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244A -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244A
KR20170004244A KR1020150094328A KR20150094328A KR20170004244A KR 20170004244 A KR20170004244 A KR 20170004244A KR 1020150094328 A KR1020150094328 A KR 1020150094328A KR 20150094328 A KR20150094328 A KR 20150094328A KR 20170004244 A KR20170004244 A KR 20170004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raw material
angle
amount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0643B1 (ko
Inventor
이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산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산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산기공
Priority to KR1020150094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643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Abstract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 시 투입된 원료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세척수의 흐름 및 골재의 이송 각도/속도를 조절하여 세척 효과를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하도록 한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투입된 원료 상태를 검출하는 원료상태 검출수단; 상기 원료상태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투입 원료의 상태를 기초로 세척수 속도 제어신호, 골재 이송각도 및 이송속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에서 발생한 세척수 속도 제어신호에 따라 세척수의 속도를 조절하는 세척수 속도 조절부; 상기 제어수단에서 발생한 골재 이송각도 제어신호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의 각도를 조절하여 이송각도를 조절하는 골재 이송각도 조절부; 상기 제어수단에서 발생한 골재 이송속도 제어신호에 따라 골재 이송속도를 조절하는 골재 이송속도 조절부; 및 상기 세척수 속도 조절부와 골재 이송각도 조절부 및 골재 이송속도 조절부와 연동하여 골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를 포함하여,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를 구현한다.

Description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및 그 방법{Recycling construction waste in the recyled aggregate of waste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입된 건축폐기물 골재를 파쇄하여 크기별로 선별하고, 선별된 골재를 처리하여 잔 골재(모래) 및 굵은 골재를 동시에 생산하며,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시 투입된 원료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세척수의 흐름 및 골재의 이송 각도/속도를 조절하여 세척 효과를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하도록 한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많은 구조물, 예를 들어, 교량, 도로 및 각종 건축물들은 세월이 지나 점차 노후화되고 있다. 그 결과 노후 건축물 등의 해체, 재건축 및 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노후 구조물의 해체, 재건축 또는 재개발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많은 건축폐기물이 발생한다. 이러한 건축폐기물들을 그대로 매립할 경우, 매립지 확보가 어려울 뿐 아니라 매립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환경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연환경 보호와 자원 재활용이라는 2가지 측면에서 다양한 건축폐기물 처리대책이 강구되어 왔다.
건축폐기물을 처리하고 그로부터 골재 및 모래를 생산하는 종래의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건설폐기물에서 토분 등을 제거하고 골재원료를 생산하는 폐기물처리부; 상기 골재원료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를 생산하는 골재생산부를 구비함으로써, 폐기물처리와 골재생산이 하나의 설비 내에서 이루어지며, 공정 간 골재원료를 운송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아울러 건설폐기물에서 생산되는 골재원료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를 동시에 생산함으로써, 건설폐기물에서 생산되는 골재원료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비산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스프레이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건설폐기물 처리와 골재생산이 옥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27173호(2015.06.02. 등록)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폐기물처리와 골재생산이 하나의 설비에서 이루어지므로, 공정간 골재 원료를 운송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와 샌드플럭스 공정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없어, 이물질 분리성이 저하되고, 고품질의 골재 및 모래를 생산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건설폐기물로부터 골재를 추출하는 생산 시스템과 모래만 추출하는 시스템을 별도로 운영하기 때문에, 골재 및 모래를 생산하는 시스템의 구축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투입된 원료의 상태에 따라 세척수의 흐름이나 골재의 이송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없어, 세척 효과가 저하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유입된 건축폐기물 골재를 파쇄하여 크기별로 선별하고, 선별된 골재를 처리하여 잔 골재(모래) 및 굵은 골재를 동시에 생산하며,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시 투입된 원료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세척수의 흐름 및 골재의 이송 각도/속도를 조절하여 세척 효과를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하도록 한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소 크기 이상의 골재는 재파쇄하고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 및 탈수 스크린 동작을 수행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세척을 시행함으로써, 고품질의 굵은 골재를 모래와 동시에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는 투입된 원료 상태를 검출하는 원료상태 검출수단; 상기 원료상태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투입 원료의 상태를 기초로 세척수 속도 제어신호, 골재 이송각도 및 이송속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에서 발생한 세척수 속도 제어신호에 따라 세척수의 속도를 조절하는 세척수 속도 조절부; 상기 제어수단에서 발생한 골재 이송각도 제어신호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의 각도를 조절하여 이송각도를 조절하는 골재 이송각도 조절부; 상기 제어수단에서 발생한 골재 이송속도 제어신호에 따라 골재 이송속도를 조절하는 골재 이송속도 조절부; 상기 세척수 속도 조절부와 골재 이송각도 조절부 및 골재 이송속도 조절부와 연동하여 골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원료상태 검출수단은 투입된 원료의 양과 원료의 형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수단은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세척수의 흐름 속도를 기준보다 낮추고, 상기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세척수의 흐름 속도를 기준보다 높여 세척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수단은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이송 각도를 기준각도보다 낮추며, 상기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이송 각도를 기준각도보다 높여 세척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수단은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이송 속도를 기준속도보다 낮추며, 상기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이송속도를 기준속도보다 높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수단은 상기 투입된 원료의 형상을 기초로 골재의 이송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골재 이송각도 조절부는 상기 골재 이송각도 제어신호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이송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스크린 장치는 골재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실린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모터;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세척수 위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컨베이어벨트 부상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방법은 (a) 건축폐기물 골재를 파쇄하고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선별된 골재에서 최소 입도로 선별된 골재를 샌드 플럭스 처리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잔 골재(모래)를 생산하는 단계; (c) 상기 (a)단계에서 크기별로 선별된 골재에서 상기 최소 입도로 선별된 골재보다 큰 골재에 대하여 재차 파쇄하고,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선별된 골재에서 특정 크기를 갖는 골재만을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처리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굵은 골재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투입된 원료의 상태에 따라 세척수의 흐름 속도와 골재의 이송 각도 및 이송속도를 조절하여 세척 효과를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a)단계는 크러셔(crusher)를 이용하여 건축폐기물 골재를 파쇄하고, 파쇄된 골재를 스크린 장치를 이용하여 제1입도 내지 제4입도 크기로 선별하며, 상기 제1 입도는 5mm 미만이고, 제2 입도는 5mm ~ 9mm 미만이며, 제3 입도는 9mm ~ 25mm 미만이고, 제4 입도는 2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b)단계는 (b1)상기(a)단계에서 최소로 선별된 골재를 사이클론 장치를 이용하여 잔 골재를 분리하는 단계; (b2)상기 사이클론 장치에서 분리된 골재를 플럭스 처리하여 쓰레기를 분리하는 단계; (b3) 플럭스 장치에서 분리된 잔 골재를 스크린 처리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모래를 생성하는 단계; (b4) 상기 플럭스 장치에서 분리된 쓰레기를 스크린 처리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c)단계는 상기 (a)단계에서 분류된 제3입도 및 제4입도에 해당하는 골재를 크러셔를 이용하여 파쇄하고, 파쇄된 골재를 스크린 장치를 이용하여 제1입도 내지 제4입도 크기로 선별하며, 상기 제1입도는 5mm 미만이고, 제2입도는 5mm ~ 9mm 미만이며, 제3입도는 9mm ~ 25mm 미만이고, 제4입도는 2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c)단계는 선별한 제1입도의 골재는 상기 (b)단계로 이송시키고, 선별한 제2입도의 골재는 상기 (a)단계로 이송시키며, 선별한 제4입도의 골재는 상기 크러셔를 이용하여 재파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 선별된 제3입도의 골재를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처리하여 이물질은 분리하고 굵은 골재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d1)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처리를 통해 상기 제3입도의 골재를 스크린 처리하여 이물질을 분리하여 쓰레기를 추출하는 단계; (d2)상기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처리를 통해 상기 제3입도의 골재를 스크린 처리하여 굵은 골재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투입된 원료의 양과 원료의 형상에 따라 세척수의 속도와 이송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세척수의 흐름 속도를 기준보다 낮추고, 상기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세척수의 흐름 속도를 기준보다 높여 세척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이송 각도를 기준각도보다 낮추며, 상기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이송 각도를 기준각도보다 높여 세척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이송 속도를 기준속도보다 낮추며, 상기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이송속도를 기준속도보다 높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골재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이송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된 건축폐기물 골재를 파쇄하여 크기별로 선별하고, 선별된 최소 크기의 골재는 샌드플럭스(sandflux) 및 탈수스크린 처리하여 고품질의 잔 골재를 생산하고, 동시에 최소 크기 이상의 골재는 재파쇄하고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 및 탈수 스크린 동작을 수행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세척을 시행하여 고품질의 굵은 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입되는 원료(골재)의 상태에 따라 세척수의 흐름 속도와 골재의 이송 각도 및 이송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세척력을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처리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분리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분리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가 적용되는 건축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개략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건축폐기물 처리시스템은 호퍼(101)를 통하여 공급된 건축폐기물 골재를 파쇄하고 토분을 회수하여 통과시키는 제1파쇄기(102), 골재원료 저장조(103), 상기 골재원료 저장조(103)에 저장된 골재를 파쇄하는 제2파쇄기(104), 상기 제2파쇄기(104)에서 파쇄된 골재를 스크린 처리하여 입도 별(크기별)로 분리하는 제1스크린(114), 상기 제1스크린(114)에 의해 파쇄된 골재 중 최소 입도를 갖는 골재를 처리하여 잔 골재를 분리하는 사이클론 장치(108), 상기 사이클론 장치(108)를 통과한 골재를 플럭스 처리하여 쓰레기를 분리하는 플럭스 탱크(116), 분리된 쓰레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쓰레기 탈수스크린(109), 상기 사이클론 장치(108)를 통과한 잔 골재를 탈수 스크린 처리하여 잔 골재(모래)를 생산하는 잔 골재 탈수스크린(11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건축폐기물 처리시스템은 상기 제1스크린(114)에 의해 선별된 골재 중 상기 최소 입도를 갖는 골재보다 큰 입도를 갖는 골재를 파쇄하는 제3파쇄기(105), 상기 제3파쇄기(105)에 의해 파쇄된 골재를 스크린 처리하여 입도별로 분리하는 제2스크린(115), 상기 제2스크린(115)에 의해 분리된 골재를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처리하여 순환골재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117), 상기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117)에서 분리된 이물질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이물질 탈수 스크린(106), 상기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117)에 의해 분리된 골재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굵은 골재를 생산하는 골재 탈수 스크린(107)을 더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원료상태 검출수단(201), 제어수단(202), 세척수 속도 조절부(203), 골재 이송각도 조절부(204), 골재 이송속도 조절부(205) 및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원료상태 검출수단(201)은 투입된 원료 상태를 검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투입된 원료의 양과 원료의 형상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입된 원료의 양은 원료 공급량 정보를 이용하거나 무게를 측정하여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원료의 형상은 원료를 촬영하고 영상 분석을 통해 원료의 형상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 형상은 사각형, 원형, 타원형, 삼각형 등의 형상을 의미하며, 원료를 촬영하고, 촬영 영상으로부터 물체를 분리하고 분리한 물체의 외곽선을 추출하여 원료의 형상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수단(202)은 상기 원료상태 검출수단(201)에서 검출한 투입 원료의 상태를 기초로 세척수 속도 제어신호, 골재 이송각도 및 골재 이송속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어수단(202)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컴, 중앙처리장치, 컨트롤러와 제어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투입된 원료의 상태는 원료 량과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수단(202)은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세척수의 흐름 속도를 기준보다 낮추고, 상기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세척수의 흐름 속도를 기준보다 높여 세척력을 높인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수단(202)은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이송 각도를 기준각도보다 낮추며, 상기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이송 각도를 기준각도보다 높여 세척력을 높인다.
아울러 상기 제어수단(202)은 상기에서 제어수단은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이송 속도를 기준속도보다 낮추며, 상기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이송속도를 기준속도보다 높여 생산성을 높인다.
상기 세척수 속도 조절부(203)는 상기 제어수단(202)에서 발생한 세척수 속도 제어신호에 따라 세척수의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골재 이송각도 조절부(204)는 상기 제어수단(202)에서 발생한 골재 이송각도 제어신호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의 각도를 조절하여 이송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골재 이송각도 조절부(204)는 상기 골재 이송각도 제어신호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이송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골재 이송속도 조절부(205)는 상기 제어수단(202)에서 발생한 골재 이송속도 제어신호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여 골재 이송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300)는 상기 세척수 속도 조절부, 골재 이송각도 조절부 및 골재 이송속도 조절부와 연동하여 골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는 도 1의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117)를 의미한다.
이러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재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301); 상기 컨베이어 벨트(301)의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실린더(302); 상기 컨베이어 벨트(301)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는 모터(304); 상기 컨베이어 벨트(301)가 세척수 위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컨베이어벨트 부상 방지부(303)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a) 건축폐기물 골재를 파쇄하고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S10 ~ S30); (b) 상기 (a)단계에서 선별된 골재에서 최소 입도로 선별된 골재를 샌드 플럭스 처리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잔 골재(모래)를 생산하는 단계(S40); (c) 상기 (a)단계에서 크기별로 선별된 골재에서 상기 최소 입도로 선별된 골재보다 큰 입도를 갖는 골재에 대하여 재차 파쇄하고,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S50, S60); (d) 상기 (c)단계에서 선별된 골재에서 특정 크기를 갖는 골재만을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처리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굵은 골재를 생산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상기 (d)단계는 투입된 원료의 상태에 따라 세척수의 흐름 속도, 골재의 이송 각도 및 이송 속도를 조절하여 세척 효과를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d)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 선별된 제3입도의 골재를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처리하여 이물질은 분리하고 굵은 골재를 생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d)단계는 (d1)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처리를 통해 상기 제3입도의 골재를 스크린 처리하여 이물질을 분리하여 쓰레기를 추출하는 단계; (d2)상기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처리를 통해 상기 제3입도의 골재를 스크린 처리하여 굵은 골재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d)단계는 투입된 원료의 양과 원료의 형상에 따라 세척수의 속도와 이송 각도를 조절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d)단계는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세척수의 흐름 속도를 기준보다 낮추고, 상기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세척수의 흐름 속도를 기준보다 높여 세척력을 높인다.
아울러 상기 (d)단계는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이송 각도를 기준각도보다 낮추며, 상기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이송 각도를 기준각도보다 높여 세척력을 높인다.
또한, 상기 (d)단계는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이송 속도를 기준속도보다 낮추며, 상기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이송속도를 기준속도보다 높여 생산성을 높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처리장치 및 그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폐기물이 호퍼(101)에 수용되면, 제1파쇄기(102)는 상기 호퍼(101)에 수용된 건축폐기물 골재에 충격을 가하여 파쇄한다. 이때 건축폐기물 골재가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일 경우, 굵은 골재에 붙어있는 모래를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1파쇄기(102)는 다양한 파쇄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 크러셔나 조 크러셔와 같은 크러셔(102)를 이용할 수 있다(S1, S2).
제1파쇄기(102)에 의해 파쇄된 골재는 골재원료가 되어 골재원료 저장소(103)에 저장된다(S10).
이후, 골재원료 저장소(103)에 저장된 골재는 제2파쇄기(104)에 의해 파쇄된다(S20). 여기서 제2파쇄기(104)도 상기 임팩트 크러셔나 콘 크러셔와 같은 크러셔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러셔에 의해 파쇄된 골재는 제1스크린(114)에 의해 스크린 처리되어, 입도 별로 분리된다(S30). 제1스크린(114)은 스칼핑 스크린 장치(saclping screen equipment)와 같은 진동 스크린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스크린(114)은 상기 파쇄된 골재를 제1입도 내지 제4입도 크기로 선별한다. 여기서 제1 입도는 5mm 미만이고, 제2 입도는 5mm ~ 9mm 미만, 제3 입도는 9mm ~ 25mm 미만, 제4 입도는 2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스크린(114)에 의해 선별된 골재 중 입도가 가장 작은 골재 즉, 입도가 5mm 미만인 제1입도의 골재는 잔 골재로 선별되어 잔 골재 저장소에 수용된다. 잔 골재 저장소에 수용된 잔 골재는 샌드 플럭스 처리를 통해 쓰레기와 잔 골재(모래)로 최종 분리되어, 잔 골재가 생산된다(S40). 여기서 샌드 플럭스 장치는 사이클론 장치(108)와 플럭스 탱크(116)를 조합한 것으로서, 비중 및 부력 차이를 이용하고, 플럭스 탱크(116) 하부의 모래(잔 골재)는 핀치 밸브에 의해 자동 배출시키는 것으로 건축폐기물 또는 준설토사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예컨대, 잔 골재 저장소에 수용된 잔 골재에 대해, 사이클론 장치(cyclone equipment)(108)를 통해 잔 골재와 이물질을 1차 분리한다(S41). 여기서 사이클론 장치는 건축폐기물 분야에 이미 잘 알려진 공지의 장치로서, 건축폐기물과 세척수가 혼합된 혼합물이 선회류에 의해서 생기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건축폐기물에 섞여있는 비중 1.0 이하의 가벼운 이물질을 1차 분리한다.
사이클론 장치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은 샌드플럭스 탱크(116)를 통해 최종적으로 모래와 쓰레기로 분리된다(S44). 또한, 분리된 쓰레기는 쓰레기 탈수스크린(109)으로 배출된다(S42). 여기서 샌드플럭스는 부력 차이를 이용하여 잔 골재로부터 쓰레기를 분리한다. 즉, 물과 세척모래(잔 골재)의 혼합물을 탱크(116) 내부의 물 분사장치에 의한 부력 부가수단에 의해 세척 모래에 섞인 비닐, 나무 조각 등의 이물질이 비중 차이에 의해 부상함으로써, 세척 모래에서 비닐, 나무 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아울러 사이클론 장치(108) 및 샌드플럭스 탱크(116)에 의해 분리된 잔 골재는 잔 골재 탈수 스크린(110)을 통해 수분이 제거되어 잔 골재인 모래가 생산된다(S43, S44).
다음으로, 상기 제1스크린(114)에 의해 선별된 제2 입도를 갖는 골재는 상기 제2파쇄기(104)를 통해 다시 파쇄된 후, 상기 제1스크린(114)을 통해 다시 입도별로 선별된다. 그리고 선별된 제1입도를 갖는 골재는 상기 샌드 플럭스 처리 과정을 통해 처리되어, 쓰레기와 모래로 분리된다.
아울러 상기 제1스크린(114)에 의해 선별된 제3입도 및 제4입도를 갖는 굵은 골재는 제3파쇄기(105)에 의해 파쇄 된다(S50). 여기서 제3파쇄기(105)는 상기 임팩트 크러셔와 콘 크러셔와 같은 크러셔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파쇄기(105)에 의해 파쇄된 골재는 제2스크린(115)을 통해 스크린 처리되어, 입도 별로 분리된다(S60). 제2스크린(115)은 스칼핑 스크린 장치(saclping screen equipment)와 같은 진동 스크린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스크린(115)도 상기 제1스크린(114)과 마찬가지로 상기 파쇄된 골재를 제1입도 내지 제4입도 크기로 선별한다. 여기서 제1입도는 5mm 미만이고, 제2입도는 5mm ~ 9mm 미만, 제3입도는 9mm ~ 25mm미만, 제4입도는 25mm 이상으로 설정한다.
제2스크린(115)에 의해 선별된 골재 중 입도가 가장 작은 골재 즉, 입도가 5mm미만인 제1입도의 골재는 잔 골재로 선별되어 상기 샌드 플럭스 처리 장치로 이송되어, 잔 골재 저장소에 수용된다. 잔 골재 저장소에 수용된 잔 골재는 샌드 플럭스 처리를 통해 쓰레기와 잔 골재(모래)로 최종 분리되어, 잔 골재가 생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스크린(115)에 의해 선별된 제2입도를 갖는 골재는 상기 제1파쇄기(104)를 통해 다시 파쇄된 후, 상기 제1스크린(114)을 통해 다시 입도별로 선별된다. 그리고 선별된 제1입도를 갖는 골재는 상기 샌드 플럭스 처리 과정을 통해 처리되어, 쓰레기와 모래로 분리된다.
또한, 상기 제2스크린(115)에 의해 선별된 제4입도를 갖는 굵은 골재는 상기 제2파쇄기(105)로 이송되어, 재차 파쇄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2스크린(115)을 통해 스크린 처리가 되어, 다시 제1 내지 제4입도 별로 선별된다. 이후, 재차 선별에서도 제4입도를 갖는 굵은 골재는 상기 파쇄와 스크린 선별 과정이 반복 수행된다.
한편, 상기 제2스크린(115)에 의해 선별된 제3입도를 갖는 굵은 골재는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117)를 통해 이물질과 굵은 골재로 분리된다(S70).
즉, 상기 제3입도를 갖는 굵은 골재는 굵은 골재 저장소에 수용된 후,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117)에 의해 이물질과 굵은 골재로 분리되고, 이물질은 이물질 탈수 스크린(106)에 의해 탈수 스크린 처리되어, 쓰레기를 분리한다(S72, S73).
여기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117)는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굵은 골재로부터 쓰레기를 분리한다. 즉, 물과 굵은 골재의 혼합물을 장치 내에서 접선 방향으로 분사하면, 굵은 골재에 섞인 이물질(예들 들어, 비닐, 나무 조각 등)이 비중 차이에 의해 부상함으로써, 굵은 골재에서 비닐, 나무 조각 등의 쓰레기를 제거하게 된다. 쓰레기가 제거된 굵은 골재는 굵은 골재 원료로 사용된다.
아울러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117)에 의해 분리처리된 굵은 골재는 골재 탈수 스크린(107)에 의해 탈수 스크린 처리되어, 굵은 골재로 최종 생산된다(S72).
이때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 처리시 투입된 원료(굵은 골재)의 상태(투입량과 형상)에 따라 세척수의 흐름 속도와 골재 이송 각도 및 골재 이송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세척력을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상태 검출수단(201)은 투입된 원료 상태를 검출한다. 여기서 투입된 원료의 양과 원료의 형상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입된 원료의 양은 원료 공급량 정보를 이용하거나 무게를 측정하여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원료의 형상은 원료를 촬영하고 영상 분석을 통해 원료의 형상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 형상은 사각형, 원형, 타원형, 삼각형 등의 형상을 의미하며, 원료를 촬영하고, 촬영 영상으로부터 물체를 분리하고 분리한 물체의 외곽선을 추출하여 원료의 형상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출된 원료의 상태 값(투입된 원료 양과 원료형상 정보)은 제어수단(202)에 전달된다. 제어수단(202)은 상기 원료상태 검출수단(201)에서 검출한 투입 원료의 상태를 기초로 세척수 속도 제어신호 및 골재 이송각도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즉, 제어수단(202)은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세척수의 흐름 속도를 기준보다 낮추고, 상기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세척수의 흐름 속도를 기준보다 높이도록 세척수 속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세척력을 높인다.
아울러 상기 제어수단(202)은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이송 각도를 기준각도보다 낮추며, 상기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이송 각도를 기준각도보다 높이도록 골재 이송각도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세척력을 높인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202)은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이송 속도를 기준속도보다 낮추며, 상기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이송속도를 기준속도보다 높여 생산성을 높인다.
한편, 세척수 속도 제어신호에 따라 세척수 속도 조절부(203)는 골재 탈수 스크린(107)에서 흐르는 세척수의 속도를 조절한다. 세척수의 흐름 속도 조절은 세척수를 공급하는 펌프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유속을 조절할 수 있는 알려진 모든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골재 이송각도 조절부(204)는 상기 제어수단(202)에서 발생한 골재 이송각도 제어신호에 따라 골재 탈수 스크린(107)에 마련된 골재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301)의 각도를 조절하여 이송각도를 조절한다. 골재 이송각도는 컨베이어 벨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이송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투입된 원료 형상에 따라 골재의 이송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골재의 형상이 원형 등과 같은 경우 골재 이송 각도가 너무 경사져 이송되는 골재가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117)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재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301)의 각도를 실린더(302)를 통해 조절한다. 여기서 컨베이어 벨트(301)의 하부에는 컨베이어 벨트(30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실린더(302)를 마련하고, 복수의 실린더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각도를 조절한다.
상기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117)는 골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수용된 상태이며, 이물질은 수면에 부상하게 된다. 이때 컨베이어 벨트 전체가 조절되면 컨베이어 벨트가 수면에 부상할 우려가 있어 이물질을 걸러내는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체 컨베이어 벨트 중 컨베이어 벨트의 중간 부분에 컨베이어 벨트 부상 방지부(303)를 마련하여, 위에서 컨베이어 벨트를 아래로 누르거나 컨베이어 벨트의 좌측 및 우측을 아래로 가이드 하여 컨베이어 벨트가 수면에 부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골재 이송속도 조절부(205)는 상기 제어수단(202)에서 발생한 골재 이송속도 제어신호에 따라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117)에 마련된 모터(304)를 이용하여 골재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301)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여 골재 이송 속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보다 많으면 골재 이송 속도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보다 적으면 골재 이송 속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은 투입된 원료(굵은 골재)의 투입량 및 형상에 따라 세척수의 흐름 속도와 컨베이어 이송 각도 및 컨베이어 이송 속도를 개별적으로 자동 조절한다. 여기서 세척수의 흐름 조절 및 골재 이송 각도 조절은 세척력을 좌지우지하며,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속도는 생산성을 좌지우지한다.
상기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300)는 상기 세척수 속도 조절부 및 골재 이송각도 조절부와 연동하여 골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는 도 1의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117)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처리시스템은 상기 쓰레기 탈수 스크린(109)을 통과한 슬러지를 슬러지 처리기(112)를 통해 침전과 농축을 수행한다. 처리된 슬러지는 슬러지 탱크(113)에 저장된다.
슬러지 처리기(112)는 슬러지 박스에서 슬러지가 유입되는 저장탱크, 이 저장탱크 내에 설치되어 회전되며 슬러지의 농도에 따라 승강되는 스크랩퍼, 저장탱크 내의 중앙상부에 슬러지와 침강재가 반응하는 상태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약품컨트롤러, 약품컨트롤러의 지시에 따라 침강재의 양이 조절되어 투입하는 약품 투입기, 및 상기 저장탱크의 하측에 위치되어 슬러지의 농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작동되며 필터 프레스로 슬러지를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슬러지 처리기도 건축폐기물 처리 분야에서 이미 잘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을 처리하여 굵은 골재와 폐기물을 분리하는 기술에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102: 제1파쇄기
104: 제2파쇄기
105: 제3파쇄기
106: 이물질 탈수 스크린
107: 골재 탈수 스크린
108: 사이클론 장치
109: 쓰레기 탈수 스크린
110: 잔 골재 탈수 스크린
114: 제1스크린
115: 제2스크린
116: 샌드 플럭스 탱크
117: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201: 원료상태 검출수단
202: 제어수단
203: 세척수 속도 조절부
204: 골재 이송각도 조절부
205: 골재 이송속도 조절부
300: 스크린 장치
301: 컨베이어 벨트
302: 실린더
303: 컨베이어벨트 부상 방지부
304: 모터

Claims (20)

  1.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장치로서,
    투입된 원료 상태를 검출하는 원료상태 검출수단;
    상기 원료상태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투입 원료의 상태를 기초로 세척수 속도 제어신호, 골재 이송각도 및 이송속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에서 발생한 세척수 속도 제어신호에 따라 세척수의 속도를 조절하는 세척수 속도 조절부;
    상기 제어수단에서 발생한 골재 이송각도 제어신호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의 각도를 조절하여 이송각도를 조절하는 골재 이송각도 조절부;
    상기 제어수단에서 발생한 골재 이송속도 제어신호에 따라 골재 이송속도를 조절하는 골재 이송속도 조절부; 및
    상기 세척수 속도 조절부와 골재 이송각도 조절부 및 골재 이송속도 조절부와 연동하여 골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원료상태 검출수단은 투입된 원료의 양과 원료의 형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세척수의 흐름 속도를 기준보다 낮추고, 상기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세척수의 흐름 속도를 기준보다 높여 세척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4. 청구항 1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이송 각도를 기준각도보다 낮추며, 상기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이송 각도를 기준각도보다 높여 세척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5. 청구항 1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이송 속도를 기준속도보다 낮추며, 상기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이송속도를 기준속도보다 높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6. 청구항 1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투입된 원료의 형상을 기초로 골재의 이송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7. 청구항 1에서, 상기 골재 이송각도 조절부는 상기 골재 이송각도 제어신호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이송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8. 청구항 1에서, 상기 스크린 장치는 골재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실린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모터;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세척수 위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컨베이어벨트 부상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9.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및 이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a) 건축폐기물 골재를 파쇄하고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선별된 골재에서 최소 입도로 선별된 골재를 샌드 플럭스 처리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잔 골재(모래)를 생산하는 단계;
    (c) 상기 (a)단계에서 크기별로 선별된 골재에서 상기 최소 입도로 선별된 골재보다 큰 골재에 대하여 재차 파쇄하고,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선별된 골재에서 특정 크기를 갖는 골재만을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처리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굵은 골재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투입된 원료의 상태에 따라 세척수의 흐름 속도와 골재의 이송 각도 및 이송속도를 조절하여 세척 효과를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방법.
  10. 청구항 9에서, 상기 (a)단계는 크러셔(crusher)를 이용하여 건축폐기물 골재를 파쇄하고, 파쇄된 골재를 스크린 장치를 이용하여 제1입도 내지 제4입도 크기로 선별하며, 상기 제1 입도는 5mm 미만이고, 제2 입도는 5mm ~ 9mm 미만이며, 제3 입도는 9mm ~ 25mm 미만이고, 제4 입도는 2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방법.
  11. 청구항 9에서, 상기 (b)단계는 (b1)상기(a)단계에서 최소로 선별된 골재를 사이클론 장치를 이용하여 잔 골재를 분리하는 단계; (b2)상기 사이클론 장치에서 분리된 골재를 플럭스 처리하여 쓰레기를 분리하는 단계; (b3)상기 플럭스 장치에서 분리된 잔 골재를 스크린 처리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모래를 생성하는 단계; (b4) 상기 플럭스 장치에서 분리된 쓰레기를 스크린 처리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방법.
  12. 청구항 9에서, 상기 (c)단계는 상기 (a)단계는 분류된 제3입도 및 제4입도에 해당하는 골재를 크러셔를 이용하여 파쇄하고, 파쇄된 골재를 스크린 장치를 이용하여 제1입도 내지 제4입도 크기로 선별하며, 상기 제1입도는 5mm 미만이고, 제2입도는 5mm ~ 9mm 미만이며, 제3입도는 9mm ~ 25mm 미만이고, 제4입도는 2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방법.
  13. 청구항 9에서, 상기 (c)단계는 선별한 제1입도의 골재는 상기 (b)단계로 이송시키고, 선별한 제2입도의 골재는 상기 (a)단계로 이송시키며, 선별한 제4입도의 골재는 상기 크러셔를 이용하여 재파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방법.
  14. 청구항 9에서, 상기 (d)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 선별된 제3입도의 골재를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처리하여 이물질은 분리하고 굵은 골재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방법.
  15. 청구항 9에서, 상기 (d)단계는 (d1)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처리를 통해 상기 제3입도의 골재를 스크린 처리하여 이물질을 분리하여 쓰레기를 추출하는 단계; (d2)상기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처리를 통해 상기 제3입도의 골재를 스크린 처리하여 굵은 골재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방법.
  16. 청구항 9에서, 상기 (d)단계는 투입된 원료의 양과 원료의 형상에 따라 세척수의 속도와 이송 각도 및 이송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방법.
  17. 청구항 9에서, 상기 (d)단계는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세척수의 흐름 속도를 기준보다 낮추고, 상기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세척수의 흐름 속도를 기준보다 높여 세척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방법.
  18. 청구항 9에서, 상기 (d)단계는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이송 각도를 기준각도보다 낮추며, 상기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이송 각도를 기준각도보다 높여 세척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방법.
  19. 청구항 9에서, 상기 (d)단계는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이송 속도를 기준속도보다 낮추며, 상기 투입된 원료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이송속도를 기준속도보다 높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방법.
  20. 청구항 9에서, 상기 (d)단계는 골재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이송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방법.




KR1020150094328A 2015-07-01 2015-07-01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710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328A KR101710643B1 (ko) 2015-07-01 2015-07-01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328A KR101710643B1 (ko) 2015-07-01 2015-07-01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244A true KR20170004244A (ko) 2017-01-11
KR101710643B1 KR101710643B1 (ko) 2017-02-27

Family

ID=5783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328A KR101710643B1 (ko) 2015-07-01 2015-07-01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6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2770A (zh) * 2017-11-08 2018-06-29 刘全义 先清小杂的网带平回筛及其粮食除杂方法
CN110899097A (zh) * 2019-12-06 2020-03-24 西安中科贝昂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隔尘罩的过筛装置
CN112047655A (zh) * 2020-09-17 2020-12-08 深圳立豪建筑材料工程有限公司 一种高强度绿色再生混凝土制备方法
CN112221937A (zh) * 2020-09-15 2021-01-15 安徽省元进金元钙业有限公司 一种生产生石灰过程中用原矿水洗筛分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498A (ko) * 1998-07-24 2000-02-15 이종구 건축용 조골재 및 쇄석모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1205133A (ja) * 2000-01-25 2001-07-31 Guraberu Clean:Kk 砂礫分離装置
KR100729420B1 (ko) * 2005-12-28 2007-06-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회전 유체분사유닛을 갖는 도상자갈용 세척장치
KR20090011660A (ko) * 2007-07-27 2009-02-02 주식회사 포스코 분진 비산 방지장치
KR101527173B1 (ko) 2013-08-01 2015-06-16 김상문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498A (ko) * 1998-07-24 2000-02-15 이종구 건축용 조골재 및 쇄석모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1205133A (ja) * 2000-01-25 2001-07-31 Guraberu Clean:Kk 砂礫分離装置
KR100729420B1 (ko) * 2005-12-28 2007-06-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회전 유체분사유닛을 갖는 도상자갈용 세척장치
KR20090011660A (ko) * 2007-07-27 2009-02-02 주식회사 포스코 분진 비산 방지장치
KR101527173B1 (ko) 2013-08-01 2015-06-16 김상문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2770A (zh) * 2017-11-08 2018-06-29 刘全义 先清小杂的网带平回筛及其粮食除杂方法
WO2019091331A1 (zh) * 2017-11-08 2019-05-16 刘全义 先清小杂的网带平回筛及其粮食除杂方法
CN110899097A (zh) * 2019-12-06 2020-03-24 西安中科贝昂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隔尘罩的过筛装置
CN112221937A (zh) * 2020-09-15 2021-01-15 安徽省元进金元钙业有限公司 一种生产生石灰过程中用原矿水洗筛分系统
CN112047655A (zh) * 2020-09-17 2020-12-08 深圳立豪建筑材料工程有限公司 一种高强度绿色再生混凝土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643B1 (ko) 201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4241A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동시 생산방법
KR101710643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650509B1 (ko)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KR100850762B1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100582847B1 (ko)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US111301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glass and metal from a mixed waste stream
KR101880956B1 (ko) 골재 품질관리 기능이 구비된 순환골재 생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0026B1 (ko) 파분쇄 및 선별을 이용한 고철 폐기물 재생 장치
KR101852103B1 (ko) 절대 잔골재율 선별 및 재파쇄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100277280B1 (ko) 습식 공정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활용 방법 및 장치
KR10035868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KR102273902B1 (ko) 골재의 생산속도에 기초한 제어기능을 갖는 순환골재 생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100847472B1 (ko)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장치
CN105598068A (zh) 一种用于建筑废弃物再生利用的清洗除杂装置
KR101528308B1 (ko) 물 분사방식을 이용한 골재 선별시스템 및 방법
KR101527173B1 (ko)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KR100570319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506369B1 (ko)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
JPH11253833A (ja) 混入物分離及び洗浄装置
KR102358583B1 (ko) 순환골재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순환골재 재생방법
KR20060103708A (ko) 건설폐기물 및 암반의 건식 및 습식처리를 통한 모래제조장치
KR10051635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습식 및 건식 겸용 재생골재의 제조방법
KR100421812B1 (ko) 이물질 분류기
KR100478716B1 (ko) 습식 스크린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KR20030067411A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추출 및 투입골재를 위한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