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142A - 회전부품용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회전부품용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142A
KR20160128142A KR1020150060023A KR20150060023A KR20160128142A KR 20160128142 A KR20160128142 A KR 20160128142A KR 1020150060023 A KR1020150060023 A KR 1020150060023A KR 20150060023 A KR20150060023 A KR 20150060023A KR 20160128142 A KR20160128142 A KR 20160128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hole
guide
hinge shaft
support
suppo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0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8142A/ko
Publication of KR20160128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B23P21/002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the units stationary whilst being composed

Abstract

회전부품용 조립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회전부품용 조립장치는: 제1회전체의 제1연결공과 제2회전체의 제2연결공이 연통된 상태에서 제2연결공으로 삽입되어 가조립된 힌지축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와, 제2회전체의 하부를 지지하며 가이드부가 상하로 이동되기 위한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몸체부와, 지지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가이드부의 하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힌지축을 사이에 두고 가이드부와 마주하는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동되는 동작에 의해 힌지축을 제1연결공과 제2연결공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축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부품용 조립장치{ASSEMBLED DEVICE FOR ROTATING PARTS}
본 발명은 회전부품용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회전부품용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나 기계장치에 들어가는 부품 중에는 2개의 부품이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립공정을 갖는다. 회전이 이루어지는 2개의 부품은 힌지축이 관통되는 구멍을 서로 연통시킨 상태에서 프레스장치에 의해 힌지축을 조립하여 2개의 부품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종래에는 힌지축이 삽입되는 2개의 회전체 연결공이 서로 연통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조립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10339호(2001.02.05 공개, 발명의 명칭: 프레스형 다이세트 조립체)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회전부품용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품용 조립장치는: 제1회전체의 제1연결공과 제2회전체의 제2연결공이 연통된 상태에서 제2연결공으로 삽입되어 가조립된 힌지축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와, 제2회전체의 하부를 지지하며 가이드부가 상하로 이동되기 위한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몸체부와, 지지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가이드부의 하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힌지축을 사이에 두고 가이드부와 마주하는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동되는 동작에 의해 힌지축을 제1연결공과 제2연결공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축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부는, 지지몸체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몸체 및 가이드몸체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며 지지몸체부의 내측에 걸리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몸체부는, 가이드몸체가 상하로 이동되기 위한 연결통로를 구비하며 제2회전체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몸체 및 제1몸체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연결통로보다 큰 직경의 내측통로를 구비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며, 제2몸체의 내측에 걸림부재와 탄성부재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몸체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브라켓과, 지지브라켓에서 돌출되어 지지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방향성돌기 및 지지브라켓을 관통하여 지지몸체부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품용 조립장치는, 제1회전체의 제1연결공과 제2회전체의 제2연결공이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힌지축을 조립할 때 가이드부가 힌지축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여 힌지축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품용 조립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품용 조립장치가 동작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가압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몸체부와 가이드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몸체부와 가이드부를 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축이 제2연결공을 통해 제1연결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가압부가 하강되어 힌지축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축이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에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가압부가 힌지축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품용 조립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용 도어에 사용되는 부품의 생산에 회전부품용 조립장치가 사용됨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품용 조립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품용 조립장치가 동작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가압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몸체부와 가이드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몸체부와 가이드부를 분해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축이 제2연결공을 통해 제1연결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가압부가 하강되어 힌지축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축이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에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가압부가 힌지축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품용 조립장치(1)는, 제1회전체(70)의 제1연결공(74)과 제2회전체(80)의 제2연결공(84)이 연통된 상태에서 제2연결공(84)으로 삽입되어 가조립된 힌지축(90)을 지지하는 가이드부(10)와, 제2회전체(80)의 하부를 지지하며 가이드부(10)가 상하로 이동되기 위한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몸체부(20)와, 가이드부(10)의 내측에 설치되어 가이드부(10)의 하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30)와, 힌지축(90)을 사이에 두고 가이드부(10)와 마주하는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동되는 동작에 의해 힌지축(90)을 제1연결공(74)과 제2연결공(84)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축가압부(4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0)는 제1회전체(70)의 제1연결공(74)과 제2회전체(80)의 제2연결공(84)이 연통된 상태에서 제2연결공(84)으로 삽입되어 가조립된 힌지축(90)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10)는, 지지몸체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몸체(12)와, 가이드몸체(12)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며 지지몸체부(20)의 내측에 걸리는 걸림부재(14)를 포함한다.
가이드몸체(12)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 방향(이하 도 1기준)으로 설치된다. 가이드몸체(12)는 제1연결공(74)과 제2연결공(84)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힌지축(90)의 하부를 지지한다.
걸림부재(14)는 가이드몸체(12) 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며, 가이드몸체(12)의 하측에 연결된다. 걸림부재(14)는 지지몸체부(20)의 내측에 걸려서 가이드부(10)가 지지몸체부(20)의 상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한다.
지지몸체부(20)는 제2회전체(80)의 하부를 지지하며 가이드부(10)가 상하로 이동되기 위한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몸체부(20)는, 가이드몸체(12)가 상하로 이동되기 위한 연결통로를 구비하며 제2회전체(80)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몸체(22)와, 제1몸체(22)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연결통로보다 큰 직경의 내측통로를 구비하는 제2몸체(24)를 포함한다.
제1몸체(22)의 하측에 제2몸체(24)가 연결되며, 제2몸체(24)는 지지브라켓(50)에 체결된다. 제1몸체(22)의 내측에는 가이드부(10)의 가이드몸체(12)가 상하로 이동되기 위한 내측공간이 구비되며, 제2몸체(24)의 내측에는 걸림부재(14)와 탄성부재(30)가 이동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된다.
제2몸체(24)의 상측에는 통기공(26)이 구비된다. 통기공(26)은 제2몸체(24)의 내측에 구비된 공간과 제2몸체(24)의 외측을 연결하며, 걸림부재(14)가 상하로 이동될 때 걸림부재(14)와 제2몸체(24)의 상측 사이에 있는 공기가 통기공(26)을 통해 이동될 수 있으므로 걸림부재(14)의 상하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30)는 지지몸체부(20)의 내측에 설치되어 가이드부(10)의 하측을 탄성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30)는 가격대비 성능이 우수한 스프링을 사용한다. 제2몸체(24)의 내측에 걸림부재(14)와 탄성부재(30)가 위치하며, 스프링을 사용하는 탄성부재(30)는 걸림부재(14)의 하측을 지지한다.
축 가압부는 힌지축(90)을 사이에 두고 가이드부(10)와 마주하는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동되는 동작에 의해 힌지축(90)을 제1연결공(74)과 제2연결공(84)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축가압부(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축가압부(40)는 프레스장치를 사용하며, 프레스장치의 하측에는 가압핀(42)을 구비한다.
지지브라켓(5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몸체부(20)의 하측에 위치한다. 수평 형상으로 설치된 정반(65)의 상측에 지지브라켓(5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브라켓(50)의 상측에 지지몸체부(20)가 고정된다.
복수 개의 방향성돌기(55)는 지지브라켓(50)에서 돌출되어 지지몸체부(20)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지지몸체부(20)가 방향성을 가지며 지지브라켓(50)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볼트(60)는 지지브라켓(50)을 관통하여 지지몸체부(20)에 체결되므로, 방향성돌기(55)가 삽입되어 지지브라켓(50)에 가조립된 지지몸체부(20)를 지지브라켓(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회전체(70)와 제2회전체(80)는 힌지축(90)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러한 회전체는 차량용 도어를 포함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는 부품에 사용될 수 있다.
제1회전체(70)의 일측에 제1돌출편(72)이 구비되며, 제1돌출편(72)의 수직방향으로 제1연결공(74)이 형성된다. 제1회전체(70)와 힌지축(90)으로 연결되는 제2회전체(80)는 제1회전체(70)가 삽입되는 공간이 제2돌출편(82) 사이에 위치한다. 제2회전체(80)는 금속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돌출편(82)은 제2회전체(80)에서 돌출되어 제1돌출편(72)의 상하 양측에 위치한다.
제1돌출편(72)과 제2돌출편(82)에는 각각 제1연결공(74)과 제2연결공(84)이 구비되며, 제1돌출편(72)이 제2돌출편(82)의 사이에 삽입되면, 제1연결공(74)과 제2연결공(84)은 서로 연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품용 조립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0)가 지지몸체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제1회전체(70)와 제2회전체(80)를 지지몸체부(20)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가이드부(10)는 하측에 위치한 제2연결공(84)을 관통하여 제1연결공(74)의 내측에 위치하며, 힌지축(90)은 상측에 위치한 제2연결공(84)을 관통하여 제1연결공(74)의 내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힌지축(90)의 하부는 가이드몸체(12)의 상측에 접하므로, 힌지축(90)은 하측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제1회전체(70)와 제2회전체(80)에 가조립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가압부(40)가 하강하면서 가압핀(42)이 힌지축(90)을 하측으로 가압하면, 힌지축(90)이 가이드부(10)를 가압하면서 제1돌출편(72)을 관통하여 하측에 위치한 제2돌출편(82)에 삽입되기 시작한다. 탄성부재(30)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는 가이드부(10)는 탄성부재(30)의 탄성력보다 축가압부(40)의 가압력이 크므로 가이드부(10)는 힌지축(90)에 밀려서 서서히 하측으로 이동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90)이 제1회전체(70)의 제1돌출편(72)과 제2회전체(80)의 제2돌출편(82)을 관통하여 설치되면, 축가압부(40)의 하강 동작은 완료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핀(42)과 함께 축가압부(40)가 상승하면 제1회전체(70)와 제2회전체(80)와 힌지축(90)의 결합공정은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회전체(70)의 제1연결공(74)과 제2회전체(80)의 제2연결공(84)이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힌지축(90)을 조립할 때 가이드부(10)가 힌지축(90)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여 힌지축(9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자동차용 도어에 사용되는 부품의 생산에 회전부품용 조립장치가 사용됨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힌지축이 결합되는 다른 회전부품 조립에도 본 발명에 의한 회전부품용 조립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회전부품용 조립장치
10: 가이드부 12: 가이드몸체
14: 걸림부재 20: 지지몸체부
22: 제1몸체 24: 제2몸체
26: 통기공 30: 탄성부재
40: 축가압부 42: 가압핀
50: 지지브라켓 55: 방향성돌기
60: 고정볼트 65: 정반
70: 제1회전체 72: 제1돌출편
74: 제1연결공 80: 제2회전체
82: 제2돌출편 84: 제2연결공
90: 힌지축

Claims (4)

  1. 제1회전체의 제1연결공과 제2회전체의 제2연결공이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공으로 삽입되어 가조립된 힌지축을 지지하는 가이드부;
    상기 제2회전체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부가 상하로 이동되기 위한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몸체부;
    상기 지지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힌지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이드부와 마주하는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동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힌지축을 상기 제1연결공과 상기 제2연결공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축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품용 조립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몸체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몸체; 및
    상기 가이드몸체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몸체부의 내측에 걸리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품용 조립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부는, 상기 가이드몸체가 상하로 이동되기 위한 연결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2회전체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통로보다 큰 직경의 내측통로를 구비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몸체의 내측에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탄성부재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품용 조립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에서 돌출되어 상기 지지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방향성돌기; 및
    상기 지지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몸체부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품용 조립장치.
KR1020150060023A 2015-04-28 2015-04-28 회전부품용 조립장치 KR20160128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023A KR20160128142A (ko) 2015-04-28 2015-04-28 회전부품용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023A KR20160128142A (ko) 2015-04-28 2015-04-28 회전부품용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142A true KR20160128142A (ko) 2016-11-07

Family

ID=5752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023A KR20160128142A (ko) 2015-04-28 2015-04-28 회전부품용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81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2031A (zh) * 2019-12-27 2020-04-14 苏州阿罗米科技有限公司 一种铰链组件装配工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2031A (zh) * 2019-12-27 2020-04-14 苏州阿罗米科技有限公司 一种铰链组件装配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1929B2 (ja) クランプ装置用回転モジュール
CN102085539B (zh) 用于车辆轮罩的折边装置
KR100980035B1 (ko) 볼 조인트 압입 플러그 제조용 금형
CN105293028A (zh) 一种翻转定位系统
KR20120093373A (ko) 스텝 유닛
KR20160128142A (ko) 회전부품용 조립장치
KR100748675B1 (ko) 프레스용 금형 클램프 장치
US7617786B1 (en) Pressure adjustment structure for a presser foot of a sewing machine
CN110695207A (zh) 一种冲孔与折弯一体的治具和加工设备
KR102512445B1 (ko) 다공정 일원화 프레스 금형장치
KR100579277B1 (ko) 헤밍 프레스 장치
KR101738044B1 (ko)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
KR101733168B1 (ko) 프레스용 금형장치
KR100422655B1 (ko) 헤밍 프레스 장치
KR102029587B1 (ko) 프레스 금형용 가스스프링 내장형 피어싱 장치
CN114309258A (zh) 一种高压泵机械密封生产装置
KR20130025227A (ko) 힌지 및 그 제조 방법
CN210024498U (zh) 制动底板钻孔工装夹具及其制动底板夹持结构
KR20050068947A (ko) 헤밍 프레스 장치
KR101716095B1 (ko) 핀 터미널 압착기
KR101072305B1 (ko) 피어싱 프레스
CN210335727U (zh) 一种膨胀销夹具
KR101915357B1 (ko) 와셔 체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셔 체결 방법
CN216230816U (zh) 一种铜柱铆压设备
CN217800074U (zh) 一种内饰件的卡扣装配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