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377A - 보트 - Google Patents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377A
KR20170004377A KR1020150094661A KR20150094661A KR20170004377A KR 20170004377 A KR20170004377 A KR 20170004377A KR 1020150094661 A KR1020150094661 A KR 1020150094661A KR 20150094661 A KR20150094661 A KR 20150094661A KR 20170004377 A KR20170004377 A KR 20170004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boat
boat hull
occupan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군
Original Assignee
이상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군 filed Critical 이상군
Priority to KR1020150094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377A/ko
Publication of KR20170004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4Oars; Sculls; Paddles; Poles
    • B63B35/73
    • B63B35/7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3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non-rotary type
    • B63H1/36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non-rotary type swinging sideways, e.g. fishtai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의하면, 탑승자의 노젓기에 의해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보트로서, 보트 선체; 상기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기 보트 선체 내측에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좌석; 일단이 상기 보트 선체의 후미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상하로 동작하는 물갈퀴 형태의 노; 로드 형태로서, 일단은 상기 보트 선체의 내측 하부에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좌석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며 상기 탑승자에 의해 상기 보트 선체 전후로 조작되는 노대; 상기 노와 상기 노대를 연결하여 상기 노대의 조작력을 상기 노로 전달하여, 상기 노가 상하로 동작되도록 하는 제1 링크부; 상기 보트 선체의 전방으로 배치되어, 상기 탑승자의 하체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보트 선체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방향 전환부를 포함하는 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보트 탑승자가 보트의 진행 방향을 주시하며 노를 저을 수 있고, 본 발명은 보트 탑승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양측으로 배치된 노대를 조작하여 보다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보트{Boat}
본 발명은 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트의 탑승자가 노젓기를 하면 선미의 물갈퀴 형태의 노가 수중에서 상하로 움직이며 앞으로 추진되는 보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강이나 바다에서 이동이나 레저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트의 경우 노를 이용하여 추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보트 탑승자가 보트의 진행 방향 즉, 선수를 바라보며 노를 젓는 경우에는 보트 탑승자가 노를 자신의 좌우로 번갈아 저으며 추진력을 얻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단일의 노를 사용하므로 일정 이상의 추진력을 얻기 힘든 어려움이 있다.
보트 탑승자가 보트의 진행 반대 방향 즉, 선미를 바라보며 노를 젓는 경우에는 보트 탑승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보트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노를 일시에 저을 수 있어, 보다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탑승자가 보트의 진행 방향의 주시하지 못하므로 보트의 안전 운행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실용신안공고번호 1992-0005594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트 탑승자가 보트의 진행 방향을 주시하며 노를 저을 수 있는 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트 탑승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양측으로 배치된 노대를 조작하여 보다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의하면, 탑승자의 노젓기에 의해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보트로서, 보트 선체; 상기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기 보트 선체 내측에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좌석; 일단이 상기 보트 선체의 후미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상하로 동작하는 물갈퀴 형태의 노; 로드 형태로서, 일단은 상기 보트 선체의 내측 하부에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좌석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며 상기 탑승자에 의해 상기 보트 선체 전후로 조작되는 노대; 상기 노와 상기 노대를 연결하여 상기 노대의 조작력을 상기 노로 전달하여, 상기 노가 상하로 동작되도록 하는 제1 링크부; 상기 보트 선체의 전방으로 배치되어, 상기 탑승자의 하체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보트 선체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방향 전환부를 포함하는 보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의하면, 탑승자의 노젓기에 의해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보트로서, 보트 선체; 상기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기 보트 선체 내측에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좌석; 일단이 상기 보트 선체의 후미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상하로 동작하는 물갈퀴 형태의 노; 로드 형태로서, 일단은 상기 보트 선체의 내측 하부에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좌석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며 상기 탑승자에 의해 상기 보트 선체 전후로 조작되는 노대; 상기 노와 상기 노대를 연결하여 상기 노대의 조작력을 상기 노로 전달하여, 상기 노가 상하로 동작되도록 하는 제1 링크부; 상기 보트 선체의 전방으로 배치되어, 상기 탑승자의 하체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보트 선체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방향 전환부를 포함하는 보트를 제공한다.
로드 형태로서, 상기 노의 선단부와 상기 노가 연결되는 상기 회전축 사이에 개재되는 노 연결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석은, 상기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와, 상기 보트 선체의 내측 하부면에 상기 보트 선체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과, 상기 시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와, 일정한 높이로서 상기 보트 선체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레일이 배치되고, 하부 중간으로는 공간을 제공하는 시트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노대의 중간부에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선미를 향하여 배치되며, 선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1 연결 로드와, 일단이 상기 노의 선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타단에 회전축으로 연결되되, 중심축이 상기 노의 동작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2 연결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부는, 상기 좌석 양측의 상기 노대의 중간부에 각각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선미를 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연결 로드와, 일단이 상기 노의 선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타단에 회전축으로 연결되되, 중심축이 상기 노의 동작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2 연결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 전환부는, 삼각형 형태로서 상기 보트 선체의 선수 하부 양측에 회전 동작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방향키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트 선체의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및 제2 방향키와, 상기 보트 선체의 내측 바닥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탑승자가 하체 양측에 의해 회전되도록 조작하는 조타 발판과, 상기 조타 발판의 단부와 상기 제1 및 제2 방향키 회전축을 연결하여, 상기 조타 발판의 조작력을 상기 제1 및 제2 방향키로 전달하는 제2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타 발판은 중간부에 상기 보트 선체의 바닥면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키 회전축 각각의 일측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단위 링크와, 일단은 상기 조타 발판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단위 링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단위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보트 탑승자가 보트의 진행 방향을 주시하며 노를 저을 수 있고, 본 발명은 보트 탑승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양측으로 배치된 노대를 조작하여 보다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대와 제1 링크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방향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방향 전환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100)는 보트 선체(110), 좌석(120), 노(130), 노대(140), 제1 링크부(150), 방향 전환부(160)를 포함한다.
보트 선체(110)는 소정 인원의 보트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트 선체(110)의 길이와 폭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고, 탑승 인원도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보트 선체(110)의 형태도 필요와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트 선체(110)는 탑승자가 1인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좌석(120)은 보트 선체(110)의 내측으로 배치된다. 좌석(120)에는 보트의 탑승자가 착석한다. 따라서, 좌석(120)의 배치 개수는 최대 탑승 인원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서는 보트의 탑승자가 1인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좌석(120)은 다음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좌석(120)은 시트(122), 레일(124) 및 롤러(126)를 포함한다.
시트(122)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평판 형태로서, 그 상부에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다.
레일(124)은 보트 선체의 내측 바닥면의 시트(122) 배치 부위에 보트 선체(110)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롤러(126)는 시트(122)의 하부에 설치되어, 시트(122)가 레일(12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롤러(126)의 설치 개수는 시트(122)의 이동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보트 선체(110)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서는 좌석(120)이 보트 선체(110)의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트 선체(110)의 바닥면 상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태의 시트 거치대(128)가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시트 거치대(128)는 보트 선체(110) 바닥면 상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 레일(124)이 배치될 수 있다.
시트 거치대(128)의 하부 중간부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제공된다. 제공되는 공간으로는 후술하는 제1 연결 로드(152)가 지날 수 있다.
여기서, 보트(100) 내에 배치되는 좌석이 복수인 경우, 모든 좌석(120)이 시트(122), 레일(124) 및 롤러(126)를 포함할 수 있지만, 후술하는 노대(140)를 조작하는 탑승자가 착석하는 좌석(120) 만이 시트(122), 레일(124) 및 롤러(126)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석(120)은 탑승자가 후술하는 노대(140)의 전후 조작 시, 그 전후로 슬라이딩하며 노대(140)의 조작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노(130)는 물갈퀴 형태로서, 보트 선체(110)의 후미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그 단부가 상하로 동작 가능하게 구성된다. 노(130)의 동작에 의해 보트(100)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추진력이 발생된다.
노(130)의 형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노(130)는 삼각형 형태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노(130)는 정삼각형이거나 이등변삼각형일 수 있다. 또한, 노(130)의 양측은 노 선단의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노(130)는 3개의 꼭지점 중 하나의 꼭지점이 보트 선체(110)에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노(130)의 동작 시 노(130)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노(130)의 후단을 이루는 일변은 그 중앙부 보다 양단이 후방으로 돌출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130)는 금속과 같은 고형의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지만, 천 또는 고무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130)는 노(130)의 선단이 보트 선체(110)의 후미에 수평 회전축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노(130)와 노(130)가 연결되는 보트 선체(110)의 선미 사이에 로드 형태의 노 연결대(132)가 추가로 개재하여 연결될 수 있다.
노 연결대(132)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로서, 노 연결대(132)의 일단은 노(130)의 선단에 고정 연결되고, 노 연결대(132)의 타단은 보트 선체(110) 선미에 수평 회전축으로 연결된다. 노 연결대(132)의 추가에 의해 노(130) 단부의 상하 이동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추진력이 증가될 수 있다.
노 연결대(132)는 강철 또는 목재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지만, 카본과 같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특히, 노(130)의 재질이 금속과 같은 고형판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경우에는 노 연결대(132)는 탄성력이 있어, 소정 정도로 휨이 가능한 재질로 제작하여 추진력을 얻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대(14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로서, 일단이 보트 선체(110)의 내측 중간부에 회전축으로 연결된다. 노대(140)는 보트 선체(110)의 내측 중간에 배치되므로, 노대(140)는 탑승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노대(140)의 직경은 탑승자가 파지한 후,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정도라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노대(140)의 길이는 노대(140)의 상단이 탑승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위치에 위치되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탑승자의 다양한 신체 조건에 대응하기 위하여 노대(140)는 그 길이는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노대(140)의 상단으로는 탑승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가락 형태에 대응하여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대(140)의 상단으로는 탑승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손잡이가 연결될 수 있다.
노대(140)는 좌석에 착석한 탑승자가 그 상단부를 파지한 후에 보트 선체(110)의 전후로 조작할 수 있다.
제1 링크부(150)는 노대(140)와 노(130)를 연결하여 노대(140)의 전후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운동력을 노(130)로 전달한다.
제1 링크부(150)는 제1 연결 로드(152)와 제2 연결 로드(154)를 포함한다.
제1 연결 로드(152)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로서, 일단은 노대(140)의 중간부에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선미를 향하여 배치된다. 제1 연결 로드(152)와 노대(140)의 연결점은 노대(140)와 보트 선체(110)의 연결 부위에서 가능한 이격되도록 하여, 노대(140)의 동작 시 제1 연결 로드(152)의 이동량이 가능한 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보트 선체(110) 내측에서 제1 연결 로드(152)가 전후로 운동하며 탑승자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연결 로드(152)의 선단부는 소정의 곡률로 하방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연결 로드(152)는 시트 거치대(128)의 하부를 통해 배치된다.
이때, 제1 연결 로드(152)의 타단은 후술하는 제2 연결 로드(154)와 연결된다.
제2 연결 로드(154)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로서, 일단은 제1 연결 로드(152)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노(130)가 연결되는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노(130)의 선단부 또는 노 연결대(132)의 선단부와는 고정 연결된다. 이때, 제2 연결 로드(154)의 중심축은 노(130)의 동작면과는 소정의 각도를 이룬다.
제2 연결 로드(154)는 제1 연결 로드(152)의 전후 이동에 따라 그 일단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후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노(13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대와 제1 링크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노대와 제1 링크부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른 구성 요소들의 도시는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표시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대(140A)와 제1 링크부(150A)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노대(140A)는 보트 선체(110)의 내측에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좌석(120)에 탑승한 탑승자의 양손에 의해 각각 조작될 수 있도록 한다. 노대(140A)는 좌석에 착석한 탑승자가 양손으로 각각 파지한 후 보트 선체(110)의 전후로 조작된다.
보트 선체(110) 양측의 노대(140A)는 서로 동일한 크기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링크부(150A)는 제1 연결 로드(152A)와 제2 연결 로드(154)를 포함한다. 제2 연결 로드(154)는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연결 로드(152A)는 각각의 노대(140A)에 대응할 수 있도록 'U'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그 양단은 일단이 노대(140A)의 중간부에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절곡 부위는 선미를 향하여 배치된다. 제1 연결 로드(152)의 절곡 부위는 제2 연결 로드(154)의 일단과 회전축으로 연결된다.
제1 연결 로드(152A)는 노대(140A)에서 제2 연결 로드(154) 까지 보트 선체(110)의 상단 외주를 따라 배치된다. 이때, 제1 연결 로드(152)는 보트 선체(110)의 상단 외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트 탑승자는 좌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양손으로 각각 노대(140A)의 상단을 파지하고, 전후로 조작하면 노대(140A)의 조작이 제1 링크부(150A)를 통해 노(130)로 전달된다. 노(130)는 상하로 동작하며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방향 전환부(160)는 보트 선체(110)의 전방 외부에 배치된다. 방향 전환부(160)는 탑승자에 의해 조작되어 보트 선체(110)의 추진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전환부(160)는 노대(140)를 조작하는 탑승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나, 탑승 인원이 많은 경우, 다른 탑승자에 의해 조작될 수도 있다.
방향 전환부(160)는 제1 및 제2 방향키(162a, 162b), 조타 발판(164) 및 제2 링크부(165)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방향키(162a, 162b)는 보트 선체(110)의 선수 하부 양측으로 각각 배치된다. 제1 및 제2 방향키(162a, 162b)는 보트 선체(110)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방향키 회전축(163a, 163b)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제1 및 제2 방향키(162a, 162b)는 전체 또는 일부가 수중에 잠기도록 배치된다.
제1 및 제2 방향키(162a, 162b)는 수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면, 제1 및 제2 방향키(162a, 162b)가 수중에 잠겨 조타성을 얻는 것이 용이해지지만, 조타성과 함께 수중에서의 부양력 획득과 수평 안정성 확보를 위해 수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방향키(162a, 162b)는 수면에 대하여 45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방향키(162a)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방향키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1 방향키(162a)는 삼각형 형태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방향키(162a)는 직각 삼각형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보트(100)의 항행 시, 저항 감소를 위해 제1 방향키(162a)의 전후단부는 각각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1 방향키(162a)는 비행기 날개의 단면과 같이 소정의 익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방향키(162b)는 제1 방향키(162a)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제1 및 제2 방향키(162a, 162b)는 일변이 보트 선체(110)의 외주면 상에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방향키 회전축(163a, 163b)에 각각 연결된다.
조타 발판(164)은 보트 선체(11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타 발판(164)은 탑승자의 좌석(120) 전방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타 발판(164)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이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일 수도 있다.
조타 발판(164)은 중간부가 소정의 회전축에 의해 보트 선체(110)의 바닥면에 연결되어 있어, 조타 발판(164)의 양단에 대한 힘의 인가 여부에 따라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특히, 노대(140)를 조작하는 탑승자가 조타 발판(164)을 함께 조작해야 하는 경우를 위해 조타 발판(164)은 선체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타 발판(164)은 보트 선체(11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므로, 탑승자가 양측 다리를 이용하여 회전 조작할 수 있다. 조타 발판(164)의 양측으로는 탑승자의 양측 다리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 고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타를 담당하는 탑승자가 양측 다리를 이용하여 조타 발판(164)의 양단 중, 어느 일단에 대하여 힘을 인가하면, 조타 발판(164)이 회전한다.
제2 링크부(165)는 조타 발판(164)의 양단 각각과 제1 방향키(162a) 및 제2 방향키(162b) 각각을 연결하여, 조타 발판(164)의 조작력이 제1 방향키(162a) 및 제2 방향키(162b)로 전달되도록 한다.
제2 링크부(165)는 제1 단위 링크(166)와 제2 단위 링크(168)를 포함한다.
제1 단위 링크(166)는 제1 및 제2 방향키 회전축(163a, 163b)의 외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제1 단위 링크(166)는 제1 및 제2 방향키(162a, 162b)의 동작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단위 링크(168)는 일단이 조타 발판(164)의 양단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단위 링크(166)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방향키(162a, 162b)는 보트(100)의 직선 주행 시에는 방향키의 동작면이 보트(100)와 평행한다. 보트(100)가 탑승자가 원하는 소정방향으로 향하고자 하는 경우 방향키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보트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트의 주행을 설명하기로 한다.
탑승자는 보트 선체(110) 내측의 좌석(120)의 시트(122)에 착석한다. 이때, 탑승자는 보트(100)의 진행 방향을 바라보는 위치로 착석한다. 그리고, 탑승자는 양측 발을 조타 발판(164) 상의 고정 고리에 삽입한다.
이후, 탑승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노대(140)의 손잡이 부위를 파지한 후, 노대(140)를 전후로 왕복 조작한다. 여기서, 노대(140)는 보트 선체(110)의 중간 또는 양측으로 배치되지만, 배치 위치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와의 연결 동작은 서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노대(140)가 보트 선체(110)의 중간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노대(140)의 조작 시, 더 큰 조작력을 얻을 수 있도록 좌석(120)은 전후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노대(140)의 조작에 의해, 제1 연결 로드(152)도 전후로 왕복 동작한다. 제1 연결 로드(152)의 동작에 의해, 제1 연결 로드(152)와 연결되어 의해 제2 연결 로드(154)의 일단도 전후로 왕복 동작한다.
도 5는 노대(140)를 전방으로 조작했을 대의 노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노대(140)를 후방으로 조작했을 때의 노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탑승자가 노대(140)를 후방으로 조작하면, 그 조작력은 제1 연결 로드(152)와 제2 연결 로드(154)를 통해 노(130)로 전달되어, 노(130)는 수면에서 하부로 이동하며 보트(100)의 추진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탑승자가 노대(140)를 전방으로 조작하면, 그 조작력은 제1 연결 로드(152)와 제2 연결 로드(154)를 통해 노(130)로 전달되어, 노(130)는 수면 하부에서 수면으로 이동하며 보트(100)의 추진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트(100)의 방향 전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방향 전환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7, 도 9, 도 11은 보트의 정면도이고, 도 8, 도 10, 도 12는 보트의 평면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방향키(162a, 162b)의 동작면은 보트(100)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서, 보트(100)는 직진한다.
보트(100)의 항행 시, 방향 전환을 하고자 하는 경우, 탑승자는 조타 발판(164)을 조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항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탑승자는 자신의 다리를 이용하여 자신의 항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조타 발판(164)을 조작한다.
보트가 좌측으로 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트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보트를 좌측으로 항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탑승자는 조타 발판(164)의 우측은 당기고, 좌측은 밀어서 회전시킨다.
조타 발판(164)의 회전은 제2 단위 링크(168)를 통해 좌우의 제1 단위 링크(166)로 전달된다. 우측의 제1 단위 링크(166)는 당겨지며 제2 방향키(162b)가 제2 방향키 회전축(163b)을 중심으로 하여 우측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좌측의 제1 단위 링크(166)는 밀어지며 제1 방향키(162a)가 제1 방향키 회전축(163a)을 중심으로 하여 좌측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제1 방향키(162a)와 제2 방향키(162b)의 회전에 의해, 보트(100)는 좌측으로 항행할 수 있다.
보트가 우측으로 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트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한편, 보트를 우측으로 항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탑승자는 조타 발판(164)의 좌측은 당기고, 우측은 밀어서 회전시킨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보트가 좌측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는,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상태와 반대로 동작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방향키와 단위 링크의 연결 상태 변경에 따라 보트의 선회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트 탑승자가 보트의 진행 방향을 주시하며 노를 저을 수 있고, 본 발명은 보트 탑승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양측으로 배치된 노대를 조작하여 보다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보트
110: 보트 선체 120: 좌석
130: 노
140, 140A: 노대 150: 제1 링크부
160: 방향 전환부

Claims (9)

  1. 탑승자의 노젓기에 의해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보트로서,
    보트 선체;
    상기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기 보트 선체 내측에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좌석;
    일단이 상기 보트 선체의 후미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상하로 동작하는 물갈퀴 형태의 노;
    로드 형태로서, 일단은 상기 보트 선체의 내측 하부에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좌석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며 상기 탑승자에 의해 상기 보트 선체 전후로 조작되는 노대;
    상기 노와 상기 노대를 연결하여 상기 노대의 조작력을 상기 노로 전달하여, 상기 노가 상하로 동작되도록 하는 제1 링크부;
    상기 보트 선체의 전방으로 배치되어, 상기 탑승자의 하체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보트 선체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방향 전환부를 포함하는 보트.
  2. 탑승자의 노젓기에 의해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보트로서,
    보트 선체;
    상기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기 보트 선체 내측에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좌석;
    일단이 상기 보트 선체의 후미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상하로 동작하는 물갈퀴 형태의 노;
    로드 형태로서, 일단은 상기 보트 선체의 내측 하부에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좌석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며 상기 탑승자에 의해 상기 보트 선체 전후로 조작되는 노대;
    상기 노와 상기 노대를 연결하여 상기 노대의 조작력을 상기 노로 전달하여, 상기 노가 상하로 동작되도록 하는 제1 링크부;
    상기 보트 선체의 전방으로 배치되어, 상기 탑승자의 하체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보트 선체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방향 전환부를 포함하는 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드 형태로서, 상기 노의 선단부와 상기 노가 연결되는 상기 회전축 사이에 개재되는 노 연결대를 더 포함하는 보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상기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와,
    상기 보트 선체의 내측 하부면에 상기 보트 선체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과,
    상기 시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와,
    일정한 높이로서 상기 보트 선체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레일이 배치되고, 하부 중간으로는 공간을 제공하는 시트 거치대를 포함하는 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노대의 중간부에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선미를 향하여 배치되며, 선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1 연결 로드와,
    일단이 상기 노의 선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타단에 회전축으로 연결되되, 중심축이 상기 노의 동작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2 연결 로드를 포함하는 보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는,
    상기 좌석 양측의 상기 노대의 중간부에 각각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선미를 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연결 로드와,
    일단이 상기 노의 선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타단에 회전축으로 연결되되, 중심축이 상기 노의 동작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2 연결 로드를 포함하는 보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부는,
    삼각형 형태로서 상기 보트 선체의 선수 하부 양측에 회전 동작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방향키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트 선체의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및 제2 방향키와,
    상기 보트 선체의 내측 바닥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탑승자가 하체 양측에 의해 회전되도록 조작하는 조타 발판과,
    상기 조타 발판의 단부와 상기 제1 및 제2 방향키 회전축을 연결하여, 상기 조타 발판의 조작력을 상기 제1 및 제2 방향키로 전달하는 제2 링크부를 포함하는 보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타 발판은 중간부에 상기 보트 선체의 바닥면과 연결되는 발판 회전축이 배치되는 보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키 회전축 각각의 일측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단위 링크와,
    일단은 상기 조타 발판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단위 링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단위 링크를 포함하는 보트.
KR1020150094661A 2015-07-02 2015-07-02 보트 KR20170004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661A KR20170004377A (ko) 2015-07-02 2015-07-02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661A KR20170004377A (ko) 2015-07-02 2015-07-02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377A true KR20170004377A (ko) 2017-01-11

Family

ID=5783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661A KR20170004377A (ko) 2015-07-02 2015-07-02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3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047A (ko) 2020-04-21 2021-10-29 최성혜 방사선 차폐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211290A1 (ko) * 2021-03-30 2022-10-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치료용 산란선 차폐 속옷
CN115303452A (zh) * 2022-08-18 2022-11-08 江苏科技大学 一种蝠鲼式仿生鱼及其浮力调节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047A (ko) 2020-04-21 2021-10-29 최성혜 방사선 차폐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211290A1 (ko) * 2021-03-30 2022-10-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치료용 산란선 차폐 속옷
CN115303452A (zh) * 2022-08-18 2022-11-08 江苏科技大学 一种蝠鲼式仿生鱼及其浮力调节方法
CN115303452B (zh) * 2022-08-18 2023-09-22 江苏科技大学 一种蝠鲼式仿生鱼及其浮力调节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5559B2 (en) Foot operated propulsion system for watercraft
US3677216A (en) Rowing device
US20100124859A1 (en) Compound rotational grip
JP2001512077A (ja)
US11072399B2 (en) Hydrofoil craft
US20150072576A1 (en) Stand-Up Pedal Board
KR20170004377A (ko) 보트
US10343754B1 (en) Oscillating fin propulsion apparatus
US4642056A (en) Recreational water craft
US9440721B2 (en) Paddle for watercraft or flotation device
US9376176B1 (en) Stand up paddleboard having improved rowing characteristics
US20040166748A1 (en) Upright human floatation apparatus and propulsion mechanism therefor
US7234404B2 (en) Water craft with a sail
US10532249B1 (en) Scuba propulsion appatatus having oscillating fins
KR200452872Y1 (ko) 수상자전거
US10543894B2 (en) Self-powered standup personal watercraft
EP1500587A1 (en) Muscle propelled boat-like construction
US6857922B2 (en) Front facing rowing apparatus
CN1378948A (zh) “门内马斯摆杆”与双桨装置
CN101830274B (zh) 水上滑板
KR101723486B1 (ko) 휴대용 접이식 무동력 보트
EP1180479A1 (en) Rowing apparatus
KR101327532B1 (ko) 추진 핀의 좌우 추진식 수상 자전거
US9663207B2 (en) Paddle apparatus for watercraft
CN201834185U (zh) 水上滑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