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927A - Apparatus for laying cab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laying cab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0927A KR20170000927A KR1020150090150A KR20150090150A KR20170000927A KR 20170000927 A KR20170000927 A KR 20170000927A KR 1020150090150 A KR1020150090150 A KR 1020150090150A KR 20150090150 A KR20150090150 A KR 20150090150A KR 20170000927 A KR20170000927 A KR 201700009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cable
- pulling
- converter
- guide rol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을 견인하여 포설하는 포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블의 위치를 안내하는 전로에 장착되어 중량의 케이블들을 전로를 따라 견인함에 있어 케이블들 간에 마찰을 최소화하여 포설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로에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한 케이블 포설장치로서, 포설하고자 하는 길이만큼의 간격을 두고 전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견인부와, 복수의 견인부에 설치된 롤러를 감싸 궤도 회전하는 복수의 견인와이어와, 견인와이어에 고정되어 견인와이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하며 포설하고자 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며, 견인부에는 공구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연결부로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롤러가 회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allation device for towing and laying cab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stallation device mounted on a converter for guiding the position of a cable so as to minimize the friction between the cables in towing the cables along the converter .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le installation apparatus for installing a cable in a convert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ulling portions provided on a converter at intervals of a length to be laid; And a clamp which is fixed to the pulling wire and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ulling wire and fixes a cable to be installed, and a connecting part for connecting the tool is formed in the pulling part, It i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roller is rotated by the transmitted for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을 견인하여 포설하는 포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블의 위치를 안내하는 전로에 장착되어 중량의 케이블들을 전로를 따라 견인함에 있어 케이블들 간에 마찰을 최소화하여 포설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allation device for towing and laying cab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stallation device mounted on a converter for guiding the position of a cable so as to minimize the friction between the cables in towing the cables along the converter .
선박에는 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는 전로(Cable Tray)가 단층 또는 복층으로 선박 내부에 설치되며 전로를 따라 다량의 케이블이 포설된다.A ship is equipped with a cable tray in which a cable can be seated, either as a single layer or as a double layer, and a large amount of cables are installed along the converter.
종래에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케이블의 끝단에 견인와이어를 고정하고, 견인와이어를 케이블의 진행방향 즉 전로 상면으로 진행시킨다.Conventionally, in the process of laying a cable, a traction wire is fixed to an end of a cable, and a traction wire is advanced to a traveling direction of a cable, that is, a top surface of a converter.
그리고 작업자가 견인와이어를 당기면 보빈에 권선된 케이블이 풀리면서 케이블은 견인와이어를 따라 전로를 따라 포설된다.Then, when the operator pulls the pull wire, the cable wound on the bobbin is released and the cable is laid along the pull wire along the converter.
이와 같이 케이블을 전로에 포설함에 있어서, 작업자는 견인와이어를 인력을 끌어당겨야 함에 따라 포설길이가 길수록 인력이 더 필요하다. 특히 케이블은 전로에 안착된 상태로 견인와이어를 따라 진행함에 따라 케이블의 마찰력을 증대되며 중량의 케이블 또는 다수의 케이블을 한꺼번에 견인함에 있어 큰 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Thus, in laying the cable on the converter, the worker must pull the pulling wire, so that the longer the laying length, the more workforce is needed. Particularly, as the cable proceeds along the pulling wire while being seated in the converter, the frictional force of the cable increases, and a large labor is required in pulling the heavy cable or the plurality of cables all at once.
이와 같은 케이블 포설작업 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2683호(공개일 2015.02.04)에 케이블 포설장치가 기술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cable installation work, a cable laying apparatus is describ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12683 (Publication date 2015.02.04).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포설장치의 평면도이다.In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bl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plan view of the cable lay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포설장치는 트레이 행거(77)에 모노레일(72)이 설치되고, 모노레일(72)을 따라 레일카(75)가 이동한다.1 and 2, the cable lay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이와 같이 모노레일(72)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카(75)에 케이블(99)을 고정한 상태에서 레일카(75)를 이동시키면 레일카(75)의 이동경로를 따라 케이블(99)이 이끌려 이동하면서 포설된다.When the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2683호(공개일 2015.02.04)에 기술된 케이블 포설장치는 레일카(75)의 이동거리 전체에 모노레일(72)을 설치하여야 한다는 문제점과 더불어 모노레일(72)이 해체되지 않을 경우 모노레일(72)의 폭만큼 케이블 트레이(76)의 안쪽 공간이 협소해져 케이블 포설이 제한되며 또한 모노레일(72)의 하중에 따른 전로의 내구성이 더 증대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ble laying apparatus describ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12683 (Laid-open date 2015.02.04), the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케이블의 위치를 안내하는 전로에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케이블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케이블 간의 마찰을 감소시킴에 따라 작업자의 인력 또는 소형 전동공구를 통해 케이블의 포설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케이블 포설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d dismounting a cable to guide a position of a cable, Or a cable laying apparatus in which cables can be installed through a small power too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로에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한 케이블 포설장치로서, 포설하고자 하는 길이만큼의 간격을 두고 전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견인부와, 복수의 견인부에 설치된 롤러를 감싸 궤도 회전하는 복수의 견인와이어와, 견인와이어에 고정되어 견인와이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하며 포설하고자 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며, 견인부에는 공구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연결부로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롤러가 회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le installation apparatus for installing a cable in a convert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ulling portions provided on a converter at intervals of a length to be laid; And a clamp which is fixed to the pulling wire and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ulling wire and fixes a cable to be installed, and a connecting part for connecting the tool is formed in the pulling part, It i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roller is rotated by the transmitted forc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견인부는, 전로의 장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장착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며 길이 중간에는 케이블이 안착되어 이동하는 제1홈이 형성되고 길이 양측에는 견인와이어가 끼워지는 제2홈이 형성된 롤러와, 롤러의 전방과 후방에서 프레임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견인와이어를 굴곡시켜 견인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가이드롤러들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ing portion includes a frame to which the converter is mounted, a freely rotatable frame mounted on the frame, a first groove through which a cable is seated and moved, and a pulling wire And a guide roller which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rame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roller and flexes the pulling wire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pulling wir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은 상판과, 상기 상판의 측부에 수직 하향으로 절곡된 측벽과, 측벽에서 수평하게 연결된 브래킷들과, 브래킷들의 양단을 연결하며 측벽과 마주하는 롤러장착용 브래킷을 포함하며, 롤러 및 가이드롤러들의 양단은 측벽과 롤러장착용 브래킷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includes an upper plate, side walls bent perpendicularly downward to the side of the upper plate, brackets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side walls, and roller housings facing the side wall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brackets And both ends of the rollers and guide rollers are freely rotatably mounted to the side wall and the roller field wearing bracke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의 전방에는 제3가이드롤러가 위치하고, 제3가이드롤러의 전방 상부에는 제1가이드롤러가 위치하며, 제3가이드롤러의 전방 하부에는 제2가이드롤러가 위치하고, 롤러의 후방에 위치한 제1가이드롤러, 제2가이드롤러 및 제3가이드롤러는 롤러를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제1가이드롤러, 제2가이드롤러 및 제3가이드롤러와 대칭을 이룬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guide roller is disposed in front of the roller, a first guide roller is disposed in a front upper portion of the third guide roller, and a second guide roller is disposed in a front lower portion of the third guide roller. The first guide roller, the second guide roller, and the third guide roller located at the rear of the roller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irst guide roller, the second guide roller and the third guide roller located forward of the rolle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견인부의 사이에는 클램프를 따라 이동하는 케이블을 받쳐주는 제1지지부들이 장착된다.Also,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supporting portions for supporting a cable moving along a clamp are mounted between a plurality of pulling portions provided at interval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지지부는 전로의 장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장착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며 길이 양측에는 견인와이어가 끼워지는 제2홈이 형성된 롤러와, 롤러의 전방과 후방에서 프레임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견인와이어를 굴곡시켜 견인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가이드롤러들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includes a frame on which the converter is mounted, a roller mounted on the frame and freely rotatable, a roller having a second groove on both sides of which a pulling wire is fitted, And guide rollers mounted freely rotatably in the frame at the rear and bending the traction wire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traction wir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견인부의 사이에서 전로가 굽은 부위에는 클램프를 따라 이동하는 케이블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들이 장착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s supporting the side surface of the cable moving along the clamp are mounted on the portion where the convergent winding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traction portions provided at interval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지지부는 수직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롤러들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판과, 상판의 상면에 고정되어 전로에 체결되는 브래킷과, 견인와이어가 끼워져 위치하도록 수직하게 위치하는 롤러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제3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includes an upper plate on which a plurality of vertically positioned rollers are rotatably mounted, a bracket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fastened to the converter, And a third groov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ly positioned roller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는 케이블을 전로에 포설함에 있어 케이블을 견인할 거리만큼 포설장치를 설치함에 따라 전체 포설 거리를 분할하여 케이블을 포설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전로 전체에 케이블을 견인하기 위한 동력보다 작은 동력으로 분할한 구역들을 단계적으로 포설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bl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le laying is performed by dividing the entire laying distance by installing the laying apparatus by a distance enough to pull the cable in laying the cable on the cab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sections divided by the power smaller than the power for tracing the cable to the entire converter as in the prior art step by step.
이와 같이 케이블을 분할하여 포설함에 따라 작은 인력 또는 작은 동력으로 케이블 포설이 가능하며, 포설장치 또한 부피 및 중량이 작아 이동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As the cable is divided and installed, the cable can be installed with a small manpower or a small power, and the installation apparatus is also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move and install due to its small volume and weigh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설장치는 케이블의 견인을 위한 견인부와 전로 중간 중간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지지부로 구분된다. 따라서 케이블의 마찰을 감소시킨 상태로 케이블을 견인할 수 있어 견인부의 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pulling portion for pulling the cable and a support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pulling portion and the cable to reduce frictional force of the cable. Therefore, the cable can be pulled with reduced friction of the cable, so that the power of the pulling portion can be minimiz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포설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의 견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견인부 2대가 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2대의 견인부의 사이에 설치된 제1지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견인부와 제1지지부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견인하는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2대의 견인부의 사이에 설치된 제2지지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ble insta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lan view of the cable laying apparatus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lling portion of a cable instal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traction units shown in Fig. 3 are installed on a converter.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support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wo tow portions shown in Fig. 4,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ulling-up portion an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shown in Figs. 3 to 5 to pull the cable. Fig.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support portion provided between two tow portions shown in FIG. 4,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support portion shown in Fig.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cable insta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의 견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견인부 2대가 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2대의 견인부의 사이에 설치된 제1지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견인부와 제1지지부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견인하는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4에 도시된 2대의 견인부의 사이에 설치된 제2지지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lling portion of a cable instal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wo pulling portions shown in FIG. 3 are installed on a converter.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support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two towing portions shown in FIG. 4,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of pulling a cable using the pulling portion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shown in FIGS. Fig.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support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two towing portions shown in FIG. 4,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shown in FIG.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포설장치는 전로(101)에 설치되며 케이블(103) 포설 거리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는 견인부(110)와, 양측 견인부(110)의 사이에 위치하며 전로(101)에 장착되어 견인되는 케이블(103)을 받쳐주는 제1지지부(110A)를 포함하며, 전로(101)가 굽은 경우 굽은 부위에 장착되어 케이블(103)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140)를 포함한다.3 to 8, the cable installation device includes a
여기에서 견인부(110)와 제1지지부(110A)의 구조는 동일한 구조이며, 그 설치위치에 따라 명칭이 구분된 뿐이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견인부(11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차후 제1지지부(110A)에 대해서는 그 기능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Here, the structures of the pulling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부(110)는 안쪽에 위치한 롤러(111)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120)과, 프레임(120) 안쪽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며 롤러(111)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가이드롤러(131, 132, 133)들을 포함한다.3 and 4, the
프레임(120)은 상판(121)과, 상기 상판(121)의 측부에 수직 하향으로 절곡된 측벽(122)과, 측벽(122)에서 수평하게 연결된 브래킷(123)들과, 브래킷(123)들의 양단을 연결하며 측벽(122)과 마주하는 롤러장착용 브래킷(125)을 포함하며, 롤러(111) 및 가이드롤러(131, 132, 133)들의 양단은 측벽(122)과 롤러장착용 브래킷(125)에 베어링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The
한편, 롤러장착용 브래킷(125)의 외측면에는 전동공구(1) 또는 공구를 연결하는 연결부인 소켓(127)이 형성되며, 소켓(127)에는 롤러(111)의 축이 연결된다. 따라서 소켓(127)에 장착된 전동공구(1)가 구동함에 따라 롤러(111)가 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11)의 길이 중간에는 케이블(103)이 안착되는 제1홈(111a)이 형성되며, 제1홈(111a)의 양측에는 견인와이어(150)가 안착되는 제2홈(111b)이 각각 형성된다.3 and 4, a
또한 롤러(111)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 3개씩의 가이드롤러(131, 132, 133)가 장착되는데, 외측 상부에 제1가이드롤러(131)가 장착되고, 외측 하부에 제2가이드롤러(132)가 장착되며 롤러(111)와 근접하여 제3가이드롤러(133)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ree
이와 같이 구성된 견인부(110)에 있어서 상판(121)에는 복수의 장공(121H)이 형성되는데, 장공(121H)들의 간격은 전로(101)에 형성된 관통공(101H)들과 대응하는 간격을 갖는다.A plurality of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견인부(110)를 전로(101)에 장착하는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relationship in which th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견인부(110)는 케이블(103) 전체 길이 중에서 단계적으로 포설할 수 있도록 분할한 포설 길이의 양단에 장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ulling
견인부(110)를 장착함에 있어서, 상판(121)을 전로(101)에 위치하고 상판(121)의 장공(121H)과 전로(101)에 형성된 관통공(101H)에 볼트를 체결하여 견인부(110)를 고정한다.The
그리고 전로(101)에 고정된 양측 견인부(110)의 롤러(111)에 견인와이어(150)를 결속한다. 이때 견인와이어(150)는 루프 형태이며 견인와이어(150)를 롤러(111)의 제2홈(111b)에 끼워 위치한다.And binds the pulling
한편, 롤러(111)의 제2홈(111b)에 걸쳐진 견인와이어(150)의 장력을 고려하여 양측 견인부(110)의 간격을 설정하고, 미세한 장력조절을 위해 차후에 설명하는 제1지지부(110A)의 제2가이드롤러(132)와 제3가이드롤러(133)를 통해 견인와이어(150)의 장력을 조절한다.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ulling
아래에서는 제1지지부(110A)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first supporting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110A)는 견인부(11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전로(101)에 설치된 양측 견인부(110)의 사이에 복수의 제1지지부(110A)들을 설치한다. 제1지지부(110A)의 구성은 견인부(110)의 구성과 동일하며, 전로(101)에 설치하는 방식 또한 견인부(110)와 동일하다.5 and 6, the first supporting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 회전하는 견인와이어(150)의 상류측이 제1지지부(110A)의 제1가이드롤러(131)의 상부로 지나가며, 견인와이어(150)의 하류측(150H)은 제2가이드롤러(132)의 하부로 지나가되, 앞서 설명한 견인와이어(150)의 미세한 장력조절을 위해 견인와이어(150)가 제3가이드롤러(133)를 감싸는 형태로 지나간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the upstream side of the
이와 같이 양측 견인부(110)의 사이에 복수의 제1지지부(110A)를 장착한 상태에서, 견인와이어(150)가 감싸 지나는 제3가이드롤러(133)의 개수만큼 견인와이어(150)의 장력은 증가하게 된다.The tension of the
이와 같이 양측 견인부(110)에 한 쌍의 루프형태의 견인와이어(150)를 걸어 무한궤도의 타입을 장착한 상태에서 견인와이어(150)의 상류측(150H)에 클램프(160)가 위치한다.The
클램프(160)는 상판(161)과 하판(162)을 볼트(163)로 체결 고정하는 형태로서 하판(162)의 저면에 견인와이어(150)가 고정된다. 그리고 견인하고자 하는 케이블(103)들을 상판(161)과 하판(162)의 사이에 위치하고 볼트(163)를 조여 상판(161)과 하판(162)을 조임으로써, 케이블(103)들은 클램프(160)에 체결 고정된다.The
이와 같이 견인부(110)의 롤러(111)에 견인와이어(150)를 걸고, 견인와이어(150)가 제1지지부(110A)의 제3가이드롤러(133)를 감싸 지나도록 위치하여 견인와이어(150)의 장력을 조절한 상태에서 클램프(160)에 케이블(103)들을 고정한다.The pulling
이 상태에서 케이블(103)들을 포설하고자 하는 방향에 위치한 견인부(110)의 소켓(127)에 전동공구(1)를 장착하고 전동공구(1)를 작동하면 견인부(110)의 롤러(111)가 회전하면서 견인와이어(150)는 무한궤도 회전하게 된다. 즉 견인와이어(150)의 상류측(150H)은 케이블(103)의 포설방향으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 클램프(160) 또한 포설방향으로 이동한다.In this state, when the
클램프(160)가 포설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케이블(103)들은 포설방향으로 이동하며 전로(101)에 포설된다.As the
이와 같이 케이블(103)들이 포설되는 중에 케이블(103)들은 전로(101)에 설치된 제1지지부(110A)의 롤러(111) 및 제1가이드롤러(131)에 안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며, 포설되는 케이블(103)과의 마찰에 의해 롤러(111) 및 제1가이드롤러(131)가 회전하게 된다. The
따라서 포설되는 케이블(103)은 회전하는 롤러(111) 및 제1가이드롤러(131)에 안착된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마찰을 감소시켜 포설에 필요한 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refore, as the
한편, 앞에서는 전동공구(1)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소켓(127)에 장착되는 공구를 장착하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공구를 회전시킴으로써, 롤러(111)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클램프(160)가 견인와이어(150)에 의해 이동하면서 케이블(103)이 포설된다.In the meantime, although the
아래에서는 제2지지부에 대해 설명한다.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제2지지부(14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61)의 저면에 복수의 롤러(143)들이 수직하게 위치하며 상판(16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지지부(140)의 롤러(143)는 그 양단에 제3홈(145)이 형성되며, 상부에 형성된 제3홈(145)에는 견인와이어(150)의 상류측(150H)이 끼워지며, 하부에 형성된 제3홈(145)에는 견인와이어(150)의 하류측(150L)이 위치된다.7 and 8, the
또한, 상판(161)에는 절곡 브래킷(142)이 고정되며, 절곡 브래킷(142)에는 장공(142H)이 형성되어 전로(101)의 관통공(101H)에 볼트 체결된다.A bending
이와 같이 제2지지부(140)가 전로(101)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됨에 있어서 롤러(143)들은 전로(101)의 하부에 위치하며 견인와이어(150)의 상류측(150H)과 하류측(150L)이 롤러(143)의 제3홈(145)에 삽입되어 위치한다.When the
따라서 전로(101)가 휘어지는 구간에 제2지지부(140)를 장착할 경우 견인와이어(150)는 제2지지부(140)의 롤러(143)와 접하여 전로(101)의 휘어진 구간을 따라 휘어져 위치하게 된다.When the
클램프(160)가 포설방향으로 진행함에 있어 클램프(160)는 제2지지부(140)의 롤러(143)와 접한 상태로 견인와이어(150)를 따라 진행하게 된다.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는 전로(101)의 길이 중간을 구획하여 단계별로 케이블(103)을 포설하기 위한 장치로서, 분할한 포설길이의 양단에 견인부(110)를 장착하여 케이블(103)을 포설한다. 이때 포설되는 케이블(103)의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로(101)의 중간 즉 양측 견인부(110)의 사이에 제1지지부(110A)를 정착하여 마찰에너지를 롤러(111) 및 제1가이드롤러(131)의 회전에너지로 변환시켜 포설에 필요한 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abl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laying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는 케이블 포설장치는 구성이 단순하며 작은 동력 또는 인력으로 케이블 포설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cabl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able laying apparatus is simple in structure and can be installed with a small power or manpower.
한편, 앞서 설명한 케이블 포설장치는 전로의 견인부의 프레임이 장착되어 롤러가 전로 아래에 위치한 것으로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하고 있으나, 롤러가 전로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견인부를 뒤집어 전로에 장착 가능하다. 이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 또한 동일하다.Meanwhile, although the above-described cable laying apparatus is illustrated with the frame of the drawer of the converter being mounted and the roller being located under the converter, it is possible to mount the drawer on the inverter by turning the drawer back so that the roller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converter. This is also the same for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01 : 전로
103 : 케이블
110 : 견인부
111 : 롤러
111a, 111b : 홈
120 : 프레임
125 : 롤러장착용 브래킷
127 : 소켓
131, 132, 133 : 가이드롤러
110A, 140 : 지지부
150 : 견인와이어
160 : 클램프101: Converter
103: Cable
110:
111: Rollers
111a and 111b:
120: frame
125: Roller wear bracket
127: Socket
131, 132, 133: guide rollers
110A, 140:
150: pull wire
160: Clamp
Claims (8)
포설하고자 하는 길이만큼의 간격을 두고 전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견인부(110)와,
복수의 견인부에 설치된 롤러(111)를 감싸 궤도 회전하는 복수의 견인와이어(150)와,
견인와이어에 고정되어 견인와이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하며 포설하고자 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클램프(160)를 포함하며,
견인부(110)에는 공구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연결부로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롤러(111)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A cable installation device for installing a cable (103) in a converter (101)
A plurality of pulling portions 11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to be installed,
A plurality of traction wires 150 surrounding the rollers 111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traction parts and rotating orbitally,
And a clamp (160) fixed to the pulling wire and moving according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pulling wire and fixing the cable to be laid,
Wherein the pulling part (110) is formed with a connecting part for connecting a tool, and the roller (111) is rotated by a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ng part.
견인부(110)는, 전로(101)의 장착되는 프레임(120)과, 프레임(120)에 장착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며 길이 중간에는 케이블(103)이 안착되어 이동하는 제1홈(111a)이 형성되고 길이 양측에는 견인와이어(150)가 끼워지는 제2홈(111b)이 형성된 롤러(111)와, 롤러(111)의 전방과 후방에서 프레임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견인와이어(150)를 굴곡시켜 견인와이어(150)의 장력을 조절하는 가이드롤러(131, 132, 133)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lling portion 110 includes a frame 120 on which the converter 101 is mounted and a first groove 111a mounted on the frame 120 and freely rotatable and movable in a lengthwise direction, A roller 111 having a second groove 111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ength thereof and having a second groove 111b on which the traction wire 150 is inserted; a roller 111 mounted freely rotatably on the frame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roller 111, And guide rollers (131, 132, 133) for flexing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traction wire (150).
프레임(120)은 상판(121)과, 상기 상판(121)의 측부에 수직 하향으로 절곡된 측벽(122)과, 측벽(122)에서 수평하게 연결된 브래킷(123)들과, 브래킷(123)들의 양단을 연결하며 측벽(122)과 마주하는 롤러장착용 브래킷(125)을 포함하며,
롤러(111) 및 가이드롤러(131, 132, 133)들의 양단은 측벽(122)과 롤러장착용 브래킷(125)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rame 120 includes a top plate 121, side walls 122 bent downward at the sides of the top plate 121, brackets 123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side walls 122, And a roller field wearing bracket 125 that connects both ends and faces the side wall 122,
Wherein both ends of the roller (111) and the guide rollers (131, 132, 133) are freely rotatably mounted to the side wall (122) and the roller wearing bracket (125).
롤러(111)의 전방에는 제3가이드롤러(133)가 위치하고, 제3가이드롤러(133)의 전방 상부에는 제1가이드롤러(131)가 위치하며, 제3가이드롤러(133)의 전방 하부에는 제2가이드롤러(132)가 위치하고, 롤러(111)의 후방에 위치한 제1가이드롤러(131), 제2가이드롤러(132) 및 제3가이드롤러(133)는 롤러(111)를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제1가이드롤러(131), 제2가이드롤러(132) 및 제3가이드롤러(133)와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third guide roller 133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roller 111. A first guide roller 131 is positioned at a front upper portion of the third guide roller 133 and a second guide roller 133 is disposed at a front lower portion of the third guide roller 133 The first guide roller 131, the second guide roller 132 and the third guide roller 133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roller 111 are located forward of the roller 111, The first guide roller 131, the second guide roller 132, and the third guide roller 133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견인부(110)의 사이에는 클램프(160)를 따라 이동하는 케이블(103)을 받쳐주는 제1지지부(110A)들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first support portions (110A) for supporting a cable (103) moving along a clamp (160) are mounted between a plurality of pulling portions (110) provided at intervals.
제1지지부(110A)는 전로의 장착되는 프레임(120)과, 프레임(120)에 장착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며 길이 양측에는 견인와이어(150)가 끼워지는 제2홈(111b)이 형성된 롤러(111)와, 롤러(111)의 전방과 후방에서 프레임(120)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견인와이어(150)를 굴곡시켜 견인와이어(150)의 장력을 조절하는 가이드롤러(131, 132, 133)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10A includes a frame 120 to which a converter is mounted and a roller 111 mounted on the frame 120 and freely rotatable and having a second groove 111b on both sides of which a traction wire 150 is fitted. Guide rollers 131, 132, and 133 that are freely rotatably mounted on the frame 120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roller 111 and bend the traction wire 150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traction wire 150, The cable installation device comprising: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견인부(110)의 사이에서 전로(101)가 굽은 부위에는 클램프(160)를 따라 이동하는 케이블(103)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14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second supporting portion 140 for supporting a side surface of the cable 103 moving along the clamp 160 is mounted on the bent portion of the converter 101 between the plurality of pulling portions 110 provided at intervals. A cable installation device.
제2지지부(140)는 수직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롤러(143)들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판(141)과, 상판(141)의 상면에 고정되어 전로(101)에 체결되는 브래킷(142)과, 견인와이어(150)가 끼워져 위치하도록 수직하게 위치하는 롤러(143)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제3홈(1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support part 140 includes an upper plate 141 on which a plurality of vertically positioned rollers 143 are rotatably mounted, a bracket 142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41 and fastened to the converter 101, And a third groove (145) formed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roller (143) vertically positioned so that the traction wire (150) is inserted and position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0150A KR20170000927A (en) | 2015-06-25 | 2015-06-25 | Apparatus for laying cab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0150A KR20170000927A (en) | 2015-06-25 | 2015-06-25 | Apparatus for laying cab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0927A true KR20170000927A (en) | 2017-01-04 |
Family
ID=57831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0150A Withdrawn KR20170000927A (en) | 2015-06-25 | 2015-06-25 | Apparatus for laying cab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00927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30615A (en) * | 2018-08-23 | 2018-11-02 |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 | Pipeline guid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12683A (en) | 2013-07-26 | 2015-02-0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Apparatus for laying cable |
-
2015
- 2015-06-25 KR KR1020150090150A patent/KR20170000927A/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12683A (en) | 2013-07-26 | 2015-02-0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Apparatus for laying cabl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30615A (en) * | 2018-08-23 | 2018-11-02 |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 | Pipeline guider |
CN108730615B (en) * | 2018-08-23 | 2023-05-26 |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 | Pipeline guid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9524B1 (en) | Pulling system for 3-phase power cable | |
KR101817852B1 (en) | Stand-alone wire drum stand | |
KR101463241B1 (en) | Wire cutting apparatus | |
KR101413414B1 (en) | Traction track tention adjusting device of cable routing caterpillar | |
KR20180034864A (en) |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cable, and moving cart | |
KR20120127082A (en) | Cable wiring device of tray and cable wiring method using the same | |
PL187998B1 (en) | Machine for installing contact system conductors | |
CN108017002B (en) | A kind of anti-disorder cable swing hoist engine | |
KR100965113B1 (en) | Flexible-cable machine | |
KR20170000927A (en) | Apparatus for laying cable | |
KR200451149Y1 (en) | Bundle wire laying machine | |
KR101454625B1 (en) | Apparatus for laying of cable | |
KR20100053383A (en) | Three cable drum device | |
SK281275B6 (en) | MACHINE FOR CONTINUOUS STORAGE OF TROLLEY WIRE AND / OR CARRIAGE WIRE | |
KR20170055232A (en) | Cable division apparatus for electric cable installation | |
KR20100034254A (en) | Apparatus for guiding cable of a overhead crane | |
JPH0363609B2 (en) | ||
KR101261828B1 (en) | electric rolling equipment for cable guide | |
KR102118983B1 (en) | Wire Feeder of flexible wire making machine | |
KR20100053381A (en) | Cable guide device | |
KR200395617Y1 (en) | cable tray | |
JPH04295216A (en) | Loop traction type cable laying system | |
JP2009261164A (en) | Cable protecting and guiding device | |
JP4198165B2 (en) | Ground cutting machine | |
JP2000328475A (en) | Wiring of cable, and device theref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911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