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2878A - Moving pretreatment filtering intake device and intake system for water production using of the same - Google Patents

Moving pretreatment filtering intake device and intake system for water production using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2878A
KR20160092878A KR1020150013826A KR20150013826A KR20160092878A KR 20160092878 A KR20160092878 A KR 20160092878A KR 1020150013826 A KR1020150013826 A KR 1020150013826A KR 20150013826 A KR20150013826 A KR 20150013826A KR 20160092878 A KR20160092878 A KR 20160092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ration
suction pipe
inner s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8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62939B1 (en
Inventor
김지호
최창형
박영진
김태원
Original Assignee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3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939B1/en
Publication of KR20160092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8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9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6Component parts of wells
    • E03B3/18Well filt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retreatment filtering intake device and an intake system for water production using the same which can pretreat and remove a large foreign substance or a floating material to reduce a subsequent filtering load and maximize filtering efficiency, and allow direct use of water for living when needed. According to a prop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retreatment filtering intake device is deployed in raw water to be used, and comprises: a filter casing of a box shape having inflow holes formed in a diameter smaller than a filtering material and distributed on a surface thereof, and an inner suction pipe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middle of a wall on one side thereof; an inner suction pip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low holes distribu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fixed and installed in the filter casing to close one end thereof and connect the other end thereof to the inner suction pipe connection hole; an outer filter pipe provided with a filtering hole formed in a diameter smaller than the flow holes and larger than a particle size of the filtering material, and coaxially installed on an outer diameter of the inner suction pipe; disconnection prevention spacer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suction pipe and the outer filter pipe at regular interval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an abrupt pressure change of a filter fluid and a suction disconnection by creating a prescribed gap therebetween; and the filtering material filled in the filter casing around the outer filter pipe to form a filer layer.

Description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 생산용 취수시스템{Moving pretreatment filtering intake device and intake system for water production using of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pretreatment filtration intake system and a water intak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 생산용 취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큰 이물질이나 부유물질의 전처리 제거가 가능하여 후속 여과 부하의 경감과 여과 효율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고, 필요시 바로 생활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 생산용 취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intake apparatus and a water intake system for water production using the sam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remove a pretreatment of a large foreign matter or suspended matter, thereby reducing the subsequent filtration load and maximiz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intake system and a water intake system for water production using the same.

홍수 혹은 갈수기 등 비상시 대체급수를 위한 이동식 물생산장치의 국내외 기존 기술개발 현황은 국외의 경우 개인이 직접 휴대가 가능하거나, 컨테이너 형이나 이동식 차량 등을 이용해 다양한 형태의 이동식 여과장치 개발이 활성화되어 있다. 미국의 General Electric GE Mobile Water Solutions, 베올리아의 이동식 정수차량, Gloval Water Group의 휴대용 및 군사시설용 정수장비, 중국 BIC의 컨테이너형 정수처리시설, 스위스의 TRUNZ Water Systems, 일본 EX_Cuorier Water의 이동식 정수차량 등이 알려져 있다.The development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mobile water production equipment for emergency water supply such as flood or dry season has been activated by various types of mobile filtration devices using a container type or a mobile type, . Portable and military water purification plant equipment of General Electric GE Mobile Water Solutions, Veolia, Gloval Water Group, Container-type water treatment facility of China BIC, TRUNZ Water Systems of Switzerland, Mobile water purification vehicle of EX_Cuorier Water of Japan etc. Is known.

국내의 경우 SYNOPEX의 이동형 정수처리 시스템 SMDT, 대현하이테크의 이동형 정수시스템 등이 있으나 SYNOPEX의 경우 국내 실적이 미비하여 사용가능이 입증되지 않으며 멤브레인 여과기를 사용기 유입수가 1NTU 내외 이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현하이테크의 경우에는 현재 정상적인 사업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국내업체의 경우 사업을 폐지하거나 실적이 없어 이동식 여과장치가 비 활성화 되어 있다.In Korea, there are SYNOPEX mobile water treatment system SMDT and DaeHyun Hi-Tech mobile water purification system. However, SYNOPEX is not proven to be available due to lack of domestic performance and has a disadvantage that the influent water needs to be around 1NTU for the use of membrane filter. In the case of Daehyun Hi-Tech, it is not a normal business at present. In the case of domestic companies, the mobile filtering device is inactivated due to the abolishment of business or lack of earnings.

기존의 이동식 물생산장치는 비상시의 대체급수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자체 발전기(디젤)를 갖추고 있으며, 물생산량은 최대 20㎥/hr 정도이며, 이는 생산 규모에 맞춰 장비의 조합으로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The existing mobile water production system is equipped with its own generator (diesel) for the purpose of the alternative water supply in case of emergency, and the water production amount is about 20㎥ / hr, which is possible by combination of equipment according to production scale.

국내 이동식 물생산장치의 수처리 공정을 살펴보면, 원수(지하수) → 1차 처리 전처리 필터(다층 여과기) → 맴브레인(RO) → UV(살균처리) → 처리수(음용수)로 이루어진다. 이는 일반적인 음용수 생산 공정으로 맴브레인 여과기(RO SYSTERM)의 경우 유입수가 1NTU 내외의 깨끗한 물이 아니면 막의 폐색으로 사용이 어려워 일반적인 정수장에서는 응집, 침전, 모래여과 등의 약품처리와 광범위한 전 처리 과정이 필요하고. 기존의 업체에서도 지하수를 원수로 이용하는 한계가 있고, 재난 시 사용할 물 생산장치는 원수의 수질상태가 일정하지 않으며, 오염도가 높다고 본다면 기존 설비들의 경우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The water treatment process of domestic mobile water production equipment consists of raw water (ground water) → primary treatment pretreatment filter (multilayer filter) → membrane (RO) → UV (sterilization treatment) → treated water (drinking water). This is a general drinking water production process. In the case of membrane filter (RO SYSTERM), it is difficult to use it as a clogging membrane unless the influent water is about 1NTU clean water. Therefore, in general water treatment plants, it is necessary to treat chemicals such as flocculation, sedimentation, . In existing companies, there is a limit to use ground water as raw water. In case of disaster, the water quality of raw water is not constant, and it is difficult to utilize existing facilities if the pollution degree is high.

따라서 이동식 물생산장치는 장거리 공급이 가능하여 물부족 문제 해결이 가능하고, 다양한 급수원(하천, 저수지, 댐, 지하수 등)의 확보가 가능하고, 전처리가 가능한 취수설비로 유지관리비용의 최소화가 필요하고, 생활용수 및 음용수를 위한 여과설비로 평상시 다용도(하천정화, 녹조제거,도로 청소, 조경수 등)로 사용이 가능해야 하며, 친환경 에너지(발전)설비에 의해 비상시 물생산이 가능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Therefore, the portable water production system can solve the water shortage problem by enabling long distance supply,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various water supply sources (rivers, reservoirs, dams, ground water, etc.)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use it as a multi-use facility (river purification, algae removal, road cleaning, landscaping, etc.) with filtration equipment for domestic water and drinking water, and to be able to produce water in emergency by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445428호(이동식 중수 및 정수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차량에 탑재된 이동식 중수 및 정수시스템으로서, 오수, 빗물, 강물,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한 취수부; 상기 취수된 물의 고형물을 제거하고 약품을 투여하는 전처리장치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기가 장착된 중수처리장치와, 자외선 램프가 장착된 제1살균장치를 포함하는 중수부; 상기 중수부에서 처리된 물을 물리적, 생물학적으로 정화하는 고도순수처리장치와, 화학적으로 정화하는 후처리장치(220)와, 자외선 램프가 장착된 제2살균장치를 포함하는 음용수부; 상기 중수부 및 음용수부에서 처리된 중수 및 음용수를 분리 급수하는 급수부;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강물이나 빗물 등을 취수하여 고도순수 정화처리된 음용수 외에 화장실이나 욕실 수세용 또는 빨래 등을 위한 허드렛물과 같은 중수(中水)를 제조하여 음용수와 별도로 급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Registration Registration No. 20-0445428 (portable water supply 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has been proposed. This is a portable heavy water 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in a vehicle, and includes a water intake part for taking in sewage, rainwater, river and ground water; A pre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the solid matter of the collected water and administering the medicament, a water treatment device equipped with at least one filter, and a first sterilizing device equipped with an ultraviolet lamp; A drinking water section including a highly purified water treatment device for physically and biologically purifying the water treated in the water treatment section, a post treatment device for chemically cleaning the water treatment device, and a second sterilizing device equipped with an ultraviolet lamp; And a water supply part for separating and supplying the heavy water and the drinking water treated in the middle water part and the drinking water part. Therefore, this system is designed to produce water such as toilet water or bathroom water, or odd water such as odd water for laundry, in addition to drinking water which is highly pure water treated by taking river or rainwater.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에서 전처리장치는 망사 형태의 필터를 적용한 것으로, 필터의 오염이나 폐색에 대한 해결 방안이 없어 교체 주기가 빠르고 이로 인해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background art, the preprocessing apparatus is applied with a mesh-type filter, and there is no solution for the contamination or clogging of the filter, so that the replacement cycle is fast and the maintenance cost can not be reduced.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다른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90031호(이동식 정수 처리 장치의 멤브레인 및 시스템 보호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정수 공급이 불가능 한 재해 장소 또는 정수 시설이 미비한 공사현장 등에 설치되어 지하수, 하천수 등을 취수하여 전처리 필터, 마이크로필터, 멤브레인 시스템, 후처리 시스템, 파이널 필터, 미네랄시스템 등을 통해 정수하여 먹는 물을 생산하는 수 있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후자의 배경 기술은 다층 여과로 되는 전처리 필터가 효율성이 양호하지 못해 여과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90031 (Membrane and System Protection Device of Portable Water Treatment System) has been proposed as another technology to be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talled at disaster places where water supply is not possible or construction sites where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are insufficient, and it takes water from underground water and river water to be purified water through a pretreatment filter, a microfilter, a membrane system, a post treatment system, a final filter, Is a system that can produce. However, the latter background technology ha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the pretreatment filter as multi-layer filtration is not good and the filtration performance is deteriorated.

한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445428호(이동식 중수 및 정수 시스템)Korean Registered Utility Registration No. 20-0445428 (Portable Heavy Water 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90031호(이동식 정수 처리 장치의 멤브레인 및 시스템 보호장치)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90031 (Membrane and System Protection Device of Portable 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큰 이물질이나 부유물질의 전처리 제거가 가능하여 후속 여과 부하의 경감과 여과 효율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고, 필요시 바로 생활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 생산용 취수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pre-filtration water intake apparatus capable of removing a pre-treatment of a large foreign matter or suspended matter, thereby maximizing a filtration efficiency and a downstream filtration load, The system has a purpose to provide.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는,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re-

원수에 투입하여 놓고 사용되는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에 있어서,A mobil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intake apparatus used by being put in raw water,

박스 형태로서 표면에 여과재보다 작은 직경으로 타공되어 있는 유입공이 분포되어 있고, 일측벽 중앙에 인너흡입관 접속공이 형성되어 있는 여과케이싱과;A filter casing in the form of a box having an inlet hole punctured at a surface thereof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lter medium and having an inner suction pipe connecting hole formed at a center of one side wall;

외주면에 다수의 분포된 유공을 가지고 상기 여과케이싱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상기 인너흡입관 접속공측에 접속되어 있는 인너흡입관과;An inner suction pipe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casing and having one end close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ner suction pipe connection hole side;

상기 유공보다 작고 여과재의 입경보다 큰 직경의 여과공이 타공되어 상기 인너흡입관의 외경부에 동심축으로 설치되어 있는 아웃터 여과관과;An outer filtration tub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lter an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lter medium, the filtration pipe being installed concentrically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suction pipe;

상기 인너흡입관과 아웃터 여과관의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상호 일정한 유격 발생으로 여과 유체의 급격한 압력 변동과 흡입 단락을 방지하는 단락방지용 스페이서; 및A short-circuiting spacer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ction pipe and the outer filter pip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sudden pressure fluctuation and suction short-circuiting of the filtration fluid due to mutual clearances; And

상기 아웃터 여과관의 둘레로 여과케이싱의 내부에 채워져 여과층을 형성하는 여과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ilter medium fill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filtration tube to form a filtration layer.

또한, 상기 상기 인너흡입관과 아웃터 여과관을 일체로 여과케이싱의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해 단락방지용 스페이서의 위치를 선택하여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관지지용 서포터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ers for stopper are fixedly instal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selecting a position of the short-circuit preventive spacer so that the inner suction pipe and the outer filter pipe are integrally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iltration casing.

또한, 상기 인너흡입관은 부식의 염려가 적은 HDPE(High Density Poly Ethylene)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suction pipe is made of HDPE (High Density Poly Ethylene) which is less susceptible to corrosion.

또한, 상기 인너흡입관의 내경 단면적 대비 유공 총면적의 비율이 400%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atio of the total area of the perforations to the inner diamet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suction pipe is 400% or more.

또한, 상기 유공은 각 간격의 개소마다 원주 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les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or each interval.

또한, 상기 유공은 각 간격의 개소마다 원주 방향으로 36도 또는 45도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고, 동시에 하나의 상부 유공과 상부 유공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나머지의 측면 유공으로 나뉘어져 배열되되, 상부 유공은 측면 유공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holes are formed at intervals of 36 degrees or 45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or each of the intervals, and are arranged to be divided into one upper hole and the other side hol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upper hole, And has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ho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를 이용한 물 생산용 취수시스템은, In the meantime, the water intake system for water production using the mobile pre-filtration water int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부에 플랜지 도입관이 설치되어 있는 월류용 격벽, 월류용 격벽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역세척 폐수실 및 전처리실, 전처리실의 하부에 연통되어 접속되어 있는 취출용 흡입관을 갖는 수처리 외함과;A backwashing wastewater chamber and a pretreatment chamber divided by a wall-partitioning bulkhead, a water treatment enclosure having a suction pip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treatment chamber an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treatment chamber;

상기 전처리실 내에 배치되어져 상기 취출용 흡입관에 접속되어진 청구항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와;A movabl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take-out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rranged in the pretreatment chamber and connected to the take-out suction pipe;

상기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의 상부에 배치되어 전처리실에 고정 설치된 판상형의 스트레이너와;A strainer having a plate-like shape and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bil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intake device and fixed to a pretreatment chamber;

상기 플랜지 도입관에 원수유입량 조절밸브가 연결되고, 취수량 조절밸브가 인너흡입관의 흡입구측에 연결되고, 취수량 조절밸브와 인너흡입관의 흡입구측 사이에 설치된 유량센서의 유량 측정값으로 취수량 조절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정기가 구비되고, 인너흡입관과 유량센서를 연결하는 관로에는 역세척 펌프에 연결된 역세척수 조절밸브와 공압원에 연결된 공기 조절밸브가 연결되고, 취수량 조절밸브의 출구측에는 취수펌프가 설치되고, 역세척 폐수실에는 역세척 폐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역세척 폐수 조절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low rate senso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flow rate sensor provided between the intake port of the intake amount adjusting valve and the inlet of the inner suction pipe, A backwash water control valve connected to the backwash pump and an air control valve connected to a pneumatic source are connected to the pipe connecting the inner suction pipe and the flow rate sensor and a water intake pump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water intake amount control valve And the backwashing wastewater chamber is provided with a backwashing wastewater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backwashing wastewater.

본 발명의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 생산용 취수시스템에 따르면, 이동식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 및 운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저수지나 댐 또는 하천 등의 원수에 투입하여 놓고 인너흡입관과 아웃터 여과관의 이중 관 구조에 의해 단락없는 지속적인 여과력을 발휘하여 큰 이물질이나 부유물질을 전처리로 신속히 제거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mobil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intak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ater intake system for water production using the same, not only moving and transporting can be carried out on a movable vehicle, but also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a reservoir, a dam or a river, Thanks to the double pip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quickly remove large foreign matter or suspended matter by pretreatment by showing continuous filtering power without short circuit.

또한, 인너흡입관측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여과재를 쉽게 역세척 할 수 있어 여과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역세척시 스트레이너에 의해 여과재의 손실 및 유출을 억제할 수 있고 안정된 역세척 공정을 갖을 수 있다. 또한 역세척 폐수실로 원수의 유입을 도입시킨 후 월류용 격벽을 통해 월류시켜 여과실로 원수를 투입시키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저소음 운영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backwash the filter material by supplying the backwash water to the inner suction pipe side,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filtration performance, and can prevent the loss and leakage of the filter material by the strainer during backwashing, Lt; / RTI > In addition, since the raw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backwashing wastewater chamber, and the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filtration chamber through the overflow barrier, the low noise operation is possible.

이로 인해 전처리 여과 설비로의 활용이 가능하고 필요시 바로 각종 생활용수나 소방용수 또는 조경용수 등의 취수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As a result, it can be used as a pretreatment filtration facility and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for taking in various kinds of living water, fire-fighting water, or landscaping water immediately when necessary.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너흡입관측 유공의 다양한 배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를 이용한 물 생산용 취수시스템의 구성도.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물 생산용 전처리 여과취수설비의 전처리 여과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물 생산용 전처리 여과취수설비의 역세척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너흡입관의 유공율 변화에 따른 평균 취수유량을 도시한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너흡입관의 길이 변화에 따른 평균 취수유량을 도시한 그래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intak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1;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intak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various arrangements of the inner suction port ho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use state diagram of a mobil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intak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view of a water intake system for water production using a mobile pretreatment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9A is a view showing a pretreatment filtration process of a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take-in facility for water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B is a view illustrating a back washing process of th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intake system for water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intake flow rate according to a change in porosity of an inner suction pip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intake flow rate according to a change in length of an inner suction pip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10)는 여과케이싱(12)을 구비한다. 여과케이싱(12)은 전둘레 또는 일정 부분의 표면에 후술할 여과재(18)보다 작은 직경으로 타공되어 있는 유입공(121)이 분포되어 있고, 일측벽 중앙에 인너흡입관 접속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여과케이싱(12)은 예로 도 1의 직육면 박스 형태나 도 4의 원통형 박스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유입공(121)은 여과케이싱(12) 길이 방향의 둘레에만 형성하였으나 원활한 흡입 유입량을 고려하여 전,후면에 선택적 또는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1 to 3, the mobil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intake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ration casing 12. As shown in FIG. The filter casing 12 is provided with an inlet hole 121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at of the filter member 18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front surface or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filter casing 12. An inner suction pipe connecting hole 122 is formed in the center of one side wall . The filtration casing 12 can be configured, for example, as a rectangular box of FIG. 1 or as a cylindrical box of FIG. Although the inlet holes 121 are formed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ration casing 12, the inlet holes 121 may be selectively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ltration casing 12 or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ltration casing 12.

여과케이싱(12)의 내부에는 인너흡입관 접속공(122)과 접속된 인너흡입관(14)이 설치되어 있다. 인너흡입관(14)은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은 인너흡입관 접속공(122)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인너흡입관(14)은 외주면에 다수의 분포된 유공(142)을 가지고 있다. 이때 인너흡입관(14)의 타단은 접합용 플랜지를 구비하여 인너흡입관 접속공(122)측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5(가)에서와 같이 유공(142)은 각 간격의 개소마다 원주 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도 5(나),(다)와 같이 유공(142)은 각 간격의 개소마다 원주 방향으로 36도 또는 45도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공(142)은 하나의 상부 유공(142a)과 상부 유공(142a)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나머지의 측면 유공(142b)으로 나뉘어져 배열될 수 있으며, 상부 유공(142a)은 측면 유공(142b)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을 수 있다.An inner suction pipe (14) connected to the inner suction pipe connecting hole (122) is provided in the filtration casing (12). One end of the inner suction pipe 14 is close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ner suction pipe connection hole 122 side. Further, the inner suction pipe 14 has a plurality of distributed perforations 142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inner suction pipe 14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suction pipe connection hole 122 side with a flange for bonding. As shown in FIG. 5 (A), the perforations 142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intervals of each interval. 5 (B) and 6 (C), the holes 142 may be formed at intervals of 36 degrees or 45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intervals of each interval. At this time, the perforations 142 may be divided into one upper perforation 142a and the remaining side perforations 142b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upper perforations 142a, and the upper perforations 142a may be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side perforations 142b It can have a relatively large diameter.

본 실시 예에서 조위와 유공율의 변화에 따른 인너흡입관(14)의 평균유량을 측정해 본 결과 도 10과 같이 400% 이상으로 하였을 경우 가장 큰 값으로 나타났다. 이때 인너흡입관(14)의 직경 50mm, 여과사를 0.3m로 포설하여 실험하였다. 여기서, '유공율'은 인너흡입관(14)의 내경 단면적 대비 유공 총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또한 '조위'란 여과케이싱(12)이 투입된 저수지나 댐 또는 하천 지점의 수위를 의미한다. 부가적으로, 인너흡입관(14)의 길이에 따른 평균유량을 측정해 본 결과, 도 11과 같이 관 길이가 0.5m로 짧은 경우에는 유공율에 따른 유량차가 큰 변화를 보이는 것을 볼 수 있고 관길이가 2.0m인 경우에는 유공율의 변화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너흡입관(14)의 길이는 적어도 2.0m 이상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원수란 하천수나 지하수 또는 저수지 및 댐에 저장되어 있는 수자원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average flow rate of the inner suction pipe 14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de and the porosity,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inner suction pipe 14 was 50 mm in diameter and the filter was 0.3 m in length. Here, the 'porosity ratio' means a ratio of the total area of the perforations to the inner diamet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suction pipe 14. The term "tidal" refers to the level of a reservoir, a dam, or a river point into which the filtration casing 12 is introduced. In addition, when the average flow rate along the length of the inner suction pipe 14 was measured,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pipe length is as short as 0.5 m as shown in FIG. 11, the flow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orosity rate shows a large change. Is 2.0 m, it is not influenced by the variation of porosity. Therefore, the length of the inner suction pipe 14 is preferably at least 2.0 m or more. Here, raw water means water resources stored in river water, ground water or reservoirs and dams.

한편, 인너흡입관(14)은 부식의 염려가 적은 HDPE(High Density Poly Ethylene)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suction pipe 14 is made of HDPE (High Density Poly Ethylene) which is less susceptible to corrosion.

인너흡입관(14)의 외경부에는 동심축으로 아웃터 여과관(16)이 설치되어 있다. 아웃터 여과관(16)은 유공(142)보다 작고 여과재(18)의 입경보다 큰 직경의 여과공(161)이 타공되어 있다.An outer filtration tube (16) is provided concentrically on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inner suction pipe (14). The outer filtration tube 16 is formed with a filtration hole 161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lter medium 18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lter medium 18.

인너흡입관(14)과 아웃터 여과관(16)의 사이에는 단락방지용 스페이서(1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단락방지용 스페이서(17)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인너흡입관(14)과 아웃터 여과관(16)의 사이에 상호 일정한 유격을 발생시켜 여과 유체의 급격한 압력 변동과 흡입 단락을 방지한다. 단락방지용 스페이서(17)는 본 실시 예에서 원형의 링형으로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short-circuit prevention spacer 17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ction pipe 14 and the outer filtration pipe 16. The short-circuit preventive spacers 17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generate a constant clearance between the inner suction pipe 14 and the outer filtration pipe 16, thereby preventing abrupt pressure fluctuation and suction short-circuiting of the filtration fluid. The short-circuit prevention spacer 17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아웃터 여과관(16)의 둘레로 여과케이싱(12)의 내부에는 여과층을 형성하는 여과재(18)가 채워져 있다. 여과재(18)는 물리적 여과층을 이루는 것으로 예로, 대량의 부유물질을 여과층내에서 장기간 억류할 수 있고 손실수두를 작게 할 수 있는 0.2mm의 규사가 될 수 있다.Around the outer filtration tube (16), a filter medium (18) for forming a filtration layer is filled in the filtration casing (12). The filter material 18 constitutes a physical filtration layer. For example, it can be a 0.2 mm silica sand which can retain a large amount of suspended solids in the filtration layer for a long time and reduce the loss head.

여과케이싱(12)에는 아웃터 여과관(16)의 처짐을 방지하고 견고한 설치를 위해 다수의 관지지용 서포터(15)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관지지용 서포터(15)는 단락방지용 스페이서(17)의 위치를 선택하여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upporters (15)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filtration casing (12) to prevent the outer filtration tube (16) from sagging and to secure the installation. A plurality of supporters (15) can be instal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selecting the position of the short-circuit preventing spacer (17).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10)는 도 6과 같이 이동식 차량(1)(예로, 트레일러)에 탑재된 여과설비(2)에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인너흡입관(14)의 흡입구를 호스(3)를 통해 여과설비(2)에 연결하여 사용된다. 이때 여과케이싱(12)은 예로, 저수지에 투입되어져 물속에 잠겨진다.The mobil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intake apparatus 1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filtration facility 2 mounted on the movable vehicle 1 (for example, a trailer) as shown in FIG. That is, the suction port of the inner suction pipe 14 is connected to the filtration facility 2 through the hose 3 and used. At this time, the filtration casing 12 is put into a reservoir and immersed in water, for example.

이렇게 되면, 여과설비(2)측 흡입펌프()에서 발생된 흡입력으로 인너흡입관(14)에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유입되는 저수지 물은 여과케이싱(12)의 유입공(121)을 통해 유입된 후 여과재(18)층을 통과한 후 아웃터 여과관(16)의 여과공(161), 인너흡입관(14)의 유공(142)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저수지 물은 여과재(18)층의 미세 공극을 거치면서 흡입되는 저수지 물에 포함된 수초, 부유물질과 같은 이물질이나 고농도의 슬러지 등을 우선적으로 여과 전처리하게 된다.A suct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inner suction pipe 14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pump () on the filtration facility (2), so that the incoming reservoir water flows through the inflow hole (121) of the filtration casing And passes through the filtration hole 161 of the outer filtration pipe 16 and the hole 142 of the inner suction pipe 14 sequentially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dium 18 layer. In this process, the water in the reservoir is pre-filtered through the micro-pores of the filter medium 18, and the filtrate is pretreated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sludge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suspended solids and suspended solids contained in the reservoir water.

이때 인너흡입관(14)과 아웃터 여과관(16)의 사이에 설치된 단락방지용 스페이서(17)에 의해 발생된 일정한 유격의 공간으로 인해 여과 유체의 급격한 압력 변동과 흡입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due to the constant clearance space generated by the short-circuit prevention spacer 17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ction pipe 14 and the outer filtration pipe 16, abrupt pressure fluctuation and suction short-circuit of the filtration fluid can be prevented.

이같이 저수지 물로부터 생활용수나 음용수를 생산하기에 우선적으로 물리적 여과전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후속으로 1차 이상 처리되는 이동식 트레일러(1)의 여과설비(2)에서 가동되는 여과설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물론 여과 전처리된 취수를 생활용수나 소방용수 또는 조경용수로 바로 활용할 수도 있다.By preliminarily performing the physical filtration pretreatment in order to produce the living water or the drinking water from the reservoir water, the load of the filtration facility which is operated in the filtration facility 2 of the mobile trailer 1 which is subjected to the first or more subsequent treatment can be reduced. As a matter of course, filtration pretreatment water can be directly used as living water, fire-fighting water or landscape water.

한편, 본 발명은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10)를 이용하여 도 7 및 도 8과 같이 물 생산용 취수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constitute a water intake system for water production as shown in Figs. 7 and 8 by using the mobil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intake apparatus 10.

즉, 도 7 및 8과 같이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10)를 수처리 외함(13)의 내부에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mobil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intake apparatus 10 is installed inside the water treatment enclosure 13. Fig.

수처리 외함(13)은 상부에 플랜지 도입관(131)이 설치되어 있는 월류용 격벽(132), 월류용 격벽(132)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역세척 폐수실(133) 및 전처리실(134), 전처리실(134)의 하부에 연통되어 접속되어 있는 취출용 흡입관(135)을 갖는다. 역세척 폐수실(133)은 상대적으로 전처리실(134)보다 작은 용적으로 구성된다.The water treatment enclosure 13 is provided with a wall partitioning wall 132 having a flange introduction pipe 131 at its upper portion, a backwashing wastewater chamber 133 divided by the wall partitioning wall 132, a preprocessing chamber 134, And a take-out suction pipe 135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processing chamber 134 and connected thereto. The backwashing wastewater chamber 133 is relatively smaller in volume than the pretreatment chamber 134.

따라서 플랜지 도입관(131)을 통해 도입된 원수는 도 9a와 같이 역세척 폐수실(133)에 유입된 후 월류용 격벽(132)을 월류하여 전처리실(134)로 공급된다.Therefore, the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lange introduction pipe 131 flows into the backwashing wastewater chamber 133 as shown in FIG. 9A, and then flows over the wall partitioning wall 132 to be supplied to the pretreatment chamber 134.

이때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10)는 전처리실(134) 내에 배치되어져 취출용 흡입관(135)에 접속되어져 설치된다. 따라서 전처리실(134)은 적어도 인너흡입관(14)의 길이를 수용할 충분한 용적을 갖는다.At this time, the mobil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intake apparatus 10 is disposed in the pretreatment chamber 134 and connected to the extraction suction pipe 135. Therefore, the pretreatment chamber 134 has a volume sufficient to accommodate at least the length of the inner suction pipe 14. [

또한,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10)의 상부에는 전처리실(134)에 고정 설치된 판상형의 스트레이너(20)가 배치된다. 스트레이너(20)는 판상형이나 박스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스트레이너(20)는 역세척시 여과재의 안정을 취하고 부상된 세척 이물질을 역세척 폐수실(133)로 안내유입시키는 세척수 유입홈(201)과 세척수 유입홈(201)의 측면에 형성 분포된 유출입공(202)을 갖는다.In addition, a plate-like strainer 20, which is fixed to the pretreatment chamber 134, is disposed above the mobil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intake apparatus 10. The strainer 20 can be configured in a plate-like shape or a box shape. The strainer 20 has a washing water inflow groove 201 for taking stability of the filter medium during backwash and for guiding the floated washing foreign matter to the backwashing wastewater chamber 133 and a water inflow hole 201 formed on the side of the washing water inflow groove 201, (202).

여기서, '역세척'이란 여과재(18)층에 존재하는 이물질이나 오염물질(여과 공극을 폐색시키는 원인이 되는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후술할 인너흡입관(14)으로 공기 또는 세척수를 출구측에서 강제 주입하여 그 이물질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처리 조작을 의미한다.Here, 'backwashing' means that air or washing water is forced from the outlet side to the inner suction pipe 14 (to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remove foreign matters or pollutants (substances causing blocking the filtration pores) Means a treatment operation in which foreign substances or contaminants are removed by injection.

한편, 플랜지 도입관(128)에는 원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원수유입량 조절밸브(51)가 연결되고, 취수량 조절밸브(52)가 인너흡입관(14)의 흡입구측에 취출용 흡입관(135)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취수량 조절밸브(52)와 인너흡입관(14)의 흡입구측 사이에 설치된 유량센서(53)의 유량 측정값으로 취수량 조절밸브(5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정기(54)가 설치된다. A raw water inflow amount control valve 51 for controlling the inflow amount of the raw water is connected to the flange introduction pipe 128 and a withdrawing suction pipe 135 is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side of the inner suction pipe 14 Lt; / RTI > And a flow rate regulator 54 for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amount of the intake amount regulating valve 52 is installed on the basis of the flow rate measurement value of the flow rate sensor 53 provided between the intake amount regulating valve 52 and the inlet side of the inner suction pipe 14. [

또한 인너흡입관(14)과 유량센서(53)를 연결하는 관로에는 역세척 펌프(57)에 연결된 역세척수 조절밸브(55)와 공압원(58)에 연결된 공기 조절밸브(56)가 연결되고, 취수량 조절밸브(52)의 출구측에는 취수펌프(59)가 설치되고, 역세척 폐수실(133)에는 역세척시 역세척 폐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역세척 폐수 조절밸브(60)가 설치된다.A backwash water control valve 55 connected to the backwash pump 57 and an air control valve 56 connected to the pneumatic source 58 are connected to the pipe connecting the inner suction pipe 14 and the flow rate sensor 53, A backwashing wastewater control valve 60 is provided in the backwashing wastewater chamber 133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backwashing wastewater discharged during backwashing.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10)를 이용한 물 생산용 취수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본다.The operation of the water intake system for water production using the mobil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intake apparatus 1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도 7 및 도 9a와 같이 원수유입량 조절밸브(51)를 통해 유입된 원수는 수처리 외함(13)내 역세척 폐수실(133)로 유입된 후, 월류용 격벽(132)을 넘어 전처리실(134)의 최상부로 공급된다. 이때 원수유입량 조절밸브(51)의 유입구는 원수를 흡입하여 공급하는 도시안된 공급펌프에 호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7 and 9A, the raw water flowing through the raw water inflow amount control valve 51 flows into the backwashing wastewater chamber 133 in the water treatment enclosure 13, (134). At this time, the inlet of the raw water inflow amount control valve 51 may be connected to the unshown supply pump through the hose by sucking raw water.

이같이 역세척 폐수실(133)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입방향은 직접적으로 전처리실(134)을 회피하게 될 뿐만 아니라 역세척 폐수실(133)에 이미 채워진 유량내로 유입되므로 소음 발생되 없고, 여과재(18)층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The inflow direction of the raw water introduced into the backwashing wastewater chamber 133 not only avoids the preheating chamber 134 but also flows into the flow volume already filled in the backwashing wastewater chamber 133, ) Layer can be stabilized.

이후 자중에 의해 스트레이너(20)를 통과하여 여과재(18)층과 인너흡입관(14)의 내부를 모두 채운 후 일정 높이의 수위에 도달된다.And then passes through the strainer 20 by its own weight to reach the water level of a certain height after filling the inside of the inner suction pipe 14 with the layer of the filter material 18.

이 상태에서 취수량 조절밸브(52)가 열리고 취수펌프(59)가 구동하게 되면, 인너흡입관(14)에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유입되는 원수는 여과재(18)층, 아웃터 여과관(16)의 여과공(161), 인너흡입관(14)의 유공(142)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원수는 여과재(18)층의 미세 공극을 거치면서 원수내에 포함된 수초, 부유물질과 같은 이물질이나 고농도의 슬러지 등을 우선적으로 여과 전처리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water intake amount regulating valve 52 is opened and the water intake pump 59 is driven,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inner suction pipe 14, whereby the incoming water flows through the filter medium 18, the outer filtration pipe 16, And the through hole 142 of the inner suction pipe 14 in this order. In this process, the raw water is subjected to preliminary filtration treatment through the micro-pores of the filter material layer 18, such as aquatic plants contained in the raw water, foreign substances such as suspended substances, and sludge having a high concentration.

이때 인너흡입관(14)과 아웃터 여과관(16)의 사이에 설치된 단락방지용 스페이서(17)에 의해 발생된 일정한 유격의 공간으로 인해 여과 유체의 급격한 압력 변동과 흡입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due to the constant clearance space generated by the short-circuit prevention spacer 17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ction pipe 14 and the outer filtration pipe 16, abrupt pressure fluctuation and suction short-circuit of the filtration fluid can be prevented.

이같이 원수로부터 생활용수나 음용수를 생산하기에 우선적으로 물리적 여과전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후속으로 1차 이상 처리되는 여과설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물론 여과 전처리된 취수를 생활용수로 바로 활용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physical filtration pretreatment is preferentially performed in order to produce the living water or the drinking water from the raw water,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the filtration equipment which is subsequently subjected to the first-order over treatment. Of course, filtration pretreatment can be used directly as drinking water.

한편, 여과재(18)층의 폐색이나 여과 효율이 떨어지면 도 9b와 같이 역세척 공정을 갖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material 18 is lowered, the backwashing process can be performed as shown in FIG. 9B.

이는 원수의 유입이 중단되고 취수량 조절밸브(52)가 닫힌 상태에서 역세척 펌프(57)의 역세척수 공급 또는 공압원(58)측 역세척 공기의 주입을 단독 또는 순차적 교대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역세척 폐수조절밸브(60)는 일정량 관로를 개방시킨다.This can be done by alternately supplying the backwash water of the backwash pump 57 or the inflow of the backwash air to the pneumatic source 58 in a state where the inflow of raw water is stopped and the water intake control valve 52 is closed. At this time, the backwashing wastewater control valve 60 opens the predetermined amount of pipeline.

예로, 역세척 펌프(57)를 작동시키면 역세척수가 인너흡입관(14)의 유공(142), 아웃터 여과관(16)의 여과공(161), 여과재(18)층의 순으로 경로를 거친 후 스트레이너(20)를 통해 역세척 폐수실(133)로 수거된 후 역세척폐수 조절밸브(60)를 통해 배출된다.For example, when the backwash pump 57 is operated, the backwash water passes through the air hole 142 of the inner suction pipe 14, the filtration hole 161 of the outer filtration pipe 16, and the layer of the filter material 18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strainer 20 to the backwashing wastewater chamber 133 and then through the backwash wastewater control valve 60.

이때 스트레이너(20)는 유출입공(202)을 통해 역세척 폐수를 배출시킨 후 세척수 유입홈(201)을 통해 역세척 폐수실(133)로 유도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스트레이너(20)는 여과재(18)가 과도히 부상하는 것을 억제하고 유출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여과층을 도모한다. 또한 여과재(18)층을 역류하는 역세척수는 여과재(18)에 부착되어 있거나 여과공극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게 됨으로써 본래의 여과성능을 갖게 된다.At this time, the strainer 20 discharges backwashing wastewater through the inflow / outflow opening 202, and then introduces the backwashing wastewater into the backwashing wastewater chamber 133 through the washing water inflow groove 201. Also, in this process, the strainer 20 suppresses excessive floating of the filter material 18 and prevents leakage, thereby achieving a stable filtration layer. Further, the backwash water flowing backward through the filter material layer 18 is attached to the filter material 18 or removes foreign matter present in the filtration space 18, thereby having the original filtration performance.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2 : 여과케이싱
13: 수처리 외함
14: 인너흡입관
15: 관지지용 서포터
16: 아웃터 여과관
18: 여과재
19: 단락방지용 스페이서
20: 스트레이너
131: 플랜지 도입관
132: 월류용 격벽
133: 역세척 폐수실
142: 유공
142a: 상부 유공
142b: 측면 유공
12: Filtration casing
13: Water treatment enclosure
14: Inner suction pipe
15: Supporters for government
16: Outer filtration tube
18: Filter medium
19: Short spacer
20: Strainer
131: Flange introduction pipe
132: barrier wall
133: Backwashing wastewater chamber
142:
142a:
142b: side air hole

Claims (7)

원수에 투입하여 놓고 사용되는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10)에 있어서,
박스 형태로서 표면에 여과재보다 작은 직경으로 타공되어 있는 유입공(121)이 분포되어 있고, 일측벽 중앙에 인너흡입관 접속공(122)이 형성되어 있는 여과케이싱(12)과;
외주면에 다수의 분포된 유공(142)을 가지고 상기 여과케이싱(12)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상기 인너흡입관 접속공(122)측에 접속되어 있는 인너흡입관(14)과;
상기 유공(142)보다 작고 여과재(18)의 입경보다 큰 직경의 여과공(161)이 타공되어 상기 인너흡입관(14)의 외경부에 동심축으로 설치되어 있는 아웃터 여과관(16)과;
상기 인너흡입관(14)과 아웃터 여과관(16)의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상호 일정한 유격 발생으로 여과 유체의 급격한 압력 변동과 흡입 단락을 방지하는 단락방지용 스페이서(17); 및
상기 아웃터 여과관(16)의 둘레로 여과케이싱(12)의 내부에 채워져 여과층을 형성하는 여과재(1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
In a mobil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intake apparatus (10) which is used by putting it in raw water,
A filtration casing (12) having an inlet hole (121) punctured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a filter medium on a surface thereof and having an inner suction pipe connection hole (122) formed at the center of one side wall;
An inner suction pipe (14)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casing (12) and having one end close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ner suction pipe connection hole (122) side with a plurality of distributed pores (142)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n outer filtration pipe (16)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pore (142) and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lter medium (18) and being installed concentrically on an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inner suction pipe (14);
A short-circuit prevention spacer 17 installed between the inner suction pipe 14 and the outer filtration pipe 16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sudden pressure fluctuation and suction short-circuiting of the filtration fluid due to mutual clearances; And
And a filter medium (18) filling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casing (12) around the outer filtration pipe (16) to form a filtration lay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인너흡입관(14)과 아웃터 여과관(16)을 일체로 여과케이싱(12)의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해 단락방지용 스페이서(17)의 위치를 선택하여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관지지용 서포터(15)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sition of the short-circuit preventing spacer 17 is selected in order to locate the inner suction pipe 14 and the outer filter pipe 16 in the center of the filtration casing 12, and a plurality of supporters 15 for the pipes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rein the filter is fixedly install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흡입관(14)은 부식의 염려가 적은 HDPE(High Density Poly Ethylene)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suction pipe (14) is made of HDPE (High Density Poly Ethylene) material which is less susceptible to corros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흡입관(14)의 내경 단면적 대비 유공 총면적의 비율이 400%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tio of the total area of the perforations to the inner diamet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suction pipe (14) is 400% or mo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142)은 각 간격의 개소마다 원주 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forations (142)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intervals of each interv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142)은 각 간격의 개소마다 원주 방향으로 36도 또는 45도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고, 동시에 하나의 상부 유공(142a)과 상부 유공(142a)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나머지의 측면 유공(142b)으로 나뉘어져 배열되되, 상부 유공(142a)은 측면 유공(142b)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rforations 142 are formed at intervals of 36 degrees or 45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or each of the intervals, and at the same time, one upper hole 142a and the other side hole 142b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upper hole 142a , And the upper hole (142a)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side hole (142b).
상부에 플랜지 도입관(131)이 설치되어 있는 월류용 격벽(132), 월류용 격벽(132)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역세척 폐수실(133) 및 전처리실(134), 전처리실(134)의 하부에 연통되어 접속되어 있는 취출용 흡입관(135)을 갖는 수처리 외함(13)과;
상기 전처리실(134) 내에 배치되어져 상기 취출용 흡입관(135)에 접속되어진 청구항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10)와;
상기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전처리실(134)에 고정 설치된 판상형의 스트레이너(20)와;
상기 플랜지 도입관(128)에 원수유입량 조절밸브(51)가 연결되고, 취수량 조절밸브(52)가 인너흡입관(14)의 흡입구측에 연결되고, 취수량 조절밸브(52)와 인너흡입관(14)의 흡입구측 사이에 설치된 유량센서(53)의 유량 측정값으로 취수량 조절밸브(5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정기(54)가 구비되고, 인너흡입관(14)과 유량센서(53)를 연결하는 관로에는 역세척 펌프(57)에 연결된 역세척수 조절밸브(55)와 공압원(58)에 연결된 공기 조절밸브(56)가 연결되고, 취수량 조절밸브(52)의 출구측에는 취수펌프(59)가 설치되고, 역세척 폐수실(133)에는 역세척 폐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역세척 폐수 조절밸브(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처리 여과취수장치를 이용한 물 생산용 취수시스템.
The backwashing wastewater chamber 133 and the pre-treatment chamber 134 divided by the wall-partitioning partition wall 132, the pre-treatment chamber 134 and the pre-treatment chamber 134, which are partitioned by the wall- A water treatment enclosure (13) having a suction pipe (135) for blowout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and connected thereto;
A mobil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intake apparatus (1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rranged in the pretreatment chamber (134) and connected to the extraction suction pipe (135);
A strainer 20 of a plate typ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bile pretreatment filtration water intake apparatus 10 and fixed to a pretreatment chamber 134;
A water intake control valve 51 is connected to the flange introduction pipe 128 and a water intake control valve 52 is connected to a suction port side of the inner suction pipe 14 and a water intake control valve 52 and an inner suction pipe 14 are connected, A flow rate regulator 54 for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amount of the intake amount regulating valve 52 is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flow rate measurement value of the flow rate sensor 53 provided between the inlet side of the intake pipe 14 and the flow rate sensor 53, A backwash water control valve 55 connected to the backwash pump 57 and an air control valve 56 connected to the pneumatic source 58 are connected to the pipe for the water intake control valve 52. A water intake pump 59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water intake control valve 52, And a backwashing wastewater regulating valve (60)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backwashing wastewater discharged is installed in the backwashing wastewater chamber (133).
KR1020150013826A 2015-01-28 2015-01-28 Moving pretreatment filtering intake device and intake system for water production using of the same KR1016629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826A KR101662939B1 (en) 2015-01-28 2015-01-28 Moving pretreatment filtering intake device and intake system for water production using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826A KR101662939B1 (en) 2015-01-28 2015-01-28 Moving pretreatment filtering intake device and intake system for water production using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878A true KR20160092878A (en) 2016-08-05
KR101662939B1 KR101662939B1 (en) 2016-10-05

Family

ID=5671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826A KR101662939B1 (en) 2015-01-28 2015-01-28 Moving pretreatment filtering intake device and intake system for water production using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93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836B1 (en) * 2001-03-15 2002-10-05 주식회사 나노엔텍 Apparatus for filtering suspended solid in water
KR20060005330A (en) * 2005-12-31 2006-01-17 주식회사 동아지질 The installing method of an intake pipe with double strainer and its apparatus
KR200445428Y1 (en) 2007-07-06 2009-07-28 정주현 Movable purifier for production of graywater and clean water
KR101051049B1 (en) * 2011-05-20 2011-07-21 김창길 Early rainwater purification equipment
KR101190031B1 (en) 2011-11-18 2012-10-12 주식회사 시노펙스 Membrane and system protection device of portable water purification device
KR20130020190A (en) * 2011-08-19 2013-02-27 동부건설 주식회사 Seawater intake pipe assembl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836B1 (en) * 2001-03-15 2002-10-05 주식회사 나노엔텍 Apparatus for filtering suspended solid in water
KR20060005330A (en) * 2005-12-31 2006-01-17 주식회사 동아지질 The installing method of an intake pipe with double strainer and its apparatus
KR200445428Y1 (en) 2007-07-06 2009-07-28 정주현 Movable purifier for production of graywater and clean water
KR101051049B1 (en) * 2011-05-20 2011-07-21 김창길 Early rainwater purification equipment
KR20130020190A (en) * 2011-08-19 2013-02-27 동부건설 주식회사 Seawater intake pipe assembly
KR101190031B1 (en) 2011-11-18 2012-10-12 주식회사 시노펙스 Membrane and system protection device of portable water purif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939B1 (en)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ters Membrane technology for water treatment
KR101614687B1 (en) W-type screen device installed in rainwater purifying equipment
CN208087380U (en) EDI ultrapure water treating devices
CN104108830B (en) Recycled water advanced treatment and reclaiming system
KR101815246B1 (en) High efficiency composite wetland system
CN111453871A (en) Multiple water quality fresh water preparing equipment
KR100847909B1 (en) System for taking fresh water using centrifugal separation type pre-treatment filter apparatus
JP2006136753A (en) High pressure type fine sand filter and filtering method using it
CN108101266B (en) Integrated device for advanced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by coupling granular activated carbon with ceramic membrane and use method of integrated device
KR101662939B1 (en) Moving pretreatment filtering intake device and intake system for water production using of the same
KR101073536B1 (en) Package Water treatment system having multi supplied line
KR100760969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fall and method of treating the rainfall
JP4844825B2 (en) Sewage treatment plant at satellite treatment plant
KR101581241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overflow water of confluent water drainage
CN203807251U (en) Seawater pretreatment device
CN203976549U (en) For the purifier of direct-drinking water and domestic water supplying water in different qualities
CN203922873U (en) A kind of cross flow tube type micro-filtration solid-liquid separation system
CN203904035U (en) Water purifying device and pure water dispenser provided with same
CN207748963U (en) A kind of sewage purifier
CN111732213A (en) Seawater desalination platform
CN202555084U (en) Settling and filtering device for sea-water desalinating system
CN104743703A (en) Unpowered emergency water purifier applicable to earthquake stricken areas
CN109970261A (en) A kind of drinking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configuring ultraviolet sterilizer
KR101091089B1 (en) Self-powering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N212982601U (en) Multiple water quality fresh water prepar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