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224A -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 Google Patents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11224A KR20160111224A KR1020150036102A KR20150036102A KR20160111224A KR 20160111224 A KR20160111224 A KR 20160111224A KR 1020150036102 A KR1020150036102 A KR 1020150036102A KR 20150036102 A KR20150036102 A KR 20150036102A KR 20160111224 A KR20160111224 A KR 201601112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rejection
- receiving
- water rejection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8—Means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 of the receptacle, e.g. wheels, rolls
- B65F1/1473—Receptacles having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20/00—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20/12—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nestabl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수거기 본체; 및 상기 수거기 본체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 내로 수납되되, 쓰레기의 수거 시 상기 수납공간에서 꺼내어 일렬로 전개한 후 각종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고 쓰레기 수거완료 후에는 전개상태를 접어서 부피를 축소한 후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기 수거 시 수거기 본체로부터 수거부를 꺼내어 일렬로 전개한 후 종류별로 분리하여 수거하며 쓰레기 수거완료 후에는 수거부의 전개상태를 접어서 부피를 축소한 후 수거기 본체에 수납 보관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에 관한 것이다.
요즘 들어,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가정이나 회사 등에서 배출되는 쓰레기의 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쓰레기는 일정한 곳에 매립하는 것으로 처리하였으나, 쓰레기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환경문제를 동시에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쓰레기 중에는 매립함으로써 자연적으로 소멸되는 것도 있으나, 알루미늄 캔, 병, 플라스틱 쓰레기 등은 썩지 않기 때문에 이들은 별도로 구분하여 재활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요즘에 들어서는 정부차원에서 가정에서 배출되는 알루미늄 캔, 병, 플라스틱 쓰레기 이외에도 폐지 등을 별도로 분리하도록 그 규정을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며, 분리된 이들 쓰레기에 대해서는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아파트나 빌라 단지 등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정문 쪽에 쓰레기를 종류별로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커다란 분리수거함을 갖추고 있어 분리배출 수거가 잘 되고 있다. 그러나, 단독주택 밀집지역의 경우는 다르다.
첫째, 수거공간 확보가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특정장소에 요일별 시간을 정해놓고 한정적으로 수거하는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둘째,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제품들은 사용시 조립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셋째, 사용 후 재사용까지의 보관성이 매우 나쁘다. 골목길 전주에 쇠사슬로 묶어서 보관하고 있다. 이에 불편함과 향기나는 골목길을 만드는데 있다.
따라서 디자인이 미려하여 장식성을 가지면서도 간편하고 깨끗하게 재활용 쓰레기를 그 종류에 맞게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에 선출원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5142호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대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대는 재활용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분리수거할 수 있으며, 분해조립식이어서 공간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대는 쓰레기의 분리수거를 위해 분해조립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분해 및 조립과정이 용이하지 않고 사용상의 편의성의 저하됨으로써 그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거나 기피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쓰레기 수거 시 수거기 본체로부터 가까운쪽 수거부를 차례로 일렬로 전개하면 지면의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정된다. 이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수거하면 사용후에는 본체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수거함부터 접어서 수거부의 부피를 축소한 후 수거기 본체에 수납 보관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주변이 불쾌한 냄새 또한 해결할 수 있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수거기 본체; 및 상기 수거기 본체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 내로 수납되되, 쓰레기의 수거 시 상기 수납공간에서 꺼내어 일렬로 전개한 후 각종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고 쓰레기 수거완료 후에는 전개상태를 접어서 부피를 축소한 후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수거부는, 원형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수거기 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도록 마련되는 제1 수거부 본체; 상기 제1 수거부 본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1 수거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수거부 본체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제1 수거부 본체에 대해 일렬로 전개되도록 마련되는 제2 수거부 본체; 상기 제2 수거부 본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2 수거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수거부 본체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제2 수거부 본체에 대해 일렬로 전개되도록 마련되는 제3 수거부 본체; 및 상기 제3 수거부 본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3 수거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3 수거부 본체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제3 수거부 본체에 대해 일렬로 전개되도록 마련되는 제4 수거부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거부를 구성하는 제1 수거부 본체, 제2 수거부 본체, 제3 수거부 본체 및 제4 수거부 본체의 전면 상부에는 각종 정보 혹은 광고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거부 본체는, 상기 수납공간에 각종 청소도구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내면에 다수의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거부 본체는, 사용자에 의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면에 다수의 바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수거부 본체는, 나무 혹은 꽃을 심을 수 있도록 그 상부에 식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쓰레기 수거 시 수거기 본체로부터 수거부를 꺼내어 일렬로 전개한 후 종류별로 분리하여 수거하며 쓰레기 수거완료 후에는 수거부의 전개상태를 접어서 부피를 축소한 후 수거기 본체에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쓰레기 재활용 분리수거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주변이 불쾌한 냄새 또한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수거기 본체와 수거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거부의 접힘 상태와 전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수거기 본체와 수거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거부의 접힘 상태와 전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수거기 본체와 수거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거부의 접힘 상태와 전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기 본체(10)와, 그리고 수거부(20)를 포함한다.
수거기 본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즉, 수거기 본체(10)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한 쌍의 도어(12)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수거기 본체(10)는 수납공간(11)에 수거부(20)를 수납하여 보관하며, 쓰레기의 분리수거 시에는 수납공간(11)에서 수거부를 꺼낼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어(12)의 내면에는 수납공간(11)에 각종 청소도구(1)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고리(1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리(13)에 각종 청소도구(1)를 걸어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거기 본체(10)는 하면에 다수의 바퀴(14)가 마련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도어(12)의 내면에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제(16)가 장착되며, 이에 따라 수납공간(11)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수납공간(11)은 쓰레기를 재활용하는 수거부(20)가 수납됨에 따라 쓰레기의 잔재에 의해 각종 악취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악취는 탈취제에 의해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수거부(20)는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1 수거부 본체(22)와, 제2 수거부 본체(24)와, 제3 수거부 본체(26)와, 그리고 제4 수거부 본체(28)를 포함한다.
제1 수거부 본체(22)는 원형의 상부프레임(22A)과 하부프레임(22B)이 한 쌍의 수직프레임(22C)을 매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제1 수거부 본체(22)는 수거기 본체(10)의 수납공간(11)에 수납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2 수거부 본체(24)는 제1 수거부 본체(22)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제2 수거부 본체(24)는 원형의 상부프레임(24A)과 하부프레임(24B)이 한 쌍의 수직프레임(24C)을 매개로 연결되며, 제1 수거부 본체(22)에 형성된 수직프레임(22C)에 원형의 연결고리(24D)를 매개로 연결된다. 이때, 연결고리(24C)는 제2 수거부 본체(24)의 일측에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이에 따라 제2 수거부 본체(24)는 제1 수거부 본체(22)에 연결고리(24D)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 수거부 본체(22)에 대해 일렬로 전개되거나 또는 제1 수거부 본체(22)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게 된다.
제3 수거부 본체(26)는 제2 수거부 본체(24)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제3 수거부 본체(26)는 원형의 상부프레임(26A)과 하부프레임(26B)이 한 쌍의 수직프레임(26C)을 매개로 연결되며, 제2 수거부 본체(24)에 형성된 수직프레임(24C)에 원형의 연결고리(26D)를 매개로 연결된다. 이때, 연결고리(26D)는 제3 수거부 본체(26)의 일측에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이에 따라 제3 수거부 본체(26)는 제2 수거부 본체(24)에 연결고리(26D)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2 수거부 본체(24)에 대해 일렬로 전개되거나 또는 제2 수거부 본체(24)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게 된다.
제4 수거부 본체(28)는 제3 수거부 본체(26)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제4 수거부 본체(28)는 원형의 상부프레임(28A)과 하부프레임(28B)이 한 쌍의 수직프레임(28C)을 매개로 연결되며, 제3 수거부 본체(26)에 형성된 수직프레임(26C)에 원형의 연결고리(28D)를 매개로 연결된다. 이때, 연결고리(28D)는 제4 수거부 본체(28)의 일측에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이에 따라 제4 수거부 본체(28)는 제3 수거부 본체(26)에 연결고리(28D)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3 수거부 본체(26)에 대해 일렬로 전개되거나 또는 제3 수거부 본체(26)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거부(20)는 수거기 본체(10)와 별도로 형성되어 수납공간(11) 내로 수납되는 구조를 갖되, 쓰레기의 수거 시 수납공간(11)에서 꺼내어 제1 수거부 본체(22), 제2 수거부 본체(24), 제3 수거부 본체(26), 제4 수거부 본체(28)를 일렬로 전개한 후 각종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고 쓰레기 수거완료 후에는 전개상태를 접어서 부피를 축소한 후 수납공간(11)에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제1 수거부 본체(22), 제2 수거부 본체(24), 제3 수거부 본체(26) 및 제4 수거부 본체(28)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 정보부(29)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정보부(29)에 사용자의 각종 정보 또는 광고를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수거 시 수거기 본체(10)의 도어(12)를 개방한 후 수납공간(11)으로부터 수거부(20)를 꺼내어 일렬로 전개한다.
즉, 수거부(20)의 제1 수거부 본체(22), 제2 수거부 본체(24), 제3 수거부 본체(26) 및 제4 수거부 본체(28)는 연결고리(24D, 26D, 28D)를 매개로 상호 연결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어 일렬로 전개될 수 있게 된다.
수거부(20)가 일렬로 전개되면, 제1 수거부 본체(22), 제2 수거부 본체(24), 제3 수거부 본체(26) 및 제4 수거부 본체(28)에 비닐봉투, 그물망, 포대 등을 장착한 후 쓰레기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수거함으로써 사용상의 조작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수거가 완료되면, 수거부(20)를 접어서 부피를 축소시킨 후 수거기 본체(10)의 수납공간(11)에 수납하여 보관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쓰레기 수거 시 수거기 본체(10)로부터 수거부(20)를 꺼내어 일렬로 전개한 후 종류별로 분리하여 수거하며 쓰레기 수거완료 후에는 수거부(20)의 전개상태를 접어서 부피를 축소한 후 수거기 본체(10)에 수납 보관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주변이 불쾌한 냄새 또한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사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수거기 본체(10)의 상부에 식재부(16)를 형성하여 각종 나무, 꽃 등을 식재함으로써 외관상의 미려함으로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수거기 본체(10)의 상부에 식재부(16)를 조성하여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수거를 하지 않는 경우에 외관상의 미려함을 높일 수 있고 주변 경관과 잘 어울릴 수 있는 환경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수거기 본체 11: 수납공간
12: 도어 13: 고리
14: 바퀴 16: 식재부
20: 수거부 22: 제1 수거부 본체
24: 제2 수거부 본체 26: 제3 수거부 본체
28: 제4 수거부 본체 29: 사용자 정보부
12: 도어 13: 고리
14: 바퀴 16: 식재부
20: 수거부 22: 제1 수거부 본체
24: 제2 수거부 본체 26: 제3 수거부 본체
28: 제4 수거부 본체 29: 사용자 정보부
Claims (6)
-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수거기 본체; 및
상기 수거기 본체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 내로 수납되되, 쓰레기의 수거 시 상기 수납공간에서 꺼내어 일렬로 전개한 후 각종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고 쓰레기 수거완료 후에는 전개상태를 접어서 부피를 축소한 후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원형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수거기 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도록 마련되는 제1 수거부 본체;
상기 제1 수거부 본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1 수거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수거부 본체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제1 수거부 본체에 대해 일렬로 전개되도록 마련되는 제2 수거부 본체;
상기 제2 수거부 본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2 수거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수거부 본체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제2 수거부 본체에 대해 일렬로 전개되도록 마련되는 제3 수거부 본체; 및
상기 제3 수거부 본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3 수거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3 수거부 본체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제3 수거부 본체에 대해 일렬로 전개되도록 마련되는 제4 수거부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를 구성하는 제1 수거부 본체, 제2 수거부 본체, 제3 수거부 본체 및 제4 수거부 본체의 전면 상부에는 각종 정보 혹은 광고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 본체는,
상기 수납공간에 각종 청소도구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내면에 다수의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 본체는,
사용자에 의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면에 다수의 바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 본체는,
나무 혹은 꽃을 심을 수 있도록 그 상부에 식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6102A KR20160111224A (ko) | 2015-03-16 | 2015-03-16 |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6102A KR20160111224A (ko) | 2015-03-16 | 2015-03-16 |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1224A true KR20160111224A (ko) | 2016-09-26 |
Family
ID=5706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6102A KR20160111224A (ko) | 2015-03-16 | 2015-03-16 |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1122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3907A (ko) | 2016-11-14 | 2018-05-24 | 박시연 | 건축물 내 재활용쓰레기 수거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5142Y1 (ko) | 2005-10-13 | 2006-01-10 | 추봉완 |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대 |
-
2015
- 2015-03-16 KR KR1020150036102A patent/KR2016011122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5142Y1 (ko) | 2005-10-13 | 2006-01-10 | 추봉완 |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대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3907A (ko) | 2016-11-14 | 2018-05-24 | 박시연 | 건축물 내 재활용쓰레기 수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219104A (zh) | 一种饮料瓶回收装置 | |
CN202765640U (zh) | 一种垃圾箱 | |
US20130256314A1 (en) | Waste collecting device | |
CN207810353U (zh) | 一种多功能干湿分离垃圾箱 | |
CN205397145U (zh) | 一种能够收集雨水的垃圾桶 | |
KR101684991B1 (ko) | 수납형 쓰레기 분리수거대 | |
CN201249981Y (zh) | 一种家用环保垃圾桶 | |
KR20160018189A (ko) | 쓰레기 분리 수거함 | |
CN108082774A (zh) | 一种环保型公园用垃圾桶 | |
KR20160111224A (ko) |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 |
CN201367224Y (zh) | 家庭资源回收桶 | |
KR101390972B1 (ko) | 우산의 탈수장치 | |
KR20120005410U (ko) | 인출식 비닐봉지가 수납된 쓰레기통 | |
CN205972575U (zh) | 一种饮料瓶回收装置 | |
CN205470900U (zh) | 一种公共垃圾桶凳 | |
CN104490106A (zh) | 图书馆用多功能组合箱 | |
CN205114204U (zh) | 一种环保垃圾箱 | |
TWI297666B (ko) | ||
CN204280421U (zh) | 一种仿生树可移动环保箱 | |
CN205995917U (zh) | 一种生活垃圾分类处理系统 | |
CN202272391U (zh) | 一种组合式环保分类垃圾桶 | |
CN106586323A (zh) | 一种可分类卫生垃圾桶 | |
CN205150813U (zh) | 可固定和携带垃圾袋的垃圾桶 | |
CN205366729U (zh) | 一种新型垃圾桶 | |
CN202115947U (zh) | 易辨别分类垃圾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