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501A - 가동 접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가동 접점 부재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가동 접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가동 접점 부재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501A
KR20160114501A KR1020160009852A KR20160009852A KR20160114501A KR 20160114501 A KR20160114501 A KR 20160114501A KR 1020160009852 A KR1020160009852 A KR 1020160009852A KR 20160009852 A KR20160009852 A KR 20160009852A KR 20160114501 A KR20160114501 A KR 20160114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ember
movable contact
short direction
bending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2244B1 (ko
Inventor
이즈루 사다마츠
가츠토시 우스이
다카야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4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7/00Dimensions; Characteristics
    • H01H2227/026Separate dome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과제)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가동 접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가동 접점 부재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가동 접점 부재 (10) 는, 짧은 방향 (SD) 및 긴 방향 (LD) 을 가진 외형 형상이고, 돔상으로 팽출되고 반전 동작 가능한 팽출부 (11) 와, 팽출부 (11) 를 지지하고 있는 복수의 레그부 (51) 를 구비하고,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짧은 방향 (SD) 을 따라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팽출되는 측으로 구부러진 튀어 오름부 (11t) 가 긴 방향 (LD) 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그 제조 방법은, 짧은 방향 (SD) 의 양단부를 일방측으로 절곡시켜 굽힘 가공 부재를 형성하는 굽힘 가공 공정과, 일방측을 향하여 돔상으로 팽출되도록 굽힘 가공 부재를 드로잉하여 드로잉 가공 부재를 형성하는 드로잉 가공 공정을 갖고, 스위치 장치는, 가동 접점 부재 (10) 와, 제 1 고정 접점 부재 및 제 2 고정 접점 부재와, 제 1 단자부 및 제 2 단자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가동 접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가동 접점 부재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MOVABLE CONTACT MEMB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WITCHING DEVICE USING THE MOVABLE CONTACT MEMBER}
본 발명은, 가동 접점 부재 및 그 가동 접점 부재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압 조작됨으로써 가동 접점 부재가 반전 동작하여, 접점의 접리 (接離) 를 실시하는 가동 접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가동 접점 부재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가동 접점 부재로서, 작동력이나 클릭감 등의 조작 필링을 얻기 위해, 가압 조작됨으로써 가동 접점 부재가 반전 동작하여, 접점의 접리를 실시하는 가동 접점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 가동 접점 부재로서, 금속 박판을 가공하여 소정의 곡률로 돔상으로 형성한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가동 접점 부재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의 종래예로서, 특허문헌 1 에서는,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누름 버튼 스위치 (910) (스위치 장치) 가 제안되어 있다. 도 15 는, 종래예의 접점판 (912) (가동 접점 부재) 을 사용한 누름 버튼 스위치 (910)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 에 나타내는 누름 버튼 스위치 (910) 는, 대략 상자상이고 단자 (923) (제 1 고정 접점) 및 단자 (924) (제 2 고정 접점) 가 매설된 절연 베이스 (911) 와, 이 절연 베이스 (911) 에 수납되는 접점판 (912) 과, 이 접점판 (912) 을 덮는 더스트 커버 (913) 와, 이 더스트 커버 (913) 를 개재하여 접점판 (912) 을 작동시키는 누름 버튼 (914) 과, 이 누름 버튼 (914) 의 버튼부 (939) 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절연 베이스 (911) 를 막는 리드 (915) 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접점판 (912) 은, 스프링재 평판에 펀칭 가공을 실시하고,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를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타원형으로 팽출시킨 접점부로서의 팽출부 (951) 와, 팽출시키지 않고 남겨진 4 개 코너부 (952) 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짧은 방향 (도 15 에 나타내는 X 방향) 및 긴 방향 (도 15 에 나타내는 Y 방향) 을 가진 사각형 형상의 접점판 (912) 을 사용하면, 누름 버튼 스위치 (910) 의 폭 방향 (짧은 방향) 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어, 긴 방향의 접점판 (912) 의 사이즈로부터 얻어지는 동작 스트로크, 요컨대 긴 방향의 사이즈로 형성된 정방형상의 경우와 동등한 동작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87664호
그러나, 일반적으로 반전 동작이 실시되는 가동 접점 부재의 경우에는, 가동 접점 부재를 눌러 내렸을 때에 가동 접점 부재의 외형이 외측을 향하여 확대되기 때문에, 외주의 단부에 인장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짧은 방향에 있는 장변의 단부 (종래예에서는 도 15 에 나타내는 SE) 는, 그 인장 응력에 의한 악영향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이 때문에, 작동 하중이 높거나, 동작 스트로크가 길거나 하는 조건하에서는, 외주의 단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크랙 등이 발생하고, 수명이 저하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예에서는, 펀칭 가공시에 잘려 나가는 부분 (도 15 에 나타내는 이음부 (954)) 을 코너부 (952) 에 형성함으로써,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고 있지만, 상기 과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수단으로 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가동 접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가동 접점 부재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가동 접점 부재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는, 돔상으로 팽출되고 가압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한 팽출부와, 그 팽출부를 지지하고 있는 복수의 레그부를 구비하고, 짧은 방향 및 긴 방향을 가진 외형 형상의 가동 접점 부재로서, 상기 복수의 레그부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에 각각 적어도 1 개씩 형성되고, 상기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상기 짧은 방향을 따라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팽출되는 측으로 구부러진 튀어 오름부를 갖고, 그 튀어 오름부가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재는, 팽출부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이 튀어 오름부가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팽출부의 확대를 억제하게 된다. 이 때문에, 짧은 방향의 외주 단부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짧은 방향의 외주 단부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저감되어,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재는, 상기 팽출부에는, 상기 짧은 방향을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물결상으로 형성된 물결부를 갖고, 그 물결부가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팽출부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튀어 오름부에 더하여 이 물결부가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팽출부의 확대를 보다 억제하게 된다. 이 때문에, 짧은 방향의 외주 단부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짧은 방향의 외주 단부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보다 저감되어, 보다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재는, 상기 팽출부에는, 상기 짧은 방향의 외주의 일부를 형성하는 절결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보다 외형이 큰 팽출부를 형성하여 짧은 방향의 외주의 일부에 절결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팽출부의 반전 동작에 있어서, 보다 긴 동작 스트로크로 할 수 있다. 한편,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팽출부에 절결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이 이 절결부에 보다 가해지게 되지만, 이 절결부 부분에 튀어 오름부를 갖고 있는 본 발명에서는, 이 절결부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의 집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절결부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저감된다. 이러한 것에 의해, 장수명화를 도모하면서, 보다 긴 동작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재는, 상기 짧은 방향의 상기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팽출부의 반전 동작시에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이 보다 가해지는 짧은 방향의 외주 단부에 대해, 튀어 오름부에 의한 내부 응력의 저감 작용이 짧은 방향의 양측에 균등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어느 일방에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이 치우치지 않아, 보다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재의 제조 방법은, 돔상으로 팽출되고 가압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한 팽출부와, 그 팽출부를 지지하고 있는 복수의 레그부를 구비하고, 외형 형상이 짧은 방향 및 긴 방향을 가진 가동 접점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시트상의 금속재로부터 이음부를 남기면서 상기 짧은 방향 및 상기 긴 방향을 가진 판상의 베이스 부재를 형성하는 외형 가공 공정과,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상기 짧은 방향의 양단부를 일방측으로 절곡시켜 굽힘 가공 부재를 형성하는 굽힘 가공 공정과, 상기 굽힘 가공 부재에 대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짧은 방향 및 상기 긴 방향의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일방측을 향하여 상기 돔상으로 팽출되도록 드로잉하여 드로잉 가공 부재를 형성하는 드로잉 가공 공정과, 상기 드로잉 가공 부재에 접속된 상기 이음부를 상기 외형 형상을 따라 절단하는 절단 가공 공정을 갖고, 상기 드로잉 가공 공정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팽출되는 측으로 구부러진 튀어 오름부가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팽출부가 팽출되는 측으로 구부러진 튀어 오름부가 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짧은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된 가동 접점 부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팽출부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짧은 방향의 외주 단부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의 집중을 저감시킬 수 있고, 외주 단부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저감되어,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가동 접점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굽힘 가공 공정은, 상기 짧은 방향을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요철상이 되도록, 상기 긴 방향을 따라 구부리는 물결 굽힘 공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물결상으로 형성된 물결부가 팽출부에 형성된 가동 접점 부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팽출부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튀어 오름부에 더하여 이 물결부가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팽출부의 확대를 보다 억제하게 되고, 짧은 방향의 외주 단부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짧은 방향의 외주 단부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보다 저감되어, 보다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가동 접점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재는, 상기 외형 가공 공정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와 접속시켜 상기 이음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드로잉 가공 공정 후의 절단 가공 공정에서 생성되는 이음부를 절단한 절단면이,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형성된 튀어 오름부가 아니라 레그부에 형성되게 된다. 이 때문에, 튀어 오름부에 의한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팽출부의 확대를 억제하는 작용을 절단면에 의해 줄이지 않고, 짧은 방향의 외주 단부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확실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짧은 방향의 외주 단부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확실하게 저감되어, 장수명화를 확실하게 도모할 수 있는 가동 접점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재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재와, 그 가동 접점 부재의 상기 팽출부의 정상부와 접리 가능한 제 1 고정 접점 부재와, 상기 가동 접점 부재의 상기 레그부와 접촉되어 있는 제 2 고정 접점 부재와, 상기 제 1 고정 접점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단자부와, 상기 제 2 고정 접점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단자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팽출부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짧은 방향의 외주 단부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의 집중을 저감시킬 수 있고, 외주 단부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저감되어,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재는, 팽출부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이 튀어 오름부가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팽출부의 확대를 억제하게 된다. 이 때문에, 짧은 방향의 외주 단부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짧은 방향의 외주 단부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저감되어,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재의 제조 방법은, 팽출부가 팽출되는 측으로 구부러진 튀어 오름부가 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짧은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된 가동 접점 부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팽출부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짧은 방향의 외주 단부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의 집중을 저감시킬 수 있고, 외주 단부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저감되어,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가동 접점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그 가동 접점 부재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는, 가동 접점 부재의 팽출부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가동 접점 부재의 짧은 방향의 외주 단부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의 집중을 저감시킬 수 있고, 외주 단부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저감되어,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3 의 (a) 는 도 1 에 나타내는 Y2 측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3 의 (b) 는 도 2 에 나타내는 Ⅲ-Ⅲ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3 의 (b) 에 나타내는 P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동 접점 부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로서, 도 5 의 (a) 는 외형 가공 공정 후의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5 의 (b) 는 굽힘 가공 공정 후의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5 의 (c) 는 드로잉 가공 공정 후의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5 의 (d) 는 절단 가공 공정 후의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동 접점 부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6 의 (a) 는 굽힘 가공 공정에 있어서의 펀치 및 다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의 (b) 는 드로잉 가공 공정에 있어서의 펀치 및 다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시트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스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0 의 (a) 는 도 9 에 나타내는 Z1 측에서 본 시트 스위치의 상면도이고, 도 10 의 (b) 는 도 9 에 나타내는 X1 측에서 본 시트 스위치의 측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스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1 의 (a) 는 도 10 의 (a) 에 나타내는 ⅩⅠ-ⅩⅠ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고, 도 11 의 (b) 는 도 10 의 (a) 에 나타내는 ⅩⅡ-ⅩⅡ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스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0 의 (a) 에 나타내는 P 부분의 시트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스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3 의 (a) 는 도 10 의 (a) 에 나타내는 P 부분의 시트 기판의 상면도이고, 도 13 의 (b) 는 도 10 의 (a) 에 나타내는 Q 부분의 시트 기판의 바닥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동 접점 부재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4 의 (a) 는 변형예 2 의 가동 접점 부재의 상면도이고, 도 14 의 (b) 는 변형예 3 의 가동 접점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15 는, 종래예의 접점판 (가동 접점 부재) 을 사용한 누름 버튼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상면도이다. 또한, 도 1 및 도 2 에서는, 후술하는 튀어 오름부 (11t) 및 물결부 (11w) 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3 의 (a) 는 도 1 에 나타내는 Y2 측에서 본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정면도이고, 도 3 의 (b) 는 도 2 에 나타내는 Ⅲ-Ⅲ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b) 에 나타내는 P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기계 가공하여 제조되어 있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외관을 나타내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외형 형상이 짧은 방향 (SD) (도 2 에 나타내는 YX 방향) 및 긴 방향 (LD) (도 2 에 나타내는 Y 방향) 을 가진 대략 장방형상 혹은 타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 접점 부재 (1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가 상방 (도 1 에 나타내는 Z1 방향) 으로 돔상으로 팽출된 팽출부 (11) 와, 긴 방향 (LD) 에서 팽출부 (11) 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단측에 형성되고 팽출부 (11) 를 지지하고 있는 2 개의 레그부 (51) 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접점 부재 (10) 는, 조작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팽출부 (11) 에 가압을 받으면 팽출부 (11) 가 반전 동작하고, 가압이 해제되면 가압 조작전의 상태로 되돌아오도록 되어 있다.
또, 가동 접점 부재 (10)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짧은 방향 (SD) 의 중앙부 (도 2 에 나타내는 Ⅳ-Ⅳ 선) 를 사이에 두고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긴 방향 (LD) 의 중앙부 (도 2 에 나타내는 Ⅲ-Ⅲ 선) 를 사이에 두고 팽출부 (11) 및 2 개의 레그부 (51) 의 각각이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 접점 부재 (10) 의 내측면 (오목면) 에는, 반전되었을 때에 접하는 접점 부재 (일반적으로는 고정 접점 부재) 와의 전기적인 접촉 안정성을 얻기 위해, 은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조작자에 의한 가압 조작은, 도시하지 않은 조작 부재 등 (조작자의 손가락도 포함한다) 에 의해 실시된다.
가동 접점 부재 (10)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 방향 (SD) 의 양단부에 형성된 튀어 오름부 (11t) 가 양단부의 긴 방향 (LD) 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튀어 오름부 (11t) 는, 짧은 방향 (SD) 을 따라 종단면에서 보면, 도 3 의 (b)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출된 팽출부 (11) 의 가상 능선 (KL) 에 대해 팽출부 (11) 가 팽출되는 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또한, 튀어 오름부 (11t) 는, 팽출부 (11) 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2 개의 레그부 (51) 에 연장 형성되어 레그부 (51) 의 외주 단부 (L1) 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팽출부 (11) 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이 튀어 오름부 (11t) 가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팽출부 (11) 의 확대를 억제하게 된다. 이 때문에,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 (LD) 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저감되어,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 형상으로 팽출시킨 팽출부 (11) 에는, 그 원형 형상의 일부가 이지러진 절결부 (11k) 를 갖고 있고, 이 절결부 (11k) 가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양측에 형성된 외주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이 이 절결부 (11k) 에 보다 가해지게 되지만, 튀어 오름부 (11t) 를 갖고 있는 본 발명에서는, 이 절결부 (11k)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의 집중을 확실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절결부 (11k)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저감된다. 한편, 일부를 절결부 (11k) 로 하여 보다 외경이 큰 원형 형상의 팽출부 (11) 가 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팽출부 (11) 의 반전 동작에 있어서, 보다 긴 동작 스트로크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에 의해, 장수명화를 도모하면서, 보다 긴 동작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양단부에 형성된 튀어 오름부 (11t) 가 팽출부 (11) 가 팽출되는 측을 향하여 구부러져 있으므로, 이 튀어 오름부 (11t) 를 포함한 팽출부 (11) 가 밀려 반전되므로, 보다 큰 가압 하중이 된다. 이 때문에, 조작자에 대해 보다 양호한 클릭감 (조작 감촉) 이 얻어지게 된다.
또, 이 튀어 오름부 (11t) 가 짧은 방향 (SD) 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팽출부 (11) 의 반전 동작시에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이 보다 가해지는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대해, 튀어 오름부 (11t) 에 의한 내부 응력의 저감 작용이 짧은 방향 (SD) 의 양측에 균등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어느 일방에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이 치우치지 않아, 보다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에서는, 팽출부 (11) 에 있어서, 도 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 방향 (SD) 을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물결상으로 형성된 물결부 (11w)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물결상으로 형성되었다고 하는 것을 바꾸어 말하면, 팽출된 팽출부 (11) 의 가상 능선 (KL) 에 대해 팽출되는 팽출측으로 돌출된 볼록부와 팽출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된 오목부가 1 쌍으로 조합된 형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물결부 (11w) 는, 긴 방향 (LD) 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2 개의 레그부 (51) 에 연장 형성되어 레그부 (51) 의 외주 단부 (L1) 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물결부 (11w) 를 2 개 형성하고 있고, 2 개의 물결부 (11w) 는 짧은 방향 (SD) 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팽출부 (11) 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튀어 오름부 (11t) 에 더하여 이 물결부 (11w) 가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팽출부 (11) 의 확대를 보다 억제하게 된다. 이 때문에,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 (LD) 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보다 저감되어, 보다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물결부 (11w) 가 팽출부 (11) 에 형성되어 있고, 이 물결부 (11w) 를 포함한 팽출부 (11) 가 밀려 반전됨으로써, 보다 큰 가압 하중이 된다. 이 때문에, 조작자에 대해 보다 양호한 클릭감 (조작 감촉) 이 얻어지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동 접점 부재 (10) 의 레그부 (51) 에는, 제조시에 있어서, 개개의 가동 접점 부재 (10) 가 되도록 절단 가공되었을 때에 생성되는 절단면 (51p) 이,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형성된 튀어 오름부 (11t) 가 아니라 레그부 (51) 에 형성되게 된다. 이 때문에, 튀어 오름부 (11t) 에 의한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팽출부 (11) 의 확대를 억제하는 작용을 이 절단면 (51p) 에 의해 줄이지 않고,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 (LD) 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확실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확실하게 저감되어, 장수명화를 확실하게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레그부 (51) 의 짧은 방향 (SD) 의 중앙 부분과 접속시켜 이음부 (91) 를 형성하였으므로, 물결부 (11w) 의 근방 (물결부 (11w) 에 끼워진 위치) 에 형성되게 된다. 이 때문에,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이 긴 방향 (LD) 의 외주 단부 (L1) 에 가해진 경우,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에 보다 약한 절단면 (51p) 에 대해, 이 물결부 (11w) 가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의 집중의 저감에 기여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로서, 도 5 의 (a) 는 외형 가공 공정 (P1) 후의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5 의 (b) 는 굽힘 가공 공정 (P2) 후의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5 의 (c) 는 드로잉 가공 공정 (P3) 후의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5 의 (d) 는 절단 가공 공정 (P4) 후의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또한, 도 5 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하기 위해 가동 접점 부재 (10) 를 3 개 제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 3 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도 5 의 (b) 내지 도 5 의 (d) 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하기 위해 절곡된 부분을 가상선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6 의 (a) 는 굽힘 가공 공정 (P2) 에 있어서의 펀치 (2P) 및 다이스 (2D) 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의 (b) 는 드로잉 가공 공정 (P3) 에 있어서의 펀치 (3P) 및 다이스 (3D) 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 은 종단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지만, 설명을 알기 쉽게하기 위해 단면의 해칭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제조 방법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 방향 (SD) 및 긴 방향 (LD) 을 가진 베이스 부재 (B1) 를 형성하는 외형 가공 공정 (P1) 과, 베이스 부재 (B1) 의 짧은 방향 (SD) 의 양단부를 일방측으로 절곡시켜 굽힘 가공 부재 (C1) 를 형성하는 굽힘 가공 공정 (P2) 과, 굽힘 가공 부재 (C1) 를 일방측을 향하여 돔상으로 팽출되도록 드로잉하여 드로잉 가공 부재 (D1) 를 형성하는 드로잉 가공 공정 (P3) 과, 드로잉 가공 부재 (D1) 에 접속된 이음부 (91) 를 외형 형상을 따라 절단하는 절단 가공 공정 (P4) 을 갖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제조 방법은, 굽힘 가공 공정 (P2) 에 있어서, 짧은 방향 (SD) 을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요철상이 되도록, 긴 방향 (LD) 을 따라 구부리는 물결 굽힘 공정 (P22) 을 포함하고 있다.
먼저, 베이스 부재 (B1) 를 형성하는 외형 가공 공정 (P1) 을 실시한다. 외형 가공 공정 (P1) 에서는, 시트상의 금속재인 모재 (A1) 를 준비하고, 금형 (펀치 및 다이스) 을 사용하여, 모재 (A1) 에 발거 가공을 실시한다. 이로써, 모재 (A1) 에는, 도 5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 방향 (SD) 및 긴 방향 (LD) 를 가진 판상의 베이스 부재 (B1) 가 이음부 (91) 를 남긴 채로 형성된다. 또, 이 이음부 (91) 는, 최종적으로 가동 접점 부재 (10) 의 레그부 (51) 가 되는 부분으로서, 레그부 (51) 의 짧은 방향 (SD) 의 중앙 부분과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굽힘 가공 부재 (C1) 를 형성하는 굽힘 가공 공정 (P2) 을 실시한다. 굽힘 가공 공정 (P2) 에서는, 도 6 의 (a) 에 나타내는 펀치 (2P) 및 다이스 (2D) (금형) 를 사용하여, 베이스 부재 (B1) 에 굽힘 가공을 실시한다. 이로써, 베이스 부재 (B1) 는, 도 5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 방향 (SD) 의 양단부를 일방측 (도 5 의 (b) 에서는 지면의 앞쪽) 으로 긴 방향 (LD) 을 따라 절곡시킨 형상의 굽힘 가공 부재 (C1) 에 형성된다.
또, 펀치 (2P) 및 다이스 (2D) 에는, 도 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굽힘 가공 부재 (C1) 의 양단부 이외의 내측 부분에 대응한 지점에도, 짧은 방향 (SD) (도 6 에 나타내는 X 방향) 을 종단면에서 보면, 요철 형상 (물결형 형상) 이 실시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굽힘 가공 부재 (C1) 에는, 도 6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 방향 (SD) 을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요철 형상 (물결형 형상) 이 형성되고, 도 5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요철 형상 (물결형 형상) 이 긴 방향 (LD) 을 따라 형성된다. 이로써, 요철 형상 (물결형 형상) 이 되도록 긴 방향 (LD) 을 따라 베이스 부재 (B1) 를 구부리는 물결 굽힘 공정 (P22) 이, 굽힘 가공 공정 (P2) 에서 베이스 부재 (B1) 의 양단부를 일방측으로 절곡시키는 공정과 동시에 실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 (B1) 의 양단부를 일방측으로 절곡시키는 공정과 동시에 굽힘 가공 공정 (P2) 을 알맞게 실시하였지만, 따로 실시해도 된다.
다음으로, 드로잉 가공 부재 (D1) 를 형성하는 드로잉 가공 공정 (P3) 을 실시한다. 드로잉 가공 공정 (P3) 에서는, 도 6 의 (b) 에 나타내는 펀치 (3P) 및 다이스 (3D) (금형) 를 사용하여, 굽힘 가공 부재 (C1) 에 드로잉 가공을 실시한다. 이로써, 굽힘 가공 부재 (C1) 는, 도 5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짧은 방향 (SD) 및 긴 방향 (LD) 의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일방측을 향하여 드로잉되어, 돔상으로 팽출된 형상의 드로잉 가공 부재 (D1) 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드로잉 가공 공정 (P3) 에 있어서, 가동 접점 부재 (10) 의 팽출부 (11) 가 형성됨과 함께, 팽출부 (11) 의 팽출되는 측으로 구부러진 튀어 오름부 (11t) 가 긴 방향 (LD) 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동시에, 짧은 방향 (SD) 을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물결상으로 형성된 물결부 (11w) 가 긴 방향 (LD) 을 따라 2 개 지점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이음부 (91)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 가공 공정 (P4) 을 실시한다. 절단 가공 공정 (P4) 에서는, 금형 (펀치 및 다이스) 을 사용하여, 드로잉 가공 부재 (D1) 에 절단 가공을 실시한다. 이로써, 드로잉 가공 부재 (D1) 는, 도 5 의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로잉 가공 부재 (D1) 에 접속된 이음부 (91) 부분이 최종적인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외형 형상을 따라 절단되어, 개개로 분리된 가동 접점 부재 (10) 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돔상으로 팽출되고 가압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한 팽출부 (11) 와, 팽출부 (11) 를 지지하고 있는 복수의 레그부 (51) 를 구비하고, 외형 형상이 짧은 방향 (SD) 및 긴 방향 (LD) 을 가진 가동 접점 부재 (10) 가 용이하게 제조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및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효과에 대해 이하에 정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는,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짧은 방향 (SD) 을 따라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팽출부 (11) 가 팽출되는 측으로 구부러진 튀어 오름부 (11t) 를 갖고, 이 튀어 오름부 (11t) 가 긴 방향 (LD) 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팽출부 (11) 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이 튀어 오름부 (11t) 가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팽출부 (11) 의 확대를 억제하게 된다. 이 때문에,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 (LD) 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저감되어,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팽출부 (11) 에는, 짧은 방향 (SD) 을 따라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물결상으로 형성된 물결부 (11w) 를 갖고, 이 물결부 (11w) 가 긴 방향 (LD) 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팽출부 (11) 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튀어 오름부 (11t) 에 더하여 이 물결부 (11w) 가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팽출부 (11) 의 확대를 보다 억제하게 된다. 이 때문에,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 (LD) 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보다 저감되어, 보다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보다 외형이 큰 팽출부 (11) 를 형성하여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양측에 형성된 외주의 일부에 절결부 (11k) 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팽출부 (11) 의 반전 동작에 있어서, 보다 긴 동작 스트로크로 할 수 있다. 한편,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팽출부 (11) 에 절결부 (11k) 를 형성한 경우에는,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이 이 절결부 (11k) 에 보다 가해지게 되지만, 이 절결부 (11k) 부분에 튀어 오름부 (11t) 를 갖고 있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이 절결부 (11k)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의 집중을 확실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절결부 (11k)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저감된다. 이러한 것에 의해, 장수명화를 도모하면서, 보다 긴 동작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또, 튀어 오름부 (11t) 가 짧은 방향 (SD) 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팽출부 (11) 의 반전 동작시에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이 보다 가해지는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대해, 튀어 오름부 (11t) 에 의한 내부 응력의 저감 작용이 짧은 방향 (SD) 의 양측에 균등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어느 일방에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이 치우치지 않아, 보다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제조 방법은, 짧은 방향 (SD) 및 긴 방향 (LD) 을 가진 판상의 베이스 부재 (B1) 를 형성하는 외형 가공 공정 (P1) 과, 베이스 부재 (B1) 의 짧은 방향 (SD) 의 양단부를 긴 방향 (LD) 을 따라 일방측으로 절곡시켜 굽힘 가공 부재 (C1) 를 형성하는 굽힘 가공 공정 (P2) 과, 굽힘 가공 부재 (C1) 를 일방측을 향하여 돔상으로 팽출되도록 드로잉하여 드로잉 가공 부재 (D1) 를 형성하는 드로잉 가공 공정 (P3) 과, 드로잉 가공 부재 (D1) 에 접속된 이음부 (91) 를 절단하는 절단 가공 공정 (P4) 을 가지고 구성하였다. 이 때문에, 팽출부 (11) 가 팽출되는 측으로 구부러진 튀어 오름부 (11t) 가 긴 방향 (LD) 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짧은 방향 (SD) 의 양단부에 형성된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팽출부 (11) 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의 집중을 저감시킬 수 있고,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저감되어,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제공할 수 있다.
또, 굽힘 가공 공정 (P2) 이 짧은 방향 (SD) 을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요철 형상이 되도록 긴 방향 (LD) 을 따라 구부리는 물결 굽힘 공정 (P22) 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물결상으로 형성된 물결부 (11w) 가 팽출부 (11) 에 형성된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팽출부 (11) 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튀어 오름부 (11t) 에 더하여 이 물결부 (11w) 가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팽출부 (11) 의 확대를 보다 억제하게 되고,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 (LD) 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보다 저감되어, 보다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외형 가공 공정 (P1) 에 있어서, 레그부 (51) 와 접속시켜 이음부 (91) 를 형성하였으므로, 드로잉 가공 공정 (P3) 후의 절단 가공 공정 (P4) 에서 생성되는 이음부 (91) 를 절단한 절단면 (51p) 이,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형성된 튀어 오름부 (11t) 가 아니라 레그부 (51) 에 형성되게 된다. 이 때문에, 튀어 오름부 (11t) 에 의한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팽출부 (11) 의 확대를 억제하는 작용을 절단면 (51p) 에 의해 줄이지 않고,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 (LD) 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확실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확실하게 저감되어, 보다 장수명화를 확실하게 도모할 수 있는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인 푸시 스위치 (20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 (200) 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 (200) 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8 에서는, 튀어 오름부 (11t) 및 물결부 (11w) 는 도시하지 않았다 (튀어 오름부 (11t) 및 물결부 (11w) 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 를 참조).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 (200)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방체 형상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한 가동 접점 부재 (10) 와,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수용하고 일방이 개구된 수용부 (2s) 를 갖는 케이스 (2) 와, 수용부 (2s) 에 면하여 노출되어 배치 형성되어 있는 제 1 고정 접점 부재 (13) 및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와, 제 1 고정 접점 부재 (13) 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단자부 (14) 와,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단자부 (24) 와, 수용부 (2s) 를 덮도록 배치된 시트 부재 (25) 와, 가동 접점 부재 (10) 와 시트 부재 (25) 사이에 배치 형성된 플런저 부재 (8)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푸시 스위치 (200) 가 조립되었을 때에는, 가동 접점 부재 (10) 가 케이스 (2) 의 수용부 (2s) 에 수용되고, 플런저 부재 (8) 가 가동 접점 부재 (10) 에 재치되고, 시트 부재 (25) 가 케이스 (2) 의 수용부 (2s) 를 덮음과 함께 케이스 (2) 에 용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푸시 스위치 (200) 의 가동 접점 부재 (10) 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사용하고 있고,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가 상방 (도 8 에 나타내는 Z1 방향) 으로 돔상으로 팽출된 팽출부 (11) 와, 팽출부 (11) 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단측에 형성되고 팽출부 (11) 를 지지하고 있는 2 개의 레그부 (51) 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 부재 (10) 에는, 짧은 방향 (SD) 의 양단부에 긴 방향 (LD) 을 따라 연장 형성된 튀어 오름부 (11t)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튀어 오름부 (11t) 는, 짧은 방향 (SD) 을 따라 종단면에서 보면, 팽출된 팽출부 (11) 의 가상 능선 (KL) (도 3 의 (b) 를 참조) 에 대해 팽출부 (11) 가 팽출되는 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그리고, 가동 접점 부재 (10) 는, 조작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팽출부 (11) 에 가압을 수용하면 팽출부 (11) 가 반전 동작하고, 가압이 해제되면 가압 조작 전의 상태로 되돌아오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팽출부 (11) 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이 튀어 오름부 (11t) 가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팽출부 (11) 의 확대를 억제하게 된다. 이 때문에,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 (LD) 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저감되어,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가동 접점 부재 (10) 에는, 팽출부 (11) 에 있어서, 도 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 방향 (SD) 을 종단면에서 보면, 물결상으로 형성된 물결부 (11w)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물결부 (11w) 는, 긴 방향 (LD) 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2 개의 레그부 (51) 에 연장 형성되어 레그부 (51) 의 외주 단부 (L1) 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팽출부 (11) 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튀어 오름부 (11t) 에 더하여 이 물결부 (11w) 가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팽출부 (11) 의 확대를 보다 억제하게 된다. 이 때문에,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 (LD) 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보다 저감되어, 보다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 (200) 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추가적인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푸시 스위치 (200) 의 케이스 (2) 는, 절연 재료인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되어 제조되어 있고,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측 (도 8 에 나타내는 Z1 측) 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외형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방이 개구된 수용부 (2s) 를 갖는 상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 (2) 의 내부 바닥면 (2b) 과 케이스 (2) 의 외주에 수직 형성된 측벽 (2w) 으로 수용부 (2s) 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수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합성 수지로서 광이 잘 투과되지 않는 흑색 등의 암색계의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또, 케이스 (2) 에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 (2s) 에 면하여 노출된 제 1 고정 접점 부재 (13) 및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와, 케이스 (2) 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배치 형성된 제 1 단자부 (14) 및 제 2 단자부 (24) 가 고정되어 있다. 또, 수용부 (2s) 의 개구측에서 케이스 (2) 의 상면측에 위치하고 있는 측벽 (2w) 의 천면 (2u) 은, 단차 없이 평평한 형상을 하고 있고, 시트 부재 (25) 가 재치되면, 케이스 (2) 의 상면 (구체적으로는 천면 (2u)) 과 시트 부재 (25) (후술하는 플랜지부 (25v)) 의 하면이 밀착되게 된다. 또, 케이스 (2) 의 네 모퉁이에는, 천면 (2u) 에 대해 하방으로 움푹 패인 단차부 (2r)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차부 (2r) 에 점착제 (도시하지 않음) 가 배치된다.
다음으로, 푸시 스위치 (200) 의 제 1 고정 접점 부재 (13) 및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는, 도전성의 금속 재료로 제조되어 있고,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고정 접점 부재 (13) 가 수용부 (2s) 의 내부 바닥면 (2b) 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가 내부 바닥면 (2b) 의 긴 방향 (LD) 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2 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고정 접점 부재 (13) 에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된 볼록부 (13t) 가 3 개 형성되어 있고, 가동 접점 부재 (10) 가 케이스 (2) 의 수용부 (2s) 내에 배치되면, 이 볼록부 (13t) 는 가동 접점 부재 (10) 의 팽출부 (11) 의 정상부와 대향하여 정상부와 접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동일하게 하여, 2 개의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에도, 상방으로 돌출된 볼록부 (23t) 가 각각 2 개씩 (합쳐서 4 개) 형성되어 있고, 가동 접점 부재 (10) 가 케이스 (2) 의 수용부 (2s) 내에 배치되면, 이 볼록부 (23t) 는 가동 접점 부재 (10) 의 레그부 (51) 와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접점 부재 (10) 의 팽출부 (11) 가 반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제 1 고정 접점 부재 (13) (볼록부 (13t)) 와 가동 접점 부재 (10) 의 팽출부 (11) 의 정상부가 접리를 반복하게 된다. 한편,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와 가동 접점 부재 (10) 의 레그부 (51) 는, 팽출부 (11) 의 반전 동작이 반복되어도, 접촉 상태를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고정 접점 부재 (13) 는,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가 형성된 내부 바닥면 (2b) 보다 1 단 낮은 내부 바닥면 (2b) 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동 접점 부재 (10) 와 접리하는 제 1 고정 접점 부재 (13) 의 접촉면은, 가동 접점 부재 (10) 와 상시 접하고 있는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의 접촉면보다 낮은 위치, 요컨대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가동 접점 부재 (10) 에 있어서의 보다 긴 반전 거리, 요컨대 보다 긴 동작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푸시 스위치 (200) 의 제 1 단자부 (14) 및 제 2 단자부 (24) 는, 서로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고, 일부가 케이스 (2) 에 매설되어, 단부가 케이스 (2) 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단자부 (14) 는, 케이스 (2) (내부 바닥면 (2b)) 내에서 제 1 고정 접점 부재 (13) 와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제 2 단자부 (24) 는, 케이스 (2) (내부 바닥면 (2b)) 내에서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 단자부 (14) 및 제 2 단자부 (24) 에 의해 푸시 스위치 (200) 와 외부 기기의 전기적 접속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이 제 1 단자부 (14) 와 제 1 고정 접점 부재 (13)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 제 2 단자부 (24) 와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단자부 (14) 및 제 1 고정 접점 부재 (13) 그리고 제 2 단자부 (24) 및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는 금속판을 사용하고 있으며, 절단 가공이나 굽힘 가공 등을 실시하여 제조된 후, 케이스 (2) 의 사출 성형시에 인서트 성형되고 있다.
다음으로, 푸시 스위치 (200) 의 시트 부재 (25) 는, 투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제의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측 (도 8 에 나타내는 Z1 방향측) 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외형이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시트 부재 (25) 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가 상방으로 돌출된 돔상의 돔부 (25d) 와, 돔부 (25d) 의 주위에 형성되고 돔부 (25d) 에 연속된 플랜지부 (25v) 로 구성되어 있다. 또, 시트 부재 (25)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수용부 (2s) 의 개구를 덮을 수 있는 크기임과 함께, 케이스 (2) 의 외형 형상에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케이스 (2) 의 외형 형상의 내측에 수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푸시 스위치 (200) 가 조립되었을 때에는, 시트 부재 (25) 는, 수용부 (2s) 를 덮도록 케이스 (2) 의 상면측에 배치 (재치) 되어, 시트 부재 (25) 의 플랜지부 (25v) 와 케이스 (2) 의 천면 (2u) 이 밀착된다. 그리고, 시트 부재 (25) 측으로부터 레이저 광을 천면 (2u) 에 조사함으로써, 케이스 (2) 의 천면 (2u) 과 시트 부재 (25) 의 플랜지부 (25v) 가 용착되어, 시트 부재 (25) 가 케이스 (2) 에 고정된다. 그 때에는, 시트 부재 (25) 의 이면측에는 케이스 (2) 의 네 모퉁이의 단차부 (2r) 에 점착제 (도시하지 않음) 가 위치하게 되고, 점착제는 레이저 용착의 공정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 (25) 의 임시 고정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케이스 (2) 와 시트 부재 (25) 를 용착시키고 있으므로, 케이스 (2) 에 사용하는 합성 수지는, 광이 잘 투과되지 않는 흑색 등의 암색계의 재료를 사용하고, 시트 부재 (25) 에 사용하는 합성 수지는, 레이저 광을 투과하는 투광성의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푸시 스위치 (200) 의 플런저 부재 (8) 는, 광이 잘 투과되지 않는 흑색 등의 암색계의 합성 수지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런저 부재 (8) 는, 시트 부재 (25) 의 돔부 (25d) 의 내측에 배치 형성되고, 시트 부재 (25) 와 플런저 부재 (8) 의 반구면의 일부가 용착되어, 플런저 부재 (8) 가 시트 부재 (25) 에 고정된다. 또한, 이 용착은, 케이스 (2) 와 시트 부재 (25) 의 용착과 마찬가지로, 시트 부재 (25) 측으로부터의 레이저 광을 조사함으로써 실시된다. 또, 레이저 광에 의한 용착 이외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초음파 용착의 방법으로 용착시켜도 된다.
또, 푸시 스위치 (200) 가 조립되었을 때에는, 플런저 부재 (8) 는, 가동 접점 부재 (10) 의 팽출부 (11) 의 정상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 형성되고, 조작자에 의한 가압 조작을 받아,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정상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플런저 부재 (8) 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동 접점 부재 (10) 의 반전 동작을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 (200) 는,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로 되어 있다. 왜냐하면, 가동 접점 부재 (10) 의 팽출부 (11) 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가동 접점 부재 (10) 의 튀어 오름부 (11t) 가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팽출부 (11) 의 확대를 억제하게 되고,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 (LD) 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저감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저감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장수명화가 도모되고 있으므로, 그 결과적으로 푸시 스위치 (200) 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푸시 스위치 (200) 는,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장수명화를 보다 도모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로 되어 있다. 왜냐하면, 팽출부 (11) 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튀어 오름부 (11t) 에 더하여 이 물결부 (11w) 가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팽출부 (11) 의 확대를 보다 억제하게 되고,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 (LD) 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보다 저감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보다 저감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장수명화가 보다 도모되고 있으므로, 그 결과적으로 푸시 스위치 (200) 의 장수명화를 보다 도모할 수 있다.
또, 푸시 스위치 (200) 는,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장수명화를 도모하면서, 전체의 폭 (짧은 방향 (SD)) 을 작게 하여 소형화한 후에 보다 긴 동작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로 되어 있다. 왜냐하면, 가동 접점 부재 (10) 로서, 보다 외형이 큰 팽출부 (11) 로 하고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양측에 형성된 외주의 일부에 절결부 (11k) 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팽출부 (11) 의 반전 동작에 있어서, 보다 긴 동작 스트로크로 할 수 있다. 한편,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팽출부 (11) 에 절결부 (11k) 를 형성한 경우에는,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이 이 절결부 (11k) 에 보다 가해지게 되지만, 이 절결부 (11k) 부분에 튀어 오름부 (11t) 를 갖고 있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이 절결부 (11k)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의 집중을 확실하게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 푸시 스위치 (200) 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조작 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푸시 스위치 (200) 는,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정상부와 제 1 고정 접점 부재 (13) (볼록부 (13t)) 는 이간되어 있음과 함께, 가동 접점 부재 (10) 의 레그부 (51) 와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볼록부 (23t)) 는 접촉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고정 접점 부재 (13) 와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다음으로, 조작자에 의한 가압 조작이 실시되면, 시트 부재 (25) 및 플런저 부재 (8) 를 개재하여 가동 접점 부재 (10) 가 하방으로 가압되고, 정상부의 근방을 가압된 가동 접점 부재 (10) 는 하방으로 휜 후에 팽출부 (11) 가 반전 동작한다. 그리고, 팽출부 (11) 의 정상부의 이면측이 제 1 고정 접점 부재 (13) 에 접촉되게 된다. 이로써, 가동 접점 부재 (10) 와 제 1 고정 접점 부재 (13) 가 접촉됨으로써, 가동 접점 부재 (10) 를 개재하여 제 1 고정 접점 부재 (13) 와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으로, 조작자에 의한 가압 조작이 해제되면, 가동 접점 부재 (10) 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고, 가동 접점 부재 (10) 의 반발력에 의해 가동 접점 부재 (10) 는 원래의 돔 형상으로 되돌아온다. 그리고, 푸시 스위치 (200) 는 조작 전의 상태로 되돌아오고, 제 1 고정 접점 부재 (13) 와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가동 접점 부재 (10) 를 가압 조작하고, 제 1 고정 접점 부재 (13) 와 제 2 고정 접점 부재 (23) 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전환 (ON/OFF) 함으로써, 푸시 스위치 (200) 는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사용한 푸시 스위치 (200) 에 있어서의 효과에 대해 이하에 정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 (200) 는,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가동 접점 부재 (10) 의 팽출부 (11) 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튀어 오름부 (11t) 에 의해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 (LD) 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저감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저감되어,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팽출부 (11) 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튀어 오름부 (11t) 에 더하여 물결부 (11w) 가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팽출부 (11) 의 확대를 보다 억제하게 되고,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 (LD) 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보다 저감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보다 저감되어, 장수명화를 보다 도모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보다 외형이 큰 팽출부 (11) 와 짧은 방향 (SD) 의 외주의 일부에 형성된 절결부 (11k) 의 구성으로, 전체의 폭 (짧은 방향 (SD)) 을 작게 하여 소형화한 후에 보다 긴 동작 스트로크를 확보하고, 튀어 오름부 (11t) 에 의해 절결부 (11k)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인장 응력) 의 집중을 확실하게 저감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보다 긴 동작 스트로크를 확보하면서,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저감되어,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인 시트 스위치 (30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시트 스위치 (300) 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스위치 (300) 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0 의 (a) 는 도 9 에 나타내는 Z1 측에서 본 시트 스위치 (300) 의 상면도이고, 도 10 의 (b) 는 도 9 에 나타내는 X1 측에서 본 시트 스위치 (300) 의 측면도이다. 도 11 의 (a) 는 도 10 의 (a) 에 나타내는 ⅩⅠ-ⅩⅠ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고, 도 11 의 (b) 는 도 10 의 (a) 에 나타내는 ⅩⅡ-ⅩⅡ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10 의 (a) 에 나타내는 P 부분의 Z2 측에서 본 시트 부재 (35) 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12 에서는, 가동 접점 부재 (10) 가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 의 (a) 는 도 10 의 (a) 에 나타내는 P 부분의 Z1 측에서 본 시트 기판 (9) 의 상면도이고, 도 13 의 (b) 는 도 10 의 (a) 에 나타내는 Q 부분의 Z2 측에서 본 시트 기판 (9) 의 바닥면도이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시트 스위치 (300) 는,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사각형으로 시트상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한 가동 접점 부재 (10) 와, 가동 접점 부재 (10) 가 유지된 시트 부재 (35) 와, 시트 부재 (35) 와 대향하여 배치 형성된 시트 기판 (9) 과, 시트 기판 (9) 의 일면 (9a) 에 형성된 제 1 고정 접점 부재 (33) 및 제 2 고정 접점 부재 (43) 와, 제 1 고정 접점 부재 (33) 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단자부 (34) (도 13 의 (b) 를 참조) 와, 제 2 고정 접점 부재 (43) 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단자부 (44) (도 13 의 (b) 를 참조)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스위치 (300) 가 조립되었을 때에는, 복수의 가동 접점 부재 (10) 가 시트 부재 (35) 에 유지되고, 가동 접점 부재 (10) 와 제 1 고정 접점 부재 (33) 및 제 2 고정 접점 부재 (43) 가 대향하도록, 시트 부재 (35) 가 시트 기판 (9) 에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고정 접점 부재 (33) 및 제 2 고정 접점 부재 (43), 그리고 가동 접점 부재 (10) 는 각각 20 개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시트 스위치 (300) 의 가동 접점 부재 (10) 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사용하고 있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가 상방 (도 1 에 나타내는 Z1 방향) 으로 돔상으로 팽출된 팽출부 (11) 와, 팽출부 (11) 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단측에 형성되고 팽출부 (11) 를 지지하고 있는 2 개의 레그부 (51) 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 부재 (10) 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 방향 (SD) 의 양단부에 긴 방향 (LD) 을 따라 연장 형성된 튀어 오름부 (11t)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튀어 오름부 (11t) 는, 짧은 방향 (SD) 을 따라 종단면에서 보면, 팽출된 팽출부 (11) 의 가상 능선 (KL) (도 3 의 (b) 를 참조) 에 대해 팽출부 (11) 가 팽출되는 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그리고, 가동 접점 부재 (10) 는, 조작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팽출부 (11) 에 가압을 수용하면 팽출부 (11) 가 반전 동작하고, 가압이 해제되면 가압 조작 전의 상태로 되돌아오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팽출부 (11) 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이 튀어 오름부 (11t) 가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팽출부 (11) 의 확대를 억제하게 된다. 이 때문에,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 (LD) 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저감되어,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가동 접점 부재 (10) 에는, 팽출부 (11) 에 있어서, 도 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 방향 (SD) 을 종단면에서 보면, 물결상으로 형성된 물결부 (11w)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물결부 (11w) 는, 긴 방향 (LD) 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2 개의 레그부 (51) 에 연장 형성되어 레그부 (51) 의 외주 단부 (L1) 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팽출부 (11) 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튀어 오름부 (11t) 에 더하여 이 물결부 (11w) 가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팽출부 (11) 의 확대를 보다 억제하게 된다. 이 때문에,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 (LD) 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보다 저감되어, 보다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시트 스위치 (300) 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추가적인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시트 스위치 (300) 의 시트 부재 (35) 는, 합성 수지의 시트재를 적층하여 제조되어 있고,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 부재 (10) 의 레그부 (51) 까지 수용할 수 있는 원형 형상의 관통공을 복수 가진 스페이서 (5S) 와,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유지하는 원형 형상의 유지 시트 (5H) 와, 스페이서 (5S) 및 유지 시트 (5H) 를 덮는 커버 시트 (5C)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부재 (35) 는, 가동 접점 부재 (10) 의 내측면 (오목면) 이 시트 기판 (9) 의 일면 (9a) 과 대향하도록 시트 기판 (9) 에 장착된다.
시트 부재 (35) 의 스페이서 (5S) 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PC, Polycarbonate) 등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하여 시트상으로 제조되어 있고,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원형 형상의 관통공과 관통공끼리를 연결한 관통 구멍을 갖고 있다. 이 관통 구멍은, 가동 접점 부재 (10) 의 반전에 의해 밀려 나온 기체 (공기) 의 배출 구멍으로 되어 있다. 또, 스페이서 (5S) 에는, 도시하지 않은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점착층에 의해 스페이서 (5S) 가 시트 기판 (9) 에 첩부 (貼付) 된다.
시트 부재 (35) 의 유지 시트 (5H) 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편면에 점착층 (도시하지 않음) 이 형성된 필름재를 사용하고 있고, 원형 형상이고 가동 접점 부재 (10) 보다 큰 외형으로 제조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가동 접점 부재 (10) 에 대응한 복수의 유지 시트 (5H) 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상방 (도 11 에 나타내는 Z1 방향) 에 각각 배치 형성되고, 이 점착층에 의해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유지하고 있다.
시트 부재 (35) 의 커버 시트 (5C) 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PET) 등의 필름재를 사용하고 있고,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 형상이고 가동 접점 부재 (10) 보다 큰 외형의 돔 형상이 되는 드로잉 가공이 실시되어 제조되어 있다. 또, 커버 시트 (5C) 의 편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시트 (5C) 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 (5S) 및 유지 시트 (5H) 의 상방 (도 11 에 나타내는 Z1 방향) 에 배치 형성되고, 이 점착층에 의해 스페이서 (5S) 및 유지 시트 (5H) 에 첩부되어 있다. 이로써, 시트 부재 (35) 와 시트 기판 (9) 으로 가동 접점 부재 (10) 를 협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시트 스위치 (300) 의 시트 기판 (9) 은, 양면에 배선 패턴이 실시된, 소위 양면의 프린트 배선판 (PWB, printed wiring board) 을 사용하고 있고, 도 13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일면 (9a) 측에는 제 1 고정 접점 부재 (33) 및 제 2 고정 접점 부재 (43) 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도 1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타면 (9z) 측에는 제 1 단자부 (34) 및 제 2 단자부 (44)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 기판 (9) 으로서 양면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FPC, Flexible printed circuits) 을 사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시트 스위치 (300) 의 제 1 고정 접점 부재 (33) 및 제 2 고정 접점 부재 (43) 는, 시트 기판 (9) 의 일부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도 13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고정 접점 부재 (33) 인 타원형의 패턴과 제 2 고정 접점 부재 (43) 인 마제형의 패턴의 조합으로, 복수의 가동 접점 부재 (10) 에 대응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부재 (35) 가 시트 기판 (9) 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제 1 고정 접점 부재 (33) 가 가동 접점 부재 (10) 의 팽출부 (11) 의 정상부와 접리 가능하게 배치 형성됨과 함께, 제 2 고정 접점 부재 (43) 가 가동 접점 부재 (10) 의 레그부 (51) 와 접촉되어 배치 형성된다. 이로써, 가동 접점 부재 (10) 의 팽출부 (11) 가 반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제 1 고정 접점 부재 (33) 와 가동 접점 부재 (10) 의 팽출부 (11) 의 정상부가 접리를 반복하게 된다. 한편, 제 2 고정 접점 부재 (43) 와 가동 접점 부재 (10) 의 레그부 (51) 는, 팽출부 (11) 의 반전 동작이 반복되어도, 접촉 상태를 항상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시트 스위치 (300) 의 제 1 단자부 (34) 및 제 2 단자부 (44) 는, 시트 기판 (9) 의 일부를 사용하여 서로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형성되어 있고, 도 1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기판 (9) 의 타면 (9z) 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상세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시트 기판 (9) 에 형성된 스루홀 (9h) 에 의해 제 1 단자부 (34) 가 제 1 고정 접점 부재 (33) 와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제 2 단자부 (44) 가 제 2 고정 접점 부재 (43) 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 단자부 (34) 및 제 2 단자부 (44) 에 의해 시트 스위치 (300) 와 외부 기기의 전기적 접속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시트 스위치 (300) 는,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로 되어 있다. 왜냐하면, 가동 접점 부재 (10) 의 팽출부 (11) 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가동 접점 부재 (10) 의 튀어 오름부 (11t) 가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팽출부 (11) 의 확대를 억제하게 되고,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 (LD) 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저감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저감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장수명화가 도모되고 있으므로, 그 결과적으로 시트 스위치 (300) 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시트 스위치 (300) 는,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장수명화를 보다 도모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로 되어 있다. 왜냐하면, 팽출부 (11) 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튀어 오름부 (11t) 에 더하여 물결부 (11w) (도 3 을 참조) 가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팽출부 (11) 의 확대를 보다 억제하게 되고,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 (LD) 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보다 저감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보다 저감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장수명화가 보다 도모되고 있으므로, 그 결과적으로 시트 스위치 (300) 의 장수명화를 보다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 시트 스위치 (300) 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조작 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시트 스위치 (300) 는,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정상부와 제 1 고정 접점 부재 (33) 는 이간되어 있음과 함께, 가동 접점 부재 (10) 의 레그부 (51) 와 제 2 고정 접점 부재 (43) 는 접촉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고정 접점 부재 (33) 와 제 2 고정 접점 부재 (43) 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다음으로, 조작자에 의한 가압 조작이 실시되면, 시트 부재 (35) 를 개재하여 가동 접점 부재 (10) 가 하방으로 가압되고, 정상부의 근방을 가압된 가동 접점 부재 (10) 는 하방으로 휜 후에 팽출부 (11) 가 반전 동작한다. 그리고, 팽출부 (11) 의 정상부의 이면측이 제 1 고정 접점 부재 (33) 에 접촉되게 된다. 이로써, 가동 접점 부재 (10) 와 제 1 고정 접점 부재 (33) 가 접촉됨으로써, 가동 접점 부재 (10) 를 개재하여 제 1 고정 접점 부재 (33) 와 제 2 고정 접점 부재 (43) 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으로, 조작자에 의한 가압 조작이 해제되면, 가동 접점 부재 (10) 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고, 가동 접점 부재 (10) 의 반발력에 의해 가동 접점 부재 (10) 는 원래의 돔 형상으로 되돌아온다. 그리고, 시트 스위치 (300) 는 조작 전의 상태로 되돌아오고, 제 1 고정 접점 부재 (33) 와 제 2 고정 접점 부재 (43) 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가동 접점 부재 (10) 를 가압 조작하고, 제 1 고정 접점 부재 (33) 와 제 2 고정 접점 부재 (43) 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전환 (ON/OFF) 함으로써, 시트 스위치 (300) 는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사용한 시트 스위치 (300) 에 있어서의 효과에 대해 이하에 정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스위치 (300) 는,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가동 접점 부재 (10) 의 팽출부 (11) 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 (LD) 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저감시킬 수 있고,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저감되어,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가동 접점 부재 (10) 의 팽출부 (11) 가 가압 조작되어 반전될 때에 튀어 오름부 (11t) 에 더하여 이 물결부 (11w) 가 짧은 방향 (SD) 에 있어서의 팽출부 (11) 의 확대를 보다 억제하게 되고, 짧은 방향 (SD)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 (긴 방향 (LD) 측으로 인장되는 인장 응력) 의 집중을 보다 저감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 부재 (10) 의 외주 단부 (S1) 에 있어서의 크랙 등의 문제가 보다 저감되어, 장수명화를 보다 도모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들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동 접점 부재 (10) 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4 의 (a) 는 변형예 2 의 가동 접점 부재 (C10) 의 상면도이고, 도 14 의 (b) 는 변형예 3 의 가동 접점 부재 (D10) 의 상면도이다.
<변형예 1>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튀어 오름부 (11t) 와 물결부 (11w) 를 알맞게 조합하여 구성하였지만, 튀어 오름부 (11t) 만의 구성이어도 충분한 효과를 발휘한다.
<변형예 2>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팽출부 (11) 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에 2 개의 레그부 (51) 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도 14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출부 (11) 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에 각각 2 개의 레그부 (C51), 합쳐서 4 개의 레그부 (C51) 를 형성하는 구성이어도 되고, 그 이상의 개수를 형성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변형예 3>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팽출부 (11) 에 절결부 (11k) 를 형성하도록 알맞게 구성하였지만, 예를 들어, 도 14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 방향 (SD) 측의 팽출부 (D11) 의 외측에 측부 (D71) 를 형성하여, 절결부 (11k) 를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그 때에는 측부 (D71) 에 튀어 오름부 (11t) 가 형성된다.
<변형예 4> <변형예 5>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접점 부재 (10) 의 반전 동작을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실시하기 위해, 플런저 부재 (8) 를 알맞게 사용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반드시 사용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변형예 4). 또, 시트 부재 (25) 의 상방에 조작자가 조작하는 조작 부재를 형성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변형예 5).
<변형예 6>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고정 접점 부재 (33) 및 제 2 고정 접점 부재 (43), 그리고 가동 접점 부재 (10) 를 각각 20 개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되고 많아도 된다.
<변형예 7>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타원형의 패턴의 제 1 고정 접점 부재 (33) 와 마제형의 패턴의 제 2 고정 접점 부재 (43) 의 조합으로 고정 접점을 구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링형의 패턴과 원형의 패턴의 조합으로 고정 접점을 구성해도 된다.
<변형예 8>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동 접점 부재 (10) 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로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푸시 스위치 (200) 및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스위치 (300) 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위치 장치로서 슬라이드 스위치나 시소 스위치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C10, D10 : 가동 접점 부재
11, D11 : 팽출부
11t : 튀어 오름부
11k : 절결부
11w : 물결부
51, C51 : 레그부
91 : 이음부
13, 33 : 제 1 고정 접점 부재
23, 43 : 제 2 고정 접점 부재
14, 34 : 제 1 단자부
24, 44 : 제 2 단자부
200 : 푸시 스위치
300 : 시트 스위치
B1 : 베이스 부재
C1 : 굽힘 가공 부재
D1 : 드로잉 가공 부재
P1 : 외형 가공 공정
P2 : 굽힘 가공 공정
P22 : 물결 굽힘 공정
P3 : 드로잉 가공 공정
P4 : 절단 가공 공정
LD : 긴 방향
SD : 짧은 방향

Claims (12)

  1. 돔상으로 팽출되고 가압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한 팽출부와, 그 팽출부를 지지하고 있는 복수의 레그부를 구비하고, 짧은 방향 및 긴 방향을 가진 외형 형상의 가동 접점 부재로서,
    복수의 그 레그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에 각각 적어도 1 개씩 형성되고,
    상기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상기 짧은 방향을 따라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팽출되는 측으로 구부러진 튀어 오름부를 갖고,
    그 튀어 오름부가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에는, 상기 짧은 방향을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물결상으로 형성된 물결부를 갖고,
    그 물결부가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에는, 상기 짧은 방향의 외주의 일부를 형성하는 절결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에는, 상기 짧은 방향의 외주의 일부를 형성하는 절결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방향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방향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방향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재.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방향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재.
  9. 돔상으로 팽출되고 가압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한 팽출부와, 그 팽출부를 지지하고 있는 복수의 레그부를 구비하고, 외형 형상이 짧은 방향 및 긴 방향을 가진 가동 접점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시트상의 금속재로부터 이음부를 남기면서 상기 짧은 방향 및 상기 긴 방향을 가진 판상의 베이스 부재를 형성하는 외형 가공 공정과,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상기 짧은 방향의 양단부를 일방측으로 절곡시켜 굽힘 가공 부재를 형성하는 굽힘 가공 공정과,
    상기 굽힘 가공 부재에 대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짧은 방향 및 상기 긴 방향의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일방측을 향하여 상기 돔상으로 팽출되도록 드로잉하여 드로잉 가공 부재를 형성하는 드로잉 가공 공정과,
    상기 드로잉 가공 부재에 접속된 상기 이음부를 상기 외형 형상을 따라 절단하는 절단 가공 공정을 갖고,
    상기 드로잉 가공 공정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팽출되는 측으로 구부러진 튀어 오름부가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재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가공 공정은, 상기 짧은 방향을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요철상이 되도록, 상기 긴 방향을 따라 구부리는 물결 굽힘 공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재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 가공 공정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와 접속시켜 상기 이음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재의 제조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재와,
    그 가동 접점 부재의 상기 팽출부의 정상부와 접리 가능한 제 1 고정 접점 부재와,
    상기 가동 접점 부재의 상기 레그부와 접촉되어 있는 제 2 고정 접점 부재와,
    상기 제 1 고정 접점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단자부와,
    상기 제 2 고정 접점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단자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160009852A 2015-03-24 2016-01-27 가동 접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가동 접점 부재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 KR101782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60330A JP6425306B2 (ja) 2015-03-24 2015-03-24 可動接点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可動接点部材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JPJP-P-2015-060330 2015-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501A true KR20160114501A (ko) 2016-10-05
KR101782244B1 KR101782244B1 (ko) 2017-10-23

Family

ID=57082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852A KR101782244B1 (ko) 2015-03-24 2016-01-27 가동 접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가동 접점 부재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25306B2 (ko)
KR (1) KR101782244B1 (ko)
CN (1) CN1060244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01434B1 (ja) * 2017-10-13 2019-04-17 不二電子工業株式会社 ドームコンタクト
JP7216535B2 (ja) * 2018-12-12 2023-02-01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可動接点及び可動接点を用いたスイッチ
JP6827596B2 (ja) * 2019-02-18 2021-02-10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バネ部材及びスイッチ
JP7503797B2 (ja) 2019-10-10 2024-06-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入力装置
JP2023123883A (ja) * 2020-07-13 2023-09-06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バネ部材及びスイッ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7664A (ja) 2001-12-21 2003-07-04 Shinmei Electric Co Ltd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の接点板製造方法及びその接点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7325U (ko) * 1986-04-14 1987-10-23
JPH11144558A (ja) * 1997-11-04 1999-05-28 Otax Co Ltd スイッチ用ドームコンタクト
TW200534315A (en) * 2004-04-09 2005-10-16 Hon Hai Prec Ind Co Ltd Push switch
JP2007173099A (ja) * 2005-12-22 2007-07-05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JP2007280616A (ja) * 2006-04-03 2007-10-25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用可動接点体及びスイッチ装置
JP4653004B2 (ja) 2006-04-10 2011-03-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用反転板ばねの製造方法
JP2010278793A (ja) 2009-05-29 2010-12-09 Onkyo Corp ダンパー及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ー
EP2284853A1 (en) * 2009-08-11 2011-02-16 CoActive Technologies, Inc. Electrical switch comprising a force transmission element fixed between a film and a snap disc
JP5647473B2 (ja) * 2010-09-15 2014-12-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可動接点部材およびスイッチ装置
JP5647065B2 (ja) * 2011-05-12 2014-12-24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メタルド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321701B2 (ja) * 2012-01-19 2013-10-23 Smk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とその製造方法
JP3178218U (ja) * 2012-06-25 2012-09-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クリックバネとそのクリックバネを用いたプッシュスイッチ
JP2014220088A (ja) * 2013-05-08 2014-11-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可動接点部材及び可動接点部材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7664A (ja) 2001-12-21 2003-07-04 Shinmei Electric Co Ltd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の接点板製造方法及びその接点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24470B (zh) 2018-07-17
KR101782244B1 (ko) 2017-10-23
JP2016181366A (ja) 2016-10-13
CN106024470A (zh) 2016-10-12
JP6425306B2 (ja)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244B1 (ko) 가동 접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가동 접점 부재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
KR101799065B1 (ko) 푸쉬 스위치 및 스위치 모듈
KR100664365B1 (ko) 푸쉬온 스위치
JP2007523456A (ja) スイッチ
JP2009301867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CN107546054B (zh) 按压开关
KR101791328B1 (ko) 가동 접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가동 접점 부재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
JPWO2018051995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EP2323353A1 (en) Side key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0524566C (zh) 按键开关结构
CN111052283B (zh) 按压开关
JP6341509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12227071A (ja) 可動接点部材及び該可動接点部材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JP2003234035A (ja) 接点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JP2012230926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200453797Y1 (ko)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조립체
CN111033665A (zh) 按压开关
JP2014059953A (ja) ロングストローク・ドーム型可動接片
JP2003223829A (ja) ドームスイッチ
KR20160124690A (ko) 푸시 스위치
JP2022030891A (ja) スイッチ
JP2022065891A (ja) キースイッチ
JP2000040438A (ja) 薄型プッシュスイッチ
JP2022098101A (ja) キースイッチ
JP2004039266A (ja) 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