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933U - 분봉방지기 - Google Patents
분봉방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3933U KR20170003933U KR2020160002541U KR20160002541U KR20170003933U KR 20170003933 U KR20170003933 U KR 20170003933U KR 2020160002541 U KR2020160002541 U KR 2020160002541U KR 20160002541 U KR20160002541 U KR 20160002541U KR 20170003933 U KR20170003933 U KR 2017000393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es
- honey
- queen bee
- bee
- box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6844 Apis mellifer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P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3917 Bambusa tulda Species 0.000 claims 1
- 241000257303 Hymenopter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0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10000003660 Reticulum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9341 apicultur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3871 bee w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166 bees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41000256837 Ap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993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1001330002 Bambus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31 s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158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3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4 nur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65 ro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9850 royal jelly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00 scaven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260 vegetative to reproductive phase transition of meri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7/00—Appliances for providing, preventing or catching swarms; Drone-catch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Abstract
본 고안은 양봉시 보다 많은 양의 꿀을 모으기 위하여 두개 이상의 벌통을 적층하여 다층으로 이루어진 형태의 계상으로 구성할 때 더욱 효율적인 양봉을 위한 분봉방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적층되어 벌꿀을 모으는 계상 벌통의 내부에 설치되고, 단순한 구조와 저렴한 제작비용으로 되어 양봉시 경제적이면서도 양봉시 여왕벌의 이동을 쉽게하여 분봉이 생기지 않게 하며 일벌들의 효율적으로 움직임이 가능하여 꿀벌들의 이동시 스트레스를 줄여 꿀벌의 수명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고, 덧집을 억제하여 보다 많은 꿀의 채집을 가능하게 하는 분봉방지기로 내부에는 여왕벌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각 변의 길이가 0.7 ~ 1.5 cm의 크기에 구멍이 있는 그물망 형태로 되어있고, 그물망 둘레에 소상상자에 설치가능하며 그물망의 테두리에 안전하게 마감이되도록 틀이 형성되어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양봉시 보다 많은 양의 꿀을 모으기 위하여 두개 이상의 벌통을 적층하여 다층으로 이루어진 형태의 계상으로 구성할 때 더욱 효율적인 양봉을 위한 분봉방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적층되어 벌꿀을 모으는 계상 벌통의 내부에 설치되고, 단순한 구조와 저렴한 제작비용으로 되어 양봉시 경제적이면서도 여왕벌의 이동을 쉽게하여 분봉이 생기지 않게 하며 일벌들이 효율적으로 움직임이 가능하게 하여 꿀벌들의 이동시 스트레스를 줄여 꿀벌의 수명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고, 덧집을 억제하여 보다 많은 꿀의 채집을 가능하게 하는 분봉방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통은 꿀을 생산하고 과일나무를 수분시켜 주는 벌들이 머물며 살도록 만든 집으로 받침대, 본체, 지붕으로 구성된다. 받침대에는 벌이 내려 앉을 수 있는 착륙판과 출구, 입구 등이 있다. 벌통 본체는 육아방을 에워싼 벌통의 가장 큰 부분으로 벌집 형태로된 벌통의 부분들로 여왕벌, 알, 애벌레, 번데기, 꽃가루, 꿀 비축분 등이 들어있다. 이러한 벌집은 다닥다닥 붙어있는 벌방, 즉 밀랍의 벽속에 있는 육각형 구멍으로 벌집을 구성하는 기본단위로 되어 있으며, 벌방은 벌통속에 벌이 밀랍을 이용해 케이크처럼 만들어 꿀이나 육아방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벌통에서 여왕벌와 꿀벌들은 산란할 장소가 부족하거나 꿀벌이 늘어나 벌통안이 비좁을 때는 새왕대를 형성하고 구왕이 일정의 무리를 이끌고 나가는 것을 분봉이라 하는데 벌꿀 채밀시에 분봉이 발생하면 꿀을 수확할 수 없으므로 채밀기에 분봉을 적절하게 억제할 필요가 있다.
꿀벌을 사육하여 벌꿀을 채취하는 양봉에 있어서 주거장소에 해당하는 소상상자를 상·하로 적층시켜 유충의 부화와 꿀채취를 각각의 소상상자에서 개별적으로 행해질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통상 아래쪽의 소상상자는 유충을 부화시키는 육아방으로 사용하고 위쪽의 소상상자는 꿀을 채취할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계상을 만든다.
여왕벌은 몸 길이 15∼20mm이며, 특히 복부가 길어서 접은 날개에서 뒤쪽으로 더 나온다. 여왕벌은 많을 때에는 하루에 약 2,000~3,000개의 알을 소방에 계속 산란한다. 일반적으로 5월에서 6월경은 유밀기라 하여 이 시기가 되면 꽃의 개화가 증가하여 여왕벌의 산란활동이 증대하며, 일벌들은 육아활동과 식량 수집에 힘쓰게 된다. 그러므로 봉군관리에 있어서도 가장 바쁜 시기로서 본격적인 양봉이 이루어지는 기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계상벌통의 경우 여왕벌이 상·하층을 오르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층 벌통 상부전면을 덮는 수평격왕판을 상하 벌집 사이에 넣는 방식으로 여왕벌의 산란공간을 제한하는데, 비교적 몸집이 작은 일벌들은 통과공을 통해 상·하 소상자내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일벌보다 몸집이 큰 여왕벌은 경왕판의 통과공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여왕벌이 어느 하나의 소상상자에만 머물며 산란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일벌은 꿀을 잔뜩 먹어 복부가 팽창한 상태에서 상·하층을 오르내리기 위해 상기 수평격왕판을 통과하려면 힘이 많이 들게되어 일벌이 스트레스가 쌓여 수명이 단축되고 양봉채산성이 떨어진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양봉시 여왕벌이 산란공간을 억제하여 분봉이 생기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생산공간을 마련해 주거나 쉬는 공간을 위해 내부 공간을 넓혀주는 방법으로 계상을 올리고 격왕판은 설치하는데 이는 좁은 격왕판을 통과하는 꿀벌이 스트레스를 받아 양봉채산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산란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여왕벌이 자유롭게 옮겨 다닐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는 격왕판을 제거하여 분봉이 억제되며 양봉시 내검과정의 긴 시간과 무거운 소비의 확인시간이 줄어들어 양봉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단순히 격왕판이 제거 되었을 경우 꿀벌들은 계상의 공간에 밀납을 형성하여 꿀벌들의 소모적인 노동을 증가되며, 계상 사이에 생긴 밀납에 의해 양봉시 상층 소상상자를 떼는데 어려움이 많고, 더불어 밀납의 증가로 양봉의 채산성을 크게 감소 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제거된 격왕판의 위치에 적절한 구조를 형성하여 꿀벌의 소모적 노동을 줄이고 여왕벌의 산란공간을 쉽게 확보하여 분봉 방지가 가능한 양봉의 편리함이 증대되도록 하는 데 있다.
격왕판 부분에 설치될 분봉방지기는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비용이 매우 저렴하고 설치로 인한 채밀이 증가하여 경제적 효과가 크며 양봉에 필요한 비용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봉방지기는 소상상자(10), 소비(50), 덮개(30)으로 구성된 벌통에 있어서, 복수개의 계상을 올릴 때 소상상자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여왕벌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각 변의 길이가 0.7 ~ 1.5 cm의 크기에 구멍이 있는 그물망 형태로 되어있고, 그물망의 두께는 1 ~ 4 mm 두께로 되어있으며, 그물망 둘레에 소상상자 안쪽에 설치가능하며 그물망의 테두리에 안전하게 마감이되도록 틀이 형성된 분봉방지기로써, 상기 그물망을 일벌과 여왕벌이 모두 쉽게 통과가 가능하여 분봉억제가 가능하며 소상상자 사이에 설치하여 필요없는 덧집형성을 억제 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그물망은 철선,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대나무 중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분봉방지기를 사용하여 벌통의 계상 사이에 설치하여 양봉업과 채밀기에 바쁜 시기에도 관리 시간과 노동력을 줄여도 양봉에 큰 손실을 가져오는 분봉을 방지 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분봉방지기를 사용하였을 때 꿀벌이 필요 이상의 밀납을 형성하여 꿀벌의 노동력을 소모하는 일이 줄어들어 더 많은 꿀을 채집하는데 노동력이 집중될 수 있으며, 밀납의 형성을 억제 함으로써 격왕판 없이 계상을 올릴 경우 밀납에 의한 벌통 분리과정의 어려움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분봉방지기의 간단하며 재질의 다양화가 가능하여 생산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양봉용 소상의 전체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소상상자에 분봉방지기를 졸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양봉용 소상의 조립단면을 절개하여도시한 도면.
도 2는 소상상자에 분봉방지기를 졸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양봉용 소상의 조립단면을 절개하여도시한 도면.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봉방기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양봉용 소상의 전체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소상상자(10,20)위에 안치되는 분봉방지기(40)의 상세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소상상자(10)는 사각 박스타입으로 내부에는 소비(5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구비 된다. 소비(50)는 꿀벌들의 생육, 번식, 꿀 저장 및 채밀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양봉용 기구이다.
상기 분봉방지기(40)는 도 1과 같이 소상상자(10,20)를 계상으로 복수개를 상·하로 적층할 경우, 상·하부에 위치하는 소상상자들(10,20)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의 분봉방지기(40)는 계상의 위·아래를 꿀벌과 여왕벌 모두가 자유롭게 통과가 가능한 크기의 통과공이 형성되도록 한다.
양봉은 벌꿀과 그에 따른 봉산물, 즉 밀랍, 화분, 로얄젤리 등을 생산하기 위해 꿀벌을 사육하는 일을 말한다.
즉, 꿀을 채집하기 위한 양봉에서 꿀벌을 치는 벌통은 주로 송판이나 나왕판으로 직삭가형의 나무상자를 만들어 내부에 벌집이 형성되도록 하는 소비를 인공적으로 만들어 벌들의 서식처를 제공한다. 이때, 벌통 하나로만 이루어진 단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보다 많은 양의 꿀을 모으기 위해서 두개 이상의 벌통을 적층하여 다층으로 이루어진 형태의 계상으로 구성한다.
상기 계상은 꿀벌의 활동이 왕성한 시기에 꿀의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시기를 잘 맞추어야 하고 꿀벌의 활동이 왕성하면 꿀벌의 개체수가 더 많이 확보되는 장점도 있다. 꿀벌의 개체수에 증가는 더 많은 꿀의 채집이 가능하게 되어 매우 중요한 양봉의 방법이다.
하지만, 빠른게 공간 확보가 되지 않으면 꿀벌들은 새로운 집을 찾아서 분봉이 일어나고 꿀벌의 개체수가 반으로 줄어드는 큰 손실을 입게 되어 분봉방지를 위해서 양봉시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양봉을 하는 과정중 가장 바쁜 시기에 발생하기 쉬운 분봉은 벌들의 생채 리듬을 놓쳐서 쉽게 분봉이 발생하는 오류가 쉽게 발생디로 수가 있고 이때 큰 손실이 생기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분봉의 손해를 줄이기 위해서 양봉시 계상을 빠르게 올리고 격왕판을 없애서 여왕벌을 자유롭게하여 분봉의 손실을 많이 줄이도록 하여 양봉을 행하고 있다.
하지만, 적정한 시기에 계상만 올리게 되면 분봉의 위험을 줄어들지만 계상사이에 덧집을 생성하여 꿀 채집 및 내검과 계상의 분리시 덧집을 떼야 하는 불편함에 의한 노동력 손실과 꿀을 덧집에 사용하여 채집 가능한 꿀의 양이 줄어드는 손실을 입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개발된 분봉방지기(40)는 꿀벌이 격왕판에 비하여 쉽게 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여서 꿀벌이 꿀을 머금고 덩치가 커져서 이동할 때에도 스트레스가 줄어들고, 여왕벌도 쉽게 이동하여 분봉의 방지가 가능하며, 구멍사이를 통과해야 하는 구조에 의해 덧집을 생성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꿀 채집에 큰 효과를 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분봉방지기(40)는 수평격왕판과 같은 위치에 놓이지만 벌들을 구분하여 통과 시키는 격왕판과는 전혀 다른 모든 벌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물망 형태의 일정한 크기의 통과공을 통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벌들의 생육에 현저한 차이를 나타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분봉방지기(40)가 없어도 격왕판만 없으면 여왕벌은 쉽게 이동 가능한 것은 같으나 분봉방지기(40)가 없으면 꿀의 손실이 크다는 단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큰 효과에 비해 간단한 구조와 재질의 다양한 사용이 가능하여 저렴한 생산 비용을 가지며, 큰 구멍에 의해 세척이 간편한 구조이고 쉽게 어느 벌통이나 설치가 가능하여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벌통은 도 1과 같은 형태로 목재 재질의 사각박스 형태로 제작이되며 벌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와 착륙판을 가진 소상상자(10)에 꿀벌들의 생육, 번식, 꿀 저장 및 채밀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내부에는 다수개의 소비(50)를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소상상자(10)에 꿀벌이 필요로 하는 공간이 협소해 지면 분봉방지기(40)를 소상상자(10)위에 올리고 다시 계상으로 상부에 또 다른 상층소상상자(20)를 올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올린 상층소상상자(20)는 하부와 똑같이 소비를 넣어 벌의 생육 공간을 확보하고 덮개(30)을 덮어 양봉을 하게 된다.
소상상자(10)의 위에 분봉방지기(40)를 올린 모습을 위에서 본 도면이 도 2 이다. 도 2와 같이 간단히 소상상자(10) 안으로 들어가도록 올려진 분봉방지기(40)는 계상을 쉽게 올릴 수 있으며 소상상자들 사이에 존재하여 빈 공간에 덧집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내부 모식도는 도 3에서 나타내었다.
분봉방지기(40)는 소상상자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사각형의 외부틀(41)이 가로와 세로의 격자 형태로 그물망 형태로 되어 외부틀이 감싸서 제작된다. 상기 가로와 세로의 격자형태의 구멍은 일벌들뿐만 아니라 여왕벌의 출입도 가능하도록 한 변의 길이가 0.7 ~ 1.5 cm의 크기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구멍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분봉방지기(40)의 구멍에 크기는 0.7cm보다 작으면 여왕벌과 일벌들의 이동시 스트레스가 생기기 쉬워 꿀벌의 생육기간이 줄어들 수 있고, 1.5cm 보다 클 경우에는 벌들이 덧집을 생성하여 꿀의 소비가 늘고 벌통의 관리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가로와 세로의 격자형태의 그물망은 코팅된 철선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개의 철선들을 그물망 형태로 교차시켜 다수개의 통로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또한 철선들의 교차점은 용접으로 접합시켜 철선들을 고정시킨 상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철선으로 제작될 경우 쉽게 부러지지 않으며, 사용후 세척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의 재질은 철선이 아닌 폴리에스테르나 폴리프로필렌 또는 대나무와 같은 저렴하거나 친환경의 플라스틱, 목재,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본 고안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일벌과 여왕벌들의 자연스러운 통과공을 형성한 것이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소상상자
20 : 소상상자
30 : 덮개 40 : 분봉방지기
41 : 분봉방지기틀 42 : 그물망
50 : 소비
30 : 덮개 40 : 분봉방지기
41 : 분봉방지기틀 42 : 그물망
50 : 소비
Claims (2)
- 소상상자(10), 소비(50), 덮개(30)으로 구성된 벌통에 있어서,
복수개의 계상을 올릴 때 소상상자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여왕벌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각 변의 길이가 0.7 ~ 1.5 cm의 크기에 구멍이 있는 그물망 형태로 되어있고,
그물망의 두께는 1 ~ 4 mm 두께로 되어있고,
그물망 둘레에 소상상자 안쪽에 설치가능하며 그물망의 테두리에 안전하게 마감이되도록 틀이 형성된 분봉방지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은 철선,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대나무 중 하나로 이루어진 분봉방지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2541U KR20170003933U (ko) | 2016-05-11 | 2016-05-11 | 분봉방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2541U KR20170003933U (ko) | 2016-05-11 | 2016-05-11 | 분봉방지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3933U true KR20170003933U (ko) | 2017-11-22 |
Family
ID=60480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2541U KR20170003933U (ko) | 2016-05-11 | 2016-05-11 | 분봉방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03933U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3073Y1 (ko) | 2005-01-11 | 2005-04-29 | 노태원 | 다용도 수평 격왕판 |
KR101203167B1 (ko) | 2010-05-31 | 2012-11-22 | 이천시(관리부서:이천시농업기술센터소장) | 응애 방제와 분봉 및 도봉 억제 기능을 갖는 벌통 |
-
2016
- 2016-05-11 KR KR2020160002541U patent/KR20170003933U/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3073Y1 (ko) | 2005-01-11 | 2005-04-29 | 노태원 | 다용도 수평 격왕판 |
KR101203167B1 (ko) | 2010-05-31 | 2012-11-22 | 이천시(관리부서:이천시농업기술센터소장) | 응애 방제와 분봉 및 도봉 억제 기능을 갖는 벌통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255668B (zh) | 金环胡蜂繁育技术 | |
KR102125495B1 (ko) |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 |
US10039268B2 (en) | Comb formation guide for placement between beehive frames | |
JP2011139676A (ja) | ミツバチの巣箱 | |
CN107094715A (zh) | 一种中蜂的养殖方法 | |
CN107047377B (zh) | 可改善蜜蜂环境的蜂箱 | |
KR102178345B1 (ko) | 개량벌통용 토종꿀 생산 전용 벌집 | |
WO2012011881A2 (en) | A beehive base and roof for standard beehive body | |
CN103141410A (zh) | 内圆外方自动恒温中蜂蜂箱 | |
KR101464461B1 (ko) | 벌집꿀 채집을 위한 한봉식 벌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서양꿀벌 양봉 방법 | |
KR101820068B1 (ko) | 탈착식 꿀벌 교미벌통 | |
KR200451173Y1 (ko) | 토봉용 벌통 | |
KR102093807B1 (ko) | 벌통용 해충 피해 방지장치 | |
KR101436571B1 (ko) | 해충의 애벌레 출입방지구조를 갖는 벌통 | |
KR101758637B1 (ko) | 양봉용 화분채취기 | |
KR20170003933U (ko) | 분봉방지기 | |
KR101934779B1 (ko) |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 |
RU159830U1 (ru) | Улей-универсал | |
KR101348172B1 (ko) | 벌통 | |
AU2013101747A4 (en) | Storage Devices for Bees | |
RO128080A2 (ro) | Stup multifuncţional cu protecţie împotriva varozei | |
KR20110006078U (ko) | 양봉용 인공벌집 | |
KR100704199B1 (ko) | 고밀도 유백색 벌집 토종벌꿀 생산방법 | |
KR101583321B1 (ko) | 양봉용 소초 | |
US4435866A (en) | Pollen trap for beehives with dual entranceway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