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294A - 노치 날, 가공 장치, 노치 형성 장치, 노치 형성 방법, 및 용기 - Google Patents

노치 날, 가공 장치, 노치 형성 장치, 노치 형성 방법, 및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294A
KR20160085294A KR1020167015207A KR20167015207A KR20160085294A KR 20160085294 A KR20160085294 A KR 20160085294A KR 1020167015207 A KR1020167015207 A KR 1020167015207A KR 20167015207 A KR20167015207 A KR 20167015207A KR 20160085294 A KR20160085294 A KR 20160085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ch
blade
container body
contac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835B1 (ko
Inventor
다카히로 이시구로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5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8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formed of 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44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 B65D77/204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whereby part of the container or cover has been weakened, e.g. perforated or precut
    • B65D77/2056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whereby part of the container or cover has been weakened, e.g. perforated or precut the cover being weake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제품 가이드부(87)의 중심축과 노치 날(85B)의 중심축을 동축 상에 위치시킨 노치 날 플레이트(85)를 사용한다. 제품 가이드부(87)를 용기 본체(2)의 수납 오목부(24) 내에 삽입하여 수납 오목부(24)의 내면에 접촉시키면, 자동 편심 가이드부(81)에 의해 노치 날 플레이트(85)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노치 날(85B)이 용기 본체(2)의 개구부(24A)와 동심축 상에 위치 결정된다.

Description

노치 날, 가공 장치, 노치 형성 장치, 노치 형성 방법, 및 용기 {NOTCHING BLADE, MACHINING DEVICE, NOTCH-FORMING DEVICE, NOTCH-FORMING METHOD, AND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에 절입 홈을 형성하는 노치 날, 가공 장치, 노치 형성 장치, 노치 형성 방법, 및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식품 등의 용기로서, 다층 시트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에, 톱 필름을 열융착하여 강고하게 밀봉하고, 개봉 시에는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다층 시트의 층간 박리에 의해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용기는,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다층 시트에 있어서의 내외층의 층간 접착력보다, 플랜지와 톱 필름의 접착력의 쪽을 크게 하고 있다. 또한, 플랜지부에 있어서의 톱 필름이 열융착되는 위치보다 용기 본체의 개구부측에 절입 홈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톱 필름의 개봉 시에는, 용기 본체의 내층이 톱 필름과 함께, 외층으로부터 절입 홈의 위치까지 층간 박리됨으로써 용기가 개봉된다.
일본 특허 공개 소62-251363호
그런데, 다층 시트로 용기 본체를 제조하는 공정은, 다층 시트에 대해 폭 방향으로 용기 본체의 형상이 복수 열 설치되도록 복수를 일괄적으로 열성형한 후, 절입 홈을 형성하는 날을 복수 가진 형에 의해 일괄적으로 절입 홈을 형성하여, 용기 본체마다 잘라내고 있다. 여기서, 제조된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중심과 절입 홈의 위치 관계가 어긋나 버리면, 절입 홈의 위치 및 톱 필름과의 열융착의 위치가 겹쳐, 적절하게 층간 박리할 수 없게 되어 버려, 양호하게 개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용기 본체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절입 홈을 형성할 때, 복수의 날의 위치를 용기 본체마다 미세 조정하고 있어 작업이 번잡하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의 더욱 효율적인 제조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절입 홈을 소정의 위치에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노치 날, 가공 장치, 노치 형성 장치, 노치 형성 방법, 및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노치 날은, 피포장물을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의 개구부 주연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플랜지부를 가진 다층 구조의 용기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지부에, 환형의 절입 홈을 형성하는 노치 날이며, 상기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다층 구조의 적어도 1층을 절단하는 절입 심도로 상기 절입 홈을 형성하는 환형의 날부와, 중심축이 상기 날부의 중심축에 대해 동축 상에 위치하여 상기 날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수납 오목부의 내벽면에 적어도 3점 이상에서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가 상기 수납 오목부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구부의 중심축 상에 상기 날부의 중심축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날부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접촉부가 용기 본체의 수납 오목부의 내벽면에 적어도 3점 이상에서 접촉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중심축 상에 날부의 중심축을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내벽면과 적어도 3점 이상에서 접촉되어 있으면,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중심축 상에 날부의 중심축을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접촉되는 개소는 3점 이상 설치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접촉부가 내벽면을 따라 선 형상으로 당해 내벽면과 접촉해도 되고, 내벽면을 따라 면 형상으로 접촉해도 상관없다. 또한, 접촉 개소의 면적을 넓게 형성하는 쪽이 위치 결정 정밀도가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의 중심축과 날부의 중심축을 동축 상에 위치시킨 간단한 구성으로,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중심축과 날부의 중심축을 자동적으로 동축 상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절입 홈을 소정의 위치에 자동적으로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복수의 용기 본체에 절입 홈을 형성하는 경우라도, 날부와 용기 본체의 위치가 각각 자동적으로 정해지므로, 절입 홈을 각각 소정의 위치에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환형이라 함은, 둥근 형상 외에, 복수의 각부를 갖는 다각 형상도 포함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촉부는, 외주면이 상기 수납 오목부의 내주면에 면에 의해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는, 접촉부의 외주면을 수납 오목부의 내주면에 면으로 접촉한 상태로 접촉부를 수납 오목부에 삽입함으로써,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중심축과 날부의 중심축이 동축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촉부는, 연질 부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는, 수납 오목부의 내면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연질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수납 오목부의 내면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접촉부를 수납 오목부 내에 삽입하여 내면에 접촉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날부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내열성 재료로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는, 날부에 의해 절입 홈을 형성할 때의 가열 수단에 의한 가열에 의해, 접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절입 홈을 소정의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접촉부가 연질 부재이면, 열에 의해 접촉부가 열화되는 등에 의해 연질 기능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도 없어, 위치 결정 시에 수납 오목부의 내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관통 구멍과, 이 관통 구멍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 구멍에 끼움 삽입되고, 상기 날부를 상기 개구부의 개구 면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날부를 지지하는 봉형의 지지 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봉형의 지지 부재는 당해 접촉부의 주위에 적어도 3점 이상 설치됨으로써, 적합하게 날부의 용기 본체에 대한 위치 결정이 달성된다. 당해 봉형의 지지 부재는, 3점 이상 있으면, 특별히 문제는 없지만, 위치 결정 정밀도의 관점에서 4점 이상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봉형의 지지 부재의 직경이 당해 관통 구멍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 구멍에 끼움 삽입됨으로써, 날부가 용기 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발명에서는, 관통 구멍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관통 구멍에 끼움 삽입된 봉형의 지지 부재에 의해 날부를 지지하므로, 날부를 개구부의 개구 면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간단한 구성으로 얻어진다.
본 발명의 가공 장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개구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플랜지부를 가진 적층 구조의 용기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지부에, 환형의 홈을 형성하는 가공 장치이며, 상기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적층 구조의 적어도 1층을 절단하여 상기 홈을 형성하는 환형의 가공부와, 중심축이 상기 가공부의 중심축에 대해 동축 상에 위치하여 상기 가공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의 내면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가 상기 오목부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구부의 중심축 상에 상기 가공부의 중심축을 위치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가공부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접촉부가 용기 본체의 오목부의 내면에 접촉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개구의 중심축 상에 가공부의 중심축을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 및 위치 결정하는 수단은, 접촉부가 용기 본체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위치 결정하는 수단이 용기 본체의 개구 중심축 상에 가공부의 중심축을 위치 결정하는 어느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의 개구 중심축과 가공부의 중심축을 자동적으로 동축 상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홈을 소정의 위치에 자동적으로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복수의 용기 본체에 홈을 형성하는 경우라도, 가공부와 용기 본체의 위치가 각각 자동적으로 정해지므로, 홈을 각각 소정의 위치에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치 형성 장치는, 본 발명의 노치 날과, 상기 노치 날을 지지하는 상형과, 상기 용기 본체를 지지 가능한 하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절입 홈을 소정의 위치에 자동적으로 확실하게 형성 가능한 본 발명의 노치 날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절입 홈을 소정의 위치에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치 형성 장치는, 피포장물을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의 개구부 주연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플랜지부를 가진 다층 구조의 용기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지부에, 환형의 절입 홈을 형성하는 노치 형성 장치이며, 상기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다층 구조의 적어도 1층을 절단하는 절입 심도로 상기 절입 홈을 형성하는 환형의 날부, 및 중심축이 상기 날부의 중심축에 대해 동축 상에 위치하여 상기 날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수납 오목부의 내벽면에 적어도 3점 이상에서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한 노치 날과, 상기 노치 날을 지지하는 상형과, 상기 용기 본체를 지지 가능한 하형과, 상기 접촉부가 상기 수납 오목부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구부의 중심축 상에 상기 날부의 중심축이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노치 날을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노치 날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접촉부를 용기 본체의 수납 오목부의 내벽면에 적어도 3점 이상에서 접촉시키면, 노치 날을 용기 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개구부의 중심축 상에 날부의 중심축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의 중심축과 날부의 중심축을 동축 상에 위치시킨 간단한 구성의 노치 날을 사용하여,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중심축과 날부의 중심축을 자동적으로 동축 상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절입 홈을 소정의 위치에 자동적으로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복수의 용기 본체에 절입 홈을 형성하는 경우라도, 날부와 용기 본체의 위치가 각각 자동적으로 정해지므로, 절입 홈을 소정의 위치에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노치 형성 장치에서는, 상기 하형은, 상기 용기 본체를 삽입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오목부를 복수 갖고, 상기 상형은, 상기 지지 오목부에 대응하여 상기 노치 날을 복수 지지 가능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는, 용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오목부를 하형에 복수 설치하고, 상형에 본 발명의 노치 날을 지지 오목부에 대응하여 복수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용기 본체에 각각 절입 홈을 1동작으로 형성할 수 있어,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노치 형성 방법은, 피포장물을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의 개구부 주연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플랜지부를 가진 다층 구조의 용기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지부에, 환형의 절입 홈을 형성하는 노치 형성 방법이며, 상기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다층 구조의 적어도 1층을 절단하는 절입 심도로 상기 절입 홈을 형성하는 환형의 날부와, 중심축이 상기 날부의 중심축에 대해 동축 상에 위치하여 상기 날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수납 오목부의 내벽면에 적어도 3점 이상에서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한 노치 날을 사용하고, 상기 접촉부를 상기 용기 본체의 수납 오목부의 내면에 접촉시켜,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중심축 상에 상기 날부의 중심축이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노치 날을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결정 공정과, 상기 위치 결정 공정 후에 상기 날부를 상기 플랜지부에 접촉시켜 상기 절입 홈을 형성하는 절입 홈 형성 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용기 본체의 수납 오목부의 내벽면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를 가진 노치 날을 사용하여, 접촉부를 용기 본체의 수납 오목부의 내벽면에 적어도 3점 이상에서 접촉시키면,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중심축 상에 날부의 중심축을 위치 결정하고, 날부를 플랜지부에 접촉시켜 절입 홈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접촉부의 중심축과 날부의 중심축을 동축 상에 위치시킨 간단한 구성의 노치 날을 사용하여,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중심축과 날부의 중심축을 자동적으로 동축 상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절입 홈을 소정의 위치에 자동적으로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복수의 용기 본체에 절입 홈을 형성하는 경우라도, 날부와 용기 본체의 위치가 각각 자동적으로 정해지므로, 절입 홈을 소정의 위치에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는, 본 발명의 노치 형성 장치, 또는 본 발명의 노치 형성 방법에 의해, 상기 절입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소정의 위치에 절입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랜지부에 덮개체를 장착하여 밀봉하였을 때의 충분한 강도와, 개봉 시의 층간 박리에 의한 개봉 용이성의 상반되는 특성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음과 함께,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비용의 저감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는, 본 발명의 노치 형성 장치, 또는 본 발명의 노치 형성 방법에 의해, 상기 절입 홈이 형성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용기 본체의 소정의 위치에 절입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랜지부에 덮개체를 장착하여 밀봉하였을 때의 충분한 강도와, 개봉 시의 층간 박리에 의한 개봉 용이성의 상반되는 특성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음과 함께,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비용의 저감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기에 관한 실시 형태의 개봉 용이성 용기를 도시하는 일부를 개봉한 사시도.
도 2a는 상기 개봉 용이성 용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밀봉된 위치의 측면 단면도.
도 2b는 상기 개봉 용이성 용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일부를 개봉한 위치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상기 용기 본체에 덮개체를 히트 시일하는 상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상기 용기 본체에 절입 홈을 형성하는 노치 형성 장치의 하형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상기 하형의 일부를 절결한 단부면 평면도.
도 6은 상기 노치 형성 장치의 상형을 도시하는 저면도.
도 7은 상기 상형의 일부를 절결한 단부면 단면도.
도 8은 상기 상형의 노치 형성부를 도시하는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도 9는 상기 노치 형성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개봉 용이성 용기를 도시하는 일부를 개봉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봉 용이성 용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노치 형성 장치의 제품 가이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원형의 용기를 예시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봉 용이성 용기의 구성]
도 1, 도 2a, 도 2b는, 본 발명의 용기인 개봉 용이성 용기(1)이며, 이 개봉 용이성 용기(1)는 용기 본체(2)와 덮개체(3)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2)는, 다층 시트를 성형, 구체적으로는 가열에 의해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박리층(21) 및 표하층(22)의 2층이 이들의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이다.
여기서, 박리층(21)은, 개봉 용이성 용기(1)에 봉입되는 피포장물과 접촉하고, 또한 덮개체(3)의 실란트와 히트 시일되는 층이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덮개체(3)와 히트 시일된 부분인 히트 시일부(23)(도 2a, 도 2b 참조)는, 덮개체(3)와 함께 용기 본체(2)로부터 박리된다.
박리층(21)으로서는, 예를 들어 덮개체(3)와 히트 시일되는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호모 폴리프로필렌(HPP),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블록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직쇄상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이 사용된다.
표하층(22)은 박리층(21)에 인접하여 박리층(21)의 하층을 구성하고, 개봉 용이성 용기(1)의 개봉 시에 박리층(21)과의 사이에서 층간 박리된다.
표하층(22)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1종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이 사용되고, 특히 폴리프로필렌이 널리 유통되어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어 저렴한 동시에 고강도인 점에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폴리스티렌계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범용의 투명하며 강성이 있는 GP 그레이드의 폴리스티렌이나, 내충격성의 HI 그레이드의 폴리스티렌 등이 사용되고, 특히 HI 그레이드의 폴리스티렌이 용기 등으로서 이용할 때에 요구되는 내충격성의 점에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등이 사용되고, 특히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가 가공성의 이유로부터 적합하게 사용된다.
특히, 표하층(22)으로서, 프로필렌 단위를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는 중합체(이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라 함, 적절하게 PP로 나타냄)와, 에틸렌 단위를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는 중합체(이하, 폴리에틸렌계 수지라 함, 적절히 PE로 나타냄)를, PP:PE=30질량% 이상 99질량% 이하:1질량% 이상 70질량% 이하로 배합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질량비 PP/PE가 0.67보다 작아지면 히트 시일 시에 수지 저류부가 발생하여 개봉 불량을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히, 질량비 PP/PE가 0.429보다 적어지면 강성 부족을 발생할 우려가 있고, 질량비 PP/PE가 99보다 많아지면 유연성 부족을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라 함은, 구체적으로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블록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 혼합물의 4종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 것이다. 그리고, 내열성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블록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의 순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층과의 시일성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블록 폴리프로필렌, 호모 폴리프로필렌의 순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라 함은, 구체적으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이 사용되고,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성형 가공 안정성의 이유로부터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표하층(22)에는, 탈크 등의 무기 필러가 첨가되어도 된다.
또한, 표하층(22)은, 박리층(21)에 직접 인접하여 적층 형성되어 있지만, 박리층(21)과 표하층(22)의 사이에, 접착층 등의 히트 시일에 의해 유동하지 않거나, 혹은 유동하기 어려운 비교적 박막의 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용기 본체(2)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대략 원형의 컵 형상이며, 대략 원 형상의 개구부(24A)를 개구하는 오목부인 수납 오목부(24)를 갖고, 당해 개구부(24A)의 주연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플랜지부(25)가 배치되어 있다. 개봉 용이성 용기(1)는, 플랜지부(25)와, 개구부(24A)에 대해 플랜지부(25)에 적재된 덮개체(3)가 히트 시일되어 환형의 히트 시일부(23)가 형성되고, 개봉 용이성 용기(1)의 내부가 밀봉 상태로 된다. 또한, 용기 본체(2)에는, 히트 시일부(23)의 내측에 대해 환형의 홈, 구체적으로는 절입 홈으로서의 노치(27)가, 플랜지부(25)에 있어서의 적어도 덮개체(3)가 장착되는 면에 면하는 1층인 박리층(21)을 절입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홈으로서는, 단면 V자 형상이나 단면 U자 형상 등, 각종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홈은, 절입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압박이나 절삭 등, 각종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노치(27)는, 박리층(21)의 노치(27)의 위치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일부가 남는 상태라도, 덮개체(3)를 개봉하였을 때에 박리층(21)이 노치(27)의 위치에서 절단되고, 노치(27)로부터 개구부(24A) 측의 박리층(21)까지 층간 박리되지 않는 깊이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표하층(22)에 도달하는 깊이, 즉, 박리층(21)의 두께 치수 이상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밀봉 상태의 개봉 용이성 용기(1)를 개봉하기 위해서는,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봉 용이성 용기(1)의 덮개체(3)의 외주연에 설편형으로 설치된 개봉 개시부(3A)에 있어서 덮개체(3)를 상부로 인상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다층 구조의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과 표하층(22)의 층간에서 박리되고, 노치(27)의 위치까지 박리층(21)이 박리된다. 그리고, 노치(27)의 위치에 층간 박리가 이르고 나서 덮개체(3)만이 박리된다. 이로 인해, 덮개체(3)와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가 강고하게 접착되어 있어도 이지 필이 가능해져, 개봉 용이성 용기(1)가 간편하게 개봉된다.
또한,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의 두께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2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이상 6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500㎛ 이하로 한다.
여기서, 플랜지부(25)의 두께 치수가 200㎛보다 얇아지면 용기로서의 강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할 우려가 있고, 2000㎛보다 두꺼워지면, 많은 재료가 필요해져 제조 비용(원료 비용)이 상승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설정된다.
덮개체(3)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개봉 용이성 용기(1)의 외부에 나타나는 외층(32)과,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과 히트 시일되는 시일층(31)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다.
덮개체(3)를 구성하는 외층(3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2축 연신 나일론 필름(O-Ny)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일층(31)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2)와 덮개체(3)를 히트 시일함으로써, 박리층(21)과 시일층(31)이 융착하여 히트 시일부(23)가 형성되고, 개봉 시에는, 응력에 대해 약한 용기 본체(2)의 박리층(21)이 노치(27)로부터 외주 측에서 표하층(22)과 층간 박리된다.
여기서, 개봉 용이성 용기(1)를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환형 시일반(4)을 구비한 시일 장치(40)를 사용한다.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와 덮개체(3)를 융착하여 개봉 용이성 용기(1)를 밀봉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에 덮개체(3)를 겹치고, 이 덮개체(3)의 상면으로부터, 시일 장치(40)의 가열 상태의 환형 시일반(4)을 압박함으로써 히트 시일이 실시된다.
즉,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와 덮개체(3)의 히트 시일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에 덮개체(3)를 겹치고, 당해 덮개체(3)의 상부로부터, 가열 상태의 환형 시일반(4)을 도 3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실시되고, 이에 의해,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에 나타난 박리층(21)과 덮개체(3)의 시일층(31)이 융착된다.
본 실시 형태의 개봉 용이성 용기(1)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환형 시일반(4)은 환형의 시일부(4A)와, 평판형의 기반부(4B)를 구비하고 있다. 환형 시일반(4)을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알루미늄, 철, 구리 등의 전열성을 갖는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기반부(4B)의 두께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시일 장치에 맞추어, 적절하게 변경한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시일부(4A)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다각형, 표주박형, 눈물형 등, 목적으로 하는 용기의 플랜지 형상에 맞추어,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시일부(4A)에는, 플랜지부(25)의 상면에 대해 평행한 평면인 평면부(4A1)가 내주 측에 형성되고, 평면부(4A1)의 외주 측에는 평면부(4A1)에 연속하여, 외주 측을 향해 플랜지부(25)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이격부(4A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면부(4A1)의 내주연에는, 모따기용의 R 가공된 볼록 곡면(4A3)이 형성되어 있지만,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 중, 환형 시일반(4)의 외주연 측에 형성되는 이격부(4A2)에 있어서의, 플랜지부(25)의 상면에 대해 내주연으로부터 외주연을 향해 형성되게 되는 경사각, 즉, 피 히트 시일면(23A)이 되는 수평면에 대한 이격부(4A2)의 각도(θ)는 환형 시일반(4)의 시일부(4A)의 폭에 따라 상이하지만, 2°이상 20°이하, 바람직하게는 3°이상 15°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이상 12°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격부(4A2)의 각도가 2°보다 작으면, 히트 시일 시에 시일부(4A)를 압박한 경우라도, 피 히트 시일면(23A)과 이격부(4A2)의 간격이 충분하지 않게 되어, 평면부(4A1)에 지연되는 일 없이, 거의 동시에 이격부(4A2)가 피 히트 시일면(23A)을 압박하여, 이격부(4A2)에 대응하는 히트 시일부(23)에 수지를 유동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이격부(4A2)의 각도가 20°를 초과하면, 평면부(4A1)와의 경계의 주변이 완만하지 않고 뾰족하게 되어 버려, 시일 시 혹은 개봉 시에 덮개체(3)가 절단되어 버릴 우려가 있어, 개봉 용이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격부(4A2)는, 폭 치수 h가 히트 시일부(23)의 단면 폭 H(도 2a, 도 2b 참조)에 대해, 0.2H 이상 0.8H 이하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4H 이상 0.6H 이하이다. 이격부(4A2)의 폭 치수 h가 0.2H보다 작아지면, 평면부(4A1)에 의해 압박되어 외주 측으로 유동되는 수지가 많아짐과 함께, 평면부(4A1)에 지연되어 접촉하는 이격부(4A2)의 폭이 지나치게 좁아, 수지를 이격부(4A2)에 대응하는 히트 시일부(23)로 완만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그 결과, 히트 시일부(23)의 외주연 근방에 수지 저류부가 형성되기 쉬워지고, 얻어진 개봉 용이성 용기(1)의 개봉 시에 이 수지 저류부가 걸려, 히트 시일부(23)의 외측에서 저항이 커져, 개봉 용이성 용기(1)의 개봉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이격부(4A2)의 폭 치수 h가 0.8H보다 커지면, 피 히트 시일면(23A)과 평행한 평면부(4A1)의 폭이 좁아져, 피 히트 시일면(23A)을 충분히 압박할 수 없게 되고, 용기 본체(2)와 덮개체(3)의 히트 시일이 충분하지 않아, 개봉 용이성 용기(1)의 밀봉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이격부(4A2)의 외주 단부와 피 히트 시일면(23A)의 이격 거리가 커지므로, 외주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히트 시일하려고 하면, 평면부(4A1)에 있어서의 압박력이 지나치게 강해져, 용기 본체(2)나 덮개체(3)를 파손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폭 H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8㎜ 이상 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이상 2.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이상 2㎜ 이하를 적합하게 사용하고 있다.
또한, 환형 시일반(4)에 내주연 측에 형성되는 볼록 곡면(4A3)에 실시되는 R 가공으로서는 환형 시일반(4)의 시일부(4A)의 폭에 따라 상이하지만, 평면부(4A1)와의 경계의 주변이 뾰족해지는 일 없이 완만하고, 시일 시 혹은 개봉 시에 덮개체(3)가 절단되어 버리지 않는 이른바 모따기로 되는 R 가공이 바람직하다.
[노치 형성 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에 노치(27)를 형성하는 가공 장치인 노치 형성 장치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노치 형성 장치의 하형의 평면도, 도 5는 하형의 일부를 절결한 단부면 단면도, 도 6은 노치 형성 장치의 상형의 저면도, 도 7은 상형의 일부를 절결한 단부면 단면도, 도 8은 상형의 노치 형성부를 도시하는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도 9는 노치 형성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노치 형성 장치(5)는, 하형(6)과, 상형(7)과, 하형(6) 및 상형(7) 사이에 설치되고 하형(6) 및 상형(7)을 대향 방향, 즉, 상하 방향을 따른 상대적인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8)와, 하형(6) 및 상형(7)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하형(6)은, 예를 들어 3열로 등간격으로 용기 본체(2)가 형성된 다층 시트를 보유 지지한다. 이 하형(6)에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이며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가이드부(8)가 각각 설치된 하형 받침대(61)와, 하형 받침대(61)의 상면에 설치된 하형 장착 받침대부(62)와, 내면이 용기 본체(2)의 외형과 동일 형상인 지지 오목부(63A)를 갖고, 하형 장착 받침대부(62)의 상면에 예를 들어 3열 7행으로 등간격으로 나사(63B)에 의해 장착 고정된 복수의 홀더부(63)를 구비하고 있다.
상형(7)은, 하형(6)에 보유 지지된 다층 시트에, 용기 본체(2)에 각각 대응하여 노치(27)를 형성한다. 이 상형(7)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가이드부(8)가 각각 설치된 상형 받침대(71)와, 상형 받침대(71)의 하면에 설치된 상형 장착 받침대부(72)와, 에어 실린더(73)와, 에어 실린더(73)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노치 날(85B)로부터 부착되는 다층 시트를 압박하여 떨어뜨리는 푸시 플레이트(74)와, 상형 장착 받침대부(72)의 하면에 예를 들어 3열 7행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노치 형성부(80)를 구비하고 있다.
노치 형성부(80)는,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의 자동 편심 가이드부(81)와, 상형 장착 받침대부(72)의 하면에 자동 편심 가이드부(81)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노치 날 베이스(82)와, 노치 날 베이스(82)에 나사(83A)에 의해 고정된 장착판(83)과, 장착판(83)의 하면에 나사(84A)에 의해 고정된 단열판(84)과, 단열판(84)의 하면에 나사(85A)에 의해 고정된 환형의 가공부인 날부로서의 노치 날(85B)을 가진 본 발명의 노치 날인 노치 날 플레이트(85)와, 노치 날 플레이트(85)에 설치된 가열 수단으로서의 히터(86)와, 노치 날 플레이트(85)의 중앙에 돌출 설치된 기둥부(85C)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이 용기 본체(2)의 내주면에 대응한 접촉부로서의 제품 가이드부(87)와, 제품 가이드부(87)와 노치 날 플레이트(85)의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인 코일 스프링(88)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노치 날(85B)은,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다층 구조의 적어도 1층을 절단하는 절입 심도의 노치(27)를 형성 가능하게, 단면 삼각 형상의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치 날(85B)은, 단면 삼각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면 반원 형상, 단면 반타원 형상 등, 노치(27)의 깊이나 폭 등의 치수, 노치(27)가 형성되는 다층 시트의 조성이나 물성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설정된다.
자동 편심 가이드부(81)는, 노치 날 베이스(82)의 4 코너에 형성된 관통 구멍(82A)과, 관통 구멍(82A)보다 소직경이며 관통 구멍(82A)을 통해 노치 날 베이스(82)를 상형 장착 받침대부(72)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봉형의 지지 부재인 볼트(81A)와, 관통 구멍(82A)보다 대직경이며 노치 날 베이스(82)를 지지하는 시트판(8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품 가이드부(87)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나일론이나 델린 등의 수지 소재 등, 용기 본체(2)의 내면에 삽입되었을 때에 용기 본체(2)에 흠집을 발생시키지 않는 연질 부재로, 용기 본체(2)의 수납 오목부(24)의 내벽면에 적어도 3점 이상에서 접촉 가능하게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품 가이드부(87)는, 히터(86)의 가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내열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신택틱 재료가, 용기 본체(2)의 보호 및 내열성의 점에서 적합하다.
[노치 형성 동작]
다음으로, 상기 노치 형성 장치(5)를 사용한 노치(27)의 형성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미리 3열로 소정 간격으로 용기 본체(2)가 형성된 다층 시트를, 노치 형성 장치(5)의 하형(6)과 상형(7) 사이에 조출한다. 그리고, 하형(6)을 상승시켜, 노치(27)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용기 본체(2)를 하형(6)의 각 홀더부(63)의 지지 오목부(63A) 내에 삽입시키고, 하형(6)에 다층 시트를 보유 지지시킨다.
이후, 하형(6)을 더 상승시켜, 제품 가이드부(87)를 용기 본체(2)의 개구부(24A)로부터 수납 오목부(24) 내에 삽입시킨다.
이 제품 가이드부(87)의 삽입 시, 다층 시트에 형성된 용기 본체(2)의 위치가 다소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었을 경우, 제품 가이드부(87)의 외주면의 일부가 수납 오목부(24)의 내면의 치우친 일부에 접촉하고, 내면을 미끄럼 이동하면서 삽입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품 가이드부(87)가 수납 오목부(24)의 내면으로부터 반력을 받아, 코일 스프링(88)의 가압에 저항하여 노치 날 플레이트(85)에 대해 제품 가이드부(87)가 편심된 상태로 되어 수납 오목부(24) 내에 삽입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88)의 탄성 변형된 복원력이, 자동 편심 가이드부(81)에 의해, 노치 형성부(80)를 상형 장착 받침대부(72)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수납 오목부(24)의 중심에 제품 가이드부(87)의 중심이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 즉, 노치 날 플레이트(85)의 노치 날(85B)의 중심과 용기 본체(2)의 개구부(24A)의 중심이 동심 상에 위치하여, 제품 가이드부(87)가 용기 본체(2) 내에 완전히 끼워진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하형(6)이 더 상승되면, 히터(86)에 의해 가열된 노치 날(85B)이 플랜지부(25)에 상당하는 위치에 접촉하고, 개구부(24A)와 동심 상에 노치(27)가 형성된다.
이 후, 하형(6)의 하강과 함께, 에어 실린더(73)의 구동에 의해 푸시 플레이트(74)를 하강시킨다. 이 푸시 플레이트(74)의 하강에 의해, 노치 날(85B)에 다층 시트가 부착되어 있었을 경우, 노치 날(85B)로부터 다층 시트가 압박되어 떨어진다. 그리고, 하형(6)이 원래의 대기 위치까지 하강하고, 푸시 플레이트(74)가 원래의 대기 위치까지 상승한 후, 다층 시트를 조출하여,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용기 본체(2)는, 노치 형성 장치(5)로부터 조출되어 노치(27)가 형성된 다층 시트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절단 장치에 의해 별도로 잘라내어 형성된다.
[실시 형태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품 가이드부(87)의 중심축과 노치 날(85B)의 중심축을 동축 상에 위치시킨 노치 날 플레이트(85)를 사용하여, 제품 가이드부(87)를 용기 본체(2)의 수납 오목부(24)의 내면에 접촉시키면, 자동 편심 가이드부(81)에 의해 용기 본체(2)의 개구부(24A)와 동심축 상에 노치 날(85B)을 위치 결정한다.
이로 인해, 다층 시트에 용기 본체(2)가 위치 어긋남되어 형성되었다고 해도, 용기 본체(2)의 위치 어긋남에 대해 노치 날 플레이트(85) 각각을 위치 조정하는 작업이 필요 없어, 노치(27)를 소정의 위치에 자동적으로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노치(27)를 소정의 위치에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품 가이드부(87)를 외주면이 수납 오목부(24)의 내주면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품 가이드부(87)를 외주면이 수납 오목부(24)의 내주면에 면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제품 가이드부(87)를 수납 오목부(24)에 삽입함으로써, 용기 본체(2)의 개구부(24A)와 노치 날(85B)이 동심축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노치 날(85B)을 용이하게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 오목부(24)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품 가이드부(87)를 연질 부재로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수납 오목부(24)의 내면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제품 가이드부(87)를 수납 오목부(24) 내에 삽입하여 내면에 접촉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품 가이드부(87)를 내열성 재료로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노치 날(85B)에 의해 노치(27)를 형성할 때의 히터(86)에 의한 가열에 의해, 제품 가이드부(87)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노치(27)를 소정의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품 가이드부(87)가 연질 부재이면, 열에 의해 열화되는 등에 의해 연질 기능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도 없어, 위치 결정 시에 수납 오목부(24)의 내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품 가이드부(87)를 수납 오목부(24) 내에 삽입하였을 때, 노치 날(85B)을 개구부(24A)와 동심 상에 위치시키는 자동 편심 가이드부(81)로서, 노치 날 플레이트(85)를 상형 장착 받침대부(72)에 장착하는 볼트(81A)를, 노치 날 플레이트(85)와 일체의 노치 날 베이스(82)에 형성한 관통 구멍(82A)보다 소직경으로 형성하고, 관통 구멍(82A)보다 대직경의 시트판(81B)에 의해 노치 날 베이스(82)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간단한 구조로, 노치 날(85B)을 개구부(24A)에 대해 자동적으로 센터링할 수 있어, 종래의 노치 형성 장치에 제품 가이드부(87)와 간단한 구조의 자동 편심 가이드부(81)를 설치하기만 하면 되어, 노치 형성 장치(5)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노치 형성 장치(5)로서, 하형(6)에 지지 오목부(63A)를 가진 홀더부(63)를 복수 설치하고, 지지 오목부(63A)에 대응하여 노치 날(85B)을 갖는 노치 날 플레이트(85)를 상형(7)에 복수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복수의 용기 본체(2)를 형성한 다층 시트에, 용기 본체(2) 각각에 대응하여 노치(27)를 1동작으로 형성할 수 있어,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판형의 노치 날 플레이트(85)에 노치 날(85B)을 설치함과 함께, 노치 날 플레이트(85)의 중앙에, 노치 날(85B)에 동심으로 되도록 제품 가이드부(87)를 장착하는 기둥부(85C)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간단한 구성으로, 노치(27)를 개구부(24A)에 대해 동심으로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구성 등은, 이상의 기재에서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주로 특정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목적으로 하는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이상 서술한 실시 형태에 대해 재질, 수량, 그 밖의 상세한 구성에 있어서, 당업자가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개시한 재질, 층 구성 등을 한정한 기재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그들의 재질 등의 한정의 일부 혹은 전부의 한정을 제외한 명칭에 의한 기재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개봉 용이성 용기(1)로서 원형의 개구부(24A)를 가진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하는 사각형, 나아가 타원형, 다각형, 표주박형, 눈물형, 캐릭터형 등, 각종 형상의 것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25)에 히트 시일부(23)의 개구부(24A) 측에 1개의 노치(27)를 형성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노치(27)의 사이에 히트 시일부(23)를 설치하여 층간 박리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히트 시일부(23)의 외주 측이 플랜지부(25)의 외주연에 걸쳐 형성되었지만, 개봉 개시부(3A)의 위치만 플랜지부(25)의 외주연에 걸치는 이른바 오구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플랜지부(25)의 외주연의 전체 주위에 걸쳐 히트 시일부(23)를 설치한 구성에서는, 개봉 개시부(3A)를 설치하지 않고, 전체 주위의 어느 위치로부터 층간 박리를 개시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제품 가이드부(87)는, 외주면이 용기 본체(2)의 수납 오목부(24)의 내주면에 대응한 대략 원뿔대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오목부(24)의 내면에 접촉하는 철사 등의 가이드 부재(89)를 우산의 골조 형상으로 설치한 구성 등으로 해도 된다.
노치 날 베이스(82)의 관통 구멍(82A)을 통해, 상형 장착 받침대부(72)에 볼트(81A)를 장착하여 시트판(81B)에 의해 노치 날 베이스(82)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노치 날 베이스(82)에 일체로 설치한 볼트(81A)를, 상형 장착 받침대부(72)에 형성한 관통 구멍(82A)에 끼움 삽입하여 시트판(81B)에 의해 지지하는 반대의 구성으로 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볼트(81A)와 시트판(81B)이 일체 구성인 것이어도 된다.
또한, 자동 편심 가이드부(81)의 구성으로서는, 볼트(81A)와 관통 구멍(82A)의 관계에 한정되지 않고, 노치 날(85B)을 이동시키는 어느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노치 형성 장치(5)에서 노치(27)를 형성한 후, 절단 장치에서 용기 본체(2)를 잘라내는 공정에 한정되지 않고, 용기 본체(2)를 잘라내는 날을 노치 형성 장치(5)에 설치하여, 노치(27)의 형성과 함께 용기 본체(2)를 잘라내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노치 형성 장치(5)의 하형(6)으로서, 홀더부(63)에 대해서도 자동 편심 가이드부(81)를 설치하여 다층 시트의 용기 본체의 위치에 따라서 홀더부(63)가 이동하여 용기 본체(2)를 보유 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홀더부(63)로서는, 3열 7행으로 배치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층 시트에 형성되는 용기 본체(2)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치된다.
또한, 접촉부로서, 외주면이 용기 본체(2)의 내주면에 대응하고, 수납 오목부(24)의 내벽면에 적어도 3점 이상에서 접촉 가능한 제품 가이드부(87)로 하고,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자동 편심 가이드부(81)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접촉부로서는, 수납 오목부(24)의 내면에 접촉 가능하고, 접촉부가 수납 오목부(24)의 내면에 1개소라도 접촉함으로써, 개구부(24A)의 중심축 상에 노치 날(85B)의 중심축이 위치하도록 위치 결정 수단이 위치 결정하는 어느 구성이어도 된다.
1 : 용기인 개봉 용이성 용기
2 : 용기 본체
3 : 덮개체
5 : 노치 형성 장치
6 : 하형
7 : 상형
24 : 수납 오목부
24A : 개구부
25 : 플랜지부
27 : 절입 홈인 노치
81 :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의 자동 편심 가이드부
81A : 지지 부재로서의 볼트
82A : 관통 구멍
85 : 노치 날인 노치 날 플레이트
85B : 가공부인 날부인 노치 날
86 : 가열 수단으로서의 히터
87 : 접촉부로서의 제품 가이드부
89 : 접촉부로서의 가이드 부재

Claims (12)

  1. 피포장물을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의 개구부 주연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플랜지부를 가진 다층 구조의 용기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지부에, 환형의 절입 홈을 형성하는 노치 날이며,
    상기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다층 구조의 적어도 1층을 절단하는 절입 심도로 상기 절입 홈을 형성하는 환형의 날부와,
    중심축이 상기 날부의 중심축에 대해 동축 상에 위치하여 상기 날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수납 오목부의 내벽면에 적어도 3점 이상에서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가 상기 수납 오목부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구부의 중심축 상에 상기 날부의 중심축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 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외주면이 상기 수납 오목부의 내주면에 면으로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 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연질 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 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부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내열성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 날.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관통 구멍과, 이 관통 구멍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 구멍에 끼움 삽입되고, 상기 날부를 상기 개구부의 개구 면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날부를 지지하는 봉형의 지지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 날.
  6.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개구의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플랜지부를 가진 적층 구조의 용기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지부에, 환형의 홈을 형성하는 가공 장치이며,
    상기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적층 구조의 적어도 1층을 절단하여 상기 홈을 형성하는 환형의 가공부와,
    중심축이 상기 가공부의 중심축에 대해 동축 상에 위치하여 상기 가공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의 내면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가 상기 오목부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구의 중심축 상에 상기 가공부의 중심축을 위치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노치 날과,
    상기 노치 날을 지지하는 상형과,
    상기 용기 본체를 지지 가능한 하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 형성 장치.
  8. 피포장물을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의 개구부 주연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플랜지부를 가진 다층 구조의 용기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지부에, 환형의 절입 홈을 형성하는 노치 형성 장치이며,
    상기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다층 구조의 적어도 1층을 절단하는 절입 심도로 상기 절입 홈을 형성하는 환형의 날부, 및 중심축이 상기 날부의 중심축에 대해 동축 상에 위치하여 상기 날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수납 오목부의 내벽면에 적어도 3점 이상에서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한 노치 날과,
    상기 노치 날을 지지하는 상형과,
    상기 용기 본체를 지지 가능한 하형과,
    상기 접촉부가 상기 수납 오목부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구부의 중심축 상에 상기 날부의 중심축이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노치 날을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 형성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은, 상기 용기 본체를 삽입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오목부를 복수 갖고,
    상기 상형은, 상기 지지 오목부에 대응하여 상기 노치 날을 복수 지지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 형성 장치.
  10. 피포장물을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의 개구부 주연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플랜지부를 가진 다층 구조의 용기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지부에, 환형의 절입 홈을 형성하는 노치 형성 방법이며,
    상기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다층 구조의 적어도 1층을 절단하는 절입 심도로 상기 절입 홈을 형성하는 환형의 날부와, 중심축이 상기 날부의 중심축에 대해 동축 상에 위치하여 상기 날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수납 오목부의 내벽면에 적어도 3점 이상에서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한 노치 날을 사용하고,
    상기 접촉부를 상기 용기 본체의 수납 오목부의 내면에 접촉시켜,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중심축 상에 상기 날부의 중심축이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노치 날을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결정 공정과,
    상기 위치 결정 공정 후에 상기 날부를 상기 플랜지부에 접촉시켜 상기 절입 홈을 형성하는 절입 홈 형성 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 형성 방법.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노치 형성 장치, 또는 제10항에 기재된 노치 형성 방법에 의해 상기 절입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노치 형성 장치, 또는 제10항에 기재된 노치 형성 방법에 의해 상기 절입 홈이 형성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167015207A 2013-11-12 2014-11-07 노치 날, 가공 장치, 노치 형성 장치, 노치 형성 방법, 및 용기 KR102230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34205 2013-11-12
JPJP-P-2013-234205 2013-11-12
PCT/JP2014/079562 WO2015072403A1 (ja) 2013-11-12 2014-11-07 ノッチ刃、加工装置、ノッチ形成装置、ノッチ形成方法、および、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294A true KR20160085294A (ko) 2016-07-15
KR102230835B1 KR102230835B1 (ko) 2021-03-23

Family

ID=5305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207A KR102230835B1 (ko) 2013-11-12 2014-11-07 노치 날, 가공 장치, 노치 형성 장치, 노치 형성 방법, 및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43574B2 (ko)
KR (1) KR102230835B1 (ko)
TW (1) TW201532766A (ko)
WO (1) WO20150724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210A (ko) * 2019-03-08 2020-09-17 주식회사 제타 액상 물질 충진 및 밀봉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1363A (ja) 1986-04-08 1987-11-02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簡易ピ−ル容器
KR910009833A (ko) * 1989-11-30 1991-06-28 사와무라 하루오 폴리이미드계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0851A (en) * 1960-10-26 1966-03-15 Owens Illinois Glass Co Method and apparatus for severing thermoplastic material
CA1303522C (en) * 1986-04-08 1992-06-16 Takanori Suzuki Easily-openable packaging container
JPS63150200A (ja) * 1986-12-16 1988-06-22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容器フランジ部への環状切り込み形成装置
JPS63136919U (ko) * 1987-03-03 1988-09-08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1363A (ja) 1986-04-08 1987-11-02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簡易ピ−ル容器
KR910009833A (ko) * 1989-11-30 1991-06-28 사와무라 하루오 폴리이미드계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210A (ko) * 2019-03-08 2020-09-17 주식회사 제타 액상 물질 충진 및 밀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72403A1 (ja) 2015-05-21
TW201532766A (zh) 2015-09-01
KR102230835B1 (ko) 2021-03-23
JP6543574B2 (ja) 2019-07-10
JPWO2015072403A1 (ja)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245B1 (ko) 다이-컷 뚜껑 및 연관된 용기 및 방법
US7891516B2 (en) Container, packaging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tainer
US9736891B2 (en) Induction heating container
ES2784753T3 (es) Método y aparato para obtener un cuerpo en forma de copa
KR20160084435A (ko) 용기 본체, 용기 및 용기의 제조 방법
US20160201899A1 (en) Candle cartridge
KR20160085294A (ko) 노치 날, 가공 장치, 노치 형성 장치, 노치 형성 방법, 및 용기
TW201808623A (zh) 容器用積層片材及容器
US10850422B2 (en) Cutting system, and a method for cutting a web or sheet of material
EP3398878B1 (en) Instant noodles container lid
WO2014157364A1 (ja) シール盤、シール方法、および容器
DK2958983T3 (en) LYSMAGASIN
WO2019098364A1 (ja) キャリアテープ及びキャリアテープの成形方法
JP6724774B2 (ja) 閉塞板の製造方法
JP6928899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
JP5555991B2 (ja) 容器
JP2007223157A (ja) 仕切付紙製容器の製造方法、仕切付紙製容器及び仕切付紙製容器の製造装置
JP2020172320A (ja) シート成形容器
JP6877990B2 (ja) 容器包装体
US20050042414A1 (en) Methods of making sealing members for induction sealing of containers
JP5262511B2 (ja) 充填用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固形製品の製造方法
JP6171554B2 (ja) 容器封止構造およびインナーシール材
JP2020015520A (ja) 加熱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加熱容器
JP2005132067A (ja) 積層シート、インモールド成形品及び食品用容器
SE519704C2 (sv) Förpackning samt metod för framställning dära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