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741A - Rainwater harvesting facilities and portable rainwater storage tanks and water transportation method for rainwater - Google Patents

Rainwater harvesting facilities and portable rainwater storage tanks and water transportation method for rain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741A
KR20160121741A KR1020150051067A KR20150051067A KR20160121741A KR 20160121741 A KR20160121741 A KR 20160121741A KR 1020150051067 A KR1020150051067 A KR 1020150051067A KR 20150051067 A KR20150051067 A KR 20150051067A KR 20160121741 A KR20160121741 A KR 20160121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orage tank
screen
water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0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38594B9 (en
KR102338594B1 (en
Inventor
한무영
박현주
주성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1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594B1/en
Priority to PCT/KR2016/003471 priority patent/WO2016163700A1/en
Publication of KR20160121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7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594B1/en
Publication of KR10233859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594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ainwater collection facilities, a portable rainwater storage tank, and a water transportation method for rainwater. More specifically, rainwater is collected by the rainwater collection facilities, transferred in water, and then used by floating the rainwater on water in a place of use. The rainwater collection facilities are in the shape of a blind having a screen, can collect rainwater by spreading the screen in case of rain, and can minimize the volume by folding the screen on a day without rain. In addition, the rainwater collection facilities can move on water and the ground in an easy manner and have wheels capable of protecting sides of a body during transportation on water. The rainwater collection facilities enable a user to use rain water even in an area lacking sufficient rainfall and thus can solve water deficiency problems. The rainwater storage tank has facilities capable of purifying rainwater and thus can purify and use rainwater in an easy manner. Moreover, the rainwater collection facilities can discharge contaminants, settled in the bottom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to the outside in an easy manner by a siphon method. In addition, the rainwater collection facilities can transfer the rainwater storage tank on water in an easy manner by utilizing separation walls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as a buoyancy space and using the wheels as a posture control structure.

Description

빗물 집수 설비와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 및 빗물 수상 이동 방법{RAINWATER HARVESTING FACILITIES AND PORTABLE RAINWATER STORAGE TANKS AND WATER TRANSPORTATION METHOD FOR RAINWAT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ainwater collecting facilities, portable rainwater storage tanks,

본 발명은 빗물 집수 설비와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 및 빗물 수상 이동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빗물 집수 설비로 빗물을 집수하고 수상 이송한 후 사용처에서 수상에 부상시켜 사용할 수 있는 빗물 집수 설비와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 및 빗물 수상 이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collecting facility, a movable rainwater storage tank, and a rainwater transfer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collecting facility capable of collecting rainwater, Tank and rainwater pumping system.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01026호에는 육면체형 박스 구조로 형성된 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 저장탱크와,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관에서 분기된 다음 케이스 내측으로 연결되어 빗물 저장탱크에 빗물을 공급하되, 빗물 저장탱크 내의 끝단부는 빗물 저장탱크의 하측부에 위치되게 이루어진 유입부와, 취수관 및 취수 펌프가 구비되어 빗물 저장탱크 내의 빗물을 취수하는 부분으로서, 취수관에서 빗물이 유입되는 취수구는 부력체에 의해 항상 수면 아래 일정 깊이에서 빗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취수부와, 취수부의 취수관 끝단부에 연결되어 빗물 저장탱크에 저장된 빗물이 유출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빗물 저금통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01026 discloses a rainwater storage tank provided in a case formed in a hexahedral box structure for storing rainwater and a rainwater storage tank connected to an inner side of a branch pipe branched from a drain pipe for discharging rainwater, The rainwater collecting tank is provided with an inlet portion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an end portion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is provided with a water intake pipe and a water intake pump. The water intake portion receives rainwater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Discloses a rainwater storage box provided with a water intake portion configured to always receive rainwater at a predetermined depth below the water surface by the buoyant body and an outlet portion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pipe end portion of the water intake portion and through which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flows out .

이러한 구조를 갖는 기존의 빗물 저류/정화/취수 구조는 빗물을 집수하는 홈통과 같은 구조물에 연결되어, 집수되는 빗물을 내부에서 정화한 후 용수로 공급한다.The conventional rainwater storage / purification / water intake structure having such a structure is connected to a structure such as a trough for collecting rainwater, and the rainwater to be collected is purified from inside and supplied to the water.

하지만, 이는 강우량이 어느 정도 이상되는 지역에서만 적용될 수 있으며, 강우량이 극히 적은 지역에서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can be applied only in a region where the rainfall is somewhat above a certain level, and is not applicable in an area where rainfall is extremely small.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0102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01026

본 발명의 목적은 강우량이 적은 지역에서도 빗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rainwater to be used even in areas with low rainfall.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의 지붕 가장자리에 탈착될 수 있는 제 1 바와, 제 1 바와 결합되는 제 1 스크린, 제 1 스크린과 결합된 제 2 스크린, 제 2 스크린과 결합된 홈통, 제 1 스크린과 제 2 스크린의 측면을 지지하는 사이드바, 사이드바가 지면에 기립할 수 있도록 결합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빗물 집수 설비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bar that can be detached at the roof edge of a building, a first screen coupled to the first bar, a second screen coupled with the first screen, A side bar for supporting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and a pedestal coupled to the side bar so as to stand on the ground.

또한, 본 발명은 중공의 몸체와, 몸체 내의 바닥을 다수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격벽, 격벽에 의해 구획된 다수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 구비된 빗물 유입구, 빗물 유입구와 연결되어 몸체의 내부에 위치된 유입 캄 인렛, 빗물 유입구에 구비된 스크린, 유입 캄 인렛 유출구에 구비된 침전컵, 침전컵 바닥에 침전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사이펀, 빗물 유입구가 구비된 구역 이외의 구역에 구비된 빗물 유출구를 포함하는 빗물 저장탱크를 제공하며,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hollow body;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bottom of the body into a plurality of spaces; a rainwater inlet provided in any one of a plurality of space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A screen provided in the rainwater inflow port, a precipitation cup provided in the inflow cam inlet outlet, a siphon for discharging the pollutants settled on the bottom of the precipitation cup, a rainwater outlet provided in the area other than the area provided with the rainwater inflow port And a rainwater storage tank,

전술된 구조의 빗물 저장탱크를 수상으로 이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ansporting rainwater storage tanks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o an aquifer.

본 발명은 스크린을 갖는 블라인드 형태의 빗물 집수 설비를 구비하여, 우천시에는 펼쳐서 빗물을 집수할 수 있으며 비가 오지 않는 평일에는 스크린을 접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깨끗한 집수면을 유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blind-type rainwater collecting facility having a screen, and can spread rainwater when raining, and can minimize the volume by folding the screen on a non-rainy weekday, and can maintain a clean water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수상과 지상을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수상 이동 시 바퀴가 몸체의 측면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move the water phase and the ground, and the wheel can protect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from impact during water movement.

본 발명은 강우량이 부족한 지역에서도 빗물을 사용할 수 있어 물 부족을 해결할 수 있으며, 빗물 저장탱크 내부에 빗물을 정화할 수 있는 시설을 구비하여 빗물을 쉽게 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rainwater even in a region where rainfall is insufficient and can solve water shortage, and a facility for purifying rainwater in a rainwater storage tank is provided, so that rainwater can be easily purified.

또한, 본 발명은 빗물 저장탱크 내의 바닥에 침전되는 오염물질을 사이펀 방식에 의해서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minants settling on the bottom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a siphon system.

본 발명은 빗물 저장탱크 내부의 격벽을 부력 공간으로 활용하고 바퀴를 자세 제어 구조로 사용하여 빗물 저장탱크를 쉽게 수상 이동시킬 수 있다.The rainwater storage tank can be easily water-moved by using the partition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as a buoyancy space and using the wheel as the posture control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집수 설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탱크의 내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탱크의 캄 인렛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장탱크의 캄 인렛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탱크의 격벽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장탱크의 격벽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탱크의 자세 제어 구조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inwater collect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amellet perspective view of a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amellet perspective view of a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tion wall of a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lkhead of a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the attitude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빗물을 집수하는 빗물 집수 설비와, 이와 같은 빗물 집수 설비에서 빗물을 공급받아 내부에서 정화하는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에 빗물이 저장되면 이를 사용처까지 수상 이동시키는 빗물 수상 이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구현하기 위한 3가지 요소인 빗물 집수 설비와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 및 빗물 수상 이동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collecting facility for collecting rainwater, a movable rainwater storage tank for receiving rainwater from the rainwater collecting facility and purifying the rainwater from the rainwater collecting facility, a stormwater moving method for moving the rainwater to the use place when rainwater is stored in the movable rainwater storage tank And a rainwater collecting facility, a movable rainwater storage tank, and a rainwater transfer method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집수 설비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inwater collect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집수 설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지붕 가장자리에 탈착될 수 있는 제 1 바(10)와, 제 1 바(10)와 결합되는 제 1 스크린(20), 제 1 스크린(20)과 결합된 제 2 스크린(30), 제 2 스크린(30)과 결합된 홈통(40), 제 1 스크린(20)과 제 2 스크린(30)의 측면을 지지하는 사이드바(50), 사이드바(50)가 지면에 기립할 수 있도록 결합된 받침대(60)를 포함한다.1, a rainwater collec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r 10 that can be detached from a roof edge of a building, a first screen 20 coupled with the first bar 10, A second screen 30 coupled with the first screen 20, a trough 40 coupled with the second screen 30, a side bar (not shown) supporting the sides of the first screen 20 and the second screen 30 50, and a pedestal 60 that is coupled so that the side bar 50 can stand on the ground.

제 1 바(10)는 봉의 형태로서, 제 1 스크린(20)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구비된다. 본 실시예는 제 1 스크린(20)이 직사각형태인 것을 예시하며, 제 1 바(10)는 제 1 스크린(20)의 가장 긴 일 가장자리에 결합된다. 제 2 스크린(30)은 제 1 스크린(20)과 동일한 형상으로서 제 1 스크린(20)에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스크린(30)의 가장 긴 일 가장자리는 홈통(40)이 결합된다.The first bar 10 is in the form of a rod extending along one edge of the first screen 20. This embodiment illustrates that the first screen 20 is rectangular and the first bar 10 is joined to the longest one edge of the first screen 20. The second screen 30 preferably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creen 20 and extends from the first screen 20. In addition, the longest one edge of the second screen 30 is coupled to the trough 40.

사이드바(50)는 제 1 스크린(20)과 제 2 스크린(30)의 짧은 양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지면에서 기립할 수 있도록 지탱한다. 이러한 사이드바(50)는 'y'형태로서, 제 1 스크린(20)과 제 2 스크린(30) 사이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집수 설비는 평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있다가, 우천시에는 제 2 스크린(30)이 제 1 스크린(20)으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펼쳐져서 홈통(40)으로 빗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 1 스크린(20) 역시 하부가 상부 방향으로 상승하도록 하며, 최종적으로 제 1 스크린(20)과 제 2 스크린(30)은 거의 일자로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de bar 50 supports the short side edges of the first screen 20 and the second screen 30 and supports the side edges so as to stand on the ground. This sidebar 50 is of the 'y' shape, allowing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creen 20 and the second screen 30 to be varied. 1, the second screen 30 is extended from the first screen 2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form the trough 40, and the rainwater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as shown in FIG. 1 on a weekday, To allow the rainwater to move. At this time,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first screen 20 is also raised in the upward direction, and finally, the first screen 20 and the second screen 30 are spread in almost a straight lin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크린을 갖는 블라인드 형태의 빗물 집수 설비를 구비하여, 우천시에는 펼쳐서 빗물을 집수할 수 있으며 비가 오지 않는 평일에는 스크린을 접어 부피를 최소화하고, 집수면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blind-type rainwater collecting facility having a screen, and can spread rainwater on rainy days. In case of non-rain on a weekday, the screen can be folded to minimize volume and to keep the water surface clean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탱크의 내부 사시도이다.2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탱크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의 몸체(100)와, 몸체(100) 내의 바닥을 다수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격벽(200), 격벽(200)에 의해 구획된 다수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 구비된 빗물 유입구(300), 빗물 유입구(300)와 연결되어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된 유입 캄 인렛(500), 빗물 유입구(300)에 구비된 스크린, 유입 캄 인렛(500) 유출구에 구비된 침전컵(600), 침전컵(600) 바닥에 침전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사이펀(700), 빗물 유입구(300)가 구비된 구역 이외의 구역에 구비된 빗물 유출구(800)를 포함한다.2, the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body 100, a partition 200 partitioning the bottom of the body 100 into a plurality of spaces, a partition wall 200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200, A rainwater inflow port 300 provided in any one of a plurality of zones, an inflow cam inlet 500 connected to the rainwater inflow port 300 and positioned inside the body 100, a screen provided on the rainwater inflow port 300, A siphon 700 for discharging contaminants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settling cup 600 and a rainwater inflow port 300 are provided in a zone other than the zone where the rainwater inflow port 300 is provided And a rainwater outlet (800).

몸체(100)는 속이 비어있는 중공의 형태로서, 부력에 의해 수상에 떠 있을 수 있도록 수지 재질과 같이 밀도가 물 보다 적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몸체(100)는 외형이 하마와 같은 동물의 형상일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100 is hollow, hollow and has a density less than that of water, such as a resin material, so as to float on the water due to buoyancy. Such a body 100 may have the appearance of an animal such as a hippopotamus.

격벽(200)은 몸체(100) 내에서 바닥을 다수개의 구역으로 구획한다. 본 실시예는 격벽(200)이 몸체(100)의 가로로 형성되는 가로 격벽(210)과, 몸체(100)의 세로로 형성되는 세로 격벽(220)을 포함하며, 가로 격벽(210)과 세로 격벽(220)은 서로 교차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또한, 이에 따라, 몸체(100) 내의 바닥에는 4개의 구역이 구획되며, 본 실시예서는 빗물이 몸체(100) 내에 유입되어 정화된 후 유출되는 순서대로 4개의 구역을 제 1 구역(S1)과 제 2 구역(S2), 제 3 구역(S3) 및 제 4 구역(S4)으로 정의한다. 또한, 제 1 구역(S1)에는 침전컵(600)이 위치되며, 제 4 구역(S4)에는 빗물 유출구(800)가 형성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로 격벽(210)과 세로 격벽(220)이 1개 이상씩 구비되어 구획되는 구역 역시 4개 이상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각 구역의 하부에는 침전된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침전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는 제 1 내지 제 4 구역(S1~S4)이 구획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므로, 제 1 내지 제 4 구역(S1~S4) 각각에는 침전물 배출구 역시 제 1 내지 제 4 침전물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4 구역(S1~S4) 각각의 바닥은 경사면이 되도록 하고 제 1 내지 제 4 침전물 배출구를 경사면에서 가장 낮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하여, 침전된 오염물질이 쉽게 제 1 내지 제 4 침전물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침전물 배출구에는 제 1 내지 제 4 드레인 밸브(미도시)를 각각 설치할 수 있다.The partition 200 divides the floor into a plurality of spaces in the body 100.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rier rib 200 includes a horizontal barrier rib 210 and a vertical barrier rib 22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0, The barrier ribs 220 are illustrated as being intersected with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four zones are divided into a first zone S1 and a second zone S1 in the order in which the rainwater is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and purified and then discharged. A second zone S2, a third zone S3 and a fourth zone S4. The precipitation cup 600 is positioned in the first zone S1 and the rainwater outlet 800 is formed in the fourth zone S4.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area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barrier ribs 210 and the vertical barrier ribs 220 are partitioned may be four or more. Here, it is preferable that a sediment outlet for discharging the settled contaminants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each zon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irst to fourth zones S1 to S4 are partitioned, In each of the four zones S1 to S4, the first to fourth precipitate outlets (not shown) are also formed. Here, the bottom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zones S1 to S4 is made to be a slope and the first to fourth sediment discharge ports are located at the lowest point on the slope so that the deposited pollutants can easily reach the first to fourth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to the sediment outlet. In addition, first to fourth drain valves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the first to fourth sediment discharge ports, respectively.

빗물 유입구(300)는 제 1 구역(S1)에 설치되어 유입 캄 인렛(500)에 의해 몸체(100) 내부로 연장된다. 이러한, 빗물 유입구(300)에는 스크린(400)이 설치되어 빗물 유입구(300)에 유입되는 빗물을 1차 정화한다. 또한, 빗물 유입구(300)에는 몸체(100)에 빗물을 저장한 후 이물질이 빗물 유입구(300)를 통해 몸체(10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빗물 유입구 덮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rainwater inflow port 300 is installed in the first area S1 and extends into the body 100 by the inflow cam inlet 500. [ The screen 400 is installed in the rainwater inflow port 300 to primarily clean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rainwater inflow port 300. The rainwater inflow port 300 may be provided with a rainwater inflow port cover (not shown) so that rainwater is stored in the body 100 and foreign substances ar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body 100 through the rainwater inflow port 30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탱크의 캄 인렛 사시도이다.3 is a camellet perspective view of a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유입 캄 인렛(500)은 빗물 유입구(300)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침전컵(600)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유입 캄 인렛(500)은 유입 캄 인렛 배관(510)과, 상향 절곡된 유입 캄 인렛 절곡관(520)을 포함한다.The inflow cam inlet (500) moves the rainwater flowing in the rainwater inflow port (300) to the settling cup (600). The inlet cam inlet 500 includes an inlet cam inlet pipe 510 and an upwardly curved inlet inlet inlet bend tube 520.

유입 캄 인렛 배관(510)은 빗물 유입구(300)와 연결되어 하향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관 형상이며, 유입 캄 인렛 배관(510)의 일측은 빗물 유입구(300)와 연결되며, 유입 캄 인렛 배관(510)의 타측에는 유입 캄 인렛 절곡관(520)이 구비된다.The inflow cam inlet pipe 510 is connected to the rainwater inflow port 300 and has a hollow tube shape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One side of the inflow cam inlet pipe 510 is connected to the rainwater inflow port 300, And an inflow cam inlet bent tube 52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let cam groove 51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장탱크의 캄 인렛 사시도이다.4 is a camelet perspective view of a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유입 캄 인렛 절곡관(520)은 빗물 유입구(300)에서 유입되어 유입 캄 인렛 배관(510)을 통과한 빗물을 침전컵(600)으로 배출한다. 여기서, 유입 캄 인렛 절곡관(520)의 역할은 유입 캄 인렛 배관(510)으로 유입되는 빗물의 유속을 늦추어 침전컵(600)의 바닥에 침전된 오염물질이 부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므로, 빗물 유입구(300) 방향으로 상향 절곡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유입 캄 인렛 절곡관(520)의 지름은 일정한 것을 예시하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캄 인렛 절곡관(520)의 지름을 빗물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하여 빗물의 유속을 더욱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캄 인렛 절곡관(520)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다수개의 유입 캄 인렛 절곡관(520)이 구비되면 빗물의 유속을 더욱 느리게 할 수 있다.The inflow cam inlet bending pipe 520 flows in the rainwater inflow port 300 and discharges the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inflow cam inlet pipe 510 to the settling cup 600. Here, the function of the inflow cam inlet flexure pipe 520 is to prevent the contaminants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settling cup 600 from floating by slowing down the flow rate of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inflow cam inlet pipe 510, 300). ≪ / RTI > As shown in FIG. 3, the diameter of the inflow cam inlet inflection tube 520 is increased as the inflow direction of the inflowing cam inlet inflection tube 520 increases towar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ainwater, It may be further reduced. 4, a plurality of inflow cam inlet inflection tubes 520 may be provided. If a plurality of inflow cam inlet inflection tubes 520 ar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flow velocity of the rainwater can be further reduced .

침전컵(600)은 유입 캄 인렛(500)을 통해 유입된 빗물을 2차 정화시킨 후 상부의 빗물을 월류시킨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는 침전컵(600)을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유입 캄 인렛(500)이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형상에 의해, 유입 캄 인렛(500)을 통해 침전컵(600) 내부로 유입된 빗물은 침전컵(600) 내부에 일정시간동안 머무르게 되며, 이 동안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침전컵(600)의 바닥에 침전되며 침전컵(600)이 가득차면 침전컵(600)의 하부보다 상대적으로 깨끗한 침전컵(600)의 상부 빗물이 제 1 구역(S1)으로 월류하게 된다. 여기서, 침전컵(600)의 바닥은 후술될 바닥 홀이 형성된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침전된 오염물질을 밀집시키는데 효과적이다.The settling cup 600 secondly cleans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cam inlet 500, and then overflows the upper rainwater. 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the settling cup 600 is formed into a cup shape with its top opened, and the inflowing cam inlet 500 is positioned therei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precipitation cup 600 through the inflow cam inlet 500 stays in the precipitation cup 60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During this period, And the upper rainwater of the settling cup 600 relatively cleaner than the lower portion of the settling cup 600 flows into the first section S1 when the settling cup 600 is filled. Here, the bottom of the settling cup 600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ttom hole is form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effectively collect the settled contaminants.

사이펀(700)은 침전컵(600) 바닥에 침전된 오염물질을 몸체(10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침전컵(600) 바닥 홀과 연결되며 곡관인 사이펀 관(710), 침전컵(600) 바닥 홀을 단속하는 덮개(711), 덮개(71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레버(712)를 포함한다. 제어 레버(712)는 레버와, 레버에서 연장된 레버 바, 및 레버 바와 덮개(711)를 연결하는 줄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은 침전컵(600) 바닥에 오염물질이 침전되어 일정량 이상이 쌓이면 레버를 누르고, 이에 따라 레버에서 연장된 레버 바가 상부로 들리며 덮개(711)와 연결된 줄을 당기게 되어 덮개(711)가 열리게 된다. 덮개(711)가 열리게 되면, 사이펀(700) 현상에 의해서 침전컵(600) 바닥의 오염물질은 침전컵(600)에 저장된 빗물과 함께 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침전컵(600) 바닥은 배출구(미도시)가 있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침전된 오염물질을 배출구 방향으로 모아서 배출하는데 효과적이다.The siphon 700 is for discharging the contaminants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settling cup 600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and includes a siphon tube 710 connected to the bottom hole of the settling cup 600, A cover 711 for interrupting the bottom hole, and a control lever 712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711. The control lever 712 includes a lever, a lever bar extending from the lever, and a line connecting the lever bar 7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aminant is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settling cup 600 and accumulated more than a certain amount, the lever is pressed so that the lever bar extending from the lever is lifted up and pulls the string connected to the cover 711 The lid 711 is opened. When the lid 711 is opened, contaminants on the bottom of the settling cup 600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together with the rainwater stored in the settling cup 600 by the phenomenon of the siphon 700. 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settling cup 600 is formed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not shown), which is effective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the settled contaminants toward the discharge port.

빗물 유출구(800)는 제 4 구역(S4)으로 이동한 빗물을 취수하여 유출시키며, 유출된 빗물은 용수로 이용된다. 이때, 빗물 유출구(800)는 유입 캄 인렛(500) 구조에 의해 제 4 구역(S4) 바닥에 침전된 오염물질이 취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빗물 유출구(800)와 함께 제 4 구역(S4)의 몸체(100)에 수도꼭지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빗물 유출구(800)에는 오염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빗물 유출구(800)를 개폐할 수 있는 빗물 유출구 덮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rainwater outlet 800 collects the rainwater that has migrated to the fourth zone S4 and discharges the rainwater, and the discharged rainwater is used as the wat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ainwater outflow outlet 800 prevents the contaminants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fourth zone S4 from being collected by the inflow cam inlet 500 structure. Of course, a faucet or the like may be installed on the body 100 of the fourth zone S4 together with the rainwater outlet 800. [ The rainwater outlet 800 may be provided with a rainwater outlet cover (not shown) that can open and close the rainwater outlet 800 to prevent contaminants from entering the rainwater outlet 800.

한편, 본 발명은 빗물 저장탱크를 수상에 부상시켜 수상가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몸체(100)에 부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float the rainwater storage tank to form a buoyant space in the body 100 so that it can be used in water house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탱크의 격벽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장탱크의 격벽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tion wall of a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tion wall of a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부력 공간은 몸체(100)의 부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격벽(210)과 세로 격벽(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격벽(200) 내부를 비워 제 1 부력 공간(211)과 제 2 부력 공간(2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벽(200)에 부력 공간을 형성하면, 몸체(100) 내에 빗물을 가득 채우더라도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빗물 저금통이 물이 뜰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200) 내부의 부력 공간을 다수개 형성하여 일부 부력 공간이 손상되더라도 부력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The buoyancy space is for increasing the buoyancy of the body 100. The buoyancy space is formed by emptying the inside of the partition 200 of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partition 210 and the vertical partition 220, The first buoyancy space 211 and the second buoyancy space 212 can be formed. When the buoyant space is formed in the partition 200 as described above, buoyancy can be generated even when the body 100 is filled with rainwater, thereby allowing the rainwater bank to float. Of course, as shown in FIG. 6,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a plurality of buoyant spaces inside the partition 200 to maintain the buoyancy to a maximum even if some buoyant spaces are damaged.

또한, 본 발명은 수상에서 몸체(100)의 균형을 잡기 위한 자세 제어 구조(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ttitude control structure 1000 for balancing the body 100 with the water.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탱크의 자세 제어 구조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sture control structure of a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자세 제어 구조(1000)는 몸체(100)의 하단에 형성되어 몸체(100)의 균형을 잡는다. 본 실시예는 자세 제어 구조(1000)로 중공의 바퀴를 예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자세 제어 구조(1000)는 돌출부(1110)에 의해 몸체(100) 내에 슬라이딩 되어 노출되거나 은폐되는 중공의 바퀴 지지대(1100)와, 바퀴 지지대(1100)와 결합된 바퀴(1200), 바퀴 지지대(1100)가 몸체(100) 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단속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자세 제어 구조(1000)는 수상에서는 날개와 같이 측면으로 노출되어 몸체(100)가 기울어지거나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며, 지상에서는 돌출부(1110)를 중심으로 몸체(100)의 하방으로 회전하여 몸체(100)가 지상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단속부재는 수상과 지상모드를 변경할 때는 개방되고, 변경을 완료하면 폐쇄되어 바퀴 지지대(1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해야한다. 또한, 바퀴 지지대(1100)의 길이는 바퀴 지지대(1100)가 수상모드일 때 바퀴를 포함한 몸체(100)의 너비가 몸체(100)의 높이보다 길도록 하여 자세를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The posture control structure 100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00 to balance the body 100. This embodiment illustrates a hollow wheel with an attitude control structure 1000. 7, the posture control structure 1000 includes a hollow wheel support 1100 which is slid in the body 100 by the protrusion 1110 to be exposed or concealed, and a wheel 1200 coupled to the wheel support 1100 And an interlocking member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wheel support 110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ody 100.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posture control structure 1000 prevents the body 100 from being tilted or inverted by being exposed to the side surface like a wing in a watercourse, and is provided below the body 100 So that the body 100 can easily move on the ground. At this time, the intermittent member is opened when changing the water and ground mode, and is closed when the change is completed, so that the wheel support 1100 is not moved. The length of the wheel support 1100 is effective to make the width of the body 100 including the wheel longer than the height of the body 100 when the wheel support 1100 is in the airstream mode, to be.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본 발명은 수상과 지상을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수상 이동 시 바퀴가 몸체(100)의 측면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With this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move the water phase and the ground, and the wheel can protect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00 from impact when moving the water phase.

한편, 본 발명은 일반적인 줄에 의해서 빗물 저장탱크를 접안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몸체(100)의 일측을 접안 장치에 고정하여 수상 가옥에 빗물 저금통을 접안할 수 있다. 이때, 접안 장치는 롤러 구조 등에 의해 수위가 변하더라도 몸체(100)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롤러 구조는 접안 장치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에 롤러를 부착한 후 해당 롤러를 몸체(100)에 고정시켜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롤러는 몸체(100)에 구비된 바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안 장치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레일을 구비하고, 해당 레일에 바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바퀴(1200)가 바퀴 지지대(1100)에서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바퀴(1200)가 수면에서 수평한 상태에서 수직한 상태로 회전하여 접안 장치의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bids the rainwater storage tank by a general li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one side of the body 100 may be fixed to the eyepiece apparatus so as to bury the rainwater bank in the water hous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body 100 from being overloaded even if the water level changes due to a roller structure or the like. Here, the roller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by providing rails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on the eyepiece device, fixing the rollers to the body 100 after attaching the rollers to the rails. Of course, the roller may be a wheel provided in the body 100. In this case, the eyepiece apparatus has a rail that can move up and down, and can be implemented by moving the wheel to the rail. Of course, for this purpose, the wheel 1200 can be rotated 360 degrees from the wheel support 1100 and the wheel 1200 can be rotated vertically in a horizontal state on the water surface and moved up and down along the rails of the eyepiece device .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동작은 아래와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as follow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탱크의 이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using the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빗물 유입구(300)에 별도의 관을 연결하여 빗물을 유입시킨다. 빗물 유입구(300)로 유입된 빗물은 유입 캄 인렛(500)을 통해 침전컵(600)으로 유입된다. 이때, 빗물 유입구(300)에 설치된 스크린에 의해서 빗물에 포함된 비교적 큰 오염물질이 걸러져 빗물이 1차 정화된다. 이후, 침전컵(600)에 유입된 빗물은 침전컵(600)을 월류하여 제 1 구역(S1)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 1 구역(S1)으로 이동한 빗물은 세로 격벽(220)을 월류하여 제 2 구역(S2)으로 이동하며, 가로 격벽(210)을 월류하여 제 3 구역(S3)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 3 구역(S3)의 빗물은 세로 격벽(220)을 월류하여 제 4 구역(S4)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 1 구역(S1)에서 제 2 구역(S2), 제 3 구역(S3) 및 제 4 구역(S4)으로 빗물이 이동하며, 각각의 구역에는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침전되어 빗물이 2차 정화된다. 2차 정화된 빗물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 4 구역(S4)에 설치된 유출 캄 인렛(900)과, 이와 연결된 빗물 유출구(800)를 통해 몸체(100) 외부로 유출된다.First, a separate pipe is connected to the rainwater inflow port 300 to introduce rainwater.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rainwater inflow port 300 flows into the precipitation cup 600 through the inflow cam inlet 500. At this time, a relatively large contaminant contained in the rainwater is filtered by the screen installed in the rainwater inflow port 300, and the rainwater is firstly purified. Thereafter,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settling cup 600 flows over the settling cup 600 and moves to the first area S1. The rainwater that has moved to the first zone S1 moves to the second zone S2 over the vertical barrier 220 and moves to the third zone S3 through the horizontal barrier 210. [ In addition, the rainwater in the third zone S3 flows over the vertical barrier rib 220 and moves to the fourth zone S4. At this time, the rainwater moves from the first zone S1 to the second zone S2, the third zone S3 and the fourth zone S4, and pollutants contained in the rainwater are deposited in the respective zones, Secondly purified. The second purified rain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through the outflow cam inlet 900 installed in the fourth zone S4 and the rainwater outlet 800 connected thereto according to the user's need.

빗물 유입구(300)에 빗물을 유입시키는 것은 별도의 집수 설비를 이용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집수 설비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빗물 저장탱크는 강우량이 일정량 이상인 지역에서 빗물을 공급받은 후 수상 이동하여 사용처로 이동한 후, 접안 시설에 접안된다. 이후, 사용자가 빗물 저장탱크에 저장된 빗물을 사용하며, 우천 시 빗물 집수 설비로 빗물을 집수하여 빗물 저장탱크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빗물 저장탱크는 사용처에 항상 비치되어 있고, 빗물이 부족할 경우 타 지역에서 빗물을 수상 이동시켜 빗물 저장탱크에 공급할 수도 있다. 즉, 빗물 저장탱크는 빗물이 저장된 상태로 별도의 선박 등에 빗물 저장탱크를 연결하여 사용처로 수상 이동하거나, 사용처에 이동한 후 빗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8, a rainwater collect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introduce rainwater into the rainwater inlet 300 by using a separate water collecting facility. That is, the rainwater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lied with rainwater in an area hav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rainfall or more, moves to a use place, and then goes to a use place and then goes to a docking facility. Thereafter, the user uses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collects the rainwater by the rainwater collecting facility in the rain, and stores the rainwater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Here, the rainwater storage tank is always provided in the place of use, and rainwater can be supplied to the rainwater storage tank by moving the rainwater in the other area when the rainwater is insufficient. That is, the rainwater storage tank may be supplied with rainwater after the rainwater storage tank is connected to another ship in a state where the rainwater is stored, and may be moved to the use place or moved to the use pla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우량이 부족한 지역에서도 빗물을 사용할 수 있어 물 부족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빗물 저장탱크 내부에 빗물을 정화할 수 있는 시설을 구비하여 빗물을 쉽게 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빗물 저장탱크 내의 바닥에 침전되는 오염물질을 사이펀 방식에 의해서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빗물 저장탱크 내부의 격벽을 부력 공간으로 활용하고 바퀴를 자세 제어 구조로 사용하여 빗물 저장탱크를 쉽게 수상 이동시킬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rainwater even in a region where rainfall is insufficient, so that water shortage can be solv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cility for purifying rainwater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so that rainwater can be easily purified.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minants settling on the bottom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a siphon system.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wall inside the rainwater storage tank can be utilized as a buoyant space, and the wheel can be used as the posture control structure to easily move the rainwater storage tank.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You will understand.

10: 제 1 바 20: 제 1 스크린
30: 제 2 스크린 40: 홈통
50: 사이드바 51: 제 1 사이드바
52: 제 2 사이드바 60: 받침대
61: 제 1 받침대 62: 제 2 받침대
100: 몸체 200: 격벽
210: 가로 격벽 211: 제 1 부력 공간
212: 제 2 부력 공간 220: 세로 격벽
300: 빗물 유입구 400: 스크린
500: 유입 캄 인렛 510: 유입 캄 인렛 배관
520: 유입 캄 인렛 절곡관 600: 침전컵
700: 사이펀 710: 사이펀 관
711: 덮개 712: 제어 레버
800: 빗물 유출구 900: 유출 캄 인렛
1000: 자세 제어 구조 1100: 바퀴 지지대
1110: 돌출부 1200: 바퀴
S1: 제 1 구역 S2: 제 2 구역
S3: 제 3 구역 S4: 제 4 구역
10: first bar 20: first screen
30: second screen 40:
50: Sidebar 51: 1st sidebar
52: second side bar 60: pedestal
61: first pedestal 62: second pedestal
100: Body 200:
210: transverse bulkhead 211: first buoyant space
212: second buoyancy space 220: vertical partition wall
300: Rainwater inflow port 400: Screen
500: inflow cam inlet 510: inflow cam inlet piping
520: inlet cam inlet bending tube 600: settling cup
700: Siphon 710: Siphon tube
711: cover 712: control lever
800: Rainwater outlet 900: Outlet ink inlet
1000: attitude control structure 1100: wheel support
1110: protrusion 1200: wheel
S1: first zone S2: second zone
S3: Zone 3 S4: Zone 4

Claims (8)

홈통이 구비되는 건물의 지붕 가장자리에 탈착되는 제1 바와,
상기 제1 바와 결합되는 제1 스크린,
상기 제1 스크린과 일 가장자리가 결합되며 타 가장자리는 상기 홈통과 결합되는 제2 스크린,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의 측면을 지지하는 사이드바,
상기 사이드바가 지면에 기립할 수 있도록 결합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빗물 집수 설비.
A first bar to be detached from a roof edge of a building provided with a trough,
A first screen coupled to the first bar,
A second screen having one edge coupled to the first screen and the other edge coupled to the trough,
A side bar supporting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Wherein the side bar is coupled to the ground so that the side bar can stand on the ground.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의 바닥을 다수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다수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 구비된 빗물 유입구,
상기 빗물 유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된 유입 캄 인렛,
상기 유입 캄 인렛 유출구에 구비된 침전컵,
상기 침전컵 바닥에 침전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사이펀,
상기 빗물 유입구가 구비된 구역 이외의 구역에 구비된 빗물 유출구를 포함하는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
A hollow body,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bottom of the body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 rainwater inlet provided in any one of a plurality of zone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An inflow cam inlet connected to the rainwater inlet and located inside the body,
A precipitation cup provided in the inflow cam inlet outlet,
A siphon for discharging the contaminants settled on the bottom of the settling cup,
And a rainwater outlet provided in an area other than the area provided with the rainwater inflow por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은,
상기 침전컵의 바닥 홀과 연결되며 곡관인 사이펀 관과,
상기 침전컵 바닥 홀의 개폐를 단속하는 덮개,
상기 덮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레버를 포함하는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
The method of claim 2,
The siphon,
A siphon tube connected to the bottom hole of the precipitation cup and being a curved tube,
A cover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ottom hole of the settling cup,
And a control lever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몸체의 가로로 형성된 가로 격벽과,
상기 가로 격벽과 교차하는 세로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획된 중공 형태인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
The method of claim 3,
The barrier rib may include a horizontal barrier rib formed on the body,
And a vertical barrier rib intersecting with the horizontal barrier rib,
Wherein the partition wall is hollow, which is divided into at least one or more portion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입 캄 인렛은 상기 몸체 내에 위치된 유입 캄 인렛 절곡관의 지름이 빗물의 유입방향으로 갈수록 커지는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flow cam inlet has a diameter of the inflow cam inlet inflating pipe located in the body increasing toward the inflow direction of the rainwat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입 캄 인렛은 다수개의 유입 캄 인렛을 포함하는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flow cam inlet includes a plurality of inflow cam inle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균형을 잡는 자세 제어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세 제어 구조는,
돌출부에 의해 상기 몸체 내에 슬라이딩되어 노출되거나 은폐되는 중공의 바퀴 지지대와,
상기 바퀴 지지대와 결합된 바퀴,
상기 바퀴 지지대가 몸체 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단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 지지대는 상기 몸체의 측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단속부재에 의해 지지되거나, 상기 몸체에서 하향 노출되어 상기 단속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
The method of claim 6,
And an attitude control structure for balancing the body,
The posture control structure includes:
A hollow wheel support which is slid in the body by the projection to be exposed or concealed,
Wheels coupled to the wheel support,
And an interlock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wheel support member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ody,
Wherein the wheel support is exposed by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and is supported by the intermittent member or is exposed downward from the body and is supported by the intermittent member.
빗물 집수 설비로부터 빗물을 공급받아 저장한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를 수상 이동하는 빗물 수상 이동 방법으로서,
빗물 집수 설비로부터 상기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의 빗물 유입구로 빗물을 유입되어 저장되는 단계와,
상기 빗물이 저장된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를 수상 이동하여 사용처로 이동시킨 후 접안 시설에 접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는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의 바닥을 다수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다수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 구비된 빗물 유입구, 상기 빗물 유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된 유입 캄 인렛, 상기 유입 캄 인렛 유출구에 구비된 침전컵, 상기 침전컵 바닥에 침전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사이펀, 및 상기 빗물 유입구가 구비된 구역 이외의 구역에 구비된 빗물 유출구를 포함하는 빗물 수상 이동 방법.
A rainwater pumping system for pumping a movable rainwater storage tank which receives rainwater from a rainwater collecting facility and stores the rainwater,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rainwater inflow port of the movable rainwater storage tank from the rainwater collecting facility and stored;
Moving the movable rainwater storage tank in which the rainwater is stored to the use place,
The movable rainwater storage tank includes a hollow body, a partition for partitioning the bottom of the body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 rainwater inlet provi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defined by the partition, A siphon for discharging contaminants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settling cup, and a siphon disposed in an area other than the area provided with the rainwater inflow port. A method for moving a rainwater pond including a rainwater outlet.
KR1020150051067A 2015-04-10 2015-04-10 Rainwater harvesting facilities and portable rainwater storage tanks and water transportation method for rainwater KR1023385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067A KR102338594B1 (en) 2015-04-10 2015-04-10 Rainwater harvesting facilities and portable rainwater storage tanks and water transportation method for rainwater
PCT/KR2016/003471 WO2016163700A1 (en) 2015-04-10 2016-04-04 Rainwater collecting facility and moving-type rainwater storage tank and method for moving rainwater on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067A KR102338594B1 (en) 2015-04-10 2015-04-10 Rainwater harvesting facilities and portable rainwater storage tanks and water transportation method for rainwater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741A true KR20160121741A (en) 2016-10-20
KR102338594B1 KR102338594B1 (en) 2021-12-14
KR102338594B9 KR102338594B9 (en) 2022-07-18

Family

ID=5707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067A KR102338594B1 (en) 2015-04-10 2015-04-10 Rainwater harvesting facilities and portable rainwater storage tanks and water transportation method for rainwat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8594B1 (en)
WO (1) WO2016163700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5398A (en) * 2017-12-20 2018-05-15 郑州源冉生物技术有限公司 A kind of rainwater collecting and treating system utilized based on rainwater direct circulation
CN110439078A (en) * 2019-08-06 2019-11-12 深圳港湾建设有限公司 A kind of sponge urban rainwater garden and construction method
CN111851639A (en) * 2020-07-30 2020-10-30 重庆雍彦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Movable sponge urban rainwater treatment system
CN112233555A (en) * 2020-10-27 2021-01-15 谢登坷 Automatic protection device for outdoor display scre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6081A (en) * 2017-10-13 2018-03-20 王晓雷 A kind of wide area courtyard rain water collecting system
CN111877458A (en) * 2020-06-12 2020-11-03 温州安荷桥科技有限公司 Rainwater collecting device
CN112343124A (en) * 2020-11-24 2021-02-09 陆建生 Rainwater collecting device for strawberry planting and using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4798U (en) * 2001-09-19 2002-03-29 英雄 野崎 Rain shelter frame for mobile unit house
KR20080112531A (en) * 2007-06-21 2008-12-2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Rainwater tank
KR20090026863A (en) * 2007-09-11 2009-03-1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Multipurpose rainwater utilization system using obsolete septic tank
KR20130001026A (en) 2011-06-24 2013-01-03 주식회사 지오마린이엔씨 Rainwater reservoirs system
KR101316530B1 (en) * 2013-07-16 2013-10-17 주식회사 이음이엔씨 Water-storage tank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4798B2 (en) * 1991-07-17 2000-09-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KR200354972Y1 (en) * 2004-04-09 2004-07-01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Rainwater collec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KR100478633B1 (en) * 2004-12-01 2005-03-24 (주)엄앤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Water supply structure using rainwater of appartement house
JP2011058170A (en) * 2009-09-07 2011-03-24 Kamimura:Kk Expansion tent roof device
KR101344693B1 (en) * 2012-01-05 2013-12-26 주식회사 모던탑 Membrane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4798U (en) * 2001-09-19 2002-03-29 英雄 野崎 Rain shelter frame for mobile unit house
KR20080112531A (en) * 2007-06-21 2008-12-2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Rainwater tank
KR20090026863A (en) * 2007-09-11 2009-03-1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Multipurpose rainwater utilization system using obsolete septic tank
KR20130001026A (en) 2011-06-24 2013-01-03 주식회사 지오마린이엔씨 Rainwater reservoirs system
KR101316530B1 (en) * 2013-07-16 2013-10-17 주식회사 이음이엔씨 Water-storage tan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5398A (en) * 2017-12-20 2018-05-15 郑州源冉生物技术有限公司 A kind of rainwater collecting and treating system utilized based on rainwater direct circulation
CN110439078A (en) * 2019-08-06 2019-11-12 深圳港湾建设有限公司 A kind of sponge urban rainwater garden and construction method
CN111851639A (en) * 2020-07-30 2020-10-30 重庆雍彦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Movable sponge urban rainwater treatment system
CN112233555A (en) * 2020-10-27 2021-01-15 谢登坷 Automatic protection device for outdoor display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63700A1 (en) 2016-10-13
KR102338594B9 (en) 2022-07-18
KR102338594B1 (en) 202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1741A (en) Rainwater harvesting facilities and portable rainwater storage tanks and water transportation method for rainwater
KR101222885B1 (en) The rainwater gatherring system
CN208056236U (en) A kind of concave herbaceous field
US10883262B2 (en) Overflow chamber for emission of rainwater and soil
US9708807B2 (en) Water transfer device for underground water collection and storage chambers
KR101838899B1 (en) Filter installation structure of rainwater recycling system and rainwater catcher
KR101531692B1 (en) waste board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drain
US20130264258A1 (en) Stormwater treatment device
CN209308147U (en) A kind of urban road receipts drainage structure
CN208309681U (en) A kind of overpass rainwater-collecting reutilization system
CN101332382B (en) Filtering device of self-controlled liquid surface
US20090050215A1 (en) Aquifer restoration device
KR101433076B1 (en) System for managing stormwater runoff and underground water
CN208137102U (en) A kind of inlet for stom water deodorization well grate with filter structure
KR101925564B1 (en) A rainwater collecting device with storage tank
KR101316313B1 (en) Keeping treatment system of primary stage rainwater for valleywater using the water-storage tank
WO2001088289A1 (en) Weir section, a sewer pipe structure including such a weir section and their method of construction
JP5557211B2 (en) Tank for rainwater storage and runoff control
JP2005282206A (en) Rainwater intake device and rainwater storage device
CN108316452A (en) A kind of inlet for stom water deodorization well grate with filtration
CN107939126A (en) One kind, which is taken precautions against natural calamities, purifies water storage sky parking
JP2011038295A (en) Rainwater drainage structure
JP2007231709A (en) Rainwater separating structure and rainwater utilization system
JP5315045B2 (en) Tank for rainwater storage and runoff control
KR102708181B1 (en) rainwater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