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424A - 내파쇄성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파쇄성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424A
KR20160145424A KR1020150082080A KR20150082080A KR20160145424A KR 20160145424 A KR20160145424 A KR 20160145424A KR 1020150082080 A KR1020150082080 A KR 1020150082080A KR 20150082080 A KR20150082080 A KR 20150082080A KR 20160145424 A KR20160145424 A KR 20160145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water
superabsorbent resin
particle size
su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985B1 (ko
Inventor
김수진
김영삼
양영인
홍연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082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985B1/ko
Priority to EP16807653.7A priority patent/EP3309195B1/en
Priority to PCT/KR2016/001649 priority patent/WO2016200010A1/ko
Priority to CN201680002152.2A priority patent/CN106661308B/zh
Priority to US15/327,547 priority patent/US10046305B2/en
Publication of KR20160145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9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44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65Non-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an organic functional group containing a metal, e.g. a metal affinity lig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5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modified or post-treated polymers
    • B01J20/267Cross-linked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16Particle form
    • B01J20/28019Spherical, ellipsoidal or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21Milling, crushing or gr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6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01J20/3208Polymer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34Inorganic material layers
    • B01J20/3236Inorganic material layers containing metal, other than zeolites, e.g. oxides, hydroxides, sulphides or sa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91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arrier, the coating or the obtained coated product
    • B01J20/3295Coatings made of particles, nanoparticles, fibers, nanofi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ethers, polyoxymethylenes or polyacetals
    • C08F283/06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ethers, polyoxymethylenes or polyacetals on to unsaturated polyethers, polyoxymethylenes or polyac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08J3/245Differential crosslinking of one polymer with one crosslinking type, e.g. surface cross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4Chemical modification with acids, their salts or anhyd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50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68Superab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14Water soluble or water swellable polymers, e.g. aqueous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45Sulfates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고흡수성 수지에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 및 초소수성을 갖는 미세입자를 첨가하여 표면 개질 처리함으로써 다른 물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파쇄 저항성과 투과능 그리고 흡수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내파쇄성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파쇄성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방법{Superabsorbent Polymers having Attrition Resistan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파쇄성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고흡수성 수지에 초소수성 미세입자 및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을 첨가하여 표면 개질 처리함으로써 다른 물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파쇄 저항성과 투과능 그리고 흡수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내파쇄성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흡수성 수지(Superabsorbent Polymers, SAPs)란 자체 무게의 5백 내지 1천 배 정도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합성 고분자 물질로, 생리용구로 실용화되기 시작해서, 현재는 어린이용 종이기저귀, 생리용 위생재 등의 위생용품 외에 원예용 토양보수제, 토목, 건축용 지수재, 육묘용 시트, 식품유통분야에서의 신선도 유지제, 및 찜질용 등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공정에서 물은 중합 매체이며, 표면가교과정에서 가교액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는 등 다양하게 사용된다. 또한 최종 제품의 잔류 수분은 수지에 대한 정전기 방지제 및 가소제의 역할을 하여, 응용공정에서 아주 작은 고흡수성 수지 미립자 (dust) 형성을 억제하고 SAPs 입자의 분쇄를 방지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고흡수성 수지에 소량이라 할지라도 물을 첨가 시, 표면에 흡수된 물에 의하여 수지 표면의 점도가 (stickiness) 증가하며, 고흡수성 수지 입자간의 비가역적 응집이 (irreversible agglomeration)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점도 증가와 응집은, 제조 및 응용공정에서의 부하증가 등 가공성 (processability)을 감소시키며, 결과적으로 고흡수성 수지의 입도 증가, 물성 감소 및 생산성의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 지금까지, 고흡수성 수지에 대한 연구는 중합 공정 및 이를 통한 흡수능 향상, 그리고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 특성 또는 가압 흡수능의 증가를 위한 표면 가교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투과도의 향상 또는 고흡수성 수지의 보관 시에 굳는 것을 방지(anti-caking) 등 일부 문제해결을 위하여 표면 특성 변화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고흡수성 수지는 가교된 삼차원 망상구조로 물에 의하여 팽윤되지만 물에 녹지 않는 구조를 지니기 때문에, 고흡수성 수지의 높은 가압흡수능 및 permeability 특성을 위해서 표면의 가교밀도를 높이는 Core/shell structure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은 가교밀도의 조절, 균일한 shell의 형성 및 shell 두께 조절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최종 물성이 결정된다. 다만, 고흡수성 수지는 이러한 코어-쉘 구조로 인해 파쇄 저항성이 약하기 때문에 기저귀 공정 후 SAP 물성이 저하되거나, 특히 통액성 및 기저귀 공정 중 미분 발생량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기저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선 아주 중요한 과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 공개 특허 제2006-526691호 등에서, 표면개질을 수행하는 고흡수성 수지에 관한 발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물을 입자 내부에 위치시켜 파쇄 저항성을 개선시키거나, 투과능 및 흡수 속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이러한 물성이 우수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 공개 특허 2006-526691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흡수성 수지에 초소수성 미세입자 및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을 첨가하여 표면 개질 처리함으로써 다른 물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파쇄 저항성과 투과능 그리고 흡수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내파쇄성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 및 하기 ⅰ) 및 ⅱ)의 특성을 갖는 입자로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를 제공한다.
ⅰ) 300 내지 1500 m2/g의 BET 비표면적 (specific surface area),
ⅱ) 50% 이상의 공극률(porosity)
또한 본 발명은,
a) 고흡수성 수지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준비된 고흡수성 수지에 하기 ⅰ) 및 ⅱ)의 특성을 갖는 입자를 첨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전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에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을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표면 개질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ⅰ) 300 내지 1500 m2/g의 BET 비표면적 (specific surface area),
ⅱ) 50% 이상의 공극률(porosity)
본 발명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에 의하면,
고흡수성 수지에 초소수성 미세입자 및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을 첨가하여 표면 개질 처리함으로써 다른 물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파쇄 저항성과 투과능 그리고 흡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는,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 및 하기 ⅰ) 및 ⅱ)의 특성을 갖는 입자로 표면 개질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ⅰ) 300 내지 1500 m2/g의 BET 비표면적 (specific surface area),
ⅱ) 50% 이상의 공극률(porosit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은 고흡수성 수지에서 표면 가교 처리를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은 고흡수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될 경우, 다른 물성은 크게 저하되지 않으며 동시에 투과성(permeability)이 증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 중 양이온은 Al3 +, Zr4 +, Sc3 +, Ti4 +, V+5, Cr3 +, Mn2 +, Fe3 +, Ni2 +, Cu2 +, Zn2 +, Ag+, Pt4 + 및 Au+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음이온은 황산기(SO4 2-), 아황산기(SO3 2-), 질산기(NO3 -), 메타인산기(PO3 -) 및 인산기(PO4 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황산알루미늄(Al2(SO4)3) 또는 황산지르코늄(Zr(SO4)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수화물인 염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 가교 처리를 위하여, 하기 ⅰ) 및 ⅱ)의 특성을 갖는 입자를 포함하게 된다.
ⅰ) 300 내지 1500 m2/g의 BET 비표면적 (specific surface area),
ⅱ) 50% 이상의 공극률(porosity)
일반적으로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은 친수성을 띄며, 수분 흡수 후 건조시 입자 사이에 존재하는 물에 의한 모세관력, 수소결합, 고분자 상호 부분 확산(inter-particaular diffusion) 또는 입자간의 반데르발스 힘 등에 의하여 비가역적 응집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고흡수성 수지의 중합 및 표면 가교 공정에서도 필수적으로 물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에 따른 응집이 발생하기 때문에, 내부 부하를 증가시키며, 결과적으로 장비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응집된 상태의 고흡수성 수지는 입도가 응용에 부적합하게 크기 때문에, 이를 적정 입도로 줄이는 해쇄 공정을 도입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해쇄 공정에서 강한 힘이 가해지므로 고흡수성 수지 파쇄에 따른 물성하락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존재하며, 수지 입자간의 직접적인 응집을 방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미세입자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미세입자가 과량이 도입될 경우 응집은 방지되나,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특성이 감소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에 도입되는 입자는 2㎚ ~ 50㎛의 입도를 갖는다. 또한 상기 입자는 300 내지 1500 m2/g,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500 m2/g,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1500 m2/g의 BET 비표면적 (specific surface area)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자는 물에 대한 접촉각이 125° 이상의 초소수성을, 바람직하게는 140° 이상의 초소수성을,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 이상의 초소수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자는 50% 이상의 공극률(porosity)을,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공극률(porosity)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은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진 입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지 표면에 있는 물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공성 초소수성 미세입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응집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상대적으로 소량의 미세입자를 사용하여도 투과도가 쉽게 향상되고, 고함수량 및 이의 유지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에 포함되는 입자는 상기 ⅰ) 및 ⅱ)와 같은 특성을 갖는 물질이라면 그 성분의 한정이 없으며, 구체적으로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TiO2), 탄소(Carbon) 등의 무기 산화물, 무기화합물, 유기고분자, 이온교환수지, 금속, 금속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미세입자는 고흡수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1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입자의 포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으면 고흡수성 수지의 소수성이 충분하지 않고, 상기 범위보다 많으면 수지의 가공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미세입자를 첨가하는 공정으로, 모노머 용액 내 분산 후 사용, 중합 후 함수젤 상에 첨가 후, 1차 건조된 수지입자에 건식 혼합, 표면 가교 시 표면 가교액이 녹아 있는 물 또는 유기 용매 내 분산 후 혼합, 표면 가교 시 표면 가교액이 녹아 있는 물 또는 유기용매와 분리되어 건식 혼합, 또는 표면가교가 된 최종 제품에 건식 혼합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표면 개질 처리는 상기 고흡수성 수지에 상기 ⅰ) 및 ⅱ)의 특성을 갖는 초소수성 입자를 첨가한 후,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을 추가로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표면 개질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은, a) 고흡수성 수지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준비된 고흡수성 수지에 하기 ⅰ) 및 ⅱ)의 특성을 갖는 입자를 첨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전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에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을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표면 개질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를 파쇄하여 상기 파쇄된 고흡수성 수지를 입도 150㎛ 미만인 입자, 150㎛ 이상 300㎛ 미만인 입자, 입도 300㎛ 이상 600㎛ 미만인 입자, 입도 600㎛ 이상 850㎛ 미만 및 입도 850㎛ 이상인 입자로 분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입도로 분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쇄기는 구체적으로, 볼 밀(ball mill), 핀 밀(pin mill), 해머 밀(hammer mill), 스크류 밀(screw mill), 롤 밀(roll mill), 디스크 밀(disc mill) 또는 조그 밀(jog mill)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는 초소수성 미세입자와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을 동시에 사용하여 고흡수성 수지에 표면 개질 처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고흡수성 수지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파쇄 저항성의 향상이 있으며, 특히 통액성 및 흡수 속도와 같은 중요한 물성에 있어서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의 베이스 수지인 고흡수성 수지는 당해 업계에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열중합 또는 광중합하여 제조된 함수겔상 중합체를 건조, 분쇄한 고흡수성 수지 입자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에 표며 가교제를 첨가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 제조를 위해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단계 및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흡수성 수지는
a)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열중합 또는 광중합하여 함수겔상 중합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함수겔상 중합체를 건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건조된 함수겔상 중합체를 분쇄하여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흡수성 수지는, d)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에 표면 가교제를 첨가하여 표면 가교 반응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함수겔상 중합체를 건조 및 분쇄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함수겔상 중합체는 중합이 완료되어 수분을 다량 포함(50% 이상)하고 있는 단단한 젤리 형태의 크기가 1cm 이상인 물질로, 상기 함수겔상 중합체를 건조 및 분쇄하여 파우더로 만든 것이 고흡수성 수지 입자이다. 따라서 함수겔상 중합체는 공정의 중간 상태에 해당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흡수성 수지는 a)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열중합 또는 광중합하여 함수겔상 중합체를 준비하는 단계를 거친다.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 제조를 위해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단계 및 방법으로 중합체를 준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 제조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조성물은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데, 중합 방법에 따라 광중합 방법에 의할 경우에는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열중합 방법에 의할 경우에는 열중합 개시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광중합 방법에 의하더라도, 자외선 조사 등의 조사에 의해 일정량의 열이 발생하고, 또한 발열 반응인 중합 반응의 진행에 따라 어느 정도의 열이 발생하므로, 추가적으로 열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열중합 개시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과황산염계 개시제, 아조계 개시제, 과산화수소, 및 아스코르빈산으로 이루어진 개시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과황산염계 개시제의 예로는 과황산나트륨(Sodium persulfate; Na2S2O8),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K2S2O8),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fate; (NH4)2S2O8) 등이 있으며, 아조(Azo)계 개시제의 예로는 2, 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이염산 염(2, 2-azobis(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2, 2-아조비스-(N, N-디메틸렌)이소부티라마이딘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2,2-azobis-(N, N-dimethylene)isobutyramidine dihydrochloride), 2-(카바모일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2-(carbamoylazo)isobutylonitril), 2, 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2,2-azobis[2-(2-imidazolin-2-yl)propane] dihydrochloride),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릭산)(4,4-azobis-(4-cyanovaleric aci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벤조인 에테르(benzoin ether), 디알킬아세토페논(dialkyl acetophenone), 하이드록실 알킬케톤(hydroxyl alkylketone), 페닐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 벤질디메틸케탈(Benzyl Dimethyl Ketal), 아실포스핀(acyl phosphine) 및 알파-아미노케톤(α-aminoket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아실포스핀의 구체예로, 상용하는 lucirin TPO, 즉, 2,4,6-트리메틸-벤조일-트리메틸 포스핀 옥사이드(2,4,6-trimethyl-benzoyl-trimethyl phosphine oxide)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단량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단량체와 그 염, 비이온계 친수성 함유 단량체, 및 아미노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및 그의 4급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무수말레인산, 푸말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2-아크릴로일에탄술폰산, 2-메타아크릴로일에탄술폰산, 2-(메타)아크릴로일프로판술폰산, 또는 2-(메타)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 술폰산의 음이온성 단량체 및 그 염; (메타)아크릴아미드, N-치환(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비이온계 친수성 함유 단량체; 및 (N, 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N, 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의 아미노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및 그의 4급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또는 그 염을 사용할 수 있는데, 아크릴산 또는 그 염을 단량체로 하는 경우, 특히 흡수성이 향상된 고흡수성 수지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자원 재활용에 따른 효과를 위해 상기 단량체 조성물에는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분말 중 미분, 즉 입도가 150㎛ 미만인 중합체 또는 수지 분말을 일정량 포함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단량체 조성물의 중합 반응 시작 전, 또는 중합 반응 시작 후 초기, 중기, 말기 단계에서 상기 입도가 150㎛ 미만인 중합체 또는 수지 분말을 추가할 수 있다. 이 때 추가 가능한 양은 한정은 없으나, 단량체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10 중량부를 추가하는 것이 최종 제조되는 고흡수성 수지의 물성 저하 방지를 위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단량체 조성물 중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농도는 중합 시간 및 반응 조건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 중량%로 할 수 있다.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농도가 40 중량% 미만인 경우, 경제성 면에서 불리하며, 55 중량% 초과하는 경우, 중합된 함수겔상 중합체의 분쇄 시 분쇄 효율이 낮게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량체 조성물을 열중합 또는 광중합하여 함수겔상 중합체를 준비하는 방법 또한 통상 사용 되는 중합 방법이면, 그 구성의 한정이 없다. 구체적으로, 중합 방법은 중합 에너지 원에 따라 크게 열중합 및 광중합으로 나뉘며, 통상 열중합을 진행하는 경우, 니더(kneader)와 같은 교반축을 가진 반응기에서 진행 될 수 있으며, 광중합을 진행하는 경우, 이동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한 반응기에서 진행될 수 있으나, 상술한 중합 방법은 일 예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중합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교반축을 구비한 니더(kneader)와 같은 반응기에, 열풍을 공급하거나 반응기를 가열하여 열중합을 하여 얻어진 함수겔상 중합체는 반응기에 구비된 교반축의 형태에 따라, 반응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함수겔상 중합체는 수 센티미터 내지 수 밀리미터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얻어지는 함수겔상 중합체의 크기는 주입되는 모노머 조성물의 농도 및 주입속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통상 입도가 2 내지 50 mm 인 함수겔상 중합체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한 반응기에서 광중합을 진행하는 경우, 통상 얻어지는 함수겔상 중합체의 형태는 벨트의 너비를 가진 시트 상의 함수겔상 중합체 일 수 있다. 이때, 중합체 시트의 두께는 주입되는 모노머 조성물의 농도 및 주입속도에 따라 달라지나, 통상 0.5 내지 5cm의 두께를 가진 시트 상의 중합체가 얻어질 수 있도록 단량체 조성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상의 중합체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을 정도로 단량체 조성물을 공급하는 경우, 생산 효율이 낮아 바람직하지 않으며, 시트 상의 중합체 두께가 5c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나치게 두꺼운 두께로 인해, 중합 반응이 전 두께에 걸쳐 고르게 일어나지 않을 수가 있다.
상기 광중합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광원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중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자외선 광원은 별 다른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200 내지 400nm의 파장의 빛을 사용할 수 있고, Xe 램프, 수은램프 또는 메탈할라이드램프 등의 자외선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중합 단계는 약 0.1 mw/cm2 내지 약 1 kw/cm2의 세기로 약 5초 내지 약 10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중합 반응에 적용되는 빛의 세기 및 시간이 너무 작거나 짧은 경우 중합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며, 너무 크거나 긴 경우 고흡수성 수지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 후, 단계 b)에서 상기 함수겔상 중합체를 건조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a) 단계에서 얻어진 함수겔상 중합체의 통상 함수율은 30 내지 60 중량%이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함수율"은 전체 함수겔상 중합체 중량에 대해, 차지하는 수분의 함량으로 함수겔상 중합체의 중량에서 건조 상태의 중합체의 중량을 뺀 값을 의미한다(구체적으로는, 적외선 가열을 통해 중합체의 온도를 올려 건조하는 과정에서 중합체 중의 수분증발에 따른 무게감소분을 측정하여 계산된 값으로 정의한다. 이때, 건조 조건은 상온에서 180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뒤 180에서 유지하는 방식으로 총 건조시간은 온도상승단계 5분을 포함하여 20분으로 설정하여, 함수율을 측정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얻어진 함수겔상 중합체는 건조 단계를 거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건조 단계의 건조 온도는 150 내지 250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건조 온도"는 건조를 위해 공급되는 열매체의 온도 또는 건조 공정에서 열매체 및 중합체를 포함한 건조 반응기의 온도로 정의될 수 있다.
건조 온도가 150 미만인 경우, 건조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고 최종 형성되는 고흡수성 수지의 물성이 저하 될 우려가 있고, 건조 온도가 250를 초과하는 경우, 지나치게 중합체 표면만 건조되어, 추후 이루어지는 분쇄 공정에서 미분이 발생할 수도 있고, 최종 형성되는 고흡수성 수지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건조는 150 내지 250의 온도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건조 시간의 경우에는 그 구성의 한정은 없으나 공정 효율 등을 고려하여, 20분 내지 90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건조 단계의 건조 방법 역시, 함수겔상 중합체의 건조 공정으로 통상 사용되는 것이면, 그 구성의 한정이 없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풍 공급, 적외선 조사, 극초단파 조사, 또는 자외선 조사 등의 방법으로 건조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조 단계 진행 후의 중합체의 함수율은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은 건조 단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건조 단계 전에 간단히 분쇄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상기 건조 단계의 전에 간단히 분쇄하는 단계는 함수겔상 중합체의 입도가 1mm 내지 15mm로 되도록 분쇄할 수 있는데, 중합체의 입도가 1mm 미만이 되게 분쇄하는 것은 함수겔상 중합체의 높은 함수율로 인해 기술적으로 어려우며, 또한 분쇄된 입자 간에 서로 응집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으며, 입도가 15mm 초과하도록 분쇄하는 경우, 분쇄에 따른 추후 건조 단계 효율 증대의 효과가 미미해진다.
상기 건조 단계 전에 간단히 분쇄하는 단계에 있어서, 사용되는 분쇄기는 구성의 한정은 없으나, 구체적으로, 수직형 절단기(Vertical pulverizer), 터보 커터(Turbo cutter), 터보 글라인더(Turbo grinder), 회전 절단식 분쇄기(Rotary cutter mill), 절단식 분쇄기(Cutter mill), 원판 분쇄기(Disc mill), 조각 파쇄기(Shred crusher), 파쇄기(Crusher), 초퍼(chopper) 및 원판식 절단기(Disc cutter)로 이루어진 분쇄 기기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건조 단계 전에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분쇄하는 단계를 거치는 경우, 함수율이 높은 중합체로 인해, 분쇄기 표면에 들러붙는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함수겔상 중합체의 건조 전 분쇄 단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분쇄 시,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첨가제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 가능한 첨가제의 종류는 그 구성의 한정은 없으나, 스팀, 물, 계면활성제, Clay 나 Silica 등의 무기 분말 등과 같은 미분 응집 방지제; 과황산염계 개시제, 아조계 개시제, 과산화수소, 및 아스코르빈산와 같은 열중합 개시제, 에폭시계 가교제, 디올(diol)류 가교제, 2 관능기 또는 3 관능기 이상의 다관능기의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가교제,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1관능기의 화합물과 같은 가교제일 수 있으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후, 본 발명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는 상기 건조 단계를 거친 후, c) 상기 건조된 함수겔상 중합체를 분쇄하여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얻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분쇄 단계 후 얻어지는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입도는 150 내지 850㎛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이와 같은 입도로 분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쇄기는 구체적으로, 핀 밀(pin mill), 해머 밀(hammer mill), 스크류 밀(screw mill), 롤 밀(roll mill), 디스크 밀(disc mill) 또는 조그 밀(jog mill)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후, 단계 d)에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에 표면 가교제를 첨가하여 표면 가교 반응을 추가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표면 가교제를 첨가하게 되는데, 입도 크기에 따른 각각의 고흡수성 수지 입자에 첨가되는 표면 가교제의 조성은 각각 동일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조성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에서 첨가되는 표면 가교제는 중합체가 갖는 관능기와 반응 가능한 화합물이라면 그 구성의 한정이 없다. 상기 표면 가교제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생성되는 고흡수성 수지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가 알콜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폴리아민 화합물; 할로에폭시 화합물; 할로에폭시 화합물의 축합 산물; 옥사졸린 화합물류; 모노-, 디- 또는 폴리옥사졸리디논 화합물; 환상 우레아 화합물; 다가 금속염; 및 알킬렌 카보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가 알콜 화합물의 예로는 모노-, 디-, 트리-, 테트라-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2,3,4-트리메틸-1,3-펜탄디올,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2-부텐-1,4-디올,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및 1,2-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폭시 화합물로는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글리시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아민 화합물류로는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펜타에틸렌헥사민, 폴리에틸렌이민 및 폴리아미드폴리아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할로에폭시 화합물로는 에피클로로히드린, 에피브로모히드린 및 α-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모노-, 디- 또는 폴리옥사졸리디논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옥사졸리디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알킬렌 카보네이트 화합물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서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표면 가교 공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이들 표면 가교제 중에서 1 종 이상의 다가 알코올 화합물을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0의 다가 알코올 화합물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표면 가교제를 혼합하여, 중합체 입자를 표면 처리하기 위해 첨가되는 표면 가교제의 함량은 구체적으로 추가되는 표면 가교제의 종류나 반응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지만, 통상 분쇄된 고흡수성 수지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표면 가교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표면 가교 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표면 가교 반응으로 인해 오히려 고흡수성 수지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 표면 가교제를 중합체에 첨가하는 방법은 그 구성의 한정은 없다. 표면 가교제와 중합체 분말을 반응조에 넣고 혼합하거나, 중합체 분말에 표면 가교제를 분사하는 방법, 연속적으로 운전되는 믹서와 같은 반응조에 중합체와 가교제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혼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가교제를 첨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중합체의 표면 온도는 60 내지 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표면 가교제를 첨가한 후 표면 가교 반응을 위한 반응 온도로의 승온을 1분 내지 60 분 내로 진행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표면 가교제 첨가 시, 중합체 자체의 온도는 20 내지 80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합체 자체의 온도를 나타내기 위해, 비교적 고온으로 진행되는 건조 단계 이 후에 이루어지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진행하고, 공정 시간을 단축하거나, 또는 공정 시간을 단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별도로 중합체를 가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은, 표면 가교제를 첨가한 후 표면 가교 반응을 위한 반응 온도로의 승온을 1분 내지 60분 내로 진행하기 위해, 중합체에 첨가되는 표면 가교제 자체를 가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은 표면 가교 반응을 위한 반응 온도로의 승온을 1분 내지 60분 내에 진행한 후, 표면 가교 반응을 진행하는 경우, 표면 가교 공정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어, 최종 얻어지는 고흡수성 수지의 잔존 단량체 함량을 최소화하고, 우수한 물성을 가진 고흡수성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첨가되는 표면 가교제의 온도는 5 내지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표면 가교제의 온도가 5 미만인 경우, 표면 가교제 승온에 따른 표면 가교 반응으로의 승온 속도 단축의 효과가 미미하고, 표면 가교제의 온도가 60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 가교제가 중합체에 골고루 분산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표면 가교 반응 온도는 가교반응을 위한 첨가되는 표면 가교제와 중합체의 전체 온도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표면 가교 반응을 위한 승온 수단으로는, 그 구성의 한정이 없다. 구체적으로, 열매체를 공급하거나, 전기 등의 수단으로 직접 가열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열원으로는 스팀, 전기, 자외선, 적외선 등이 있으며, 가열된 열유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에서, 가교 반응을 위한 승온이 이루어진 후, 가교 반응은 1분 내지 60분 바람직하게는 5분 내지 40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10분 내지 20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가교 반응 시간이 1분 미만으로 지나치게 짧은 경우, 충분한 정도의 가교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고, 가교 반응 시간이 60분을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표면 가교 반응으로 고흡수성 수지의 물성이 오히려 나빠질 수 있고, 반응기에서 장기 체류로 인한 중합체 파쇄가 일어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하기에 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 예시로써,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표시되었고, 더욱이 특허 청구범위 기록과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에서 함유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
제조예 :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아크릴산 100g, 가교제로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0.3 g, 개시제로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시드 0.033g, 가성소다(NaOH) 38.9g, 및 물 103.9g의 비율로 혼합하여, 단량체 농도가 50 중량%인 단량체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이후,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연속 이동하는 콘베이어 벨트상에 투입하고 자외선을 조사(조사량: 2mW/㎠)하여 2분 동안 UV 중합을 진행하여 함수겔 중합체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함수겔 중합체를 5*5mm 크기로 잘라서 170 온도의 열풍건조기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고, 핀밀 분쇄기로 분쇄한 후 시브(sieve)를 이용하여 입경 크기가 150 내지 850 ㎛의 고흡수성 수지를 얻었다. 이후,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3.5%를 이용하여 고흡수성 수지를 표면 가교 후, 120에서 1시간 반응하고, 분쇄 후 시브(sieve)를 이용하여 입경 크기가 150 내지 850㎛의 표면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를 얻었다.
실시예 : 표면 개질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실시예 1]
상기 제조예에서 생산된 고흡수성 수지 250g과 다공성 초소수성 미세입자 silica Aerogel (AeroZelTM, JIOS 사) 0.15 g을 교반기에 넣고 1000 RPM으로 60초간 교반 하였다.
이 후, 황산지르코늄·4H2O 1.6 g을 물 6.25 g에 녹인 수용액을 첨가한 뒤 180초간 교반 하였다. 이후, 30분 동안 Aging 한 후, 상기 혼합물을 시브를 이용하여 입경 크기가 150 내지 850 ㎛의 고흡수성 수지를 얻었다.
상기에서 사용한 Aerogel의 입도는 5um 이고, 700 m2/g의 BET 비표면적을 갖고, 물에 대한 접촉각은 144°이고, 공극률은 95%이었다.
상기 Aerogel의 입도의 측정은 ISO 13320에 따라서, HELOS(Helium-Neon Laser Optical System)를 사용하여, 무변수 초고속 광회절법(Laser Diffraction)에 의하여 입도를 분석하였다. BET 비표면적 및 공극률은 BET analyzer를 이용하였다. 물에 대한 접촉각의 측정은 contact angle analyzer (KRUSS DSA100)를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평평한 유리판에 양면 테이프를 붙인 후 그 위에 미세입자를 단일층(Monolayer)으로 도포한 후, 초순수 5㎕를 단일층 위에 올리면 방울 형태로 위치하며, 이때 물방울과 유리판이 이루는 각도를 4회 반복하여 측정한 후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황산지르코늄·4H2O 대신 황산알루미늄·14-18 H2O 1.6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면 개질된 고흡수성 수지를 얻었다.
[비교예 1]
상기 제조예에서 생산된 고흡수성 수지 250g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에 대한 변인 조정을 정리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초소수성 미세입자 (g) 다가 이온 (g) 물 (g)
실시예 1 0.15 1.6
(황산지르코늄·4H2O)
6.25
실시예 2 0.15 1.6
(황산알루미늄·14-18 H2O)
6.25
비교예 1 0 0 0
실험예 : 물성 평가
상기에서 제조된 표면 개질된 고흡수성 수지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예 1: 고흡수성 수지 입도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의 고흡수성 수지에 대한 입도를 측정하였다. 고흡수성 수지 입도의 측정은 EDANA 법 WSP 240.3을 기준으로 하였다. 고흡수성 수지 100g을 850㎛, 600㎛, 300㎛, 150㎛, Pan의 Mesh로 구분하여 1.44 mm 진폭, 진동수 50 Hz로 10분간 진동한 후, 각 체의 상부에 체류량의 비율로 함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입도 분포 (%)
150㎛ 이하 150~300㎛ 300~600㎛ 600~850㎛ 850㎛ 이상
실시예 1 0.5 20.6 68.2 10.8 0.0
실시예 2 1.5 26.3 64.1 8.1 0.0
비교예 1 0.4 22.4 67.5 9.5 0.0
상기 표 2로부터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의 고흡수성 수지에 대한 입도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어서, 표 2에서와 같이, 실시예 1과 2에 의하여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는 비교예 1과 비교하였을 때, 3.5 %의 물이 추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입도분포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예에 도입된 초소수성 미세입자의 영향으로 물에 의한 응집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실험예 2: 보수능 ( CRC , centrifugal retention capacity)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의 고흡수성 수지에 대한 볼 밀링 전후의 보수능을 측정하였다. 보수능의 측정은 EDANA 법 WSP 241.3을 기준으로 하였다. 준비된 고흡수성 수지 중 입도 300 내지 600 ㎛ 시료 0.2g을 티백에 넣고 0.9 % 염수 용액에 30분간 침전한 후, 250G(gravity)의 원심력으로 3분간 탈수한 후 염수 용액이 흡수된 양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가압흡수능 ( AUP , Absorption Under Pressure)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의 고흡수성 수지에 대한 볼 밀링 전후의 가압흡수능을 측정하였다. 준비된 고흡수성 수지 중 입도 300 내지 600 ㎛ 시료 0.16g을 실린더에 넣고 피스톤과 추로 0.9 psi의 압력을 가한 후, 0.9 % 염수 용액을 60분간 흡수한 양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4: 투과성 (Permeability(sec))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의 고흡수성 수지에 대한 볼 밀링 전후의 투과성을 측정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관 하부 Glass Filter와 콕크사이에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역으로 물을 투입하여 약 10ml 채우고 염수로 2~3회 세척하고 40ml 이상까지 0.9 % 염수로 채웠다. 크로마토그래피 관에 피스톤을 넣고 하부의 밸브를 연 후 액면이 40ml에서 20ml 표시선까지 시간을 기록(B: sec)하여 Blank 실험을 실시하였다. 준비된 고흡수성 수지 중 입도 300 내지 600 ㎛ 시료 0.2g을 넣은 다음 염수를 가하여 염수 총량이 50ml가 되도록 한 후, 고흡수성 수지가 충분히 팽윤되도록 30분 방치하였다. 이후, 크로마토그래피 관 내에 추가 달린 피스톤(0.3 psi)을 넣고 1분간 방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관 하부에 있는 마개를 연 후, 액면이 40ml에서 20ml 표시선 까지 시간(T1: sec)을 기록하였다. 하기 수학식 1을 통하여, 투과성을 구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투과성 = T1 - B
시험예 5: 흡수 속도(Speed of absorption)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의 고흡수성 수지에 대한 볼 밀링 전후의 흡수 속도를 측정하였다. 100 mL 비이커에 정밀분주기를 이용하여 50mL의 0.9 % 염수를 넣고 마그네틱 바를 넣은 후, 600 RPM의 속도로 설정된 마크네틱 교반기 위에 100 mL 비이커를 올려 놓고 교반하였다. 이 후, 300 내지 600 ㎛ 시료 2.0 ± 0.05 g을 Vortex에 투입하면서 동시에 Vortex가 사라지는 시간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6: 볼밀링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의 고흡수성 수지에 대한 파쇄 저항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볼밀링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장비는 Ball mill, Jar 그리고 alumina ball로 구성된다. Ball mill의 최대 회전속도는 350 RPM이며, 본 실험에서는 300 RPM으로 작동한다. Jar의 경우 내경이 약 10 cm, 총 용량이 1L의 장비를 사용하였다. 지름 2.5 cm의 alumina ball은 10개를 기준으로 하였다. 본 장비에 300 내지 600 ㎛의 고흡수성 수지 20 g을 투입하고 20분간 볼밀링을 진행한 후, 볼밀링 후 파쇄된 고흡수성 수지 중 300 내지 600㎛인 고흡수성 수지를 다시 분급하여, 볼밀링 전의 300 내지 600 ㎛의 고흡수성 수지와 볼밀링 후의 300 내지 600 ㎛의 고흡수성 수지의 무게의 차이를 볼밀링 전의 300 내지 600 ㎛의 고흡수성 수지의 무게로 나눈 값((볼밀링 전의 300 내지 600 ㎛의 고흡수성 수지의 무게 - 볼밀링 후의 300 내지 600 ㎛의 고흡수성 수지의 무게)/ 볼밀링 전의 300 내지 600 ㎛의 고흡수성 수지의 무게)의 백분률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밀링
보수능
(g/g)
가압흡수능
(g/g)
투과능
(sec)
흡수속도
(sec)
*함수율
(%)
300 ~600 ㎛ 입도 변화량
실시예 1 32.7 13.8 15 67 3.53 8.3
33.4 12.5 18 68
실시예 2 32.6 14.4 18 65 3.52 7.5
33.6 13.5 23 63
비교예 1 33.9 16.1 32 81 1.26 11.5
34.9 13.6 64 83
*함수율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의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중, Aerogel과 수용성 염, 그리고 물을 처리한 마지막 단계에서 함수율을 측정한 것이다.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기존 고흡수성 수지 대비 본 발명의 초소수성 미세입자와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의 수용액으로 처리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고흡수성 수지는 투과능이 향상되고, 특히 흡수 속도가 비교예에 비하여 현저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3의 볼밀링 후의 미분 발생량을 확인해 보면 실시예 1과 2의 미분 발생량이 적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고흡수성 수지 표면에 초소수성 미세입자 및 다가이온(황산지르코늄 또는 황산알루미늄)이 도입되어 있기 때문에, 함수율에서 알 수 있듯이 3.5 %의 물이 내부에 있게 되며, 이로 인해 파쇄 저항성이 높아져 미분 발생량이 감소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26)

  1.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 및 하기 ⅰ) 및 ⅱ)의 특성을 갖는 입자로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
    ⅰ) 300 내지 1500 m2/g의 BET 비표면적 (specific surface area),
    ⅱ) 50% 이상의 공극률(porosity)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은 고흡수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 중 양이온은 Al3 +, Zr4+, Sc3 +, Ti4 +, V+5, Cr3 +, Mn2 +, Fe3 +, Ni2 +, Cu2 +, Zn2 +, Ag+, Pt4 + 및 Au+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음이온은 황산기(SO4 2-), 아황산기(SO3 2-), 질산기(NO3 -), 메타인산기(PO3 -) 및 인산기(PO4 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은 황산알루미늄(Al2(SO4)3) 또는 황산지르코늄(Zr(SO4)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2㎚ ~ 50 ㎛의 입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물에 대한 접촉각이 125°이상의 초소수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2㎚ ~ 50 ㎛의 입도 및 물에 대한 접촉각이 125°이상의 초소수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500 내지 1500 m2/g의 BET 비표면적 (specific surface are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700 내지 1500 m2/g의 BET 비표면적 (specific surface are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
  10.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물에 대한 접촉각이 140°이상의 초소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
  11.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물에 대한 접촉각이 145°이상의 초소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90% 이상의 공극률(porosity)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
  13. a) 고흡수성 수지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준비된 고흡수성 수지에 하기 ⅰ) 및 ⅱ)의 특성을 갖는 입자를 첨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전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에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을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표면 개질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ⅰ) 300 내지 1500 m2/g의 BET 비표면적 (specific surface area),
    ⅱ) 50% 이상의 공극률(porosity)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를 파쇄하여 상기 파쇄된 고흡수성 수지를 입도 150㎛ 미만인 입자, 150㎛ 이상 300㎛ 미만인 입자, 입도 300㎛ 이상 600㎛ 미만인 입자, 입도 600㎛ 이상 850㎛ 미만인 입자 및 입도 850㎛ 이상인 입자로 분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 중 양이온은 Al3 +, Zr4 +, Sc3 +, Ti4 +, V+5, Cr3+, Mn2 +, Fe3 +, Ni2 +, Cu2 +, Zn2 +, Ag+, Pt4 + 및 Au+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음이온은 황산기(SO4 2-), 아황산기(SO3 2-), 질산기(NO3 -), 메타인산기(PO3 -) 및 인산기(PO4 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은 황산알루미늄(Al2(SO4)3) 또는 황산지르코늄(Zr(SO4)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2㎚ ~ 50 ㎛의 입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물에 대한 접촉각이 125°이상의 초소수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2㎚ ~ 50 ㎛의 입도 및 물에 대한 접촉각이 125°이상의 초소수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500 내지 1500 m2/g의 BET 비표면적 (specific surface are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21.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700 내지 1500 m2/g의 BET 비표면적 (specific surface are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22. 청구항 18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물에 대한 접촉각이 140°이상의 초소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23. 청구항 18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물에 대한 접촉각이 145°이상의 초소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24. 청구항 18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90% 이상의 공극률(porosity)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2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ⅰ) 및 ⅱ)의 특성을 갖는 입자는 고흡수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부가 되도록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2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다가 양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은 고흡수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부가 되도록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1020150082080A 2015-06-10 2015-06-10 내파쇄성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919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080A KR101919985B1 (ko) 2015-06-10 2015-06-10 내파쇄성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방법
EP16807653.7A EP3309195B1 (en) 2015-06-10 2016-02-18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water-absorbent resin having crush resistance
PCT/KR2016/001649 WO2016200010A1 (ko) 2015-06-10 2016-02-18 내파쇄성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방법
CN201680002152.2A CN106661308B (zh) 2015-06-10 2016-02-18 具有抗破碎性的高吸水性树脂及其制备方法
US15/327,547 US10046305B2 (en) 2015-06-10 2016-02-18 High water-absorbent resin having crush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080A KR101919985B1 (ko) 2015-06-10 2015-06-10 내파쇄성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424A true KR20160145424A (ko) 2016-12-20
KR101919985B1 KR101919985B1 (ko) 2018-11-19

Family

ID=5750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080A KR101919985B1 (ko) 2015-06-10 2015-06-10 내파쇄성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46305B2 (ko)
EP (1) EP3309195B1 (ko)
KR (1) KR101919985B1 (ko)
CN (1) CN106661308B (ko)
WO (1) WO201620001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1410B2 (en) 2016-02-17 2019-11-12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superabsorbent polymer with improved anti-caking
KR20200072644A (ko) * 2018-12-12 2020-06-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US11613613B2 (en) 2017-12-11 2023-03-28 Lg Chem, Ltd.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098B1 (ko) * 2015-01-05 2018-10-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으로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KR20170070801A (ko)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파쇄성 고흡수성 수지, 그의 제조 방법 및 제조용 조성물
WO2019023065A1 (en) * 2017-07-28 2019-01-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FEMALE HYGIENE ARTICLE CONTAINING NANOPOROUS SUPERABSORBENT PARTICLES
AR125807A1 (es) * 2021-05-10 2023-08-16 Upl Ltd Una composición de material poliméric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6691A (ja) 2003-04-25 2006-11-24 ストックハウゼ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い透水性を具備した高吸収性ポリマー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8852B2 (ja) * 1989-03-13 1999-05-10 三菱化学株式会社 粉体高吸水性ポリマー組成物
JPH08253597A (ja) * 1995-03-15 1996-10-01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高吸水性樹脂の造粒法
KR100639053B1 (ko) * 1997-04-29 2006-10-27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가공성이 향상된 초흡수성 중합체
DE10016041A1 (de) * 2000-03-31 2001-10-04 Stockhausen Chem Fab Gmbh Pulverförmige an der Oberfläche vernetzte Polymerisate
BR0116621A (pt) * 2000-12-29 2003-12-23 Basf Ag Hidrogéis insolúveis em água, intumescìveis em água, composição absorvedora de água, processo para produzir as mesmas, uso de composições absorvedora de água, artigos de higiene, métodos para aperfeiçoar o perfil de desempenho de composições absorvedora de água, e para determinar composições absorvedoras de água, e, uso de hidrogéis insolúveis em água, intumescìvel em água.
US20030149413A1 (en) * 2002-02-04 2003-08-07 Mehawej Fouad D. Super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the same
BR0313517A (pt) * 2002-08-23 2005-06-14 Basf Ag Partìculas superabsorventes, método de absorver um meio aquoso, artigo absorvente, fralda, e, método de fabricar partìculas de polìmero superabsorvente-argila
WO2005042039A2 (de) * 2003-10-31 2005-05-12 Basf Aktiengesellschaft Blut und/oder körperflüssigkeiten absorbierendes hydrogel
US7579402B2 (en) * 2003-11-12 2009-08-25 Evonik Stockhausen, Inc. Superabsorbent polymer having delayed free water absorption
DE102004009438A1 (de) * 2004-02-24 2005-09-15 Basf Ag Verfahren zur Oberflächennachvernetzung wasserabsorbierender Polymere
CN1938083B (zh) * 2004-03-31 2011-06-08 株式会社日本触媒 含水液体吸收剂和其生产方法
DE102005010198A1 (de) * 2005-03-05 2006-09-07 Degussa Ag Hydrolysestabile, nachvernetzte Superabsorber
TWI404734B (zh) * 2005-04-22 2013-08-11 Evonik Stockhausen Gmbh 具有改良的吸收性質的水份吸收聚合物結構
BRPI0711452B8 (pt) * 2006-04-21 2021-06-22 Evonik Degussa Gmbh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uma estrutura polimérica absorvente de água, estrutura polimérica absorvente de água, compósito,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um compósito, uso da estrutura polimérica absorvente de água ou uso do compósito e uso de um sal
WO2008055935A2 (en) * 2006-11-10 2008-05-15 Basf Se Superabsorbents having superior permeability and conveying properties
CN101641398B (zh) * 2007-03-19 2012-07-25 巴斯夫欧洲公司 包覆吸水性聚合物颗粒的方法
JP5689313B2 (ja) * 2007-09-28 2015-03-25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剤及びその製造方法
EP2235093B1 (en) * 2007-12-19 2015-04-22 Basf Se Process for producing surface-crosslinked superabsorbents
US7910688B2 (en) * 2008-10-22 2011-03-22 Evonik Stockhausen Inc. Recycling superabsorbent polymer fines
CN102341435B (zh) * 2009-03-04 2016-04-20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树脂的制造方法
US8481159B2 (en) * 2009-09-04 2013-07-09 Basf Se Water-absorbent porous polymer particles having specific sphericity and high bulk density
KR20110111943A (ko) * 2010-04-06 2011-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개질된 흡수성수지
WO2012043821A1 (ja) * 2010-09-30 2012-04-05 株式会社日本触媒 粒子状吸水剤及びその製造方法
US8802786B2 (en) * 2011-04-21 2014-08-12 Evonik Corporation Particulate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performance properties
CN103183842B (zh) * 2013-03-29 2014-09-10 华南理工大学 一种高吸水性树脂表面交联的方法
KR20150016126A (ko) 2013-08-01 2015-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WO2015084059A1 (ko) * 2013-12-03 2015-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6691A (ja) 2003-04-25 2006-11-24 ストックハウゼ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い透水性を具備した高吸収性ポリマ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1410B2 (en) 2016-02-17 2019-11-12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superabsorbent polymer with improved anti-caking
US11613613B2 (en) 2017-12-11 2023-03-28 Lg Chem, Ltd.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200072644A (ko) * 2018-12-12 2020-06-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73563A1 (en) 2017-06-22
KR101919985B1 (ko) 2018-11-19
EP3309195B1 (en) 2020-06-17
WO2016200010A1 (ko) 2016-12-15
CN106661308A (zh) 2017-05-10
EP3309195A4 (en) 2018-07-04
US10046305B2 (en) 2018-08-14
CN106661308B (zh) 2020-01-10
EP3309195A1 (en)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383B1 (ko)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7287B1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
KR101855353B1 (ko) 고흡수성 수지의 미분 재조립체를 포함하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KR101919985B1 (ko) 내파쇄성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방법
US10486135B2 (en) Super absorbent resin having improved solidification resistanc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101960041B1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
KR101631298B1 (ko)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64649A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
KR20160127938A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
JP6317462B2 (ja) 破砕抵抗性高吸水性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243843B1 (en) Method for preparing superabsorbent polymer treated with water dispersion solution containing microparticles
KR102073953B1 (ko) 내파쇄성 고흡수성 수지, 그의 제조 방법 및 제조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