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763A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763A
KR20160134763A KR1020167028600A KR20167028600A KR20160134763A KR 20160134763 A KR20160134763 A KR 20160134763A KR 1020167028600 A KR1020167028600 A KR 1020167028600A KR 20167028600 A KR20167028600 A KR 20167028600A KR 20160134763 A KR20160134763 A KR 20160134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s
groove
circumferential
tir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0139B1 (ko
Inventor
나오코 스즈키
히로미츠 타케이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2Tread patterns directional pattern, i.e. with main roll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4Asymmetric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6Patterns comprising block rows or discontinuou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36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arrangements in the tread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76Three dimensional block surfaces departing from the enveloping tread contour
    • B60C11/1392Three dimensional block surfaces departing from the enveloping tread contour with chamfered block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6Circumferential grooves with zigzag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8Narrow grooves, i.e. having a width of less than 4 m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53Circumferential grooves characterised by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58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 B60C2011/036Narrow grooves, i.e. having a width of less than 3 m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81Blind or isolated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2011/1209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straight at the trea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2011/129Sipe density, i.e. the distance between the sipes within the pattern
    • B60C2011/1295Sipe density, i.e. the distance between the sipes within the pattern vari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건조 노면, 습윤 노면, 설상 노면에서의 주행 성능을 향상시킨다. 공기입 타이어(1)는, 타이어 적도면(CL)을 기준으로 하여 비대칭의 트레드부(2)를 가진다. 공기입 타이어(1)는, 트레드부(2)에, 타이어 적도면(CL)을 기준으로 하고,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외측(外側)에 형성된 제1 육부(陸部)(4A)와,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측(內側)에 형성된 제2 육부(4B)를 가진다. 제1 육부(4A)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방향 세(細)홈(3S)과, 둘레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설치되어 둘레 방향 세홈(3S)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1 보조 홈(5A)과, 복수의 제1 보조 홈(5A)에 의하여 각각 구획된 제1 블록(8A)에 설치되어 둘레 방향 세홈(3S)을 관통하는 제1 세홈(6A)을 포함한다. 제2 육부(4B)는, 둘레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제2 보조 홈(5B)과, 복수의 제2 보조 홈(5B)에 의하여 각각 구획된 제2 블록(8B)에 설치되고, 또한, 제1 세홈(6A)의 개수보다도 많은 개수의 제2 세홈(6B)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종 안정 성능 및 소음 성능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을 설계한 공기입 타이어나, 편마모를 억제하면서 빙설 상에서의 트랙션 성능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을 설계한 공기입 타이어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공기입 타이어는, 조종 안정 성능 및 소음 성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적어도 4개의 둘레 방향 주(主)홈과, 이들의 둘레 방향 주홈에 의하여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리브상(狀) 또한 복수의 육부(陸部)를 트레드부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측(外側) 세컨드 육부가,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는 것과 함께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여 외측 세컨드 육부를 타이어 폭 방향으로 분단하는 지그재그 세(細)홈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과 함께 외측 세컨드 육부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에지(edge)부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내측(內側)에 연재하여 지그재그 세홈의 가장 앞쪽에서 통기(通氣)용의 간극(間隙)을 두고 종단(終端)하는 복수의 사이프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공기입 타이어는, 편마모를 억제하면서 빙설 상에서의 트랙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트레드부에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주홈과, 제1 및 제2 러그 홈으로 구획하여 3개의 센터 블록을 구획 형성한다. 센터 및 세컨드 블록을, 각각 타이어 둘레 방향의 지그재그의 사이프로 폭 방향으로 분할하고, 각각에 폭 방향으로 4매의 사이프를 설치한다. 타방(他方), 센터 및 세컨드 블록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기 위하여, 소(小)블록끼리를 폭 방향으로 오버랩(overlap)시키고, 이 구성에 의하여, 소블록끼리가 서로 떠받치는 것으로 강성 보완을 행한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4905599호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5093880호
상술한 특허 문헌 1의 공기입 타이어는, 조종 안정 성능 및 소음 성능은 향상하지만, 트레드면에 타이어 폭 방향 홈이 충분히 설치되어 있지 않고, 설상 노면에서의 주행 성능이 불충분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특허 문헌 2의 공기입 타이어는, 일단(一端)이 주홈에 개구(開口)하고, 타단(他端)이 육부 내에서 종단하는 러그 홈을 가지지만, 직진 시 및 코너링 시의 설상 노면에서의 주행 성능이 불충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건조 노면, 습윤 노면, 설상 노면에서의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어느 태양(態樣)에 의한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적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비대칭의 트레드부를 가지고,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타이어 적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외측에 형성된 제1 육부와, 상기 타이어 적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측에 형성된 제2 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육부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방향 세홈과, 둘레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둘레 방향 세홈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1 보조 홈과, 상기 복수의 제1 보조 홈에 의하여 각각 구획된 제1 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둘레 방향 세홈을 관통하는 제1 세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육부는, 둘레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제2 보조 홈과, 상기 복수의 제2 보조 홈에 의하여 각각 구획된 제2 블록에 설치된 제2 세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세홈은, 1개의 구획당의 개수가 상기 제1 세홈의 개수보다도 많다.
상기 둘레 방향 세홈은,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와는 반대 측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가 번갈아 형성된 지그재그 형상이고, 상기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가 상기 제1 블록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둘레 방향 세홈은, 1개의 상기 제1 블록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상기 제1 세홈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1 세홈과 교차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그 이외의 부분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제1 육부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된 제1 둘레 방향 홈과, 상기 제1 둘레 방향 홈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된 제3 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육부는, 상기 제1 둘레 방향 홈에 비관통의 제3 보조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세홈 및 상기 제2 세홈은, 홈 폭이 0.4mm 이상 1.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보조 홈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육부는, 상기 제3 보조 홈끼리의 사이에 적어도 2개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1 둘레 방향 홈에 연통(連通)하는 제3 세홈과, 상기 제3 보조 홈끼리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3 세홈의 타단의 각각에 접속되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세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세홈 및 상기 제4 세홈은, 홈 폭이 0.4mm 이상 1.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제1 육부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단부(端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육부를 구획하는 제1 둘레 방향 홈과, 상기 제1 육부의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육부를 구획하는 제2 둘레 방향 홈과, 상기 제2 육부의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외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육부를 구획하는 제3 둘레 방향 홈과, 상기 제2 육부의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육부를 구획하는 제4 둘레 방향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육부는, 상기 제1 둘레 방향 홈과, 당해 제1 둘레 방향 홈보다 타이어 적도면 쪽에 설치된 제2 둘레 방향 홈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제2 육부는, 당해 제2 육부의 타이어 적도면 쪽에 설치된 제3 둘레 방향 홈과 당해 제2 육부의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측에 설치된 제4 둘레 방향 홈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제2 둘레 방향 홈과 상기 제3 둘레 방향 홈에 의하여 구획되고, 또한, 상기 타이어 적도면 상에 위치하는 제4 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홈은, 상기 제2 둘레 방향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4 육부에 연재하여 당해 제4 육부에서 종단하고, 상기 제2 보조 홈은, 상기 제3 둘레 방향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4 육부에 연재하여 당해 제4 육부에서 종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둘레 방향 홈은, 타이어 폭 방향의 양측의 개구 가장자리에 모따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따기는, 상기 제2 보조 홈끼리의 사이에서 모따기 폭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점차 변화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3 둘레 방향 홈의 양측의 개구 가장자리에서 반전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육부는, 상기 제2 둘레 방향 홈을 관통하는 상기 제1 보조 홈이 종단하는 위치와, 상기 제3 둘레 방향 홈을 관통하는 상기 제2 보조 홈이 종단하는 위치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육부는, 상기 제2 둘레 방향 홈과 상기 제3 둘레 방향 홈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제1 보조 홈은 상기 제4 육부 내에서 종단하고,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제2 보조 홈은 상기 제4 육부 내에서 종단하고,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제1 보조 홈과 상기 제2 보조 홈과는 교차하는 일 없이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제1 보조 홈끼리의 사이에 적어도 1개 설치된 제5 세홈과, 상기 제2 보조 홈끼리의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5 세홈보다 많은 개수 설치된 제6 세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6 세홈은, 상기 제2 보조 홈끼리의 사이의 위치에 따라 길이가 다르고, 전진 방향으로의 주행 시에 길이가 긴 쪽의 홈이, 짧은 쪽의 홈보다도 먼저 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육부는, 형성된 상기 제2 보조 홈의 길이를 W2로 한 경우에, 상기 길이가 긴 쪽의 제6 세홈의 길이 a가, 0.4*W2≤a≤0.7*W2인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가 다른 적어도 2개의 상기 제6 세홈 중, 길이가 긴 쪽의 제6 세홈의 길이를 a, 길이가 짧은 쪽의 제6 세홈의 길이를 b로 한 경우에, 0.7a≤b≤0.9a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6 세홈은, 곡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 세홈의 형상은, 곡선 형상이고, 상기 제5 세홈의 곡선 형상과 상기 제6 세홈의 곡선 형상은, 일방(一方)의 곡선 형상의 볼록 방향이 타이어 회전 방향을 향하고, 타방의 곡선 형상의 오목 방향이 타이어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타이어 폭 방향의 양 단부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거리가, 타이어 폭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육부는, 형성된 상기 제1 보조 홈의 길이를 W1로 하고, 형성된 상기 제2 보조 홈의 길이를 W2로 한 경우에, W1≤W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보조 홈은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보조 홈은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보조 홈 및 상기 제2 보조 홈은, 상기 제4 육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 세홈 및 상기 제6 세홈은, 홈 폭이 0.4mm 이상 1.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둘레 방향 홈의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측에 설치된 제5 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 홈은, 상기 제5 육부 및 상기 제4 둘레 방향 홈을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보조 홈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보조 홈끼리의 사이에는 적어도 2개의 제7 세홈이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7 세홈은, 각각의 일단이 상기 제4 둘레 방향 홈에 연통하고, 또한, 각각의 타단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8 세홈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7 세홈 및 상기 제8 세홈은, 홈 폭이 0.4mm 이상 1.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에 의하면, 건조 노면, 습윤 노면 및 설상 노면에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4a는, 제5 세홈의 형상의 방향과 제6 세홈의 형상의 방향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제5 세홈의 형상의 방향과 제6 세홈의 형상의 방향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공기입 타이어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이 실시 형태에 의하여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치환 가능 또한 용이한 것, 혹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기재된 복수의 변형예는, 당업자 자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조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평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방향이란,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을 중심축으로 하는 둘레 방향이다. 또한, 타이어 폭 방향이란,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말하고,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이란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타이어 적도면(타이어 적도선)(CL)을 향하는 측,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이란,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타이어 적도면(CL)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말한다. 또한, 타이어 적도면(CL)이란, 공기입 타이어(1)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것과 함께, 공기입 타이어(1)의 타이어 폭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이다. 타이어 적도선이란, 타이어 적도면(CL) 상에 있어 공기입 타이어(1)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선을 말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이어 적도선에 타이어 적도면과 같은 부호 「CL」를 붙인다.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드부(2)를 가지고 있다. 트레드부(2)는,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공기입 타이어(1)의 타이어 경(徑)방향의 가장 외측에서 노출하고, 그 표면이 트레드면(2a)으로서 공기입 타이어(1)의 윤곽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는, 예를 들어, 사이드 월부에 설치된 지표에 의하여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외의 방향이 나타나져 있는 것으로 차량 내외의 방향이 지정되어 있다. 덧붙여, 차량 내측 및 차량 외측의 지정은, 차량에 장착한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림 끼움한 경우에,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내측 및 외측에 대한 림의 방향이 정해져 있다. 이 때문에, 공기입 타이어(1)는, 림 끼움한 경우,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차량 내측 및 차량 외측에 대한 방향이 지정된다.
트레드부(2)는, 트레드면(2a)에,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둘레 방향 홈(3)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이어 적도면(CL)을 사이에 두고, 2개씩 둘레 방향 홈(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 타이어 적도면(CL)을 사이에 둔 차량 외측의 2개의 둘레 방향 홈(3) 중의 차량 외측의 1개를 제1 둘레 방향 홈(3A)으로 하고, 차량 내측의 1개를 제2 둘레 방향 홈(3B)으로 한다. 또한, 타이어 적도면(CL)을 사이에 둔 차량 내측의 2개의 둘레 방향 홈(3) 중의 차량 외측의 1개를 제3 둘레 방향 홈(3C)으로 하고, 차량 내측의 1개를 제4 둘레 방향 홈(3D)으로 한다. 제3 둘레 방향 홈(3C)은 다른 둘레 방향 홈(3(3A, 3B, 3D))에 대하여 홈 폭(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의 홈 개구 폭)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둘레 방향 홈(3A)과 제2 둘레 방향 홈(3B)과의 사이에는, 둘레 방향 세홈(3S)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트레드부(2)는, 타이어 적도면(CL)을 기준으로 하여 비대칭으로 되어 있다. 둘레 방향 홈(3)은, 예를 들어, 5mm 이상 15mm 이하의 홈 폭이고, 5mm 이상 15mm 이하의 홈 깊이(트레드면(2a)의 개구 위치로부터 홈 바닥까지의 치수)의 것을 말한다. 덧붙여,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둘레 방향 홈(3A), 제2 둘레 방향 홈(3B), 제3 둘레 방향 홈(3C) 및 제4 둘레 방향 홈(3D)을 주홈이라고 부르는 일이 있다.
트레드부(2)는, 트레드면(2a)에, 둘레 방향 홈(3)에 의하여, 육부(4)가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 구획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둘레 방향 홈(3A)과 제2 둘레 방향 홈(3B)과의 사이에 있는 육부(4)를 제1 육부(4A)로 한다. 또한, 제3 둘레 방향 홈(3C)과 제4 둘레 방향 홈(3D)과의 사이에 있는 육부(4)를 제2 육부(4B)라고 한다. 제1 육부(4A)의 차량 외측(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육부(4)를 제3 육부(4C)라고 한다. 또한, 제2 둘레 방향 홈(3B)과 제3 둘레 방향 홈(3C)과의 사이이고, 타이어 적도면(CL) 상에 있는 육부(4)를 제4 육부(4D)라고 한다. 또한, 제4 둘레 방향 홈(3D)의 차량 내측(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육부(4)를 제5 육부(4E)라고 한다.
각 육부(4)에 있어서, 그 트레드면(2a)에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설치되는 보조 홈(5) 및 세홈(6)이 형성되어 있다. 세홈(6)은, 예를 들어, 0.4mm 이상 1.2mm 이하의 홈 폭이고, 둘레 방향 홈(3) 이하의 홈 깊이의 것을 말한다. 보조 홈(5)은, 예를 들어, 0.5mm 이상이며 둘레 방향 홈(3) 이하의 홈 폭이고, 둘레 방향 홈(3) 이하의 홈 깊이의 것을 말한다.
보조 홈(5)은, 제1 보조 홈(5A), 제2 보조 홈(5B), 제3 보조 홈(5C)을 가진다.
제1 보조 홈(5A)은, 제1 둘레 방향 홈(3A)에 연통하고, 제2 둘레 방향 홈(3B) 및 둘레 방향 세홈(3S)을 관통하고, 제4 육부(4D)에서 종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보조 홈(5B)은, 제3 둘레 방향 홈(3C) 및 제4 둘레 방향 홈(3D)을 관통하고, 차량 내측의 숄더의 제5 육부(4E)로부터 제2 육부(4B)를 거쳐 센터의 제4 육부(4D)에 이르고 종단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제2 보조 홈(5B)은, 차량 내측의 숄더의 제5 육부(4E)이고 접지단(T)의 차량 내측인 디자인 엔드(D)에 일단이 배치되고, 센터의 제4 육부(4D)에서 타단이 종단하고 있다.
또한, 제1 보조 홈(5A) 및 제2 보조 홈(5B)은, 센터의 제4 육부(4D)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차 홈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배수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향상 효과를 조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접지단(T)이란, 접지 영역의 타이어 폭 방향의 양 최외단을 말하고, 도 1에서는, 접지단(T)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도시하고 있다. 접지 영역은, 공기입 타이어(1)를 정규 림에 림 끼움하고, 또한 정규 내압을 충전(充塡)하는 것과 함께 정규 하중의 70%를 걸었을 때, 이 공기입 타이어(1)의 트레드부(2)의 트레드면(2a)이 노면과 접지하는 영역이다. 정규 림이란, JATMA에서 규정하는 「표준 림」, TRA에서 규정하는 「Design Rim」, 혹은, ETRTO에서 규정하는 「Measuring Rim」이다. 또한, 정규 내압이란, JATMA에서 규정하는 「최고 공기압」, TRA에서 규정하는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댓값, 혹은 ETRTO에서 규정하는 「INFLATION PRESSURES」이다. 또한, 정규 하중이란, JATMA에서 규정하는 「최대 부하 능력」, TRA에서 규정하는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댓값, 혹은 ETRTO에서 규정하는 「LOAD CAPACITY」이다. 또한, 디자인 엔드(D)란, 트레드부(2)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단이며, 보조 홈(5)이나 세홈(6)이 형성되는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단을 말하고, 도 1에서는, 디자인 엔드(D)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는, 제1 보조 홈(5A)과 제2 보조 홈(5B)이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하여 반대의 방향으로 경사하면서 반대쪽으로 만곡하여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제1 보조 홈(5A)과 제2 보조 홈(5B)은, 일방이 타이어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타방이 타이어 폭 방향으로 경사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제3 보조 홈(5C)은, 제3 육부(4C)에, 가장 차량 외측의 제1 둘레 방향 홈(3A)에 대하여 단부가 떨어져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보조 홈(5C)은, 제3 육부(4C)에서 접지단(T)의 차량 외측인 디자인 엔드(D)에 일단이 배치되고, 제1 둘레 방향 홈(3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제3 육부(4C)에 타단이 종단하고 있다. 이 제3 보조 홈(5C)은, 제2 보조 홈(5B)과 비교하여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하여 같은 방향으로 경사하면서 반대쪽으로 만곡하여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제3 보조 홈(5C)은, 제1 둘레 방향 홈(3A)으로부터 떨어져 형성되어 있지만, 종단하는 타단과 제1 둘레 방향 홈(3A)과의 사이에 식(飾)홈(7)이 개재되어 있다. 식홈(7)은, 제3 보조 홈(5C) 이하의 홈 폭 및 홈 깊이에 형성된 것이고, 공기입 타이어(1)의 초기 사용 시에 있어서, 마모에 의하여 없어지는 것이다.
제3 보조 홈(5C)을 더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제3 보조 홈(5C)의 에지 효과에 의하여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향상 효과를 조력할 수 있다. 게다가, 제3 보조 홈(5C)의 단부를 제1 둘레 방향 홈(3A)에 대하여 떼어 놓아 형성하는 것으로, 제3 육부(4C)의 강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하는 효과를 조력할 수 있다.
트레드부(2)는, 제1 육부(4A)에 있어서, 제1 둘레 방향 홈(3A) 및 제2 둘레 방향 홈(3B) 및 복수의 제1 보조 홈(5A)에 의하여 각각 구획된 제1 블록(8A)을 가진다. 또한, 트레드부(2)는, 제2 육부(4B)에 있어서, 제3 둘레 방향 홈(3C) 및 제4 둘레 방향 홈(3D) 및 복수의 제2 보조 홈(5B)에 의하여 각각 구획된 제2 블록(8B)을 가진다.
또한, 세홈(6)은, 제1 세홈(6A), 제2 세홈(6B), 제3 세홈(6C1 및 6C2), 제4 세홈(6D), 제5 세홈(6E), 제6 세홈(6F1 및 6F2), 제7 세홈(6G1 및 6G2), 제8 세홈(6H)을 가진다.
제1 세홈(6A)은, 제1 보조 홈(5A)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세홈(6A)은, 일단이 제1 둘레 방향 홈(3A)에 연통하고, 타단이 제2 둘레 방향 홈(3B)에 연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1 세홈(6A)은, 복수의 제1 보조 홈(5A)끼리의 중간, 즉 제1 블록(8A)의 중앙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세홈(6B)은, 제2 블록(8B)에 있어서, 제2 보조 홈(5B)과 비교하여,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하여 같은 방향으로 경사하면서 같은 측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세홈(6B)은, 복수 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를 1조로 하여 배치되고, 일단이 제3 둘레 방향 홈(3C)에 연통하고, 타단이 제4 둘레 방향 홈(3D)에 연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3 세홈(6C1 및 6C2)은, 제3 보조 홈(5C)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제3 육부(4C)에 설치되어 있다. 제3 세홈(6C1 및 6C2)은, 제3 보조 홈(5C)과 비교하여,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하여 같은 방향으로 경사하면서 같은 측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3 세홈(6C1 및 6C2)은, 복수 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를 1조로 하여 배치되고, 제1 둘레 방향 홈(3A)에 대하여 각각의 일단부가 연통하고, 접지단(T)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위치에서 제4 세홈(6D)에 의하여 각각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제3 세홈(6C1 및 6C2)을 설치하는 것으로 에지 효과가 향상하고,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향상 효과를 조력할 수 있다. 게다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놓인 복수 개를 1조로 하여 배치하는 것으로, 에지 효과가 한층 더 향상하고,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향상 효과를 보다 조력할 수 있다. 게다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놓인 복수 개를 1조로 하여 배치하고 차량 외측의 제3 육부(4C)에 있어서 각각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배수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향상 효과를 조력할 수 있다. 덧붙여, 제3 세홈(6C1 및 6C2)이 만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에지 효과가 한층 더 향상하기 때문에,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향상 효과를 조력할 수 있다.
제5 세홈(6E)은, 제4 육부(4D)에 있어서, 제1 보조 홈(5A)끼리의 사이에 적어도 1개 설치된다.
제6 세홈(6F1 및 6F2)은, 제4 육부(4D)에 있어서, 제2 보조 홈(5B)끼리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7 세홈(6G1 및 6G2)은, 제2 보조 홈(5B)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제5 육부(4E)에 설치되어 있다. 제7 세홈(6G1 및 6G2)은, 제2 보조 홈(5B)과 비교하여, 타이어 폭 방향에 대하여 같은 방향으로 경사하면서 같은 측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7 세홈(6G1 및 6G2)은, 복수 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를 1조로 하여 배치되고, 제4 둘레 방향 홈(3D)에 대하여 각각의 일단부가 연통하고, 접지단(T)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위치에서 제8 세홈(6H)에 의하여 각각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덧붙여, 제6 세홈(6F1), 제2 세홈(6B) 및 제7 세홈(6G1)은, 제3 둘레 방향 홈(3C) 및 제4 둘레 방향 홈(3D)을 관통하여 연속하여 설치하여도 무방하고, 각각 따로따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6 세홈(6F2), 제2 세홈(6B) 및 제7 세홈(6G2)은, 제3 둘레 방향 홈(3C) 및 제4 둘레 방향 홈(3D)을 관통하여 연속하여 설치하여도 무방하고, 각각 따로따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트레드부(2)는, 제1 육부(4A)의 트레드면(2a)에,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재하는 둘레 방향 세홈(3S)이 형성되어 있다. 둘레 방향 세홈(3S)은, 제1 절곡부(31)와, 이 제1 절곡부(31)와는 반대 측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32)가 번갈아 형성된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둘레 방향 세홈(3S)은, 제1 절곡부(31) 및 제2 절곡부(32)가, 제1 블록(8A)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1 절곡부(31) 및 제2 절곡부(32)가 위치하고 있는, 제1 블록(8A)의 중앙 부근이란,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제1 블록(8A)의 중심으로부터 25% 이내의 범위를 말한다. 즉, 제1 블록(8A)의 중심으로부터 제1 둘레 방향 홈(3A)까지의 타이어 폭 방향의 거리의 25% 이내, 또한, 제1 블록(8A)의 중심으로부터 제2 둘레 방향 홈(3B)까지의 타이어 폭 방향의 거리의 25% 이내의 범위에서, 제1 블록(8A)의 중심으로부터 제1 보조 홈(5A)까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거리의 25% 이내의 범위에, 제1 절곡부(31) 및 제2 절곡부(32)가 위치하고 있다.
둘레 방향 세홈(3S)은, 제1 절곡부(31)와 제2 절곡부(32)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1 세홈(6A)과 교차하고 있다. 그리고, 둘레 방향 세홈(3S)은, 1개의 제1 블록(8A)에 있어서, 제1 세홈(6A)과 교차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절곡부(31)와 제2 절곡부(32)와의 사이의 부분이 그 이외의 부분보다 짧다. 덧붙여, 둘레 방향 세홈(3S)은, 예를 들어, 0.5mm 이상이며 다른 둘레 방향 홈(3A, 3B, 3C, 3D) 이하의 홈 폭이고, 다른 둘레 방향 홈(3A, 3B, 3C, 3D) 이하의 홈 깊이의 것을 말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고, 제3 둘레 방향 홈(3C) 부근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제3 둘레 방향 홈(3C)에 있어서, 타이어 폭 방향의 양측의 개구 가장자리에 모따기(3C1, 3C2)가 설치되어 있다. 모따기(3C1)는, 제2 육부(4B) 측의 제3 둘레 방향 홈(3C)의 개구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제2 보조 홈(5B)의 사이에 모따기 폭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점차 변화하여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모따기(3C2)는, 제4 육부(4D) 측의 제3 둘레 방향 홈(3C)의 개구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제2 보조 홈(5B)의 사이에 모따기 폭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점차 변화하여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따기(3C1, 3C2)는, 제3 둘레 방향 홈(3C)의 양측의 개구 가장자리에서, 모따기 폭이 점차 변화하는 대략 삼각형상을 반전하여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모따기(3C1, 3C2)는, 모따기 폭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고, 제4 육부(4D) 부근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는, 제1 보조 홈(5A)이 제4 육부(4D) 내에서 종단하고,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는, 제2 보조 홈(5B)이 제4 육부(4D) 내에서 종단하고,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4 육부(4D)에 있어서, 제1 보조 홈(5A)과 제2 보조 홈(5B)과는 교차하는 일 없이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4 육부(4D)에 있어서, 제1 보조 홈(5A)끼리의 사이에, 적어도 1개의 제5 세홈(6E)이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제5 세홈(6E)이 설치된다.
나아가, 제4 육부(4D)에 있어서, 제2 보조 홈(5B)끼리의 사이에, 제5 세홈(6E)의 개수보다도 많은 개수의 제6 세홈(6F1 및 6F2)이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6 세홈(6F1 및 6F2)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타이어 적도면(CL)을 사이에 두고 편측(片側)의 세홈의 개수를 적게 하는 것에 의하여, 그 방향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4 육부(4D)에, 길이가 다른 적어도 2개의 제6 세홈(6F1, 6F2)을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진 방향으로의 주행 시의 타이어의 회전에 의하여, 2개의 제6 세홈(6F1, 6F2) 중, 길이가 긴 쪽의 제6 세홈(6F1)이, 짧은 쪽의 제6 세홈(6F2)보다도 먼저 접지한다. 즉, 제6 세홈(6F1, 6F2)은, 제2 보조 홈(5B)끼리의 사이의 위치에 의하여 길이가 다르고, 전진 방향으로의 주행 시에, 나중에 접지하는 쪽의 제6 세홈(6F2)의 길이가, 먼저 접지하는 쪽의 제6 세홈(6F1)의 길이보다도 짧다. 이것에 의하여,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유지하면서,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홈의 길이는, 홈의 폭의 중간점을 잇는, 중심선의 길이를 말한다.
여기에서, 제4 육부(4D)에 형성된 제2 보조 홈(5B)의 길이를 W2로 한 경우에, 길이가 긴 쪽의 제6 세홈(6F1)의 길이 a는,
 0.4*W2≤a≤0.7*W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6 세홈(6F1)은, 이웃하는 제2 보조 홈(5B)의 길이보다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약 50%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 세홈(6F1)을 그 이상 길게 하면, 블록 강성이 낮아지고,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이 저하한다.
또한, 길이가 다른 적어도 2개의 제6 세홈(6F1, 6F2) 중, 길이가 긴 쪽의 제6 세홈(6F1)의 길이를 a, 길이가 짧은 쪽의 제6 세홈(6F2)의 길이를 b로 한 경우에,
 0.7a≤b≤0.9a
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웃하는 2개의 제6 세홈(6F1, 6F2)끼리에 관하여는, 짧은 쪽의 제6 세홈(6F2)의 길이가 긴 쪽의 제6 세홈(6F1)의 약 8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제5 세홈(6E) 및 제6 세홈(6F1 및 6F2)의 형상은, 직선 형상이어도 무방하고, 곡선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특히, 제5 세홈(6E) 및 제6 세홈(6F1 및 6F2)의 형상은 원호(圓弧)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호로 하는 것으로, 블록의 지지를 만들어 내고,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세홈(6E) 및 제6 세홈(6F1 및 6F2)의 형상이 곡선 형상인 경우의 곡선 형상의 방향에 관하여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제5 세홈(6E)의 형상의 방향과, 제6 세홈(6F1, 6F2)의 형상의 방향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세홈(6E)의 곡선 형상과 제6 세홈(6F1, 6F2)의 곡선 형상은, 서로 마주 보도록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5 세홈(6E)과 제6 세홈(6F1)에 관하여는, 일방의 곡선 형상의 볼록 방향이 타이어 회전 방향을 향하고, 타방의 곡선 형상의 오목 방향이 타이어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5 세홈(6E)과 제6 세홈(6F2)에 관하여도, 일방의 곡선 형상의 볼록 방향이 타이어 회전 방향을 향하고, 타방이 곡선 형상의 오목 방향이 타이어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 제5 세홈(6E)과 제6 세홈(6F1)은, 타이어 폭 방향의 양 단부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거리 L1, L2가, 타이어 폭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거리 L3보다도 짧은 관계의 배치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4b에서는, 제5 세홈(6E)과 제6 세홈(6F1)에 관하여, 함께, 곡선 형상의 오목 방향이 타이어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제5 세홈(6E)과 제6 세홈(6F1)은, 타이어 폭 방향의 일방의 단부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거리 L2는 타이어 폭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거리 L3보다도 짧지만, 타이어 폭 방향의 타방의 단부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거리 L1은 타이어 폭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거리 L3보다도 긴 관계의 배치로 되어 있다. 이 도 4b와 같이 제5 세홈(6E)과 제6 세홈(6F1)과의 곡선 형상의 오목 방향이 동일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도 4a와 같이 일방의 곡선 형상의 볼록 방향이 타이어 회전 방향을 향하고, 타방의 곡선 형상의 오목 방향이 타이어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역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 세홈(6E)과 제6 세홈(6F2)와의 관계에 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제5 세홈(6E)와, 제6 세홈(6F1, 6F2)에 관하여, 도 4a와 같이, 일방이 곡선 형상의 볼록 방향이 타이어 회전 방향을 향하고, 타방이 곡선 형상의 오목 방향이 타이어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세홈끼리가 서로 떠받치고,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으로 되돌아와, 제4 육부(4D)에 형성된 제1 보조 홈(5A)의 길이를 W1로 하고, 제4 육부(4D)에 형성된 제2 보조 홈(5B)의 길이를 W2로 한 경우에,
 W1≤W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하여, 타이어 적도면(CL)에 대하여 차량 내측과 차량 외측으로 강성을 바꿀 수 있고,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 특히 선회 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 홈(5A)은 차량 외측에 배치되고, 제2 보조 홈(5B)은 차량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하여, 차량 외측의 강성을 높게 할 수 있고,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 특히 선회 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1)의 변형예에 관하여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둘레 방향 홈(3A)과 제2 둘레 방향 홈(3B)과의 사이에 둘레 방향 세홈(3S)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보조 홈(5A)은, 제1 둘레 방향 홈(3A)과 제2 둘레 방향 홈(3B)을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세홈(6A)은, 제1 보조 홈(5A)끼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세홈(6A)은, 둘레 방향 세홈(3S)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제2 보조 홈(5B)은, 제3 둘레 방향 홈(3C)과 제4 둘레 방향 홈(3D)을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세홈(6B)은, 제2 보조 홈(5B)끼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설상 노면에서의 직진 시 및 코너링 시의 제동 성능을 안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은, 1개의 둘레 방향 홈을 가지는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예의 공기입 타이어는, 도 5의 경우와 다르게, 제2 둘레 방향 홈(3B) 및 제3 둘레 방향 홈(3C) 대신에, 둘레 방향 세홈(3BC)을 가지고 있다.
도 6의 구성에서는, 둘레 방향 세홈(3S) 이외의 둘레 방향 홈은, 둘레 방향 세홈(3BC) 1개뿐이다. 이 도 6의 구성에 있어서도, 제1 세홈(6A)은, 제1 보조 홈(5A)끼리의 사이에 설치되고, 둘레 방향 세홈(3S)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제2 세홈(6B)은, 제2 보조 홈(5B)끼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설상 노면에서의 직진 시 및 코너링 시의 제동 성능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은, 3개의 둘레 방향 홈을 가지는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예의 공기입 타이어는, 도 5의 경우와 다르게, 제2 둘레 방향 홈(3B) 및 제3 둘레 방향 홈(3C) 대신에, 둘레 방향 세홈(3BC)을 가지고 있다.
도 7의 구성에서는, 둘레 방향 세홈(3S) 이외의 둘레 방향 홈은, 제1 둘레 방향 홈(3A), 둘레 방향 세홈(3BC) 및 제4 둘레 방향 홈(3D)의 3개이다. 이 도 7의 구성에 있어서도, 제1 세홈(6A)은, 제1 보조 홈(5A)끼리의 사이에 설치되고, 둘레 방향 세홈(3S)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제2 세홈(6B)은, 제2 보조 홈(5B)끼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설상 노면에서의 직진 시 및 코너링 시의 제동 성능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는, 타이어 적도면(CL)을 기준으로 하여 비대칭의 트레드부(2)를 가지고, 트레드부(2)는, 타이어 적도면(CL)을 기준으로 하여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된 제1 육부(4A)와, 타이어 적도면(CL)을 기준으로 하여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형성된 제2 육부(4B)를 포함하고, 제1 육부(4A)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방향 세홈(3S)과, 둘레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설치되어 둘레 방향 세홈(3S)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1 보조 홈(5A)과, 복수의 제1 보조 홈(5A)에 의하여 각각 구획된 제1 블록(8A)에 설치되어 둘레 방향 세홈(3S)을 관통하는 제1 세홈(6A)이 형성되고, 제2 육부(4B)는, 둘레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제2 보조 홈(5B)과, 복수의 제2 보조 홈(5B)에 의하여 각각 구획된 제2 블록(8B)에 설치된 제2 세홈(6B)이 형성되고, 제2 세홈(6B)은, 1개의 구획당의 개수가 상기 제1 세홈(6A)의 개수보다도 많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외측에 위치하는 육부에, 둘레 방향의 세홈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설상 노면에서의 직진 시 및 코너링 시의 제동 성능을 안정시킬 수 있고,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향상 효과를 조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둘레 방향 세홈(3S)은, 제1 절곡부(31)와 제1 절곡부(31)와는 반대 측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32)가 번갈아 형성된 지그재그 형상이고, 제1 절곡부(31) 및 제2 절곡부(32)가 제1 블록(8A)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스트레이트보다 에지가 늘어나는 지그재그 형상의 둘레 방향 세홈(3S)에 의하여, 에지 효과를 향상할 수 있고,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향상 효과를 조력할 수 있다. 또한, 지그재그의 절곡부가 육부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는 것에 의하여, 절곡부가 육부 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블록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둘레 방향 세홈(3S)은, 1개의 제1 블록(8A)에 있어서, 제1 절곡부(31)와 제2 절곡부(32)와의 사이의 부분이 제1 세홈(6A)과 교차하고, 또한, 제1 세홈(6A)과 교차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절곡부(31)와 제2 절곡부(32)와의 사이의 부분이 그 이외의 부분보다 짧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지그재그부가 블록의 중앙에 위치하고, 그것을 세홈이 관통하는 것으로, 블록을 4개로 거의 균등하게 분할할 수 있고, 전후 횡방향 어느 쪽으로부터의 강성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트레드부(2)는, 제1 육부(4A)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된 제1 둘레 방향 홈(3A)과, 제1 둘레 방향 홈(3A)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된 제3 육부(4C)를 더 포함하고, 제3 육부(4C)는, 제1 둘레 방향 홈(3A)에 비관통의 제3 보조 홈(5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외측 육부에 둘레 방향 홈에 비관통의 보조 홈을 가지는 것으로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향상 효과를 조력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리브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블록 강성을 높여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제3 보조 홈(5C)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고, 제3 육부(4C)는, 제3 보조 홈(5C)끼리의 사이에 적어도 2개 설치되고, 일단이 제1 둘레 방향 홈(3A)에 연통하는 제3 세홈(6C1, 6C2)과, 제3 보조 홈(5C)끼리의 사이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제3 세홈(6C1, 6C2)의 타단의 각각 접속되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세홈(6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세홈을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육부 내에서 에지 효과를 끌어낼 수 있고,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은 물론, 배수성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트레드부(2)는, 제1 육부(4A)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1 육부(4A)를 구획하는 제1 둘레 방향 홈(3A)과, 제1 육부(4A)의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1 육부(4A)를 구획하는 제2 둘레 방향 홈(3B)과, 제2 육부(4B)의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2 육부(4B)를 구획하는 제3 둘레 방향 홈(3C)과, 제2 육부(4B)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2 육부(4B)를 구획하는 제4 둘레 방향 홈(3D)을 포함하고, 제1 육부(4A)는, 제1 둘레 방향 홈(3A)과, 당해 제1 둘레 방향 홈(3A)보다 타이어 적도면(CL) 쪽에 설치된 제2 둘레 방향 홈(3B)에 의하여 구획되고, 제2 육부(4B)는, 당해 제2 육부(4B)의 타이어 적도면(CL) 쪽에 설치된 제3 둘레 방향 홈(3C)과 당해 제2 육부(4B)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된 제4 둘레 방향 홈(3D)에 의하여 구획되고, 제2 둘레 방향 홈(3B)과 제3 둘레 방향 홈(3C)에 의하여 구획되고, 또한, 타이어 적도면(CL) 상에 위치하는 제4 육부(4D)를 더 포함하고, 제1 보조 홈(5A)은, 제2 둘레 방향 홈(3B)을 관통하여 제4 육부(4D)에 연재하여 당해 제4 육부(4D)에서 종단하고, 제2 보조 홈(5B)은, 제3 둘레 방향 홈(3C)을 관통하여 제4 육부(4D)에 연재하여 당해 제4 육부(4D)에서 종단한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둘레 방향 홈을 4개로 하고, 타이어 적도면(CL) 상에 육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트레드면의 센터 부분의 육부를 블록 형상으로 하지 않고, 리브화(化)하는 것으로,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제3 둘레 방향 홈(3C)은, 타이어 폭 방향의 양측의 개구 가장자리에 모따기(3C1, 3C2)가 설치되어 있다.
모따기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에지 효과를 높여,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향상 효과를 조력할 수 있다. 특히 제3 둘레 방향 홈의 부분에 모따기를 배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모따기(3C1, 3C2)는, 상기 제2 보조 홈(5B)끼리의 사이에 모따기 폭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점차 변화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3 둘레 방향 홈(3C)의 양측의 개구 가장자리에서 반전하여 배치된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모따기가 제3 둘레 방향 홈의 양측의 개구 가장자리에서 반전하여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배설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향상 효과를 조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제4 육부(4D)는, 제2 둘레 방향 홈(3B)을 관통하는 제1 보조 홈(5A)이 종단하는 위치와, 제3 둘레 방향 홈(3C)을 관통하는 제2 보조 홈(5B)이 종단하는 위치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된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건조 노면에서의 내마모 성능과, 습윤 노면 및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제4 육부(4D)는, 제2 둘레 방향 홈(3B)과 제3 둘레 방향 홈(3C)에 의하여 구획되고, 제1 보조 홈(5A)은 제4 육부(4D) 내에서 종단하고,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고, 제2 보조 홈(5B)은 제4 육부(4D) 내에서 종단하고,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고, 제1 보조 홈(5A)과 제2 보조 홈(5B)과는 교차하는 일 없이 번갈아 배치되고, 제1 보조 홈(5A)끼리의 사이에 적어도 1개 설치된 제5 세홈(6E)과, 제2 보조 홈(5B)끼리의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제5 세홈(6E)보다 많은 개수 설치된 제6 세홈(6F1, 6F2)을 더 포함한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건조 노면에서의 내마모 성능과, 습윤 노면 및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제6 세홈(6F1, 6F2)은, 제2 보조 홈(5B)끼리의 사이의 위치에 의하여 길이가 다르고, 전진 방향으로의 주행 시에 길이가 긴 쪽의 홈이, 짧은 쪽의 홈보다도 먼저 접지한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유지하고,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상기 제4 육부(4D)는, 형성된 제2 보조 홈(5B)의 길이를 W2로 한 경우에, 길이가 긴 쪽의 제6 세홈(6F1)의 길이 a가,
 0.4*W2≤a≤0.7*W2
이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블록 강성을 유지하고,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길이가 다른 적어도 2개의 제6 세홈(6F1, 6F2) 중, 길이가 긴 쪽의 제6 세홈(6F1)의 길이를 a, 길이가 짧은 쪽의 제6 세홈(6F2)의 길이를 b로 한 경우에,
 0.7a≤b≤0.9a
이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블록 강성을 유지하고,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제6 세홈(6F1, 6F2)은, 곡선 형상이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블록의 지지를 만들어 내고,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제5 세홈(6E)의 형상은, 곡선 형상이고, 제5 세홈(6E)의 곡선 형상과 제6 세홈(6F1, 6F2)의 곡선 형상은, 일방의 곡선 형상의 볼록 방향이 타이어 회전 방향을 향하고, 타방의 곡선 형상의 오목 방향이 타이어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타이어 폭 방향의 양 단부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거리가, 타이어 폭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거리보다도 짧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세홈끼리가 서로 떠받치고,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상기 제4 육부(4D)는, 형성된 제1 보조 홈(5A)의 길이를 W1로 하고, 형성된 제2 보조 홈(5B)의 길이를 W2로 한 경우에,
 W1≤W2
이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타이어 적도면(CL)에 대하여 차량 내측과 차량 외측으로 강성을 바꿀 수 있고,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 특히 선회 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제1 보조 홈(5A)은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외측에 배치되고, 제2 보조 홈(5B)은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측에 배치된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차량 외측의 강성을 높게 하는 것으로,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 특히 선회 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제1 보조 홈(5A) 및 제2 보조 홈(5B)은, 제4 육부(4D)에 배치된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트레드면의 중앙에 제1 보조 홈 및 제2 보조 홈을 배치하고, 건조 노면에서의 내마모 성능 향상과, 습윤 노면 및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 향상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제4 둘레 방향 홈(3D)의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측에 설치된 제5 육부(4E)를 더 포함하고, 제2 보조 홈(5B)은, 제5 육부(4E) 및 제4 둘레 방향 홈(3D)을 관통한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차량 외측의 강성을 높게 할 수 있고,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 특히 선회 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상기 제2 보조 홈(5B)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고, 제2 보조 홈(5B)끼리의 사이에는 적어도 2개의 제7 세홈(6G1, 6G2)이 설치되고, 적어도 2개의 제7 세홈(6G1, 6G2)은, 각각의 일단이 제4 둘레 방향 홈(3D)에 연통하고, 또한, 각각의 타단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8 세홈(6H)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세홈을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육부 내에서 에지 효과를 끌어낼 수 있고,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은 물론, 배수성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제1 세홈(6A), 제2 세홈(6B), 제3 세홈(6C1 및 6C2), 제4 세홈(6D), 제7 세홈(6G1 및 6G2), 제8 세홈(6H), 제5 세홈(6E), 제6 세홈(6F1 및 6F2)은, 홈 폭이 0.4mm 이상 1.2mm 이하의 범위에서 형성된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각 세홈이, 이른바 사이프로서 구성되기 때문에, 에지 효과가 향상하고,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향상 효과를 조력할 수 있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조건이 다른 복수 종류의 시험 타이어에 관하여,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 및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에 관한 성능 시험이 행하여졌다.
이 성능 시험에서는, 타이어 사이즈 205/55R16 91V의 공기입 타이어를, 16×6.5JJ의 정규 림에 조립 장착하고, 정규 내압(200kPa)을 충전하여, 시험 차량(1600cc·프론트 엔진 프론트 구동차)에 장착하였다.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평가 방법은, 상기 시험 차량으로 수심 1mm의 습윤 노면의 테스트 코스에서 시속 100km/h에서의 제동 거리가 측정된다. 그리고, 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종래예 1을 기준(100)으로 한 지수 평가가 행하여진다. 이 평가는, 수치가 클수록 바람직하다.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평가 방법은, 상기 시험 차량으로 설상 압축 노면의 테스트 코스에서 시속 40km/h에서의 ABS(Anti-lock Braking System) 제동에서의 제동 거리가 측정된다. 그리고, 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종래예 1을 기준(100)으로 한 지수 평가가 행하여진다. 이 평가는, 수치가 클수록 바람직하다.
설상 노면에서의 선회 성능의 평가 방법은, 상기 시험 차량으로, 설상 노면의 테스트 코스를 속도 40[km/h]로 주행하고, 코너링 시에 있어서의 선회 안정성에 관하여, 테스트 드라이버에 의한 관능 평가에 의하여 행한다. 이 관능 평가는, 종래예 1의 공기입 타이어를 기준(100)으로 한 지수 평가가 행하여진다. 이 평가는, 그 수치가 클수록 설상 노면에서의 선회 성능이 뛰어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평가 방법은, 상기 시험 차량으로 건조 노면의 테스트 코스에서 시속 100km/h에서의 제동 거리가 측정된다. 그리고, 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종래예 1을 기준(100)으로 한 지수 평가가 행하여진다. 이 평가는, 수치가 클수록 바람직하다.
표 1에 나타내는 종래예 1의 공기입 타이어는,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외측의 보조 홈(제1 보조 홈(5A))이 제1 둘레 방향 홈(3A) 및 제2 둘레 방향 홈(3B)에 연통하고, 또한,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측의 보조 홈(제2 보조 홈(5B))이 제3 둘레 방향 홈(3C) 및 제4 둘레 방향 홈(3D)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종래예 1의 공기입 타이어는,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측 및 차량 외측의 세홈(6A 및 6B)이 각각 1개이다. 또한, 종래예 1의 공기입 타이어는, 둘레 방향으로 연통하는 둘레 방향 세홈(3S)이 없고, 제3 육부(4C)의 제3 보조 홈(5C)이 제1 둘레 방향 홈(3A)에 관통하고 있고, 둘레 방향 홈(주홈)의 개수가 4개이다. 또한, 종래예 1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4 육부(4D)에 있어서 제1 보조 홈(5A) 및 제2 보조 홈(5B)이 주홈에 관통하고, 제5 육부(4E)에 있어서 제2 보조 홈(5B)이 주홈에 관통하는 형상이다. 또한, 종래예 1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3 육부(4C)의 세홈의 개수가 1개이고 제1 둘레 방향 홈(3A)에 관통하고 있는 형상이고, 제5 육부(4E)의 세홈의 개수가 1개이고 제4 둘레 방향 홈(3D)에 관통하고 있는 형상이다. 또한, 종래예 1의 공기입 타이어는, 각 세홈의 폭이 0.8mm이며, 제3 둘레 방향 홈(3C)의 모따기가 있는 형상이다. 또한, 종래예 1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4 육부(4D)에 제5 세홈(6E)이 1개이고 제6 세홈이 1개 형성된 형상이다.
한편, 표 1에 나타내는 실시예 1 ~ 실시예 12의 공기입 타이어는,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외측의 보조 홈(제1 보조 홈(5A))이 제1 둘레 방향 홈(3A) 및 제2 둘레 방향 홈(3B)에 연통하고, 또한,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측의 보조 홈(제2 보조 홈(5B))이 제3 둘레 방향 홈(3C) 및 제4 둘레 방향 홈(3D)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1 ~ 실시예 12의 공기입 타이어는,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외측의 세홈(제1 세홈(6A))가 1개이고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측의 세홈(제2 세홈(6B))가 2개이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공기입 타이어는, 둘레 방향으로 연통하는 둘레 방향 세홈(3S)의 형상이 스트레이트이고, 실시예 3 ~ 실시예 12의 공기입 타이어는, 둘레 방향으로 연통하는 둘레 방향 세홈(3S)의 형상이 지그재그이다.
실시예 1 ~ 실시예 3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3 육부(4C)의 제3 보조 홈(5C)이 제1 둘레 방향 홈(3A)에 관통하고 있는 형상이고, 실시예 4 ~ 실시예 12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3 육부(4C)의 보조 홈이 제1 둘레 방향 홈(3A)에 관통하고 있지 않는(비관통) 형상이다.
실시예 1의 공기입 타이어는, 둘레 방향 홈(주홈)의 개수가 1개, 실시예 2 ~ 실시예 4의 공기입 타이어는, 둘레 방향 홈(주홈)의 개수가 3개, 실시예 5 ~ 실시예 12의 공기입 타이어는, 둘레 방향 홈(주홈)의 개수가 4개이다.
실시예 1 ~ 실시예 4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4 육부(4D)에 형성된 제1 보조 홈(5A) 및 제2 보조 홈(5B)이 주홈에 관통하는 형상이고, 실시예 5 ~ 실시예 12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4 육부(4D)에 형성된 제1 보조 홈(5A) 및 제2 보조 홈(5B)이 주홈에 관통하지 않는 형상이다.
실시예 1 ~ 실시예 5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5 육부(4E)에 있어서 제2 보조 홈(5B)이 주홈에 관통하지 않는 형상이고, 실시예 6 ~ 실시예 12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5 육부(4E)에 있어서 제2 보조 홈(5B)이 주홈에 관통하는 형상이다.
실시예 1 ~ 실시예 6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4 육부(4D)에 있어서 제1 보조 홈(5A) 및 제2 보조 홈(5B)의 일방만(편측만)이 형성되어 있고, 실시예 7 ~ 실시예 12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4 육부(4D)에 있어서 제1 보조 홈(5A) 및 제2 보조 홈(5B)의 양방이 번갈아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 ~ 실시예 7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3 육부(4C)의 세홈의 개수가 1개이고 제1 둘레 방향 홈(3A)에 관통하고 있지 않는 형상이고, 실시예 8 ~ 실시예 12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3 육부(4C)의 세홈의 개수가 2개이고 제1 둘레 방향 홈(3A)에 관통하고 있는 형상이다.
실시예 1 ~ 실시예 8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5 육부(4E)의 세홈의 개수가 1개이고 제4 둘레 방향 홈(3D)에 관통하고 있지 않는 형상이고, 실시예 9 ~ 실시예 12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5 육부(4E)의 세홈의 개수가 2개이고 제4 둘레 방향 홈(3D)에 관통하고 있는 형상이다.
실시예 1 ~ 실시예 9의 공기입 타이어는, 각 세홈의 폭이 1.3mm이며, 실시예 10 ~ 실시예 12의 공기입 타이어는, 각 세홈의 폭이 0.6mm이다.
실시예 1 ~ 실시예 10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3 둘레 방향 홈(3C)의 모따기가 없는 형상이며,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3 둘레 방향 홈(3C)의 모따기가 있는 형상이다.
실시예 1 ~ 실시예 11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4 육부(4D)에 제5 세홈이 없고, 제6 세홈이 1개 형성된 형상이며, 실시예 12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4 육부(4D)에 제5 세홈이 1개이고 제6 세홈이 2개 형성된 형상이다.
덧붙여, 표 1에 나타내는 비교예 1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1 보조 홈(5A) 및 제2 보조 홈(5B)이 둘레 방향 홈(주홈)에 연통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하고,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외측의 세홈이 1개이고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측의 세홈이 2개이다. 비교예 1의 공기입 타이어는, 둘레 방향으로 연통하는 둘레 방향 세홈(3S)의 형상이 스트레이트이고, 제3 육부(4C)의 보조 홈이 제1 둘레 방향 홈(3A)에 관통하고 있지 않는(비관통) 형상이다. 비교예 1의 공기입 타이어는, 둘레 방향 홈(주홈)의 개수가 4개이며, 제4 육부(4D)에 있어서 제1 보조 홈(5A) 및 제2 보조 홈(5B)이 주홈에 관통하지 않는 형상이고, 제5 육부(4E)에 있어서 제2 보조 홈(5B)이 주홈에 관통하지 않는 형상이다. 비교예 1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4 육부(4D)에 있어서 제1 보조 홈(5A) 및 제2 보조 홈(5B)의 일방만(편측만)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이다. 비교예 1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3 육부(4C)의 세홈의 개수가 2개이고 제1 둘레 방향 홈(3A)에 관통하고 있지 않는 형상이다. 비교예 1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5 육부(4E)의 세홈의 개수가 2개이고 제4 둘레 방향 홈(3D)에 관통하고 있지 않는 형상이다. 비교예 1의 공기입 타이어는, 각 세홈의 폭이 0.6mm이며, 제3 둘레 방향 홈(3C)의 모따기가 없는 형상이다. 또한, 비교예 1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4 육부(4D)에 제5 세홈(6E) 및 제6 세홈이 없는 형상이다.
표 1의 시험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실시예 12의 공기입 타이어는,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표 1의 「웨트 성능(제동성)」),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표 1의 「스노우 성능(제동성)」), 설상 노면에서의 선회 성능(표 1의 「스노우 성능(선회성)」),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표 1의 「드라이 성능(제동성)」이 향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2는, 표 1에 나타내는 실시예 11을 기준으로 하여 복수 종류의 시험 타이어에 관하여 성능 시험을 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습윤 노면, 설상 노면 및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의 평가 방법은, 표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건조 노면에서의 선회 성능의 평가 방법은, 상기 시험 차량으로, 평탄 또한 건조한 테스트 코스를 속도 60[km/h]에서 100[km/h]로 주행하고, 코너링 시에 있어서의 선회 안정성에 관하여, 테스트 드라이버에 의한 관능 평가에 의하여 행한다. 이 관능 평가는, 실시예 11의 공기입 타이어를 기준(100)으로 한 지수 평가가 행하여진다. 이 평가는, 그 수치가 클수록 건조 노면에서의 선회 성능이 뛰어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건조 노면에서의 내편마모 성능의 평가 방법은, 상기 시험 차량으로 평균 속도 60[km/h]로 5만[km] 주행 후에 있어서의 리브상 육부에 발생한 편마모(측방 리브상 육부와 다른 리브상 육부와의 트레드면의 마모량의 차(差))가 측정된다. 그리고, 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실시예 11을 기준(100)으로 한 지수 평가가 행하여진다. 이 평가는, 그 수치가 클수록 내편마모 성능이 뛰어난 것을 나타내고 있다.
표 2에 나타내는 실시예 11의 공기입 타이어는, 둘레 방향 홈(주홈)의 개수가 4개이고, 제4 육부(4D)에 형성된 제1 보조 홈(5A) 및 제2 보조 홈(5B)이 둘레 방향 홈에 관통하고 있지 않는(비관통) 형상이다. 실시예 11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4 육부(4D)에 있어서, 제1 보조 홈(5A) 및 제2 보조 홈(5B)이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형상이다. 실시예 11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1 보조 홈(5A) 측의 세홈이 없고, 제2 보조 홈(5B) 측의 세홈의 개수가 1개이다. 실시예 11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2 보조 홈(5B) 측의 세홈의 길이가 동일하다. 실시예 11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2 보조 홈(5B) 측의 세홈(6F1)의 길이 a가 제2 보조 홈(5B)의 길이 W2와 동일하고, 제2 보조 홈(5B) 측의 세홈(6F2)의 길이 b가 세홈(6F1)의 길이 a와 동일하다. 실시예 11의 공기입 타이어는, 세홈(6E, 6F1, 6F2)의 형상이 직선이다. 실시예 11의 공기입 타이어는, 세홈(6F1, 6F2)에 대한 세홈(6E)의 배치가 동일 방향이다. 실시예 11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1 보조 홈(5A)의 길이 W1가, 제2 보조 홈(5B)의 길이 W2와 동일하다. 실시예 11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1 보조 홈(5A)의 위치가 차량 내측이고 제2 보조 홈(5B)의 위치가 차량 외측이다. 실시예 11의 공기입 타이어는, 각 세홈의 폭이 0.6mm이다. 표 2에서는, 실시예 11의 공기입 타이어를 기준으로 하여 실시예 13 ~ 실시예 28의 공기입 타이어를 평가하고 있다.
한편, 실시예 13 ~ 실시예 25의 공기입 타이어는, 둘레 방향 홈(주홈)의 개수가 2개이고 제1 보조 홈(5A) 및 제2 보조 홈(5B)이 둘레 방향 홈에 대하여 연통하고 있지 않는(비연통) 형상이며, 실시예 26 ~ 실시예 28의 공기입 타이어는, 둘레 방향 홈(주홈)의 개수가 4개이고 제1 보조 홈(5A) 및 제2 보조 홈(5B)이 둘레 방향 홈에 연통하고 있는 형상이다.
실시예 13 ~ 실시예 28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1 보조 홈(5A) 및 제2 보조 홈(5B)이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형상이다. 실시예 13 ~ 실시예 28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1 보조 홈(5A) 측의 세홈의 개수가 1개이고 제2 보조 홈(5B) 측의 세홈의 개수가 2개이다.
실시예 13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2 보조 홈(5B) 측의 세홈의 길이가 동일하고, 실시예 14 ~ 실시예 28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2 보조 홈(5B) 측의 세홈의 길이가 다른(길이가 변화) 형상이다.
실시예 13 및 실시예 14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2 보조 홈(5B) 측의 세홈(6F1)의 길이 a가 제2 보조 홈(5B)의 길이 W2와 동일하고, 실시예 15 ~ 실시예 28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2 보조 홈(5B) 측의 세홈(6F1)의 길이 a가 제2 보조 홈(5B)의 길이 W2의 30%(0.3*W2), 50%(0.5*W2), 40%(0.4*W2), 70%(0.7*W2), 80%(0.8*W2)로 되어 있다.
실시예 13 ~ 실시예 19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2 보조 홈(5B) 측의 세홈(6F2)의 길이 b가 세홈(6F1)의 길이 a와 동일하고, 실시예 20 ~ 실시예 28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2 보조 홈(5B) 측의 세홈(6F2)의 길이 b가 세홈(6F1)의 길이 a의 60%(0.6*a), 70%(0.7*a), 80%(0.8*a), 90%(0.9*a)로 되어 있다.
실시예 13 ~ 실시예 23의 공기입 타이어는, 세홈(6E, 6F1, 6F2)의 형상이 직선이며, 실시예 24 ~ 실시예 28의 공기입 타이어는, 세홈(6E, 6F1, 6F2)의 형상이 곡선이다.
실시예 13 ~ 실시예 24의 공기입 타이어는, 세홈(6F1, 6F2)에 대한 세홈(6E)의 배치가 동일 방향이며, 실시예 25 ~ 실시예 28의 공기입 타이어는, 세홈(6F1, 6F2)에 대한 세홈(6E)의 배치가 역방향이다.
실시예 13 ~ 실시예 25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1 보조 홈(5A)의 길이 W1가, 제2 보조 홈(5B)의 길이 W2와 동일하고, 실시예 26 ~ 실시예 28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1 보조 홈(5A)의 길이 W1와 제2 보조 홈(5B)의 길이 W2와의 관계가 W1≤W2이다.
실시예 13 ~ 실시예 26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1 보조 홈(5A)의 위치가 차량 내측이고 제2 보조 홈(5B)의 위치가 차량 외측이며, 실시예 27 및 28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1 보조 홈(5A)의 위치가 차량 외측이고 제2 보조 홈(5B)의 위치가 차량 내측이다.
실시예 13 ~ 실시예 27의 공기입 타이어는, 각 세홈의 폭이 1.3mm이며, 실시예 28의 공기입 타이어는, 각 세홈의 폭이 0.6mm이다.
표 2의 시험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3 ~ 실시예 28의 공기입 타이어는, 습윤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표 2의 「웨트 성능(제동성)」),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표 2의 「스노우 성능(제동성)」), 건조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표 2의 「드라이 성능(제동성)」)이 향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건조 노면에서의 선회 성능(표 2의 「드라이 성능(선회성)」), 및, 건조 노면에서의 내마모 성능(표 2의 「드라이 노면 내마모 성능」)이 향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표 1에 나타내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제4 육부(4D)에 있어서 제1 보조 홈(5A) 및 제2 보조 홈(5B)이 번갈아 배치되고, 또한, 제1 보조 홈(5A) 측의 세홈 개수가 1개이고 제2 보조 홈(5B) 측의 세홈 개수가 2개인 경우에 있어서, 실시예 13 ~ 실시예 28과 같이 세홈의 길이, 형상 및 배치, 및 제1 보조 홈(5A)의 길이 및 배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1: 공기입 타이어
2: 트레드부
2a: 트레드면
3: 둘레 방향 홈
3A: 제1 둘레 방향 홈
3B: 제2 둘레 방향 홈
3BC: 둘레 방향 세홈
3C: 제3 둘레 방향 홈
3C1, 3C2: 모따기
3D: 제4 둘레 방향 홈
3S: 둘레 방향 세홈
4: 육부
4A: 제1 육부
4B: 제2 육부
4C: 제3 육부
4D: 제4 육부
4E: 제5 육부
5: 보조 홈
5A: 제1 보조 홈
5B: 제2 보조 홈
5C: 제3 보조 홈
6: 세홈
6A: 제1 세홈
6B: 제2 세홈
6C1, 6C2: 제3 세홈
6D: 제4 세홈
6E: 제5 세홈
6F1, 6F2: 제6 세홈
6G1, 6G2: 제7 세홈
6H: 제8 세홈
7: 식홈
8A: 제1 블록
8B: 제2 블록
31: 제1 절곡부
32: 제2 절곡부
CL: 타이어 적도면
D: 디자인 엔드
T: 접지단

Claims (24)

  1. 타이어 적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비대칭의 트레드부를 가지고,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타이어 적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외측(外側)에 형성된 제1 육부(陸部)와, 상기 타이어 적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측(內側)에 형성된 제2 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육부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방향 세(細)홈과, 둘레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둘레 방향 세홈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1 보조 홈과, 상기 복수의 제1 보조 홈에 의하여 각각 구획된 제1 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둘레 방향 세홈을 관통하는 제1 세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육부는,
    둘레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제2 보조 홈과, 상기 복수의 제2 보조 홈에 의하여 각각 구획된 제2 블록에 설치된 제2 세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세홈은, 1개의 구획당의 개수가 상기 제1 세홈의 개수보다도 많은 공기입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방향 세홈은,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와는 반대 측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가 번갈아 형성된 지그재그 형상이고,
    상기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가 상기 제1 블록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공기입 타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방향 세홈은,
    1개의 상기 제1 블록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상기 제1 세홈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1 세홈과 교차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그 이외의 부분보다 짧은
    공기입 타이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제1 육부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된 제1 둘레 방향 홈과, 상기 제1 둘레 방향 홈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된 제3 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육부는, 상기 제1 둘레 방향 홈에 비관통의 제3 보조 홈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입 타이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홈 및 상기 제2 세홈은, 홈 폭이 0.4mm 이상 1.2mm 이하인
    공기입 타이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보조 홈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육부는, 상기 제3 보조 홈끼리의 사이에 적어도 2개 설치되고, 일단(一端)이 상기 제1 둘레 방향 홈에 연통(連通)하는 제3 세홈과, 상기 제3 보조 홈끼리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3 세홈의 타단(他端)의 각각에 접속되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세홈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입 타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세홈 및 상기 제4 세홈은, 홈 폭이 0.4mm 이상 1.2mm 이하인
    공기입 타이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제1 육부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육부를 구획하는 제1 둘레 방향 홈과, 상기 제1 육부의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육부를 구획하는 제2 둘레 방향 홈과, 상기 제2 육부의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외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육부를 구획하는 제3 둘레 방향 홈과, 상기 제2 육부의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육부를 구획하는 제4 둘레 방향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육부는, 상기 제1 둘레 방향 홈과, 당해 제1 둘레 방향 홈보다 타이어 적도면 쪽에 설치된 제2 둘레 방향 홈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제2 육부는, 당해 제2 육부의 타이어 적도면 쪽에 설치된 제3 둘레 방향 홈과 당해 제2 육부의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측에 설치된 제4 둘레 방향 홈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제2 둘레 방향 홈과 상기 제3 둘레 방향 홈에 의하여 구획되고, 또한, 상기 타이어 적도면 상에 위치하는 제4 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홈은, 상기 제2 둘레 방향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4 육부에 연재(延在)하여 당해 제4 육부에서 종단(終端)하고,
    상기 제2 보조 홈은, 상기 제3 둘레 방향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4 육부에 연재하여 당해 제4 육부에서 종단하는
    공기입 타이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둘레 방향 홈은, 타이어 폭 방향의 양측의 개구(開口) 가장자리에 모따기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입 타이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는, 상기 제2 보조 홈끼리의 사이에 모따기 폭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점차 변화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3 둘레 방향 홈의 양측의 개구 가장자리로 반전하여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육부는,
    상기 제2 둘레 방향 홈을 관통하는 상기 제1 보조 홈이 종단하는 위치와, 상기 제3 둘레 방향 홈을 관통하는 상기 제2 보조 홈이 종단하는 위치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육부는, 상기 제2 둘레 방향 홈과 상기 제3 둘레 방향 홈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제1 보조 홈은, 상기 제4 육부 내에서 종단하고,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제2 보조 홈은, 상기 제4 육부 내에서 종단하고,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제1 보조 홈과 상기 제2 보조 홈과는 교차하는 일 없이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제1 보조 홈끼리의 사이에 적어도 1개 설치된 제5 세홈과,
    상기 제2 보조 홈끼리의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5 세홈보다 많은 개수 설치된 제6 세홈을 더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세홈은, 상기 제2 보조 홈끼리의 사이의 위치에 따라 길이가 다르고,
    전진 방향으로의 주행 시에 길이가 긴 쪽의 홈이, 짧은 쪽의 홈보다도 먼저 접지하는
    공기입 타이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육부는,
    형성된 상기 제2 보조 홈의 길이를 W2로 한 경우에, 상기 길이가 긴 쪽의 제6 세홈의 길이 a가,
     0.4*W2≤a≤0.7*W2

    공기입 타이어.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길이가 다른 적어도 2개의 상기 제6 세홈 중,
    길이가 긴 쪽의 제6 세홈의 길이를 a, 길이가 짧은 쪽의 제6 세홈의 길이를 b로 한 경우에,
     0.7a≤b≤0.9a

    공기입 타이어.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세홈은, 곡선 형상인
    공기입 타이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세홈의 형상은, 곡선 형상이고,
    상기 제5 세홈의 곡선 형상과 상기 제6 세홈의 곡선 형상은, 일방(一方)의 곡선 형상의 볼록 방향이 타이어 회전 방향을 향하고, 타방(他方)의 곡선 형상의 오목 방향이 타이어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타이어 폭 방향의 양 단부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거리가, 타이어 폭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거리보다도 짧은
    공기입 타이어.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육부는,
    형성된 상기 제1 보조 홈의 길이를 W1로 하고, 형성된 상기 제2 보조 홈의 길이를 W2로 한 경우에,
     W1≤W2

    공기입 타이어.
  19.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홈은,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보조 홈은,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측에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홈 및 상기 제2 보조 홈은, 상기 제4 육부에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21.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세홈 및 상기 제6 세홈은, 홈 폭이 0.4mm 이상 1.2mm 이하인
    공기입 타이어.
  22. 제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둘레 방향 홈의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측에 설치된 제5 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 홈은, 상기 제5 육부 및 상기 제4 둘레 방향 홈을 관통하는
    공기입 타이어.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홈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보조 홈끼리의 사이에는 적어도 2개의 제7 세홈이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7 세홈은, 각각의 일단이 상기 제4 둘레 방향 홈에 연통하고, 또한, 각각의 타단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8 세홈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공기입 타이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7 세홈 및 상기 제8 세홈은, 홈 폭이 0.4mm 이상 1.2mm 이하인
    공기입 타이어.
KR1020167028600A 2014-09-05 2015-08-27 공기입 타이어 KR101830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81612 2014-09-05
JPJP-P-2014-181612 2014-09-05
PCT/JP2015/074163 WO2016035659A1 (ja) 2014-09-05 2015-08-27 空気入りタ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763A true KR20160134763A (ko) 2016-11-23
KR101830139B1 KR101830139B1 (ko) 2018-02-20

Family

ID=55439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600A KR101830139B1 (ko) 2014-09-05 2015-08-27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99178B2 (ko)
JP (1) JP6607041B2 (ko)
KR (1) KR101830139B1 (ko)
CN (1) CN106794717B (ko)
WO (1) WO20160356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1918B2 (en) * 2014-09-05 2022-02-08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JP6759703B2 (ja) * 2016-05-19 2020-09-2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685600B (zh) * 2016-08-03 2020-09-08 横滨橡胶株式会社 充气轮胎
JP6319384B2 (ja) 2016-08-31 2018-05-09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304329B2 (ja) 2016-08-31 2018-04-0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825434B2 (ja) * 2017-03-16 2021-02-0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JP6930241B2 (ja) * 2017-06-19 2021-09-0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993815B2 (ja) * 2017-08-31 2022-01-14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992573B2 (ja) * 2018-02-14 2022-01-1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EP3549793B1 (en) * 2018-04-06 2021-02-24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Tyre
JP7052507B2 (ja) * 2018-04-06 2022-04-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JP7172289B2 (ja) * 2018-08-29 2022-11-1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159968B2 (ja) * 2019-04-26 2022-10-2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358936B2 (ja) * 2019-11-22 2023-10-1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5599B1 (ja) 2011-04-27 2012-03-28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093880B2 (ja) 2007-03-08 2012-12-1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88496A (en) * 1937-01-05 1938-07-05 Firestone Tire & Rubber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yres for vehicle wheels
US3699395A (en) 1970-01-02 1972-10-17 Rca Corp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fusible elements
FR2463687A1 (fr) * 1979-08-20 1981-02-27 Uniroyal Englebert Pneu Sculpture de bande de roulement pour enveloppes de pneumatique
JPH0379407A (ja) * 1989-08-22 1991-04-04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空気入りタイヤ
JPH0781328A (ja) * 1993-09-13 1995-03-28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4189980B2 (ja) * 1998-11-27 2008-12-0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2002274120A (ja) * 2001-03-15 2002-09-25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の装着方法及び前輪用の空気入りタイヤ
JP4369734B2 (ja) 2003-12-09 2009-11-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7360568B2 (en) * 2005-01-27 2008-04-22 Bridgestone Firestone North American Tire, Llc Tire having narrowing sipes
JP4537952B2 (ja) * 2005-12-27 2010-09-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20070272337A1 (en) * 2006-05-25 2007-11-29 Lorie Jean Bovaird Pneumatic tire with tread siping
US9079459B2 (en) * 2007-02-07 2015-07-14 Bridgestone Firestone North American Tire, Llc Tire with tread including rib having chamfered surface
JP4813436B2 (ja) * 2007-09-12 2011-11-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5211888B2 (ja) * 2008-06-25 2013-06-12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181927B2 (ja) * 2008-08-22 2013-04-10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02802966B (zh) * 2009-06-15 2015-03-18 株式会社普利司通 重载用轮胎
JP4825288B2 (ja) 2009-08-24 2011-11-3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062344B1 (ja) * 2011-04-12 2012-10-3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320427B2 (ja) * 2011-04-12 2013-10-2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647646B2 (ja) 2012-06-08 2015-01-0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加硫金型及び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USD740208S1 (en) * 2013-07-26 2015-10-0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3880B2 (ja) 2007-03-08 2012-12-1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4905599B1 (ja) 2011-04-27 2012-03-28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99178B2 (en) 2021-01-26
JP6607041B2 (ja) 2019-11-20
CN106794717B (zh) 2019-05-14
CN106794717A (zh) 2017-05-31
WO2016035659A1 (ja) 2016-03-10
US20170282651A1 (en) 2017-10-05
KR101830139B1 (ko) 2018-02-20
JPWO2016035659A1 (ja)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139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898453B1 (ko) 공기입 타이어
JP5993407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602462B1 (ko) 공기입 타이어
JP4394161B1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987495B1 (ko) 공기 타이어
CN106183650B (zh) 冬季用轮胎
JP5981952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955948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475670B1 (ko) 공기입 타이어
JP6055521B1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4101039A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170074999A (ko) 공기입 타이어
JP5803859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575254B2 (ja) 空気入りタイヤ
EP2660077B1 (en) Pneumatic tire
CN106183651B (zh) 充气轮胎
JP2018134992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0247549A (ja) 空気入りタイヤ
JP5282479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5922823B (zh) 充气轮胎
JP2013103567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955947B1 (ko) 공기입 타이어
JP2016022807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5223916A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