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284A - 간장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간장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6284A KR20160146284A KR1020150083343A KR20150083343A KR20160146284A KR 20160146284 A KR20160146284 A KR 20160146284A KR 1020150083343 A KR1020150083343 A KR 1020150083343A KR 20150083343 A KR20150083343 A KR 20150083343A KR 20160146284 A KR20160146284 A KR 201601462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y sauce
- tomatoes
- room temperature
- days
- fermen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5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5000007688 Lycopersicon esculent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41000227653 Lycopersicon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claims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12266 salt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abstract 5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abstract 3
- 239000012265 solid product Substances 0.000 abstract 2
- 238000007873 siev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40000003768 Solanum lycopers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21307 wh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VEXZGXHMUGYJMC-UHFFFAOYSA-N HCl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840 Allium ce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742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98 Sus scrof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001727 Tropicoporus linte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63 artificial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유익한 토마토의 효능을 일상생활에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밀가루 또는 쌀가루와 토마토를 주원료로 하는 간장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간장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마토를 주성분으로 하여 간장을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좋을 뿐만 아니라 불쾌한 냄새가 나지 않고, 특히 토마토의 유용한 성분을 간편하고 손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간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간장은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아시아 지역에서 사용하며, 25% 정도의 염분을 함유하고 아미노산을 주로 한 독특한 맛을 가지는 조미료이다. 특히 예부터 간장 맛이 좋아야 음식맛을 낼 수 있다고 하여 간장은 우리나라의 식생활에 중요한 조미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간장은 곡류와 채소류 위주의 식 문화에 맛을 부여해 주는 중요한 조미료로서 조상의 지혜가 담긴 과학적인 식품으로서, 장기간 저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곡류 위주의 식생활에서 부족한 제한 아미노산을 보충해 주며 맛을 부여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미료로 이용되어 왔다.
한편, 이와 같은 간장의 제조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재래식 간장은 콩으로 메주를 쑤어 자연발효시킨 후, 소금물에 메주를 담가 1∼2개월 숙성시킨다. 그런 후에 메주를 뜨고 간장을 달이면서 맛과 수분을 조절한다. 이러한 재래식 메주는 여러 종류의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하여 메주콩을 가수분해하므로, 불쾌한 이취가 나는 물질이 배설물로 생성되어 간장의 맛을 좋게 하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근래에 와서는 미생물학의 발달로 특정 누룩곰팡이를 배양하여, 이것으로 만든 개량메주를 만들어 상기 재래식과 같은 방법에 의해 간장을 담그면 순수한 단맛이 나는 양질의 간장이 된다.
다음으로, 양조 간장법으로 불리는 간장제조방법은 간장원료를 염산으로 단시간 내에 가수분해하여 아미노산을 생성한 다음, 소금으로 간을 맞추고 재래식 간장의 색, 맛, 향기를 내는 화학약품을 첨가하여 간장의 제조 방법이다.
하지만,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간장의 경우, 간장이 함유하고 있는 지질의 성분으로 인해 불쾌한 이취가 발생하는 문제점과 간장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 등에 의한 짧은 보존성의 문제, 그리고 간장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가지 해로운 균들을 제거하기 위한 살균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열을 가하여 간장으로 살균처리하게 되면 간장의 고유한 유효성분마저 높은 온도에 의해 파괴되어 간장의 고유한 맛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간장의 보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방부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기도 하는데 이는 대부분 인공합성 첨가물로 구성되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밀가루 또는 쌀가루와 토마토를 주성분으로 하여 간장을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유익한 간장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쌀을 물에 넣고 불린 다음, 이를 고온에서 찐 다음, 상기 찐쌀을 효소와 2:1의 비율로 배합한 후, 이를 발효시키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로 만들어진 고형물을 물에 담고, 여기에 이스트를 투입하여 2일 동안 상온에서 발효시키는 제2 단계와; 토마토를 갈아서 끓이고, 식힌 다음, 상기 제2 단계로 만들어진 고형물에 상기 토마토를 배합한 다음, 이를 2일 동안 상온에서 발효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로 만들어진 결과물에 소금물을 배합한 다음, 이를 10일 동안 상온에서 보관한 후, 이를 다시 채로 걸러서 간장을 제조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쌀가루 대신에 밀가루를 사용하여 간장을 제조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밀가루를 반죽하고 고형화시킨 다음, 이를 효소와 2:1의 비율로 배합한 후, 이를 다시 발효시켜 토마토와 배합하고 발효시켜 간장을 제조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밀가루 또는 쌀가루와 토마토를 주성분으로 하여 간장을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유익할 뿐만 아니라 음식을 먹을 때마다 토마토의 유효한 성분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유익한 토마토의 효능을 일상생활에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밀가루 또는 쌀가루와 토마토를 주원료로 하는 간장을 제조하는 방법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간장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 예 1}
쌀을 물에 넣고 24시간 동안 불린 다음, 이를 100℃ 정도에서 1시간 동안 찐다. 이후, 찐쌀을 효소와 2:1의 비율로 배합한 다음, 이를 섞고 모아서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발효시킨 다음, 이를 다시 펴서 24시간 동안 발효시킨다.(이하 "고형물"이라 함)
다음, 상기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고형물을 물에 담고, 여기에 이스트를 투입하여 2일 동안 발효시킨다. 이때 상기 고형물과 물의 비율은 고형물 30kg에 물 2말 정도가 바람직하며, 상기 이스트는 통상적인 종이컵 1컵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상기 발효과정에서 발효 효과를 높이를 위하여 상온(예를 들어, 24~25℃)에서 발효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이하 "발효 고형물"이라 함)
이후, 토마토를 갈아서 끓이고, 식힌 다음, 상기 발효 고형물에 상기 토마토 40kg를 배합한 다음, 이를 2일 동안 상온(예를 들어, 24~25℃)에서 발효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토마토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결과물에 소금물 40kg을 배합한 다음, 이를 10일 동안 상온에서 보관한 후, 이를 다시 채로 걸러서 본 발명의 간장을 제조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간장(즉, 조선간장)은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인체에 좋으며, 특히 음식물을 먹을 때마다 토마토의 효능을 그대로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실시 예 2}
밀가루를 반죽하고 고형화시킨 다음, 이를 효소와 2:1의 비율로 배합한 후, 이를 다시 섞고 모아서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발효시킨 다음, 이를 다시 펴서 24시간 동안 발효시킨다.(이하 "고형물"이라 함)
다음, 상기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고형물을 물에 담고, 여기에 이스트를 투입하여 2일 동안 발효시킨다. 이때 상기 고형물과 물의 비율은 고형물 30kg에 물 2말 정도가 바람직하며, 상기 이스트는 통상적인 종이컵 1컵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상기 발효과정에서 발효 효과를 높이를 위하여 상온(예를 들어, 24~25℃)에서 발효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이하 "발효 고형물"이라 함)
이후, 토마토를 갈아서 끓이고, 식힌 후, 상기 발효 고형물에 상기 토마토 40kg을 첨가한 다음, 이를 2일 동안 상온(예를 들어, 24~25℃)에서 발효과정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토마토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결과물에 소금물 40kg을 배합한 다음, 이를 10일 동안 상온에서 보관한 후, 이를 다시 채로 걸러서 본 발명의 간장을 제조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간장(즉, 조선간장)은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인체에 좋으며, 특히 음식물을 먹을 때마다 토마토의 효능을 그대로 섭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 간장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쌀을 물에 넣고 불린 다음, 이를 고온에서 찐 다음, 상기 찐쌀을 효소와 2:1의 비율로 배합한 후, 이를 발효시키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로 만들어진 고형물을 물에 담고, 여기에 이스트를 투입하여 2일 동안 상온에서 발효시키는 제2 단계와;
토마토를 갈아서 끓이고, 식힌 다음, 상기 제2 단계로 만들어진 고형물에 상기 토마토를 배합한 다음, 이를 2일 동안 상온에서 발효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로 만들어진 결과물에 소금물을 배합한 다음, 이를 10일 동안 상온에서 보관한 후, 이를 다시 채로 걸러서 간장을 제조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의 제조방법.
- 간장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밀가루를 반죽하고 고형화시킨 다음, 이를 효소와 2:1의 비율로 배합한 후, 이를 다시 발효시키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로 만들어진 고형물을 물에 담고, 여기에 이스트를 투입하여 2일 동안 상온에서 발효시키는 제2 단계와;
토마토를 갈아서 끓이고, 식힌 다음, 상기 제2 단계로 만들어진 고형물에 상기 토마토를 배합한 다음, 이를 2일 동안 상온에서 발효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로 만들어진 결과물에 소금물을 배합한 다음, 이를 10일 동안 상온에서 보관한 후, 이를 다시 채로 걸러서 간장을 제조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3343A KR20160146284A (ko) | 2015-06-12 | 2015-06-12 | 간장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3343A KR20160146284A (ko) | 2015-06-12 | 2015-06-12 | 간장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6284A true KR20160146284A (ko) | 2016-12-21 |
Family
ID=5773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3343A KR20160146284A (ko) | 2015-06-12 | 2015-06-12 | 간장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46284A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27445A (ko) | 2003-09-15 | 2005-03-21 | 공영숙 |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간장의 제조방법 및 그 간장 |
KR100879016B1 (ko) | 2007-08-11 | 2009-01-15 | 전현철 | 한방 개량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 개량간장 조성물 |
KR20090100012A (ko) | 2008-03-19 | 2009-09-23 | 송진택 | 돼지파양념과 조선간장김치의 제조방법 |
KR20110073134A (ko) | 2009-12-22 | 2011-06-29 | 윤경순 | 자연숙성 재래식 간장과 고추씨, 무, 양파, 다시마 등을 이용한 단초간장의 제조방법 |
-
2015
- 2015-06-12 KR KR1020150083343A patent/KR2016014628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27445A (ko) | 2003-09-15 | 2005-03-21 | 공영숙 |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간장의 제조방법 및 그 간장 |
KR100879016B1 (ko) | 2007-08-11 | 2009-01-15 | 전현철 | 한방 개량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 개량간장 조성물 |
KR20090100012A (ko) | 2008-03-19 | 2009-09-23 | 송진택 | 돼지파양념과 조선간장김치의 제조방법 |
KR20110073134A (ko) | 2009-12-22 | 2011-06-29 | 윤경순 | 자연숙성 재래식 간장과 고추씨, 무, 양파, 다시마 등을 이용한 단초간장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8722B1 (ko) | 녹차와 유산균을 이용한 기능성 육류의 숙성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숙성된 기능성 육류 | |
KR101921325B1 (ko) | 어묵 반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어묵 | |
TW200932125A (en) |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hydrolysate | |
CN101289647B (zh) | 一种乳酸片球菌菌株、发酵香肠及其制备方法 | |
KR20160125254A (ko) | 조미분말 제조방법 및 조미분말 | |
JPH0564541A (ja) | おから、脱脂大豆粕、あん粕、ぬか、脱脂ぬか又はふすまを成分とする漬物床、それより得られる調味液及び固形調味剤及びそれらを用いて製造される野菜、魚貝又は肉類の漬物類及び浸漬物類 | |
KR101909423B1 (ko) | 저염 된장의 제조방법 | |
CN105520123A (zh) | 一种蘑菇酱配方及制作方法 | |
JP5041276B2 (ja) | 醤油、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る醤油加工品。 | |
KR101670221B1 (ko) | 감식초에 침지시킨 삼채를 이용한 절임식품 및 젓갈 제조방법 | |
KR101606113B1 (ko) | 육류용 포도 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20140076006A (ko) | 죽순을 이용한 초고추장 제조방법 | |
KR20160146284A (ko) | 간장의 제조방법 | |
KR101192807B1 (ko) | 해산물과 명란의 혼합젓갈의 제조방법 | |
KR20170022796A (ko) | 차가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혼합추출액을 이용한 김칫속 및 그 김칫속을 이용한 기능성 김치 | |
KR101764330B1 (ko) | 무우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용도 천연조미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무우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용도 천연조미료 | |
KR101732899B1 (ko) | 청국장을 첨가한 즉석 청된장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즉석 청된장국 | |
JP2008011781A (ja) | 海苔発酵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771126B1 (ko) | 삼채 함유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 |
JPH06343415A (ja) | 強化食酢の製造法 | |
KR101712589B1 (ko) | 김치발효액을 이용한 식물발효액의 제조방법 | |
KR20180047425A (ko) | 청국장 울금 카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JP6091250B2 (ja) | 香辛調味液の製造方法および香辛調味ペーストの製造方法 | |
CN105852044A (zh) | 一种健胃消肿蚕豆酱及其制备方法 | |
KR101452275B1 (ko) | 다용도용 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