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70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705A
KR20160108705A KR1020150030996A KR20150030996A KR20160108705A KR 20160108705 A KR20160108705 A KR 20160108705A KR 1020150030996 A KR1020150030996 A KR 1020150030996A KR 20150030996 A KR20150030996 A KR 20150030996A KR 20160108705 A KR20160108705 A KR 20160108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 panel
banding
bend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8110B1 (ko
Inventor
상현정
이희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110B1/ko
Priority to US14/880,964 priority patent/US9959030B2/en
Priority to JP2016010529A priority patent/JP6789634B2/ja
Priority to CN201610051805.8A priority patent/CN105938426A/zh
Priority to EP18209663.6A priority patent/EP3480676A1/en
Priority to EP16153019.1A priority patent/EP3065025B1/en
Publication of KR20160108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705A/ko
Priority to US15/965,780 priority patent/US10209878B2/en
Priority to US16/258,487 priority patent/US1070571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20Linear translation of a whole image or part thereof, e.g.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1Multimod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enabling the user to issue commands by simultaneous use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nature, e.g. voice plus gesture on digitiz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밴딩을 센싱하는 변형 감지부; 표시 패널을 제어하고, 변형 감지부를 이용하여 밴딩을 디텍트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표시 패널에 복수의 객체를 표시 하고, 변형 감지부를 통해 표시 패널의 밴딩을 디텍트하며, 밴딩의 밴딩 라인을 기준으로 표시 패널에 제1 및 제2 영역을 구획하고, 객체들을 밴딩을 근거로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객체 및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제2 객체로 구분하며, 밴딩에 따라 제1 및 제2 객체를 각각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벤딩 및 폴딩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텔레비젼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표시패널에는 얇고 가벼운 평판 표시패널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평판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패널, 플라즈마 표시패널, 전기영동 표시패널 등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휘어지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얇고, 가벼우며, 깨지지 않아 IT 관련 제품뿐만 아니라 의류나 종이재질의 매체 등에서도 응용 및 적용이 가능하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이용하여 접어서 휴대할 수 있고, 영상을 시청할 때에는 펼쳐서 사용하는 폴더블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편의성 및 사용성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밴딩을 센싱하는 변형 감지부; 상기 표시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변형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밴딩을 디텍트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복수의 객체를 표시 하고, 상기 변형 감지부를 통해 상기 표시 패널의 밴딩을 디텍트하며, 상기 밴딩의 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표시 패널에 제1 및 제2 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객체들을 상기 밴딩을 근거로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객체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제2 객체로 구분하며, 상기 밴딩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객체를 각각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객체를 기준으로 상기 밴딩 라인에 반대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2 객체를 기준으로 상기 밴딩 라인에 반대하는 방향이다.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객체를 기준으로 상기 밴딩 라인을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2 객체를 기준으로 상기 밴딩 라인을 향하는 방향이다.
상기 제1 및 제2 객체의 이동 속도는 상기 밴딩의 밴딩 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 객체의 이동 거리는 상기 밴딩의 밴딩 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사용자의 손의 파지를 센싱하는 파지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지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이 파지하고 있는 영역에 대응되는 파지 영역들을 정의 하고,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파지 영역들 중 상기 제1 영역 내에 정의되는 파지 영역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파지 영역들 중 상기 제2 영역 내에 정의되는 파지 영역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형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언밴딩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객체를 상기 밴딩 전의 상기 제1 및 제2 객체의 원래 위치로 복귀 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객체가 각각의 상기 원래 위치로 복귀 할때의 이동 속도는 상기 제1 및 제2 객체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속도보다 느리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밴딩을 센싱하는 변형 감지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변형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밴딩을 디텍트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1 아이콘을 표시 하고, 상기 제1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1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밴딩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1 밴딩을 근거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고,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밴딩을 근거로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과 구분되는 실행 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실행 영역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밴딩을 감지하고, 상기 제2 밴딩을 근거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조절 하는 실행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 하고,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밴딩 활성화 입력을 디텍트 하고, 상기 밴딩 활성화 입력이 입력되는 동안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조절 한다.
상기 밴딩 활성화 입력은 상기 제1 아이콘에 대한 터치를 유지하는 동작에 대응된다.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 및 상기 실행 영역이 이루는 제1 밴딩 각도가 작아지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는 작아지며, 상기 제1 밴딩 각도가 커지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는 커진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 및 상기 실행 영역이 이루는 제1 밴딩 각도가 작아지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의 제1 움직임 및 상기 실행 영역의 제2 움직임을 디텍트 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제2 움직임, 및 상기 제1 밴딩을 근거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 한다.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은 고정 되어, 상기 제1 움직임은 디텍트 되지 않고, 상기 제2 움직임은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 및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이 이루는 제1 밴딩 각도를 작아지도록 하는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의 움직임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아이콘 배치 영역에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2 아이콘을 표시 하고, 상기 제1 밴딩 이후, 상기 실행 영역과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이 오버랩 되는 경우, 상기 제2 아이콘을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3 밴딩을 디텍트 하고, 상기 제3 밴딩을 근거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고,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3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으로 이동 시켜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의 제1 움직임 및 상기 실행 영역의 제2 움직임을 디텍트 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제2 움직임, 및 상기 제3 밴딩을 근거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한다.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은 고정 되어, 상기 제1 움직임은 디텍트 되지 않고, 상기 제2 움직임은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 및 상기 실행 영역이 이루는 제1 밴딩 각도를 작아지도록 하는 상기 실행 영역의 움직임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밴딩을 센싱하는 변형 감지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변형 감지부를 통해 상기 밴딩을 디텍트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밴딩 되는 경우, 상기 밴딩을 근거로 상기 표시 패널에 시인 영역 및 비시인 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시인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시인 되는 영역 이고, 상기 비시인 영역은 상기 밴딩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는 영역이며, 상기 비시인 영역을 절전 모드로 구동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밴딩 전,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 한 객체를 상기 밴딩 이후, 상기 객체의 크기를 상기 시인 영역에 부합하도록 조절하고, 상기 객체를 상기 시인 영역에 이동 시켜 표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비시인 영역에 블랙 계조의 영상을 표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밴딩을 근거로 상기 표시 패널이 폴딩 중인 상태라고 판단 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폴딩 중인 상태에서 상기 밴딩 각도가 기 설정된 오프 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을 턴-오프 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언폴딩 중인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언폴딩 중인 상태에서 상기 밴딩 각도가 기 설정된 턴-온 각도보다 큰 경우, 상기 표시 장치를 턴-온 시키고, 상기 턴-온 각도는 상기 턴-오프 각도보다 작다.
사용자의 시선을 검출하는 시선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선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시선을 디텍트하고, 상기 밴딩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시선을 근거로 시인 영역 및 비시인 영역을 판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밴딩 되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및 제2 밴딩 각도로 투-폴딩 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밴딩 각도를 근거로, 상기 시인 영역 및 상기 비시인 영역을 구획 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밴딩 되는 경우, 상기 제1 밴딩 각도에 대응되는 제1 밴딩 라인 및 상기 제2 밴딩 각도에 대응되는 제2 밴딩 라인을 기준으로 밴딩 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밴딩 라인을 기준으로 제1 내지 제3 영역을 구획 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비시인 영역에 포함 시키고, 나머지를 상기 시인 영역에 포함시키고, 상기 제1 밴딩 라인은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사이에 정의 되고, 상기 제2 밴딩 라인은 상기 제2 및 제3 영역 사이에 정의 된다.
상기 제1 밴딩 각도가 상기 제2 밴딩 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상기 비시인 영역에 포함시키고, 상기 제3 영역을 상기 시인 영역에 포함시킨다.
상기 제2 밴딩 각도가 상기 제1 밴딩 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상기 비시인 영역에 포함시키고, 상기 제3 영역을 상기 시인 영역에 포함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밴딩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밴딩에 따라 영상을 표시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표시장치를 밴딩 시킴으로써, 상기 표시장치에 다양한 입력을 인가 하여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 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장치의 사용성 및 편의성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0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10), 감지부(120), 제어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표시 장치(100)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이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가해진 외력에 대응하여 변형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 장치(1000)은 외력에 대응하여 밴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또는 스트레칭(Stretching) 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표시 장치(1000)가 일정한 밴딩 각도 이상으로 밴딩 되어 상기 표시 장치(1000)의 두 영역이 대향 하는 상태에 놓인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가 폴딩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를 이루는 구성들은 가요성을 갖는 물질 및 구조를 갖는다. 특히, 상기 표시 패널(110)은 플라스틱과 같은 가요성을 갖는 물질 및 구조로 이루어지고, 외력에 의하여 변형 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1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들 각각은 단위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110)에 구비된 상기 화소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해상도가 결정 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10)은 상기 화소들을 통해 텍스트, 비디오, 사진,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 등의 임의의 시각 정보를 영상으로써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110)은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기 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및 일렉트로 웨팅 표시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110)은 터치를 센싱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 패널(110)은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햅틱 및/또는 물리적 접촉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감지 표면, 센서 또는 센서들의 세트를 구비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110) 상의 접촉 및 접촉의 임의 이동 또는 끊김을 센싱하고, 이를 근거로 터치 정보를 생성 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20)는 변형 감지부(121), 파지 감지부(122), 시선 감지부(123)을 포함한다.
상기 변형 감지부(121)는 상기 표시 패널(110)의 변형을 센싱한다. 상기 변형 감지부(121)는 여러 종류의 센서들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센서들은 예를 들어, 압력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strain gauge sensor) 등과 같이 상기 표시 장치(1000)의 변형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1000)에서 발생하는 압력 및 스트레인 등을 센싱 할 수 있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감지부(121)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과 같이 상기 표시 패널(110)의 변위 또는 회전 등과 같은 움직임을 센싱 할 수 있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감지부(121)는 근접 센서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센서들은 상기 표시 장치(1000) 또는 상기 표시 패널(110)에 복수로 제공되고, 각 센서들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발생하는 물리량을 센싱 할 수 있다.
상기 변형 감지부(121)는 상기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 장치(1000)의 변형을 센싱하고, 변형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변형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1000)의 변형 위치, 변형 영역, 변형 방향, 변형 각도, 변형 세기, 변형 속도, 변형 횟수, 변형 발생 시점, 변형 유지 시간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표시 패널(110)를 밴딩 하는 경우, 상기 변형 감지부(121)는 상기 밴딩을 센싱 하고, 밴딩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밴딩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1000)의 밴딩 위치, 밴딩 영역, 밴딩 방향, 밴딩 각도, 밴딩 세기, 밴딩 속도, 밴딩 횟수, 밴딩 발생 시점, 밴딩 유지 시간 등을 감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감지부(121)는 이와 같은 밴딩 정보를 근거로, 밴딩에 의해 형성된 밴딩 라인 및 밴딩 라인의 변경 상태를 디텍트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형 감지부(121)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출력되는 스트레인의 분포나, 상기 압력 센서에서 감지되는 압력 분포 및 이들의 변화를 통해 밴딩 라인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밴딩 라인이란 밴딩이 발생된 영역내에서 밴딩 정도가 가장 큰 지점을 연결한 가상의 라인이 될 수 있다.
상기 파지 감지부(122)는 사용자의 파지를 센싱 하고, 파지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표시 장치(1000)를 사용하기 위해 손으로 상기 표시 장치(1000)를 파지 하는 경우, 상기 파지 감지부(122)는 파지 위치, 파지 영역, 파지 압력, 파지 시점, 및/또는 파지 유지 시간 등을 포함하는 파지 정보를 생성 할 수 있다.
상기 파지 감지부(122)는 사용자의 파지를 감지 하기 위한 센서로 구현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하여 구현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지 감지부(122)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이 감지하는 햅틱 및/또는 물리적 접촉에 기초하여 상기 파지 정보를 생성 할 수도 있다.
상기 시선 감지부(123)는 사용자의 시선을 센싱하고, 시선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표시 장치(1000)를 사용하기 시청하는 경우, 상기 시선 감지부(123)는 상기 사용자의 눈의 위치, 시선의 위치, 및/또는 시선의 방향 등을 포함하는 시선 정보를 생성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선 감지부(123)를 구현 하기 위해, 얼굴 모델링 기술이 이용 될 수도 있다. 상기 얼굴 모델링 기술은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얼굴 영상의 가공 처리 및 전송을 위한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분석 과정으로, ASM(Active Shape Modeling) 기법 및 AAM(Active Appearance Modeling) 기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시선 상기 시선 감지부(123)는 식별된 안구의 영상을 이용하여 안구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시선 감지부(123)는 안구 움직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응시하는 방향을 검출하고, 기 저장된 상기 표시 패널(110)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가 응시하는 방향을 비교 함으로써, 사용자가 응시하는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표시 패널(110)을 제어 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외부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 패널(110)을 통해 상기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 되도록, 상기 표시 패널(110)을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표시 패널(110)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 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감지부(120)에서 생성된 상기 변형 정보, 파지 정보, 및 시선 정보를 근거로, 상기 표시 패널(110) 및 상기 표시 장치(1000)의 변형, 사용자의 파지, 및 사용자의 시선을 디텍트 하고, 디텍트된 상기 표시 패널(110) 및 상기 표시 장치(1000)의 변형, 사용자의 파지, 및 사용자의 시선을 근거로, 표시되는 영상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 및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표시 패널(110)를 통해 생성된 상기 터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디텍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디텍트된 사용자의 터치를 상기 표시 패널(110) 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객체들과의 상호작용으로 변환 시킬 수 있다.
상기 메모리(14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DDR RAM(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다른 랜덤 액세스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과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광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다른 비휘발성 반도체 저장 장치들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40)는, 명령어의 세트들, 및/또는 데이터 구조들, 상기 표시 장치(1000)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 웨어 프로그램, 상기 표시 장치(10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표시 패널(110), 상기 감지부(120), 상기 제어부(130) 및 상기 메모리(140)의 동작을 상기 표시 장치(1000)의 동작과 동일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기 표시 장치(1000)의 동작은 상기 표시 장치(1000)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구성 또는 상기 표시 장치(1000)를 구성하는 여러 구성들의 동작들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수행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1000)가 변형되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110)의 변형은 상기 표시 장치(1000)의 변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 상기 표시 장치(1000)의 변형은 상기 표시 패널(110)의 변형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 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언밴딩 상태에서 상기 표시 장치(100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언밴딩 상태에서 객체를 표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객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이미지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표시 장치(1000)와 상호 작용하거나 상기 표시 장치(1000)에서 구동되는 소프트 웨어 프로그램을 제어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객체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들 소프트키, 및 상기 표시 장치(1000)에 대한 정보 등을 나타내는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아이콘들은 예를 들어, 날씨 아이콘(201), 카메라 아이콘(202), 음악 아이콘(203), 메일 아이콘(204), 시계 아이콘(205), 사진 아이콘(2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시자는 상기 표시 장치(1000)의 화면의 상측에 표시되고, 시간 지시자, 신호 세기 지시자, 배터리 상태 지시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1 밴딩 라인(BL11)을 기준으로 밴딩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에는 상기 제1 밴딩 라인(BL11)의 양측에 제1 영역(A11) 및 제2 영역(A21)이 정의 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가 밴딩 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밴딩을 센싱하여 상기 밴딩에 대한 밴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밴딩 정보를 근거로, 상기 밴딩을 디텍트 한다. 상기 표시 장치(1000)는 디텍트된 상기 밴딩을 근거로, 상기 제1 밴딩 라인(BL11)을 디텍트 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영역(A11, A21)을 구획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아이콘들을 상기 밴딩을 근거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제1 밴딩 라인(BL11)을 기준으로 좌측에 있는 상기 날씨 아이콘(201), 상기 카메라 아이콘(202), 및 상기 음악 아이콘(203)은 제1 객체(O11)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밴딩 라인(BL11)을 기준으로 우측에 있는 상기 메일 아이콘(204), 상기 시계 아이콘(205), 상기 사진 아이콘(206)은 제2 객체(O21)로 구분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1 및 제2 객체(O11, O21)를 이동 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1 객체(O11)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객체(O21)를 제2 방향(D2)으로 이동 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D1, D2)은 상기 표시 장치(1000) 상에 정의 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D1)은 상기 제1 객체(O11)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밴딩 라인(BL11)에 반대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D2)은 상기 제2 객체(O21)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밴딩 라인(BL11)에 반대하는 방향 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객체(O11, O21)가 상기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각각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객체(O11, O21)은 서로 멀어진다.
그러나 이에 한정 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객체(O11, O21)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D1, D2)과 반대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객체(O11, O21)은 서로 가까워진다.
상기 표시 장치(1000)는 밴딩 각도(θb11)를 근거로 상기 제1 및 제2 객체(O11, O21) 각각이 이동 하는 속도를 결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밴딩 각도(θb11)가 기설정된 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객체(O11, O21) 각각이 이동 하는 속도는 상기 밴딩 각도(θb11)가 상기 기 설정된 각도보다 큰 경우의 상기 제1 및 제2 객체(O11, O21) 각각이 이동하는 속도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밴딩 각도(θb11)를 근거로 상기 제1 및 제2 객체(O11, O21) 각각이 이동 하는 거리를 결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밴딩 각도(θb11)가 기 설정된 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객체(O11, O21) 각각이 이동 하는 거리는 상기 밴딩 각도(θb11)가 상기 기 설정된 각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객체(O11, O21) 각각이 이동하는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표시 장치(1000)가 밴딩 된 이후, 다시 언밴딩 되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언밴딩을 디텍트 한 후, 상기 언밴딩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객체(O11, O21)를 상기 밴딩 전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제1 및 제2 객체(O11, O21)가 각각의 상기 원래 위치로 복귀 할 때의 이동 속도는 상기 제1 및 제2 객체(O11, O21)가 밴딩에 따라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이동할 때의 속도보다 느리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밴딩 및 언밴딩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객체(O11, O21)의 위치를 조절 할 수 있으므로, 상기 표시 장치(1000)의 사용성 및 편의성이 개선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 하면, 사용자가 상기 표시 장치(1000)를 파지 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사용자의 파지를 센싱하여 상기 파지에 대한 파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파지 정보를 근거로 상기 파지를 디텍트 한다. 예를 들어, 디텍트된 상기 파지 정보를 근거로, 상기 표시 장치(1000) 상에 제1 파지 영역(HA1) 및 제2 파지 영역(HA2)을 정의 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지 영역(HA1)은 상기 사용자의 왼손이 파지하고 있는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2 파지 영역(HA2)은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이 파지하고 있는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파지 영역(HA1, HA2)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영역(A11, A21) 내에 배치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표시 장치(1000)가 상기 제1 밴딩 라인(BL11)을 기준으로 밴딩 되는 경우, 상기 제1 객체(O11)를 상기 제1 파지 영역(HA1)으로 이동 시키고, 상기 제2 객체(O21)를 상기 제2 파지 영역(HA2)으로 이동 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를 통해 선택하기 어려운 객체들을 밴딩을 통해 터치하기 용이한 영역(파지하고 있는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이동 시켜, 용이하게 객체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표시 장치(1000)의 편의성 및 사용성이 향상 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제1 영역(A12)에 상기 날씨, 카메라, 음악, 메일, 시계, 및 사진 아이콘(201~206)을 표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제1 영역(A12)은 상기 표시 장치(1000)의 좌측에 정의되는 제2 영역(A22) 및 상기 표시 장치(1000)의 우측에 정의되는 제3 영역(A32)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장치(1000)가 밴딩 되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밴딩을 디텍트하고, 상기 밴딩을 근거로 표시되어 있는 영상 및/또는 객체를 스크롤 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롤에 따라 언밴딩 상태에서 상기 제1 영역(A12)에 표시 되어 있던 상기 날씨, 카메라, 음악 아이콘(201~203)은 상기 표시 장치(1000)가 밴딩 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A22)의 제1 방향(D1)으로 스크롤되어 화면 밖으로 사라지고, 결국 표시 되지 않는다. 또한, 언밴딩 상태에서 상기 제1 영역(A12)에 표시 되어 있던 상기 메일, 시계, 사진 아이콘(204~206)은 상기 표시 장치(1000)가 밴딩 되면,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영역(A22)에 표시 된다. 상기 언밴딩 상태에서 표시 되지 않았던 캘린더 아이콘(207), 검색 아이콘(208), 및 메모 아이콘(209) 등은 상기 표시 장치(1000)가 밴딩 되면, 상기 제2 방향(D2)과 반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3 영역(A32)에 새로이 표시 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아이콘들을 스크롤 시키는 것에 한정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진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표시 되는 복수의 사진들을 탐색 하기 위해, 상기 사진들이 스크롤 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는 밴딩 각도(θb12)를 근거로 상기 아이콘들(201~209)이 스크롤 하는 속도를 결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밴딩 각도(θb12)가 기설정된 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아이콘들(201~209)이 이동 하는 속도는 상기 밴딩 각도(θb12)가 상기 기설정된 각도보다 큰 경우의 상기 아이콘들(201~209)이 이동하는 속도보다 클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제1 아이콘 배치 영역(IA1)에 상기 날씨, 시계, 및 음악 아이콘(201~203)을 표시 하고,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에 상기 메일, 시계, 및 상기 사진 아이콘(204~206)을 표시 한다.
이후,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사용자가 상기 메일 아이콘(204)을 선택하는 제1 터치 입력을 수신 받고, 사용자가 상기 메일 아이콘(204)을 선택 하였음을 디텍트 한다. 사용자가 상기 제1 터치 입력을 입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 장치(1000)를 제1 밴딩 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1 밴딩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1 밴딩을 근거로 상기 메일 아이콘(204)에 대응되는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 되었다고 판단 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하라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 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1 밴딩의 밴딩 위치, 밴딩 영역, 밴딩 방향, 밴딩 각도, 밴딩 세기, 밴딩 속도, 밴딩 횟수, 밴딩 발생 시점, 밴딩 유지 시간 등을 근거로,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 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밴딩이 밴딩 유지 시간을 1초 이내로 하고, 다시 언밴딩 시키는 동작(이하, 플리킹)에 대응되거나, 상기 제1 밴딩의 제1 밴딩 각도(θb13)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 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1 밴딩 각도(θb13)에 더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1, IA2)의 제1 및 제2 움직임들을 각각 센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움직임들을 근거로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IA1)은 고정 되어, 상기 제1 움직임은 디텍트 되지 않고, 상기 제2 움직임은 상기 제1 밴딩 각도(θb13)를 작아지도록 하는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의 움직임인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 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움직임은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을 제1 밴딩 라인(BL12)을 회전 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큼 회전 시키는 움직임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 되지 않고,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은 고정 되어 상기 제2 움직임은 디텍트 되지 않고, 상기 제1 움직임은 상기 제1 밴딩 각도(θb13)을 작아지도록 하는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IA1)의 움직임인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 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움직임은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IA1)을 상기 제1 밴딩 라인(BL12)을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키는 움직임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가 밴딩 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밴딩 정보를 근거로, 제1 밴딩 라인(BL12)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와 구별 되는 실행 영역(EA)을 구획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실행 영역(EA)은 상기 제1 밴딩 라인(BL12)을 기준으로 좌측에 구획되고,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은 상기 제1 밴딩 라인(BL12)을 기준으로 우측에 구획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을 상기 실행 영역(EA)에 표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 되는 영역을 밴딩 동작을 통해 결정 할 수 있으므로, 상기 표시 장치(1000)의 사용성은 향상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실행 영역(EA)이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IA1, 도 5a에 도시됨)과 오버랩 되는 경우,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IA1)에 표시 되어 있던 상기 날씨, 카메라, 음악 아이콘(201~203)을 상기 실행 영역(EA)과 오버랩 되지 않는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으로 이동 시켜 표시 할 수도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ES)이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 입력은 상기 메일 아이콘(204)을 선택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2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밴딩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밴딩 활성화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ES)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밴딩 활성화 입력은 상기 메일 아이콘(204)에 대한 터치를 유지하는 동작에 대응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메일 아이콘(204)에 대한 터치를 유지하며 상기 밴딩 활성화 입력을 입력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 장치(1000)를 제2 밴딩 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2 밴딩을 디텍트 한 후, 상기 제2 밴딩을 근거로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의 크기를 조절하는 실행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2 밴딩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제2 밴딩 라인(BL21)을 기준으로 밴딩 될 수 있다.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의 크기를 조절하는 실행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 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의 크기를 조절하라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 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A)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밴딩 활성화 입력을 통해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을 제어하기 위한 밴딩과 그렇지 않은 밴딩을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메일 어플리메이션의 실행 화면(EA)을 제어하기 위한 밴딩을 그렇지 않은 밴딩과 구분하여 상기 표시 장치(1000)에 입력으로써 제공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 및 상기 실행 영역(EA)이 이루는 제2 밴딩 각도(θb21)가 커지는 경우,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의 크기를 증가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벤딩 활성화 입력을 인가 하는 시점에서의 밴딩 각도 보다 상기 제2 밴딩 각도(θb21)가 큰 경우,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의 크기를 증가 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과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이 오버랩 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을 확장 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에 배치되어 있던 아이콘들을 재배열 시키거나 일부의 아이콘을 표시 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2 밴딩 전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IA1)에 표시되어 있던 상기 카메라 아이콘(202) 및 상기 음악 아이콘(203)을 표시 하지 않고, 상기 메일, 시계, 사진, 및 날씨 아이콘(204, 205, 206, 203)을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 중 확장된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과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에 재배열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 및 상기 실행 영역(EA)이 이루는 상기 제2 밴딩 각도(θb21)가 작아지는 경우,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A)의 크기를 감소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벤딩 활성화 입력을 인가 하는 시점에서의 밴딩 각도 보다 상기 제2 밴딩 각도(θb21)가 작은 경우,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의 크기를 축소 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 밴딩 각도(θb21)에 더하여,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 및 상기 실행 영역(EA)의 제3 및 제4 움직임들을 각각 디텍트하고, 상기 제3 및 제4 움직임들을 근거로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을 축소하거나 확장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행 영역(EA)은 고정되어, 상기 제4 움직임은 디텍드 되지 않고, 제3 움직임은 상기 제2 밴딩 각도(θb21)를 커지도록 하는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의 움직임인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을 확장 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움직임은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을 상기 제2 밴딩 라인(BL21)을 회전 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키는 움직임에 대응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을 상기 제3 움직임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확장 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의 변들 중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에 인접하는 제1 변(S11)을 상기 제2 방향(D2) 측으로 이동 시킴으로써,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을 상기 제2 방향(D2)으로 확장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밴딩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확장 및 축소 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표시 장치(1000)의 편의성 및 사용성이 향상 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의 확장 태양 만을 제외하고는 5c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동일 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 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 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1 밴딩 라인(BL13)을 기준으로 밴딩 되고, 상기 표시 장치(1000)에는 상기 제1 밴딩 라인(BL13)의 양측에 제1 영역(A13) 및 제2 영역(A23)이 정의 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제1 및 제2 영역(A13, A23)에 걸쳐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ES)이 표시 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장치(1000)가 밴딩 되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1 영역(A13) 및 상기 제2 영역(A23)의 제5 및 제6 움직임들을 각각 센싱하고, 상기 제5 및 제6 움직임들을 근거로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을 축소하거나 확장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및 제6 움직임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영역(A13, A23)이 이루는 밴딩 각도(θb14)를 커지도록 하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A13, A23)의 움직임인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을 양측으로 확장 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5 및 제6 움직임은 상기 제1 및 제2 영역(A13, A23)을 상기 제1 밴딩 라인(BL13)을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만큼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키는 움직임들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을 상기 제5 및 제6 움직임에 대응되는 방향들로 확장 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의 변들 중 상기 제1 영역(A13)에 제공되는 제1 변(S11)을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 시키고, 상기 제2 영역(A23)에 제공되는 제2 변(S21)을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이동 시킴으로써,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ES)을 확장 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확장 태양 만을 제외하고는 5c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동일 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선택 입력은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ES)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동작 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밴딩 활성화 입력은 상기 표시 장치(1000)에 구비되는 기능 버튼(FB)를 누르는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기능 버튼(FB)은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1000)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공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ES)을 터치하여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ES)을 활성화 시킨 후, 사용자가 상기 기능 버튼(FB)을 누른 상태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 장치(1000)를 상기 제2 밴딩 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2 밴딩을 디텍트 한 후, 상기 제2 밴딩을 근거로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의 크기를 조절하는 실행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A)의 크기를 조절하는 실행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 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의 크기를 조절하라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 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의 크기를 조절하는 실행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 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의 크기를 조절하라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 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의 크기를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의 변들 중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에 인접하는 제1 변(S13)을 상기 제2 방향(D2) 측으로 이동 시킴으로써,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을 상기 제2 방향(D2)으로 확장 시킬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실행 영역(EA)에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ES)을 표시 하고,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에 상기 아이콘들(201~206)을 표시 한다.
사용자가 상기 표시 장치(1000)를 제3 밴딩 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3 밴딩을 디텍트 한 후, 상기 제3 밴딩을 근거로 상기 실행 영역(EA)에 표시된 객체, 즉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ES)을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으로 이동 시켜 표시 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ES)을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으로 이동 시켜 표시 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 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ES)을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으로 이동 시켜 표시 하라는 제3 제어 신호를 생성 하고, 상기 제3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ES)을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으로 이동 시켜 표시 한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아이콘들(201~206)이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ES)과 오버랩 되지 않도록, 상기 아이콘들(201~206)을 상기 실행 영역(EA)으로 이동시켜 표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ES)이 활성화 된 상태에서, 상기 제3 밴딩이 밴딩 각도를 작아지도록 플리킹 하는 동작에 대응되거나, 상기 제3 밴딩의 상기 밴딩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ES)을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으로 이동 시켜 표시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밴딩에 의한 제3 밴딩 라인(BL3)이 상기 실행 영역(EA) 및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의 경계를 따라 정의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ES)을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으로 이동 시켜 표시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 및 상기 실행 영역(EA)의 제7 및 제8 움직임들을 각각 디텍트 하고, 상기 제7 및 제8 움직임들을 근거로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ES)을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으로 이동 시켜 표시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은 고정되어, 상기 제7 움직임은 디텍트 되지 않고, 제8 움직임은 밴딩 각도를 작아지도록 하는 상기 실행 영역(EA)의 움직임인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ES)을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IA2)으로 이동 시켜 표시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8 움직임은 상기 실행 영역(EA)을 상기 제3 밴딩 라인(BL3)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큼 회전 시키는 움직임에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밴딩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밴딩 라인을 기준으로 이동 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표시 장치(1000)의 사용성 및 편의성이 향상 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제1 영역(A14)에 상기 날씨, 카메라, 및 음악 아이콘(201~203)을 표시하고, 제3 영역(A34)에 상기 메일, 시계, 및 사진 아이콘(204~206)을 표시 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장치(1000)가 밴딩 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밴딩을 센싱하고, 상기 밴딩을 디텍트 한다.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밴딩을 근거로, 상기 표시 장치(1000) 상에 시인 영역(VA1) 및 비시인 영역(NVA1)을 구획 할 수 있다.
상기 시인 영역(VA1)은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영역이고, 상기 비시인 영역(NVA1)은 상기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는 영역이다. 상기 시인 영역(VA1) 및 상기 비시인 영역(NVA1)은 상기 사용자의 시선(UV) 및 상기 밴딩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 장치(1000)를 밴딩 하는 경우, 상기 밴딩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 일 때에는, 제2 영역(A24) 만이 상기 사용자에게 시인되고, 도 9a에 도시된 상기 제1 및 제3 영역(A24, A34)은 상기 사용자에게 시인 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상기 제1 영역(A14)은 상기 시인 영역(VA1)으로 정의 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에게 시인 되지 않는 제2 및 제3 영역(A24, A34)은 비시인 영역(NVA1)로 정의 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는 상기 비시인 영역(NVA1)을 절전 모드로 구동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비시인 영역(NVA1)에 블랙 계조의 영상을 표시 함으로써, 상기 비시인 영역(NVA1)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절전 모드에서 상기 비시인 영역(NVA1) 및/또는 상기 비시인 영역(NVA1)을 구동하는 상기 표시 장치(1000)의 구성에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1000)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비시인 영역(NVA1)에 표시 될 영상의 계조를 다운 시켜 표시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1 및 제3 영역(A14, A34)에 표시되어 있던, 상기 아이콘들(201~206)을 상기 밴딩 후의 상기 시인 영역(VA1)에 부합 하도록 재정렬 하고, 상기 아이콘들(201~206)을 이동 시켜 상기 시인 영역(VA1)에 표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 되지 않고, 또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밴딩 전에 표시되어 있던 객체를, 상기 시인 영역(VA1)에 부합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시인 영역(VA1)에 표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밴딩 전에 표시 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크기를 상기 시인 영역(VA1)의 크기 부합하도록 조절 하여 상기 시인 영역(VA1)에 이동 시켜 표시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인 영역(VA1) 및 상기 비시인 영역(NVA1)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시선(UV)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이러한 상기 시인 및 비시인 영역(VA1, NVA1)의 변화를 추적 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시선(UV)을 센싱하여 시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선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시선(UV)을 디텍트 한 후, 상기 밴딩 정보 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시선(UV)을 근거로 상기 표시 장치(1000) 상에 시인 영역(VA1) 및 비시인 영역(NVA1)을 구획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밴딩 전 상기 제1 및 제3 영역(A14, A34)에 표시된 상기 아이콘들(201~206)을 상기 밴딩 후 상기 시인 영역(VA1)에 해당되는 상기 제2 영역(A24)에 이동 시켜 표시 한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표시 장치(1000)는 밴딩 전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A14, A24, A34)영역에 걸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밴딩 후, 상기 시인 영역(VA1)에 부합하도록 감소 시키고, 상기 영상을 상기 시인 영역(VA1)에 표시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중인 상태라고 판단되고, 상기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중인 상태에서 밴딩 각도(θb3)가 기 설정된 오프 각도 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패널(110, 도 1에 도시됨)을 턴-오프 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예를 들어, 상기 밴딩 각도가 소정 각도 보다 작고, 계속적으로 작아지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중인 상태이라고 판단 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폴딩을 디텍트 하여, 상기 표시 장치(1000)가 상기 폴딩 상태에 있음을 판단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의 상기 표시 패널(110, 도 1에 도시됨)는 상기 폴딩 상태에서는 턴-오프 되어 있다.
이후, 상기 폴딩 상태에서 상기 표시 장치(1000)가 언폴딩 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밴딩을 근거로, 상기 표시 장치(1000)가 언폴딩 중인 상태라고 판단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예를 들어, 상기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밴딩 각도(θb4)가 계속적으로 커지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가 언폴딩 중이라고 판단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밴딩 각도(θb4)가 기 설정된 턴-온 각도보다 큰 경우, 상기 표시 패널(110)을 턴-온 시킨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턴-온 각도는 상기 턴-오프 각도보다 작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 장치(1000)를 사용하지 않아, 상기 표시 장치(1000)를 폴딩 하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110)를 조기에 턴-오프 시킴으로써, 전력 소비를 줄이는 한편, 사용자가 상기 표시 장치(1000)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표시 장치(1000)를 언폴딩 시키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110)을 조기에 턴-온 시켜 즉시에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을 시청 할 수 있게 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언밴딩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3 영역(A15, A25, A35)를 통해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ES)을 표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A15, A25, A35)는 상기 표시 장치(1000)의 장변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정의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밴딩 라인(BL14)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A15, A25) 사이에 정의 될 수 있으며. 제2 밴딩 라인(BL24)은 상기 제2 및 제3 영역(A25, A35) 사이에 정의 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가 밴딩 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1 및 제2 밴딩 라인(BL14, BL24)를 기준으로 투-폴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b를 더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영역(A14, A24)이 이루는 제1 밴딩 각도(θb15)는 상기 제2 및 제3 영역(A25, A35)이 이루는 제2 밴딩 각도(θb25) 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영역(A15, A25)는 서로 마주 보며, 포개어져 외부로 노출 되지 않으며, 상기 제3 영역(A35)는 외부로 노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딩되는 형태를 s형으로 투-폴딩 이라 칭한다.
상기 표시 장치(1000)가 s형 투-폴딩 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1 및 제2 밴딩 각도(θb15, θb25)를 근거로 시인 영역(VA2) 및 비시인 영역(NVA2)를 구획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영역(A15, A25)는 사용자에 의해 시인 되지 않고, 상기 제3 영역(A35)는 시인 될 수 있으므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A15, A25)을 상기 비시인 영역(NVA2)에 포함시키고, 상기 제3 영역(A34)을 상기 시인 영역(VA2)에 포함 시킨다.
그 결과 상기 비시인 영역(NVA2)은 절전 모드로 구동 되고, 상기 밴딩 전, 실행되어 있던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은 상기 시인 영역(VA2)에 부합하도록 그 크기가 조절되고, 상기 시인 영역(VA2)에 표시 될 수 있다.
한편, 도 11c를 더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밴딩 각도(θ15, θ25)가 변함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을 다시 이동 시켜 표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밴딩 각도(θb15)가 상기 제2 밴딩 각도(θb25) 보다 크도록, 상기 표시 장치(1000)가 s형 투-폴딩 되는 경우, 상기 제3 영역(A35)은 사용자에 의해 시인 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영역(A15, A25)는 시인 될 수 있으므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3 영역(A35)을 비시인 영역(NVA3)에 포함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영역(A15, A25)을 시인 영역(VA3)에 포함 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비시인 영역(NVA3)은 절전 모드로 구동 되고, 상기 밴딩 전, 상기 시인 영역(VA2)에 실행되어 있던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은 상기 시인 영역(VA3)에 부합하도록 그 크기가 조절되고, 이동 되어 상기 시인 영역(VA3)에 표시 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의 표시 장치(1000)는 도 11a 내지 도 11c를 통해 설명한 상기 표시 장치(1000)와 폴딩 되는 태양만을 제외하고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 한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e형 투-폴딩 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가 e형 투-폴딩 되는 경우, 도 11a에 도시된, 상기 제1 영역(A15)/제2 영역(A25)/제3 영역(A35) 순으로 적층 되도록 폴딩 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가 e형 투-폴딩 폴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e형 투-폴딩을 디텍트 하여, 상기 표시 장치(1000)가 상기 e형 투-폴딩 상태에 있음을 판단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의 상기 표시 패널(110, 도 1에 도시됨)은 상기 폴딩 상태에서는 턴-오프 되어 있다.
상기 e형 투-폴딩 상태에서 상기 표시 장치(1000)를 언폴딩 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1 및 제2 밴딩 각도(θb15, θb25)를 근거로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A15, A25, A35)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시인 영역(VA4)으로 구획하고 상기 시인 영역(VA4)에 객체를 표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제1 밴딩 각도(θb15) 보다 상기 제2 밴딩 각도(θb25)가 크므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3 영역(A35)을 상기 시인 영역(VA4)에 포함 시켜, 상기 제3 영역(A35)을 통해 상기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ES)을 표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31)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밴딩을 센싱하는 변형 감지부;
    상기 표시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변형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밴딩을 디텍트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복수의 객체를 표시 하고,
    상기 변형 감지부를 통해 상기 표시 패널의 밴딩을 디텍트하며,
    상기 밴딩의 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표시 패널에 제1 및 제2 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객체들을 상기 밴딩을 근거로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객체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제2 객체로 구분하며,
    상기 밴딩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객체를 각각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객체를 기준으로 상기 밴딩 라인에 반대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2 객체를 기준으로 상기 밴딩 라인에 반대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객체를 기준으로 상기 밴딩 라인을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2 객체를 기준으로 상기 밴딩 라인을 향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객체의 이동 속도는 상기 밴딩의 밴딩 각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객체의 이동 거리는 상기 밴딩의 밴딩 각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의 파지를 센싱하는 파지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지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이 파지하고 있는 영역에 대응되는 파지 영역들을 정의 하고,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파지 영역들 중 상기 제1 영역 내에 정의되는 파지 영역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파지 영역들 중 상기 제2 영역 내에 정의되는 파지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형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언밴딩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객체를 상기 밴딩 전의 상기 제1 및 제2 객체의 원래 위치로 복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객체가 각각의 상기 원래 위치로 복귀 할때의 이동 속도는 상기 제1 및 제2 객체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속도보다 느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밴딩을 센싱하는 변형 감지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변형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밴딩을 디텍트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에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1 아이콘을 표시 하고,
    상기 제1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1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밴딩을 디텍트하고,
    상기 제1 밴딩을 근거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고,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밴딩을 근거로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과 구분되는 실행 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실행 영역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밴딩을 감지하고,
    상기 제2 밴딩을 근거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조절 하는 실행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 하고,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밴딩 활성화 입력을 디텍트 하고, 상기 밴딩 활성화 입력이 입력되는 동안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조절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 활성화 입력은 상기 제1 아이콘에 대한 터치를 유지하는 동작에 대응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 및 상기 실행 영역이 이루는 제1 밴딩 각도가 작아지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는 작아지며, 상기 제1 밴딩 각도가 커지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는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 및 상기 실행 영역이 이루는 제1 밴딩 각도가 작아지는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의 제1 움직임 및 상기 실행 영역의 제2 움직임을 디텍트 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제2 움직임, 및 상기 제1 밴딩을 근거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은 고정 되어, 상기 제1 움직임은 디텍트 되지 않고, 상기 제2 움직임은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 및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이 이루는 제1 밴딩 각도를 작아지도록 하는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의 움직임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아이콘 배치 영역에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2 아이콘을 표시 하고,
    상기 제1 밴딩 이후, 상기 실행 영역과 상기 제2 아이콘 배치 영역이 오버랩 되는 경우, 상기 제2 아이콘을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3 밴딩을 디텍트 하고,
    상기 제3 밴딩을 근거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고,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3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으로 이동 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의 제1 움직임 및 상기 실행 영역의 제2 움직임을 디텍트 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제2 움직임, 및 상기 제3 밴딩을 근거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은 고정 되어, 상기 제1 움직임은 디텍트 되지 않고, 상기 제2 움직임은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 및 상기 실행 영역이 이루는 제1 밴딩 각도를 작아지도록 하는 상기 실행 영역의 움직임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1 아이콘 배치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2.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밴딩을 센싱하는 변형 감지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변형 감지부를 통해 상기 밴딩을 디텍트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밴딩 되는 경우, 상기 밴딩을 근거로 상기 표시 패널에 시인 영역 및 비시인 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시인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시인 되는 영역 이고, 상기 비시인 영역은 상기 밴딩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는 영역이며,
    상기 비시인 영역을 절전 모드로 구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밴딩 전,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 한 객체를 상기 밴딩 이후, 상기 객체의 크기를 상기 시인 영역에 부합하도록 조절하고, 상기 객체를 상기 시인 영역에 이동 시켜 표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비시인 영역에 블랙 계조의 영상을 표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밴딩을 근거로 상기 표시 패널이 폴딩 중인 상태라고 판단 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폴딩 중인 상태에서 상기 밴딩 각도가 기 설정된 오프 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을 턴-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이 언폴딩 중인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언폴딩 중인 상태에서 상기 밴딩 각도가 기 설정된 턴-온 각도보다 큰 경우, 상기 표시 장치를 턴-온 시키고,
    상기 턴-온 각도는 상기 턴-오프 각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7. 제22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선을 검출하는 시선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선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시선을 디텍트하고, 상기 밴딩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시선을 근거로 시인 영역 및 비시인 영역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8.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밴딩 되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및 제2 밴딩 각도로 투-폴딩 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밴딩 각도를 근거로, 상기 시인 영역 및 상기 비시인 영역을 구획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밴딩 되는 경우, 상기 제1 밴딩 각도에 대응되는 제1 밴딩 라인 및 상기 제2 밴딩 각도에 대응되는 제2 밴딩 라인을 기준으로 밴딩 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밴딩 라인을 기준으로 제1 내지 제3 영역을 구획 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비시인 영역에 포함 시키고, 나머지를 상기 시인 영역에 포함시키고,
    상기 제1 밴딩 라인은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사이에 정의 되고, 상기 제2 밴딩 라인은 상기 제2 및 제3 영역 사이에 정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딩 각도가 상기 제2 밴딩 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상기 비시인 영역에 포함시키고, 상기 제3 영역을 상기 시인 영역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밴딩 각도가 상기 제1 밴딩 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상기 비시인 영역에 포함시키고, 상기 제3 영역을 상기 시인 영역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50030996A 2015-03-05 2015-03-05 표시 장치 KR102358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996A KR102358110B1 (ko) 2015-03-05 2015-03-05 표시 장치
US14/880,964 US9959030B2 (en) 2015-03-05 2015-10-12 Display apparatus
JP2016010529A JP6789634B2 (ja) 2015-03-05 2016-01-22 表示装置
CN201610051805.8A CN105938426A (zh) 2015-03-05 2016-01-26 显示装置
EP18209663.6A EP3480676A1 (en) 2015-03-05 2016-01-27 Flexible display apparatus
EP16153019.1A EP3065025B1 (en) 2015-03-05 2016-01-27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15/965,780 US10209878B2 (en) 2015-03-05 2018-04-27 Display apparatus
US16/258,487 US10705716B2 (en) 2015-03-05 2019-01-25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996A KR102358110B1 (ko) 2015-03-05 2015-03-05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705A true KR20160108705A (ko) 2016-09-20
KR102358110B1 KR102358110B1 (ko) 2022-02-07

Family

ID=5526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996A KR102358110B1 (ko) 2015-03-05 2015-03-0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959030B2 (ko)
EP (2) EP3480676A1 (ko)
JP (1) JP6789634B2 (ko)
KR (1) KR102358110B1 (ko)
CN (1) CN105938426A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4879A (zh) * 2017-12-28 2018-06-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根据用户习惯调节移动终端状态的方法、移动终端及介质
KR20190141518A (ko) * 2018-06-14 2019-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045420A1 (ko) * 2019-09-05 2021-03-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037512B2 (en) 2018-12-19 2021-06-15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11037498B2 (en) 2019-06-18 2021-06-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210072673A (ko) * 2019-12-06 2021-06-17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모바일 단말, 진동 제어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US11062656B2 (en) 2019-07-26 2021-07-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using the same
US11183107B2 (en) 2019-07-26 2021-11-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O2022010138A1 (ko) * 2020-07-10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트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019488A1 (ko) * 2020-07-20 2022-0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050639A1 (ko) * 2020-09-02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WO2022119055A1 (ko) *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417265B2 (en) 2019-07-29 2022-08-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553614B2 (en) 2020-05-07 202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23063752A1 (ko) * 2021-10-15 2023-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딩 영역에 위치한 시각적 객체의 위치를 이동하는 전자 장치들 및 그 제어 방법들
US11640777B2 (en) 2019-07-26 2023-05-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generating back gate signal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O2024034913A1 (ko) * 2022-08-08 2024-0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위젯들을 그룹화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246382S (en) * 1975-11-10 1977-11-15 Parker Iii John Castlereagh Bedpan
USD353539S (en) * 1990-07-20 1994-12-20 Norden Pac Development Ab Combined tube and cap
KR102097361B1 (ko) * 2013-02-01 2020-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JP6405227B2 (ja) * 2014-12-19 2018-10-17 古野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製造方法
KR20160080851A (ko) * 2014-12-29 2016-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358110B1 (ko) * 2015-03-05 2022-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60664B1 (ko) * 2015-09-30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345859B2 (en) * 2015-12-08 2019-07-09 Lenovo (Beijing) Limited Display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product for a bendable electronic device
CN106371576B (zh) * 2015-12-11 2019-05-21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形变控制方法、形变控制装置及用户设备
USD850443S1 (en) 2015-12-22 2019-06-04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CN105516411B (zh) * 2015-12-29 2018-07-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的移动终端
KR102480462B1 (ko) 2016-02-05 2022-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D841612S1 (en) * 2016-03-31 2019-02-26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CN107656666B (zh) * 2016-07-26 2020-09-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及滚动速度确定方法
JP1583195S (ko) * 2016-07-27 2017-08-07
KR102574183B1 (ko) * 2016-08-19 202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6502602B (zh) * 2016-09-18 2019-08-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屏幕的显示装置、方法及终端
KR102618319B1 (ko) * 2016-09-20 2023-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7091601B2 (ja) * 2016-11-07 2022-06-2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187668B1 (ja) * 2016-11-25 2017-08-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6775083A (zh) * 2016-12-14 2017-05-31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CN106686423B (zh) * 2016-12-30 2018-03-20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多画面显示方法及显示装置
CN107103875B (zh) * 2017-05-04 2020-06-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其操作方法和柔性显示装置
EP3549007A4 (en) * 2017-05-23 2020-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FLEXIBLE COMPUTING DEVICE
US10542647B2 (en) 2017-07-11 2020-01-21 Asustek Computer Inc. Electronic device and belt-shaped cover thereof
US10539983B2 (en) 2017-07-11 2020-01-21 Asustek Computer Inc. Electronic device
US10539982B2 (en) 2017-07-11 2020-01-21 Asustek Computer Inc. Housing assembly and cover applied to electronic device
US10705577B2 (en) 2017-07-11 2020-07-07 Asustek Computer Inc. Electronic device and cover adapted to electronic device
CN107170375A (zh) * 2017-07-19 2017-09-1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D885381S1 (en) * 2017-10-11 2020-05-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93475S1 (en) * 2017-10-11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7786740A (zh) * 2017-10-19 2018-03-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来电控制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678599A (zh) * 2017-10-19 2018-02-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录制进度的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JP6972909B2 (ja) * 2017-10-23 2021-11-2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CN108089798A (zh) * 2017-11-30 2018-05-2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终端显示控制方法、柔性屏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885439B (zh) * 2017-12-01 2020-06-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便签分割方法及移动终端
USD890552S1 (en) * 2017-12-20 2020-07-21 Target Brands, Inc. Display unit
CN112136152A (zh) * 2018-03-15 2020-12-25 奇跃公司 由观看设备的部件变形导致的图像校正
KR102277928B1 (ko) * 2018-04-25 2021-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CN108628509A (zh) * 2018-04-28 2018-10-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图文信息的位置调整方法、移动终端及可读存储介质
KR20190127074A (ko) 2018-05-03 2019-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하우징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762640A (zh) * 2018-05-28 2018-11-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弹幕信息的显示方法和终端
CN110727311A (zh) * 2018-07-16 2020-01-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式电子设备及其显示屏的控制方法
JP7229689B2 (ja) * 2018-07-23 2023-02-2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20200035204A1 (en) * 2018-07-30 2020-01-30 Innolux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foldable display device
JP7140603B2 (ja) * 2018-08-28 2022-09-2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方法
CN112789675A (zh) * 2018-10-01 2021-05-11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显示装置和显示控制方法
KR102518362B1 (ko) 2018-10-23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객체 표시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20200074553A (ko) * 2018-12-17 2020-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JP7041613B2 (ja) * 2018-12-26 2022-03-24 Line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表示装置
CN113542462A (zh) * 2019-02-02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柔性屏幕的电子设备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20220171431A1 (en) * 2019-03-01 2022-06-02 Peratech Holdco Ltd Foldable Display
CN109947315A (zh) * 2019-03-04 2019-06-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分屏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996034A (zh) * 2019-04-25 2020-04-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控制方法及电子装置
CN110312073B (zh) * 2019-06-25 2021-03-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参数的调节方法及移动终端
JP7251644B2 (ja) * 2019-09-17 2023-04-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機器
CN110531864A (zh) * 2019-09-18 2019-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手势交互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11127321B2 (en) * 2019-10-01 2021-09-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interface transitions and optimizations for foldable computing devices
USD973679S1 (en) * 2019-10-28 2022-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0928462B (zh) * 2019-11-12 2021-11-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210060874A (ko) * 2019-11-19 2021-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TWI726489B (zh) * 2019-11-20 2021-05-01 宏碁股份有限公司 可撓式裝置邊緣觸控結構及其控制方法
CN111145645B (zh) * 2019-12-20 2022-01-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模组及电子设备
JP2021117355A (ja) * 2020-01-27 2021-08-10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CN111399626B (zh) * 2020-03-05 2022-01-04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屏幕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13407263A (zh) * 2020-03-16 2021-09-17 富顶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车用中控屏系统及控制该系统的方法
CN113450686A (zh) * 2020-03-24 2021-09-2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JP7092275B1 (ja) * 2020-07-30 2022-06-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機器
KR20220017284A (ko)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US11768649B2 (en) 2020-08-10 202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jecting event information on reflector device connected to electronic device
KR20220031289A (ko) * 2020-09-04 2022-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230325139A1 (en) * 2020-09-07 2023-10-12 Ntt Docomo, In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D973710S1 (en) * 2020-09-22 2022-12-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73711S1 (en) * 2020-09-22 2022-12-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2764647B (zh) * 2021-01-26 2023-08-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8650A (ko) * 2008-07-10 2011-03-21 노키아 코포레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 실행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및 디바이스
US20120319960A1 (en) * 2011-06-17 2012-12-20 Nokia Corporation Causing transmission of a message
KR20130059233A (ko) * 2011-11-28 2013-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40008177A (ko) * 2012-07-11 2014-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036499A (ko) * 2012-09-17 201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3404B2 (en) * 2003-10-17 2008-10-28 Casio Computer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JP2006243621A (ja) * 2005-03-07 2006-09-14 Canon Inc 表示装置
DE102007048596A1 (de) * 2007-10-10 2009-04-23 Vodafone Holding Gmbh Flexibles elektronisches Gerät und Verfahren zu dessen Steuerung
JP2009163278A (ja) * 2007-12-21 2009-07-23 Toshiba Corp 携帯型機器
KR20100024589A (ko) 2008-08-26 2010-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39194A (ko) 2008-10-06 2010-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접촉 패턴에 따른 GUI(Graphic User Interface) 표시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장치
US9459656B2 (en) * 2008-10-12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1569776B1 (ko) * 2009-01-09 2015-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JP5618486B2 (ja) * 2009-01-30 2014-11-05 株式会社東芝 携帯情報端末
KR20100092222A (ko) 2009-02-12 201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폴더블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95809B1 (ko) 2009-10-09 2017-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526789B2 (ja) * 2010-01-08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140190A (ja) * 2010-04-21 2013-07-18 Sharp Corp 表示装置
US9372623B2 (en) 2010-04-30 2016-06-21 Nec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same
KR101667586B1 (ko) 2010-07-12 201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15890A (ko)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32659A (ko) 2010-09-29 2012-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TWI453653B (zh) * 2011-11-18 2014-09-21 Quanta Comp Inc 電子裝置
KR101864185B1 (ko) * 2011-12-15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모드 변경 방법
KR20130091196A (ko) * 2012-02-07 2013-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411423B2 (en) * 2012-02-08 2016-08-09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flex gesturing
US9672796B2 (en) * 2012-02-17 2017-06-0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JP2013196623A (ja) * 2012-03-22 2013-09-30 Sharp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101943435B1 (ko) * 2012-04-08 2019-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21046B1 (ko) * 2012-04-08 201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
KR101864620B1 (ko) * 2012-05-09 2018-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04409B1 (ko) 2012-08-23 201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3918B1 (ko) 2012-10-10 2020-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52281A (ko) 2012-10-24 2014-05-07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WO2014092437A1 (en) * 2012-12-10 2014-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of bangle type, control method thereof, and ui display method
TWI466089B (zh) * 2012-12-24 2014-12-21 Ind Tech Res Inst 軟性顯示裝置的顯示方法與軟性顯示裝置
KR102080896B1 (ko) 2013-01-29 2020-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097361B1 (ko) * 2013-02-01 2020-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US9182908B2 (en) * 2013-07-09 2015-11-10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handwritten object
KR101584590B1 (ko) * 2013-07-11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10516A (ko) * 2013-07-19 2015-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05959B1 (ko) * 2013-07-22 202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레이어를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228907B2 (en) * 2013-11-14 2016-01-05 Nokia Technologies Oy Flexible device deformation measurement
KR102358110B1 (ko) * 2015-03-05 2022-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8650A (ko) * 2008-07-10 2011-03-21 노키아 코포레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 실행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및 디바이스
US20120319960A1 (en) * 2011-06-17 2012-12-20 Nokia Corporation Causing transmission of a message
KR20130059233A (ko) * 2011-11-28 2013-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40008177A (ko) * 2012-07-11 2014-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036499A (ko) * 2012-09-17 201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4879A (zh) * 2017-12-28 2018-06-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根据用户习惯调节移动终端状态的方法、移动终端及介质
US11360598B2 (en) 2018-06-14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capable of changing size of display area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90141518A (ko) * 2018-06-14 2019-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037512B2 (en) 2018-12-19 2021-06-15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11037498B2 (en) 2019-06-18 2021-06-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062656B2 (en) 2019-07-26 2021-07-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using the same
US11183107B2 (en) 2019-07-26 2021-11-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640777B2 (en) 2019-07-26 2023-05-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generating back gate signal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417265B2 (en) 2019-07-29 2022-08-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1045420A1 (ko) * 2019-09-05 2021-03-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72673A (ko) * 2019-12-06 2021-06-17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모바일 단말, 진동 제어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US11165898B2 (en) 2019-12-06 2021-11-0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obile terminal, vibr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1553614B2 (en) 2020-05-07 202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22010138A1 (ko) * 2020-07-10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트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019488A1 (ko) * 2020-07-20 2022-0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835986B2 (en) 2020-07-20 202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execution screen of applic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2050639A1 (ko) * 2020-09-02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WO2022119055A1 (ko) *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3063752A1 (ko) * 2021-10-15 2023-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딩 영역에 위치한 시각적 객체의 위치를 이동하는 전자 장치들 및 그 제어 방법들
WO2024034913A1 (ko) * 2022-08-08 2024-0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위젯들을 그룹화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65025A1 (en) 2016-09-07
US20160259514A1 (en) 2016-09-08
EP3065025B1 (en) 2019-01-09
US10705716B2 (en) 2020-07-07
EP3480676A1 (en) 2019-05-08
US20180246628A1 (en) 2018-08-30
JP6789634B2 (ja) 2020-11-25
US20190155475A1 (en) 2019-05-23
US10209878B2 (en) 2019-02-19
KR102358110B1 (ko) 2022-02-07
JP2016162447A (ja) 2016-09-05
CN105938426A (zh) 2016-09-14
US9959030B2 (en) 201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8110B1 (ko) 표시 장치
US9927964B2 (en) Customization of GUI layout based on history of use
US7456823B2 (e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US2019010862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1003328B2 (en) Touch input method through edg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EP3267303B1 (en) Multi-touch display pane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518362B1 (ko) 전자 장치의 객체 표시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JP2014016519A (ja) 表示装置
EP3356920B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multiple screen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4009495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US20160041749A1 (en) Operating method for user interface
US11874955B2 (en) Electronic device
US11853491B1 (en) Systems and methods to transition between pointing techniques
US1074742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multi-touch operation by which object is rota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