서로 붙어 있는 올벼쌀을 분리시켜주어 올벼쌀을 건조 과정을 수행하며, 건조된 올벼쌀을 수거하는 경우에는, 건조 낟알 수거장치에 구비된 가로판 및 스크류를 이용하여, 가로판으로 타공판 위에 놓여진 올벼쌀을 쓸어 모으는 동시에, 가로판에 의해 모아지는 올벼쌀을 회전하는 스크류를 통해 본체 하우징 측면부에 구비되는 개폐도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올벼쌀 건조와 수거 및 배출을 자동화할 수 있어 올벼쌀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노동력 및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올벼쌀 건조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벼쌀 건조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폐도어를 통해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올벼쌀을 컨베이어 벨트로 가이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벼쌀 건조시스템은, 올벼쌀을 건조하고, 건조된 올벼쌀을 수거하여 몸체 일측면부에 구비된 개폐도어(111)를 통하여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올벼쌀 건조장치(100)와; 상기 올벼쌀 건조장치(100)의 개폐도어(111)를 통하여 배출되는 올벼쌀을 이송하는 올벼쌀 이송수단(400); 및 상기 올벼쌀 이송수단(400)에 의해 이송되는 올벼쌀을 포대 등의 별도의 적재용기(600)에 적재하는 올벼쌀 적재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올벼쌀 건조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에 타공판(120,도1 참조)이 설치되는 본체 하우징(110), 올벼쌀을 건조하기 위한 가열 공기를 제공하는 가열 공기 제공수단(130,도1 참조) 및 타공판(120,도1 참조) 위의 올벼쌀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낟알 분리기(200) 및 건조 완료된 올벼쌀을 수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건조 낟알 수거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는 건조된 올벼쌀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본체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면부에 개폐도어(111)가 형성되어 있다.
올벼쌀 이송수단(400)은 개폐도어(111)가 구비된 본체 하우징(110)의 일측면부 쪽에 배치되는 이송 컨베이어(4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송 컨베이어(410)를 통해 본체 하우징(110)의 개폐도어(111)를 통하여 배출되는 올벼쌀을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 컨베이어(410)는, 본체 하우징(110)의 일측면부 쪽에 배치되는 컨베이어 프레임(411)과,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4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이송롤러(412)와,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412)에 권취되는 컨베이어 벨트(413) 및 상기 이송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컨베이어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이송 컨베이어(4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이송롤러(412)가 컨베이어 프레임(4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며, 이와 같이 배치된 복수의 이송롤러(412)에 컨베이어 벨트(413)가 권취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413)의 상면이 중앙부를 향해 함몰되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체 하우징(110)의 개폐도어(111)를 통하여 배출되는 올벼쌀이 컨베이어 벨트(413) 위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쌓이게 되며, 이와 동시에 회동하는 컨베이어 벨트(413)에 의해 올벼쌀 적재수단(50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올벼쌀 건조장치(100)의 본체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개폐도어(111)는 상부도어(111a) 및 하부도어(111b)로 이루어져, 각각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하부도어(111b)를 하측 방향으로 개방하는 경우, 하부도어(111b)의 끝단이 컨베이어 벨트(413)의 상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본체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측면부를 통해 배출되는 올벼쌀을 컨베이어 벨트(413)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올벼쌀 적재수단(500)은 올벼쌀 이송수단(400)을 통해 이송되는 올벼쌀을 수용하여 포대 등의 별도의 적재용기(600)에 적재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올벼쌀 적재수단(500)은, 이송 컨베이어(410)를 통해 이송되는 올벼쌀을 수용하는 수거함(510)과, 적재용기(6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용기(600)에 올벼쌀을 공급하여 적재하는 호퍼(520)와, 상기 수거함(510)과 호퍼(520)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수거함(510)에 수용된 올벼쌀을 호퍼(520)로 이송하는 적재용 이송장치(5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재용 이송장치(530)는, 예로써, 상기 수거함(510)과 호퍼(520)의 입구를 연결하는 이송 파이프(531)와, 상기 이송 파이프(531) 내에 구비되어 수거함(510)에 수용되는 올벼쌀을 호퍼(520)의 입구 쪽으로 끌어올려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미도시) 및 상기 이송 스크류(미도시)를 회동시키는 모터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송 컨베이어(410)를 통해 이송되는 올벼쌀이 수거함(510)에 수용되는 동시에, 수거함(510)에 수용된 올벼쌀이 적재용 이송장치(530)를 통해 호퍼(520)로 이송됨으로써, 적재용기(600)의 상부에 구비된 호퍼(520)에서 적재용기(600)로 올벼쌀을 공급하여 적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올벼쌀 건조시스템은, 올벼쌀 건조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올벼쌀을 이송 컨베이어(410)를 통해 이송하여 수거함(510)에 수용하고, 수거함(510)에 수용된 올벼쌀을 적재용 이송장치(530)를 통해 호퍼(520)로 이송하여, 호퍼(520)를 통해 적재용기(600)에 올벼쌀을 적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올벼쌀 건조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올벼쌀을 이송 컨베이어(410)를 통해 이송하여 바로 적재용기(600)로 공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올벼쌀 건조 시스템은, 올벼쌀을 건조하는 올벼쌀 건조장치와, 올벼쌀 건조장치로부터 상기 건조 낟알 수거장치를 통해 수거되는 올벼쌀을 이송하는 올벼쌀 이송수단 및 상기 올벼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올벼쌀을 수용하여 포대 등의 적재용기에 적재하는 올벼쌀 적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올벼쌀 건조장치를 통해 생산된 올벼쌀을 포대 등의 별도의 적재용기에 적재하는 공정까지 전자동화할 수 있어, 올벼쌀 생산 공정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올벼쌀 건조장치 110 : 본체 하우징
111 : 개폐도어 111a : 상부도어
111b : 하부도어 112 : 가이드 레일
120 : 타공판 121 : 관통공
130 : 가열 공기 제공수단 131 : 송풍기
132 : 열전달 파이프 133 : 버너
200 : 낟알 분리기 210 : 이송 프레임
211 : 가이드 롤러 220 : 회전축
221 : 털이개 222 : 완충부재
230 : 제1 구동모터 240 : 이송부
241 : 제1 스프로킷 242 : 제2 스프로킷
243 : 동력전달체인 300 : 건조 낟알 수거장치
310: 수직 가이드 프레임 320 : 가로판
330 : 스크류 340 : 제2 구동모터
350 : 승강수단 351 : 권취봉
352 : 회전 손잡이 353 : 와이어
400 : 올벼쌀 이송수단 410 : 이송 컨베이어
411 : 컨베이어 프레임 412 : 이송롤러
413 : 컨베이어 벨트 500 : 올벼쌀 적재수단
510 : 수거함 520 : 호퍼
530 : 적재용 이송장치 531 : 이송 파이프

Claims (18)

  1. 올벼쌀을 건조하기 위한 올벼쌀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의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개구된 상부에 설치되며, 판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타공판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타공판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을 통해 가열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가열된 공기를 제공하는 가열 공기 제공수단;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되며 상기 타공판 위에서 건조되는 올벼쌀 낟알들을 분산시키는 낟알 분리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타공판 위에서 건조된 올벼쌀을 수거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는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벼쌀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낟알 수거장치는,
    상기 낟알 분리기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낟알 분리기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벼쌀 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낟알 분리기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 프레임과;
    상기 이송 프레임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털이개가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 구동모터; 및
    상기 이송 프레임을 상기 본체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이송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벼쌀 건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이송 프레임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회전하며 상기 이송 프레임을 이송하는 가이드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벼쌀 건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회전축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스프로킷과;
    상기 이송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 롤러와 동축 상에 각각 구비되는 제2 스프로킷; 및
    상호 대응하게 배치된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제2 스프로킷 간을 각각 연결하는 동력전달체인;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벼쌀 건조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털이개의 끝단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벼쌀 건조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낟알 수거장치는,
    상기 이송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직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이송 프레임의 이동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직 가이드 프레임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낟알 수거시 상기 수직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타공판 위에 펼쳐져 놓여진 올벼쌀을 훑으며 쓸어모으는 가로판과;
    상기 가로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동에 의해 상기 가로판에 의해 쓸어 모아진 올벼쌀을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모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벼쌀 건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낟알 수거장치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로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벼쌀 건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이송 프레임의 상부에 축고정되어 구비되는 권취봉과;
    상기 권취봉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권취봉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회전 손잡이와;
    일단부가 상기 권취봉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로판의 상부에 고정되어,상기 권취봉의 회전에 따라 상기 권취봉에 권취되거나 풀려져 상기 가로판을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벼쌀 건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에는,
    상승 또는 하강된 상태의 가로판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벼쌀 건조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면부에는,
    상기 건조 낟알 수거장치에 의해 상기 본체 하우징 일측으로 수거되는 올벼쌀이 배출되는 개폐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벼쌀 건조장치.
  12. 올벼쌀 건조장치를 이용한 올벼쌀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올벼쌀 건조 시스템은,
    상기 제 11항의 구성에 따른 올벼쌀 건조장치와;
    상기 올벼쌀 건조장치의 개폐도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도어를 통해 배출되는 올벼쌀을 적재용기로 이송하는 올벼쌀 이송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벼쌀 건조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올벼쌀 이송수단은,
    이송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벼쌀 건조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올벼쌀 건조장치의 일측에 배치되는 컨베이어 프레임과;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이송롤러와;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에 권취되는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이송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컨베이어 모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는,
    V자 형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이송롤러가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벼쌀 건조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올벼쌀 건조장치에 구비되는 개폐도어는,
    상기 올벼쌀 건조장치의 일측면부로부터 개방되는 경우, 상기 개방된 개폐도어의 끝단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올벼쌀 건조장치의 개방된 일측면부를 통해 배출되는 올벼쌀을 컨베이어 벨트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벼쌀 건조시스템.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올벼쌀 건조 시스템에는,
    상기 올벼쌀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올벼쌀을 수용하여 적재용기에 적재하는 올벼쌀 적재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벼쌀 건조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올벼쌀 적재수단은,
    상기 올벼쌀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올벼쌀을 수용하는 수거함과;
    적재용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용기에 올벼쌀을 공급하여 적재하는 호퍼와;
    상기 수거함과 호퍼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수거함에 수용된 올벼쌀을 상기 호퍼로 이송하는 적재용 이송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벼쌀 건조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용 이송장치는,
    상기 수거함과 호퍼의 입구를 연결하는 이송 파이프와;
    상기 이송 파이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수거함에 수용되는 올벼쌀을 상기 호퍼의 입구 측으로 끌어올려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 및
    상기 이송 스크류를 회동시키는 모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벼쌀 건조시스템.
KR1020150190798A 2015-12-31 2015-12-31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올벼쌀 건조시스템 KR101810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798A KR101810866B1 (ko) 2015-12-31 2015-12-31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올벼쌀 건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798A KR101810866B1 (ko) 2015-12-31 2015-12-31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올벼쌀 건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820A true KR20170079820A (ko) 2017-07-10
KR101810866B1 KR101810866B1 (ko) 2017-12-20

Family

ID=5935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798A KR101810866B1 (ko) 2015-12-31 2015-12-31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올벼쌀 건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1371A (zh) * 2018-06-14 2018-11-30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全自动玉米脱粒研磨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059B1 (ko) 2007-11-09 2009-02-25 안점섭 올벼쌀 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1371A (zh) * 2018-06-14 2018-11-30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全自动玉米脱粒研磨机
CN108901371B (zh) * 2018-06-14 2022-02-11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全自动玉米脱粒研磨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866B1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49573B (zh) 一种中药饮片高效烘干设备
CN107836731A (zh) 一种可自动下料的大豆清洗干燥一体装置
CN102630766A (zh) 一种隧道式毛峰茶烘干机
CN207692869U (zh) 一种大米自动化烘干系统
CN105222554A (zh) 多级烘干装置
CN108433138A (zh) 一种果蔬烘干机
KR101810866B1 (ko)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올벼쌀 건조시스템
CN107444873A (zh) 一种自动化进行烘干筛分操作的茶叶运送机械
CN219141398U (zh) 一种烘干全面的烘干设备
CN207721152U (zh) 一种关于花生的快餐食品生产线
CN212520658U (zh) 一种全自动控制的茶叶烘干设备
CN205040626U (zh) 一种芝麻水洗系统
CN213111620U (zh) 一种凉果晾晒铺料收料装置
CN107348452A (zh) 一种关于花生的快餐食品生产线
CN209338475U (zh) 一种茶油籽烘干清选机
CN103005630A (zh) 链板式辣椒连续干燥机
CN207669832U (zh) 一种橡胶制品的高温除味机
CN106387963A (zh) 一种全自动饲料生产线
CN206891107U (zh) 能够提高保温效果的球形颗粒饲料烘干箱
CN205727906U (zh) 一种自动化的制茶生产线
CN211353761U (zh) 一种自动化茶叶烘干机
CN201928909U (zh) 松散形黄山毛峰茶清洁化生产线
CN205214050U (zh) 小麦烘干装置
CN207600101U (zh) 一种热床式坚果高效干燥装置
CN112167367A (zh) 用于茶叶加工的揉捻装置及其揉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