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706A - Location of fire extinguisher and escape way indicating system - Google Patents
Location of fire extinguisher and escape way indicat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71706A KR20170071706A KR1020150179700A KR20150179700A KR20170071706A KR 20170071706 A KR20170071706 A KR 20170071706A KR 1020150179700 A KR1020150179700 A KR 1020150179700A KR 20150179700 A KR20150179700 A KR 20150179700A KR 20170071706 A KR20170071706 A KR 201700717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unit
- signal
- fire extinguisher
- extinguish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62C13/78—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 또는 화재발생 경고버튼의 입력 신호에 따라 소화기의 위치와 탈출경로를 엘이디램프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된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은 화재감지센서 또는 화재발생 경고버튼을 포함하는 화재신호 입력부와, 상기 화재신호 입력부를 통해 화재발생신호가 입력되면, 무선으로 화재발생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와, 소화기 또는 소화기가 거치되는 거치대에 마련되며, 상기 신호송출부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소화기의 위치 또는 탈출경로를 표시하는 표시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유닛은 상기 신호송출부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화재신호가 수신되면 발광하는 램프부와, 상기 램프부 및 신호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er location and escape route display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the location and escape route of a fire extinguisher through an LED lamp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of a fire detector or a fire alarm button.
A fire signal input unit including a fire detection sensor or a fire alarm button; and a control unit for, when a fire occurrence signal is inputted through the fire signal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provided at a cradle on which a fire extinguisher or a fire extinguisher is mounted and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dispensing unit and displaying a position or escape route of the fire extinguisher,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amp unit and the signal receiving unit. The power supply unit supplies power to the lamp unit and the signal receiving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감지기 또는 화재발생 경고버튼의 입력 신호에 따라 소화기의 위치와 탈출경로를 엘이디램프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된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ing system which can display the position and escape route of a fire extinguisher through an LED lamp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of a fire sensor or fire warning button, And a path display system.
화재는 초기에 발견하여 제때 대응해야 재산과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화재가 최초로 발화한 후에는 시간이 경과될 수록 그 양상이 엄청나게 달라진다. 초기에는 소화기로 간단하게 제압할 수 있지만, 5분만 경과하면 소화기로는 제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엄청난 유독가스와 연기로 인해 대피하기가 힘들어진다.The fire must be discovered early and responded in time to minimize property and casualties. After the fire has first flared, the pattern changes dramatically over time. In the early days, you can easily overpower with a fire extinguisher, but after 5 minutes, you will not be able to control your fire extinguisher, and it will be difficult to evacuate because of the toxic gases and smoke.
일반적으로 사무실, 아파트 등에는 화재 발생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화기의 비치가 필수적이다. 초기 화재를 진압할 때 소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유용하기 때문에, 소화기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화기 설치 장소에는 소화기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 장치가 반드시 설치되어야 한다.Generally, it is essential to have fire extinguishers in offices, apartments, etc. in order to suppress the fire early in case of fire. Since it is very useful to use a fire extinguisher when suppressing the initial fire, a notification device must be installed at the fire extinguisher installation location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fire extinguisher.
종래에는 주로 축광도료를 이용한 소화기의 위치 알림 표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종래 소화기 위치 알림 표지기는 일정크기의 판넬에 축광도료가 도포된 '소화기' 문자를 통해 소화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소화기 위치 알림 표지기의 경우, 화재 발생에 의해 정전이 되거나, 연기로 인해 시야가 방해를 받을 경우 그 위치를 제대로 알려주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또한 소화기가 위치 알림 표지기 아래의 위치에 있지 아니할 경우 소화기를 제때에 사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In many cases, the location warning signs of fire extinguishers mainly using phosphorescent paints have been used in many cases. Conventional fire extinguisher location notification markers are characterized by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through a "fire extinguisher" letter on a panel of a certain size coated with a phosphorescent paint.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fire extinguisher location warning indicator,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fire extinguisher can not be informed of its position when a power outage occurs due to a fire or when the visual field is disturbed due to smoke, and the fire extinguisher is not located below the location notification marker If the fire extinguisher is not available in time.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내등록실용신안 20-0396586호는 소화기 손잡이 내에 건전지를 이용한 조명기구를 설치하고 있으나, 화재시 정전 및 연기로 인해 소화기 자체를 식별해 내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그 사용에는 한계가 있으며 또한 장시간 미사용시에는 건전지가 방전되어 실질적으로 필요시에는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the 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20-0396586 installs a lighting device using a battery in the handle of the fire extinguisher, but it is not easy to identify the fire extinguisher itself due to power outage and smoke in case of fire. In addition, when the battery is not used for a long time, the battery may be discharged and may become useless if it is practically necessary.
또한, 국내등록실용신안 20-0400920호는 교류 전원을 이용한 위치 표시 장치를 벽면에 고정설치하여 화재시 빛과 음향을 이용하여 소화기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위치 표시 장치를 항시 구동함으로 인해 에너지의 불필요한 소비를 유발하게 되고, 소화기가 위치 표시 장치 아래에 있지 아니하고 다른 곳에 위치할 경우 화재시 소화기의 사용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존재한다.In addition,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00920 fixes a location display device using an AC power source on a wall to identify a fire extinguisher by using light and sound in a fire.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ire extinguisher can not be used in case of fire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not located below the position indicating device and is located elsewher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화재 발생 상황에서 화재감지기 또는 화재발생 신고용 버튼의 입력 신호에 따라 소하기를 지지하는 거치대에 마련된 소화기 위치 알림용 램프와 탈출경로 알림용 램프가 점등하도록 함으로써 소화기의 위치 및 탈출경로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nd to provide a fire extinguisher location and escape path display system which can help the fire extinguisher position and escape route to be quickly checked.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은 화재감지센서 또는 화재발생 경고버튼을 포함하는 화재신호 입력부와, 상기 화재신호 입력부를 통해 화재발생신호가 입력되면, 무선으로 화재발생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와, 소화기 또는 소화기가 거치되는 거치대에 마련되며, 상기 신호송출부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소화기의 위치 또는 탈출경로를 표시하는 표시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유닛은 상기 신호송출부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화재신호가 수신되면 발광하는 램프부와, 상기 램프부 및 신호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구비한다.A fire signal input unit including a fire detection sensor or a fire alarm button; and a control unit for, when a fire occurrence signal is inputted through the fire signal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provided at a cradle on which a fire extinguisher or a fire extinguisher is mounted and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dispensing unit and displaying a position or escape route of the fire extinguisher,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amp unit and the signal receiving unit. The power supply unit supplies power to the lamp unit and the signal receiving unit.
상기 표시유닛은 소화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 일측에 상기 램프부가 장착되고, 상기 신호수신부가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isplay unit includes a mounting table having a mounting groove for receiving the fire extinguisher, the lamp unit being mount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signal receiving unit being mounted on one side.
상기 램프부는 소화기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제1 램프부와, 탈출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제2 램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amp unit may include a first lamp unit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and a second lamp unit for indicating the escape route.
상기 신호송출부 및 신호수신부는 지그비(Zigbee)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and the signal receiving unit are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상기 화재입력신호부는 복수개의 화재감지센서 및 화재발생 경고버튼들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송출부는 각각의 화재감지센서 및 화재발생 경고버튼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화재신호에 대하여 무선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표시유닛은 복수개의 소화기 또는 소화기를 거치하는 거치대에 개별적으로 각각 마련되어 상기 신호송출부에서 화재신호를 송출할 때, 각 표시유닛들이 동시에 작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fire input signal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nd fire occurrence warning buttons, and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transmits a radio signal to a fire signal inputted from any one of the fire detection sensors and fire alarm buttons, The display unit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or a cradle that holds a fire extinguisher, and when the fir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each of the display units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simultaneously.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은 화재 발생상황에서 소화기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우므로 화재의 초기진압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탈출경로의 확인을 도와 화재 현장에서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므로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fire extinguisher location and escape rout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in a fire occurrence situation, thereby enhancing the possibility of early suppression of fi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to people and property caused by the fi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소화기 거치대의 일 실시예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fire extinguisher location and escape rout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fire extinguisher stand of FIG. 1,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fire extinguisher location and escape route display system of FIG. 1;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fire extinguisher location and escape rout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10)은 화재신호가 입력되는 화재신호 입력부(10)와, 화재신호를 무선 송출하기 위한 신호송출부(20)와, 각 소화기의 위치 안내 및 탈출 경로 안내를 위한 표시유닛(30)을 포함한다.1 to 3,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location and escape
상기 화재신호 입력부(10)는 화재 발생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재감지센서(11)와 화재발생 경고버튼(12)들로 이루어져 있다.The fire
화재감지센서(11)는 건물 내부 중 주로 천장에 설치되어 건물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것으로서, 화재로 인한 온도 상승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나 연기를 감지하는 반도체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이 적용될 수 있다. The
화재발생 경고버튼(12)은 건물의 여러 지역에 마련되며, 화재가 발생한 상황에서 이를 목격한 목격자가 눌러 화재 발생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A fire alert button (12) is provided in various areas of the building, and when a fire occurs, a witness who witnesses the fire causes the fire to be notified.
본 실시예의 경우 화재신호 입력부(10)가 화재감지센서(11) 및 화재발생 경고버튼(12)을 모두 포함하지만 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e
상기 신호송출부(20)는 상기 화재감지센서(11) 및 화재발생 경고버튼(12)들과 연결되어 화재감지센서(11)에서 화재 발생을 감지하거나 화재발생 경고버튼(12)이 눌려 화재 발생에 대한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화재발생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한다.The
상기 신호송출부(20)는 복수개의 화재감지센서(11)들과 화재발생 경고버튼(12)에 연결되어 이들 중 어느 하나라도 화재발생 신호가 입력되면 화재발생상황으로 인지하고 화재발생 신호를 송출한다.The
신호송출부(20)의 신호는 후술하는 표지유닛의 신호수신부(33)에 수신되는데, 신호송출부(20)와 신호수신부(33)는 지그비(zigbee) 무선통신방식으로 무선신호전송을 한다. A signal of the
지그비는 디지털 라디오를 사용하는 하이레벨 통신 프로토콜이며, 저전력으로 구동이 가능하고, 디바이스의 설치 유지 비용이 저렴하며, 안전성과 신뢰성이 높기 때문에 단순한 신호의 송수신만을 요구하는 본 발명의 무선통신방식으로 적절하다. 물론 신호송출부(20)와 신호수신부(33)의 무선통신 방식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블루투스나 와이파이등 다양한 무선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Since ZigBee is a high-level communication protocol using digital radio, it can be operated with low power, low installation maintenance cost of device, and high safety and reliability, it is suitab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ing only simp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Do. Of cour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the
상기 표시유닛(30)은 상기 신호송출부(20)에서 송출되는 화재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소화기의 위치 및 탈출경로를 표시하도록 형성된 것이다.The
표시유닛(30)은 소화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31)와, 거치대(31)에 설치되는 신호수신부(33), 램프부(34) 및 신호수신부(33)와 램프부(3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37)를 포함한다.The
거치대(31)는 소화기를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하광상협 형태의 육면체이며, 상면에는 소화기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방으로 인입되어 있는 거치홈(32)이 형성되어 있다.The
거치대(31)의 일측에는 신호수신부(33)가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신호송출부(20)에서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한다.A
아울러 거치대(31)의 측면에는 램프부(34)가 마련되는데, 램프부(34)는 제1 램프부(35)와 제2 램프부(36)를 포함한다.The
제1 램프부(35)는 소화기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점등되는 램프로서 일정간격으로 점멸하는 점멸등 형태로 발광하며, 화재 발생시에 점멸하는 제1 램프부(35)를 통해서 소화기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아울러 제2 램프부(36)는 건물 밖으로 탈출할 수 있는 탈출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거치대(31)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탈출하는 사람이 움직여야 할 방향을 화살표 형태로 가리키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램프부(36)는 좌우 방향을 모두 가리킬 수 있도록 램프가 형성되고, 관리자가 지시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별도의 선택버튼 또는 레버가 구비되어 설정된 방향으로 방향을 지시할 수 있게 형성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상기 제1 램프부(35)와 제2 램프부(36)는 신호수신부(33)에서 화재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바로 점등되며, 각 요소위치에 마련되는 소화기들의 거치대(31)에서 일제히 점등이 이루어짐에 따라 소화기를 통해 화재의 초기진압을 가능하게 하고, 기타 인원은 신속하게 건물 밖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돕는다.The
상기 전원공급부(37)는 거치대(31)에 설치되는 신호수신부(33)와 램프부(3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건물의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 및 전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거치대(31)의 이동 및 설치 위치 선정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처럼 건전지를 통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상술한 것처럼 신호수신부(33)가 저전력으로 구동 가능한 지그비 통신방식이 적용되었으며 램프부(34)는 화재가 발생한 상황에서 구동하는 것이므로 표시유닛(30)이 저전력으로 구동 가능하고 건전지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부(37)로도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므로 건전지를 이용한 전원공급부(37)의 구성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Zigbe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10)은 복수의 위치에 화재감지센서(11) 및 화재발생 경고버튼(12)이 구비되어 있고, 화재 발생으로 인해 상기 화재감지센서(11) 또는 화재발생 경고버튼(12)들 중 어느 하나에서라도 화재 발생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면 신호송출부(20)를 통해 화재 발생 신호를 송출한다.The fire extinguisher location and escape
신호송출부(20)에서 송출된 화재 발생 신호는 신호 수신 가능 거리 내에 있는 다수의 표시유닛(30)에서 수신된다. 각 표시유닛(30)들에 마련되어 있는 신호수신부(33)에서 송출된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일제히 제1 램프부(35)와 제2 램프부(36)가 점등된다.The fire gen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화재가 초기에 진압 가능한 상태인 경우 제1 램프부(35)를 통해 소화기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한 후 소화기를 이용해 화재의 초기 진압을 시도할 수 있다. If the fire can be suppressed at an early stage,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ct the posi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through the
아울러 화재 발생으로 인한 인명 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화재 발생 신호가 송출되면 기존의 화재 경고를 위한 알람의 작동으로 대피가 시작되는데, 상기 제2 램프부(36)에서 건물 밖으로 탈출할 수 있는 탈출경로를 안내하기 때문에 건물 내부의 사람은 제2 램프부(36)의 안내를 통해 신속하고 건물 외부로 대피할 수 있다. When the fire signal is transmitted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person caused by the fire, the alarm is activated by the alarm for the existing fire alarm. The escape route for escape from the building through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10)은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인지함과 동시에 바로 소화기의 위치 및 건물 밖으로의 탈출 경로를 신속하게 인지하게 도움으로써 화재의 초기진압을 시도하고, 신속한 건물 외부 대피를 통해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re extinguisher location and escape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
10: 화재신호입력부
11: 화재감지센서
12: 화재발생 경고버튼
20: 신호송출부
30: 표시유닛
31: 거치대
32: 거치홈
33: 신호수신부
34: 램프부
35: 제1 램프부
36: 제2 램프부
37: 전원공급부1: Fire extinguisher location and escape route display system
10: Fire signal input
11: Fire sensor
12: Fire warning button
20:
30: Display unit
31: Cradle
32: Mounting groove
33: Signal receiving section
34:
35: First ramp part
36: Second ramp part
37: Power supply
Claims (5)
상기 화재신호 입력부를 통해 화재발생신호가 입력되면, 무선으로 화재발생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와;
소화기 또는 소화기가 거치되는 거치대에 마련되며, 상기 신호송출부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소화기의 위치 또는 탈출경로를 표시하는 표시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유닛은 상기 신호송출부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화재신호가 수신되면 발광하는 램프부와, 상기 램프부 및 신호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
A fire signal input unit including a fire detection sensor or a fire alarm button;
A signal sending unit for sending a fire occurrence signal wirelessly when a fire occurrence signal is inputted through the fire signal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provided at a stand where a fire extinguisher or a fire extinguisher is mounted and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delivering unit to display the position or escape route of the fire extinguisher,
The display unit includes a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a lamp unit for emitting light when a fire signal is received in the signal receiving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amp unit and the signal receiving unit And the escape route display system.
상기 표시유닛은 소화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 일측에 상기 램프부가 장착되고, 상기 신호수신부가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mount for mounting a fire extinguisher, and a mount for mounting the lamp unit on one sid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 the mount being mount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
상기 램프부는 소화기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제1 램프부와, 탈출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제2 램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mp unit comprises a first lamp unit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and a second lamp unit for indicating the escape route.
상기 신호송출부 및 신호수신부는 지그비(Zigbee)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and the signal receiving unit are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상기 화재입력신호부는 복수개의 화재감지센서 및 화재발생 경고버튼들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송출부는 각각의 화재감지센서 및 화재발생 경고버튼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화재신호에 대하여 무선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표시유닛은 복수개의 소화기 또는 소화기를 거치하는 거치대에 개별적으로 각각 마련되어 상기 신호송출부에서 화재신호를 송출할 때, 각 표시유닛들이 동시에 작동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e input signal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nd fire alarm buttons,
Wherein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transmits a radio signal to a fire signal input from any one of the fire detection sensors and the fire occurrence warning button,
Wherein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or fire extinguishers, respectively, so that when the fir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the display units are configured to operate simultaneous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9700A KR20170071706A (en) | 2015-12-16 | 2015-12-16 | Location of fire extinguisher and escape way indicat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9700A KR20170071706A (en) | 2015-12-16 | 2015-12-16 | Location of fire extinguisher and escape way indicating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1706A true KR20170071706A (en) | 2017-06-26 |
Family
ID=5928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9700A Ceased KR20170071706A (en) | 2015-12-16 | 2015-12-16 | Location of fire extinguisher and escape way indicat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71706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4872B1 (en) * | 2017-12-12 | 2018-05-09 | 탑이앤지 주식회사 | Fire fighting facility operating system |
KR20190092200A (en) | 2018-01-30 | 2019-08-07 |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Safe Escape system with Smart App during Fire Detection |
KR102580324B1 (en) * | 2022-12-16 | 2023-09-20 | 주식회사 더정진 | Fire alarm apparatus with evacuation guidance and fire extinguisher location display function fire alarm system including the same |
-
2015
- 2015-12-16 KR KR1020150179700A patent/KR20170071706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4872B1 (en) * | 2017-12-12 | 2018-05-09 | 탑이앤지 주식회사 | Fire fighting facility operating system |
KR20190092200A (en) | 2018-01-30 | 2019-08-07 |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Safe Escape system with Smart App during Fire Detection |
KR102580324B1 (en) * | 2022-12-16 | 2023-09-20 | 주식회사 더정진 | Fire alarm apparatus with evacuation guidance and fire extinguisher location display function fire alarm system including the same |
WO2024128652A1 (en) * | 2022-12-16 | 2024-06-20 | 주식회사 더정진 | Fire alarm device having evacuation guiding and fire extinguisher location indicating functions and fire alarm system including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169430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moke detection & alarm | |
JP2008204393A (en) | Lighting system | |
KR101818066B1 (en) | LED lamp system having disaster warning and training function | |
JP6576775B2 (en) | Support system | |
KR20180019979A (en) | Emergency leading apparatus with light | |
JP5908047B2 (en) | Lighting device and emergency lighting system | |
KR101644084B1 (en) | Fire fighting facility control system of apartment house | |
KR20180019107A (en) | Lighting fixtures or related improvements | |
KR20170071706A (en) | Location of fire extinguisher and escape way indicating system | |
US11854374B2 (en) | Evacuation guidance system | |
KR101255657B1 (en) | Fire alarm system for hearing-impaired person | |
KR200462003Y1 (en) | Evacuation Information Guide Device | |
JP6253951B2 (en) | Alarm | |
KR101663786B1 (en) | Fire fighting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of apartment house | |
JP6523754B2 (en) | Light alarm device | |
JP2019175557A (en) | Wireless system, setting method and program for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installation position information and address information of multiple devices | |
TWM484769U (en) | Ground type directional asylum system | |
KR101925876B1 (en) | 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with apartment house | |
JP6399572B1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fire and fire alarm system | |
KR20130040372A (en) | Guide light system linked with fire sensor and method of linking guide light with fire sensor | |
JP6890054B2 (en) | Fire extinguisher guidance system, fire alarm adapter and fire extinguisher adapter | |
KR101686476B1 (en) | Gas alarm device have an access hole | |
JP5944971B2 (en) | Emergency lighting system | |
KR101750933B1 (en) | Firefighting sensing and firehouse auto report system of apartment house | |
JP2006081650A (en) |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 installation table, and installation place informing method for fire extinguish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5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