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4795A -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 Google Patents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44795A KR20170044795A KR1020150144017A KR20150144017A KR20170044795A KR 20170044795 A KR20170044795 A KR 20170044795A KR 1020150144017 A KR1020150144017 A KR 1020150144017A KR 20150144017 A KR20150144017 A KR 20150144017A KR 20170044795 A KR20170044795 A KR 201700447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 bar
- bar
- bushing
- bus
- charg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1604129 Polydactylus Species 0.000 claims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64 neutr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19 R-pha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191 S Ph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99 S ph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7—Cross-bar layouts
Abstract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모선 부스바, 모선 부스바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자선 부스바 및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 사이에 개재되어 모선 부스바에 대한 자선 부스바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부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분전반은 공장, 건물, 아파트와 같은 대형 주거지역 등에 전기를 분배하는 동시에 과전류를 차단하여 전기적 사고를 방지하고 부하 기기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종래의 분전반은 전원측으로부터 전력을 인입하고 회로를 차단할 수 있는 주 배선용 차단기와, 주 배선용 차단기의 부하측 단자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메인 부스바와, 주 배선용 차단기로부터의 전력을 부하측으로 분전하기 위한 복수 개의 분기 배선용 차단기와, 상기 메인 부스바로부터 전류 경로를 분기하기 위해 상기 메인 부스바와 상기 분기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부 사이에 접속되는 분기 부스바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분전반은 메인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를 서로 나사 접속하기 위해서 구멍 가공 및 구멍의 내주 면에 나사 면을 형성하는 소위 탭(TAP) 가공이 필요하고 또한 이러한 가공을 위한 특정설비를 필요로 하여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대량 생산이 어렵다.
또한, 종래의 분전반은 다수의 수작업 공정을 필요로 하므로, 제조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고 많은 인력이 소요되어 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종래의 분전반은 사용, 제조, 또는 현장설치 중 회로 추가 등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메인 부스바 및 분기 부스바의 구멍 가공 및 탭 가공으로 인해 그러한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더욱 안정적으로 부스바를 결합 가능한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모선 부스바, 모선 부스바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자선 부스바 및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 사이에 개재되어 모선 부스바에 대한 자선 부스바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부싱을 포함하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부싱은 자선 부스바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자선 부스바가 삽입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부싱은 모선 부스바 및 자선 부스바가 각각의 연장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다.
모선 부스바, 자선 부스바 및 부싱은 서로를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는 차단기의 단자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되게 결합되어 모선 부스바의 단부와 결합되는 차단기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가 부싱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므로,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더욱 안정적으로 부스바를 결합 가능한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에서 모선 부스바, 자선 부스바 및 부싱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에서 부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에서 차단기의 단자와 결합되는 차단기 접속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에서 모선 부스바, 자선 부스바 및 부싱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에서 부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에서 차단기의 단자와 결합되는 차단기 접속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에서 모선 부스바, 자선 부스바 및 부싱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에서 부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에서 차단기의 단자와 결합되는 차단기 접속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1000)는 모선 부스바(100), 자선 부스바(200) 및 부싱(300)을 포함하고, 차단기 접속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분전반의 경우, 복수의 차단기(10, 20),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1000), 부스바 지지대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분전반의 구성부품들은 외함 내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외함은 구성부품들이 배치되는 하부판과 이러한 하부판에 연결되어 구성부품들을 덮는 상부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모선 부스바(100)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부분으로, 어느 하나의 차단기(10)의 부하측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모선 부스바(100)는 전기적 도체로 형성되며, 각각 교류의 상과 중성(N)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모선 부스바(100)는 교류의 R상, S상 및 T상과 중성(N) 용으로 4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자선 부스바(200)는 모선 부스바(100)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부분으로, 다른 하나의 차단기(20)의 전원측 단자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다른 하나의 차단기(20)와 모선 부스바(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다른 하나의 차단기(20)가 3상 4선용 차단기인 경우 4개의 자선 부스바(200)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차단기(20)가 3상 3선용 차단기인 경우 3개의 자선 부스바(200)가 연결될 수 있다.
부싱(300)은 모선 부스바(100)와 자선 부스바(200) 사이에 개재되어 모선 부스바(100)에 대한 자선 부스바(200)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부분으로, 모선 부스바(100)와 자선 부스바(200)가 결합되는 부분은 부싱(300)을 통해 서로 접촉될 수 있고, 나머지 부분은 부싱(300)의 두께만큼 모선 부스바(100)와 자선 부스바(20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1000)는 모선 부스바(100)와 자선 부스바(200)가 부싱(300)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므로,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더욱 안정적으로 부스바(100, 2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모선 부스바(100)와 자선 부스바(200) 사이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어야 하는 부분에서도 별도로 부스바(100, 200)를 절곡하지 않고서 용이하게 간격 유지가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1000)에서, 부싱(300)은 자선 부스바(20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자선 부스바(200)가 삽입 가능한 삽입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300)의 양단 부분이 돌출 형성되어 그 내부가 함입된 형상으로 삽입홈(3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삽입홈(310)에 자선 부스바(200)의 폭이 맞물리게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자선 부스바(200)가 폭 방향으로 모선 부스부(100)에 대하여 유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부스바(100, 200)의 결합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1000)에서, 모선 부스바(100), 자선 부스바(200) 및 부싱(300)은 서로를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나사(400) 결합될 수 있다. 즉, 나사(400)가 종방향으로 자선 부스바(200), 부싱(300) 및 모선 부스바(10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단순한 구조를 통해 부스바(100, 20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분해 및 교체가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차단기 접속부(500)는 차단기(10)의 단자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되게 결합되어 모선 부스바(100)의 단부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차단기(10)와 모선 부스바(10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는 보조적인 부재일 수 있다.
이 경우, 차단기 접속부(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됨으로써, 별도로 모선 부스바(100)를 가공하지 않더라도 최소한의 공간 내에 모선 부스바(100) 및 자선 부스바(200)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2000)에서, 부싱(300)은 모선 부스바(100) 및 자선 부스바(200)가 각각의 연장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다.
즉, 일방향을 따라 모선 부스바(100)가 부싱(300)을 관통하며 설치되고, 그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자선 부스바(200)가 부싱(300)을 관통하며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확실하고 견고하게 모선 부스바(100)와 자선 부스바(200)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부스바(100, 200)의 결합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2000)의 주요 구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1000)의 주요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20: 차단기
100: 모선 부스바
200: 자선 부스바
300: 부싱
310: 삽입홈
400: 나사
500: 차단기 접속부
1000, 2000: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100: 모선 부스바
200: 자선 부스바
300: 부싱
310: 삽입홈
400: 나사
500: 차단기 접속부
1000, 2000: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Claims (5)
-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모선 부스바;
상기 모선 부스바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자선 부스바; 및
상기 모선 부스바와 상기 자선 부스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모선 부스바에 대한 상기 자선 부스바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부싱;
을 포함하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상기 자선 부스바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자선 부스바가 삽입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상기 모선 부스바 및 상기 자선 부스바가 각각의 연장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 부스바, 상기 자선 부스바 및 상기 부싱은 서로를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단기의 단자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되게 결합되어 상기 모선 부스바의 단부와 결합되는 차단기 접속부;
를 더 포함하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4017A KR101825604B1 (ko) | 2015-10-15 | 2015-10-15 |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4017A KR101825604B1 (ko) | 2015-10-15 | 2015-10-15 |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4795A true KR20170044795A (ko) | 2017-04-26 |
KR101825604B1 KR101825604B1 (ko) | 2018-02-06 |
Family
ID=58705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4017A KR101825604B1 (ko) | 2015-10-15 | 2015-10-15 |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5604B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9233B1 (ko) * | 2007-06-07 | 2007-12-05 | 주식회사 대홍전기 | 분전반 |
KR200443444Y1 (ko) * | 2008-10-20 | 2009-02-13 | 정경식 | 부스바 연결장치 |
KR101448160B1 (ko) | 2012-11-08 | 2014-10-07 | 김용학 | 적층 구조식 모듈형 전원 연결장치 |
-
2015
- 2015-10-15 KR KR1020150144017A patent/KR10182560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5604B1 (ko) | 2018-0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05739B2 (en) | High density power/lighting panelboard | |
US8547684B2 (en) | Panelboard having a parallel feeder bars distribution | |
KR101297487B1 (ko) | 멀티 모듈러를 구비하는 분전반 | |
US20060215356A1 (en) | Gas-insulated switchgear assembly | |
KR200331163Y1 (ko) | 배전반 | |
US9478949B2 (en) | Fusible meter stack apparatus, multi-unit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and operational methods | |
KR101209892B1 (ko) |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 |
KR100672960B1 (ko) | 부스바 지지대 | |
US11056861B2 (en) | Conductor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 |
KR100712245B1 (ko) | 분전반 | |
JP6270618B2 (ja) | 接続導体ユニット | |
KR100767400B1 (ko) | 조립식 분전반 | |
KR101825604B1 (ko) |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 |
JP6209277B2 (ja) | バスバーキット | |
JP5289169B2 (ja) | 単相3線式分電盤 | |
KR101466324B1 (ko) |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 |
KR101251605B1 (ko) | 수배전반 및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장치 | |
KR101236917B1 (ko) | 조립식 컴팩트형 표준 분전반 | |
KR101359712B1 (ko) | 모듈형 분전반 | |
KR20170029136A (ko) |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 |
KR100689925B1 (ko) |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기구 | |
KR101120596B1 (ko) | 조립식 표준 분전반 | |
WO2009141246A1 (en) | Adapter, adapter in combination with an mccb for a low voltage switchboard, use of such adapter and an electric switchboard comprising such adapter | |
KR20090100706A (ko) | 산업용 분전반용 분기 접속자 키트 및 이를 구비하는산업용 분전반 | |
KR101602720B1 (ko) |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