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022A - 와이어 - Google Patents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022A
KR20160132022A KR1020167024675A KR20167024675A KR20160132022A KR 20160132022 A KR20160132022 A KR 20160132022A KR 1020167024675 A KR1020167024675 A KR 1020167024675A KR 20167024675 A KR20167024675 A KR 20167024675A KR 20160132022 A KR20160132022 A KR 20160132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trands
strand
smooth surfac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6108B1 (ko
Inventor
아키라 쯔다
토모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하이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하이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하이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32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05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characterised by their outer shape or surface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93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strand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22Flat or flat-sided ropes; Sets of ropes consisting of a series of parallel rop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07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comprising postformed and thereby radially plastically deform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20Construction of flexible members moved to and fro in the sheath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73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rope configuration
    • D07B1/068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rope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trand desig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01Wires or filaments
    • D07B2201/2002Wires or fila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ross-sectional shap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01Wires or filaments
    • D07B2201/2007Wires or fila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ngitudinal shap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84Mechanical controls, e.g. door lashes

Abstract

본 발명의 와이어(1)는, 복수개의 소선(2a, 2b, 2c, 2d)을 함께 꼰 코어 스트랜드(2)와, 코어 스트랜드(2)의 주위에 각각 복수개의 소선(3a, 3b)이 함께 꼬여진 복수개의 사이드 스트랜드(3)가 함께 꼬여짐으로써 구성되는 복꼬임 구조를 가지는 조작용의 와이어(1)로서, 사이드 스트랜드(3)의 측소선(3b)은, 와이어(1)의 외주상에 위치하는 부위에서, 와이어(1)의 지름방향 외측에 면하여, 측소선(3b)의 둘레방향의 일부에 마련된 평탄부(F)가 축(X)방향을 따라 연장된 평활면(P)을 가지고, 평활면(P)의 축(X)방향의 길이는 측소선(3b)의 지름의 4.8~11.0배이며, 사이드 스트랜드(3)의 피치 배율은 7.0~12.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방향전환 부재와 와이어가 슬라이딩했을 때의 홈 이동음의 발생과, 와이어의 내피로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WIRE}
본 발명은 복(複)꼬임 구조를 가지는 조작용 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향전환 부재에 걸어 감겨지는 조작 와이어 및 그것을 이용한 와이어 조작 기구에 관한 것이다.
구동부의 조작력을 종동부에 전달하기 위하여, 조작용 와이어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윈도 레귤레이터는, 구동부가 되는 모터로부터 종동부가 되는 유리창을 지지하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조작용 와이어가 연결되고, 조작용 와이어를 경유하여 구동부의 조작력을 전달하고 있다. 조작용 와이어는 가요성을 가지고 있어 만곡하는 배선이 가능하고, 조작용 와이어를 방향전환하는 가이드 부재 등의 방향전환 부재에 슬라이딩하여 안내된다. 조작용 와이어는, 통상 복수개의 소선(素線)이 함께 꼬여서 구성되어 있다. 조작용 와이어가, 조작용 와이어보다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된 방향전환 부재, 예를 들면 수지제 고정 가이드(이하, 단순하게 수지제 가이드라고 함)의 슬라이딩 홈 등에 안내될 경우, 조작용 와이어의 외부에 노출되는 소선과 방향전환 부재의 접촉부로부터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소음은, 사용 과정에서 방향전환 부재에 조작용 와이어의 꼬임결 자국이 전사되어 꼬임결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고, 조작용 와이어와 방향전환 부재가 슬라이딩할 때에 꼬임결 형상의 요철을 슬라이딩할 때에 조작용 와이어에 회전력이 작용함으로써 조작용 와이어가 뒤틀리고, 이 조작용 와이어의 뒤틀림이 해방되었을 때에 방향전환 부재의 슬라이딩면에서 때리는 소음이 발생하여 소음이 생기고 있다. 특히, 윈도 레귤레이터가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진동음이 가이드 레일과 도어 패널을 경유하여 증폭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특허문헌 1에는, 단면이 원형이 아닌 소선을 가지는 단꼬임 이형선(異形線) 스트랜드(strand)(100)의 가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도 6 참조). 이 이형선 스트랜드(100)는, 표면이 평활하기 때문에, 꼬임결 자국의 생성을 억제하여, 소음 발생을 억제할 가능성이 있다. 이 이형선 스트랜드(100)는, 평행꼬임으로, 각 층의 와이어(소선)끼리 선접촉한 상태에서 이형선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다.
또, 상기 소음을 해소하기 위하여, 난자전성(難自轉性)으로 만듦으로써 조작용 와이어의 비틀림을 억제하여, 꼬임결 형상의 요철인 꼬임결 자국에 기인한, 방향전환 부재의 슬라이딩 홈에서의 조작용 와이어의 슬라이딩면으로의 때리는 소음의 억제도 도모되고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평6-10838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제2006-283269호 공보
그렇지만, 복꼬임 구조를 가지는 와이어에 대해서 특허문헌 1의 가공 방법을 적용하면, 와이어의 내피로성(耐疲勞性)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는, 복꼬임 구조를 가지는 와이어는 소선들이 점접촉하고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한 가공이 적용되면 점접촉한 개소에서 우선적으로 변형되어, 와이어 사용시에 이 변형된 개소를 기점으로 소선이 절단되기 쉽게되기 때문이다. 또, 특허문헌 2의 와이어처럼 난자전성으로 만들어진 조작용 와이어를 이용했을 경우라도, 고온 등의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꼬임결 자국의 홈에 위치한 조작용 와이어의 최외주의 소선이 꼬임결 자국의 볼록부를 넘을 때에 생기는 주기적 소음(이하, 홈 이동음이라고 함)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방향전환 부재와 와이어가 슬라이딩했을 때의 주기적인 홈 이동음의 발생과, 와이어의 내피로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조작용 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는, 복수개의 소선을 함께 꼰(twist together) 코어 스트랜드(core strand)와, 이 코어 스트랜드의 주위에 각각 복수개의 소선이 함께 꼬여진 복수개의 사이드 스트랜드(side strand)가 함께 꼬여짐으로써 구성되는 복꼬임 구조를 가지는 조작용 와이어로서, 상기 사이드 스트랜드의 측소선(side wire)은, 상기 와이어의 외주상에 위치하는 부위에서, 상기 와이어의 지름방향 외측에 면하여, 상기 측소선의 둘레방향의 일부에 설치된 평탄부가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활면을 가지고, 상기 평활면의 축방향의 길이는 상기 측소선의 직경의 4.8~11.0배이고, 상기 사이드 스트랜드의 피치 배율은 7.0~12.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평활면의 축방향의 길이가, 상기 측소선의 직경의 5.8~9.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구동부, 종동부 및 수지제 방향전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와 상기 종동부는 전술한 와이어를 경유하여 접속되고, 상기 와이어는 방향전환 부재에 대해서 소정의 하중으로 걸어 감겨지고,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켜서 상기 종동부를 이동시킬 때에, 상기 와이어가 상기 방향전환 부재의 위치에 대해서 상기 와이어의 연장방향으로의 이동이 되도록 이루어지는 와이어 조작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향전환 부재와 와이어가 슬라이딩했을 때의 홈 이동음의 발생과, 와이어의 내피로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와이어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와이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어에 있어서 사이드 스트랜드의 피치 배율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고정 가이드와 와이어가 슬라이딩했을 때에 생기는 홈 이동음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용한 윈도 레귤레이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고정 가이드에서 슬라이딩하면서 굴곡을 받는 경우의 와이어의 내피로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이형선 스트랜드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는, 구동부의 조작에 의해 생긴 조작력을, 구동부가 조작됨으로써 와이어가 당김 조작 또는 밀고당김 조작되어, 와이어를 경유하여 조작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조작되는 종동부에 전달하는 조작용 와이어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는, 방향전환 부재, 예를 들면 회전하지 않고 와이어를 안내하는 고정 가이드나 회전축 주위를 회전하는 풀리에 안내되어, 구동부와 종동부 사이에 배선된다. 구동부 및 종동부는, 와이어를 조작할 수 있고, 또, 와이어에 의해 조작되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와이어는, 방향전환 부재에 의해서 방향이 전환되고 구동부와 종동부 사이에 배선되어, 구동부의 조작력을 종동부에 전달하는 용도이면 어떠한 용도에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윈도 레귤레이터나, 주차 브레이크, 퓨얼 리드(fuel lid) 액추에이터, 오토바이 액셀러레이터, 오토바이 스크린 등을 조작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와이어는 차량 이외의 용도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와이어의 일례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 도 1은 한 실시형태의 와이어(1)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와이어(1)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보기 쉽도록 도 2중, 중앙부의 사이드 스트랜드(3)에 점을 찍어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1)는, 도 1에 표시된 것처럼, 복수개의 소선(2a, 2b, 2c, 2d)을 함께 꼰 코어 스트랜드(2)와, 코어 스트랜드(2)의 주위에, 각각 복수개의 소선(3a, 3b)이 함께 꼬여진 복수개의 사이드 스트랜드(3)가 함께 꼬여짐으로써 구성되는 복꼬임 구조를 가지고 있다. 와이어(1)는, 코어 스트랜드(2)와, 그 주위에 복수개의 사이드 스트랜드(3)가 함께 꼬여진 복꼬임 구조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와이어가 이용되는 용도에 따라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고, 공지의 구조를 포함하여, 도 1에 나타낸 구조 이외의 복꼬임 구조이어도 좋다. 또한, 도 1에 나타나는 실시형태에서, 와이어(1)는, 1개의 코어 스트랜드(2)의 주위에, 8개의 사이드 스트랜드(3)가 함께 꼬여진 구조 (W(19)+8×7)로서 나타나 있다. 코어 스트랜드(2)는, 1개의 심소선(2a) 주위에, 6개의 측소선(2b)이 꼬여지고, 측소선(2b)의 주위에 크기가 다른 측소선(2c)과 측소선(2d)이 교대로 배치되도록 꼬아합쳐진 워링턴 꼬임으로서 나타나 있다. 또, 사이드 스트랜드(3)의 각각은, 1개의 심소선(3a)의 주위에 6개의 측소선(3b)이 함께 꼬여져 있다.
코어 스트랜드(2) 및 사이드 스트랜드(3)의 각각을 구성하는 소선의 재료는, 예를 들어, 아연 도금 강선, 스텐레스 강선 등의 강선이 이용된다. 또, 코어 스트랜드(2) 및 사이드 스트랜드(3)의 각각을 구성하는 소선의 지름이나 개수는, 와이어가 이용되는 용도나 와이어의 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1)의 사이드 스트랜드(3)의 측소선(3b)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것처럼, 와이어(1)의 외주상에 위치하는 부위에서, 평활면(P)을 가지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평활면(P)은 사이드 스트랜드(3)의 측소선(3b) 중, 와이어(1)의 최외주 소선에서, 와이어(1)의 지름방향 외측에 면하여 마련되어, 축(X)을 따라 길게 마련되어 있다. 또, 평활면(P)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것처럼, 와이어(1)의 지름방향 외측에 면하여, 측소선(3b)의 둘레방향의 일부에 마련된 평탄부(F)가 축(X)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평탄부(F)는, 사이드 스트랜드(3)의 측소선(3b) 중, 측소선(3b)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평탄한 부위이다. 도 1에 나타나는 실시형태에서, 평탄부(F)는, 평탄부(F)의 접점과 와이어(1)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반경으로 하는 가상원(C)의 반경과 거의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거의 원호형상의 부위로서 나타나 있지만, 평탄부(F)는, 평면이어도 곡면이어도 상관없다. 즉, 나중에 자세히 설명하는 것처럼, 평탄부(F)가 길게 형성되는 평활면(P)이, 방향전환 부재에 대해서 면접촉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되며, 와이어(1)의 가상원(C)과는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 평탄부(F)는, 측소선(3b)의 둘레방향의 일부, 즉 측소선(3b)이 연장하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절단한 측소선(3b)의 단면의 외주 중, 와이어(1)의 지름방향 외측에 면하여 설치되어 있다. 평탄부(F)는, 와이어(1)가 방향전환 부재와 접촉했을 때에 방향전환 부재에 대해서 면접촉할 수 있다면, 반드시 가상원(C) 상에 위치하지 않아도 좋다. 그리고, 평활면(P)은, 이와 같이 형성되는 평탄부(F)가, 도 2에 나타나는 것처럼, 와이어(1)가 연장하는 방향인 축(X)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방향전환 부재의 슬라이딩 홈에 대해서 면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것처럼, 사이드 스트랜드(3)의 측소선(3b)은, 사이드 스트랜드(3)의 심소선(3a)의 주위에 나선형상으로 함께 꼬여져 있고, 각 측소선(3b)은, 와이어(1)의 외주상에 위치하는 부위에서는 평활면(P)이 형성되는 한편, 평활면(P)이 형성된 부위의 축(X)방향 양측(도 2중, 좌우 방향)에서는, 측소선(3b)의 단면은 원형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방향전환 부재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와이어(1)의 외주상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도 2에 표시된 것처럼, 와이어(1)의 외주에 노출되는 복수의 측소선(3b)에 의해, 와이어(1)의 둘레방향이면서 또 축(X)방향으로 복수의 평활면(P)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활면(P)을 가지는 와이어(1)는, 후술하는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제조 방법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코어 스트랜드(2) 및 사이드 스트랜드(3)가 함께 꼬여진 후, 다이스(dies)에 의한 인발가공, 스웨징 가공이나 카세트 롤러 다이스 가공 등을 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평활면(P)은, 와이어(1)가 도시하지 않은 방향전환 부재(와이어(1)가 안내되는 방향전환 부재의 안내홈의 표면)와 접촉할 때, 방향전환 부재에 대해서 면접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와이어(1)에 의하면, 사이드 스트랜드(3)의 측소선(3b)이 평활면(P)을 가짐으로써, 와이어(1)와 방향전환 부재의 접촉시에 단위면적당의 하중을 억제할 수 있다. 종래의 와이어는 사이드 스트랜드의 소선이 와이어(1)의 축방향에 대해서 각도를 가지기 때문에 와이어(1)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각도를 가지는 홈인 꼬임결 자국을 생기게 하지만, 와이어(1)로부터 방향전환 부재에 높은 하중이 걸리거나, 방향전환 부재가 고온 환경하에 있더라도, 와이어(1)로부터의 방향전환 부재로의 단위면적당의 하중이 경감되기 때문에, 꼬임결 자국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방향전환 부재로의 꼬임결 자국의 생성이 억제되기 때문에, 와이어(1)가 방향전환 부재에 대해서 와이어(1)의 연장방향을 향해 이동할 때에, 꼬임결 자국의 홈과 홈 사이를 와이어(1)의 측소선(3b)이 이동할 때의 홈 이동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평활면(P)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실시형태에서, 가상원(C)과 거의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진 것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평활면은, 와이어(1)로부터의 방향전환 부재로의 단위면적당 하중이 경감되도록 방향전환 부재와 접하고 있으면, 방향전환 부재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평활면(P)가 와이어(1)의 외주와 다른 곡률반경으로 해도 좋고,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평활면(P)이 수평인 면일 경우에는, 가상원(C)은 수평면과 접하는 원이 된다.
평활면(P)의 축(X)방향 길이 L1은, 사이드 스트랜드(3)의 측소선(3b)의 지름 D1의 4.8~11.0배이고, 사이드 스트랜드(3)의 피치 배율이 7.0~12.0배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평활면(P)의, 와이어(1)가 연장하는 축(X)방향의 길이 L1은, 도 2에 나타나는 것처럼, 와이어(1)의 축(X)방향에서 평활면(P)의 양단간의 길이이고, 측소선(3b)의 지름 D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것처럼, 평활면(P)를 가지는 측소선(3b)의 외경이다. 또, 사이드 스트랜드(3)의 피치 배율은, 도 3에 나타나는 것처럼, 사이드 스트랜드(3)의 꼬임 피치 길이 L2를 와이어(1)의 외경 D2로 나눈 값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상원(C)의 직경이 와이어(2)의 외경 D2가 된다.
평활면(P)의 길이 L1을 사이드 스트랜드(3)의 측소선(3b)의 지름 D1의 4.8~11.0배로 하고, 또한 사이드 스트랜드(3)의 피치 배율을 7.0~12.0배로 함으로써, 와이어(1)와 방향전환 부재가 접촉할 때에, 방향전환 부재의 와이어(1)와의 접촉면과 사이드 스트랜드(3)의 측소선(3b)의 평활면(P)이 면접촉하고, 그러면서 또, 소선간의 단위면적당의 점접촉 개소가 적어져서, 와이어(1)의 단위 단면적당의 소선밀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사이드 스트랜드(3)의 측소선(3b)에 의한 방향전환 부재의 꼬임결 자국의 생성을 억제하여, 방향전환 부재와 와이어(1)가 슬라이딩했을 때의 홈 이동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 와이어의 내피로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평활면(P)의 길이 L1이 측소선(3b)의 지름 D1의 4.8배보다 작으면, 측소선(3b)의 와이어(1) 외주상에 위치하는 부위의 노출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평활면(P)의 축(X)방향의 길이가 짧아져서, 방향전환 부재와 면접촉하는 평활면(P)의 면적이 작아진다는 이유에서, 상술한 평활면(P)의 효과를 얻지 못하고, 반대로 11.0배보다 크면, 사이드 스트랜드(3)의 측소선(3b)의 두께가 감소함으로써, 단면적은 동일하지만 지름방향으로 얇은 부분에 하중이 걸렸을 경우에 소선의 파단이 발생하기 때문에, 와이어(1)의 내피로성이 저하된다. 또, 내피로성에 대해서는, 사이드 스트랜드(3)의 피치 배율이 7.0배 미만일 경우에도, 단위길이당의 소선의 교점이 증가하기 때문에 내피로성이 저하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실시형태를 예로 상세히 설명하면, 사이드 스트랜드(3)의 측소선(3b)은, 코어 스트랜드(2)의 최외층에 배치된 측소선(2c)이나 측소선(2d)과 교차하여 점접촉하고 있다. 사이드 스트랜드(3)의 피치 배율이 7.0배 미만이 되면, 와이어(1)의 축(X)방향의 단위길이당 사이드 스트랜드(3)의 측소선(3b)과 코어 스트랜드(2)의 측소선(2c, 2d)의 점접촉 개소가 증가한다. 와이어(1)가 방향전환 부재에 의해서 굽혀질 때, 소선끼리가 점접촉한 개소에 국소적인 힘이 더해지지만, 소선끼리의 점접촉 개소가 많아지면, 사이드 스트랜드(3)의 측소선(3b)이 절단될 가능성이 높아져, 와이어(1)의 내피로성이 저하된다. 한편, 사이드 스트랜드(3)의 피치 배율이 12.0배보다 큰 경우에는, 와이어(1)를 구성하는 소선간에 틈새가 생기기 쉬워 제조가 어렵고, 내구성이 저하될 염려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실시형태를 예로 상세히 설명하면, 사이드 스트랜드(3)의 피치 배율이 12.0배보다 커지면, 코어 스트랜드(2)에 대해서 사이드 스트랜드(3)를 강하게 조일 수 없어, 사이드 스트랜드(3)의 측소선(3b)과, 코어 스트랜드(2)의 최외층에 배치된 측소선(2c)이나 측소선(2d)의 사이의 틈새가 생기기 쉽게 된다. 그 결과, 와이어(1)의 단위 단면적당 소선밀도가 낮아져서, 제조가 어렵고, 와이어(1)의 내구성이 저하될 염려도 있다.
또, 상술한 것처럼, 와이어(1) 중, 방향전환 부재와 접촉하는 일이 없는, 와이어(1)의 외주에 노출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서는, 사이드 스트랜드(3)의 측소선(3b)은 단면이 원형이다. 측소선(3b)에서 와이어(1)의 외주에 노출되어 있지 않은 부위는, 와이어(1)의 외주로부터 와이어(1)의 지름방향 안쪽에 위치해 있다. 사이드 스트랜드(3)의 복수의 측소선(3b) 중, 1개의 측소선(3b)은, 심소선(3a)의 주위에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와이어(1)의 외주상에 위치하는 부위(외주에 노출하는 부위)에서는 평활면(P)이 형성되고, 와이어(1)의 외주에 노출되어 있지 않는 부위에서는, 측소선(3b)이 와이어(1)의 지름방향 안쪽으로 기어들어가 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평활면(P)이 형성된 부분과 단면이 원형인 부분이, 각 측소선(3b)이 연장하는 축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 스트랜드(3)의 측소선(3b)은, 평활면(P)이 형성된 와이어(1)의 외주상에 위치하는 부위 외에는 단면이 원형이므로, 소선의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강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와이어(1)는, 와이어(1)가 도시하지 않은 방향전환 부재에 의해서 방향이 전환되어 굽혀지더라도, 측소선(3b)이 절단되는 기점이 될만한 장소가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내피로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와이어(1)에 의하면, 사이드 스트랜드(3)의 측소선(3b)의, 와이어(1)의 외주상에 위치하는 부위에, 소정 길이의 평활면(P)을 마련함으로써, 와이어(1)와 방향전환 부재와의 접촉면압을 억제하여, 꼬임결 자국의 생성을 억제하고, 방향전환 부재와 와이어(1)가 슬라이딩했을 때의 홈 이동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평활면(P)을 소정 길이 이하로 하고, 사이드 스트랜드(3)를 소정의 피치 배율로 함께 꼼으로써 내피로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1)는, 와이어(1)보다 부드러운 방향전환 부재, 예를 들어 수지제의 고정 가이드에 의해서 슬라이딩되면서 구부러질 수 있는 용도에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구동부, 종동부 및 수지제의 방향전환 부재를 포함하고, 구동부와 종동부는 상술한 와이어를 경유하여 접속되고, 와이어는 방향전환 부재에 대해서 소정의 하중으로 걸어 감겨지고, 구동부를 구동시킴으로써 와이어를 이동시켜 종동부를 이동시킬 때에, 와이어가 방향전환 부재의 위치에 대해서 와이어의 연장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와이어 조작 기구에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와이어는, 예를 들어 윈도 레귤레이터 용도에 매우 적합하게 적용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평가한 와이어의 슬라이딩 특성, 내피로성의 시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와이어 슬라이딩 특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와이어를 도 4에 나타내는 윈도 레귤레이터(10)에 의해 구동하고, 와이어를 윈도 레귤레이터(10)의 고정 가이드(G)에 부착한 직후(초기)와 크리프(creep) 시험 후에 작동음의 측정을 행하여, 와이어를 슬라이딩시켰을 때의 작동음의 크기를 이용해 와이어의 슬라이딩 특성을 평가하였다. 와이어는, 윈도 레귤레이터(10)의 모터(10a)와 캐리어 플레이트(10b)의 사이에 2개 부착하고, 윈도 레귤레이터(10)의 가이드 레일(10c)의 상하에 설치된 고정 가이드(G)로 안내시켜서 방향전환시켰다. 고정 가이드(G)는 회전하지 않는 수지제이고, 와이어의 안내 방향을 따라 만곡한 만곡면을 가진 것을 이용했다. 상기 크리프 시험은, 윈도 레귤레이터(10)에 전원 전압 14.5V를 인가하고, 캐리어 플레이트(10b)를 가이드 레일(10c)을 따라 상하움직임을 못하도록 구속하여, 80℃의 분위기 온도에서 120시간 방치했다. 120시간 방치 후에 모터를 구동시켜, 1m 떨어진 위치에서 귀로 들어서, 주기적 마찰음인 홈 이동음을 확인하였다.
(내피로성 시험)
전체 길이가 1000mm인 실시예 및 비교예의 와이어를 준비하여, 도 5에 나타내는 것처럼 와이어의 한쪽 끝에 10kg의 추(21)를 연결하고, 와이어가 고정 가이드(22a)로 90о 반전한 후 바로, 다른 고정 가이드(22b)로 180о 반전 상태가 되도록 배선했다. 또, 와이어의 다른 쪽 끝은 에어 실린더(23)에 고정하고, 에어 실린더(23)를 화살표 M, N방향으로 왕복동작시켜, 20,000회 왕복시켰을 때의 와이어의 사이드 스트랜드의 측소선의 소선끊김 개수를 조사했다. 20,000회 왕복시에 사이드 스트랜드의 측소선이 끊긴 개수를 이용하여 내피로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에어 실린더(23)는, 처음은 화살표 M방향으로 움직이고, 추(21)가 스토퍼(24)에 맞닿아 와이어의 장력이 35 kgf가 될 때까지 와이어를 M방향으로 견인하고, 그 장력을 0.5초간 유지한 후, 화살표 N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했다. 그리고, 와이어의 스트로크를 100mm, 속도는 20왕복/분으로 하고, 와이어와 고정 가이드(22a, 22b)의 슬라이딩부에는 올레핀계 윤활유를 충분히 도포했다.
(실시예 1)
강선(재질: JIS G3506 SWRH62A)에 아연 도금을 실시한 외경 0.93mm의 모재를 드로잉 가공하여, 직경이 0.13mm, 0.14mm, 0.15mm, 0.16mm, 0.17mm인 소선을 얻었다. 이들 소선을 피치 배율 11.28배가 되도록 함께 꼬아 도 1에 나타나는 구조(W(19)+8×7)를 가지는 직경 1.490mm의 와이어(1)를 제작했다. 또한, 도 1에서의 코어 스트랜드(2)의 심소선(2a)에는 직경 0.17mm의 소선을 이용하고, 측소선(2b)에는 직경 0.16mm의 소선을 이용하고, 측소선(2c)에는 직경 0.17mm의 소선을 이용하고, 측소선(2d)에는 직경 0.13mm의 소선을 이용하고, 사이드 스트랜드(3)의 심소선(3a)에는 직경 0.15mm의 소선을 이용하고, 측소선(3b)에는 직경 0.14mm의 소선을 이용했다. 그리고, 이 와이어를, 다이스에 의해 인발가공(감경율(減徑率) 7.5%)를 행하여, 측소선의 평활면의 축방향 길이가 측소선의 지름의 7.22배가 되는 실시예 1의 와이어를 얻었다.
(실시예 2~6)
표 1에 나타내는 사이드 스트랜드의 피치 배율 및 측소선의 지름에 대한 평활면 길이의 배수의 값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표 1에 나타내는 사이드 스트랜드의 피치 배율 및 측소선의 지름에 대한 평활면 길이의 배수를 가지는 실시예 2~5의 와이어를 얻었다. 한편, 다이스에 의한 인발가공시의 감경율은 각각, 9.3%(실시예 2), 9.8%(실시예 3), 6.8%(실시예 4), 7.5%(실시예 5)로 했다.
(비교예 1~4)
표 1에 나타내는 사이드 스트랜드의 피치 배율 및 측소선의 지름에 대한 평활면 길이의 배수의 값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표 1에 나타내는 사이드 스트랜드의 피치 배율 및 측소선의 지름에 대한 평활면 길이의 배수를 가지는 비교예 1~4의 와이어를 얻었다. 한편, 다이스에 의한 인발가공시의 감경율은 각각, 4.8%(비교예 1), 4.3%(비교예 2), 4.1%(비교예 3)로 했다.
이상의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에 대해서, 슬라이딩 특성 시험 및 내피로성 시험을 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홈 이동음에 대해서, 홈 이동음의 음량이 크게 신경이 쓰이는 경우는 ×, 소리의 발생을 확인할 수는 있지만 신경쓰이는 음량은 아닌 것에 대해서는 ○, 홈 이동음이 거의 들리지 않거나 또는 발생하지 않는 경우는 ◎로 했다.
또, 내피로성에 대해서는, 2만회에서 절단된 측소선이 없는 것을 ◎로 하고, 2만회에서 절단된 측소선이 총개수에 대해서 10% 미만인 것을 ○으로 하고, 2만회에서 절단된 측소선이 총개수에 대해서 10% 이상의 것을 ×로 했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나는 것처럼, 실시예 1~5에서는, 평활면 길이가 측소선의 지름의 4.8~11.0배의 범위내이기 때문에 홈 이동음의 억제가 모두 양호하고, 특히 실시예 1 및 2~5는 측소선의 지름의 5.8~9.2배의 범위내이기 때문에 홈 이동음의 억제가 우수했다.
또, 표 1에 나타나는 것처럼, 사이드 스트랜드의 피치 배율이 7.0~12.0배의 범위내인 실시예 1~4에서는, 2만회에서 절단된 측소선이 없어 내피로성이 우수했다. 또, 실시예 5에서는, 사이드 스트랜드의 피치 배율이 7.0~12.0배의 범위내이지만, 평활면의 길이가 사이드 스트랜드의 소선의 지름의 9.2배를 초과하여 12.0배 이내이기 때문에, 내피로성은 양호하지만 실시예 1~4에 비해 저하되어 있다. 이에 비해서, 비교예 1과 비교예 2에서는, 사이드 스트랜드의 피치 배율이 7.0~12.0배의 범위내이더라도, 평활면의 길이가 사이드 스트랜드의 소선의 지름의 4.8배 미만일 경우에는 홈 이동음이 크고(비교예 1), 평활면의 길이가 사이드 스트랜드의 소선의 지름의 11.0배보다 큰 경우에는 내피로성이 저하되어 있었다. 또, 비교예 3에서는, 사이드 스트랜드의 피치 배율이 7.0배 미만이기 때문에, 평활면 길이가 측소선의 지름의 4.8~11.0배의 범위내라 하더라도 내피로성이 저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은, 도 1에 나타나는 구조(W(19)+8×7)가 되도록 제조하여 슬라이딩 특성 시험 및 내피로성 시험을 행했지만, 다른 복꼬임 구조에 있어서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사이드 스트랜드의 피치 배율이 12.0배보다 큰 경우에는 조작용 와이어의 제조가 어려워 제조할 수 없었지만, 향후 어떠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스트랜드의 측소선의 지름에 대한 평활면 길이의 배율을 4.8~11.0배로 하고, 사이드 스트랜드의 피치 배율을 7.0~12.0배로 함으로써, 방향전환 부재와 와이어가 슬라이딩했을 때의 홈 이동음의 발생과, 와이어의 내피로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평활면의 축방향의 길이를 측소선의 지름의 5.8~9.2배로 함으로써, 홈 이동음의 발생을 보다 저하시키고, 내피로성의 저하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1 와이어
2 코어 스트랜드
2a 코어 스트랜드의 심소선
2b, 2c, 2d 코어 스트랜드의 측소선
3 사이드 스트랜드
3a 사이드 스트랜드의 심소선
3b 사이드 스트랜드의 측소선
C 와이어의 최외층을 잇는 가상원
D1 사이드 스트랜드의 측소선의 지름
D2 와이어의 지름
F 평탄부
L1 평활면의 길이
L2 사이드 스트랜드의 꼬임 피치 길이
P 평활면
X 축

Claims (3)

  1. 복수개의 소선을 함께 꼰 코어 스트랜드와, 상기 코어 스트랜드의 주위에 각각 복수개의 소선이 함께 꼬여진 복수개의 사이드 스트랜드가 함께 꼬여짐으로써 구성되는 복꼬임 구조를 가지는 조작용 와이어로서,
    상기 사이드 스트랜드의 측소선은, 상기 와이어의 외주상에 위치하는 부위에서, 상기 와이어의 지름방향 외측에 면하여, 상기 측소선의 둘레방향의 일부에 마련된 평탄부가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평활면을 가지고,
    상기 평활면의 축방향의 길이는, 상기 측소선의 지름의 4.8~11.0배이고,
    상기 사이드 스트랜드의 피치 배율은 7.0~12.0배인 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면의 축방향의 길이가, 상기 측소선의 지름의 5.8~9.2배인 와이어.
  3. 구동부, 종동부 및 수지제의 방향전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와 상기 종동부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와이어를 경유하여 접속되고,
    상기 와이어는 방향전환 부재에 대해서 소정의 하중으로 걸어 감겨지고,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켜서 상기 종동부를 이동시킬 때에, 상기 와이어가 상기 방향전환 부재의 위치에 대해서 상기 와이어의 연장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와이어 조작 기구.
KR1020167024675A 2014-03-13 2015-03-12 와이어 KR101846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0426A JP6209468B2 (ja) 2014-03-13 2014-03-13 ワイヤ
JPJP-P-2014-050426 2014-03-13
PCT/JP2015/057358 WO2015137462A1 (ja) 2014-03-13 2015-03-12 ワ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022A true KR20160132022A (ko) 2016-11-16
KR101846108B1 KR101846108B1 (ko) 2018-04-05

Family

ID=5407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675A KR101846108B1 (ko) 2014-03-13 2015-03-12 와이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138597B2 (ko)
EP (1) EP3118371B1 (ko)
JP (1) JP6209468B2 (ko)
KR (1) KR101846108B1 (ko)
CN (1) CN106103841B (ko)
HU (1) HUE048662T2 (ko)
MX (1) MX2016011883A (ko)
RU (1) RU2665400C2 (ko)
WO (1) WO20151374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7122A (zh) * 2018-07-26 2018-11-23 江苏鸿泽不锈钢丝绳有限公司 (1+6+6/6)结构的汽车车窗升降用不锈钢钢丝绳
RU186798U9 (ru) * 2018-10-08 2019-05-21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еверсталь" Канат-троллей
JP2024006020A (ja) * 2022-06-30 2024-01-17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ワイヤロー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8388A (ja) 1992-09-28 1994-04-19 Tokyo Seiko Co Ltd 異形線ストランドロープの製造方法
JP2006283269A (ja) 2005-03-11 2006-10-19 Hi-Lex Corporation 操作用インナー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51601A (en) * 1972-08-11 1974-07-23 John R. Naud Swaged wire rope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0811872B2 (ja) * 1990-11-29 1996-02-0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物品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及び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669754B2 (ja) * 1991-12-27 1997-10-29 日本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操作用ロープ
EP0550005B1 (en) * 1991-12-27 1997-03-05 Nippon Cable System Inc. Rope for operating
JP4097820B2 (ja) * 1998-12-25 2008-06-1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物品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
KR100705786B1 (ko) * 2005-03-29 2007-04-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래디알 타이어용 스틸코드
JP4628239B2 (ja) * 2005-10-13 2011-02-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物品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および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WO2010082666A1 (ja) * 2009-01-19 2010-07-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物品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
CN201843001U (zh) 2010-07-15 2011-05-25 江苏法尔胜技术开发中心有限公司 钢芯双压实钢绳
WO2012162556A1 (en) 2011-05-24 2012-11-29 Samson Rope Technologies Rope structures and methods
DE102011053795B4 (de) * 2011-09-20 2018-03-01 Küster Holding GmbH Seilzug eines Fensterhebers, Kraftübertragungsvorrichtung, Fensterheber und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8388A (ja) 1992-09-28 1994-04-19 Tokyo Seiko Co Ltd 異形線ストランドロープの製造方法
JP2006283269A (ja) 2005-03-11 2006-10-19 Hi-Lex Corporation 操作用インナー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6136479A (ru) 2018-04-13
US20170073889A1 (en) 2017-03-16
JP2015175067A (ja) 2015-10-05
EP3118371A1 (en) 2017-01-18
RU2665400C2 (ru) 2018-08-29
CN106103841B (zh) 2018-12-14
EP3118371A4 (en) 2017-10-11
WO2015137462A1 (ja) 2015-09-17
KR101846108B1 (ko) 2018-04-05
MX2016011883A (es) 2016-12-02
CN106103841A (zh) 2016-11-09
JP6209468B2 (ja) 2017-10-04
HUE048662T2 (hu) 2020-07-28
US10138597B2 (en) 2018-11-27
EP3118371B1 (en)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108B1 (ko) 와이어
JPWO2019176001A1 (ja) 電線導体、被覆電線、ワイヤーハーネス、および電線導体の製造方法
WO2014185527A1 (ja) アルミニウム電線の製造方法
US882694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wire
US8827820B1 (en) Flexible shaft with interference fit capability
JP4551820B2 (ja) ゴム補強用偏平ワイヤ
US7322220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rapezoidal wire using two-set shaping rollers
US20150000242A1 (en) Wire rope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latter
JP4773277B2 (ja) スチールコード製造装置及びゴム物品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の製造方法
JP2016212965A (ja) 耐屈曲電線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06193839A (ja) スチールコードおよびそのコードの製造方法
JP6040917B2 (ja) 集合導体の製造方法
WO2024005173A1 (ja) ワイヤロープ
JP2009057664A (ja) ゴム物品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の製造方法
JP4208227B2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JP2019102424A (ja) 編組シールド付ケーブル
JP3954661B2 (ja) 押し引き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用インナーケーブル
KR101639870B1 (ko) 강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5868762B2 (ja) スチールコード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たスチールコード
JP5485862B2 (ja) ワイヤロープ
JP2021188197A (ja) ワイヤロープ
JP2002020984A (ja) 防音有歯ケーブルの製造法
JP2009242979A (ja) ゴム構造物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の製造方法
JP2009212057A (ja) 自動車用編組ケーブル
JP2005307362A (ja) ゴム物品補強用金属コード及びそのコー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