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609A -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1609A
KR20170031609A KR1020160093508A KR20160093508A KR20170031609A KR 20170031609 A KR20170031609 A KR 20170031609A KR 1020160093508 A KR1020160093508 A KR 1020160093508A KR 20160093508 A KR20160093508 A KR 20160093508A KR 20170031609 A KR20170031609 A KR 20170031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nonwoven fabric
drainage material
dr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5905B1 (ko
Inventor
이임락
욱 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Publication of KR20170031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8Reclamation of land from water or mar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3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installing wick drains or sand ba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 및 그 배수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배수재를 수평배수재에 삽입시켜 시공하므로 간극수가 유실되지 않고 배수 및 집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를 시공함에 있어 연약지반의 지표면에 토사를 부설하여 복토층을 형성하는 초기시공단계와 상기 초기시공단계의 복토층에는 외주가 부직포로 감싸져 있고 양측면에 개방형 배수홈부가 형성된 수직 배수재를 지면과 직교시켜 일부분이 지상에 노출되도록 매설하는 매설단계와 상기 매설단계에 외주가 부직포로 감싸지며 양측면에 개방형 배수홈부가 형성된 수평 배수재를 지면의 상부에 상기 수직배수재의 일측면에 직교 설치하는 안착단계와 상기 안착단계에서 안착된 수평배수재의 상부면에 상기 수직배수재가 안착되도록 절곡시키는 절곡단계와 상기 절곡단계에서 절곡된 상기 수직 배수재를 수평배수재의 간극수 배수면적에 맞게 재단하고, 상기 수평 배수재의 부직포 상부 일측면에 상기 수직 배수재가 수평 배수재의 부직포 내측으로 내설될 수 있도록 절개하여 삽입공을 형성시키는 절개단계와 상기 절개단계에서 수평배수재의 부직포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상기 수직 배수재를 내설시켜 연결결합시키는 연결단계와 상기 연결단계에 연결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상부에 성토재를 성토시킨 마감시공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Constructing method of vertical drainer and horizontal drainer for improving soft ground}
본 발명은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 및 그 배수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배수재를 수평 배수재에 삽입시켜 시공하므로 간극수가 유실되지 않고 배수 및 집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 및 그 수평 배수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이나 하천, 호수 항만 등을 간척이나 매립에 의하여 형성시킨 지역은 지표면이 물과 점성토 또는 물과 뻘이 혼합된 습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지반의 내부에는 간극수가 내재하여 지반의 강도가 매우 연약한 상태이므로, 이와 같은 지역을 공업지역이나 상업지역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용도에 맞게 개량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연약지반을 안정화하는 공법중 하나인 PBD(Plastic Board Drain)공법은 수직배수공법으로서, 연약지반에 배수재인 플라스틱 드레인보드를 수직으로 삽입하여 설치한 후, 지중에 내재되어 있는 간극수를 타설된 수직배수재를 통하여 지표면으로 상승시켜 배출시키는 공법이다.
또한, 수직배수공법에 의하여 지표면으로 배출된 간극수를 수평으로 배출시키는 수평배수공법이 적용되고 있는데, 수평배수공법은 수직배수공법의 배수재를 통하여 지표면으로 배출된 간극수를 수평으로 배출시키는 역할과 함께 성토층 속으로 지하수가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고, 시공장비의 주행성능을 확보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수평배수공법으로는, 연약지반의 지표면 상에 모래 또는 쇄석과 같은 골재를 일정한 두께로 포설한 후 시공된 수직배수재를 통하여 지표면으로 배출된 간극수를 수평으로 배수시키는 방법이 대표적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골재는 천연자원으로써 그 생산능력에 한계가 있으며, 골재의 수급이 어려운 공사현장에 시공하는 경우에는 운반비 증가 등으로 인해 공사비가 과도하게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지중에 설치된 수직배수재를 플라스틱 또는 천연섬유 재질의 수평배수재와 연결시켜 지표면으로 배출되는 간극수를 유도배수 시키는 시공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직배수재와 수평배수재의 연결설치는 첨부도면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수평배수재의 상부에 수직배수재의 끝단을 위치시킨 후 나사 또는 스테이플러 등의 고정수단으로 수직배수재와 수평배수재를 고정하여 수직배수재를 통해 배출되는 지중 간극수가 수평배수재의 필터를 투과한 후 수평배수재의 배수유로로 유입되어 배수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직배수재와 수평배수재의 시공방법은 수직배수재를 통해 배출되는 간극수가 수평배수재의 필터층을 투과하여 배수유로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수평배수재에 온전히 유입되지 못하고 성토재 및 토사로 유실됨으로써 압밀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2011-0047243호.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2010-0105684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 배수재에 수직 배수재가 내설결합되어 간극수의 배수 및 집수 효율이 증대되는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은 연약지반의 지표면에 토사를 부설하여 복토층을 형성하는 초기시공단계와 상기 초기시공단계의 복토층에는 외주가 부직포로 감싸져 있고 양측면에 개방형 배수홈부가 형성된 수직 배수재를 지면과 직교시켜 일부분이 지상에 노출되도록 매설하는 매설단계와 상기 매설단계에 외주가 부직포로 감싸지며 양측면에 개방형 배수홈부가 형성된 수평 배수재를 지면의 상부에 상기 수직배수재의 일측면에 직교 설치하는 안착단계와 상기 안착단계에서 안착된 수평배수재의 상부면에 상기 수직배수재가 안착되도록 절곡시키는 절곡단계와 상기 절곡단계에서 절곡된 상기 수직 배수재를 수평배수재의 간극수 배수면적에 맞게 재단하고, 상기 수평 배수재의 부직포 상부 일측면에 상기 수직 배수재가 수평 배수재의 부직포 내측으로 내설될 수 있도록 절개하여 삽입공을 형성시키는 절개단계와 상기 절개단계에서 수평배수재의 부직포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상기 수직 배수재를 내설시켜 연결결합시키는 연결단계와 상기 연결단계에 연결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상부에 성토재를 성토시킨 마감시공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단계에서 상기 수직 배수재를 절곡하여 수평배수재의 삽입공에 삽입설치시 수평배수재의 배수방향과 수직배수재의 배수방향이 소정의 각도로 평행으로 이루어지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개단계의 수직배수재의 일측단은 경사면부가 형성되도록 재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단계에서 상기 수평배수재 내부에 상기 수직배수재를 내설 결합한 상태에서 수평배수재의 부직포 길이방향으로 열융착시켜 상기 수평배수재와 수직배수재가 체결 결합되는 융착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수평배수재에 있어서, 양측면에 개방형 배수홈부가 형성된 수평 배수유로부의 외주를 감싸며 서로 맞닿은 면부에는 면부와 면부가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선이 형성되되 면부와 면부가 겹쳐지는 상부 면부 일측 끝단이 연장되어 돌출된 덮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부직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수재에 의해 달성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수평배수재에 있어서, 양측면에 개방형 배수홈부가 형성된 배수유로부의 외주를 감싸며 서로 맞닿은 면부는 서로 결합되도록 융착시킨 부직포와 상기 배수유로부를 감싼 부직포의 상단면부에는 부직포 면부와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선이 형성된 보조덮개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수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부직포 외주면에 불투수성 합성수지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측면에 개방형 배수홈부가 형성된 배수유로부의 외주를 감싸는 부직포의 상단에 위치하는 면부에만 불투수성 합성수지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측면에 개방형 배수홈부가 형성된 배수유로부의 외주를 감싸는 부직포 상단에 위치하는 면부는 2겹으로 구성되며, 이때, 내측면부는 부직포로 구성되고 외측면부는 불투수성 합성수지층으로 구성되며 내측면부와 외측 면부 사이에 유도배수부재가 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덮개부는 불투수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의 덮개부와 대응되는 타측 부직포의 상부 면부에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선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보조덮개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의 덮개부와 대칭되는 타측 부직포의 바닥면부에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선이 형성된 보조덮개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의 덮개부와 대응되는 부직포의 바닥면부와 이와 대칭되는 부직포 외주 상부면부와 바닥면부에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선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보조덮개부가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배수재의 부직포 외주 둘레면부에는 상기 부직포 면부에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선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보조덮개부가 하나 내지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의 덮개부와 상기 보조덮개부의 폭은 상기 수평 배수유로부 외주를 감싼 부직포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배수유로부의 상부에 형성된 부직포 상단면부에 보조덮개부가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선은 길이방향으로 하나 내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덮개부는 수평 배수유로부의 상부에 형성된 부직포 상단면부 와 바닥면부에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유로부의 외주를 감싸는 부직포의 서로 맞닿은 면부에는 서로 접합될 수 있도록 벨크로테이프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 수평 배수재 연결구조는 상기 수직 배수재로부터 배수되는 간극수가 유실되지 않고 100% 수평배수재 내부로 전달되므로서 간극수의 배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1b는 종래 수평 배수재와 수직 배수재의 연결체결을 나타낸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평배수와 수직배수재를 나타낸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수평배수와 수직배수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수직 배수재를 나타낸 실시예.
도 6은 도 5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7a는 본 발명의 수평 배수재와 수직배수재를 연결을 나타낸 실시예.
도 7b는 본 발명의 수평 배수재와 수직배수재를 연결결합을 나타낸 다른실시예.
도 8a, 8b는 본 발명의 수평 배수재를 나타낸 실시예.
도 9a는 도 8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9b는 도 8에 대한 사용실시예.
도 10은 도 8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11은 도 8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12a, 12b는 본 발명의 수평 배수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3은 도 12에 대한 보조덮개부를 나타낸 실시예.
도 14는 도 12에 대한 보조덮개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5는 도 12에 대한 보조덮개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6은 도 12에 대한 보조덮개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7은 본 발명의 수평 배수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의 수평 배수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수평 배수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은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은 연약지반의 지표면에 토사를 부설하여 복토층(S1)을 형성하는 초기시공단계(S100)와 상기 초기시공단계(S100)의 복토층(S1)에는 외주가 부직포(18)로 감싸져 있고 양측면에 개방형 배수홈부(12)가 형성된 수직 배수재(10)를 지면과 직교시켜 일부분이 지상에 노출되도록 매설하는 매설단계(S200)와 상기 매설단계(S200)에 외주가 부직포로 감싸지며 양측면에 개방형 배수홈부(22)가 형성된 수평 배수재(20)를 상기 수직배수재(10)의 일측면과 직교되도록 지면의 상부에 안착하여 설치하는 안착단계(S300)와 상기 안착단계(S300)에서 안착된 수평 배수재(20)의 상부면에 상기 수직배수재(10)가 안착되도록 절곡시키는 절곡단계(S400)와 상기 절곡단계(S400)에서 절곡된 상기 수직 배수재(10)를 수평 배수재(20)의 간극수 배수면적에 맞게 재단하고, 상기 수평배수재(20)의 부직포(28) 상부 일측면에 상기 수직 배수재(10)가 수평 배수재(20)의 부직포(28) 내측으로 내설될 수 있도록 절개하여 삽입공(28-2)을 형성시키는 절개단계(S500)와 상기 절개단계(S500)에서 수평 배수재(20)의 부직포(28)에 형성된 삽입공(28-2)으로 상기 수직 배수재(10)를 내설시켜 연결결합시키는 연결단계(S600)와 상기 연결단계(S600)에 연결된 수직과 수평 배수재(10,20) 상부에 성토재를 성토시킨 마감시공단계(S700)로 이루어진 시공방법이다.
상기와 같이 지면에 설치되는 상기 수직 배수재(10)와 수평 배수재(20)는 양측면에 배수홈부(12,22)가 형성된 수직과 수평 배수유로부(16,26)의 외주면이 성토 및 토사 유입을 방지하는 필터형태의 부직포(18,28)에 의해 감싸져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직포(18,28)는 흙 또는 이물질이 배수유로부(16,26)의 배수홈부(12,2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 배수재(10)는 연약지반의 지표면에 장비주행성 확보를 위해 토사를 부설하여 복토층(S1)을 형성하는 초기시공단계(S100)에서 형성된 복토층(S1)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다수가 지면과 직교된 형태로 시공하며 이때 상기 수직 배수재(10)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매설단계(S200)시공한다.
즉, 상기 수직 배수재(10)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시공하는 것은 상기 수평 배수재(20)에 안착시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직배수재(1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직교된 90°로 절곡되어 시공될 수 있으나 간극수의 배수효율을 증대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배수재(10)의 절곡이 30°~ 70°로 경사진 형태로 매설되도록 하여 간극수의 배수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 배수재(10)가 직교된 90°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 배수재(20)의 삽입공(28-2)에 내설결합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극수가 상기 수평 배수재(20)의 배수홈부(22) 일 부분에 집수되지만 상기 수직 배수재(10)가 30°~ 70°로 경사진 형태로 상기 수평 배수재(20)의 삽입공(28-2)에 절곡하여 내설결합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극수가 상기 수평배수재(20)의 다수 배수홈부(22)에 집수되므로서 배수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 배수재(10)를 절곡하여 수평배수재(20)의 삽입공(28-2)에 삽입설치시 수평배수재(20)의 배수방향과 수직배수재(10)의 배수방향이 소정의 각도로 평행으로 이루어지도록 시공하므로서 간극수의 배수 및 집수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간극수의 배수 및 집수 효율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절개단계(S500)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배수재(10) 일측단에 경사면부가 형성되도록 재단하여 수평 배수재(20)의 간극수 배수면적에 맞게 내설 설치함으로서 수평 배수재(20)의 배수홈부(22)의 집수 면적(D)이 증대되어 간극수의 배수 및 집수의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수직 배수재(10)의 경사면부는 배수와 집수면적을 증대시켜 간극수 배수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30°~ 60°로 경사지게 재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배수재(10)의 경사면부(16)가 30° 이하로 형성될 경우 간극수 집수 면적이 축소되어 배수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수직 배수재(10)의 경사면부(16)가 60°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수직 배수재(10)와 수평 배수재(20)의 결속력이 약해져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재단 각도는 30°~ 6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배수재(10)가 30°~ 70°의 경사진 형태로 절곡시켜 수평 배수재(20)의 삽입공(28-2)에 내설결합시 간극수 배수와 집수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수직 배수재(10)는 수평 배수재(20) 상단면에 포개어 결합되지 않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단계(S500)에 의해 수평 배수재(20)의 부직포 일측면에 형성된 삽입공(28-2)에 내설 결합되므로 수직 배수재(10)를 통해 전달되는 간극수가 유실되지 않으며, 배수 및 집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수평 배수재(20)에 형성된 삽입공(28-2)에 수직 배수재(10)가 삽입결합되는 연결단계(S600)에서 상기 수평배수재(20)의 삽입공(28-2) 내부에 상기 수직배수재(10)를 내설결합 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배수재(20)의 부직포 길이방향으로 열융착시켜 상기 수평배수재(20)와 수직배수재(10)가 결합되도록 융착단계(S620)가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수평배수재(20)와 수직배수재(10)의 결합력이 더욱더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평 배수재(20)의 부직포(28)에 형성된 삽입공(28-2)에 상기 수직 배수재(10)가 내설결합된 후 성토시키는 마감시공단계(S700)에서 상기 부직포(28)의 삽입공(28-2)으로 흙 및 이물질이 부직포(28)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도 8a,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에 개방형 배수홈부(22)가 형성된 수평 배수유로부(26)의 외주를 감싸며 서로 맞닿은 면부에는 면부와 면부가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선(28-4)이 형성되되 면부와 면부가 겹쳐지는 상부 면부 일측끝단에는 연장되어 돌출된 덮개부(28-6)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룬 부직포(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부직포(28)는 수평 배수유로부(26) 외주를 감싸며 상기 부직포(28) 일측 하부면부와 부직포(28) 타측 상부면부가 맞닿은 면부에 서로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점 융착시킨 융착선(28-4)이 형성되되 면부와 면부가 겹쳐지는 상부 면부 일측끝단에는 연장되어 돌출된 덮개부(28-6)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배수재(10)를 상기 수평 배수재(20)에 내설결합시 상기 부직포(28)의 덮개부(28-6)와 대응되는 하부 부직포(28) 면부를 절개하거나 융착선(28-4) 부분을 뜯어 삽입공(28-2)을 형성시킨 후 상기 수평 배수재(20)의 삽입공(28-2)으로 상기 수직 배수재(10)를 삽입 후 성토시 상기 부직포(28)에 형성된 덮개부(28-6)가 상기 수직 배수재(10)를 덮어 흙 및 이물질이 상기 수평 배수재(20)의 삽입공(28-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부직포(28)는 상기 수평 배수유로부(26) 외주를 감싸며 상기 부직포(28)의 일측단 면부와 타측단 면부가 겹쳐지는 부분에 서로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열융착 하는데 융착시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선(28-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배수재(20)에 수직 배수재(10)를 내설결합하기 위해 상기 수평 배수재(20)의 부직포(28)에 형성된 덮개부(28-6) 하부와 대응되는 부직포(28) 면부를 절개하지 않고, 상기 부직포(28)의 면부와 면부를 서로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선(28-4) 중 일부분을 뜯어 상기 수평 배수재(20)의 삽입공(28-2)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직 배수재(10)를 수평 배수재(20)의 부직포(26) 내부에 삽입결합할 경우 보다 다양한 방향으로 상기 수직 배수재(10)가 상기 수평 배수재(20)에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도 9a,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직포(28)의 덮개부(28-6)와 대응되는 타측 부직포(28)의 상부 면부에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선(32)이 형성된 보조덮개부(3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직 배수재(10)가 상기 수평 배수재(20)의 부직포(26) 내부에 내설 결합시 상기 부직포(28)의 덮개부(28-6)와 대응되는 타측 부직포(28)의 상부 면부에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선(32)이 형성된 보조덮개부(30)가 더 구비되어 수직 배수재(10)가 수평 배수재(20)의 부직포(28)에 형성된 덮개부(28-6)와 보조덮개부(30)가 대응되는 부직포(28)의 면부를 절개하거나 융착선(28-4,32) 중 일부분을 뜯어 삽입공(28-2)을 형성시켜 수직 배수재(10)를 수평 배수재(20)의 부직포(28)에 내설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작업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수직 배수재(10)가 수평 배수재(20)에 내설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수평 배수재(20)의 부직포(28) 면부에 형성되는 보조덮개부(30)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직포(28)의 덮개부(28-6)와 대칭되는 타측 부직포(28)의 바닥면부에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의 융착선(32)으로 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보조덮개부(3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평 배수재(20)의 일측상단에 덮개부(28-6)와 타측 하단에 보조덮개부(30)가 형성되므로서 지반에 설치되는 상기 수평 배수재(20)의 상,하 면부에 상관없이 수직 배수재(10)를 수평 배수재(20)에 삽입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28)의 덮개부(28-6)와 대응되는 부직포(28)의 바닥면부와 이와 대칭되는 부직포(28) 외주 상부면부와 바닥면부에 결합되도록 융착시킨 융착선(3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보조덮개부(30)가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져 수평 배수재(20)에 수직 배수재(10)를 삽입결합시 상기 수평 배수재(20)의 상, 하면부에 상관없이 지반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수직 배수재(10)는 좌, 우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수평 배수재(20)에 내설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평 배수재(20)의 부직포(28) 외주 둘레면부에는 상기 부직포(28) 면부에 결합된 보조덮개부(30)가 하나 내지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배수재(20)의 다른 실시예로 도 12a 내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에 개방된 배수홈부(22)가 형성된 배수유로부(26)의 외주를 감싸며 서로 맞닿은 면부는 서로 결합되도록 융착시킨 부직포(28)와 상기 수평 배수유로부(26)를 감싼 부직포(28)의 상단면부에는 부직포 면부와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선(32)이 형성된 보조덮개부(3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부직포(28)가 수평 배수유로부(26) 외주를 감싸며 상기 부직포(28) 일측 하부면부와 부직포(28) 타측 상부면부가 맞닿은 면부에 서로 결합되도록 융착되고, 상기 수평 배수유로부(26)의 상부에 형성된 부직포(28) 상단면부에 결합되도록 융착시킨 융착선(3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보조덮개부(30)가 설치됨으로서 상기 수직 배수재(10)를 수평 배수재(20)에 내설결합시 상기 보조덮개부(30)와 대응되는 부직포(28) 면부를 절개하거나 융착선(32) 일부분을 뜯어 삽입공(28-2)을 형성시킨 후 상기 수평 배수재(20)의 삽입공(28-2)으로 수직 배수재(10)를 삽입할 경우 성토시 상기 부직포(28)의 융착선(3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보조덮개부(30)가 삽입된 수직 배수재(10)를 덮어 흙 및 이물질이 수평 배수재(20)의 삽입공(28-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직 배수재(10)는 상기 보조덮개부(30)의 타측 부직포(28) 상단면부에 결합되도록 융착시킨 융착선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보조덮개부(30)의 삽입공(28-2)에 내설결합 할 수 있으므로 작업환경에 따라 수평 배수재(20)에 수직 배수재(10)를 다양한 방향으로 내설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부직포(28)의 덮개부(28-6) 또는 상기 부직포(28)에 설치되는 보조덮개부(28)의 폭(L2)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배수유로부(26) 외주를 감싼 부직포(28)의 폭(L1) 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직 배수재(10)를 수평 배수재(20)에 내설 결합시 보조덮개부(30)와 대응되는 부직포(28) 면부를 절개하거나 융착선(28-4) 일부분을 뜯어 삽입공(28-2)을 형성시킨 후 수평 배수재(20)의 삽입공(28-2)으로 수직 배수재(10)를 삽입 후 성토시 부직포(28)의 면부에 융착되어 결합된 보조덮개부(30)가 수직 배수재(10)를 넓게 덮어 흙 및 이물질이 상기 수평 배수재(20)의 삽입공(28-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수직 배수재(10)를 수평 배수재(20)에 내설결합하기 위해 형성되는 삽입공(28-2)이 겹쳐져 형성되지 않고, 다양한 방향으로 내설될 수 있도록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배수유로부(26)의 상부에 형성된 부직포(28) 상단면부에 보조덮개부(30)가 결합되도록 융착시킨 융착선(32)은 길이방향으로 하나 내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둘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수평배수재(20) 부직포(28) 상단을 덮는 보조덮개부(30)가 형성될 경우 상단의 2 겹층 내부에 유도배수목적의 부직포 또는 유도 배수용 부재가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내설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보조덮개부(3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배수유로부(26)의 상부에 형성된 부직포(28) 상단면부와 바닥면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수평 배수재(20)의 상,하면부에 상관없이 지반에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수평 배수유로부(26) 외주를 감싼 상기 부직포(28)는 서로 맞닿은 면부와 면부가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선(28-4)이 형성하여 상기 수직배수재(10)를 내설결합시 부직포(28)의 이면을 절개하거나 융착선(28-4)을 뜯어 삽입공(28-2)을 형성하기 때문에 보다 쉽게 삽입공(28-2)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삽입공(28-2)의 형성과 재접할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유로부(26)의 외주를 감싸는 부직포(28)의 서로 맞닿은 면부와 면부는 벨크로테이프(5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배수유로부(26) 외주를 감싼 상기 부직포(28) 외주면부에 융착되어 설치되는 보조덮개부(30)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투수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조덮개부(30)가 불투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상기 수평 배수재(20)에 내설결합되는 수직 배수재(10)로 부터 공급되는 간극수의 상승 및 유실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수직 배수재(10)로 부터 공급되는 간극수의 상승 및 유실 방지효과를 보강하기 위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배수유로부(26) 외주를 감싼 상기 부직포(28) 외주면에 불투수성 합성수지층(40)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거나,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에 개방형 배수홈부(22)가 형성된 배수유로부(26)의 외주를 감싸는 부직포(28)의 상단 면부에만 불투수성 합성수지층(4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보조덮개부(30)에 불투성 합성수지재 및 부직포(28) 외주면부에 불투성 합성수지층(40)이 형성됨으로써 수직 배수재(10)로부터 전달되는 간극수가 유실되지 않고 100% 수평 배수재(20) 내부로 전달됨과 동시에 전달된 간극수가 수평배수재 배수유로부(26)로부터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100 : 초기시공단계 S200 : 매설단계
S300 : 안착단계 S400 : 절곡단계
S500 : 절개단계 S600 : 연결단계
S620 : 융착단계 S700 : 마감시공단계
10 : 수직 배수재 12 : 배수홈부
20 : 수평 배수재 22 : 배수홈부
26 : 수평 배수유로부
28 : 부직포 28-2 : 삽입공
28-4 : 융착선 28-6 : 덮개부
30 : 보조덮개부 32 : 융착선
40 : 합성수지층
50 : 벨크로테이프

Claims (13)

  1. 연약지반의 지표면에 토사를 부설하여 복토층을 형성하는 초기시공단계와;
    상기 초기시공단계의 복토층에는 외주가 부직포로 감싸져 있고 양측면에 개방형 배수홈부가 형성된 수직 배수재를 지면에 수직형태로 일부분이 지상에 노출되도록 매설하는 매설단계와;
    상기 매설단계에 외주가 부직포로 감싸지며 양측면에 개방형 배수홈부가 형성된 수평 배수재를 상기 수직배수재의 일측면과 직교되도록 지면의 상부에 안착하여 설치하는 안착단계와;
    상기 안착단계에서 지면 안착된 수평배수재의 상부면에 상기 수직배수재가 안착되도록 절곡시키는 절곡단계와;
    상기 절곡단계에서 절곡된 상기 수직 배수재를 수평배수재의 간극수 배수면적에 맞게 재단하고, 상기 수평 배수재의 부직포 상부 일측면에 상기 수직 배수재가 수평 배수재의 부직포 내측으로 내설될 수 있도록 절개하여 삽입공을 형성시키는 절개단계와;
    상기 절개단계에서 수평배수재의 부직포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상기 수직 배수재를 내설시켜 연결결합시키는 연결단계와;
    상기 연결단계에 연결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상부에 성토재를 성토시킨 마감시공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에서 상기 수직 배수재를 절곡하여 수평배수재의 삽입공에 삽입설치시 수평배수재의 배수방향과 수직배수재의 배수방향이 소정의 각도로 평행으로 이루어지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단계의 수직배수재의 일측단은 경사면부가 형성되도록 재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에서 상기 수평배수재 내부에 상기 수직배수재를 내설 결합한 상태에서 수평배수재의 부직포 길이방향으로 열융착시켜 상기 수평배수재와 수직배수재가 체결결합되는 융착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
  5.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수평배수재에 있어서,
    양측면에 개방형 배수홈부가 형성된 수평 배수유로부의 외주를 감싸며 서로 맞닿은 면부에는 면부와 면부가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선이 형성되되 면부와 면부가 겹쳐지는 상부 면부 일측끝단에는 융착선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덮개부가 일체로 형성된 부직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수재.
  6.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수평배수재에 있어서,
    양측면에 개방형 배수홈부가 형성된 배수유로부의 외주를 감싸며 서로 맞닿은 면부는 서로 결합되도록 융착시킨 부직포와;
    상기 배수유로부를 감싼 부직포의 상단면부에는 부직포 면부와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선이 형성된 보조덮개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수재.
  7.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외주면 전체 또는 배수유로부의 외주를 감싸는 부직포의 상단에 위치하는 면부에만 불투수성 합성수지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수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덮개부는 불투수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수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덮개부와 대응되는 타측 부직포의 상부 면부에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선이 형성된 보조덮개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수재.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덮개부와 대응되는 부직포의 바닥면부와 이와 대칭되는 부직포 외주 상부면부와 바닥면부에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선이 형성된 보조덮개부가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수재.
  11.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덮개부와 상기 보조덮개부의 폭은 상기 수평 배수유로부 외주를 감싼 부직포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수재.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배수유로부의 상부에 형성된 부직포 상단면부와 바닥면부에 각각 보조덮개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수재.
  13. 제5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부의 외주를 감싸는 부직포의 서로 맞닿은 면부와 면부는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수재.
KR1020160093508A 2015-09-11 2016-07-22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 KR102005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272A KR20160001719A (ko) 2015-09-11 2015-09-11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 및 그 수평배수재의 부직포
KR1020150129272 2015-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609A true KR20170031609A (ko) 2017-03-21
KR102005905B1 KR102005905B1 (ko) 2019-08-01

Family

ID=551654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272A KR20160001719A (ko) 2015-09-11 2015-09-11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 및 그 수평배수재의 부직포
KR1020160093508A KR102005905B1 (ko) 2015-09-11 2016-07-22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272A KR20160001719A (ko) 2015-09-11 2015-09-11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 및 그 수평배수재의 부직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0017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0882A (zh) * 2020-12-11 2021-04-20 厦门保瑞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直立型过滤毡制作方法
KR102674360B1 (ko) * 2023-07-14 2024-06-12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배수효율이 향상된 수평배수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280B1 (ko) 2018-05-08 2020-01-22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수평배수재의 필터 접합장치
CN113047219B (zh) * 2021-04-13 2024-06-18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西南电力设计院有限公司 一种软土地基灰场初期坝的地基及地基构造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741Y1 (ko) * 2000-06-22 2000-12-01 주식회사진성산자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 보드
JP2001003342A (ja) * 1999-06-23 2001-01-09 Kajima Corp 水平ドレーン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9209571A (ja) * 2008-03-04 2009-09-17 Tokyu Construction Co Ltd 導水材および導水材の設置方法
KR20100105684A (ko) 2007-12-18 2010-09-29 알&디 설킷트스 인크. 등방성의 전도성 탄성중합체 상호접속 매체를 이용한 분리 가능한 전기 접속기
KR101024354B1 (ko) * 2010-01-29 2011-03-23 안덕노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배수장치
KR20110047243A (ko) 2008-08-22 2011-05-06 테라코스, 인코포레이티드 Sglt2 억제제의 제조방법
KR20120044420A (ko) * 2010-10-28 2012-05-08 김용수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실린더형 수평배수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3342A (ja) * 1999-06-23 2001-01-09 Kajima Corp 水平ドレーン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205741Y1 (ko) * 2000-06-22 2000-12-01 주식회사진성산자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 보드
KR20100105684A (ko) 2007-12-18 2010-09-29 알&디 설킷트스 인크. 등방성의 전도성 탄성중합체 상호접속 매체를 이용한 분리 가능한 전기 접속기
JP2009209571A (ja) * 2008-03-04 2009-09-17 Tokyu Construction Co Ltd 導水材および導水材の設置方法
KR20110047243A (ko) 2008-08-22 2011-05-06 테라코스, 인코포레이티드 Sglt2 억제제의 제조방법
KR101024354B1 (ko) * 2010-01-29 2011-03-23 안덕노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배수장치
KR20120044420A (ko) * 2010-10-28 2012-05-08 김용수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실린더형 수평배수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0882A (zh) * 2020-12-11 2021-04-20 厦门保瑞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直立型过滤毡制作方法
KR102674360B1 (ko) * 2023-07-14 2024-06-12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배수효율이 향상된 수평배수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719A (ko) 2016-01-06
KR102005905B1 (ko)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905B1 (ko)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수직과 수평 배수재 시공방법
KR100721225B1 (ko) 연약지반의 간극수 배수구조 및 배수방법
RU2462560C1 (ru) Подземная часть бетонной стены с пристенным дренажом
JP2006200141A (ja) トンネルの湧水処理方法および湧水処理構造
KR100873184B1 (ko) 판형연직드레인과 원형수평배수관의 연결구조 및 이를이용한 연약지반처리 수평배수층 시공방법
CN107938463A (zh) 一种道路防渗水结构和隧道路面渗水处治方法
JP4993502B2 (ja) 雨水貯留システムおよびドレンユニット
KR102037135B1 (ko) 지하구조물의 외방수용 겹침이음 설치형 보호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외방수공법
JP2008144412A (ja) 雨水貯留槽、及び雨水貯留槽の施工方法
JP6198593B2 (ja) 雨水処理システム
JP2007092293A (ja) マンホール管の埋設構造
JP3182036U (ja) 浸透側溝
KR200236381Y1 (ko) 터널방수공용 방수시트
JP2011032703A (ja) 雨水地中浸透施設
JP2595760Y2 (ja) 通信線収容フレキシブルトラフ装置及び通信線収容フレキシブルトラフ
JP2003253611A (ja) 境界ブロック
KR100658559B1 (ko) 배수판 및 유공관을 이용한 배수 장치
JP2019203261A (ja) 共同溝用埋設部材、および、共同側溝ユニット
KR101577187B1 (ko) 상하수도관로 침하방지구조
KR200322969Y1 (ko) 지하수 배수촉진장치
KR101024354B1 (ko)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배수장치
KR101981497B1 (ko) 초연약지반 개량공법
JP5038074B2 (ja) 遮水シートの破損検出システム及び破損検出方法
JP2002192102A (ja) 廃棄物処分場における集排水管の設置構造
KR100981450B1 (ko) 쓰레기 위생 매립지의 수질오염방지 차수막 보호용 폐타이어 및 이를 이용한 폐타이어층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17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629

Effective date: 2019011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