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668A - 다이, 필름 제조 설비, 용액 제막 방법 및 용융 제막 방법 - Google Patents

다이, 필름 제조 설비, 용액 제막 방법 및 용융 제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668A
KR20170038668A KR1020160120530A KR20160120530A KR20170038668A KR 20170038668 A KR20170038668 A KR 20170038668A KR 1020160120530 A KR1020160120530 A KR 1020160120530A KR 20160120530 A KR20160120530 A KR 20160120530A KR 20170038668 A KR20170038668 A KR 20170038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utlet
die
pair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헤이 하마치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8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24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3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1/38Moulds, cores or other substrates
    • B29C47/0021
    • B29C47/00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3Extrusion nozzles or dies using dies or die parts movable in a closed circuit, e.g. mounted on movable endless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30Drawing through a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9/00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 B29C69/001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a shaping technique combined with cutting, e.g. in parts or slices combined with rearranging and joining the cut parts
    • B29C69/002W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다이의 대형화를 억제해서 제조 효율을 향상시켜, 필름의 장변 방향으로 연장된 선의 발생을 억제하는 다이, 필름 제조 설비, 용액 제막(製膜) 방법, 용융 제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이의 출구는 점감부(61)와 일정부(63)를 구비한다. 점감부(61)는, 출구의 X 방향의 단부 가장자리(49e)로부터 100㎜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X 방향의 중앙을 향해서 Y 방향의 길이가 점감한다. 일정부(63)는, 한쪽의 점감부(61)와 다른 쪽의 점감부 사이에 형성되며, Y 방향의 길이가 X 방향에 있어서 일정하다. 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선단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점감부(61)와 선단면의 경계(66)는, 출구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된 원호부(67)를 갖는다. 원호부(67)는 점감부(61)와 일정부(63)의 접속 위치(69)로부터 단부 가장자리(49e)를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원호부(67)의 반경은 100㎜ 이상이다.

Description

다이, 필름 제조 설비, 용액 제막 방법 및 용융 제막 방법{DIE, FILM PRODUCTION FACILITY, SOLUTION FILM-FORMING METHOD AND MELT FILM-FORMING METHOD}
본 발명은, 다이, 필름 제조 설비, 용액 제막(製膜) 방법 및 용융 제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에 이용되는 보호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은 공업적으로는 통상적으로 장척으로 제조되며, 목적으로 하는 크기로 커트되어 사용에 제공된다. 장척의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크게 분류해서, 용액 제막 방법과 용융 제막 방법(용융 압출 방법)이 있으며, 디스플레이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필름은 주로 용액 제막 방법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주로 용융 제막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용액 제막 방법은, 다이로부터, 폴리머가 용매에 용해된 폴리머 용액을 주행하는 지지체를 향해서 유출함으로써 지지체 상에 유연막(流延膜)을 형성하고, 유연막을 지지체로부터 벗겨내서 건조하는 제막 방법이다. 용융 제막 방법은, 폴리머가 용융된 용융 폴리머를 다이의 내부에서 막 형상으로 해서 압출하는 제막 방법이다. 이와 같이, 용액 제막 방법과 용융 제막 방법 중 어느 것에서도, 다이가 이용되며, 폴리머 용액 또는 용융 폴리머가 내보내지는 다이의 출구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학 필름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제조된 필름, 혹은 제조 과정에 있는 필름을 텐터라 불리는 연신 장치에 의해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우가 많다. 텐터는 핀 또는 클립 등의 유지 부재에 의해 필름의 측단부를 유지하고, 유지 부재의 주행에 의해 필름을 장변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폭 방향으로 연신한다.
핀 또는 클립으로 유지하는 필름의 측단부는 일정 이상의 강도가 없으면 연신에 의해 찢어져 버리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두께가 필요하다. 특히, 최근에는 필름의 박막화의 요청이 높아, 두께를 작게 할수록 측단부를 두껍게 할 필요성이 커진다. 또한, 용액 제막 방법에 의해 필름을 제조할 경우에는,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연신하는 것이 통례이므로, 유연막의 두께에 폭 방향으로 분포를 가지게 된다. 즉, 폭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는 제품으로서 요구되는 두께의 필름으로 하기 위해 얇게 하고, 측단부는 연신에서의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부보다도 두껍게 한다. 이러한 유연막의 두께의 폭 방향에서의 조정은 다이의 출구의 간극을 조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14-148125호 공보에는, 다이의 출구에 구비된 볼트 등에 의해 출구의 간극을 증감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출구의 장변 방향의 중앙부와 각 측단부의 간극을 독립해서 조절하고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2005-279956호 공보에는, 폴리머 용액용의 유로에 부가해서, 유연막의 양 측단부의 두께를 보정하는 보정용 유로를 구비하는 다이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이 다이를 이용해서 유연막의 양 측단부의 각각의 두께를 독립적으로 제어해, 제품으로 되는 중앙부와 연신 후에 절제(切除)되는 양 측단부를 다른 두께로 형성하고 있다.
일본국 특개2013-144399호 공보에도, 텐터의 핀으로 유지되는 측단부가 제품으로 되는 중앙부보다도 두꺼운 유연막을 형성해서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핀으로 유지되는 필름은,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평탄하게 형성된 중앙부와, 이 중앙부의 끝으로부터 측단을 향해서 서서히 두께가 늘어나는 경사부와, 이 경사부의 끝과 같은 두께로 평탄하게 형성된 단부(端部)를 구비한다. 중앙부는 제품으로 되는 부분이며, 그 두께는 40㎛ 이하가 바람직한 것으로 되어 있다. 단부는, 중앙부보다도 20㎛ 이상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필름을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경사부의 표면은 중앙부와 단부의 양 표면을 직선으로 잇고 있다. 이와 같은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일본국 특개2013-144399호 공보에는, 중앙부보다도 측단부의 폴리머 용액의 유연량이 많아지도록, 다이의 출구의 간극을 조정하는 것을 바람직한 방법으로서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국 특개2014-148125호 공보의 방법은, 금속 블록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다이의 선단부(립부)의 변형을 이용한 조정이기 때문에, 립부의 강성에 의해, 출구의 장변 방향에 있어서 국소적인 조정은 할 수 없다. 그 결과, 유지 부재로 유지하는 측단부보다도 폭 방향 내측의 영역까지 두께가 커져 버려, 제품으로서 취득할 수 있는 폭(이하, 취득 폭이라 칭함)이 작아져서 제조 효율이 저하한다. 일본국 특개2005-279956호 공보의 방법도 측단부에 부가해서 그 폭 방향 내측의 영역도 두께가 커져 버려 제조 효율이 저하한다. 또한, 일본국 특개2005-279956호 공보의 방법은, 다이가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국 특개2013-144399호 공보에는, 상기 형상의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다이의 출구에 대하여 구체적인 기재는 없으며, 또한 다이의 출구를 조정하는 구체적 방법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일본국 특개2013-144399호 공보에 기재되는 핀에 유지되는 필름과 같은 형상의 출구를 형성한 다이를 이용했을 경우에는, 경사부와 중앙부의 직경에 대응하는 필름 부분에 장변 방향으로 연장된 선(줄무늬)이 발생해 버린다. 이 선은 극히 적은 깊이로 형성된 홈이며, 텐터로의 연신에 있어서는 이 선의 위치에서 필름이 갈라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다이의 대형화를 억제해서 제조 효율을 향상시켜, 필름의 장변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한 선의 발생을 억제하는 다이, 필름 제조 설비, 용액 제막 방법, 용융 제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이는, 슬릿 형상의 출구가 한 쌍의 점감부(漸減部)와 일정부를 구비하고, 폴리머가 용융 또는 용매에 용해된 폴리머액을 상기한 출구로부터 내보낸다. 한 쌍의 점감부는, 장변 방향의 각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100㎜의 범위 내에 각각 형성되며, 장변 방향의 중앙을 향해서 단변 방향의 길이가 점감한다. 일정부는, 한 쌍의 점감부의 한쪽과 다른 쪽 사이에 형성되며, 단변 방향의 길이가 장변 방향에 있어서 일정하다. 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선단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점감부와 선단면의 경계는, 점감부와 일정부의 접속 위치로부터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향해서, 100㎜ 이상의 곡률 반경으로 출구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곡선부를 갖는다.
상기 선단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경계는, 곡선부로부터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향해서 직선 형상으로 된 직선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선단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직선부는, 출구의 장변 방향과 교차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출구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단변 방향의 길이는, 일정부에 있어서의 단변 방향의 길이의 110% 이상 15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다이 블록과, 볼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다이 블록은, 출구의 단변 방향으로 대향해서 설치되며, 서로의 대향면에 의해서, 폴리머액을 안내하는 내부 유로와 출구를 형성한다. 볼트는, 한 쌍의 다이 블록의 한쪽에 출구의 장변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고, 출구의 단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한 쌍의 다이 블록의 서로의 대향면의 간격을 증감시킴으로써 출구의 단변 방향의 길이를 증감시킨다.
본 발명의 필름 제조 설비는, 다이와 연신 장치를 구비한다. 다이는, 폴리머가 용융 또는 용매에 용해된 폴리머액을 슬릿 형상의 출구로부터 내보내는 다이. 연신 장치는, 다이로부터 내보내져 형성된 필름의 측단부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복수 가지며, 유지 부재의 주행에 의해 필름을 장변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폭 방향으로 연신한다. 상기 출구는, 한 쌍의 점감부와 일정부를 갖는다. 한 쌍의 점감부는, 장변 방향의 각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100㎜의 범위 내에 각각 형성되며, 장변 방향의 중앙을 향해서 단변 방향의 길이가 점감한다. 일정부는, 한 쌍의 점감부의 한쪽과 다른 쪽 사이에 형성되며, 단변 방향의 길이가 장변 방향에 있어서 일정하다. 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선단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점감부와 선단면의 경계는, 점감부와 일정부의 접속 위치로부터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향해서, 100㎜ 이상의 곡률 반경으로 출구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곡선부를 갖고 있다. 출구의 장변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 위치는,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한 유지 개시 위치에 있어서의 필름의 유지 위치와 같은 또는 유지 위치보다도 필름의 폭 방향 내측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용액 제막 방법은, 폴리머가 용매에 용해된 폴리머액을, 슬릿 형상의 출구로부터 내보내는 다이에 공급하여, 주행하는 지지체 상에 상기 출구로부터 폴리머액을 유출시키는 것에 의해 유연막을 형성하고, 지지체로부터 유연막을 벗겨서 필름을 형성하고, 필름을 건조하는 용액 제막 방법이며, 상기 출구는 한 쌍의 점감부와 일정부를 구비한다. 한 쌍의 점감부는 장변 방향의 각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100㎜의 범위 내에 각각 형성되며, 장변 방향의 중앙을 향해서 단변 방향의 길이가 점감한다. 일정부는, 한 쌍의 점감부의 한쪽과 다른 쪽 사이에 형성되며, 단변 방향의 길이가 장변 방향에 있어서 일정하다. 상기 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선단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점감부와 선단면의 경계는, 점감부와 일정부의 접속 위치로부터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향해서, 100㎜ 이상의 곡률 반경으로 출구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곡선부를 갖는다.
필름의 측단부를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 부재의 주행에 의해 필름을 장변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폭 방향으로 연신하고, 출구의 장변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 위치는, 유지 부재에 의한 유지 개시 위치에 있어서의 필름의 유지 위치와 같은 또는 유지 위치보다도 필름의 폭 방향 내측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융 제막 방법은, 폴리머가 용융된 폴리머액을, 슬릿 형상의 출구로부터 내보내는 다이에 공급하여, 상기 출구로부터 내보내는 것에 의해, 필름을 제조하는 용융 제막 방법이며, 상기 출구는, 상기한 한 쌍의 점감부와 일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선단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점감부와 선단면의 경계는, 점감부와 일정부의 접속 위치로부터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향해서, 100㎜ 이상의 곡률 반경으로 출구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곡선부를 갖는다.
필름의 측단부를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 부재의 주행에 의해 필름을 장변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폭 방향으로 연신하고, 출구의 장변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 위치는, 유지 부재에 의한 유지 개시 위치에 있어서의 필름의 유지 위치와 같거나 또는 유지 위치보다도 필름의 폭 방향 내측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이의 대형화가 억제되고, 연신에서의 필름의 갈라짐의 원인이 되는 장변 방향으로 연장된 선의 발생이 억제되어, 효율적으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목적, 이점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해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읽는 것에 의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한 용액 제막 설비의 개략도.
도 2는 다이의 YZ 평면에 있어서의 단면 개략도.
도 3은 한쪽의 다이 블록측을 본 다이의 단면 개략도.
도 4는 다이의 출구측의 단면도.
도 5는 다이의 출구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다이의 출구와 클립 텐터에서의 필름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인 다이의 출구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인 다이의 출구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인 다이의 출구의 요부 확대도.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인 다이의 출구의 요부 확대도.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인 다이의 출구의 요부 확대도.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인 다이의 출구의 요부 확대도.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을 실시한 필름 제조 설비로서의 용액 제막 설비(10)는 단층 구조의 필름(11)을 만들기 위한 것이며, 상류측에서부터 차례로 유연실(12)과 클립 텐터(13)와 건조실(15)과 냉각실(16)과 권취실(17)을 갖는다. 또 이 예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편광판의 보호막으로서 이용하는 필름(11)을 제조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편광판의 보호 기능을 갖는 위상차 필름 또는 저투습 필름으로서 이용하는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유연실(12)은, 폴리머가 용매에 용해된 폴리머액(이하, 도프라 칭함)(18)으로부터, 용매를 머금은 상태의 필름(11)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 예에서는, 도프(18)의 폴리머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용매를 디클로로메탄과 메탄올의 혼합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도프(18)의 폴리머와 용매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머의 다른 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등을 들 수 있다. 용매의 다른 예로서는 부탄올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복수 종류를 혼합해서 이용해도 되며, 이용하는 폴리머의 종류에 따라서 정해진다.
유연실(12)에는, 다이(20)와, 유연 벨트(22)와, 회전 롤러(23, 24)와, 유연 벨트(22)로부터 유연막(21)을 벗겨내는 벗겨냄 롤러(25)와, 온조(溫調) 장치(26)와, 송풍 장치(27a, 27b) 등이 구비되어 있다.
다이(20)는, 이 예에서는 공급되어 온 도프(18)를 안내하면서 도프(18)의 흐름인 도프류를 막 형상으로 형성해서 유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이(20)의 상세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이용해서 후술한다. 유연 벨트(22)는 다이(20)로부터 유출된 도프(18)를 지지해서 유연막(21)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 롤러(23, 24)에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체로서의 유연 벨트(22)가 걸쳐진다. 회전 롤러(23, 24)는 회전축(23a, 24a)을 가지며, 회전축(23a, 24a)이 도시하지 않는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것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수반하여 유연 벨트(22)는 장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주행한다. 다이(20)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전 롤러(23) 상에 설치하고 있지만, 회전 롤러(23)로부터 회전 롤러(24)를 향한 유연 벨트(22) 상에 설치해도 된다. 주행하는 유연 벨트(22)를 향해서 다이(20)로부터 도프(18)가 연속적으로 유출되는 것에 의해, 유연 벨트(22) 상에 유연막(21)이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지지체로서 회전 롤러(23, 24)에 걸쳐지며 회전 롤러(23, 24)의 회전에 의해 주행하는 유연 벨트(22)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회전 롤러(23, 24)와 유연 벨트(22) 대신에 유연 드럼(도시 없음)을 이용해도 된다.
유연 벨트(22)는 주행 속도가 10m/분 이상 80m/분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유연 속도가 10m/분 이상 80m/분 이하로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연 벨트(22)의 주행 속도를 20m/분으로 하고 있다.
온조 장치(26)는 유연막(21)을 지지하는 유연 벨트(22)의 벨트면의 온도를 소정의 값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유연막(21)이 온조 장치(26)는 회전 롤러(23, 24)에 부착되어 있으며, 전열 매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도시 없음)를 구비하여, 온도 조절부와 회전 롤러(23, 24) 내에 설치되는 유로 사이에서, 원하는 온도로 조절된 전열 매체를 순환시킨다. 이 전열 매체의 순환에 의해, 회전 롤러(23, 24)를 통해서 유연 벨트(22)의 온도를 조절한다.
송풍 장치(27a, 27b)는 유연막(21)을 건조하기 위한 것이다. 송풍 장치(27a, 27b)는 다이(20)보다도 유연 벨트(22)의 주행 방향 하류측에 설치된다. 송풍 장치(27a, 27b)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과하는 유연막(21)을 향해서 건조풍을 송출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연 벨트(22)의 주행 방향을 향해서 유연막(21) 상에 건조풍을 공급하는 것이어도 된다.
유연 벨트(22)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의 다이(20)보다도 상류측에는 감압 챔버(도시 없음)를 배치해도 된다. 이 감압 챔버는 다이(20)로부터 유연 벨트(22)에 이르는 도프(18)인 소위 비드의 절단과 떨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감압 챔버는, 유연 벨트(22)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의 비드보다도 상류측의 분위기를 흡인하는 것에 의해, 비드의 상류측의 압력을 하류측의 압력보다도 낮게 한다. 이 압력 조정에 의해 비드는 안정된다.
벗겨냄 롤러(25)는 그 회전축이 회전 롤러(23)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벗겨냄 롤러(25)는, 이 예에서는 필름(11)의 반송로에 관해서 유연 벨트(22)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둘레면에 필름(11)이 감아 걸쳐진다. 벗겨냄 롤러(25)는 필름(11)의 반송에 수반해서 종동 회전한다. 필름(11)을 벗겨냄 롤러(25)에 감아 걸친 상태에서, 용액 제막 설비(10)의 하류를 향하여 필름(11)이 잡아당겨지는 것에 의해, 유연막(21)이 소정의 벗겨냄 위치에서 유연 벨트(22)로부터 벗겨진다. 또한, 벗겨냄 롤러(25)를 모터에 의해 필름(11)의 반송에 동기해서 회전시켜도 된다.
유연실(12)로부터 클립 텐터(13)에 이르는 반송로에는 복수의 롤러(28)가 배치되며, 이 롤러(28)들은 필름(11)을 클립 텐터(13)로 안내한다. 복수의 롤러(28)에 의해서 설정되는 필름(11)의 반송로의 근방에는, 송풍 장치(도시 없음)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송풍 장치는 용매를 머금은 상태의 필름(11)에 바람을 쏘이는 것에 의해 필름(11)의 건조를 진행시킨다.
클립 텐터(13)는 필름(11)을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연신 장치이며, 필름(11)의 측단부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로서의 클립(29)을 복수 구비한다. 또한, 유지 부재는 클립(29)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핀을 대(臺)에 구비한 핀플레이트여도 된다. 복수의 클립(29)은 체인(13a)(도 6 참조)에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체인(13a)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레일(도시 없음)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체인(13a)의 이동에 의해, 클립(29)은 레일을 따라 순환 이동한다. 클립(29)은 클립 텐터(13)의 입구 근방에서, 안내되어 온 필름(11)의 유지를 개시하며, 출구를 향해서 이동하고 출구 근방에서 유지를 해제한다. 유지를 해제한 클립(29)은 다시 입구 근방으로 이동하여, 새로이 안내되어 온 필름(11)을 유지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클립(29)이 필름(11)의 유지를 개시하는 위치를 유지 개시 위치라 부르며 부호 PS를 붙인다. 클립 텐터(13)는, 클립(29)을 필름(11)의 장변 방향과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필름(11)을 장변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폭 방향으로 연신한다. 클립 텐터(13)에는 송풍 장치(30)가 설치되어 있으며, 반송되는 필름(11)에는 송풍 장치(30)로부터 건조풍이 보내진다.
클립 텐터(13)보다도 하류에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귀퉁이 절단 장치(31)가 설치되어 있어도 되며, 귀퉁이 절단 장치(31)는 필름(11)의 폭 방향 양 측단부를 잘라낸다. 잘라내진 양 측단부는 송풍에 의해 크러셔(32)에 보내지고, 크러셔(32)에 의해 파쇄되어 도프 등의 원료로서 재이용된다.
건조실(15)은 필름(11)을 반송하면서 건조를 더 진행시키기 위한 것이다. 건조실(15)에는 다수의 롤러(34)가 설치되어 있으며, 롤러(34)의 각각에 필름(11)이 감아걸쳐지면서 반송된다. 건조실(15) 내의 분위기의 온도 및 습도 등은 도시하지 않는 공조기에 의해 조절되어 있다.
냉각실(16)은 건조실(15)의 하류에 설치되어 있으며, 필름(11)을 예를 들면 실온으로 될 때까지 냉각하기 위한 것이다. 냉각실(16)은 분위기의 온도 및 습도 등이 도시하지 않는 공조기에 의해 조절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각실(16)의 하류에 널링 부여 롤러(35)를 설치하고 있다. 널링 부여 롤러(35)는 필름(11)의 양 측단부에 다수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널링을 부여한다. 권취실(17)은 프레스 롤러(38)를 갖는 권취기(36)를 구비하며, 권취기(36)에는 필름(11)을 권취하기 위한 권심(卷芯)(37)이 세팅된다. 권취기(36)는 구동부(도시 없음)에 의해서 권심(37)을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필름(11)을 권심(37)에 권취한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20)는 한 쌍의 다이 블록(41, 42)과 한 쌍의 측판(45, 46)을 구비한다. 유연 벨트(22)(도 1 참조)의 폭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수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XZ 평면에 수직인 방향을 Y 방향으로 할 때에, X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다이 블록(41, 42)은 Y 방향에서 대향한다. 측판(45)과 측판(46)은 다이 블록(41, 42)의 X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에 배치되며 이들은 X 방향에서 대향한다. 또한, X 방향은 유연막(21)과 필름(11)의 각각의 폭 방향과 일치한다.
이 예에서는, Y 방향의 도 2에 있어서의 왼쪽이 유연 벨트(22)의 주행 방향에 일치하도록 다이(20)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Y 방향의 도 2에 있어서의 오른쪽이 유연 벨트(22)의 주행 방향에 일치하도록 구성된 다이이어도 된다.
도프(18)가 안내되는 내부 유로(47)는 한 쌍의 다이 블록(41, 42)과 한 쌍의 측판(45, 46)에 의해 둘러싸여서 형성된다. 한 쌍의 측판(45, 46)의 각 내벽면에 도프류의 폭을 규제하는 스페이서판(도시 없음)을 각각 설치했을 경우에는, 내부 유로는 이들 스페이서판과 한 쌍의 다이 블록(41, 42)에 의해서 둘러싸여서 형성된다. 또한, 다이 블록(41)의 다이 블록(42)과 대향하는 대향면을 이하, 제 1 내벽면(41a)이라 칭하고, 다이 블록(42)의 다이 블록(41)과 대향하는 대향면을 이하, 제 2 내벽면(42a)이라 칭한다.
내부 유로(47)는, 이 예에서는 다이(20)를 Z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부 유로(47)의 상단은 다이(20)의 상부에 도프(18)가 공급되는 공급구(48)로서 개구되고, 하단은 다이(20)의 하부에 도프(18)가 막 형상의 도프류를 이뤄서 유출되는 출구(49)로서 도 2 및 도 3에 있어서의 하측의 선단면(20a)에 개구된다. 도프(18)의 흐름 방향은 Z 방향을 따른 도 2 및 도 3에 있어서의 아래쪽 방향이다. 도프(18)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XY 평면에 있어서의 내부 유로(47)의 단면 형상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X 방향으로 길고, Y 방향으로 짧은 직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단, 공급구(48)와 후술하는 공급부(50)에 있어서의 XY 평면에서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 아니어도 되며, 예를 들면 원형이어도 된다. 출구(49)는 X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형상, 즉 X 방향이 장변 방향, Y 방향이 단변 방향으로 된 형상이며, 출구(49)의 상세는 다른 도면을 이용해서 후술한다.
내부 유로(47)는 공급구(48)로부터 출구(49)를 향해서, 공급부(50)와, 제 1 유로부(51)와, 제 2 유로부(52)와, 제 3 유로부(53)를 갖는다. 공급부(50)는 공급구(48)로부터 공급된 도프(18)를 제 1 유로부(51)에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유로부(51)는 도프류를 폭이 넓은 막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유로부(52)는 막 형상의 도프류의 두께를 보다 작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 3 유로부(53)는 제 2 유로부(52)에서 발생한 응력을 완화하거나, 도프류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유량 분포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XY면에 있어서 내부 유로(47)의 Y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이하, Y 방향 길이라 칭함)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구(49)를 향해서, 공급부(50), 제 1 유로부(51), 제 3 유로부(53)에서는 각각 일정하고, 제 2 유로부(52)에서는 연속적으로 점감하고, 제 3 유로부(53)에서는 1단계로 점감한다. 제 3 유로부(53)의 Y 방향 길이가 점감한 영역을 형성하는 한 쌍의 다이 블록(41, 42)과 한 쌍의 측판(45, 46)의 선단(先端) 부분은, 제 1 내벽면(41a)과 제 2 내벽면(42a)의 거리가 보다 좁아지도록 다이 블록(41)측이 요철 가공된 소위 립부(20b)이다. 또한, 공급부(50)와 제 1 유로부(51)의 Y 방향 길이는 서로 동등하다. 한편, XY 평면에 있어서의 내부 유로(47)의 X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이하, X 방향 길이라 칭함)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구(49)를 향해서, 공급부(50), 제 2 유로부(52), 제 3 유로부(53)에서는 각각 일정하고, 제 1 유로부(51)에서는 연속적으로 점증한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의 공급부(50)는 상기와 같이 각각 일정한 Y 방향 길이와 X 방향 길이를 지니므로, 단면의 형상 및 크기는 Z 방향에 있어서 일정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공급부(50)는 Y 방향 길이와 X 방향 길이를 각각 Z 방향에서 변화시킨 것이어도 되며, 즉 XY 평면에서의 단면의 형상 및 크기가 Z 방향에서 변화한 것이어도 된다.
이 예에서는, 립부(20b)는 한 쌍의 다이 블록(41, 42)과 한 쌍의 측판(45, 46)의 각각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태양에 한하지 않으며, 다이 블록(41, 42) 및 측판(45, 46)의 각각으로부터 립부(20b)를 제거한 형상의 각 다이 블록 본체(도시 없음) 및 각 측판 본체(도시 없음)에 착탈 가능한 립 부재로 해도 된다.
다이 블록(41)의 제 1 내벽면(41a)에 있어서, 제 1 유로부(51)와 제 2 유로부(52)의 경계와, 제 2 유로부(52)와 제 3 유로부(53)의 경계는, 각각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으로부터 양단을 향해서 출구(49)로부터의 거리가 연속적으로 점감하고, 도 3 지면(紙面)에 있어서의 좌우 대칭으로, 또한 좌우의 각각에 있어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유로부(53)는 도프(18)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X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양단을 향해서 점감하고 있다.
한 쌍의 다이 블록(41, 42)은 탄성을 갖고 있고, 다이 블록(42)의 제 3 유로부(53)와 반대측에는 복수의 볼트(57)가 X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형태에서도 배치하고 있다. 볼트(57)끼리의 간격은, 예를 들면 25㎜ 이상 10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25㎜로 하고 있다. 볼트(57)는 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Y 방향으로 이동이란, Y 방향을 따른 이동에 한하지 않으며, Y 방향으로 이동 방향의 성분을 갖는 이동이면 된다. 다이 블록(42)의 제 3 유로부(53)와는 반대측에는 볼트 고정 부재(57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볼트 고정 부재(57a)는 볼트(57)의 선단을 고정하며 다이 블록(42)에 대해서는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이 블록(42)에는 도 2에 있어서의 상측에 볼트(57)를 나사 결합 지지하는 지지 부재(58)가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볼트(57)는 볼트 고정 부재(57a)와 일체로 Y 방향으로 이동해, 다이 블록(42)의 립부(20b)를 구성하는 부분을 Y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 1 내벽면(41a)과의 간격을 증감시킨다. 또한, 볼트(57)는 다이 블록(42)에 설치하는 태양에 한하지 않으며 다이 블록(41)에 설치해도 된다. 다이 블록(41)에 설치할 경우에는 다이 블록(41)의 립부(20b)를 구성하는 부분을 Y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 2 내벽면(42a)과의 간격을 증감시킨다. 도 3은 볼트(57)를 25개 도시하고 있지만 그 수는 25에 한하지 않는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20)의 선단면(20a)에 형성되어 있는 출구(49)는 한 쌍의 점감부(61, 62)와 일정부(63)를 구비한다. 점감부(61)와 점감부(62)는 출구(49)의 X 방향의 단부 가장자리(49e)로부터 100㎜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단부 가장자리(49e)로부터 100㎜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점감부(61)와 점감부(62)의 X 방향 길이(Ld)는 100㎜ 이하로 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100㎜로 하고 있다. 점감부(61)와 점감부(62)는 X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을 향해서 Y 방향 길이가 점감하고 있다. 제조 효율의 관점에서 점감부(61)와 점감부(62)는 단부 가장자리(49e)로부터 90㎜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단부 가장자리(49e)로부터 80㎜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점감부(61)와 점감부(62)는 단부 가장자리(49e)로부터 90㎜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부 가장자리(49e)로부터 100㎜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클립 텐터(13)의 클립(29)으로 유지하는 부분의 두께를 보다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도 보다 우수하다. 단, 단부 가장자리(49e)로부터 30㎜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클립 텐터(13)에서의 찢어짐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점감부(61)와 점감부(62)의 X 방향 길이(Ld)는 30㎜ 이상 10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 이상 7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일정부(63)는 점감부(61)와 점감부(62)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X 방향에 있어서 Y 방향 길이가 일정하게 되어 있다. 이 「일정」은 엄격한 의미에서 일정하지 않아도 되며 1% 이내의 변화로 억제되어 있으면 된다.
전술한 복수의 볼트(57)는, 도 4의 복수의 화살표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X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해서 배치된 각 위치에서 출구(49)의 Y 방향 길이를 증감시킨다.
점감부(61)와 점감부(62)는 X 방향의 중앙에 관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이하, 점감부(61)에 대하여 설명하고 점감부(62)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 점감부(61)와 점감부(62)는 X 방향의 중앙에 관해서 비대칭이어도 된다. 선단면(20a)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출구(49)의 점감부(61)와 다이 블록(41)으로 이루어지는 선단면(20a)의 경계(66)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선부의 일 태양인 원호부(67)를 갖고 있으며, 또한 직선부(68)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출구(49)의 점감부(61)와 다이 블록(42)으로 이루어지는 선단면(20a)의 경계는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호부(67)는 점감부(61)와 일정부(63)의 경계(66) 상의 접속 위치(69)로부터 단부 가장자리(49e)를 향해서 출구(49)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원호부(67)의 반경은 적어도 100㎜, 즉 100㎜ 이상으로 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100㎜로 하고 있다. 원호부(67)의 반경은 100㎜ 이상 600㎜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00㎜ 이상 500㎜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예의 곡선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을 지니는 원호부(67)이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타원호 형상을 지니는 타원호부(도시 없음)여도 되고, 혹은 포물선 형상을 지니는 포물선부(도시 없음)여도 된다. 이와 같은 타원호부와 포물선부의 경우에는, 원호부(67)의 반경의 상기 범위를 곡률 반경으로서 갖는다.
직선부(68)는 원호부(67)로부터 단부 가장자리(49e)를 향해서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직선부(68)는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되지만, X 방향과 교차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에서는, 직선부(68)는 원호부(67)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이 태양에 한하지 않는다.
출구(49)의 단부 가장자리(49e)에 있어서의 Y 방향 길이(Le)는, 일정부(63)에 있어서의 Y 방향 길이(Lc)의 110% 이상 15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110%로 하고 있다. 이것은, 일정부(63)의 Y 방향 길이(Lc)에 대한 단부 가장자리(49e)의 Y 방향 길이(Le)의 크기의 비율을 (Le/Lc)×100의 식으로 산출하는 백분율이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단부 가장자리 길이 비율로 칭한다. 단부 가장자리 길이 비율은 115% 이상 15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15% 이상 15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5% 이상 14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20% 이상 13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립 텐터(13)에 있어서 클립(29)에 의해 유지되는 필름(11)의 폭 방향에서의 위치를 유지 위치(PK)로 한다. 출구(49)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 위치(69)는 클립 텐터(13)에서의 유지 개시 위치(PS)에 있어서의 유지 위치(PK)와 같게 되어 있다. 단, X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 위치(69)는, 유지 개시 위치(PS)에 있어서의 유지 위치(PK)보다도 필름(11)의 폭 방향의 내측으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그 태양이어도 된다. 클립 텐터(13)보다도 하류에 텐터를 더 구비할 경우에는, X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 위치에 대응하는 필름 부분이, 그 텐터에서의 유지 개시 위치에 있어서의 유지 위치와 같은, 또는 그 유지 위치보다도 폭 방향 내측으로 되도록, 출구(49)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 위치(69)를 설정하면 된다. 또한, 제품의 폭이 미리 정해져 있을 때에는, 그 폭의 양 가장자리 위치가 접속 위치(69)에 대응하는 필름 위치에 일치 또는 그 필름 위치보다도 폭 방향 내측으로 되도록 접속 위치(69)를 설정하면 된다.
이 예의 다이(20)는 코팅 행거 다이로 되어 있지만, 출구(49)의 상기 구성은 코팅 행거 다이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T 다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프(18)는 펌프(도시 없음)에 의해 다이(20)에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도프(18)는 공급부(50), 제 1 유로부(51), 제 2 유로부(52), 제 3 유로부(53)를 순차 통과한다. 공급부(50)는 제 1 유로부(51)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로 도프(18)를 안내한다.
제 1 유로부(51)는 도프(18)를 제 2 유로부(52)를 향해서 안내하면서, 도프류의 폭을 연속적으로 넓혀서 막 형상으로 한다. 제 2 유로부(52)는, 도프류의 폭을 제 1 유로부(51)에 있어서의 폭으로 유지하면서, 두께를 제 3 유로부(53)를 향해서 연속적으로 점감시킨다.
제 3 유로부(53)는 도프류의 폭을 제 2 유로부(52)에 있어서의 폭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출구(49)까지 안내한다. 도프(18)는, 각 볼트(57)에 의한 다이 블록(42)의 립부(20b)의 제 3 유로부(53)에의 출퇴(出退)에 의해 형성된, 제 1 내벽면(41a)과 제 2 내벽면(42a)의 간극을 지나는 것에 의해서, 도프류의 유량 분포가 폭 방향에 있어서 정밀하게 조절된다.
출구(49)에는 점감부(61)와 점감부(6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X 방향에 있어서 측단부만을 국부적으로 두껍게 한 유연막(21)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클립 텐터(13)에 있어서 유지될 때의 필름(11)은, 다이를 대형화하지 않고, 클립(29)으로 유지되는 양 측단부가 이 측단부들의 사이의 중앙부보다도 큰 두께로 형성되고, 이 때문에 연신 중에 갈라지지 않는다. 또한, 점감부(61)와 점감부(6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출구(49)의 X 방향의 단부 가장자리(49e)로부터 100㎜의 범위 내이기 때무에 필름(11)의 두께가 큰 측단부는 폭이 작게 억제되어 있으므로, 제품의 취득 폭이 크다.
경계(66)가 원호부(67)를 가지므로, 형성되는 필름(11)에는 점감부(61)와 일정부(63)의 경계에 대응하는 부분에 선이 발생하지 않고, 이 때문에 클립 텐터(13)에 의한 연신에 있어서 필름(11)이 갈라지지 않는다. 경계(66)는 직선부(68)를 가지므로, 측단부의 두께가 측면 가장자리를 향해서 보다 확실히 증가한 필름(11)이 형성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제 1 내벽면(41a)을 가공하는 것에 의해 점감부(6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연 벨트(22) 상에 형성되는 유연막(21)의 막면 중, 경계(66)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막면은 유연 벨트(22)에 접한다. 이것에 의해, 점감부(61)와 일정부(63) 경계에 대응하는 부분에 선이 보다 확실히 발생하지 않는다.
직선부(68)는, 출구(49)의 Y 방향 길이가 단부 가장자리(49e)를 향해서 점증하도록, X 방향과 교차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필름(11)의 측단부의 두께는 보다 크게 확보되며, 이것에 의해 클립(29)으로 유지 중인 필름(11)은 보다 찢어지기 어렵다.
단부 가장자리 길이 비율을 110% 이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클립(29)으로 유지되어 있는 동안의 필름(11)은, 보다 확실히 찢어지지 않는다. 단부 가장자리 길이 비율을 150% 이하로 하고 있으므로, 필름(11)의 측단부가 지나치게 두꺼운 것에 의한 컬의 발생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출구(49)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 위치(69)는, 클립 텐터(13)에서의 유지 개시 위치(PS)에 있어서의 유지 위치(PK)와 같게 되어 있으므로, 제품의 취득 폭이 보다 커지게 된다. 출구(49)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 위치(69)가, 클립 텐터(13)에서의 유지 개시 위치(PS)에 있어서의 유지 위치(PK)보다도 필름(11)의 폭 방향 내측으로 되어 있어도, 점감부(61, 6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부 가장자리(49e)로부터 100㎜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클립 텐터(13)에서의 연신으로의 찢어짐이 방지된다.
연신 중의 필름(11)의 찢어짐 및/또는 갈라짐이 방지되는 효과는, 일정한 제조 속도 하에 있어서 필름(11)의 두께를 보다 얇게 할수록 높으며, 필름(11)을 10㎛ 이상 25㎛ 이하의 범위 내의 두께로 제조할 경우에 효과가 현저하고, 15㎛ 이상 20㎛ 이하의 범위 내의 두께로 제조할 경우에 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프(18)는 출구(49)로부터, 주행하는 유연 벨트(22)를 향해서 유출되며, 이것에 의해 유연 벨트(22) 상에 유연막(21)이 형성된다. 출구(49)로부터는 도프류가 폭 방향으로 분포를 가지는 유량으로 유출되므로, 유연막(21)은 두께가 측단부에서 국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유연 벨트(22) 상에서 유연막(21)은 송풍 장치(27a, 27b)로부터의 건조풍에 의해 건조되어, 벗겨내질 때까지 겔화된다. 벗겨냄 롤러(25)는 반송 가능한 정도로 겔화된 유연막(21)을 유연 벨트(22)로부터 연속적으로 벗겨내어, 띠 형상의 필름(11)이 형성된다. 필름(11)은, 클립 텐터(13)의 클립(29)으로 유지되는 측단부의 두께가 측면 가장자리를 향해서 점증한 태양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필름(11)은 출구(49)와 같은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벗겨냄 시의 유연막(21)의 용매 함유율은 20질량% 이상 250질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매 함유율(단위; %)은 건량 기준의 값이며, 구체적으로는 용매의 질량을 MS, 유연막(21) 또는 필름(11)의 질량을 MF로 할 때에 {MS/(MF-MS)}×100으로 구하는 백분율이다.
필름(11)은 클립 텐터(13)로 안내되는 동안, 송풍 장치(도시 없음)에 의해 바람을 맞아 건조가 진행된다. 바람의 온도는 20℃ 이상 2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11)은 클립 텐터(13)에 있어서 반송되면서 건조가 진행된다. 이 건조 동안에 연신되어 폭을 넓힌다. 연신 후에 폭이 좁아지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폭의 변화율은 목적으로 하는 예를 들면 광학 특성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클립 텐터(13)로부터 송출된 필름(11)은 클립 텐터(13)에서의 파지 흔적이 있는 측단부가 귀퉁이 절단 장치(31)로 절제된 후에, 건조실(15)로 보내진다. 두께가 큰 측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폭 방향에 있어서 국부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제하는 영역의 폭도 작게 억제된다. 건조실(15)은 롤러(34)로 필름(11)을 지지하면서 하류측으로 보낸다. 분위기의 온도 및 습도 등이 조절되어 있는 건조실(15)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필름(11)은 보다 건조된다. 필름(11)은 냉각실(16)을 통과함으로써 예를 들면 실온으로 될 때까지 냉각된다.
필름(11)은 냉각된 후, 널링 부여 롤러(35)에 의해 양 측단부에 널링이 부여된다. 널링이 부여된 필름(11)은 제품의 취득 폭이 크며, 권취실(17)에서 권심(37)에 롤 형상으로 권취된다.
이 예에서는, 유연막(21)에 포함되는 용매의 건조에 의해 유연막(21)에 자기(自己) 지지성을 발현시키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냉각에 의해 유연막(21)에 자기 지지성을 발현시켜도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다이 블록(41)의 제 1 내벽면(41a)의 X 방향의 단부를 중앙부보다 오목한 태양으로 가공함으로써 점증부(61)와 점감부(62)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이 블록(42)의 제 2 내벽면(42a)을 마찬가지로 가공하는 것에 의해 점증부(61)와 점감부(62)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의 출구의 형상은, 도 4 지면의 출구(49)와 위아래가 반대인 형상으로 된다. 또한, 가공의 용이함의 관점에서는, 다이 블록(42)보다도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다이 블록(41)을 가공해서 점감부(61)와 점감부(62)를 형성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점감부는, 다이 블록(41)의 제 1 내벽면(41a)과 다이 블록(42)의 제 2 내벽면(42a)의 양쪽에 가공함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점감부(81)로 해도 된다. 점감부(81)는 Y 방향 중앙에 관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점감부(81)와 다이 블록(41)(도 4 참조)으로 이루어지는 선단면(20a)(도 4 참조)의 경계(66)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부(67)와 직선부(68)를 갖는다. 원호부(67)는 점감부(81)와 일정부(63)의 경계(66) 상의 접속 위치(69)로부터 단부 가장자리(49e)를 향해서 출구(49)(도 4 참조)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점감부(61)와 다이 블록(42)(도 4 참조)으로 이루어지는 선단면(20a)의 경계(82)도 경계(66)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호부(67)와 직선부(68)를 갖는다.
점감부는 Y 방향 중앙에 관해서 대상이 아니어도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점감부(86)는 Y 방향 중앙에 관해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점감부(86)와 다이 블록(41)(도 4 참조)으로 이루어지는 선단면(20a)(도 4 참조)의 경계(66)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부(67)와 직선부(68)를 갖는다. 점감부(86)와 다이 블록(42)(도 4 참조)으로 이루어지는 선단면(20a)(도 4 참조)의 경계(82)도 경계(66)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호부(67)와 직선부(68)를 갖는다. 단, 경계(66)와 경계(82)는 원호부(67)의 반경이 서로 다른 것과, 직선부(68)의 연장되는 방향이 Y 방향 중앙에 관해 비대칭으로 되어 있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태양으로 되어 있다.
점감부와 다이 블록(41)(도 4 참조)의 경계(66)와, 점감부와 다이 블록(42)(도 4 참조)의 경계(82)는, 원호부(67)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9에 있어서, 점감부(91)는 다이 블록(41)(도 4 참조)과의 경계가 원호부(67)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예는 모두 점감부의 Y 방향 길이가 출구의 단부 가장자리(40e)로부터 중앙을 향해서 X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점감하고 있는 경우이지만, 단계적으로 점감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직선부를 단차 형상으로 접속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일례로서 도 10에 나타내는 점감부(96)는, 다이 블록(41)(도 4 참조)과의 경계(66)가, 원호부(67)와 접속하는 위치로부터 단부 가장자리(49e)를 향해서 연장된 제 1 직선부(68a)와 제 2 직선부(68b)를 갖는다. 제 1 직선부(68a)와 제 2 직선부(68b)는 각각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계단 형상으로 단차를 설치해서 접속되어 있다. 단수는 1단이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점감부(98)는, 다이 블록(42)(도 4 참조)과의 경계(66)가, X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직선부(68a) 및 제 2 직선부(68b)에 부가해서, X 방향으로 연장된 제 3 직선부(68c)를 가지며 단수는 2단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직선부를 접속해서 계단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의 단수는 2단 이상이어도 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점감부(101)는, 다이 블록(42)(도 4 참조)과의 경계(66)가, 단부 가장자리(49e)를 향해서 차례로, 원호부(67)와, X 방향과 교차하는 제 1 직선부(68a)와, X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직선부(68b)를 갖는다. 이와 같이, 신장된 방향이 다른 복수의 직선부를 형성해도 된다.
상기한 점감부(81, 86, 91, 96, 98, 101)는 단부 가장자리(49e)로부터 100㎜의 범위 내에 형성된다. 또한, 점감부에 있어서의 직선부의 수는 상기한 예에 한하지 않고 3 이상이어도 되며, 또한 그 경우에는 단부 가장자리(49e)를 향해서 Y 방향 길이가 증가하는 태양 하이면 각 직선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달라도 된다.
상기한 다이(20)는 용액 제막 설비에 배치해서 이용하고 있지만 용융 제막 설비에 배치해서 이용해도 된다. 다이(20)를 용융 제막 설비에 이용할 경우에는, 다이 블록(41)과 다이 블록(42) 중 어느 한쪽이 위쪽에, 다른 쪽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다이(20)를 배치한다.
용융 제막에서 이용하는 폴리머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이 있다. 용융 제막 설비로서의 일례는 용융 압출 장치(도시 없음)와 다이(20)를 구비한다. 용융 압출 장치는, 공급 부재로서의 피더로부터 예를 들면 펠릿 형상의 폴리머를 공급하고, 공급된 폴리머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 용융해서 다이(20)로 압출한다. 다이(20)는 용융된 폴리머인 폴리머액을 출구(49)로부터 연속적으로 압출해서 필름을 장척으로 형성한다. 또한, 출구(49)의 하류에 냉각 장치를 설치하고 출구(49)로부터 나온 필름을 예를 들면 실온 정도로 냉각해도 된다. 얻어진 필름은, 예를 들면 권취기(36)에 의해 권심에 권취된다.
[실시예]
[실시예 1]∼[실시예 7]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출구(49)의 형상을 바꾼 6개의 다이(20)를 이용해서 용액 제막 설비(10)에 의해 필름(11)을 제조하고 실시예 1∼실시예 7로 했다. 각 실시예에서 이용한 다이(20)에 관해 단부 가장자리 길이 비율과, 점감부(61, 62)의 X 방향 길이(Ld)와, 복수의 볼트(57)에 의한 출구(49)의 Y 방향 길이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조정의 유무와, 원호부(67)의 반경을, 표 1의 「단부 가장자리 길이 비율」, 「점감부의 X 방향 길이(Ld)」, 「볼트에 의한 조정의 유무」, 「원호부의 반경」의 각 란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했다. 벗겨냄 롤러(25)로 벗겨내진 직후의 필름(11)에 대하여, 두께를 중앙부보다도 크게 하는 측단부의 폭의 목표값을 미리 정해 두었다. 이 목표값은 표 1의 「측단부의 목표폭」란에 나타낸다.
얻어진 각 필름(11)에 대하여, 제조 효율과, 점감부(61, 62)와 일정부(63)의 경계에 대응하는 필름 부분에서의 선의 발생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 및 기준으로 평가했다.
1. 제조 효율
벗겨내진 직후의 각 필름(11)에 대하여, 폭 방향에 있어서, 필름(11)의 한쪽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표 1의 「측단부의 목표폭」에 대해서 150%의 위치(이하, 150% 위치라 칭함)를 특정했다. 예를 들면, 실시예 1과 같이 「측단부의 목표폭」이 100㎜인 경우의 150% 위치는,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으로 150㎜의 위치이고, 실시예 5와 같이 「측단부의 목표폭」이 30㎜인 경우의 150% 위치는,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으로 45㎜의 위치이다. 필름(11)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150% 위치까지의 범위의 두께를 필름(11)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측정했다. 두께의 측정에는 (주)키엔스제의 다층막 두께 측정기 SI-T80을 이용했다. 두께를 측정한 범위 내에서, 필름(11)의 폭 방향에 있어서 10㎜당의 두께의 변화량(이하, 두께 변화율로 칭함)이 2㎛ 이상인 부분을 특정했다. 두께 변화율이 2㎛ 이상인 부분이 2개소 이상 있을 경우에는, 필름(1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중앙 근처의 부분을 특정의 대상 부분으로 했다. 이렇게 해서 특정한 부분의 필름(11)의 폭 방향 중앙측의 단부의 위치를 측단부 개시 위치로 했다. 필름(11)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측단부 개시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단부 폭(WS)으로 했다. 이 측단부 폭(WS)의 하기의 기준에서의 평가를 제조 효율의 평가로 했다. P는 합격, F는 불합격이다. 평가 결과는 표 1의 「평가」의 「측단부의 폭」란에 나타낸다.
P; 측단부 폭(WS)이 표 1의 「측단부의 목표폭」을 기준으로 해서 ±10% 이내인 경우
F; 측단부 폭(WS)이 표 1의 「측단부의 목표폭」을 기준으로 해서 -10%보다 작고 +10%보다 큰 경우
2. 점감부(61, 62)와 일정부(63)의 경계에 대응하는 필름 부분에서의 선의 발생
클립 텐터(13)로 안내하는 필름(11)에 대하여, 두께가 중앙부보다도 커진 측단부의 폭으로부터, 중앙부와 측단부의 경계를 특정하고, 특정한 경계를 점감부(61, 62)와 일정부(63)의 경계에 대응하는 필름 부분으로 했다. 이하의 기준에 의해 선의 발생을 평가했다. P는 합격, F는 불합격이다. 평가 결과는 표 1의 「평가」의 「선의 유무」란에 나타낸다.
P; 눈으로 보아 선이 확인되지 않았을 경우
F; 눈으로 보아 선이 확인되었을 경우
[표 1]
Figure pat00001
[비교예 1]∼[비교예 7]
실시예의 다이(20)를, 점감부(61, 62)의 X 방향 길이와, 원호부의 반경을 표 1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한 출구를 가지는 각 다이로 치환했다. 그리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필름을 만들어 비교예 1∼7로 했다.
실시예와 같은 방법 및 기준으로, 제조 효율과, 점감부(61, 62)와 일정부(63)의 경계에 대응하는 필름 부분에서의 선의 발생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 및 기준으로 평가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Claims (10)

  1. 폴리머가 용융 또는 용매에 용해된 폴리머액을 슬릿 형상의 출구로부터 내보내는 다이에 있어서,
    상기 출구는,
    장변 방향의 각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100㎜의 범위 내에 각각 형성되며, 장변 방향의 중앙을 향해서 단변 방향의 길이가 점감(漸減)하는 한 쌍의 점감부와,
    상기 한 쌍의 점감부의 한쪽과 다른 쪽 사이에 형성되며, 단변 방향의 길이가 장변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일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선단면(先端面)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점감부와 상기 선단면의 경계는, 상기 점감부와 상기 일정부의 접속 위치로부터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향해서, 100㎜ 이상의 곡률 반경으로 상기 출구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곡선부를 갖는 다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경계는, 상기 곡선부로부터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향해서 직선 형상으로 된 직선부를 갖는 다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직선부는, 상기 출구의 장변 방향과 교차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다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에서의 단변 방향의 길이는, 상기 일정부에서의 단변 방향의 길이의 110% 이상 150% 이하의 범위 내인 다이.
  5. 제 1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의 단변 방향으로 대향해서 설치되며, 서로의 대향면에 의해서, 상기 폴리머액을 안내하는 내부 유로와 상기 출구를 형성하는 한 쌍의 다이 블록과,
    상기 한 쌍의 다이 블록의 한쪽에 상기 출구의 장변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며, 상기 출구의 단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상기 한 쌍의 다이 블록의 서로의 대향면의 간격을 증감시킴으로써 상기 출구의 단변 방향의 길이를 증감시키는 볼트
    를 구비하는 다이.
  6. 폴리머가 용융 또는 용매에 용해된 폴리머액을 슬릿 형상의 출구로부터 내보내는 다이와,
    상기 다이로부터 내보내져 형성된 필름의 측단부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복수 가지며, 상기 유지 부재의 주행에 의해 상기 필름을 장변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폭 방향으로 연신(延伸)하는 연신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출구는,
    장변 방향의 각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100㎜의 범위 내에 각각 형성되며, 장변 방향의 중앙을 향해서 단변 방향의 길이가 점감하는 한 쌍의 점감부와,
    상기 한 쌍의 점감부의 한쪽과 다른 쪽 사이에 형성되며, 단변 방향의 길이가 장변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일정부를 갖고,
    상기 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선단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점감부와 상기 선단면의 경계는, 상기 점감부와 상기 일정부의 접속 위치로부터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향해서, 100㎜ 이상의 곡률 반경으로 상기 출구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곡선부를 갖고 있고,
    상기 출구의 장변 방향에서의 상기 접속 위치는,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한 유지 개시 위치에서의 상기 필름의 유지 위치와 같은 또는 상기 유지 위치보다도 상기 필름의 폭 방향 내측으로 되어 있는 필름 제조 설비.
  7. 폴리머가 용매에 용해된 폴리머액을, 슬릿 형상의 출구로부터 내보내는 다이에 공급하여, 주행하는 지지체 상에 상기 출구로부터 상기 폴리머액을 유출시키는 것에 의해 유연막(流延膜)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체로부터 상기 유연막을 벗겨서 필름을 형성하고,
    상기 필름을 건조하는 용액 제막(製膜) 방법이며,
    상기 출구는,
    장변 방향의 각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100㎜의 범위 내에 각각 형성되며, 장변 방향의 중앙을 향해서 단변 방향의 길이가 점감하는 한 쌍의 점감부와,
    상기 한 쌍의 점감부의 한쪽과 다른 쪽 사이에 형성되며, 단변 방향의 길이가 장변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일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선단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점감부와 상기 선단면의 경계는, 상기 점감부와 상기 일정부의 접속 위치로부터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향해서, 100㎜ 이상의 곡률 반경으로 상기 출구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곡선부를 갖는 용액 제막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측단부를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 부재의 주행에 의해 상기 필름을 장변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폭 방향으로 연신하고,
    상기 출구의 장변 방향에서의 상기 접속 위치는,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한 유지 개시 위치에서의 상기 필름의 유지 위치와 같은 또는 상기 유지 위치보다도 상기 필름의 폭 방향 내측으로 되어 있는 용액 제막 방법.
  9. 폴리머가 용융된 폴리머액을, 슬릿 형상의 출구로부터 내보내는 다이에 공급하여, 상기 출구로부터 내보내는 것에 의해, 필름을 제조하는 용융 제막 방법이고,
    상기 출구는,
    장변 방향의 각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100㎜의 범위 내에 각각 형성되며, 장변 방향의 중앙을 향해서 단변 방향의 길이가 점감하는 한 쌍의 점감부와,
    상기 한 쌍의 점감부의 한쪽과 다른 쪽 사이에 형성되며, 단변 방향의 길이가 장변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일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선단면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점감부와 상기 선단면의 경계는, 상기 점감부와 상기 일정부의 접속 위치로부터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향해서, 100㎜ 이상의 곡률 반경으로 상기 출구측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곡선부를 갖는 용융 제막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측단부를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 부재의 주행에 의해 상기 필름을 장변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폭 방향으로 연신하고,
    상기 출구의 장변 방향에서의 상기 접속 위치는,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한 유지 개시 위치에서의 상기 필름의 유지 위치와 같은 또는 상기 유지 위치보다도 상기 필름의 폭 방향 내측으로 되어 있는 용융 제막 방법.
KR1020160120530A 2015-09-30 2016-09-21 다이, 필름 제조 설비, 용액 제막 방법 및 용융 제막 방법 KR201700386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2942 2015-09-30
JP2015192942A JP2017065052A (ja) 2015-09-30 2015-09-30 ダイ、フィルム製造設備、溶液製膜方法及び溶融製膜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668A true KR20170038668A (ko) 2017-04-07

Family

ID=5849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530A KR20170038668A (ko) 2015-09-30 2016-09-21 다이, 필름 제조 설비, 용액 제막 방법 및 용융 제막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7065052A (ko)
KR (1) KR20170038668A (ko)
CN (1) CN106985425A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8093A (ja) * 1997-04-08 1998-10-20 Japan Steel Works Ltd:The ダイヘッドの流量調整装置
JP3946526B2 (ja) * 2002-01-09 2007-07-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多層膜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3935755B2 (ja) * 2002-03-27 2007-06-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溶液製膜方法
JP2004322536A (ja) * 2003-04-25 2004-11-18 Fuji Photo Film Co Ltd 溶液製膜方法及び光学用ポリマーフィルム、偏光板保護膜、偏光板、光学機能性膜、液晶表示装置
JP4250494B2 (ja) * 2003-10-01 2009-04-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ィルムの延伸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溶液製膜方法
JP4315378B2 (ja) * 2004-03-26 2009-08-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7296646A (ja) * 2006-04-27 2007-11-15 Toyota Motor Corp 押出し成形用ダイス、押出し成形装置、多孔質膜、電解質膜および燃料電池
JP2008265312A (ja) * 2007-03-23 2008-11-06 Fujifilm Corp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655735B1 (ko) * 2009-03-31 2016-09-0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용액 제막 방법
JP5524705B2 (ja) * 2010-05-13 2014-06-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バンドの製造方法
AR084755A1 (es) * 2010-12-30 2013-06-05 United States Gypsum Co Distribuidor y metodo de distribucion de lechada
JP5828284B2 (ja) * 2012-01-16 2015-12-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212836B2 (ja) * 2012-01-23 2017-10-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偏光板
JP5971808B2 (ja) * 2013-09-27 2016-08-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流延装置、溶液製膜設備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65052A (ja) 2017-04-06
CN106985425A (zh) 2017-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9159B (zh) 拉伸薄膜的製造方法以及薄膜拉伸設備
KR20150034610A (ko)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설비
KR20120012762A (ko) 유연 장치 및 용액 제막 방법
JP5990213B2 (ja)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フィルム延伸設備
TW201436996A (zh) 拉伸薄膜的製造方法及薄膜拉伸設備
KR20170038668A (ko) 다이, 필름 제조 설비, 용액 제막 방법 및 용융 제막 방법
JP6298419B2 (ja) ダイ、溶液製膜方法及び溶融製膜方法
CN105949485B (zh) 溶液制膜方法及设备
TW201534451A (zh) 迷宮式密封件、流延裝置、溶液製膜設備及方法
JP2018058327A (ja) 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I668254B (zh) 溶液製膜方法及裝置
KR20160030843A (ko)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연신 장치
CN103467758A (zh) 溶液制膜方法及设备
CN104260257A (zh) 改进聚酰胺酸薄膜厚度均匀性的方法和装置
JP6386980B2 (ja) 光学フィルム製造方法
KR20110105719A (ko) 필름 연신 장치 및 방법
CN102372853A (zh) 溶液制膜方法及流延装置
TWI430847B (zh) 溶液製膜方法及流延裝置
TW201534450A (zh) 流延裝置、溶液製膜設備及方法
KR20190086354A (ko) 경사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TWI618581B (zh) 流延裝置、溶液製膜設備及方法
JP2005199725A (ja) 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装置
CN204076620U (zh) 改进聚酰胺酸薄膜厚度均匀性的装置
KR20140108151A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US20180264703A1 (en) Method for forming resin fi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