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435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435A
KR20170042435A KR1020150141796A KR20150141796A KR20170042435A KR 20170042435 A KR20170042435 A KR 20170042435A KR 1020150141796 A KR1020150141796 A KR 1020150141796A KR 20150141796 A KR20150141796 A KR 20150141796A KR 20170042435 A KR20170042435 A KR 20170042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guide plate
fpcb
light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승관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트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트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트아이
Priority to KR1020150141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2435A/ko
Publication of KR20170042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43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5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specially adapte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r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g. by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W2101/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원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기판을 FPCB로 구성하여 상기 FPC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가 상기 FPCB 기판에 절곡 형성되어 복수의 광원에 방열효과를 극대화하여 상기 광원의 손상을 방지하고, 발광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부의 고정프레임 위에 형성되는 볼 브라켓의 볼힌지의 회전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의 특정 공간에 집중 조명 등이 가능하여 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다양한 연출 등으로 인해 실 내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광을 수용하는 도광판의 전면뿐만 아니라 배면에도 확산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조립하여 전면 및 배면의 양면으로 광을 발산할 수 있어 실 내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FPCB와 일체로 형성되는 커넥터에 연결되는 전선이 고정프레임의 관통공을 따라 배열되어 보호커버의 상부면에 별도의 단자가 형성되지 않아 설치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원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기판을 FPCB로 구성하여 상기 FPC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가 상기 FPCB 기판에 절곡 형성되어 복수의 광원에 방열효과를 극대화하여 상기 광원의 손상을 방지하고, 발광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부의 고정프레임 위에 형성되는 고정로드 고정로드의 볼힌지의 회전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의 특정 공간에 집중 조명 등이 가능하여 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다양한 연출 등으로 인해 실 내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광을 수용하는 도광판의 전면뿐만 아니라 배면에도 확산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조립하여 전면 및 배면의 양면으로 광을 발산할 수 있어 실 내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FPCB와 일체로 형성되는 커넥터에 연결되는 전선이 고정프레임의 관통공을 따라 배열되어 보호커버의 상부면에 별도의 단자가 형성되지 않아 설치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은 전기 공급에 의해 소정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발광하는 LED를 이용한 조명 장치이다. 현재 LED는 발광 수명이 증가하면서 종래 조명등을 대체하여 광고를 위한 사인, 실내외 인테리어 등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실내 조명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형광등을 대체하기 위한 LED 조명 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활용되고 있는 LED 조명 장치는 그 사용에 있어 사용성 및 안정성 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여 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광원부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펜던트형 조명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펜던트형 조명장치의 광원부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조명 장치는 전선에 연결되는 커넥터(c)가 광원부(a)와, 방열판(b)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커넥터(c)와 접하는 PCB 및 광원(a)이 방열판(b)에 접촉하지 않아 상기 방열판에 의한 방열 효과를 최적화할 수 없는 방열 취약부가 발생할 수밖에 없어 상기 광원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왔다.
또한, 종래의 조명 장치는 상기 커넥터(c)가 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조명 장치의 전체적인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밖에 없어 설치 및 운반이 상대적으로 비용이하고 상기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의 미관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추가적으로, 종래의 조명 장치는 실 내의 천정에 수평으로만 고정되어 설치됨으로 인하여 사용의 유연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도 2 및 도3을 참조하면 종래의 조명 장치는 도광판(e) 및 확산판과 결합하여 이를 고정하는 보호대(d))가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어 일반적으로 열에 약한 플라스틱 특성에 의해 안정성에 문제가 있고, 상대적으로 제조 비용 역시 높아 생산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0-0113440호는 넓고 균일한 배광을 가지는 LED 조명에 관한 것으로, PCB가 등기구의 부착면에 부착 또는 다른 형태의 고정물로 장착되었을 때 그 PCB들 간에 소정의 각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그 PCB가 이러한 형태로 등기구 내에 배치되어 점등이 되었을 때 등기구의 배광형태가 넓고 균일한 조도를 형성할 수 있고, 투광부의 단면이 PCB에 대향하도록 하여 보다 넓고 균일한 배광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광원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기판이 FPCB로 형성되어 상기 FPCB와 일체로 형성되는 커넥터를 나머지 FPCB 부분과 절곡 연장 형성될 수 있도록 연결공간이 형성되어 최적의 방열효과를 유지할 수 있어 광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연결공간의 폭을 복수의 광원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전 방향으로 출광하는 광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하여 최적의 광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FPCB와 일체로 형성되는 커넥터를 지면에 수직이 아닌 수평으로 배치하여 광 확산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설치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커넥터에 연결되는 전선이 상기 광원부를 따라 배치되는 것이 아닌 관통부의 고정프레임의 중공부를 따라 배치되어 엄폐 가능하여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볼힌지를 통한 볼힌지 결합에 의해 발광부의 회전 및/또는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의 용도에 따라 각도 조절을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볼힌지의 말단에 와이어 또는 파이프 등의 고정로드가 체결될 수 있어 실의 천정뿐만 아니라 벽면에 설치가 가능하고, 스탠드타입의 설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하여 사용의 유연성을 도모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립에 의하여 도광판의 전면에 설치되는 확산판을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도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도광판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전면 뿐만 아니라 배면에도 출사할 수 있도록 하여 양면 발광과 발광량 조절이 가능한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광판 및 확산판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엣지캡을 종래의 플라스틱 재질이 아닌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여 품질향상을 도모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가능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온도 변화에 따라 받는 영향이 미비하여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하고, 실리콘의 탄성으로 인해 도광판과 확산판의 외주면을 따라 용이하게 조립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광판 및 확산판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엣지캡의 투명도 및/또는 색상을 달리하여 상기 엣지캡을 통해 투과하는 빛의 투과율 및/또는 색상을 조절할 수 있어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에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수용하여 실 내로 발산하고 중앙부에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광 확산부와, 상기 광 확산부의 관통공 내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광을 생성하여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서 광 확산부의 외주면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상기 광 확산부를 향하여 배열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FPCB와, 상기 FPCB와 접촉하여 상기 광원의 손상을 방지하는 방열판을 포함하고, 상기 FPCB 선단부와 말단부 사이에 상기 FPCB에 절곡 연장 형성되는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공간이 형성되어 복수의 광원이 모두 상기 방열판에 의해 보호되어 최적의 방열효과를 유지할 수 있어 상기 광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간의 폭을 복수의 광원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도광판의 방사형 패턴을 형성하여 전 방향으로 출광하는 광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하여 최적의 광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치하여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는 광원부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수용하여 광의 경로를 전면으로 향하게 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도광판에서 나오는 광을 산란시켜 상기 도광판 표면 전반에 걸쳐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확산판과, 상기 광 확산부의 외주면을 따라 조립되어 상기 도광판과 확산판을 고정하는 엣지캡을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부는 설치되는 도광판의 전면뿐만 아니라 배면에도 확산판을 배치할 수 있어 상기 광원부에서 출광하는 광을 전면과 배면 양면으로 발광하도록 하여 양면 발광과 발광량 조절이 가능한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는 설치되는 도광판의 전면뿐만 아니라 배면에도 확산판을 배치할 수 있어 상기 광원부에서 출광하는 광을 전면과 배면 양면으로 발광하도록 하여 양면 발광과 발광량 조절이 가능한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보호커버와 연결되어 관통부에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발광부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고정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볼 브라켓과, 상기 광 확산부 관통공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를 고정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관통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부의 고정프레임의 중공부를 따라 배치되어 엄폐 가능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 브라켓은 회전 및/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볼힌지와, 볼트 체결시점의 상기 볼힌지의 회전 및/또는 각도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볼트를 수용하는 볼트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부가 천정에 수평으로 고정될 뿐만 아니라 천정과 다양한 각도를 이루어 상기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의 광이 확산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실 내의 특정 공간에 집중 조명이 가능하여 상기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볼힌지의 고정프레임과 결합되는 측의 반대편 말단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브라켓과 체결되는 고정로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고정로드는 와이어 또는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어 제품의 설치 측면에서 실의 천정뿐만 아니라 벽면에 설치 가능하고 스탠드타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 가능하여 유연한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엣지캡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광원에서 발생하는 광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받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고, 탄성을 가지므로 도광판과 확산판의 외주면을 따라 용이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엣지캡의 투명도 및/또는 색상을 다양하게 제조하여 상기 엣지캡을 통해 투과하는 빛의 투과율 및/또는 색상을 조절할 수 있어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에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관통부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태극문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원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기판이 FPCB로 형성되어 상기 FPCB와 일체로 형성되는 커넥터를 나머지 FPCB 부분과 절곡 연장 형성될 수 있도록 연결공간이 형성되어 최적의 방열효과를 유지할 수 있어 광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결공간의 폭을 복수의 광원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전 방향으로 출광하는 광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하여 최적의 광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FPCB와 일체로 형성되는 커넥터를 지면에 수직이 아닌 수평으로 배치하여 광 확산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설치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커넥터에 연결되는 전선이 상기 광원부를 따라 배치되는 것이 아닌 관통부의 고정프레임의 중공부를 따라 배치되어 엄폐 가능하여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볼힌지를 통한 볼힌지 결합에 의해 발광부의 회전 및/또는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의 용도에 따라 각도 조절을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볼힌지의 말단에 와이어 또는 파이프 등의 고정로드가 체결될 수 있어 실의 천정뿐만 아니라 벽면에 설치가 가능하고, 스탠드타입의 설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하여 사용의 유연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립에 의하여 도광판의 전면에 설치되는 확산판을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도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도광판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전면 뿐만 아니라 배면에도 출사할 수 있도록 하여 양면 발광과 발광량 조절이 가능한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광판 및 확산판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엣지캡을 종래의 플라스틱 재질이 아닌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여 품질향상을 도모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가능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온도 변화에 따라 받는 영향이 미비하여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하고, 실리콘의 탄성으로 인해 도광판과 확산판의 외주면을 따라 용이하게 조립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광판 및 확산판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엣지캡의 투명도 및/또는 색상을 달리하여 상기 엣지캡을 통해 투과하는 빛의 투과율 및/또는 색상을 조절할 수 있어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에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광원부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펜던트형 조명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펜던트형 조명장치의 광원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 및 광원부가 결합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정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로드 연결부의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측면도
도 11은 전선의 배열을 보여주는 광 확산부의 정면도
도 12는 고정브라켓, 고정로드 및 광 확산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조명 장치의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 및 광원부가 결합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광원, 커넥터 및 방열판의 배치를 보여주는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로드 연결부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전선의 배열을 보여주는 광 확산부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고정브라켓, 고정로드 및 광 확산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조명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조명 장치는 발광부(1), 고정로드(3)와, 고정브라켓(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부(1)는 후술할 광원부(13)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광 확산부(11)를 통해 상기 조명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실 내로 발산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광 확산부(11), 광원부(13)와, 관통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광 확산부(11)는 광원부(13)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수용하여 광의 경로를 전면 또는 전면과 배면의 양면으로 향하게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도광판(111), 확산판(113), 반사판(115)과, 엣지캡(11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확산부는 중앙 측에 후술할 관통부(15)를 형성하기 위한 관통공으로, 예를 들어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외주면은 예를 들어 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명 장치의 디자인을 통한 시각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11)은 전반사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광원부(13)로부터 출광하는 광을 수용하여 전면 또는 전면과 배면의 양면으로 발산하는 구성으로, 재질은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11)은 광 확산부(11)의 외측 외주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확산판(113)은 상기 도광판(111)의 전면 또는 전면과 배면의 양면에 위치하여 상기 도광판(111)에서 나오는 광을 산란시켜 상기 도광판(111) 표면 전반에 걸쳐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확산판(113)은 종래의 엣지형 평판조명과 마찬가지로, 상기 도광판(111)의 전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도광판(111)의 전면 및 배면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13)에서 출사하는 광을 전면 및 배면 양면으로 발광하도록 조립하여 상기 조명 장치를 양면 발광과 발광량 조절이 가능한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어 상기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의 심미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반사면(115)은 도광판(111)의 전면이 아닌 다른 면으로 광이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광을 다시 반사시켜 상기 도광판(111) 내로 돌려 보내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도광판(111)의 배면 및/또는 측면에 배치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확산판(113)을 도광판(111)의 전면 및 배면 양측에 배치시키는 경우 상기 반사면(115)은 도광판(111)의 측면에만 배치되거나 본 발명에서 생략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에 집중 조명을 할 때에는 상기 확산판(113)을 도광판(111)의 전면에 배치하고 상기 반사면(115)을 도광판(111)의 배면에 배치하며, 상기 조명 장치를 통해 심미적 효과를 강조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반사면(115)을 제외하거나 측면에만 배치하고 도광판(111)의 전면 및 배면에 확산판(113)을 배치하여 양면 발광과 발광량 조절이 가능한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어 상기 조명 장치의 활용에 유연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면(115)은 반사면(115)에 부착되는 마감 시트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엣지캡(117)은 상기 광 확산부(11)의 외주면을 따라 조립되어 상기 도광판(111), 확산판(113)과, 반사면(115)을 감싸 고정하는 구성이다. 종래의 엣지캡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표면 경도가 낮아 흠이 나기 쉽고 온도에 의해 변형, 변색 및 노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엣지캡(117)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종래의 플라스틱 재질의 엣지캡과 달리 약간의 충격 등에 의해 쉽게 깨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어 생산성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온도 변화에 받는 영향이 적어 안정성 측면에서도 유리하고, 실리콘의 탄성으로 인해 상기 광 확산부(11)의 외주면을 따라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엣지캡(117)을 제조할 때 투명도 및/또는 색상을 변경하여, 상기 엣지캡(117)을 통해 투과하는 빛의 투과율 및/또는 상기 엣지캡(117)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에서 광을 이용한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엣지캡(117)은 광 확산부(11)의 외주면 형상에 상보적인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광원부(13)는 상기 광 확산부(11)의 관통공의 내측 외주면을 따라 배열되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 원형의 관통공의 내측 외주면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도광판(111)의 전면, 또는 전면과 배면 양면으로 발광하는 광을 생성하여 출광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광원(131), FPCB(133)와, 방열판(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131)은 광을 생성하여 도광판(111)으로 출광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 발광다이오드(LED)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광원(131)에서 출광하는 광이 상기 도광판(111) 내부로 입사하여 도광판(111)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광원(131)과 도광판(111)은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여 위치한다. 상기 광원(131)은 발생하는 광이 상기 광 확산부(11)의 내측 외주면에서 외측 외주면 방향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상기 광 확산부(11)를 향하여 상기 도광판(111)의 내측 외주면과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여 마주보도록 배열되고, 바람직하게 원형의 관통부(15)와 동일한 원형으로 다수 배열되며, 그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FPCB(133)(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는 상기 광원(131)에 접촉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광원(131)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광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FPCB(133)는 광원(131)의 내측 외주면을 따라 광원(131)의 하측에 관통부(15)와 동일한 형상, 바람직하게 원형의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FPCB(133)의 선단부와 말단부는 서로 접촉하지 않고 상기 관통공을 향해 FPCB(133)와 절곡 연장 형성되는 커넥터(C)와 연결되어 일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공간(O)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FPCB(133)는 PCB(연쇄회로기판)의 한 종류로, 연성재료인 폴리이미드(polyimide)를 주요 소재로 사용하여 만든 굴곡성을 가지는 PCB로 구부릴 수 있고,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FPCB(133)를 활용하여 커넥터(connector)(C) 연결을 위해 후술할 방열판(135)에 의해 방열이 곤란한 방열 취약부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방열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C)가 상기 FPCB(133)와 방열판(135) 사이에 끼워져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C)와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는 측면의 광원(131) 및 FPCB(133)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방열판(135)에 의해 용이하게 방열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어 광원(131)의 일부분이 열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러그(P)와 결합하는 커넥터(C)를 상기 개방공간(O)을 통해 FPCB(133)와 절곡 연장하여 형성하고, 바람직하게 90°도 절곡 연장 형성하여 상기 커넥터(C)가 광원(131)과 방열판(135) 사이에 위치하지 않게 되므로 종래와 달리 모든 광원(131)과 FPCB(133)가 상기 방열판(135)의 접촉면(135a)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최적의 방열 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광원(131)이 손상될 우려가 없다. 상기 연결공간(O)은 FPCB(133)와 커넥터(C)의 연결을 위해 개방되어 있어 방열판(135)에 의한 방열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공간으로 상기 광원(131)이 위치할 수 없어, 상기 연결공간(O)의 폭이 넓은 경우 원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131)이 전 방향으로 균일한 광을 출광하지 못하여 광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공간(O)의 폭을 복수의 광원(131)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도광판(111)의 방사형 패턴을 형성하여 전방향으로 출광하는 광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어 최적의 광효율을 달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넥터(C)를 지면과 수직이 아닌 수평이 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광원부의 높이를 다소 낮게 할 수 있어 공간의 제약을 덜 받게 되며 상대적으로 상기 발광부(1)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상기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 역시 있다. 또한, 종래와 달리 상기 커넥터(C)에 연결되는 전선(W)이 후술할 보호커버(155)의 중공부를 따라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중앙의 관통부(15)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51)의 중공부를 따라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방열판(135)은 상기 FPCB(133)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광원(131), FPCB(133) 및/또는 커넥터(C)에서 발생하는 열을 수용하여 광원(131)의 온도를 낮추어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면(135a)과, 상기 접촉면(135a)에 대하여 관통부(15)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절곡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약 90°의 각도로 절곡 형성되는 비접촉면(135b)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면(135a)에서 상기 광원(131) 및 FPCB(133)에서 발생하는 열을 직접적으로 수용한 이후 상기 비접촉면(135b)으로 전도하여 방열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관통부(15)는 후술할 고정브라켓(5)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C)와 연결되는 플러그(P)의 전선(W)을 배열하기 위해 상기 광 확산부(11)의 관통공에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고정프레임(151), 볼 브라켓(153)과, 보호커버(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51)은 상기 발광부(1)를 천정 또는 벽면 또는 스탠드 등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볼 브라켓(153)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내부 중공부를 따라 전선(W)을 배열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태극문양의 형상으로 상기 관통부(15)의 일단에서 상기 관통부(15)의 중심을 가로질러 타단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실 내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고정프레임(151)의 형상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51)은 그 내부로 커넥터(C)에 연결되는 전선(W)이 배열되어 외부에서 상기 전선(W)을 볼 수 없도록 엄폐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반드시 상기 관통부의 일단에서 맞은편 타단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도 8과 같이 관통부의 일단에만 상기 광원부(13)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전선(W)이 배열될 수 있는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상기 볼 브라켓(153)이 수용되어 있는 측의 고정프레임(151)의 상면에 후술할 제 1 볼트 및 제 2 볼트가 각각 제 1 볼트 수용부(153a)와 제 2 볼트 수용부(153b)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볼트 수용부(153a, 153b)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볼 브라켓(153)은 후술할 고정브라켓(5)과 발광부(1)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고정프레임(151)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 로드 (3) 또는 고정브라켓(5)과 , 상기 발광부(1)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고 정브라켓 (5)과 연결될 때 상기 발광부(1)의 각도 조절 및/또는 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위해 제 1 볼트 수용부 (153a), 제 2 볼트 수용부(153b)와 , 볼힌지(ball hinge)(153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볼트 수용부(153a)와 제 2 볼트 수용부(153b)는 회전 가능한 볼힌지(153c)를 고정하기 위해 각각의 볼트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제 1 및 제 2 볼트 수용부(153a, 153b)에 각각의 볼트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볼힌지(153c)의 회전 및/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볼트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볼트 결합 당시의 볼힌지(153c)의 각도 등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도 10을 참조하면,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상기 볼힌지 (153c) 구조에 의하여 상기 볼힌지(153c)의 각도 조절 및/또는 회전에 따라 상기 발광부(1)가 천정에 수평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천정과 다양한 각도를 이루어 상기 조명장치의 실 내로의 광이 확산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의 특정 공간에 집중 조명이 가능할 수 있어 상기 조명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실의 용도에 따라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 실 내에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전술한 볼힌 지(153c) 결합 방식은 반드시 볼트 수용부(153a, 153b)에 볼트가 체결되어 상기 볼힌지(153c)의 회전 및/또는 각도 고정이 가능한 방식 이외의 임의의 공지된 방식일 수 있다 . 또한 상기 볼힌지(153c)의 고정프레임(151)과 결합되는 측의 반대편 말단은 후술할 고정로드 (3), 또는 고정브라켓(5)의 연결고정부(511)와 체결될 수 있고 그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상기 볼힌지(153c)의 말단에 나사선이 형성되어있을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커버(155)는 상기 광 확산부 (11) 관통공의 내측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광원부(13)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광원 부(13)의 배열 형태와 동일한 원형 형상의 상하부 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커버(155)에 따라 광원(131)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도광판(111) 내에 입사되는 광량을 일정 수준 유지할 수 있어 상기 도광판(111)의 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로드(3)는 상기 볼힌지(153c)의 고정프레임(151)과 결합되는 측의 반대편 말단에 체결되어 발광부(1)와 고정브라켓(5)을 연결하여 상기 발광부(1)를 공간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와이어 , 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어 제품의 설치 측면에서 실의 천정뿐만 아니라 벽면에 설치가 가능하고 , 스탠드타입의 설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어 사용의 유연성을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로드(3)와 발광부(1)의 볼힌지 (153c) 말단과의 결합 방식은 임의의 공지의 방식일 수 있고 그 방식에 제한은 없다. 또한,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와이어(W) 등을 통해 상기 발광부(1)를 고정하였으나 본 발명은 한 개의 고정로드(W)만을 통해 상기 발광부(1)를 고정하여 상기 조명 장치가 설치될 수 있어 실 내의 미관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 및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브라켓(5)은 하측 일단이 상기 고정로드(3) 또는 발광부(1)와 연결되고 상측 타단이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발광부(1)를 실 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브라켓(5)은 브라켓몸체(51), 회로기판(53)과, 안정기(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조명 장치를 천정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고정브라켓(5)의 후술할 연결고정부(511)를 직접 볼힌지(153c)의 말단에 체결하여 고정로드(3) 없이 직접적으로 상기 광 확산부(1)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브라켓몸체(51)는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되어 광 확산부(1)를 실 내에 고정하고 내부에 안정기(55)를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브라켓몸체(51)는 연결고정부(511)와 제 1 관통홀(5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고정부(511)는 상기 고정로드(3)의 일단과 체결되어 상기 발광부(1)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브라켓몸체(51)의 하부면과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고정부(511)가 고정로드(3)와 결합하여 고정하는 방식은 임의의 공지의 방식일 수 있고 그 방식에 제한은 없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로드(3)의 일단이 연결고정부(511)에 체결되는 대신 상기 관통부(15)의 볼힌지(153c)의 말단이 직접 상기 연결고정부(511)에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513)은 상기 회로기판(53)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관통홀(533b)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고정나사(533a)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브라켓몸체(51)의 하부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이다.
상기 회로기판(53)은 상기 제 1 몸체부(51) 내부 공간부에 수용되어 상기 안정기(55)에 부착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회로기판(53)의 양 측면에는 브라켓몸체(51)와 결합하기 위한 일정거리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고정나사(533a)가 결합되기 위한 제 2 관통홀(533b)을 포함한다.
상기 안정기(55)는 상기 고정브라켓(5)의 브라켓몸체(53)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SMPS로서, 220V의 교류전압을 해당 LED의 적정 전압(예를 들면, 5V 미만의 직류전압)으로 낮춰주어 LED에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상기 광원(131)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기판을 FPCB(133)로 구성하여 상기 전선이 연결되는 커넥터를 상기 기판과 절곡 연장 형성하여 배열되는 모든 광원(131)에 방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상기 커넥터가 지면과 수직이 아닌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광 확산부(11)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155)의 상부면에 별도의 단자가 형성되지 않아 상기 광 확산부(11)의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엣지캡(117)의 재질을 종래의 플라스틱에서 실리콘으로 변경하여 생산성 향상, 품질 향상, 안정성 향상 및 디자인의 다양화로 인한 심미감 향상의 효과 역시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상기 도광판(111)의 전면뿐만 아니라 배면에도 확산판(113)을 설치하여 양면으로 발광하는 조명으로 활용 가능한 장점 역시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살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발광부
11 : 광 확산부
111 : 도광판 113 : 확산판 115 : 반사면 117 : 엣지캡
13 : 광원부
131 : 광원 133 : FPCB 135 : 방열판
15 : 관통부
151 : 고정프레임
153 : 볼 브라켓 153a : 제 1 볼트 수용부 153b : 제 2 볼트 수용부
153c : 볼힌지
155 : 보호커버
3 : 고정로드
5 : 고정브라켓
51 : 브라켓몸체
511 : 연결고정부 513 : 제 1 관통홀
53 : 회로기판
531 : 나사선 533 : 제 2 관통홀
55 : 안정기
C : 커넥터 P : 플러그 W : 전선 O : 연결공간

Claims (12)

  1.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수용하여 실 내로 발산하고 중앙부에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광 확산부와, 상기 광 확산부의 관통공 내측 외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광을 생성하여 상기 광 확산부의 내측 외주면에서 외측 외주면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상기 광 확산부를 향하여 마주보며 배열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FPCB와, 상기 FPCB와 접촉하여 상기 광원의 손상을 방지하는 방열판을 포함하고,
    상기 FPCB 선단부와 말단부 사이에 상기 관통공을 향하여 FPCB에 절곡 연장 형성되는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공간이 형성되어 복수의 광원이 모두 상기 방열판에 의해 보호되어 최적의 방열효과를 유지할 수 있어 상기 광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간의 폭을 복수의 광원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도광판의 방사형 패턴을 형성하여 전 방향으로 출광하는 광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하여 최적의 광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치하여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는 광원부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수용하여 광의 경로를 전면으로 향하게 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도광판에서 나오는 광을 산란시켜 상기 도광판 표면 전반에 걸쳐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확산판과, 상기 광 확산부의 외주면을 따라 조립되어 상기 도광판과 확산판을 고정하는 엣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는 설치되는 도광판의 전면뿐만 아니라 배면에도 확산판을 배치할 수 있어 상기 광원부에서 출광하는 광을 전면과 배면 양면으로 발광하도록 하여 양면 발광과 발광량 조절이 가능한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보호커버와 연결되어 관통부에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발광부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볼 브라켓과, 상기 광 확산부 관통공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를 고정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관통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부의 고정프레임의 중공부를 따라 배치되어 엄폐 가능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볼 브라켓은 회전 및/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볼힌지와, 볼트 체결시점의 상기 볼힌지의 회전 및/또는 각도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볼트를 수용하는 볼트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부가 천정에 수평으로 고정될 뿐만 아니라 천정과 다양한 각도를 이루어 상기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의 광이 확산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실 내의 특정 공간에 집중 조명이 가능하여 상기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볼힌지의 고정프레임과 결합되는 측의 반대편 말단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브라켓과 체결되는 고정로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고정로드는 와이어 또는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어 제품의 설치 측면에서 실의 천정뿐만 아니라 벽면에 설치 가능하고 스탠드타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 가능하여 유연한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캡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광원에서 발생하는 광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받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고, 탄성을 가지므로 도광판과 확산판의 외주면을 따라 용이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캡의 투명도 및/또는 색상을 다양하게 제조하여 상기 엣지캡을 통해 투과하는 빛의 투과율 및/또는 색상을 조절할 수 있어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실 내에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관통부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태극문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KR1020150141796A 2015-10-08 2015-10-08 조명 장치 Ceased KR20170042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796A KR20170042435A (ko) 2015-10-08 2015-10-08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796A KR20170042435A (ko) 2015-10-08 2015-10-08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435A true KR20170042435A (ko) 2017-04-19

Family

ID=5870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796A Ceased KR20170042435A (ko) 2015-10-08 2015-10-08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24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752B1 (ko) 엘이디 램프
US8733970B2 (en) Lighting apparatus with light controlling reflective layer
US20100244648A1 (en) Led lighting lamp
WO2011111622A1 (ja) 照明装置
JP2009266780A (ja) 発光体および照明器具
US87708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thway or similar lighting
KR101126194B1 (ko) 엘이디 조명 장치
CN107084368A (zh) 透镜及光源模组
JP2011154832A (ja) 照明装置
KR200425784Y1 (ko) 진열장용 조명장치
US9188294B1 (en) LED-based optically indirect recessed luminaire
JP5918835B2 (ja) 照明装置
JP4902006B2 (ja) 照明装置
JP2011049154A (ja) Led照明灯
US9945533B1 (en) Uniform lens illumination in downlight fixtures
KR100983645B1 (ko) 형광등 대체용 엘이디 조명 장치
JP5559649B2 (ja) 照明装置
KR20170121348A (ko) 천정 취부형 조명 장치
KR200466811Y1 (ko) 조명장치용 벽부 고정 브라켓
KR20170120750A (ko) 엣지형 조명 장치
JP5116865B2 (ja) 照明装置
KR20170042435A (ko) 조명 장치
JP2008016314A (ja) Ledを用いた光源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
KR101397987B1 (ko) 면조명 장치
EP3772609A1 (en) Reflector system for reducing the unified glare rating from luminaires with led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1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6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