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066A -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 - Google Patents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066A
KR20160081066A KR1020140194258A KR20140194258A KR20160081066A KR 20160081066 A KR20160081066 A KR 20160081066A KR 1020140194258 A KR1020140194258 A KR 1020140194258A KR 20140194258 A KR20140194258 A KR 20140194258A KR 20160081066 A KR20160081066 A KR 20160081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body
bus bar
contact portion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자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4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1066A/ko
Publication of KR20160081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2Thei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Abstract

본 발명은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버스바(10)는 골격을 버스바몸체(12)가 형성한다. 상기 버스바몸체(1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서는 제1뿌리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뿌리부(14)에 연결된 연결부(16)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버스바몸체(12)의 타측에서 연장되어서는 제2뿌리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제1뿌리부(14)와 제2뿌리부(18)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1뿌리부(14)에 직교하게 절곡되어 제1터미널몸체(2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뿌리부(18)에서 직교하게 절곡되어 제2터미널몸체(22')가 형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몸체(22)의 선단에는 제1접촉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제2터미널몸체(22')의 선단에는 제2접촉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접촉부(24)와 제2접촉부(24')는 같은 높이에 있으나 서로 직접적으로 마주보지 않고 어긋나 있다. 이들 터미널몸체(22,22')의 쌍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있다. 이들 터미널몸체(22,22')의 쌍에서 제1터미널몸체(22)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터미널몸체(22')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터미널몸체(22')는 제1터미널몸체(22)보다 강성이 크게 하고 상기 제1터미널몸체(22)는 상대적으로 탄성이 좋도록 하여 제1접촉부(24)가 상대 탭터미널(32)의 외면에 밀착되고 제2접촉부(24')는 상기 탭터미널(32)을 지지하게 된다.

Description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Busbar having a fork terminal}
본 발명은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 부품의 탭터미널과의 직접 결합이 가능한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는 전원분배장치를 사용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각각의 부하로 분배하여 사용하게 된다. 차량에서는 다양한 부하가 사용되기 때문에 전원분배장치 내에는 각각의 부하에 대응하여 퓨즈나 릴레이와 같은 부품들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부품들은 전원분배장치 내에서 회로를 구성하는 버스바와 전기적 연결이 되어 있는데, 부품의 탭터미널과 버스바의 탭터미널은 별도의 연결터미널을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연결터미널을 사용함에 의해 전원분배장치의 부품수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연결터미널이 누락됨에 의해 전원분배장치의 동작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스바와 부품의 탭터미널을 직접 결합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상기 버스바에 탭터미널 대신에 포크터미널을 형성하여 상기 부품의 탭터미널과 전기적으로 결합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하지만, 포크터미널은 접촉부가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버스바몸체의 동일한 위치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일측 접촉부 쪽이 소성변형되면 상대 부품의 탭터미널과의 접촉의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공개특허 2013-0102205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93997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의 탭터미널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대 탭터미널과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버스바몸체와, 상기 버스바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뿌리부와, 상기 제1뿌리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선단에 상대 터미널의 표면에 접촉되는 제1접촉부가 형성된 제1터미널몸체와, 상기 버스바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뿌리부와 마주보는 제2뿌리부와, 상기 제2뿌리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선단에 상기 제1접촉부와 대응되게 상대 터미널의 표면에 접촉되는 제2접촉부가 형성된 제2터미널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터미널몸체와 제2터미널몸체의 쌍은 적어도 2개 이상이 형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몸체는 상기 제1뿌리부의 일측과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터미널몸체는 상기 제2뿌리부의 일측과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터미널몸체의 제1접촉부와 제2터미널몸체의 제2접촉부가 서로를 향해 돌출된다.
상기 제1터미널몸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터미널몸체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몸체의 제1접촉부와 제2터미널몸체의 제2접촉부는 같은 높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몸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터미널몸체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몸체의 제1접촉부와 제2터미널몸체의 제2접촉부는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뿌리부는 상기 버스바몸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뿌리부는 상기 제1뿌리부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2터미널몸체의 제2접촉부 반대쪽에는 제2터미널몸체의 일부가 잘라내어져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터미널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2보강비드가 형성된다.
상기 제1뿌리부는 상기 버스바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뿌리부도 상기 버스바몸체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뿌리부와 제2뿌리부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제2터미널몸체의 제2접촉부 반대쪽에는 제2터미널몸체의 일부가 잘라내어져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터미널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2보강비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버스바에 구비되는 포크터미널은 한 쌍을 이루는 제1터미널몸체와 제2터미널몸체가 별도의 뿌리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서로 쌍을 이루는 터미널몸체가 거의 소성변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일측의 터미널몸체가 소성변형되더라도 타측의 터미널몸체를 조정하면 터미널몸체 사이에 상대 부품의 탭터미널을 정확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버스바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몸체의 쌍이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므로, 상대 부품의 탭터미널과의 접촉개소가 많아져 안정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1터미널몸체와 제2터미널몸체의 2개의 쌍에서 제1터미널몸체 사이의 거리를 제2터미널몸체 사이의 거리보다 가깝게 배치함에 의해 제2터미널몸체가 탭터미널을 지지하고 상기 제1터미널몸체가 탭터미널을 제2터미널몸체 쪽으로 밀어서 밀착되게 할 수 있어 탭터미널과 포크터미널 사이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가 상대 부품의 탭터미널과 결합된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버스바(10)의 골격을 버스바몸체(12)가 형성한다. 상기 버스바몸체(12)는 도전성 금속으로 만들어진 판이다. 상기 버스바몸체(12)의 형상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버스바몸체(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포크터미널(20) 외에도 다양한 구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거나, 탭터미널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버스바몸체(12)는 또한 전원분배장치 등 그 사용되는 제품의 구성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된다.
상기 버스바몸체(1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서는 제1뿌리부(14)가 있다. 상기 제1뿌리부(14)는 상기 버스바몸체(12)에서 그대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1뿌리부(14)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연결부(16)가 있다. 상기 연결부(16)의 타측 단부에는 제2뿌리부(18)가 있다. 상기 제2뿌리부(18)는 상기 제1뿌리부(14)와 마주보게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제2뿌리부(18)는 상기 제1뿌리부(14)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버스바몸체(12)에서 직접 연장되어 상기 제1뿌리부(14)와 마주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16)와 제1뿌리부(14) 그리고 상기 연결부(16)이 제2뿌리부(18)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1보강비드(17)가 형성된다. 상기 제1보강비드(17)는 상기 연결부(16)와 뿌리부(14,18)의 일측 외면에 힘을 가해 반대쪽 외면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보강비드(17)는 상기 뿌리부(14,18)가 탄성변형되거나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제1터미널몸체(22)와 제2터미널몸체(22') 사이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1뿌리부(14)와 제2뿌리부(18)에는 포크터미널(20)이 구비된다. 상기 포크터미널(20)은 상기 버스바몸체(12)와 일체로 된 것으로, 버스바몸체(12)를 형성하는 모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만들어서 절곡한 것이다.
상기 포크터미널(20)은 소정 형상을 가지는 판인 제1터미널몸체(22)와 제2터미널몸체(22')로 구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몸체(22)는 상기 제1뿌리부(14)에서 연장되고 제2터미널몸체(22')는 상기 제2뿌리부(18)에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포크터미널(20)은 제1터미널몸체(22)와 제2터미널몸체(22')의 쌍을 적어도 2개 이상을 가진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의 쌍이 있다.
상기 제1터미널몸체(22)의 선단에는 상기 제2터미널몸체(22')쪽으로 돌출된 제1접촉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접촉부(24)는 상대 부품(30)의 탭터미널(32)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접촉부(24)는 상기 제1터미널몸체(22)를 측면에서 볼 때 원호형상으로 되는 곡면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제2터미널몸체(22')의 선단에는 상기 제1터미널몸체(22)쪽으로 돌출된 제2접촉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접촉부(24')도 상기 제2터미널몸체(22')를 측면에서 볼 때 원호형상으로 되는 곡면을 가진다. 상기 제1접촉부(24)와 제2접촉부(24') 사이의 수직거리는 상대 탭터미널(32)의 두께보다는 작은 값을 가진다. 따라서 상대 탭터미널(32)이 상기 제1접촉부(24)와 제2접촉부(24')의 사이에 들어가서, 양측면에 상기 제1접촉부(24)와 제2접촉부(24')가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촉부(24)와 제2접촉부(24')는 서로 같은 높이에서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탭터미널(32)에 밀착되는 것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접촉부(24)와 제2접촉부(24')가 반드시 같은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접촉부(24)와 제2접촉부(24')가 같은 높이에 있으면서 서로 어긋나 있다.
이때, 2쌍의 제1 및 제2 터미널몸체(22,22')의 위치는 예를 들면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쌍의 제1터미널몸체(22)끼리가 제2터미널몸체(22')끼리보다 더 가깝게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터미널몸체(22)가 내측에 있고 제2터미널몸체(22')가 외측에 있도록 배치되는 것 이다. 물론, 역으로 제2터미널몸체(22')가 내측에 위치하고 제1터미널몸체(22)가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배치는 탭터미널(32)이 특정한 방향으로 틀어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2터미널몸체(22')에서 상기 제2접촉부(24')의 반대쪽에는 경사부(25)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25)는 상기 제2터미널몸체(22')의 일부를 잘라내어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2터미널몸체(22')의 제2접촉부(24')의 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터미널몸체(22')의 일측에는 또한 제2보강비드(27)가 형성된다. 상기 제2보강비드(27)는 상기 제2터미널몸체(2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터미널몸체(22')에 상기 제2보강비드(27)를 형성함에 의해 제2터미널몸체(22')의 강성이 커지면서 상기 경사부(25)와 협력하여 제2터미널몸체(22') 자체는 탄성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터미널몸체(22')는 상기 제1터미널몸체(22)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제1접촉부(24)와 제2접촉부(24')는 같은 높이에 있도록 된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터미널몸체(22')가 상대적으로 하부로 더 길게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터미널몸체(22')가 상기 제2뿌리부(18)와 연결되는 폭은 상기 제1터미널몸체(22)가 상기 제1뿌리부(14)와 연결되는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들은 상기 제2터미널몸체(22')의 강성이 상기 제1터미널몸체(22)의 강성보다 크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대 부품(30)에는 다수개의 탭터미널(32)이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상기 포크터미널(20)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례의 도면에서는 상기 부품(30)으로 릴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상대 부품(30)의 탭터미널(32)이 포크터미널(20)과 결합되기 때문에, 포크터미널(20)을 구성하는 제2터미널몸체(22')는 상기 탭터미널(32)과의 결합시에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터미널몸체(22)는 탄성변형을 하여 탭터미널(32)의 외면에 밀착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본 실시례의 도면에서는 앞의 실시례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터미널몸체(22)와 제2터미널몸체(22')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된다. 특히, 제1터미널몸체(22)와 제2터미널몸체(22')의 인접하는 쌍에서 각각의 높이가 다르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있는 쌍에서는 제2터미널몸체(22')의 높이가 제1터미널몸체(22)의 높이보다 낮게 되고, 나머지 하나의 쌍에서는 제2터미널몸체(22')의 높이가 제1터미널몸체(22)의 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쌍의 제1 및 제2 터미널몸체(22,22')의 높이를 달리함에 의해서 상대 탭터미널(32)의 초기 삽입력을 줄일 수 있고 접촉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터미널몸체와 제2터미널몸체(22,22')의 높이라는 것은 제1접촉부(24) 및 제2접촉부(24')의 높이와 같다고 볼 수 있다.
한편, 2쌍의 제1 및 제2 터미널몸체(22,22')의 위치는 인접하는 쌍의 제1터미널몸체(22)끼리가 제2터미널몸체(22')끼리보다 더 가깝게 되도록 배치된다. 즉, 제1터미널몸체(22)가 내측에 있고 제2터미널몸체(22')가 외측에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물론, 역으로 제2터미널몸체(22')가 내측에 위치하고 제1터미널몸체(22)가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배치는 탭터미널(32)이 특정한 방향으로 틀어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버스바(10)에 형성된 포크터미널(20)을 구성하는 제1터미널몸체(22)와 제2터미널몸체(22')는 그 하단부 연결되어 있는 뿌리부(14,18)가 별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터미널몸체(22)나 제2터미널몸체(22')중 하나가 소성변형을 일으키더라도 나머지 하나를 조절하여 상대 탭터미널(32)과의 접촉이 일정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터미널(22')의 강성을 보강하여 상대적으로 큰 탭터미널(32)과의 결합시에도 포크터미널(20) 측의 소성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따라서, 포크터미널(20)과 상대 탭터미널(30) 사이의 전기적 결합이 정확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스바(10)는 예를 들면 전원분배장치에 설치되어 회로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버스바(10)의 버스바몸체(12)의 일단부에 전원측에서 연장된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포크터미널(20)에는 상대 부품(30)의 탭터미널(32)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 포크터미널(20)의 제1터미널몸체(22)와 제2터미널몸체(22')의 사이에 상기 탭터미널(32)이 삽입되는데, 상기 탭터미널(32)의 두께는 상기 제1터미널몸체(22)와 제2터미널몸체(22')의 제1접촉부(24)와 제2접촉부(24')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탭터미널(32)이 상기 포크터미널(20)의 제1접촉부(24)와 제2접촉부(24') 사이에 삽입되면 상기 제1터미널몸체(22)가 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1접촉부(24)가 상기 탭터미널(32)의 일측 표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2접촉부(24')측은 상기 탭터미널(32)과 전기적 접촉도 하지만 주로 탭터미널(32)을 지지하여, 상기 제1터미널몸체(22)의 제1접촉부(24)가 탭터미널(32)의 표면에 보다 잘 밀착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제1터미널몸체(22)와 제2터미널몸체(22')의 쌍이 2쌍이 있고, 이들 쌍에서 상기 제1터미널몸체(22) 사이의 거리는 제2터미널몸체(22')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되어 있어, 상기 제2터미널몸체(22')의 두 접촉부(24')에 지지된 탭터미널(32)을 제1터미널몸체(22)의 두 접촉부(24)가 밀착되어 눌러주므로 탭터미널(32)과 포크터미널(20)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터미널몸체(22)와 제2터미널몸체(22')의 쌍이 다수개 있음에 의해서 탭터미널(32)과 포크터미널(20) 사이의 결합이 보다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버스바 12: 버스바몸체
14: 제1뿌리부 16: 연결부
17: 제1보강비드 18: 제2뿌리부
20: 포크터미널 22: 제1터미널몸체
22': 제2터미널몸체 24: 제1접촉부
24': 제2접촉부 25: 경사부
27: 제2보강비드 30: 부품
32: 탭터미널

Claims (8)

  1. 버스바몸체와,
    상기 버스바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뿌리부와,
    상기 제1뿌리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선단에 상대 터미널의 표면에 접촉되는 제1접촉부가 형성된 제1터미널몸체와,
    상기 버스바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뿌리부와 마주보는 제2뿌리부와,
    상기 제2뿌리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선단에 상기 제1접촉부와 대응되게 상대 터미널의 표면에 접촉되는 제2접촉부가 형성된 제2터미널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터미널몸체와 제2터미널몸체의 쌍은 적어도 2개 이상이 형성되는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미널몸체는 상기 제1뿌리부의 일측과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터미널몸체는 상기 제2뿌리부의 일측과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터미널몸체의 제1접촉부와 제2터미널몸체의 제2접촉부가 서로를 향해 돌출되는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미널몸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터미널몸체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몸체의 제1접촉부와 제2터미널몸체의 제2접촉부는 같은 높이에 형성되는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미널몸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터미널몸체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몸체의 제1접촉부와 제2터미널몸체의 제2접촉부는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는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뿌리부는 상기 버스바몸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뿌리부는 상기 제1뿌리부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미널몸체의 제2접촉부 반대쪽에는 제2터미널몸체의 일부가 잘라내어져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터미널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2보강비드가 형성되는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
  7.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뿌리부는 상기 버스바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뿌리부도 상기 버스바몸체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뿌리부와 제2뿌리부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미널몸체의 제2접촉부 반대쪽에는 제2터미널몸체의 일부가 잘라내어져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터미널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2보강비드가 형성되는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
KR1020140194258A 2014-12-30 2014-12-30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 KR20160081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258A KR20160081066A (ko) 2014-12-30 2014-12-30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258A KR20160081066A (ko) 2014-12-30 2014-12-30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066A true KR20160081066A (ko) 2016-07-08

Family

ID=56503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258A KR20160081066A (ko) 2014-12-30 2014-12-30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10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53744A1 (en) * 2021-02-05 2023-08-10 Aptiv Technologies Limited Flexible electrical bus b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02205A1 (en) 2010-06-14 2013-04-25 Yazaki Corporation Fuse unit, mold structure, and molding method using mold structure
KR20140093997A (ko) 2011-12-14 2014-07-29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배터리 커넥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02205A1 (en) 2010-06-14 2013-04-25 Yazaki Corporation Fuse unit, mold structure, and molding method using mold structure
KR20140093997A (ko) 2011-12-14 2014-07-29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배터리 커넥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53744A1 (en) * 2021-02-05 2023-08-10 Aptiv Technologies Limited Flexible electrical bus b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791597B2 (en) * 2021-02-05 2023-10-17 Aptiv Technologies (2) S.À R.L. Flexible electrical bus b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70111B (zh) 接触元件和多触点连接器
JP6454339B2 (ja) 外部に設定される特定のバスシステムのソケット構造用の接触要素
US8764497B2 (en) Electrical contact part
KR20150051997A (ko) 커넥터
US8840408B2 (en) Crank-shaped board terminal with a protruding support portion
CN106104928B (zh) 电连接端子
KR20110076897A (ko) 터미널 부품
US8414334B2 (en) Holder-mounting structure
KR20150048195A (ko) 접속 단자
JP6580677B2 (ja) 電気コネクタ用端子
US8231391B2 (en) Metal protective ground conductor connection device
CN111211020A (zh) 配电盘的触头组件
JP6019482B2 (ja) 接続ブロック結合体
KR20160081066A (ko) 포크터미널을 가진 버스바
US8507809B2 (en) Component-equipped-holder mounting structure
US9437946B2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having improved terminals
KR102011007B1 (ko) 터미널 단자
JP2013243016A (ja) 雌端子
CN111009762A (zh) 用于电端子的跳线器
KR20160122603A (ko) 퓨즈
KR100988788B1 (ko) 조립형 버스바
US20140287629A1 (en) Plug-type element
US9682636B2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metal plates
EP3047498B1 (en) Active electrical component
US9378911B2 (en) Fuse and fuse attachmen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