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630A - 투명한 부분을 구비한 밀폐체를 가지는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투명한 부분을 구비한 밀폐체를 가지는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630A
KR20160085630A KR1020150002865A KR20150002865A KR20160085630A KR 20160085630 A KR20160085630 A KR 20160085630A KR 1020150002865 A KR1020150002865 A KR 1020150002865A KR 20150002865 A KR20150002865 A KR 20150002865A KR 20160085630 A KR20160085630 A KR 20160085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old
liquid
mold
vacuum
close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현
박주열
Original Assignee
동남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남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남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2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5630A/ko
Publication of KR20160085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092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Abstract

본 발명은 이젝트 플레이트가 배치된 공간을 포위하여 밀폐시키는 밀폐체를 구비한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는, 가동금형의 배면측에 결합되어서 이젝트 플레이트와 이젝트핀의 일단부를 포위하는 밀폐체를 구비하는 다이캐스팅 금형장치에 있어서, 캐비티 측으로부터 밀폐체 내부의 밀폐공간으로 유입되어 고이는 이형제나 수분 등의 액체를 그 밀폐공간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그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를 구비하므로, 밀폐공간 내에 고인 액체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한 부분을 구비한 밀폐체를 가지는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High-vacuum die-casting die device having sealing body including transparent part}
본 발명은 이젝트 플레이트가 배치된 공간을 포위하여 밀폐시키는 밀폐체를 구비한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밀폐체 내에 고인 이형제나 수분 등의 액체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속제품의 대량생산을 위하여,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에 용탕을 충전시키고 굳어지게 하여 금속제품이 되게 하는 다이캐스팅 금형장치가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다이캐스팅 금형장치에 있어서, 캐비티 내로 용탕을 충전하는 과정에서, 캐비티 내에 존재하고 있던 가스(공기 혹은 이형제 등이 열분해되어 형성된 가스)나, 용탕과 함께 캐비티 내로 주입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용탕에 혼입되면, 금속제품에 소위 공동이나 핀 홀 등과 같은 미충전 결함이 발생됨으로써, 금속제품의 강도가 저하되고 또한 다른 제품과 용접되는 경우의 용접품질이 저하되기도 한다. 따라서, 캐비티 내에 존재하고 있던 가스 및 용탕과 함께 캐비티 내로 유입되는 가스가 용탕에 혼입되지 않게 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도 1 내지 3에는, 가스가 용탕에 혼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 다이캐스팅 금형장치(1A)는, 다이캐스팅 성형기(미도시)에 고정되는 고정금형(1)과, 이 고정금형(1)에 대해 밀착 및 이격되는 방향(A)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다이캐스팅 성형기에 배치되는 가동금형(2)을 구비한다. 고정금형(1)과 가동금형(2)이 밀착(형합)되면, 그 금형들(1,2) 사이에, 금속제품이 성형되는 공간인 캐비티(3)가 형성된다. 캐비티(3)는, 진공펌프(P1)에 의해 진공상태가 유지되는 진공탱크(T1)에 유로(R1)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유로(R1)에는 그 유로(R1)의 개폐를 위한 밸브(V1)가 설치된다. 참조번호 15는 캐비티(3)로 용탕(용융금속; M1)을 주입하기 위하여 고정금형(1)에 설치된 사출실린더이다.
가동금형(2)의 배면측에는 이젝트 플레이트(4)가 배치되어 있다. 이젝트 플레이트(4)는 유압기구(미도시)에 의해 왕복이동되는 로드(9)에 결합되어서, 그 로드(9)와 함께, 가동금형(2)에 대해 전진 혹은 후퇴 이동될 수 있다. 이젝트 플레이트(4)에는, 가동금형(2)의 관통공(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다수의 이젝트핀(5)들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이젝트 플레이트(4) 및 다수의 이젝트핀(5)들의 일단부(이젝트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단부)들은, 가동금형(2)의 배면에 결합된 밀폐체(7)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밀폐체(7)에 의해, 상기 이젝트 플레이트(4)와 이젝트핀(5)들의 일단부들이 배치된 공간이 밀폐됨으로써, 밀폐공간(8)이 형성된다. 밀폐공간(8)은, 진공펌프(P2)에 의해 진공상태가 유지되는 진공탱크(T2)에 유로(R2)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유로(R2)에는 그 유로(R2)의 개폐를 위한 밸브(V2)가 설치되어 있다. 밀폐체(7)와 가동금형(2) 사이, 밀폐체(7)와 로드(9) 사이 등과 같이, 밀폐체(7)와 그 밀폐체(7)에 접촉하는 부재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그 틈새를 막기 위해 고무 링 등과 같은 적절한 실링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가동금형(2)을 도 1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금형(1)에 밀착시키고, 사출실린더(15)에 의해 용탕(M1)을 캐비티(3) 내로 주입하여 충전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캐비티(3) 내의 용탕이 굳어지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3)에 대응되는 형상의 금속제품(M)이 된다. 그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금형(2)을 고정금형(1)으로부터 이격시키면, 금속제품(M)은 가동금형(2)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그 가동금형(2)과 함께 고정금형(1)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로드(9) 및 그 로드(9)에 결합된 이젝트 플레이트(4)를,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금형(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이젝트핀(5)들이 이젝트 플레이트(4)와 함께 전진하면서, 가동금형(2)에 부착되어 있는 금속제품(M)을 밀어내어 분리시키게 된다. 금속제품(M)이 분리되면, 각 금형(1,2)의 캐비티면(캐비티(3)를 형성하는 면)에 적절히 이형제를 분무한 후, 다시 가동금형(2)을 고정금형(1)에 밀착시키고 이젝트 플레이트(4)를 후퇴시켜서 상술한 금속제품 성형과정을 되풀이하게 된다.
한편, 용탕(M1)이 캐비티(3) 내로 주입되는 도중에, 캐비티(3) 내에 있던 가스(공기나, 혹은 이형제 등이 열분해되어 형성된 가스)나, 용탕과 함께 캐비티 내로 주입된 가스가 용탕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밸브(V1)를 개방한다. 그러면, 진공탱크(T1) 내의 진공압에 의해, 캐비티(3) 내의 가스가 유로(R1)를 따라 진공탱크(T1)측으로 흡인되면서 배출되게 되고, 그 결과, 용탕에 가스가 혼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금속제품의 미충전 결함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캐비티(3) 내의 가스가 진공탱크(T1) 내로 흡인되는 과정에서, 가동금형(2)의 관통공(2a)을 통해(구체적으로는, 이 관통공(2a)의 내주면과 이젝트핀(5) 사이의 틈새를 통해) 가동금형(2)의 배면측의 공기가 캐비티(3) 내로 유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밸브(V1)를 개방하기 전에, 먼저 밸브(V2)를 개방하여 진공탱크(T2) 내의 진공압에 의해 밀폐공간(8) 내의 가스를 미리 유로(R2)를 따라 진공탱크(T2)측으로 흡인·배출시켜 둔다. 이와 같이 하면, 캐비티(3) 내의 가스가 진공탱크(T1)측으로 흡인되어서 그 캐비티(3)가 진공화되더라도, 밀폐공간(8)으로부터 캐비티(3) 내로 유입되는 가스는 거의 없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밀폐공간(8) 내의 가스가 진공탱크(T2) 측으로 배출되면서 밀폐공간(8)이 진공화될 때, 그 밀폐공간(8)의 진공압에 의해, 가동금형(2)의 캐비티면 주위의 이형제나 수분 등이 가동금형의 관통공(2a)과 이젝트핀(5)들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밀폐공간(8)으로 유입되는 것이 본 발명자에 의해 확인되었다.
이처럼 밀폐공간(8)으로 유입되는 이형제나 수분의 일부는 밀폐공간(8)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진공탱크(T2)의 진공압에 의해 밀폐공간(8)으로부터 진공탱크(T2)측으로 배출되지만 나머지는 밀폐공간(8) 내에 잔류하게 된다. 잔류하는 이형제나 수분은, 액체 상태로 고온의 가동금형(2)에 의해 가열되면서 밀폐공간(8) 내에 고여 있다가, 밸브(V2)가 개방되어 밀폐공간(8) 내의 가스가 진공흡인되면서 밀폐공간(8) 내의 진공도가 높아지게 되면(즉, 진공탱크(T2)의 진공압이 밀폐공간(8) 내에 작용하여 밀폐공간(8) 내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일부가 밀폐공간(8) 내에서 기화된다. 기화된 액체(이형제나 수분 등)는 진공탱크(T2)의 진공압이 작용할 때 밀폐공간(8)으로부터 진공흡인되어 진공탱크(T2)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다이캐스팅 성형 작업이 계속될수록, 밀폐공간(8)에 액체 상태로 잔류하게 되는 액체의 양이 많아지고,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밀폐공간(8) 내에서 기화되는 양도 점차 많아지게 된다. 밀폐공간(8) 내에서 기화되는 액체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 밀폐공간(8) 내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진공탱크(T2)의 부담이 커지게 될 뿐만 아니라, 기화되는 액체의 양이 어느 수준을 넘게 되면 그 밀폐공간(8)에서 기화된 가스가 모두 배출되지 못하고 일부가 캐비티(2) 내로 유입되어서 용탕(M)에 혼입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03743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다이캐스팅 금형장치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캐비티 측으로부터 밀폐공간으로 유입되어서 그 밀폐공간 내에 고이는 이형제나 수분 등의 액체를, 밀폐공간의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들 및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는, 고정금형; 이 고정금형에 대해 밀착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고정금형과의 밀착시에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왕복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관통공을 가지는 가동금형; 가동금형에 대해 전진 및 후퇴 가능하게 배치된 이젝트 플레이트; 이젝트 플레이트가 상기 가동금형에 대해 전진할 때 그 이젝트 플레이트와 함께 전진하여, 상기 캐비티 내에서 성형된 금속제품을 가동금형으로부터 밀어내도록, 상기 가동금형의 관통공들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부가 상기 이젝트 플레이트에 고정된 다수의 이젝트핀; 내부에 상기 이젝트 플레이트와 상기 이젝트핀들의 일단부들을 포위한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가동금형에 설치되는 밀폐체; 상기 캐비티 및 상기 밀폐공간에 있는 가스를 진공압에 의해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진공수단;을 포함하는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금형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밀폐공간으로 유입되어 그 밀폐공간 내에 고인 액체를 상기 밀폐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밀폐체의 바닥부에 마련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1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밀폐체는: 상기 가동금형에 결합되어 상기 이젝트 플레이트와 상기 이젝트핀들의 일단부들을 포위하며, 바닥부에 액체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밀폐본체; 및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밀폐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공간이 상기 밀폐본체의 액체통과구멍을 통해서 그 밀폐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도록 상방으로 개구되고, 바닥부에 상기 배출구가 마련된 통형상의 용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폐본체와 상기 용기부재 사이에는, 그 밀폐본체와 용기부재 사이의 실링을 위하여 링 형상의 실링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용기부재에는 상기 실링부재의 하측부분을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공간 내에 고인 이형제나 수분 등의 액체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밀폐공간 내에 고이는 액체가 캐비티측으로 유입되어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효과 및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의 일례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이캐스팅 금형장치의 캐비티 내로 용탕이 주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이캐스팅 금형장치의 캐비티 내에서 성형된 금속제품이 이젝트핀들에 의해 가동금형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밀폐체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용기부재 부위의 개략적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1,2밸브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밀폐체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용기부재 부위의 개략적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서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다이캐스팅 금형장치(1A)와 마찬가지로, 고정금형(1)과, 가동금형(2)과, 이젝트 플레이트(4)와, 다수의 이젝트핀(5)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10)의 구성요소들 중,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다이캐스팅 금형장치(1A)의 구성요소들과 마찬가지의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서로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 각각의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고정금형(1)과 가동금형(2)은 다이캐스팅 성형기(미도시)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가동금형(2)은 다이캐스팅 성형기에 설치되어 있는 램 등의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고정금형(1)에 대해 밀착 및 이격되는 방향(A; 이하, 가동금형의 왕복이동방향이라 칭함)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다. 가동금형(2)에는 그 가동금형의 왕복이동방향(A)으로 연장된 다수의 관통공(2a)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금형(2)이 고정금형(1)에 밀착되면, 고정금형(1)과의 사이에 캐비티(3)가 형성된다. 상기 이젝트 플레이트(4)는, 가동금형(2)의 배면(즉, 캐비티(3)를 형성하는 면의 반대쪽 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유압기구(미도시)에 의해 상기 가동금형의 왕복이동방향(A)으로 왕복이동되는 로드(9)에 고정되어 있어서, 로드(9)가 왕복 이동할 때 그 로드(9)와 함께, 가동금형(2)에 대해 전진 혹은 후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젝트핀(5)들은, 이젝트 플레이트(4)가 가동금형(2)측으로 전진할 때, 그 이젝트 플레이트(4)와 함께 전진하여, 캐비티(3) 내에서 성형된 금속제품을 가동금형(2)으로부터 밀어내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각 이젝트핀(5)은, 가동금형(2)의 관통공(2a)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일단부가 이젝트 플레이트(4)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금형(2)의 배면측에는, 이젝트 플레이트(4)와 상기 이젝트핀(5)들의 일단부들을 포위한 밀폐공간(8)이 형성되도록, 밀폐체(10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캐비티(3) 및 밀폐공간(8) 내의 가스를 진공압에 의해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진공수단으로서, 진공펌프(P1)에 의해 진공상태가 유지되며 유로(R1)에 의해 캐비티(3)에 접속된 진공탱크(T1)와, 진공펌프(P2)에 의해 진공상태가 유지되며 유로(R2)에 의해 밀폐공간(8)에 접속된 진공탱크(T2)가 구비되어 있다. 유로(R1)에는 그 유로(R1)의 개폐를 위한 밸브(V1)가 설치되고, 유로(R2)에는 그 유로(R2)의 개폐를 위한 밸브(V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밀폐체(100) 및 그 밀폐체(100)의 주변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다이캐스팅 금형장치(1A)의 밀폐체(7) 등과는 다른 구조를 가진다.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밀폐체(100)는 밀폐본체(110)와 용기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밀폐본체(110)는, 밀폐체(100)의 상측 부분을 이루는 부재로서, 가동금형(2)에 대향하는 면이 트인 통형상을 형성되어 있다. 밀폐본체(110)는 나사(미도시) 등의 적절한 고정수단에 의해 가동금형(2)의 배면에 밀착하여 결합되며, 이 밀폐본체(110)에 의해 이젝트 플레이트(4)와 이젝트핀(5)들의 일단부들이 포위된다. 밀폐본체(110)의 바닥부에는 그 밀폐본체(110)의 바닥부 내외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액체통과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밀폐본체(110)의 바닥부 내면 즉, 밀폐본체(110)의 내측 바닥면(115)은 액체통과구멍(111)에 가까워질수록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상기 용기부재(120)는, 밀폐체(100)의 하측 부분을 이루는 부재로서, 상방으로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소재(예컨대, 투명 유리 또는 투명 아크릴 등의 투명 합성수지)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용기부재(120)는, 상단 테두리의 전둘레에 걸쳐 형성된 플랜지부(121)를 가지며, 상방의 개구된 부분이 밀폐본체(110)의 액체통과구멍(111)의 하방에 위치하여 그 액체통과구멍(111)과 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용기부재(120)는 고정부재(130)에 의해 밀폐본체(110)에 고정된다. 고정부재(130)는, 하방으로부터 용기부재(120)의 플랜지부(121)를 밀폐본체(110)쪽으로 가압한 상태로, 나사(139)들에 의해 밀폐본체(110)에 고정되는 부재이다. 용기부재(120)의 내부공간은 밀폐본체(110)의 액체통과구멍(111)을 통해 밀폐본체(1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 밀폐본체(110)의 내부공간과 용기부재(120)의 내부공간이, 밀폐된 하나의 공간 즉, 상기 밀폐공간(8)을 형성한다.
용기부재(120)의 바닥부(즉, 밀폐체(110)의 바닥부)에는 밀폐공간(8)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배출구(1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구(125)는, 가동금형(2)의 관통공(2a)들을 통해 밀폐공간(8)으로 유입되어 그 밀폐공간(8) 내에 고인 이형제나 수분 등(이하, 이 이형제나 수분 등을 단순히 '액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을 밀폐체(10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상기 밀폐공간(8) 내에 고인 액체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였는지를 육안으로 판별할 수 있도록, 용기부재(120)의 일측벽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를 표시하는 표시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용기부재(120) 내에 고인 액체의 상면과 상기 표시부(126)가 동일한 높이에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액체의 수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의 구체적인 값은, 밀폐공간(8)의 용적이나 캐비티(3)의 형상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데, 예컨대, 밀폐공간(8) 내에 고여 있다가 기화된 이형제나 수분이 진공탱크(T2) 측으로 다 배출되지 않고 일부가 관통공(2a)들을 통해 캐비티(3) 측으로 유입되게 될 가능성이 높은 수위를 미리 계산 및 측정하고 그 때의 수위를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로 설정할 수 있다.
용기부재(120)의 내부공간은, 가동금형의 왕복이동방향(A)으로의 폭 및 가동금형의 왕복이동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방향의 폭이 모두,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부재(120)의 바닥부 내면 즉, 용기부재(120)의 내측 바닥면(126)은 배출구(125)에 가까워질수록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밀폐본체(110)와 용기부재(120) 사이에는 실링부재(129)가 설치되어 있다. 실링부재(129)는, 예컨대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탄성의 고무소재에 의해 4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밀폐본체(110)와 용기부재(120)에 각각 탄력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밀폐본체(110)와 용기부재(120) 사이의 실링을 행한다. 한편, 용기부재(120)의 플랜지부(121) 상면에, 실링부재(129)의 하측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홈부(128)를 형성해 두면, 밀폐본체(110)와 용기부재(120)와 실링부재(129)를 조립하여 밀폐체(100)를 형성할 때, 실링부재(129)의 하측 부분을 용기부재(120)의 홈부(128)에 수용시킴으로써 실링부재(129)를 용기부재(120)에 위치고정한 상태에서, 밀폐본체(110)와 용기부재(120)를 결합하면 되므로, 밀폐체(100)를 형성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부재(120)의 배출구(125)에는 그 배출구(125)를 개폐하기 위한 제1밸브(101)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배출구(125)는 연결관 유닛(140)에 의해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 유닛(140)은, 일단이 상기 제1밸브(101)를 개재하여 배출구(125)에 접속된 제1연결관(141)과, 일단이 제2밸브(102)를 개재하여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에 접속된 제2연결관(142)과, 제1연결관(141)의 타단과 제2연결관(142)의 타단에 접속되어 그 제1연결관(141)과 제2연결관(142)을 연통시키는 저류탱크(14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밸브(101)와 제2밸브(102)의 개방시에 배출구(125)와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가 연결관 유닛(140)을 통해 연통되어서 진공탱크(T3)에 의한 진공흡인력이 밀폐공간(8) 내의 액체에 가해지게 된다. 상기 저류탱크(145)는, 유입된 액체가 저류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내부 공간이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예컨대, 투명 유리 또는 투명 아크릴 등의 투명 합성수지)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저류탱크(145)의 하부에는, 배출구(125)를 통해 밀폐공간(8)으로부터 배출되어서 제1연결관(141)을 따라 저류탱크(145) 내로 유도되어 저류되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보조배출구(150)와, 그 보조배출구(150)를 개폐하기 위한 제3밸브(103)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저류탱크의 용적이 너무 크면, 밀폐공간(8) 내의 액체에 대한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에 의한 진공흡인력이 저하되거나 혹은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가 대형화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저류탱크의 용적은, 상기 미리 정해진 수위에 도달했을 때의 밀폐공간(8) 내의 액체의 용량의 2~3배(즉, 액체의 2~3회 배출분의 용량)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체(100) 내에는 센서(1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센서(160)는 밀폐체(100) 내의 압력 즉, 밀폐공간(8)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일 수도 있고, 밀폐공간(8) 내에 고인 액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센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수위센서로서는 예컨대, 공지의 정전 용량식 수위센서나, 플로트 타입의 수위센서, 혹은 전기 전도식(전극봉 타입) 수위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센서(160)는 밀폐공간(8) 내에 고인 액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센서가 사용되고, 제1밸브(101)와 제2밸브(102)가 각각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구성되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16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105)에 의해, 각 밸브(101, 102)의 개폐가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공간(8) 내에 고인 액체의 수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였음이 센서(160)에 의해 검출되면, 그에 대응하는 신호가 제어부(105)로 전달되고, 제어부(105)는 센서(160)로부터 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제1밸브(101)와 제2밸브(102)를 개방시켜서 배출구(125)와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 사이의 유로(즉, 제1연결관(141)과 저류탱크(145)와 제2연결관(142)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밸브(101)와 제2밸브(102)를 개방시킨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밀폐공간(8) 내에 고인 액체가 배출구를 통해 밀폐공간(8)으로부터 완전히 배출되기까지 걸릴 것으로 계산된 시간보다 약간 더 길게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제어부(105)는 다시 제1밸브(101)와 제2밸브(102)를 폐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배출구(125)와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 사이의 유로를 막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에 관한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가스 혼입량이 극히 적어야만 하는 금속제품(예컨대 자동차용 알미늄제 프런트필러(front pillar; "A필러"라고도 함)나 쇼크업소버 케이스(shock-absorber case)처럼, 높은 인장 및 항복 강도와 연신률이 요구되고 또한 다른 부품과 용접되어야 하는 알루미늄 제품)을 다이캐스팅하는 금형장치의 경우에는, 밀폐공간(8) 내에 고인 액체의 양이, 밀폐공간(8) 전체의 용적(밀폐체(100)와 가동금형(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용적)으로부터 이젝트 플레이트(4)의 체적을 뺀 값의 5%가 넘게 되면, 그 밀폐공간(8) 내에서 기화된 이형제나 수분이 진공탱크(T2)측으로 다 배출되지 못하고 일부가 관통공(2a)들을 통해 캐비티(3) 측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자동차용 알미늄제 프런트필러나 쇼크업소버 케이스를 다이캐스팅하는 경우에는, 밀폐공간(8) 내의 액체의 양이, 밀폐공간(8) 전체의 용적에서 이젝트 플레이트(4)의 체적을 뺀 값의 5%가 될 때의 수위(이 때의 수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에 해당됨)에 도달하게 되면 센서(160)가 이를 검출하여 제어부(105)로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밀폐체(100)와 가동금형(2) 사이, 밀폐체(100)와 로드(9) 사이 등과 같이, 밀폐체(100)와 그 밀폐체(100)에 결합된 부재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그 틈새를 막기 위해 고무 링 등과 같은 적절한 실링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10)의 기본적인 기능은 상술한 종래의 다이캐스팅 금형장치(1A)와 마찬가지이다. 즉, 본 실시예의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10)의 경우도, 가동금형(2)이 고정금형(1)에 밀착된 후 사출실린더(15)에 의해 캐비티(3) 내로 용탕(M1)이 주입되어 소정시간 경과하면, 그 캐비티(3) 내에 충전된 용탕이 굳어지면서 캐비티(3)와 대응되는 형상의 금속제품이 된다. 그리고, 가동금형(2)이 고정금형(1)에 대해 이격되고, 로드(9) 및 이젝트 플레이트(4)가 가동금형(2)에 대해 전진 이동하여, 이젝트핀(5)들이 금속제품을 가동금형(2)으로부터 밀어내어 분리시킨 후, 각 금형(1, 2)의 캐비티면에 적절히 이형제가 분무되고, 가동금형(2)이 고정금형(1)에 밀착되고 이젝트 플레이트(4)가 후퇴된다. 그 후, 다시 캐비티(3)에 용탕이 주입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금속제품 성형과정이 되풀이된다.
한편, 가동금형(2)이 고정금형(1)에 밀착된 후 용탕(M1)이 사출실린더(15)에 의해 캐비티(3) 내로 주입되기 전에, 밸브(V2)가 개방되어서, 진공펌프(P2)에 의한 진공탱크(T2) 내의 진공압에 의해, 밀폐공간(8) 내의 가스가 유로(R2)를 따라 진공탱크(T2)측으로 흡인되면서 배출되게 된다. 이어서, 밸브(V1)가 개방되어서, 진공펌프(P1)에 의한 진공탱크(T1) 내의 진공압에 의해, 캐비티(3) 내의 가스가 유로(R1)를 따라 진공탱크(T1)측으로 흡인되면서 배출되게 된다. 이처럼 밀폐공간(8) 내의 가스가 미리 진공탱크(T2)에 의해 흡인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캐비티(3) 내의 가스가 캐비티(3)로부터 진공탱크(T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됨으로써, 캐비티(3) 내에서 용탕에 가스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공탱크(T1)에 의해 캐비티(3) 내의 가스가 흡인됨에 따라 캐비티(3) 내에 형성되는 진공의 진공도 및, 상기 진공탱크(T2)에 의해 밀폐공간(8) 내의 가스가 흡인됨에 따라 상기 밀폐공간(8) 내에 형성되는 진공의 진공도와 관련하여, 자동차용 알미늄제 프런트필러나 쇼크업소버 케이스를 다이캐스팅하는 경우에는, 캐비티(3) 내의 진공도는 40Torr보다 고진공으로 유지하고, 밀폐공간(8) 내의 진공도는 400~200Torr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캐비티(3) 내의 진공도가 40Torr보다 저진공이 되면, 상술한 가스의 혼입방지 효과가 현저하게 감소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밀폐공간(8) 내의 진공도가 400Torr보다 저진공이 되면, 밀폐공간(8) 내의 가스가 캐비티(3) 내의 진공도에 의해 이젝트핀(5)들과 가동금형(2) 사이의 틈새를 통해 캐비티(3) 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고, 밀폐공간(8) 내의 진공도가 200Torr보다 고진공이 될 경우 진공탱크(T2)의 용량이 불필요하게 증대되어야 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참고로, 진공탱크는 용량이 커질수록 가격도 비싸지는데, 용량이 약간만 커지더라도 비용은 대폭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진공탱크의 용량을 조금만 줄일 수 있어도 진공탱크의 구입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이캐스팅 성형을 계속하면서 금속제품들을 제조하는 중에, 밀폐공간(8) 내에 고이는 액체(상기와 같이 밸브(V2)가 개방되어 밀폐공간(8)이 진공화될 때 캐비티(3) 측으로부터 관통공(2a)을 통해 밀폐공간(8) 내로 유입되어 온 이형제나 수분 등)의 수위가 점차 높아져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게 되면, 센서(160)가 이를 검출하여 제어부(105)로, 액체의 수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보내게 된다. 센서(160)로부터 신호를 받은 제어부(105)는, 제1밸브(101)와 제2밸브(102)를 개방시켜서 상기 배출구(125)와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 사이의 유로 즉, 상기 연결관 유닛(140) 내부의 유로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밀폐공간(8) 내에 고여있던 액체는, 진공펌프(P3)에 의한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 내의 진공압 및 그 액체의 자중에 의해, 배출구(125)를 통해 밀폐공간(8)으로부터 유출되면서, 제1연결관(141)을 따라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 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처럼 제1연결관(141)을 따라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 측으로 배출되는 액체는, 상기 저류탱크(145)에 유입되면서 그 저류탱크(145) 내에 고이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저류탱크(145) 내에 액체가 고이는 중에도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의 진공압은, 제2연결관(142)과 저류탱크(145)와 제1연결관(141)과 배출구(125)를 통해, 밀폐공간(8)에 고인 액체 및 밀폐공간(8)으로부터 배출구(125)를 통해 나오는 액체에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제1밸브(101)와 제2밸브(102)가 개방되고 나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제어부(105)가 제1밸브(101)와 제2밸브(102)를 폐쇄시키는 제어를 행하여, 상기 배출구(125)와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 사이의 유로를 폐쇄한다. 이러한 과정이 완료되면, 밀폐공간(8)으로부터 배출되어 나온 액체는 모두 저류탱크(145) 내에 저류되어 있게 된다. 이처럼 밀폐공간(8) 내의 액체가 모두 배출구(125)와 제1연결관(141)을 통해 배출되어서 저류탱크(145) 내에 저류되고 상기와 같이 배출구(125)와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 사이의 유로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3밸브(103)를 열어서 보조배출구(150)를 개방한다. 그러면, 저류탱크(145) 내에 저류되어 있던 액체는 그 보조배출구(150)를 통해 저류탱크(145)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저류탱크(145) 내의 액체가 모두 배출되면 다시 제3밸브(103)를 폐쇄한다. 참고로, 상기와 같은 제3밸브(103)의 개방 및 폐쇄는, 다이캐스팅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행할 수도 있고, 혹은, 예컨대 상기 제어부(105)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10)는, 밀폐공간(8) 내의 액체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액체 배출경로(배출구와 연결관 유닛)를 통해서, 그 액체가 자동적으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밀폐공간(8) 내에서 기화된 액체의 일부가 관통공(2a)들을 통해 캐비티(2) 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밀폐본체(110)의 내측 바닥면(115)은 액체통과구멍(111)에 가까워질수록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캐비티(3)측으로부터 유입된 이형제 등의 액체는, 밀폐본체(110)의 바닥면에 머물거나 고이지 않고 쉽게 액체통과구멍(111)을 통해 용기부재(120) 내부로 흘러들어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용기부재(120)의 내부공간은, 가동금형의 왕복이동방향(A)으로의 폭 및 가동금형의 왕복이동방향(A)에 대해 직각인 수평방향의 폭이 모두,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고, 용기부재(120)의 내측 바닥면(127)이 배출구(125)에 가까워질수록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밀폐체(100) 내에 고인 액체가 배출구(125)를 통해 배출될 때, 액체가 용기부재(120)의 바닥면에 머물거나 고인 상태로 남아있지 않고, 쉽게 배출구(125)측으로 이동되면서 그 배출구(1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밀폐체(100)에서 액체가 고이는 부분(본 실시예에서는 용기부재(120))을 투명하게 형성하면 고인 액체의 수위를 작업자의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를 표시하는 표시부(126)를 용기부재(120)에 형성하여 두면 현재 밀폐체(100) 내에 고이는 액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작업자의 육안으로도 미리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시에 다이캐스팅 작업자가 직접 제1밸브(101)를 조작하여 배출구(125)를 개방할 수도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저류탱크(145)를 투명한 소재에 의해 형성하면, 저류탱크(145)에 액체가 어느 정도 저류되어 있는지를 다이캐스팅 작업자의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하여, 필요시에 작업자가 제3밸브(103)를 직접 조작하여 보조배출구(150)를 개방할 수도 있어서 편리하다. 그리고, 배출구(125)를 통해 액체에 진공흡인력을 가하는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를, 밀폐공간(8) 내의 가스 배출을 위한 진공탱크(T2)보다 큰 용량의 것으로 마련하게 되면, 진공탱크(T2)의 진공압이 밀폐공간(8)에 가해지고 있는 도중에도, 밀폐공간(8) 내에 고인 액체를 쉽게 흡인하여 배출구(125)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가 밀폐공간(8) 내의 가스 배출을 위한 진공탱크(T2)와는 별도로 구비된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가스배출용 진공탱크(T2)를 본 발명에서의 액체배출용 진공탱크(배출구(125)를 통해 액체에 진공흡인력을 가하는 진공탱크)로서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연결관 유닛(140)의 제2연결관(142)을,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에 접속하지 않고, 상기 진공탱크(T2)에 접속함으로써, 그 진공탱크(T2)가 액체배출용 진공탱크와 밀폐공간 내의 가스 배출을 위한 진공탱크를 겸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센서(160)는 수위센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밀폐공간(8)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밀폐공간(8) 내에 고여있던 액체의 기화량이 증대할수록 밀폐공간(8) 내의 압력이 증대되므로, 밀폐공간(8) 내의 압력이 상기 '미리 설정된 수위'(즉, 밀폐공간(8) 내에 고여 있다가 기화된 이형제나 수분이 진공탱크(T2)측으로 다 배출되지 않고 일부가 관통공(2a)들을 통해 캐비티(3) 측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게 되는 수위)일 때의 압력값에 도달하게 되었을 때 센서(160)가 이를 검출하여, 제어부(105)로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하면 된다. 예컨대, 자동차용 알미늄제 프런트필러나 쇼크업소버 케이스를 다이캐스팅하는 경우에는, 밀폐공간 내에 고인 액체의 양이 밀폐공간의 용적으로부터 이젝트 플레이트의 체적을 뺀 값의 5%가 되는 시점에서의 밀폐공간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이 되면, 센서(160)로부터 제어부(105)로 신호가 보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류탱크(145) 전체를 투명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내부의 액체량을 작업자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 저류탱크(145)의 일부만(예컨대 한쪽 벽부만) 투명하게 구성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용기부재(120) 전체가 투명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내부의 액체량을 작업자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 용기부재(120)의 일부만(예컨대 한쪽 벽부만) 투명하게 구성해도 좋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2밸브(101, 102)를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함과 아울러, 연결관 유닛(140)과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연결관 유닛(140)과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와 제2밸브(102)는 마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예컨대, 밀폐공간(8) 내의 압력, 혹은 밀폐공간(8) 내의 액체의 수위가 미리 설정한 값에 도달하였다는 신호가 센서(160)에 의해 발생되면, 제어부(105)는 제1밸브(101)를 열어서 배출구(125)를 개방시킴으로써, 밀폐공간(8) 내의 액체가, 중력(자중)에 의해, 배출구(125)를 통해 밀폐공간(8)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하거나, 또는, 제1밸브(101)를 다이캐스팅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볼밸브로 구성하고, 다이캐스팅 작업을 계속 반복하는 도중에 적절한 시점(예컨대, 밀폐공간(8) 내의 액체의 상면이 상기 표시부(126)까지 도달한 시점)에서 다이캐스팅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상기 볼밸브(제1밸브)를 조작하여 배출구(125)를 개방함으로써 밀폐공간(8) 내에 고인 액체를 중력(액체의 자중)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은 배출구(125)의 개방은 가동금형(2)이 고정금형(1)에 대해 이격된 위치로 이동되어 있을 때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처럼 가동금형(2)이 고정금형(1)에 대해 이격된 위치에서의 배출구(1) 하방에는, 배출구(125)를 통해 밀폐공간(8) 외부로 배출되는 액체를 받아 두는 용기(미도시)를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배출용 진공탱크(T3)나 연결관 유닛(140) 등을 마련하지 않고 액체가 그 액체의 자중에 의해 배출구(125)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진공탱크(T2)에 의한 진공압이 밀폐공간(8)에 작용하고 있으면 그 진공압에 의해서, 제1밸브(101)를 개방하더라도, 액체가 배출구(125)로 쉽게 배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므로, 밸브(V2)를 폐쇄하여 진공탱크(T2)의 진공압이 밀폐공간(8)에 작용하지 않도록 한 후에 제1밸브(101)를 개방할 필요가 있으므로,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비하여 번거로울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몇가지 변형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1...고정금형 2...가동금형
2a...관통공 3...캐비티
4...이젝트 플레이트 5...이젝트핀
8...밀폐공간 100...밀폐체
101...제1밸브 102...제2밸브
103...제3밸브 105...제어부
110...밀폐본체 120...용기부재
125...배출구 140...연결관 유닛
145...저류탱크 150...보조배출구
P3...진공펌프 T3...액체배출용 진공탱크
M...금속제품

Claims (2)

  1. 고정금형; 이 고정금형에 대해 밀착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고정금형과의 밀착시에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왕복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관통공을 가지는 가동금형; 가동금형에 대해 전진 및 후퇴 가능하게 배치된 이젝트 플레이트; 이젝트 플레이트가 상기 가동금형에 대해 전진할 때 그 이젝트 플레이트와 함께 전진하여, 상기 캐비티 내에서 성형된 금속제품을 가동금형으로부터 밀어내도록, 상기 가동금형의 관통공들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부가 상기 이젝트 플레이트에 고정된 다수의 이젝트핀; 내부에 상기 이젝트 플레이트와 상기 이젝트핀들의 일단부들을 포위한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가동금형에 설치되는 밀폐체; 상기 캐비티 및 상기 밀폐공간에 있는 가스를 진공압에 의해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진공수단;을 포함하는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금형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밀폐공간으로 유입되어 그 밀폐공간 내에 고인 액체를 상기 밀폐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밀폐체의 바닥부에 마련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1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밀폐체는:
    상기 가동금형에 결합되어 상기 이젝트 플레이트와 상기 이젝트핀들의 일단부들을 포위하며, 바닥부에 액체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밀폐본체; 및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밀폐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공간이 상기 밀폐본체의 액체통과구멍을 통해서 그 밀폐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도록 상방으로 개구되고, 바닥부에 상기 배출구가 마련된 통형상의 용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폐본체와 상기 용기부재 사이에는, 그 밀폐본체와 용기부재 사이의 실링을 위하여 링 형상의 실링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용기부재에는 상기 실링부재의 하측부분을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부분을 구비한 밀폐체를 가지는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공간 내의 압력과 상기 밀폐공간 내에 고이는 액체의 수위 중 하나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였는지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압력과 상기 수위 중 하나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였음이 검출되면, 상기 제1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부분을 구비한 밀폐체를 가지는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KR1020150002865A 2015-01-08 2015-01-08 투명한 부분을 구비한 밀폐체를 가지는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KR20160085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865A KR20160085630A (ko) 2015-01-08 2015-01-08 투명한 부분을 구비한 밀폐체를 가지는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865A KR20160085630A (ko) 2015-01-08 2015-01-08 투명한 부분을 구비한 밀폐체를 가지는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630A true KR20160085630A (ko) 2016-07-18

Family

ID=56679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865A KR20160085630A (ko) 2015-01-08 2015-01-08 투명한 부분을 구비한 밀폐체를 가지는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56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3743A (ko) 2010-03-15 2011-09-21 동남정밀 주식회사 다이캐스팅 고진공 금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3743A (ko) 2010-03-15 2011-09-21 동남정밀 주식회사 다이캐스팅 고진공 금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450B1 (ko) 다이캐스팅 고진공 금형장치
CA2874307C (en) Conveying device for molten metal in an injection die casting unit
JP6333577B2 (ja) ブロー成形装置
RU2006100350A (ru) Машина для литья под давлением и способ лить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акой машины
TW201119750A (en) Air bubble ingress prevention mechanism, liquid material discharge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and liquid material discharge method
JP2788324B2 (ja) ガス閉鎖弁および該ガス閉鎖弁を備えたプラスチツク加工設備を制御する方法
CN103357851A (zh) 高真空压铸法
JP2008105055A (ja) ダイカストマシン及びダイカスト鋳造法
WO2015151701A1 (ja) 鋳造方法及び鋳造装置
KR20160085634A (ko) 진공압에 의한 액체 배출이 가능한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JP2015123504A (ja) ダイカスト装置
JP2018034447A (ja) 液体ブロー成形方法
KR20160085625A (ko) 밀폐체를 가지는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KR20160085632A (ko) 밀폐공간 내의 액체의 자동배출이 가능한 고진공 금형장치
US20040099399A1 (en) Die casting machine
KR20160085630A (ko) 투명한 부분을 구비한 밀폐체를 가지는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KR20160085629A (ko) 밀폐체의 일부가 투명한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KR20160085628A (ko) 액체 배출구조를 가지는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KR20160085626A (ko) 일부가 투명한 밀폐체를 가지는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KR20160085631A (ko) 액체배출용 진공탱크를 구비한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KR20160085633A (ko) 액체의 자동배출구조를 가지는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KR20160085627A (ko) 밀폐공간 내의 액체의 수위 확인이 가능한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JP4978842B2 (ja) 液封マウント用の液封入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封マウントの製造方法
JP2019188796A (ja) 液体入り容器の製造方法
JP3812820B2 (ja) ダイカスト鋳造機及びダイカスト鋳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