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254A - 조미분말 제조방법 및 조미분말 - Google Patents
조미분말 제조방법 및 조미분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5254A KR20160125254A KR1020150056196A KR20150056196A KR20160125254A KR 20160125254 A KR20160125254 A KR 20160125254A KR 1020150056196 A KR1020150056196 A KR 1020150056196A KR 20150056196 A KR20150056196 A KR 20150056196A KR 20160125254 A KR20160125254 A KR 201601252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der
- dried
- seasoning
- drying
- mix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5000011508 Diospyros virginian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40000000019 Diospyros kak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6795 Col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0000001644 Cola acumina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1824 Cola pachycarp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1829 Ow col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0257465 Echinoid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0000006108 Allium ampelopras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5254 Allium ampelopras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5717 Dioscorea ala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2723 Dioscorea al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7056 Dioscorea composi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9723 Dioscorea convolvulac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5362 Dioscorea floribund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4868 Dioscorea macrostachy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5361 Dioscorea nummulari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5360 Dioscorea spiculiflor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0599 Lentinula edode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5042 Zier Koh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6350 apichu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4879 dioscor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4347 Perill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0000003877 Perilla frutescen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4348 Perilla frutescen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0000005158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5995 Aluminium silic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PZZYQPZGQPZBDN-UHFFFAOYSA-N Aluminium silicate Chemical compound O=[Al]O[Si](=O)O[Al]=O PZZYQPZGQPZBD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208422 Rhododendron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1237745 Salam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2211 aluminium silic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362 mulc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5175 salami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2
- 230000014860 sensory perception of tast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35917 tast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3547 stew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abstract 2
- 235000012045 salad Nutrition 0.000 abstract 2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0000007742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129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7647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325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7964 Diospyros virgin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37536 Mytilus edul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147138 Mytilus galloprovinci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678 Panax pseudo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835 Viscer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306 acid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035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38 muss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08020004707 nucleic acid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19 tissue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61 Artemisia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891 Artemisia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366 Cephalo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25 denatu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25 denatu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97 healthy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2 mixed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16 parmesa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KEAYESYHFKHZAL-UHFFFAOYSA-N sodium Chemical compound [Na] KEAYESYHFKHZA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0 tallo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Abstract
본 발명은 국, 탕, 전골, 볶음, 찌개, 무침의 요리에 투입하여 보다 맛 좋은 음식을 제조할 수 있도록 화학 조미분말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조미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미분말에 관한 것이다.
특히, 화학적인 조미분말에서 느낄 수 있는 느끼한 맛을 제거하기 위해서 다양한 각종의 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하기 편리하게 제조하면서도 건조형 분말을 유지하고 있어 보존성이 좋고, 국, 탕, 전골, 볶음, 찌개, 무침 요리의 맛과 상기 요리와 분말 자체의 비린내 제거를 월등히 향상시키며, 건강에도 유익한 천연의 조미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미분말에 관한 것이다.
특히, 화학적인 조미분말에서 느낄 수 있는 느끼한 맛을 제거하기 위해서 다양한 각종의 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하기 편리하게 제조하면서도 건조형 분말을 유지하고 있어 보존성이 좋고, 국, 탕, 전골, 볶음, 찌개, 무침 요리의 맛과 상기 요리와 분말 자체의 비린내 제거를 월등히 향상시키며, 건강에도 유익한 천연의 조미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미분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국, 탕, 전골, 볶음, 찌개, 무침의 요리에 투입하여 보다 맛 좋은 음식을 제조할 수 있도록 화학 조미분말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조미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미분말에 관한 것이다. 특히, 화학적인 조미분말에서 느낄 수 있는 느끼한 맛을 제거하기 위해서 다양한 각종의 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하기 편리하게 제조하면서도 건조형 분말을 유지하고 있어 보존성이 좋고, 국, 탕, 전골, 볶음, 찌개, 무침 요리의 맛과 상기 요리와 분말 자체의 비린내 제거를 월등히 향상시키며, 건강에도 유익한 천연의 조미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미분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 탕, 전골, 볶음, 찌개, 무침 요리의 경우 주재료는 물론 양념을 추가하여 요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다수 우리나라 음식의 경우, 요리를 함에 있어서 파, 마늘, 양파, 다시마, 멸치 등의 양념이나 조미료를 첨가하여 요리한다. 특히 찌개나 국의 경우 국물을 우려내는데 있어서 이러한 양념의 역할은 투입되는 주재료에 비하여 세밀한 주의를 기울여야만 맛있는 음식이 조리된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양념이 존재하는데,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미원, 미풍, 다시다 등 다양한 화학 조미료가 있다. 이들은 모두 화학적인 배합으로 인하여 음식물에 독특한 향이나 맛을 가미하고자 하는 양념으로 사용이 광범위하다. 식당이나 가정에서는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조리되는 음식의 맛을 빠르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 화학조미료(양념)의 투입을 주저하지 않는 것이다.
이들 중 보다 혁신적인 조미료인 다시다의 제조형태를 살펴본다. 다시다의 경우 핵산처리라는 독특한 공정을 통해서 제조하게 되는데, 국물의 맛을 내기 위한 소고기에 균(=박테리아)를 뿌린 상태에서 약 38℃의 온도를 유지 시켜준다.
그러면 이 균은 소고기의 조직을 침투하여 분해시켜 마치 젤과 같은 상태로 만들어 주게 되는데, 바로 이러한 과정을 핵산처리라고 하는 것이다. 다시다의 경우 이러한 젤 상태의 결정물을 건조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양념이다.
그런데 이러한 모든 화학적인 양념이나 조미료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건강에 막대하게 유해한 것은 아니지만, 해로운 점이 있다. 맛을 내기 위해서 균을 이용하여 고기의 조직을 젤화시키는 과정에서 별도의 해로운 균이 침투하여 시식시 문제가 생길 여지도 있다.
또한 생화학적인 변성을 통해서 형성되는 맛은 완벽한 고기의 맛을 내지 못하고 흉내를 내는 정도의 것이기에 그 맛에서 질이 떨어질 소지가 많다.
본 발명은 국, 탕, 전골, 볶음, 찌개, 무침의 요리에 투입하여 보다 맛 좋은 음식을 제조할 수 있도록 화학 조미분말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조미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미분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화학적인 조미분말에서 느낄 수 있는 느끼한 맛을 제거하기 위해서 다양한 각종의 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하기 편리하게 제조하면서도 건조형 분말을 유지하고 있어 보존성이 좋고, 국, 탕, 전골, 볶음, 찌개, 무침 요리의 맛과 상기 요리와 분말 자체의 비린내 제거를 월등히 향상시키며, 건강에도 유익한 천연의 조미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미분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미분말의 제조방법은, 1단계; 건조된 콜라비 또는 무를 물에 불린 다음, 양배추와 브로콜리로 당절임한 발효액을 넣어 데치고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건채소분말로 이루어진 제 a1 재료를 만드는 단계와; 2단계; 감식초에 대게내장, 멍게살, 성게알을 넣어 1일~7일로 자연 숙성시킨 다음,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숙성해산물분말로 이루어진 제 a2 재료를 만드는 단계와; 3단계; 100∼120℃ 미역국에 도다리를 넣어 5∼25분간 끓이는 단계와, 이 단계 도다리의 살만 발라내어 건조시킨 도다리살분말,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디포리분말, 건조한 지중해 담치 또는 홍합의 분말인 건해산물분말,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건새우분말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본재료에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감잎분말과 건조하여 분쇄한 건다시마분말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제 a3 재료를 만드는 단계와; 4단계; 대파, 양파, 양파뿌리, 부추, 마늘을 각각 건조하여 분쇄 혼합하여 이루어진 제 a4 재료를 만드는 단계와; 5단계; 건조하여 분쇄한 건표고버섯분말, 강엿분말, 건조하여 분쇄한 건참마분말, 들깨분말, 건조하여 분쇄한 건조고추가루, 소금으로 이루어진 제 a5 재료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의 각각 재료를 배합하고 살균하는 단계를 거쳐 조미분말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 조미분말의 제조방법에 따른, 재료 100중량%에 대하여 제 a1 재료 40∼60중량%, 제 a2 재료 5~10중량%, 제 a3 재료 15∼20중량%, 제 a4 재료 10∼15중량%, 제 a5 재료 10∼15중량%으로 조미분말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 조미분말의 제조방법에 따른, 상기 배합은, 재료의 수분함량이 1~11% 때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미분말은, 1단계; 건조된 콜라비 또는 무를 물에 불린 다음, 양배추와 브로콜리로 당절임한 발효액을 넣어 데치고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건채소분말로 이루어진 제 a1 재료를 만드는 단계와; 2단계; 감식초에 대게내장, 멍게살, 성게알을 넣어 1일~7일로 자연 숙성시킨 다음,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숙성해산물분말로 이루어진 제 a2 재료를 만드는 단계와; 3단계; 100∼120℃ 미역국에 도다리를 넣어 5∼25분간 끓이는 단계와, 이 단계 도다리의 살만 발라내어 건조시킨 도다리살분말,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디포리분말, 건조한 지중해 담치 또는 홍합의 분말인 건해산물분말,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건새우분말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본재료에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감잎분말과 건조하여 분쇄한 건다시마분말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제 a3 재료를 만드는 단계와; 4단계; 대파, 양파, 양파뿌리, 부추, 마늘을 각각 건조하여 분쇄 혼합하여 이루어진 제 a4 재료를 만드는 단계와; 5단계; 건조하여 분쇄한 건표고버섯분말, 강엿분말, 건조하여 분쇄한 건참마분말, 들깨분말, 건조하여 분쇄한 건조고추가루, 소금으로 이루어진 제 a5 재료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의 각각 재료를 배합하고 살균하는 단계를 거쳐 조미분말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 조미분말에 따른, 재료 100중량%에 대하여 제 a1 재료 40∼60중량%, 제 a2 재료 5~10중량%, 제 a3 재료 15∼20중량%, 제 a4 재료 10∼15중량%, 제 a5 재료 10∼15중량%으로 조미분말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 조미분말에 따른, 상기 배합은, 재료의 수분함량이 1~11% 때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음식점, 가정에서 국, 탕, 전골, 볶음, 찌개, 무침의 요리를 할 때, 사용하던 화학조미료의 투입을 방지할 수 있는 천연의 조미료를 제조하여 보다 맛있는 건강 음식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간단한 방법으로 맛좋고 비린내 없으며, 질 좋은 천연의 조미료를 생산할 수 있기에 활용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국, 탕, 전골, 볶음, 찌개, 무침의 요리를 할 경우에, 혼합 분말 형태를 갖추고 있어 일정량 투입하는 모든 양념의 투입을 완성하기에 음식 제조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미분말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조미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은 먼저 조미분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고,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미분말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투입되는 재료는 크게 제 a1, a2, a3, a4, a5 재료이다. 여기서의 재료는 사실상 조미를 위한 분말과 동일한 용어이다.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모든 제 a1, a2, a3, a4, a5 재료의 구성요소 총합은 조미분말이라 칭한다. 상기 조미분말은 국, 탕, 전골, 볶음, 찌개, 무침의 요리에 넣는 통상적인 양념, 과립형 조미료, 천연 분말 조미료와 동일한 용어이다. 제 a4 재료의 경우 재배된 채소의 양념(조미료)을 투입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대파, 양파, 양파뿌리, 부추, 마늘로 한정하고 있다.
본 발명은 먼저 (1단계) 건조된 콜라비 또는 무를 물에 불린 다음, 양배추와 브로콜리로 당절임한 발효액을 넣어 데치고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건채소분말로 이루어진 제 a1 재료를 만드는 단계를 거치며 시작된다.
상기의 제 a1 재료는, 콜라비 또는 무를 수확하여 깨끗이 세척하고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건조한다. 상기 일정 크기는 1~3cm로 절단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콜라비 또는 무는, 건조하여 수분량이 최소화되게 보관한 것이므로 발효액을 넣어 데침이 이루어진다. 상기 데침은 콜라비 또는 무의 함수량을 높이고, 질감을 좋게하게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콜라비 또는 무를 재건조하게 된다. 상기 재건조 이후 재료의 분쇄를 통해 콜라비 또는 무 분말을 만든다. 이 분말의 함수율은 1~11%이다.
(2단계) 감식초에 대게내장, 멍게살, 성게알을 넣어 1일~7일로 자연 숙성시킨 다음,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숙성해산물분말로 이루어진 제 a2 재료를 만든다.
상기 대게내장, 멍게살, 성게알은 가공가기 전에는 각자 특이 냄새를 갖고 있다. 이에 감식초에 대게내장, 멍게살, 성게알을 넣어 상기 특이 냄새가 없어 질 때까지 숙성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대게내장, 멍게살, 성게알을 살균처리 및 영양을 높이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감식초는 감 100%로 자연발효와 숙성을 시킨 것이며, PH 미터기의 측정치는 3이상 4이하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여기서는 감 100%의 감식초를 사용하고 있어나 원재료 100%인 식초를 사용하여도 가능하며 혼합형 식초 또는 화학적 식초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3단계) 100∼120℃ 미역국에 도다리를 넣어 5∼25분간 끓이는 단계와, 이 단계 도다리의 살만 발라내어 건조시킨 도다리살분말,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디포리분말, 건조한 지중해 담치 또는 홍합의 분말인 건해산물분말,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건새우분말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본재료에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감잎분말과 건조하여 분쇄한 건다시마분말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제 a3 재료를 만든다.
상기 단계에서는 해산물 재료의 분쇄화를 손쉽게 하고, 건다시마분말과 건조한 감잎분말로 해산물의 특이 냄새를 제거한다.
상기 미역국에 도다리를 넣어 끊이는 것은, 도다리를 분말화하기 손쉽게 하기 위함과 살균처리 및 영양을 높이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 a3 재료에서 사용하는 감잎분말은 봄, 가을에 수확하여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한 것을 사용하며, 농약이 검출되지 않는 것을 사용한다.
(4단계) 대파, 양파, 양파뿌리, 부추, 마늘을 각각 건조하여 분쇄 혼합하여 이루어진 제 a4 재료를 만든다.
상기 제 a4 재료는 채소성을 높이는 재료이며, 국, 탕, 전골, 볶음, 찌개, 무침의 요리를 할 경우, 별도의 양념용 채소를 더 넣지 않고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5단계) 건조하여 분쇄한 건표고버섯분말, 강엿분말, 건조하여 분쇄한 건참마분말, 들깨분말, 건조하여 분쇄한 건조고추가루, 소금으로 이루어진 제 a5 재료를 혼합한다.
제 a5 재료는 각 재료를 분쇄 가공한 최종 분말의 함수율이 1~11%인 것이며, 여기서는 설탕을 넣는 대신 강엿분말을 사용하여 보다 건강한 조미분말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소금은 제 a1, a2, a3, a4, a5 재료의 상함을 방지하고, 이 재료 100중량%의 3%이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나트륨 함량을 최소화하고, 재료의 유통기한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량인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의 각각 재료를 배합하고 살균하여 포장한다.
상기 재료는, 재료 100중량%에 대하여 제 a1 재료 40∼60중량%, 제 a2 재료 5~10중량%, 제 a3 재료 15∼20중량%, 제 a4 재료 10∼15중량%, 제 a5 재료 10∼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배합은, 재료의 수분함량이 1~11% 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a1 재료:
콜라비 또는 무, 양배추와 브로콜리의 당절임 발효액(양배추4:브로콜리1:설탕5)
제 a2 재료:
감식초, 대게내장, 멍게살, 성게알
제 a3 재료:
미역국에 끓인 도다리살, 건조된 디포리, 건조된 지중해 담치 또는 홍합, 건새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본재료, 감잎, 건다시마
제 a4 재료:
대파, 양파, 양파뿌리, 부추, 마늘
제 a5 재료:
표고버섯, 강엿, 참마, 들깨, 고추가루, 소금
상기의 제 a1, a2, a3, a4, a5 재료의 건조는 분말 과정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함수율을 최소화로 건조되는데 여기서는 분말이 완료되는 시점의 함수율 1~11%로 기준하여 실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화학적 합성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천연의 원료만을 사용하므로 웰빙을 지향하는 소비자에게 우수한 천연 조미분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해산물의 비린내를 완전히 제거하여 구수한 맛과 기호성이 좋은 천연 조미료로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크다.
1; 액상 조미료를 담은 병
2; 분말 조미료를 수용한 파우치
Claims (6)
- 조미분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단계;
건조된 콜라비 또는 무를 물에 불린 다음, 양배추와 브로콜리로 당절임한 발효액을 넣어 데치고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건채소분말로 이루어진 제 a1 재료를 만드는 단계와;
2단계;
감식초에 대게내장, 멍게살, 성게알을 넣어 1일~7일로 자연 숙성시킨 다음,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숙성해산물분말로 이루어진 제 a2 재료를 만드는 단계와;
3단계;
100∼120℃ 미역국에 도다리를 넣어 5∼25분간 끓이는 단계와, 이 단계 도다리의 살만 발라내어 건조시킨 도다리살분말,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디포리분말, 건조한 지중해 담치 또는 홍합의 분말인 건해산물분말,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건새우분말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본재료에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감잎분말과 건조하여 분쇄한 건다시마분말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제 a3 재료를 만드는 단계와;
4단계;
대파, 양파, 양파뿌리, 부추, 마늘을 각각 건조하여 분쇄 혼합하여 이루어진 제 a4 재료를 만드는 단계와;
5단계;
건조하여 분쇄한 건표고버섯분말, 강엿분말, 건조하여 분쇄한 건참마분말, 들깨분말, 건조하여 분쇄한 건조고추가루, 소금으로 이루어진 제 a5 재료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의 각각 재료를 배합하고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미분말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재료 100중량%에 대하여 제 a1 재료 40∼60중량%, 제 a2 재료 5~10중량%, 제 a3 재료 15∼20중량%, 제 a4 재료 10∼15중량%, 제 a5 재료 10∼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분말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은, 재료의 수분함량이 1~11% 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분말 제조방법. - 조미분말에 있어서,
1단계;
건조된 콜라비 또는 무를 물에 불린 다음, 양배추와 브로콜리로 당절임한 발효액을 넣어 데치고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건채소분말로 이루어진 제 a1 재료를 만드는 단계와;
2단계;
감식초에 대게내장, 멍게살, 성게알을 넣어 1일~7일로 자연 숙성시킨 다음,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숙성해산물분말로 이루어진 제 a2 재료를 만드는 단계와;
3단계;
100∼120℃ 미역국에 도다리를 넣어 5∼25분간 끓이는 단계와, 이 단계 도다리의 살만 발라내어 건조시킨 도다리살분말,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디포리분말, 건조한 지중해 담치 또는 홍합의 분말인 건해산물분말,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건새우분말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본재료에 건조하여 분쇄 가공한 감잎분말과 건조하여 분쇄한 건다시마분말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제 a3 재료를 만드는 단계와;
4단계;
대파, 양파, 양파뿌리, 부추, 마늘을 각각 건조하여 분쇄 혼합하여 이루어진 제 a4 재료를 만드는 단계와;
5단계;
건조하여 분쇄한 건표고버섯분말, 강엿분말, 건조하여 분쇄한 건참마분말, 들깨분말, 건조하여 분쇄한 건조고추가루, 소금으로 이루어진 제 a5 재료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의 각각 재료를 배합하고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미분말. - 제 4 항에 있어서,
재료 100중량%에 대하여 제 a1 재료 40∼60중량%, 제 a2 재료 5~10중량%, 제 a3 재료 15∼20중량%, 제 a4 재료 10∼15중량%, 제 a5 재료 10∼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분말.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은, 재료의 수분함량이 1~11% 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분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6196A KR20160125254A (ko) | 2015-04-21 | 2015-04-21 | 조미분말 제조방법 및 조미분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6196A KR20160125254A (ko) | 2015-04-21 | 2015-04-21 | 조미분말 제조방법 및 조미분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5254A true KR20160125254A (ko) | 2016-10-31 |
Family
ID=5744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6196A KR20160125254A (ko) | 2015-04-21 | 2015-04-21 | 조미분말 제조방법 및 조미분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2525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51940A (zh) * | 2017-11-01 | 2018-03-06 | 王成林 | 一种鲜五香调味液的制作方法 |
KR102278498B1 (ko) * | 2020-11-10 | 2021-07-16 | 장미숙 | 버섯을 포함하는 조미료 및 그 제조 방법 |
-
2015
- 2015-04-21 KR KR1020150056196A patent/KR20160125254A/ko unkno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51940A (zh) * | 2017-11-01 | 2018-03-06 | 王成林 | 一种鲜五香调味液的制作方法 |
KR102278498B1 (ko) * | 2020-11-10 | 2021-07-16 | 장미숙 | 버섯을 포함하는 조미료 및 그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279244B2 (ja) | 粉砕紫蘇の葉及びジェノバソースの製造方法 | |
KR20170126222A (ko) | 화학 첨가물을 함유하지 않는 천연 소시지의 제조방법 | |
KR20160125254A (ko) | 조미분말 제조방법 및 조미분말 | |
KR101434828B1 (ko) | 버섯 함유 수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버섯 함유 수프 | |
KR100329416B1 (ko) | 분말상김치혼합양념의제조방법 | |
KR20190069066A (ko) |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용 조성물 및 동결건조 김치부침개 블록 | |
KR102101123B1 (ko) | 김치분말양념의 제조방법 | |
KR101431811B1 (ko) | 야채류 김치 소스의 제조 방법 | |
KR101281138B1 (ko) | 새우젓케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JP4885802B2 (ja) | 無塩又は低塩のみそ系調味料の製造法及びその製品 | |
JP2002325550A (ja) | 香味増強素材、これを含む調理食品又は調理食品用基材 | |
KR20200048120A (ko) | 청양고추와 젓갈을 이용한 무채김치의 제조방법 | |
KR101497121B1 (ko) | 참게 매운탕용 메기 다대기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메기 다대기 및 이를 이용한 참게 매운탕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52275B1 (ko) | 다용도용 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65018B1 (ko) | 유산균 복합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고기만두의 제조방법 | |
KR101956476B1 (ko) | 양파 발효 집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파 발효 집장 | |
RU2291651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щи по-уральски" специаль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варианты) | |
KR20110002309A (ko) | 저 자극성 생 두부 쌈장 제조 방법 및 저 자극성 생두부 쌈장 | |
JP2010220501A (ja) | 丼物用加工卵液セット及び丼物の製造方法 | |
KR101904099B1 (ko) | 제품 몸국 제조방법 | |
JP2000312574A (ja) | 食品保存用製剤 | |
RU2576187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випавский суп" | |
JP5658533B2 (ja) | マヨネーズ組成物 | |
KR101582666B1 (ko) | 칼국수용 홍게 육수의 제조방법 및 그 칼국수용 홍게 육수 | |
RU2576894C1 (ru) |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сервов "тефтели с капустой в томатном соус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