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9658A - Bubble-type skim pile - Google Patents
Bubble-type skim p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9658A KR20170019658A KR1020150113741A KR20150113741A KR20170019658A KR 20170019658 A KR20170019658 A KR 20170019658A KR 1020150113741 A KR1020150113741 A KR 1020150113741A KR 20150113741 A KR20150113741 A KR 20150113741A KR 20170019658 A KR20170019658 A KR 201700196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surface tension
- water
- bubble
- air bubbles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05 oil s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5—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gas bubbles or moving sol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블형 스킴 파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내부에 5단의 경사진 배플 플레이트(baffle plate) 없이 에어 버블을 이용하여 표면장력을 극대화함에 따라 처리효율성 또한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버블형 스킴 파일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bble-type scheme f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bble-type scheme file in which an air bubble is used without a five-step inclined baffle plate in order to maximize surface tension, It relates to a scheme file.
일반적으로 해양유전탐사 또는 시추용 해양구조물의 자켓식 구조물은 해저면에 타설되어 있는 파일에 의해서 고정된다. 특히, 고정식 해양시추구조물(Fixed Platform)은 석유시추용 구조물의 한 형태로 해저에 연결된 자켓(Jacket)에 의해 상부갑판구조물(Deck)이 지지되는 고정식 외에도 중력식, 연착저식 등이 있으며, 설치공법도 여러 형태로 분류된다. In general, jacketed structures of offshore structures for offshore exploration or drilling are fixed by piles on the seabed. In particular, a fixed ocean drilling structure (Fixed Platform) is a form of a petroleum exploration structure, in addition to a fixed type in which an upper deck structure (deck) is supported by a jacket connected to the seabed, gravity type, It is classified into various forms.
이렇게, 자켓식의 고정식 구조물은 현재 수심 460M까지 설치된 예가 있지만 수심 200M 이내의 대륙붕 지역에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Thus, although the jacket-type fixed structure is currently installed at a depth of 460 meters, it is usually installed in a continental shelf area at a depth of 200 meters or less.
자켓식 구조물은 해저면에 타설되어 있는 파일에 의해 고정되는바, 여기에 설치되는 스킴 파일(Skim pile)은 해양유전을 탐사하는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폐수 처리장치 또는 유수분리기의 일종으로 폐수에 섞여있는 오일을 최종적으로 비중 차에 의해 분리하는 장비로서 설치된다. The jacket-type structure is fixed by a file placed on the sea floor, and the skim pile installed therein is a kind of wastewater treatment device or oil-water separator which is generated in the structure for exploring the marine oil field. The oil is finally installed as equipment to separate by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통상적인 스킴 파일(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 분리공간(112)에 45°로 경사진 5단의 배플 플레이트(Baffle Plate, 114)가 설치되어, 유체(Water + Oil)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물(Water)로부터 오일(Oil)을 분리하는 방식이다. 4, a conventional scheme file 100 includes five stages of baffle plates 114 inclined at 45 degrees in an internal separation space 112 of the main body 110, + Oil) is used to separate oil from water by using surface tension.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킴 파일은 본체의 내부 분리공간에 45°로 경사진 5단의 배플 플레이트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과, 상기 5단으로 설치되는 배플 플레이트에 의해 스킴 파일 전체 길이가 길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The conventional scheme file as described above requires troublesome work to install five stages of baffle plates inclined at 45 degrees in the internal separation space of the main body and disadvantages that the entire length of the scheme file is lengthened by the baffle plates installed at the five stages .
스킴 파일과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9490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스킴 파일의 내부에 높이 조절하여 설치가능 한 오일 버켓을 구비하여 해저 조건에 따라 설치되는 자켓 높이의 변화에 대처하여 해양구조물의 구축 및 구축에 따른 일정, 임무기간 등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Prior art relating to a scheme file includes an oil bucket that can be installed in a height-adjustable skim file,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4949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nge of the height of the jacket to be installed,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which can shorten the schedule and the mission period for constructing and constructing the offshore structure.
또한, 유수분리기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6864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유수 분리되는 오일 뿐만 아니라 물속에서 부유하는 에멀젼 상태의 오일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유수분리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습니다.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oil separator has been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09686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in order to effectively remove not only the oil separated by water but also the emulsion state oil suspended in water A technology such as a water separation device has been proposed for the water.
또, 유수분리기와 관련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4970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대량의 기름 유출 사고 발생시 기상이나 지역에 관계없이 연안 또는 해상 작업 및 선내 작업이 가능하고, 기름 회수율과 유수분리 능력이 우수하며, 선박에 비치한 상태에서 수납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갖춘 해양 유출 기름 제거용 유수분리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습니다. In addition,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02497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related to the oil separator, it is possible to perform coastal or maritime work or in-ship work in the event of a large oil spill, A technology that has excellent oil recovery rate and oil-water separation capability, and a water-oil separator for removing marine spill oil with functionality that can be used as a storage space in a vessel, has been proposed.
그러나 특허문헌 1은 해저 조건에 따라 설치되는 자켓 높이의 변화에 대처하여 해양구조물의 구축 및 구축에 따른 일정, 임무기간 등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물과 오일을 표면장력에 의해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However, in Patent Document 1,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nge of the height of the jacket installed according to the seabed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schedule and mission perio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of offshore structures, and efficiently separates water and oil by surface tension It can not be done.
특허문헌 2 및 3은 유수분리기로서,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가짐은 물론 이 또한 표면장력에 의해 물과 오일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Patent Documents 2 and 3 are oil-water separators having a considerably complicated structure and also have a disadvantage in that water and oil can not be efficiently separated by surface tension.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내부에 5단의 경사진 배플 플레이트(baffle plate) 없이 에어 버블을 이용하여 표면장력을 극대화함에 따라 처리효율성 또한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버블형 스킴 파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surface tension by using an air bubble without a five-step inclined baffle plate in order to maximize the treatment efficiency. And to provide a bubble-shaped scheme fi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 버블을 더욱더 균일하고 고르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re even and uniform supply of air bubbles.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 분리공간에서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물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스킴 파일로서, 상기 분리공간의 바닥면에 압력 차이에 의해 작은 부피에서 부상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커지는 부피에 의해 표면장력이 확장되면서 물로부터 오일이 분리되도록 에어 버블을 공급하는 에어 버블 공급수단;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cheme file for separating oil from water using surface tension in an internal separation space of a main body, And an air bubble supplying means for supplying an air bubble to separate the oil from the water while expanding the surface tension by a gradually increasing volume.
상기 에어 버블 공급수단은 바닥면에 에어 버블을 발생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에어 버블 노즐이다. The air bubble supplying means is a plurality of air bubble nozzles provided to generate air bubbles on the bottom surface.
상기 에어 버블 노즐은 바닥면의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The air bubble nozzle is dispos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상기 에어 버블 노즐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콤프레샤의 공급압력은 8기압으로 공급된다. The supply pressure of the air compressor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bubble nozzle is supplied at 8 atm.
본 발명은 내부에 5단의 경사진 배플 플레이트 없이 에어 버블을 이용하여 표면장력을 극대화함에 따라 처리효율성 또한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인한 제작이 간단하면서 경제적이며, 전체적인 길이도 축소할 수 있어 시공이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표면장력의 극대화로 인한 물로부터 오일의 분리 효율성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surface tension by using an air bubble without an inclined baffle plate having five steps inside and maximizes the treatment efficiency, thereby making it simple and economical to manufacture due to the simple structure, and the overall length can be reduced So tha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separation of oil from water due to maximization of surface tension.
또한, 에어 버블을 더욱더 균일하고 고르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 버블로 인한 표면장력 또한 극대화하여 오일의 분리 효율성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Further, by making the air bubbles more uniformly and uniformly supplie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urface tension due to the air bubbles,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oil separation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일부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압력과 수심 깊이에 따른 에어 버블의 볼륨 변화를 표시한 실험 데이터,
도 3은 온도가 일정한 조건에서 부피와 압력의 반비례하는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종래 스킴 파일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 plan view for explaining a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graph showing experimental data showing the volume change of air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sure and depth of the water according to FIG. 1,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onditions in which volume and pressure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each other under a constant temperature condi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scheme fi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일부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압력과 수심 깊이에 따른 에어 버블의 볼륨 변화를 표시한 실험 데이터이고, 도 3은 온도가 일정한 조건에서 부피와 압력의 반비례하는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experimental data showing volume change of air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sure and depth of water according to FIG. 1, In which the volume and the pressure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each other.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 분리공간(112)에서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물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스킴 파일(100)을 제공한다. There is provided a scheme file 100 for separating oil from water using surface tension in an internal separation space 112 of the main body 110 as shown.
본 발명은 내부에 5단의 경사진 배플 플레이트 없이 에어 버블을 이용하여 표면장력을 극대화함에 따라 처리효율성 또한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surface tension by using an air bubble without a five-step tilted baffle plate, thereby maximizing treatment efficiency.
본 발명에 따른 스킴 파일(100)은 상기 본체(110)의 내부 분리공간(112)의 바닥면(115)에 압력 차이에 의해 작은 부피에서 부상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커지는 부피에 의해 표면장력이 확장되면서 물로부터 오일이 분리되도록 에어 버블을 공급하는 에어 버블 공급수단(10);을 포함한다. The surface tension of the skim fi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creased by the gradually increasing volume as it floats on the bottom surface 115 of the internal separation space 112 of the main body 110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And air bubble supplying means (10) for supplying air bubbles so as to separate oil from water.
에어 버블 공급수단(10)은 바닥면에 에어 버블을 발생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에어 버블 노즐(12)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 버블 노즐(12)은 바닥면(115)의 중앙으로부터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에어 버블 노즐(12)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콤프레샤(도시하지 않음)의 공급압력은 8기압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ir bubble supplying means 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ir bubble nozzles 12 which are provided to generate air bubbles on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air bubble nozzles 12 are uniformly supplied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115 Radially. In addition, the supply pressure of the air compressor (not shown)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bubble nozzle 12 is preferably supplied at 8 atm.
다시 말해서, 보일-샤를의 법칙에서 알 수 있듯이 기체의 부피는 압력에 반비례하고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In other words, the volume of gas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pressure and proportional to absolute temperature, as can be seen from Boyle-Charles's law.
즉,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기체의 부피는 압력에 따라서도 변하기 때문인데, 압력이 높을수록 기체의 부피는 작아지고, 반면 압력이 낮아질 경우 기체의 부피는 상대적으로 커진다. 온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압력이 두 배가 되면 부피는 반으로 줄어들고, 압력이 세 배가 되면 삼분의 1로 줄어든다. That is, referring to FIG. 2 and FIG. 3, the volume of the gas varies depending on the pressure. The higher the pressure, the smaller the volume of the gas. On the other hand, the lower the pressure, the larger the volume of the gas. With a constant temperature, when the pressure doubles, the volume decreases by half, and when the pressure triples, it decreases to one-third.
온도가 일정하다는 조건에서 부피와 압력은 반비례하므로 수식으로 표시하면, 'P0V0=PV=일정'이라고 나타낼 수 있다. Since the volume and the pressure are in inverse proportio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temperature is constant, the expression 'P0V0 = PV = constant' can be expressed by the expression.
예를 들어, 물속에서 발생한 거품이 떠오르면서 커지는 것도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이고, 수소를 넣은 고무풍선의 실이 끊어져 상승하게 되면 자꾸 커지다가 결국 터지게 되는 것도 하늘로 올라갈수록 압력이 낮아져 부피가 커지기 때문이다. For example, because the bubbles in the water float up and the pressure increases, and when the balloon of hydrogen-filled rubber balloon breaks up, the rubber ball gets bigger and eventually explodes. .
아울러, 압력을 2배로 하면 부피는 1/2로 줄어들고, 압력을 6배로 하면 부피는 1/6로 줄어든다. 즉, 압력과 부피의 곱은 일정하다. Also, doubling the pressure reduces the volume to 1/2, increasing the pressure six times reduces the volume to 1/6. That is, the product of pressure and volume is constant.
그리고 보일-샤를에 법칙에 의하면 물의 표면에서 에어 버블의 사이즈는 최대가 되어, 오일에 표면적을 최대로 만들어 표면장력을 극대화하게 된다. And according to the Boyle-Charles rule, the size of the air bubble at the surface of the water is maximized, maximizing the surface area of the oil to maximize the surface tension.
일 예로, 스킴 파일의 길이를 대략 20m 경우, 에어 버블의 볼륨 변화가 약 20배까지 증가하게 됨에 따라 오일의 분리 효율성도 증가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For example, if the length of the scheme file is approximately 20 m,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efficiency of oil separation increases as the volume change of the air bubble increases by about 20 times.
더욱이, 종래 스킴 파일의 내부 분리공간에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5단의 배플 플레이트 없이도 에어 버블에 의해 표면장력을 최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킴 파일의 전체적인 길이 또한 현저하게 줄인 상태에서도 물로부터 오일의 분리 효율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maximize the surface tension by the air bubbles but also to reduce the overall length of the scheme file, even without the five-stage baffle plate formed obliquely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in the internal separation space of the conventional scheme file. The efficiency of separation of the oil can be doubled.
이로써, 본 발명은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물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스킴 파일을 간단한 구조와 에어 버블에 의해 표면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짐으로써, 물로부터 오일의 분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for separating oil from water by using surface tension, and a condition for maximizing surface tension by air bubbles, there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oil separation from water .
또한, 간단한 구조로 인한 제작이 간편하고, 길이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시공이나 설치 또한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length is also minimized, it is possible to simplify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아울러, 에어 버블을 균일하고 고르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 버블의 표면장력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오일의 분리 효율성 또한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In addition, by uniformly and uniformly supplying air bubble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urface tension of the air bubbles, thereby maximizing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oil.
10 : 에어 버블 공급수단 12 : 에어 버블 노즐
100 : 스킴 파일 110 : 본체
112 : 분리공간 115 : 바닥면10: air bubble supplying means 12: air bubble nozzle
100: Scheme file 110:
112: separation space 115: bottom surface
Claims (3)
상기 분리공간의 바닥면에 압력 차이에 의해 작은 부피에서 부상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커지는 부피에 의해 표면장력이 확장되면서 물로부터 오일이 분리되도록 에어 버블을 공급하는 에어 버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형 스킴 파일. A scheme file for separating oil from water using surface tension in an internal separation space of a body,
And air bubble supplying means for supplying air bubble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paration space so as to separate the oil from the water while expanding the surface tension by a gradually increasing volume as it is floated at a small volume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A bubble-shaped scheme file.
상기 에어 버블 공급수단은 바닥면에 에어 버블을 발생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에어 버블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형 스킴 파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bubble supplying means is a plurality of air bubble nozzles provided to generate air bubbles on the bottom surface.
상기 에어 버블 노즐은 바닥면의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형 스킴 파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ir bubble nozzle is radially disposed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3741A KR102372850B1 (en) | 2015-08-12 | 2015-08-12 | Bubble-type skim pi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3741A KR102372850B1 (en) | 2015-08-12 | 2015-08-12 | Bubble-type skim pi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9658A true KR20170019658A (en) | 2017-02-22 |
KR102372850B1 KR102372850B1 (en) | 2022-03-10 |
Family
ID=5831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3741A KR102372850B1 (en) | 2015-08-12 | 2015-08-12 | Bubble-type skim pi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2850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97404A (en) * | 1998-01-20 | 1999-07-27 | Toyota Motor Corp | Oil-water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
KR20090010375U (en) * | 2008-04-08 | 2009-10-13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Skim pile having oil bucket for level adjustment |
KR20100094204A (en) * | 2009-02-18 | 2010-08-26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removing pollutant in water using charged micro bubbles |
KR101024970B1 (en) | 2010-08-27 | 2011-03-25 | 김준용 | Separating apparatus of water and oil |
KR101096864B1 (en) | 2009-03-25 | 2011-12-22 | 신우리 | The oil separator |
-
2015
- 2015-08-12 KR KR1020150113741A patent/KR10237285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97404A (en) * | 1998-01-20 | 1999-07-27 | Toyota Motor Corp | Oil-water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
KR20090010375U (en) * | 2008-04-08 | 2009-10-13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Skim pile having oil bucket for level adjustment |
KR200449490Y1 (en) | 2008-04-08 | 2010-07-1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Skim pile having oil bucket for level adjustment |
KR20100094204A (en) * | 2009-02-18 | 2010-08-26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removing pollutant in water using charged micro bubbles |
KR101096864B1 (en) | 2009-03-25 | 2011-12-22 | 신우리 | The oil separator |
KR101024970B1 (en) | 2010-08-27 | 2011-03-25 | 김준용 | Separating apparatus of water and oi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72850B1 (en) | 2022-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3263686B2 (en) | Device for separating multi-phase fluids | |
US10253471B2 (en) | Hydrocarbon production and storage facility | |
CN101506031A (en) | Floating offshore drilling/producing structure | |
CN101304916B (en) | Pontoon type floating structure | |
KR20140020881A (en) | Subsea production system having arctic production tower | |
KR20120084141A (en) | A subsea petroleum processing and storage system | |
JP2017128950A (en) | Gas collecting method | |
CN86104684A (en) | Separator of fluid with different specific gravity on ship to use | |
US4279124A (en) | System for extracting subsurface wave energy | |
US3469402A (en) | Off-shore tank system | |
GB1580667A (en) | Underwater structures | |
CN102320357A (en) | Spar Platform centerwell device | |
US8753521B2 (en) | Offshore oil spill remediation and recovery system | |
EP3322635B1 (en) | Floating production unit and method of installing a floating production unit | |
KR20170019658A (en) | Bubble-type skim pile | |
CN203767043U (en) | Tension leg platform | |
US20120263543A1 (en) | Fully Constraint Platform in Deepwater | |
RU2013127523A (en) | DRILLING MARINE BASE WITH A SINGLE CONIC SUPPORT ON A PILED BASE | |
US10442507B2 (en) | Buoyant offshore structure | |
CN203684192U (en) | Offshore jacket production platform | |
CN206218146U (en) | Offshore operation at sea platform | |
CN102400479A (en) | Deep sea water extraction method | |
CN106428436A (en) | Offshore overwater operation platform | |
CN101665181B (en) | Large-scale oil storage unit applicable to shallow sea area and installation and oil storage methods thereof | |
US20170028316A1 (en) | Dual helix cycolinic vertical seperator for two-phase hydrocarbon separ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