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096A - 직물온도센서 - Google Patents

직물온도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096A
KR20160097096A KR1020150019679A KR20150019679A KR20160097096A KR 20160097096 A KR20160097096 A KR 20160097096A KR 1020150019679 A KR1020150019679 A KR 1020150019679A KR 20150019679 A KR20150019679 A KR 20150019679A KR 20160097096 A KR20160097096 A KR 20160097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onductive
wires
base
ya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리
건 태 김
Original Assignee
김두리
건 태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리, 건 태 김 filed Critical 김두리
Priority to KR1020150019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7096A/ko
Publication of KR20160097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온도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물 고유의 가요성, 질감, 및 촉감을 가지면서 센싱 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이물감이 전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요성과 신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이동성, 활동성 및 착용감이 요구되는 물품이나 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제조과정이 간결, 단순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직물온도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센서장치는 직물온도센서에 있어서, 센서베이스; 상기 센서베이스에 배치되는 제1 센서선; 및 상기 센서베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센서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센서선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베이스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면상구조로 직조되고, 상기 제1 센서선 및 상기 제2 도전선은 도전성소재로 형성된 도전사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전기저항값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접촉점을 갖도록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온도센서에 의하면, 직물지 형태의 센서베이스에 섬유기반의 제1 및 제2 센서선이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직물 고유의 가요성, 질감, 및 촉감을 가지면서 센싱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는 제1 및 제2 센서선이 섬유사가 교차하듯이 서로 교차하면서 접촉점을 형성하는 구조이므로 종래 온도센서(종래 온도센서는 이물감이 발생되는 온도 검출소자가 구비되거나 2개의 금속선을 서로 용접하여 제작함에 따라 용접부위로 인한 이물감이 유발됨)와 같이 이물감을 유발하지 않아서 의복이나 침구, 의료용 기기 등과 같이 인체와 접촉되는 물품이나 장치에 적용할 경우 안정된 착용감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직물온도센서{FABRIC TYPE TEMPERATURE SENSOR}
본 발명은 직물온도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물 고유의 가요성, 질감, 및 촉감을 가지면서 센싱 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이물감이 전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요성과 신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이동성, 활동성 및 착용감이 요구되는 물품이나 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제조과정이 간결, 단순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직물온도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측정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온도센서의 대표적인 형태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369312호(등록일자:2003.01.10)에 개시된 바와 같은 것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온도센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 단자(13,14), 이 전극 단자 사이에 형성되는 검출소자(12), 전극 단자에 일측 말단이 접속되는 리드선(15,16), 및 리드선의 외주면에 피복되는 전기절연수지 재질의 절연피복층(17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리드선(15,16)의 타측 말단은 감지신호 수신측과 접속을 위한 접속 단자가 형성되도록 절연피복층 미형성부가 형성되어 있다.
검출소자(12)는 온도 센서로 구성할 경우 온도 검출소자(또는 감열소자라 한다)로 구성된다.
온도 검출소자는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값이 감소하는 부저항온도계수의 특성을 갖는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서미스터 소자 또는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값이 증가하는 정저항온도계수의 특성을 갖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서미스터 소자로 구성된다.
이러한 온도 센서는 점차적으로 소형화 되고 있어 다양한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여러 가지 한계점을 갖고 있어 특정 분야나 장치에는 적용하기가 어렵고 불편한 실정에 있다.
예컨대, 의복 자체가 외부 자극을 감지하고 스스로 설정된 조건에 반응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의류 중에서 기초적인 의복인 발열의복은 온도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필요하지만, 종래 온도 센서는 부피가 크고 딱딱하여 설치하기가 곤란하고, 이물감을 줄 뿐만 아니라 의복의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미감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온도센서들은 신축성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의복의 착용감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온도센서들은 착용중이나 사용 중에 인가되는 외력으로 인해 길이가 늘어나거나 부피가 증가되는 부분에 설치할 경우 쉽게 손상 또는 파손되므로 전혀 적용할 수 없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직물 고유의 가요성, 질감, 및 촉감을 가지면서 센싱 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이물감이 전혀 발생되지 않도록 한 직물온도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이동성, 활동성 및 착용감이 요구되는 물품이나 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제조과정이 간결, 단순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도록 한 직물온도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직물센서장치는 직물온도센서에 있어서, 센서베이스; 상기 센서베이스에 배치되는 제1 센서선; 및 상기 센서베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센서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센서선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베이스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면상구조로 직조되고, 상기 제1 센서선 및 상기 제2 도전선은 도전성소재로 형성된 도전사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전기저항값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접촉점을 갖도록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센서베이스의 직조시에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 공급되고, 교차지점에서 복수의 접촉점을 갖도록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 중에서 어느 하나는 복수의 요철부를 갖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센서베이스에 꿰매어지는 고정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센서베이스와는 서로 다른 색상의 이색 섬유사가 감김 또는 엮음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베이스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는 상센서베이스, 상기 상센서베이스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대응되게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는 하센서베이스, 상기 상센서베이스와 하센서베이스를 연결하도록 다수의 연결사에 의해 형성된 센서베이스연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상센서베이스, 상기 하센서베이스 및 상기 센서베이스연결층 중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격공간에는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완충특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완충재층, 단열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단열특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단열재층,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력발생소재로 형성된 부력층 중에서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베이스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면상구조로 직조된 직물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직물지의 표면에 배치되되, 상기 직물지는 복수의 직조층을 갖도록 덧대어져 직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복수의 직조층 표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하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교차점 부위에서 상기 센서베이스의 표면으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직물센서장치는 직물온도센서에 있어서, 센서베이스; 상기 센서베이스에 배치되는 제1 센서선; 및 상기 센서베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센서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센서선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베이스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면상구조로 직조되고, 상기 제1 센서선 및 상기 제2 도전선은 도전성소재로 형성된 도전사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전기저항값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의 배치경로상에 서로간의 배치간격이 좁아지는 근접부가 형성되도록 돌출되게 배치된 돌출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촉점을 형성하도록 상기 돌출배치부에 연결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된 연결센서선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센서선은 도전성소재로 형성된 도전사가 구비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과 동반하여 상기 센서베이스에 배치되되, 상기 돌출배치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복수의 요철부를 갖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직물센서장치는 직물온도센서에 있어서, 센서베이스; 상기 센서베이스에 배치되는 제1 센서선; 및 상기 센서베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센서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센서선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베이스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면상구조로 직조되고, 상기 제1 센서선 및 상기 제2 센서선은 도전성소재로 형성된 도전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동일한 전기저항값을 갖도록 구성된 도전성 선재가 서로 교차되어 접촉점을 갖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 센서선을 구성하는 상기 도전성 선재의 배치수량과 상기 제2 센서선을 구성하는 상기 도전성 선재의 배치수량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베이스의 직조시에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서 전원의 공급시에 발열되는 발열선이 공급, 직조되고, 상기 발열선의 일부 가닥이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으로 적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센서장치에서 상기 제1 센서선 및 상기 제2 센서선은 인장력 또는 충격력의 인가시에 수축 및 팽창될 수 있도록 굴곡부를 갖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베이스는 상기 위사 및 상기 경사의 일부 또는 전부가 신축성고분자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베이스는 설치 및 사용시에 피설치부에 탈부착하기 위한 결속부재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접촉점을 형성하는 교차 부위에서 절연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절연부를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중심에 배치되는 신축성고분자사의 외면에 상기 도전사가 감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도전사의 외부에 외피사가 감김 또는 엮임되어 형성된 외피섬유사층을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도전사의 외부에 외피사가 감김 또는 엮임되어 형성된 외피섬유사층을 구비하되, 상기 외피섬유사층을 형성하는 외피사는 저융점섬유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도전사가 코일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도전사의 외부에 외피사가 감김 또는 엮임되어 형성된 외피섬유사층을 구비하되, 상기 외피섬유사층을 형성하는 외피사는 상기 도전사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가 형성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선을 구성하는 도전사는 상기 제1 센서선을 구성하는 도전사와 비교하여 전기저항값이 서로 다른 도전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에 구비되는 상기 도전사는 서로 동일한 전기저항값을 갖는 것을 적용하되 상기 도전사가 서로 다른 수량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의 전체 저항값이 서로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직물센서장치는 상기 센서베이스는 접촉점을 갖도록 배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이 복수 구조로 배치되어 복수 지점에 온도감지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온도센서에 의하면, 직물지 형태의 센서베이스에 섬유기반의 제1 및 제2 센서선이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직물 고유의 가요성, 질감, 및 촉감을 가지면서 센싱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는 제1 및 제2 센서선이 섬유사가 교차하듯이 서로 교차하면서 접촉점을 형성하는 구조이므로 종래 온도센서(종래 온도센서는 이물감이 발생되는 온도 검출소자가 구비되거나 2개의 금속선을 서로 용접하여 제작함에 따라 용접부위로 인한 이물감이 유발됨)와 같이 이물감을 유발하지 않아서 의복이나 침구, 의료용 기기 등과 같이 인체와 접촉되는 물품이나 장치에 적용할 경우 안정된 착용감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는 센서베이스와 제1 및 제2 센서선을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착용감, 이동성 및 활동성이 요구되는 의류, 침구, 의료기구 등과 같은 물품이나 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는 위사 및 경사로 공급되는 섬유사에 의해 센서베이스를 직조하는 과정에서 위사 및 경사의 일부로서 제1 및 제2 센서선을 공급, 직조하여 제작하는 것이므로 제조과정이 간결, 단순하고 별도의 조립공정이 요구되지 않아서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온도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3a 내지 도3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에 적용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센서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 내지 도9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확대부는 이해를 돕기위해 지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는 센서베이스(1), 센서베이스(1)에 배치되는 제1 센서선(2), 및 센서베이스(1)에 배치되어 제1 센서선(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센서선(3)을 구비한 것으로, 직물 고유의 가요성, 질감, 및 촉감을 가지면서 센싱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는 제1 및 제2 센서선(2,3)을 접촉점이 형성되도록 서로 교차되게 배치함으로써 이물감이 전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한 점에 주요한 특징이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는 제1 및 제2 센서선(2,3)이 직물의 직조시에 섬유사가 교차하듯이 서로 교차하면서 접촉점을 형성하는 구조이므로 통상적인 온도센서와 같이 이물감을 유발하는 온도 검출소자가 구비되거나 2개의 금속선을 서로 용접할 경우 형성되는 용접점이 구비되지도 않는 구조이므로 인체와의 접촉시에 이물감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센서베이스(1)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면상구조로 직조된 직물지로 구성된다. 여기서 직물지는 제직 방식에 의해 직조한 직물에 국한하는 의미가 아니라 편직에 의해 직조한 편물을 포함하는 개념이 있다. 그리고, 센서베이스(1)는 이하 첨부된 도면에서는 주로 띠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넓이와 형상 및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 센서선(2)은 센서베이스(1)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도전성소재로 형성된 도전사(21)가 구비되어 있다. 제2 센서선(3)은 센서베이스(1)에 배치되어 제1 센서선(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도전성소재로 형성된 도전사(31)가 구비되되, 제2 센서선(3)을 구성하는 도전사(31)는 제1 센서선(2)을 구성하는 도전사(21)와 비교하여 전기저항값이 서로 다른 도전사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제1 및 제2 센서선(2,3)을 구성하는 도전사(21,31)는 전기저항값이 서로 다른 금속사를 적용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센서선을 구성하는 도전사를 전기저항값이 서로 다른 금속사로 구성하는 이유는 제1 및 제2 센서선(2,3)을 접속하고 임의의 한 접점에 온도변화를 줄 때 제베크 효과에 의해 열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온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제1 및 제2 센서선(2,3)을 구성하는 도전사(21,31)는 안티몬, 철, 금, 텅스턴, 동, 납, 알루미늄, 백금, 니켈, 비스무트 등을 측정하고자 하는 온도범위에 따라 선택하여 구성한다. 예컨대, 제1 및 제2 센서선(2,3)을 구성하는 도전사는 백금 및 백금로듐, 구리 및 콘스탄탄, 구리 및 금코발트 등과 같은 선사의 조합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접촉점(p)을 갖도록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되, 도2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지점에서 복수의 접촉점(p)을 갖도록 제2 센서선(3)은 지그재그 형태와 같은 복수의 요철부를 갖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센서선(3)이 복수의 요철부를 갖도록 배치되면 제1 및 제2 센서선(2,3)의 교차지점에서 복수의 접촉점(p)이 형성되므로 센서베이스(1)가 변형되거나 제1 센서선(2) 또는 제2 센서선(3)이 요동되어 어느 하나의 접촉점이 이탈되더라도 비교적 전기적인 접속관계가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온도 측정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센서베이스(1)에 인장력이 인가되더라도 신축되면서 파단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굴곡부를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때, 굴곡부는 대략 사인파 형상의 파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센서베이스(1)의 직조는 통상의 편직기나 제직기 등 다양한 직기를 이용하여 직조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83435호에 나타난 직기를 이용하여 직조할 수 있는 것으로 섬유사를 위사 및 경사로 공급하여 센서베이스(1)를 직조하되, 위사 및 경사의 일부로서 제1 및 제2 센서선(2,3)을 직기에 공급하여 일체로 직조 배치할 수 있으므로 직기의 세부 구조나 제직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센서베이스(1)는 인장력이나 충격력과 같은 외력이 인가될 경우 늘어나고 외력의 해제시에 복귀될 수 있도록 위사 및 경사의 일부 또는 전부가 스판사 등으로 호칭되는 신축성고분자사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센서베이스(1)에는 설치 및 사용시에 피설치부에 간편하게 탈부착 하기 위한 결속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결속부재는 암 벨크로화스너 또는 수 벨크로화스너를 부착하거나, 지퍼, 단추 등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는 제1 및 제2 센서선(2,3)을 직기에 공급하여 직조할 수 있어야 하고, 후술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자수기(직물지에 패튼을 형성하는 직기의 일종임, 미도시)의 자수사 공급부(미도시)에 자수사로 공급되어 센서베이스에 고정되어야 하며, 직물지 구조의 센서베이스에 배치된 상태에서 가요성과 이물감이 유발되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한 제1 및 제2 센서선(2,3)로서 섬유사와 유사한 가요성을 갖도록 구성한 섬유기반 도전선을 적용한다.
도3a 내지 도3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에 적용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센서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일 부분을 확대한 정면도 또는 확대사시도이다.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도전사(21,31)로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으로 중심사(22,32)와 동반되어 도전사(21,31)가 배치된 구조의 섬유기반 도전선이 적용된다. 예컨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복수 가닥 이상의 도전사(21,31)가 중심사(22,32)의 외면에 엮여지거나 권취되는 형태로 배치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전사(21,31)는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전사(21,31)로서 상기한 직경 범위의 도전성 금속사를 적용하는 이유는 도전성 금속사와 중심사 등이 포함되어 제1 및 제2 센서선으로 구성된 상태에서의 그 전체 직경이 1000마이크로미터(㎛) 이하가 되어야 직기에 원활하게 공급하여 직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전사(21,31)는 그 직경이 500 마이크로미터(㎛) 이상일 경우 직조에 어려움이 있고,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도전성 금속사는 현재의 생산기술로는 대량생산이 곤란하여 품질의 실질적인 검증이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성, 내구성 및 품질이 검증된 20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것을 적용한다.
중심사(22,32)는 가요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섬유사로 구성하되 섬도(굵기)가 5 내지 2000 데니어(denier) 범위인 것을 적용한다. 여기서 중심사(22,32)의 섬도가 5 데니어 이하일 경우 굵기가 지나치게 가늘어서 도전사(21,31)를 권취하기가 어렵고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도록 구성할 수 없으며, 중심사(22,32)의 섬도가 2000 데니어 이상일 경우 굵기가 지나치게 굵어 제1 및 제2 센서선(2,3)의 전체적인 굵기 증가를 초래하고 가요성이 저하되어 직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1 데니어는 섬유재료 1그램이 9000미터로 뽑아 졌을 때의 굵기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2,3)에 구비되는 도전사(22,32)는 절연층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적용할 수도 있지만, 온도 측정의 정확성과 전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센서선의 교차점 부위에 절연층이 형성되지않은 비절연부가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에는 절연층이 형성된 것을 적용하여 구성한다. 이때, 비절연부는 제1 및 제2 센서선의 직기에 직조 패튼을 프로그래밍하는 과정에서 접촉점이 형성되는 교차지점을 사전에 계산하고 이를 근거로 길이를 계산하여 해당 지점의 절연층을 제거한 후 제1 및 제2 센서선을 직기에 공급하는 방법으로 구현한다.
도3b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중심사(22,32)와, 이 중심사(22,32)의 외면에 배치되는 도전사(21,31), 및 도전사(21,31)의 외면에 배치되는 외피사(23,33)가 순차적으로 권취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외피사(23,33)는 도전사(21,31)의 외부에 덧씌워지도록 배치되는 선사로서 도전사(21,31)의 외면에 엮여지는 형태로도 배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사(21,31)의 외면에 권취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베이스(1)에 가해지는 인장력과 같은 외부 부하에 대해 늘어날 수 있도록 중심사(22,32)와 이 중심사에 코일 형태로 감김되는 도전사(21,31)로 구성되되, 중심사(22,32)는 스판사, 폴리우레탄사 등으로 호칭되는 신축성고분자사로 구성된다.
도3d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도전사(21,31)의 외부에 절연층의 기능을 수행하는 섬유사가 감김 또는 엮임되어 형성된 외피섬유사층을 구비하되, 외피섬유사층을 형성하는 외피사(23,33)는 저융점섬유사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저융점섬유사는 융점이 낮은 접착사(fusible bonding yarn)를 적용할 수 있다. 접착사(fusible bonding yarn)는 센서베이스(1)를 형성하는 섬유사의 융점보다 융점이 낮다면 제한 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융점이 45 내지 200℃ 범위를 갖는 접착사를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접착사는 고열용해 접착제에서 뽑아낸 원사로서 전기인두와 같은 열기구를 접촉 또는 근접시키게 되면 녹으면서 급격하게 수축되는 다수 가닥의 저융점(low melting point) 필라멘트사 형태로서 분단사(seperation yarn)로도 호칭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융점섬유사가 구비된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센서베이스(1)에 배치된 상태에서 교차지점 부위를 전기인두와 같은 열기구를 이용하여 저융점섬유사를 용융시키게 되면 도전사가 노출되어 접촉점(p)이 형성되므로 온도변화를 줄 때 제베크 효과에 의해 온도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3e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도전사(21,31)가 코일 형태로 배치되어 인장력의 인가시에 신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전사(21,31)를 코일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은 도3e의 점선으로 도시된 중심사(22,32)에 도전사(21,31)를 감은 다음 이 중심사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심사는 물리적, 화학적 및 광학적 처리과정을 통해 제거할 수 있는 선사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중심사(22,32)는 센서베이스(1)를 구성하는 섬유사 및 도전사(21,31)보다 저온에서 용융되는 저융점 선사, 광의 조사시에 분해되는 광분해성 선사, 유기용제와 접촉시에 분해되는 유기용제분해성 선사, 수분과 접촉시에 분해되는 수분분해성 선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광분해성 선사는 산화티타늄(TiO2)과 같은 광촉매 물질을 함유한 광분해성 PP수지 또는 PE 수지를 이용하여 뽑아낸 선사 등과 같이 광의 조사시에 분해되는 선사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분해성 선사가 중심사로 적용된 제1 및 제2 센서선(2,3)에 광을 조사하는 램프를 근접시키는 방식으로 제거하게 되면 코일 형태로 배치된 도전사만 잔류하게 되므로 도3e에 도시된 형태의 제1 및 제2 센서선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중심사(22,32)를 유기용제와 접촉시에 분해되는 유기용제분해성 선사를 적용할 경우, 아세톤에 분해되는 폴리염화비닐사나, 신나, 에틸렌 등에 분해되는 폴리스틸렌사로 형성한 것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기용제분해성 선사를 중심사로 적용한 경우 이와 화학반응하는 해당 용매를 중심사에 분무하는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중심사(22,32)는 펄프 등과 같이 수분과의 접촉시에 분해되는 수분분해성 소재를 이용하여 뽑아낸 원사를 적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PVA섬유(Poly Vinyl Alcohol, 포발액에서 방사한 후 가공하지 않은 그대로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PVA섬유는 포발(poval)을 녹여 방사 원액을 만들고 레이온과 유사한 방사법으로 방사하여 제조하는 필라멘트사 형태의 원사로서 방사한 상태의 것은 물에 쉽게 녹지만 통상 물에 강하도록 후처리하여 사용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가공하기 전의 PVA섬유를 적용한다
한편, 도3f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도전사(21,31)의 외부에 섬유사가 감김 또는 엮임되어 형성된 외피섬유사층을 구비하되, 외피섬유사층을 형성하는 외피사(23,33)는 도전사(21,31)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p)가 형성되도록 피치 간격이 넓게 감김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직조방식이나 후술되는 자수방식 등으로 센서베이스(1)에 배치하는 과정에서 외피사(23,33)가 도전사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섬유사의 피치 간격 부분에 형성된 노출부(p)로 인해 제1 및 제2 센서선(2,3)의 도전사(21,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접촉점(p)을 형성하게 되므로 온도의 감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 변형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면상구조로 직조된 직물지 형태의 센서베이스(1) 표면에 제1 및 제2 센서선(2,3)이 배치되되, 상기 직물지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엮여진 표면에 다시 위사 또는 경사가 엮여져 복수의 직조층(1a,1b)을 갖도록 덧대어져 직조된다.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복수의 직조층(1a,1b) 표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하로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도면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온도의 감지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교차점 부위에서 센서베이스의 표면으로 노출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교차점 부위에서 위사 및 경사에 엮여지지않고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한다.
전술한 제1 변형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는 다층 구조의 직조층(1a,1b)을 갖는 구조로 센서베이스(1)가 형성되고, 각각의 직조층(1a,1b)에 제1 및 제2 센서선(2,3)이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동일 지점에서 복수의 온도감지가 가능하여 정확하게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는 도면을 첨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여러 지점의 온도측정이 가능하도록 단일의 센서베이스(1)에 제1 및 제2 센서선이 복수의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베이스의 면적을 비교적 넓게 형성한 후 복수의 제1 및 제2 센서선을 병렬 구조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제2 내지 제5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그 변형예 등에 나타난 구성요소 중 채용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상 도시는 생략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확대부는 지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면상구조로 직조된 센서베이스(1), 전기저항값이 서로 다른 도전성소재로 형성된 도전사가 구비되어 센서베이스에 배치되는 제1 센서선(2) 및 제2 센서선(3)을 구비하되, 제1 및 제2 센서선(2,3)는 자수방식에 의해 접촉점을 갖도록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및 제2 센서선(2,3)이 자수기(직물 등에 문양 형성을 위한 실을 자수하여 문양 등을 형성하는 섬유기계)에 자수사로 공급되어 고정사(4)에 의해 센서베이스에 꿰매어지면서 배치, 고정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도3a 내지 도3f에 도시된 형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5의 확대부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사(21)의 외부에 센서베이스(1)와는 서로 다른 색상의 이색 섬유사(25,35)가 감김 또는 엮음 된 것을 적용한다.
이와 같이 이색 섬유사(25,35)가 감김된 제1 및 제2 센서선(1,2)을 센서베이스(1)에 자수하게 되면 온도센서선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미감을 부여하는 무늬 모양을 연출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중심사(22,32)와, 이 중심사(22,32)의 외면에 배치되는 도전사(21,31), 및 도전사(21,31)의 외면에 배치되는 외피사(23,33)가 순차적으로 권취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제2 센서선(3)은 도전사(31)의 수량을 제1 센서선(2)을 구성하는 도전사(21)의 수량에 비해 많게 구성함으로써 임의의 한 접점에 온도변화를 줄 때 제베크 효과에 의해 열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온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확대부는 지시된 부분의 단면 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는 센서베이스(1), 센서베이스(1)에 배치되는 제1 센서선(2), 및 센서베이스(1)에 배치되어 제1 센서선(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센서선(3)을 구비하고, 센서베이스(1)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면상구조로 직조된 직물지로 구성되되,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는 상센서베이스(11), 상센서베이스(11)에 이격공간(14)을 갖도록 대응되게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는 하센서베이스(12), 및 상센서베이스(11)와 하센서베이스(12)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사(c)에 의해 형성된 센서베이스연결층(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상센서베이스(11), 하센서베이스(12) 및 센서베이스연결층(13) 중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배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센서베이스(11)에 경사의 일부로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선상베이스(1)는 경편기 또는 벨벳직기로 호칭되는 직기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상센서베이스(11) 및 하센서베이스(12)를 형성하는 위사(a)와 경사(b), 및 연결사(c)로서 섬유사(유기 섬유사 및 무기섬유사 중에서 선택하여 적용)와 함께 제1 및 제2 센서선(2,3)을 직기에 공급하여 동시에 직조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연결사(c;파일사라고 호칭됨)는 쿠션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센서베이스(11) 및 하센서베이스(12)를 형성하는 선사(위사 및 경사)에 비해 탄성력이 큰 선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사(c)를 탄성력이 큰 선사로 적용할 경우 상센서베이스(11)에 인가되는 하중을 지탱하면서도 쿠션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사(c)는 탄성을 갖는 소재의 선사로서 모노필라멘트사와 같은 합성섬유사 계열의 섬유사가 적용되거나, 위사 및 경사에 비해 데니어(굵기)가 큰 섬유사가 공급되어 직조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는 위사(a) 및 경사(b)에 의해 직조되는 상센서베이스(11), 상센서베이스(11)에 이격공간(14)을 갖도록 대응되게 위사(a) 및 경사(b)에 의해 직조되는 하센서베이스(12), 및 상센서베이스(11)와 하센서베이스(12)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사(c)에 의해 형성된 센서베이스연결층(13)으로 구성된 센서베이스(1)를 구비하되, 상기한 이격공간(14)에 부가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부가기능층(15)이 더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가기능층(15)은 발포패드와 같이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완충특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완충재층, 스티로폼과 같이 단열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단열특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단열재층,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력발생소재로 형성된 부력층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격공간에 채워지거나 주입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확대부는 지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는 센서베이스(1), 센서베이스(1)에 배치되는 제1 센서선(2), 및 센서베이스에 배치되어 제1 센서선(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센서선(3)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 센서선(2,3)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및 제2 센서선의 배치경로상에 서로간의 배치간격이 좁아지는 근접부가 형성되도록 돌출되게 배치된 돌출배치부(y)가 형성되어 있다. 도8에서는 제1 및 제2 센서선(2,3)에 진폭이 큰 돌출배치부(y)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2,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촉점을 형성하도록 돌출배치부(y)에 연결되고 도전성소재로 형성된 연결센서선(6)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센서선(6)은 제1 및 제2 센서선(2,3)이 배치된 후 별도의 도전사를 추가로 감아서 배치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조성을 고려하여 센서베이스(1)의 직조시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 제1 및 제2 센서선(2,3)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연결센서선(6)을 위사 및 경사의 일부로 추가공급하여 배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도전성소재로 형성된 도전사가 구비되되 제2 센서선을 구성하는 도전사와 제1 센서선을 구성하는 도전사는 전기저항값이 서로 다른 도전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센서선(6)은 도전성소재로 형성된 도전사가 제1 및 제2 센서선(2,3)과 동반하여 센서베이스(1)에 배치되다가 돌출배치부(y) 형성부분에서 미리 설정한 직기의 프로그램에 의해 복수의 요철부를 갖는 구조로 배치되면 제1 및 제2 센서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도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확대부는 지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는 센서베이스(1), 센서베이스(1)에 배치되는 제1 센서선(2), 및 센서베이스(1)에 배치되어 제1 센서선(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센서선(3)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도전성소재로 형성된 동일한 전기저항값을 갖도록 구성되어 서로 교차되어 접촉점을 갖도록 배치되되, 제1 센서선(2)과 제2 센서선(3)의 수량이 서로 다른 수량으로 구성되어 접촉점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가닥의 제2 센서선(3)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한 가닥의 제1 센서선(2)과 교차하면서 접촉점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도9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사(22,32), 복수 가닥의 도전사(21,31) 및 외피사(23,33)로 이루진 동일한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도전사는 20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동선을 적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동일한 전기저항값을 갖도록 구성되더라도 배치 수량에 차이가 있게 되면 전기저항값이 서로 달라지므로 결국 제1 센서선(2)의 전기저항값과 제2 센서선(3)이 갖는 전기저항값은 서로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센서선(2,3)을 접속하고 임의의 한 접점에 온도변화를 줄 때 제베크 효과에 의해 열전류가 흘러 온도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는 센서베이스의 직조시에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서 전원의 공급시에 발열되는 발열선(8)이 공급, 직조되어 있다. 이때, 발열선(8)은 도9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센서선(2,3)과 동일한 구조의 도전성 선재로 형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는 제1 및 제2 센서선(2,3)과 함께 복수 가닥의 발열선(8)이 추가로 배치되어 있어서 센서베이스(1) 자체를 면상발열체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이때 제1 및 제2 센서선(2,3)은 발열선에 의해 가온된 상태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특히, 도9의 확대부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선(8)과 제1 및 제2 센서선(2,3)이 동일한 도전성 선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센서베이스(1)에 별도로 온도센서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 발열선과 동일한 구조의 도전성 선재 중 일부 가닥을 제1 및 제2 센서선(2,3)으로 적용하여 온도센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물지 직조방식으로 동시에 온도센서를 구성하고 발열선을 배치하게 되는 것이므로 자재의 단순화, 제조의 단순화로 인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온도센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센서베이스 1a,1b:직조층
11:상센서베이스 12:하센서베이스
13:센서베이스연결층 14:이격공간
15:부가기능층 2:제1 센서선
21,31:도전사 22,32:중심사
23,33:외피사 25,35:이색 섬유사
3:제2 센서선 4:고정사
6:연결센서선 8:발열선
p:접촉점 y:돌출배치부

Claims (24)

  1. 직물온도센서에 있어서,
    센서베이스;
    상기 센서베이스에 배치되는 제1 센서선; 및
    상기 센서베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센서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센서선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베이스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면상구조로 직조되고,
    상기 제1 센서선 및 상기 제2 도전선은 도전성소재로 형성된 도전사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전기저항값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접촉점을 갖도록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센서베이스의 직조시에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 공급되고, 교차지점에서 복수의 접촉점을 갖도록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 중에서 어느 하나는 복수의 요철부를 갖는 구조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센서베이스에 꿰매어지는 고정사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센서베이스와는 서로 다른 색상의 이색 섬유사가 감김 또는 엮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베이스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는 상센서베이스, 상기 상센서베이스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대응되게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는 하센서베이스, 상기 상센서베이스와 하센서베이스를 연결하도록 다수의 연결사에 의해 형성된 센서베이스연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상센서베이스, 상기 하센서베이스 및 상기 센서베이스연결층 중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에는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완충특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완충재층, 단열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단열특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단열재층,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력발생소재로 형성된 부력층 중에서 어느 하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베이스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면상구조로 직조된 직물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직물지의 표면에 배치되되, 상기 직물지는 복수의 직조층을 갖도록 덧대어져 직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복수의 직조층 표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하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교차점 부위에서 상기 센서베이스의 표면으로 노출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9. 직물온도센서에 있어서,
    센서베이스;
    상기 센서베이스에 배치되는 제1 센서선; 및
    상기 센서베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센서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센서선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베이스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면상구조로 직조되고,
    상기 제1 센서선 및 상기 제2 도전선은 도전성소재로 형성된 도전사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전기저항값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의 배치경로상에 서로간의 배치간격이 좁아지는 근접부가 형성되도록 돌출되게 배치된 돌출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촉점을 형성하도록 상기 돌출배치부에 연결되고 도전성소재로 형성된 연결센서선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센서선은 도전성소재로 형성된 도전사가 구비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과 동반하여 상기 센서베이스에 배치되되, 상기 돌출배치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복수의 요철부를 갖는 구조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11. 직물온도센서에 있어서,
    센서베이스;
    상기 센서베이스에 배치되는 제1 센서선; 및
    상기 센서베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센서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센서선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베이스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면상구조로 직조되고,
    상기 제1 센서선 및 상기 제2 센서선은 도전성소재로 형성된 도전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동일한 전기저항값을 갖도록 구성된 도전성 선재가 서로 교차되어 접촉점을 갖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 센서선을 구성하는 상기 도전성 선재의 배치수량과 상기 제2 센서선을 구성하는 상기 도전성 선재의 배치수량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베이스의 직조시에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서 전원의 공급시에 발열되는 발열선이 공급, 직조되고,
    상기 발열선의 일부 가닥이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으로 적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선 및 상기 제2 센서선은 인장력 또는 충격력의 인가시에 수축 및 팽창될 수 있도록 굴곡부를 갖는 구조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베이스는 상기 위사 및 상기 경사의 일부 또는 전부가 신축성고분자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베이스는 설치 및 사용시에 피설치부에 탈부착하기 위한 결속부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16.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접촉점을 형성하는 교차 부위에서 절연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절연부를 갖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17.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중심에 배치되는 신축성고분자사의 외면에 상기 도전사가 감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18.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도전사의 외부에 외피사가 감김 또는 엮임되어 형성된 외피섬유사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19.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도전사의 외부에 외피사가 감김 또는 엮임되어 형성된 외피섬유사층을 구비하되,
    상기 외피섬유사층을 형성하는 외피사는 저융점섬유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20.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도전사가 코일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21.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은 상기 도전사의 외부에 외피사가 감김 또는 엮임되어 형성된 외피섬유사층을 구비하되,
    상기 외피섬유사층을 형성하는 외피사는 상기 도전사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가 형성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22.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선을 구성하는 도전사는 상기 제1 센서선을 구성하는 도전사와 비교하여 전기저항값이 서로 다른 도전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23.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에 구비되는 상기 도전사는 서로 동일한 전기저항값을 갖는 것을 적용하되 상기 도전사가 서로 다른 수량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의 전체 저항값이 서로 달라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2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베이스는 접촉점을 갖도록 배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선이 복수 구조로 배치되어 복수 지점에 온도감지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온도센서.
KR1020150019679A 2015-02-06 2015-02-06 직물온도센서 KR20160097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679A KR20160097096A (ko) 2015-02-06 2015-02-06 직물온도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679A KR20160097096A (ko) 2015-02-06 2015-02-06 직물온도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096A true KR20160097096A (ko) 2016-08-17

Family

ID=56873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679A KR20160097096A (ko) 2015-02-06 2015-02-06 직물온도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70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0464B1 (en) Cloth heater
JP2000357580A (ja) 電気加熱/加温布製品
KR20160118110A (ko) 복합센서
WO2006128633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elastic composite yarn
CN112888817B (zh) 带电极配线的布料
EP3621088B1 (en) Stretchable wire tape for textile,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extile having wires
JP2011507158A (ja) 一体化されたバスを有する非対称的又は対称的に分散した複数/単一の加熱区画を有する織布システム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619515B1 (ko) 도전성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2445A (ko) 탄소 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11911B1 (ko) 신축성 도전성 원단
KR20170093655A (ko) 촉각센서
KR101588893B1 (ko) 도전성 직물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463236Y1 (ko) 자수 제조방식의 면상도전체
KR20160097096A (ko) 직물온도센서
JP5870822B2 (ja) 布状ヒーター
IT201800010666A1 (it) Coprimaterasso termico o coperta termica
KR20180103481A (ko) 복합센서
KR20180103482A (ko) 복합센서
KR102125395B1 (ko) 도전성 면상체
KR20180102970A (ko) 부하감지센서
KR102116632B1 (ko)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양극 도전체로 구성된 면상발열체
TWM608031U (zh) 聚氨酯電熱元件
KR200477858Y1 (ko) 체감 온열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면상발열체
KR20160114482A (ko) 복합센서
JP7021820B2 (ja) シート状電気信号伝達生地及びシート状電気信号伝達生地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