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434A - 급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급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434A
KR20160140434A KR1020160063566A KR20160063566A KR20160140434A KR 20160140434 A KR20160140434 A KR 20160140434A KR 1020160063566 A KR1020160063566 A KR 1020160063566A KR 20160063566 A KR20160063566 A KR 20160063566A KR 20160140434 A KR20160140434 A KR 20160140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sonance
coil
voltag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8434B1 (ko
Inventor
노리히로 오카자키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아이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아이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아이아이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0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8Overvoltage protection
    • H02J7/02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self-oscillating arrangement
    • H02M3/338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self-oscillating arrangement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과제]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수전 회로에 있어서, 부하에 과전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해결 수단] 급전 코일을 구비한 급전 장치와 수전 코일을 구비한 수전 장치를 구비하고, 공진 회로가 공진 상태일 때, 수전 코일에 발생하는 전압의 피크 전압값이 소정의 전압값보다 높게 설정되고, 공진 회로가 비공진 상태일 때, 수전 코일에 발생하는 전압의 피크 전압값이 소정의 전압값보다 낮게 설정된다.

Description

급전 시스템{POWER FEEDING SYSTEM}
본 발명은, 급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년, 급전 코일과 수전 코일의 전자 유도, 혹은 전자 결합에 의해,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하는 급전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을 참조). 이러한 급전 시스템은, 예를 들어, 휴대 전화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전자기기가 구비하는 전지를 충전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급전 시스템에서는, 급전 장치가 구비하는 급전 코일과 수전 장치가 구비하는 수전 코일이 대향하여 배치되고, 급전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수전 코일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며, 이것에 의해 수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14-131440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서 보여지는 전자 유도에 의해 급전 코일로부터 수전 코일에 전력을 급전하는 급전 시스템에 의해, 예를 들어 충전지로의 충전을 행하는 경우, 충전이 완료될 무렵, 즉 부하가 가벼워진 상태에 있어서, 충전지에 과전압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급전 시스템은, 급전 장치와 수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급전 장치로부터 상기 수전 장치에 전력을 급전하는 급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급전 장치는 급전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수전 장치는, 상기 급전 코일로부터 급전되는 수전 코일과, 상기 수전 코일과 공진하는 공진 콘덴서와, 상기 공진 콘덴서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변경하여, 공진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를 가지는 공진 회로와, 상기 공진 회로에 발생하는 교류 출력 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하여, 직류 전력을 얻는 정류 회로와, 상기 정류 회로에 의해 얻어진 직류 전력이 공급되는 부하를 구비하며, 상기 공진 회로가 공진 상태일 때, 상기 수전 코일에 발생하는 전압의 피크 전압값이 소정의 전압값보다 높게 설정되고, 상기 공진 회로가 비공진 상태일 때, 상기 수전 코일에 발생하는 전압의 피크 전압값이 상기 소정의 전압값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공진 상태일 때, 수전 코일에 발생하는 전압의 피크값이 소정의 전압값보다 낮게 설정되기 때문에, 부하에 과전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급전 코일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에 수전 코일에 발생하는 전압의 극성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2는 참고예에 의한 급전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급전 장치의 급전 코일에 발생하는 전압 파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급전 장치의 급전 코일과 정류 다이오드를 제거했을 때의 수전 코일에 발생하는 전압 파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급전 장치의 수전 코일에 발생하는 전압 파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급전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급전 장치의 급전 코일과 정류 다이오드를 제거했을 때의 수전 코일에 발생하는 전압 파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8은 도 6에 있어서의 급전 장치의 수전 코일에 발생하는 전압 파형을 설명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우선, 본 발명자가 본 발명을 상도 하기에 이른 경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같은 방향으로 감겨진 급전 코일(11)과 수전 코일(21)의 중심축을 포개고, 급전 코일(11)에 직류를 건 경우의 수전 코일(21)에 나타나는 유도 전류의 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급전 코일(11)에는, 직류 전원(3)과 스위치(4)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수전 코일(21)에는, 부하(5)가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4)를 접속하면, 급전 코일(11)의 단자(a1, b1)에 직류가 걸려, 급전 코일(11)의 단자(a1)로부터 (b1)로, 즉 i1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그때, 발생한 자계를 수전 코일(21)이 받아, 수전 코일(21)에는, i2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a2, b2에는 부하 저항을 접속하고 있는데, 이 경우는, a2에 양극, b2에 음극 전압이 발생한다.
도 2는, 참고예에 의한 급전 시스템(200)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며, 본 발명자가 고안한 급전 시스템(200)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급전 시스템(200)은, 급전 장치(1)와, 수전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급전 시스템(200)은, 급전 장치(1)로부터 수전 장치(2)에 무선(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이며, 급전 장치(1)로부터 수전 장치(2)에 공급된 전력을 수전 장치(2)가 구비하는 부하(26)에 공급한다. 수전 장치(2)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단말이나 PDA 등의 전자기기이며, 급전 장치(1)는, 예를 들어, 수전 장치(2)에 대응하는 충전기이다.
급전 장치(1)는, 급전 코일(11)과, 공진 콘덴서(12)와, 구동 트랜지스터(13)와, 발진 회로(14)를 구비하고 있다.
급전 코일(11)은, 단자(a1)가 전원(VCC)에 접속되고, 단자(b1)가 노드(N1)에 접속되어 있다. 급전 코일(11)은, 예를 들어, 전자 유도, 또는 전자 결합에 의해, 수전 장치가 구비하는 수전 코일(21)에 전력을 공급하는 코일이다.
공진 콘덴서(12)는, 급전 코일(11)과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급전 코일(11)과 공진하는 콘덴서이다. 여기서, 급전 코일(11)과 공진 콘덴서(12)는, 공진 회로(10)를 구성하고 있다. 공진 회로(10)는, 급전 코일(11)의 인덕턴스값과 공진 콘덴서(12)의 용량값에 의해 정해지는 소정의 공진 주파수(예를 들어, 100kHz)에 의해 공진한다.
구동 트랜지스터(13)는, 공진 회로(10)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구동 트랜지스터(13)가 NMOS 트랜지스터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 트랜지스터(13)는, 소스 단자가 전원(GND)에 접지되고, 게이트 단자가 발진 회로(14)의 출력 신호선(노드(N2))에 접속되며, 드레인 단자가 노드(N1)에 접속되어 있다. 발진 회로(14)는, 소정의 주기에 의해, H 상태와 L 상태를 반복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구동 트랜지스터(13)는, 발진 회로(14)의 출력에 의해 온 상태(도통 상태)와 오프 상태(비도통 상태)를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이것에 의해, 급전 코일(11)에 주기적인 신호가 발생하여, 급전 코일(11)로부터 전자 유도에 의해 수전 코일(21)에 급전한다.
수전 장치(2)는, 수전 코일(21), 공진 콘덴서(22), 공진 제어 트랜지스터(23), 정류 다이오드(정류 회로)(24), 평활 콘덴서(25), 부하(26), 및 공진 제어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수전 코일(21)은, 단자(a2)가 노드(N5)에 접속되고, 단자(b2)가 전원(GND1)에 접속되어 있다. 수전 코일(21)은, 예를 들어, 전자 유도, 또는 전자 결합에 의해, 급전 장치(1)가 구비하는 급전 코일(11)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코일이다. 수전 코일(21)은, 수전 장치의 부하(26)에 전력을 공급할 때에, 도 1에 도시하는 급전 코일(11)과 수전 코일(21)과 마찬가지로, 감기 방향이 급전 코일(11)과 같아지도록 대향하여 배치된다.
공진 콘덴서(22)는, 수전 코일(21)과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수전 코일(21)과 공진하는 콘덴서이다. 공진 콘덴서(22)는, 노드(N5)와 노드(N6)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수전 코일(21)과 공진 콘덴서(22)는, 공진 회로(20)를 구성하고 있다. 공진 회로(20)는, 수전 코일(21)의 인덕턴스값과 공진 콘덴서(22)의 용량값에 의해 정해지는 소정의 공진 주파수(예를 들어, 100kHz)에 의해 공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전 장치(2)의 공진 주파수와 급전 장치(1)의 공진 주파수는 동일하고, 예를 들어, 100kHz이다.
공진 회로(20)는, 공진 콘덴서(22)와 더불어 수전 코일(21)과 병렬로 접속되고, 또한, 공진 콘덴서(22)와 직렬로 접속되는 공진 제어 트랜지스터(23)(스위칭 소자)를 더 구비한다. 공진 제어 트랜지스터(23)는, 예를 들어, NMOS 트랜지스터이며, 소스 단자가 전원(GND1)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가 노드(N6)에 접속되어 있다. 또, 공진 제어 트랜지스터(23)는, 게이트 단자가 후술하는 공진 제어부(60)로부터의 출력 신호선에 접속되어 있다. 공진 제어 트랜지스터(23)는, 공진 제어부(60)에 의해, 온 상태가 됨으로써 공진 콘덴서(22)가 기능하고, 공진 회로(20)에 공진을 발생시킨다. 또, 공진 제어 트랜지스터(23)는, 공진 제어부(60)에 의해, 오프 상태가 됨으로써 공진 콘덴서(22)가 전기적으로 멀어져, 공진 회로(20)의 공진을 정지시킨다.
정류 다이오드(24)(정류 회로)는, 애노드 단자가 수전 코일(21)의 일단인 노드(N5)에 접속되고, 캐소드 단자가 평활 콘덴서(25)의 일단인 노드(N7)에 접속되어 있다. 정류 다이오드(24)는, 수전 코일(21)이 수전한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즉, 정류 다이오드(24)는, 수전 코일(21)에 발생하는 교류 전력(교류 전압)을 직류 전력(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평활 콘덴서(25)는, 정류 다이오드(24)가 변환한 직류 전력을 평활화한다.
또, 평활 콘덴서(25)와 병렬로 부하(26)가 접속되어 있다.
공진 제어부(60)는, 공진 제어 트랜지스터(23)를 제어함으로써, 공진 회로(20)의 공진 상태를 제어하는 공진 제어부(60)로서, 수전 코일(21)이 수전한 전력을 정류한 직류 전압에 따라, 공진 제어 트랜지스터(23)를 제어한다. 공진 제어부(60)는, 저항(27, 28), 콤퍼레이터(64) 및 기준 전원(65)을 구비하고 있다. 콤퍼레이터(64)는, +입력 단자가 기준 전원(65)에 접속되고, -입력 단자가 노드(N8)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27)의 일단은 노드(N7)에 접속되고, 콤퍼레이터(64)는, 저항(27) 및 저항(28)에 의해 노드(N7) 전압이 노드(N8)로 분압된 전압과, 기준 전원(65)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변환된 전압이, 기준 전원(65)의 출력 전압 이상인 경우에, 공진 제어 트랜지스터(23)를 오프 상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콤퍼레이터(64)는, 저항(27) 및 저항(28)에 의해 분압된 노드(N8) 전압이 소정의 역치 전압보다 낮은 경우에, H 상태를 출력 단자에 출력한다. 또, 콤퍼레이터(64)는, 저항(27) 및 저항(28)에 의해 분압된 노드(N8) 전압이 소정의 역치 전압 이상인 경우에, L 상태를 출력 단자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공진 제어부(60)는, 노드(N7)의 정류 후의 전압에 따라, 공진 제어 트랜지스터(23)를 제어하여, 공진 회로(20)의 공진 상태를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노드(N7)에, 정전압화된 출력이 얻어지는 수전 회로를 구성한다.
기준 전원(65)은, 소정의 역치 전압에 대응하는 소정의 역치 전압을 출력하는 정전압원이며, 기준 전원(65) 및 저항(27, 28)의 구성에 의해, 노드(N7)의 정전압값이 결정된다.
도 3은, 도 2의 급전 장치(1)에 있어서의 급전 코일(11)의 단자(b1) 전압의 거동을 도시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진 회로(14)는, 소정의 주기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13)를 온 상태(도통 상태)와 오프 상태(비도통 상태)로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므로, 급전 코일(11)과 공진 콘덴서(12)로 구성되는 공진 회로(10)에 있어서, 구동 트랜지스터(13)가 온 상태일 때, 급전 코일(11)에는 전원 전류가 흐르고, 공진 콘덴서(12)에는 전원 전압이 걸린다. 이때 급전 코일(11)의 단자(b1)는, 거의 GND 전위가 된다.
구동 트랜지스터(13)가 오프 상태일 때, 급전 코일(11)과 공진 콘덴서(12)로 구성되는 공진 회로(10)는, 발진 상태가 되고, 급전 코일(11)의 단자(b1)에는, 호를 그리도록 양극에 전압이 발생한다.
발진 회로(14)는, 소정의 주기에 의해, 출력을 반복하므로, 급전 코일(11)과 공진 콘덴서(12)로 구성되는 공진 회로(10)는,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의 공급과, 발진 상태의 반복을 행하므로, 급전 코일(11)의 단자(b1)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반복 파형이 관측된다.
발진 회로(14)의 온과 오프의 주기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르는 것이어도 되고, 급전 코일(11)의 단자(b1) 전압이 양극에 호를 그려 다시 0V로 되돌아오는 타이밍으로 온이 되는 타이머 동작이나 0V 스위칭 등에 따르는 것이어도 된다.
도 4는, 도 2의 급전 시스템(200)에 있어서, 급전 코일(11)과 수전 코일(21)에 나타나는 전압을 도시하고 있다. 단, 도 4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도 2의 수전 장치(2)의 정류 다이오드(24)를 제거하고, 수전 코일(21)의 단자(a2) 전압(노드(N5) 전압)을 수전 코일(21)의 전압으로서 관측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급전 코일(11)에는, 도 3과 같은 주기 파형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수전 코일(21)에는, 양음의 전압이 나타난다.
도 2의 수전 장치(2)의 공진 회로(20)에 있어서, 공진 제어 트랜지스터(23)가 오프가 되고 수전 코일로부터 공진 콘덴서(22)가 제거되어 있는 「비공진 상태」에서는, 수전 코일(21)의 전압 파형은, 급전 코일(11)의 전압 파형과 상사인 형태를 가진, 양음의 피크 전압이 81a-82a의 작은 진폭이 된다. 양측에는 호를 그리는 파형이 나타나고, 음측에는 피크 부분에 평탄한 부분을 가진 파형이 나타난다.
수전 장치(2)의 공진 회로(20)에 있어서, 공진 제어 트랜지스터(23)가 온이 되고, 공진 콘덴서(22)가 수전 코일(21)에 접속되어 있는 「공진 상태」에서는, 수전 코일(21)의 전압 파형은, 수전 코일의 단자(a2)의 양음의 피크 전압이 83a-84a의 큰 진폭이 된다. 공진 상태에서는, 수전 코일(21)의 전압 파형은 양음에 호를 그리게 된다.
또한, 「공진 상태」에서는, 급전 코일(11)의 전압과 수전 코일(21)의 전압의 위상이 어긋나 있다. 이것은, 수전 코일(21)에 공진 콘덴서(22)가 접속된 것에 의한 위상 회전이 일어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수전 장치(2)의 정류 다이오드(24)를 도 2와 같이 접속한 상태로, 급전 시스템(200)을 동작시켰을 때에, 수전 코일(21)의 단자(a2)에 나타나는 전압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하는 것이며, 수전 장치(2)의 공진 회로(20)가 「공진 상태」로부터 「비공진 상태」로 이행하고 있는 모습을 포착한 것이다.
도 5의 A 및 B의 부분은, 수전 장치(2)의 부하(26)의 전압이 강하하고, 공진 제어부(60)가 노드(N7) 전압이 +5V보다 저하되어 있는 것을 감지하여, 공진 제어 트랜지스터(23)를 온으로 하고 있는 기간의 수전 코일(21)의 피크 전압 부분이며, 공진 회로(20)는 「공진 상태」에 있다.
「공진 상태」에 있어서, 호를 그려야할 수전 코일(21)의 피크 부분이 찌그러져 있는 것은, 평활 콘덴서(25)는, 거의 +5V로 전압이 유지되어 있으므로, 정류 다이오드(24)의 순방향 전압분을 초과하려고 하는 전류는, 평활 콘덴서(25)에 흘러들기 때문에, 수전 코일(21)의 피크 전압이 출력 전압(+5V)과 정류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의 합에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5의 C, D 및 E의 부분은, 수전 장치(2)의 부하(26)의 전압이 상승하고, 공진 제어부(60)가 노드(N7) 전압이 +5V보다 높아져 있는 것을 감지하여, 공진 제어 트랜지스터(23)를 오프로 하고 있는 기간의 수전 코일(21)의 피크 전압 부분이며, 공진 회로(20)는 「비공진 상태」에 있다.
「비공진 상태」에 있어서는, 수전 코일(21)의 피크 전압은, 도 5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5V보다 낮아져야만 하는 것인데, 도 5의 C 및 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5V보다 높아져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와 같이 되면, 비공진 상태여도, 부하(26)에 전력이 계속 공급되어 버리게 되기 때문에, 부하가 가벼워진 상태에 있어서, 부하의 양단 전압이 목표값보다 높아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비공진 상태」에 있어서도, 「공진 상태」와 마찬가지로 수전 코일(21)의 피크 전압은 평활 콘덴서(25)와 정류 다이오드(24) 전압의 합에 제한되기 때문에, 도 5의 C 및 도 5의 E는, 피크 전압 부분이 찌그러진 것처럼 된다. 그러나, 찌그러진 피크 부분은 +5V를 초과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공진 상태에 있어서의 도 5의 A 및 B에 도시되는 파형과 거의 같은 파형이 되고, 공진 상태와 비공진 상태의 판별이 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예를 들어, 부하(26)에 충전지를 이용하여, 이것을 급전 시스템에 의해 충전하는 용도에서는, 충전지의 충전이 끝날 무렵의 부하가 가벼워진 상태에 있어서, 충전지에 과전압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또, 이러한 상태는, 특히, 코일 사이의 거리가 작을 때, 혹은 수전측에 큰 전력으로부터 작은 전력까지 취하려고 했을 때에 부하 전류가 적어질 때에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한 급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급전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하는 참고예에 의한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급전 시스템(100)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전 코일(11)의 접속은 도 2에 도시하는 급전 시스템(200)과 마찬가지로 하고, 수전 장치(2)의 수전 코일(21)의 극성을 급전 시스템(200)과 역방향으로 하고 있다.
즉, 수전 코일(21)의 단자(a2)를 GND에 접속하고, 단자(b2)를 노드(N5)에 접속하고 있다.
급전 장치(1)의 동작은, 도 2의 급전 시스템(200)과 같으며, 급전 코일(11)에 발생하는 전압의 파형은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이들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도 6의 급전 시스템(100)에 있어서, 급전 코일(11)과 수전 코일(21)에 나타나는 전압을 도시하고 있다. 단,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도 6의 수전 장치(2)의 정류 다이오드(24)를 제거하고, 수전 코일(21)의 단자(b2) 전압, 즉 노드(N5) 전압을 수전 코일(21)의 단자 전압으로서 관측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수전 코일(21)의 단자(b2) 전압의 양음의 진폭이 도 4와 역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수전 장치(2)의 공진 제어 트랜지스터(23)가 오프가 되고 수전 코일(21)로부터 공진 콘덴서(22)가 제거되어 있는 「비공진 상태」에서는, 수전 코일(21)의 전압 파형은, 수전 코일(21)의 양음의 피크 전압이 91a-92a의 작은 진폭이 된다. 도 7에 있어서, 도 4와 상이한 점은, 양측에는 피크 부분에 평탄한 부분을 가진 파형, 음측에는 호를 그리는 파형이 나타나는 것이다.
즉, 양측에서는 피크값이 평탄해지고, 음측에서는 호를 그리는 진폭 파형이 나타난다.
공진 제어 트랜지스터(23)가 온이 되어, 수전 코일(21)에 공진 콘덴서(22)가 접속되어 있는 「공진 상태」에서는, 수전 코일(21)의 전압 파형은, 수전 코일(21)의 양음의 피크 전압이 93a-94a의 큰 진폭이 된다. 「공진 상태」에서는, 수전 코일(21)은 양음에 호를 그리게 된다.
도 8은, 수전 장치(2)의 정류 다이오드(24)를 도 6과 같이 접속한 상태로, 급전 시스템(100)을 동작시켰을 때에, 수전 코일(21)의 단자(b2)에 나타나는 전압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하는 것이며, 수전 장치(2)의 공진 회로(20)가 「공진 상태」로부터 「비공진 상태」로 이행하고 있는 모습을 포착한 것이다.
도 8의 A 및 B의 부분은, 수전 장치(2)의 부하(26)의 전압이 강하하고, 공진 제어부(60)가 노드(N7) 전압이 +5V보다 저하되어 있는 것을 감지하여, 공진 제어 트랜지스터(23)를 온으로 하고 있는 기간의 수전 코일(21)의 피크 전압 부분이다. 이들 피크 전압은 +5V(소정의 전압값)를 초과하고 있으며, 공진 회로(20)는 「공진 상태」에 있다.
「공진 상태」에 있어서, 호를 그려야할 수전 코일(21)의 전압 파형의 피크 부분이 찌그러져 평탄부를 가지고 있는 것은, 도 2에 도시하는 급전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수전 코일(21)의 피크 전압이 출력 전압(+5V)과 정류 다이오드(24)의 순 방향 전압의 합에 상한값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8의 C, D 및 E의 부분은, 수전 장치(2)의 부하(26)의 전압이 상승하고, 공진 제어부(60)가 노드(N7) 전압이 +5V보다 높아져 있는 것을 감지하여, 공진 제어 트랜지스터(23)를 오프로 하고 있는 기간의 수전 코일(21)의 피크 전압 부분이며, 공진 회로(20)는 「비공진 상태」에 있다.
도 8의 C, D 및 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공진 상태」의 수전 코일(21)의 피크 전압은 +5V 미만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수전 코일(21)의 방향을 도 2와는 역방향으로 한 것에 의해, 수전 코일(21)에 발생하는 전압 파형은, 피크값에 평탄부를 가지게 되어, 그 피크 전압값을 확실히 +5V(소정의 전압값)보다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 상태에서는, 「비공진 상태」에 있어서도 부하(26)에 전력이 계속 공급되고 있었는데, 도 8 상태에서는 수전 코일(21)의 피크 전압은 +5V 미만이 되므로, 부하(26)로 공급되는 전력은 제로가 되어, 부하(26)에 과전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부하(26)가 가벼운 상태부터 무거운 상태의 넓은 범위에 걸쳐서, 부하(26)에 걸리는 전압이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급전 시스템에 의하면, 전지의 충전과 같은 부하 전류의 레인지가 넓게 요구되는 때여도, 충전 전류가 0에 이를 때까지의 제어가 가능해지므로, 충전 전류가 많이 필요해지는 충전 개시시부터, 충전 전류가 매우 적어지는 충전 완료 가까이 도달할 때까지, 정상적인 충전 동작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급전 코일(11)과 수전 코일(21)의 방향을 역방향으로 한다고 하는 방법에 의해 비공진시에 수전 코일(21)의 피크 전압이 소정 전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고 있는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코일 사이의 거리를 한정하거나, 부하 전류에 제한을 거는 등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하(26)는, 저항 부하에서도 임피던스 변동을 가지는 부하여도 상관없다. 또, 부하(26)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한 시스템의 전원이나 오디오 앰프, 무선 회로, 센서 회로, 조명 구동 회로, 표시 회로 등이어도 되고, 혹은 전지를 충전하는 회로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류 회로로서 다이오드를 사용하고 있는데, FET를 사용한 동기 정류 회로를 이용해도 된다. 동기 정류 회로를 사용하면, 열손실이 적은 수전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1 급전 장치
2 수전 장치
3 직류 전원
4 스위치
5, 26 부하
10, 20 공진 회로
11 급전 코일
12, 22 공진 콘덴서
13 구동 트랜지스터
14 발진 회로
21 수전 코일
23 공진 제어 트랜지스터
24 정류 다이오드
25 평활 콘덴서
27, 28 저항
60 공진 제어부
64 콤퍼레이터
65 기준 전원
100, 200 급전 시스템

Claims (2)

  1. 급전 장치와 수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급전 장치로부터 상기 수전 장치에 전력을 급전하는 급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급전 장치는 급전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수전 장치는, 상기 급전 코일로부터 급전되는 수전 코일과, 상기 수전 코일과 공진하는 공진 콘덴서와, 상기 공진 콘덴서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변경하여 공진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를 가지는 공진 회로와, 상기 공진 회로에 발생하는 교류 출력 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하여, 직류 전력을 얻는 정류 회로와, 상기 정류 회로에 의해 얻어진 직류 전력이 공급되는 부하를 구비하며,
    상기 공진 회로가 공진 상태일 때, 상기 수전 코일에 발생하는 전압의 피크 전압값이 소정의 전압값보다 높게 설정되고,
    상기 공진 회로가 비공진 상태일 때, 상기 수전 코일에 발생하는 전압의 피크 전압값이 상기 소정의 전압값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가 비공진 상태일 때에 상기 수전 코일에 발생하는 상기 전압의 피크 부분이 평탄부를 가지는 전압 파형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 시스템.
KR1020160063566A 2015-05-27 2016-05-24 급전 시스템 KR102538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07604 2015-05-27
JP2015107604A JP2016226088A (ja) 2015-05-27 2015-05-27 給電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434A true KR20160140434A (ko) 2016-12-07
KR102538434B1 KR102538434B1 (ko) 2023-06-01

Family

ID=57397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566A KR102538434B1 (ko) 2015-05-27 2016-05-24 급전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50074B2 (ko)
JP (1) JP2016226088A (ko)
KR (1) KR102538434B1 (ko)
CN (1) CN106208411B (ko)
TW (1) TWI7075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56632B2 (ja) * 2017-01-24 2020-09-16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給電装置、及び給電方法
GB2565273A (en) * 2017-07-25 2019-02-13 Quepal Ltd A method of maintaining an oscillating voltage at optimum resonance
JP7283864B2 (ja) 2018-03-20 2023-05-30 株式会社ダイヘン 受電装置及び受電制御方法
JP7491735B2 (ja) 2020-05-18 2024-05-28 トヨタ自動車東日本株式会社 エネルギ振動型伝送システ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3684A (ja) * 1999-09-20 2001-04-06 Ushio Inc 外部電極式放電ランプ装置
KR20140002686A (ko) * 2011-03-16 2014-01-08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무접촉 급전 설비
JP2014131440A (ja) 2012-12-28 2014-07-10 Seiko Instruments Inc 電子部品、受電装置、及び給電システム
JP2015070689A (ja) * 2013-09-27 2015-04-1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給電装置、及び給電方法
KR20150039809A (ko) * 2013-06-11 2015-04-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전력 공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9157A (en) * 1975-09-22 1977-03-26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Constant voltage circuit
JP3357233B2 (ja) * 1995-12-21 2002-12-16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非接触型電力伝送装置
JP2000217280A (ja) * 1998-11-20 2000-08-04 Mitsuoka Electric Mfg Co Ltd Lc共振回路を用いた電源装置
JP4737452B2 (ja) * 2007-09-28 2011-08-03 テクトロニク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セールス・ゲーエムベーハー 信号発生装置
US8884617B2 (en) * 2008-06-23 2014-11-1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agnetic particle imaging devices and methods
JP5664018B2 (ja) * 2009-10-30 2015-02-04 Tdk株式会社 ワイヤレス給電装置、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およびそれらを利用したテーブルと卓上ランプ
JP5293586B2 (ja) * 2009-12-15 2013-09-18 富士通株式会社 非接触型icカードシステム
KR101844427B1 (ko) * 2011-09-02 201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TWI553993B (zh) * 2012-05-02 2016-10-11 Daifuku Kk Non-contact power supply equipment secondary side of the receiving circuit
US10770927B2 (en) * 2012-07-05 2020-09-08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ductive power at multiple power levels
US9390850B2 (en) * 2012-07-13 2016-07-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wer transmitting device, power feeding system, and power feeding method
JP6110236B2 (ja) * 2013-07-02 2017-04-0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受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CN103413751B (zh) * 2013-07-18 2016-08-10 复旦大学 一种在离子阱质量分析器中进行的串级质谱分析方法
US9490653B2 (en) * 2013-07-23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a universal back-cover wireless charging solution
WO2015064473A1 (ja) * 2013-10-28 2015-05-07 京セラ株式会社 制御装置
EP3076536B1 (en) * 2013-11-29 2019-01-09 Shindengen Electric Manufacturing Co., Ltd. Power-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supply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3684A (ja) * 1999-09-20 2001-04-06 Ushio Inc 外部電極式放電ランプ装置
KR20140002686A (ko) * 2011-03-16 2014-01-08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무접촉 급전 설비
JP2014131440A (ja) 2012-12-28 2014-07-10 Seiko Instruments Inc 電子部品、受電装置、及び給電システム
KR20150039809A (ko) * 2013-06-11 2015-04-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전력 공급 방법
JP2015070689A (ja) * 2013-09-27 2015-04-1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給電装置、及び給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07518B (zh) 2020-10-11
CN106208411B (zh) 2020-08-11
US20160352150A1 (en) 2016-12-01
KR102538434B1 (ko) 2023-06-01
US10250074B2 (en) 2019-04-02
CN106208411A (zh) 2016-12-07
JP2016226088A (ja) 2016-12-28
TW201707341A (zh)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7941B2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JP5093386B2 (ja) 送電装置および電力伝送システム
JP6497614B2 (ja) 送電装置及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US9312778B2 (en) Power supply device
EP2587613A2 (en) Wireless power receiver for adjusting magnitude of wireless power
JP5276755B1 (ja) 送電装置、受電装置、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送電電力の制御方法
CN106208411B (zh) 馈电系统
CN111712992B (zh) 非接触供电装置
JP5954788B2 (ja) 電子部品、受電装置、及び給電システム
JP6037022B2 (ja) 送電装置、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電力伝送判別方法
US10797528B2 (en) Non-contact feeding device
JP5324009B2 (ja) 受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JP2006325350A (ja) 電源装置
WO2015151493A1 (ja) 非接触給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3772350B2 (ja) 電源装置
JP3821156B2 (ja) 電源装置
JP6350699B1 (ja) 非接触給電装置
WO2015019908A1 (ja) 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CN110603712A (zh) 非接触供电装置
JP6914595B2 (ja) 給電システム、及び給電方法
KR101787991B1 (ko) 자기유도 픽업장치
EP1978627A1 (en) Transformer circuit of charger of electric tools
WO2016084524A1 (ja) 送電装置及び電力伝送システム
KR20170049918A (ko)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JP2014217158A (ja) 非接触充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