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394A - 탈착식 흙빠짐판을 구비한 콤바인 버켓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탈착식 흙빠짐판을 구비한 콤바인 버켓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394A
KR20160067394A KR1020140172718A KR20140172718A KR20160067394A KR 20160067394 A KR20160067394 A KR 20160067394A KR 1020140172718 A KR1020140172718 A KR 1020140172718A KR 20140172718 A KR20140172718 A KR 20140172718A KR 20160067394 A KR20160067394 A KR 20160067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ucket
soil
rear en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2121B1 (ko
Inventor
박환
서신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2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121B1/ko
Priority to CN201520998584.6U priority patent/CN205584799U/zh
Publication of KR2016006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01D41/141Automatic header contr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바인의 예취부를 형성하는 버켓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예취부에서 곡물을 베어 수확하는 중에 곡물과 함께 유입된 흙을 예취부에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콤바인 예취부(20) 버켓(100)의 바닥면인 버켓 플레이트(121)에 있어서, 상기 버켓 플레이트(121)에는 개방부(129)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129)는 상기 예취부(20)로 유입된 흙이 배출될 수 있도록 슬롯(111)들이 형성된 흙빠짐판(100) 또는 상기 개방부(129)를 폐쇄하는 폐쇄판(130)이 탈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착식 흙빠짐판을 구비한 콤바인 버켓 플레이트{COMBINE BUCKET PLATEWITH A DETACHABLE TYPE OF SOIL DRAIN PLATE}
본 발명은 콤바인의 예취부를 형성하는 버켓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예취부에서 곡물을 베어 수확하는 중에 곡물과 함께 유입된 흙을 예취부에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콤바인은 논밭 위를 주행하면서 벼·보리·밀·콩 등의 곡물을 베고, 이어 탈곡을 하고, 선별과 정선을 하는 데 사용하는 장치이다.
콤바인은 주행부, 예취부, 예취된 작물을 탈곡부로 옮겨주는 공급부, 곡물을 탈곡, 선별, 정선하는 탈곡선별부, 곡물을 탱크 또는 포대에 이송하는 곡립처리부, 볏짚처리부 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높은 줄기를 갖는 곡물, 예로 벼·보리·밀과 같은 곡물의 경우에 예취하는 부위가 지면으로부터 높게 형성됨에 따라 흙의 유입이 거의 없으나, 콩과 같이 지면 속 또는 지면에 식생하는 곡물의 경우 예취된 곡물과 함께 예취부로 상당 양의 흙이 유입된다.
종래 콤바인의 경우, 예취부로 유입된 곡물과 흙이 함께 탈곡부로 유입된 후 탈곡부에서 곡물인 콩을 탈곡하게 된다. 이때 탈곡부로 유입된 곡물은 흙과 함께 회전하면서 줄기에서 탈락되고, 이후 콩과 흙을 선별 처리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탈곡부로 불필요한 흙이 함께 유입됨에 따라 탈곡부에 과도한 부하가 발생하게 되고, 선별처리 작업 또한 정밀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6493호(공고일 2006.01.23)
본 발명은 종래 콤바인과 같이 예취부에서 예취한 곡물과 흙이 탈곡부로 유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확하는 작물의 특징에 따라 예취부에서 유입된 흙을 배출하거나 또는 흙이 유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흙의 배출없이 바로 탈곡부로 유입될 수 있게 구성한 콤바인의 버켓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콤바인 예취부(20) 버켓(100)의 바닥면인 버켓 플레이트(121)에 있어서, 상기 버켓 플레이트(121)에는 개방부(129)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129)는 상기 예취부(20)로 유입된 흙이 배출될 수 있도록 슬롯(111)들이 형성된 흙빠짐판(100) 또는 상기 개방부(129)를 폐쇄하는 폐쇄판(130)이 탈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켓 플레이트의 개방부는 사각 구조로서, 개방부의 일변에 대응하여 고정대가 버켓 플레이트의 저면에 고정되고, 개방부의 타변에는 후단 보강대가 버켓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선단과 후단이 절곡된 흙빠짐판의 선단 절곡부가 고정대에 체결되고 후단 절곡부가 후단 보강대에 체결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켓 플레이트의 개방부는 사각 구조로서, 개방부의 일변에 대응하여 고정대가 버켓 플레이트의 저면에 고정되고, 개방부의 타변에는 후단 보강대가 버켓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선단과 후단이 절곡된 폐쇄판의 선단 절곡부가 고정대에 체결되고 후단 절곡부가 후단 보강대에 체결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측이 절곡된 흙빠짐판의 양측 절곡부는 버켓 플레이트의 저면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보강대에 접하여 위치함으로써, 흙빠짐판의 이동을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측이 절곡된 폐쇄판의 양측 절곡부는 버켓 플레이트의 저면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보강대에 접하여 위치함으로써, 폐쇄판의 이동을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흙빠짐판 또는 폐쇄판에 있어 흙빠짐판 및 폐쇄판은 버켓 플레이트의 곡률반경과 같은 곡률반경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대에는 스터드볼트가 고정되고, 후단 보강대에는 탭이 형성되며, 흙빠짐판의 선단 절곡부에는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흙빠짐판의 후단 절곡부에는 탭에 체결되는 볼트가 관통하도록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대에는 스터드볼트가 고정되고, 후단 보강대에는 탭이 형성되며, 폐쇄판의 선단 절곡부에는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폐쇄판의 후단 절곡부에는 탭에 체결되는 볼트가 관통하도록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켓 플레이트의 개방부에 장착된 흙빠짐판의 슬롯들은 오거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예취된 곡물을 공급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오거에 있어 곡물이 오거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부위에 장착된 흙빠짐판의 슬롯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공급부의 전방에 위치한 흙빠짐판의 슬롯은 공급부를 향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버켓 플레이트는 곡물과 함께 예취부의 버켓 내부로 유입된 흙을 버켓 바깥으로 배출할 수 있는 흙빠짐판을 설치하여 탈곡부로 유입되는 흙을 절감시킴으로써, 탈곡부의 과도한 부하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선별 처리 작업 또한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버켓 플레이트는 흙빠짐판을 예취부의 버켓에 탈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수확하는 곡물에 따라 흙빠짐판을 용이하게 탈거하거나 장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버켓 플레이트는 입자가 작은 콩과 같은 곡물일지라도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구성하여 수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콤바인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예취부 버켓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버켓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흙빠짐판이 버켓에 장착된 상태(A부분)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흙빠짐판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흙빠짐판이 버켓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흙빠짐판을 교체하기 위한 폐쇄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예로서, 오거의 작동관계와 연관된 흙빠짐판의 슬롯 방향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흙빠짐판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흙빠짐판을 구비한 콤바인의 버켓 플레이트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콤바인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예취부 버켓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버켓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흙빠짐판이 버켓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흙빠짐판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흙빠짐판이 버켓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흙빠짐판을 교체하기 위한 폐쇄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바인(10)은 선단에 예취부(20)가 위치하며, 예취부(20)에서 예취된 곡물은 예취부(20)의 버켓(100)으로 연장된 공급부(30)를 통해 탈곡부(40)로 이송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취부(20)의 버켓(100) 선단에는 예취날(101)이 장착되고, 예취날(101)의 양단에는 디바이더(103)가 장착되며, 버켓(100)은 오거(도 1의 105)의 하부와 후방을 감싸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예취부(20)의 버켓(100)에 있어서, 버켓(100)의 바닥면에는 흙빠짐판(110) 또는 폐쇄판(도 7의 130)이 장착되도록 사각 구조의 개방부(도 6의 129)가 형성되며, 수확하는 곡물의 특징에 따라 개방부(129)에 흙빠짐판(110) 또는 폐쇄판(130)이 장착된다.
아래에서는 개방부(129)가 형성된 버켓(100), 버켓(100)에 장착되는 흙빠짐판(110) 및 폐쇄판(130)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켓(100)의 바닥면에는 보강대(123)들이 길이방향의 간격을 두고 버켓(100)의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장착되며, 보강대(123)에 버켓 플레이트(121)가 고정되어 버켓(10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버켓 플레이트(121)에는 보강대(123)들 사이에 대응하여 사각의 개방부(도 6의 129)가 형성된다.
한편, 보강대(123)들 사이에는 버켓(100)의 종방향으로 고정대(127)가 고정되는데, 고정대(127)는 개방부(129)의 일변과 평행하게 고정되며, 고정대(127)에는 스터드볼트(도 6의 127B)가 고정대(127)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된다.
또한 버켓(100)의 후단에는 보강대(123)들을 연결하는 후단 보강대(125)가 고정되며, 후단 보강대(125)는 사각 개방부(129)의 타변과 평행하게 고정되고, 후단 보강대(125)에는 복수의 탭(125T)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만약 버켓(100)의 바닥면에 바로 흙빠짐판(110) 및 폐쇄판(130)을 고정하게 되면 볼트 또는 너트 등의 결합부재가 버켓(100)의 내부에 돌출부를 형성하게 되고, 예취부(20)에서 예취된 곡물이 돌출부로 인하여 오거(105)에 의한 공급부(30)로의 이송을 방해받기 때문에 버켓(100)의 바닥면에 고정대(127)과 후단 보강대(125)를 형성하여 흙빠짐판(110) 또는 폐쇄판(130)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버켓(100)의 개방부(129)에 흙빠짐판(110)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된다.
흙빠짐판(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켓 플레이트(121)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휘어지며 흙이 빠질 수 있도록 슬롯(111)들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된 받침부(113)와, 버켓(100)의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대(127)에 접하도록 받침부(113)의 선단이 절곡된 선단 절곡부(115)와, 버켓(100)의 바닥면에 위치한 후단 보강대(125)에 접하도록 받침부(113)의 후단이 절곡된 후단 절곡부(117)와, 보강대(123)의 측면과 접하도록 받침부(113)의 양측이 각각 절곡된 양측 절곡부(119)를 포함한다.
따라서 흙빠짐판(110)을 버켓(100)의 개방부(129)에 위치하였을 때에, 선단 절곡부(115)는 고정대(127)에 접해 위치하며, 선단 절곡부(115)에 형성된 구멍(115H)들에는 고정대(127)에 고정된 스터드볼트(127B)들이 각각 관통해 위치한다.
또한, 후단 절곡부(117)는 후단 보강대(125)에 접해 위치하며 후단 절곡부(117)에 형성된 구멍(117H)들은 후단 보강대(125)에 형성된 탭(125T)과 대응하며, 볼트가 구멍(117H)을 관통해 탭(125T)에 체결된다. 그리고 양측 절곡부(119)는 버켓(100)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보강대(123)의 측면에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개방부(129)에 흙빠짐판(110)을 위치할 경우 선단 절곡부(115)의 구멍(115H)을 관통한 스터드볼트(127B)에 너트를 체결하고 후단 절곡부(117)의 구멍(117H)과 대응하는 후단 보강대(125)의 탭(125T)에 볼트를 체결하면, 흙빠짐판(110)의 선단과 후단이 각각 고정대(127)와 후단 보강대(125)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양측 절곡부(119)는 보강대(123)의 측면과 접하여 위치함에 따라 흙빠짐판(110)이 좌우측방향으로 이동을 차단하며, 틈이 형성되지 않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흙빠짐판(110)의 선단 절곡부(115)를 고정대(127)에 고정하고, 후단 절곡부(117)를 후단 보강대(125)에 고정한 후 양측 절곡부(119)가 보강대(123)에 접해 위치한 상태에서, 흙빠짐판(110)의 받침부(113)는 버켓(100)의 바닥면인 버켓 플레이트(121)과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휘어져 위치한다. 따라서 버켓(100)의 바닥면과 흙빠짐판(110)의 받침부(113)가 매끈하게 이어지면서 흙빠짐판(110)과 버켓(100)의 바닥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게 한다.
여기에서 틈이란 통상의 콩의 입자보다 작은 틈으로서, 제조과정 중에 발생하는 오차범위에 따른 간격은 고려하지 않는다.
그리고 흙빠짐판(110)에 형성된 슬롯(111)의 폭은 곡물의 입자보다 작으며, 수확하는 곡물의 입자 크기에 따라 슬롯의 폭이 다른 흙빠짐판을 구비하여 버켓(100)에 장착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곡물 중에서 줄기가 상부로 곧게 뻗어 있으며, 이삭들이 줄기의 상단에 열리는 벼·보리·밀과 같은 곡물을 수확할 경우에는 흙이 버켓(100) 안으로 거의 유입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판(130)을 장착한다.
폐쇄판(130)은 흙빠짐판(110)과 유사한 구조로, 받침부(133)에 슬롯이 형성되지 않았을 뿐, 흙빠짐판(110)과 동일한 선단 절곡부(135), 후단 절곡부(137) 및 양측 절곡부(139)가 형성되며, 받침부(133)의 곡률반경 또한 흙빠짐판(110)과 동일하여 버켓(100)에 장착할 경우 버켓(100)과 폐쇄판(130)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이다.
통상적으로 줄기의 상단에 열리는 벼·보리·밀은 입자가 콩과 같은 수확곡물에 비해 작으며, 수확 시에 버켓(100)으로 유입되는 흙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수확률을 높일 수 있게 폐쇄판(130)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흙빠짐판(110)은 그 받침부(113)에 슬롯(111)들이 모두 동일한 방향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흙빠짐판(110S)은 오거(105)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의 진행방향에 대해 흙빠짐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향성을 갖는 슬롯(111S)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도면에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예로서, 오거의 작동관계와 연관된 흙빠짐판의 슬롯 방향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흙빠짐판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취부(20)의 버켓(100)에는 종방향으로 3개의 흙빠짐판(110S, 110)이 장착되며, 버켓(100)에 장착된 오거(105)에 의해 곡물은 버켓(100)의 일측방향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오거(105)의 타측에 위치한 곡물은 오거(105)의 작동에 의해 공급부(도 1의 3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송된다.
한편, 곡물이 오거(105)에 의해 오거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부위에 위치한 흙빠짐판(110S)의 슬롯(111S)과 공급부(30)의 전방에 위치한 흙빠짐판(110)의 슬롯(111)의 방향성을 상호 다르게 구성된다.
우선 공급부(30)의 전방에 위치한 흙빠짐판(110)에 형성된 슬롯(111)의 방향성은 앞서 설명한 슬롯의 방향과 동일하게 공급부(30)를 향해 위치하지만, 곡물이 오거(105)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부위의 흙빠짐판(110S)의 슬롯(111S)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곡물과 흙이 오거(105)에 의해 이송됨에 있어서 흙이 슬롯(111S)을 통해 효과적으로 배출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슬롯(111S)의 각도는 오거(105)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겠으나, 이 경우 흙이 슬롯(111S)을 통해 빠지는 것은 효과적이나 흙의 분쇄 기능 즉 흙이 슬롯(111S)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부딪혀 분쇄되는 효과가 감소되기 때문에, 흙빠짐과 흙의 분쇄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슬롯(111S)의 각도는 약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경사진 슬롯(111S)이 형성된 흙빠짐판(110S)들은 곡물이 오거(105)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부위에 장착하고, 공급부(30)의 전방에는 공급부(30)를 향한 슬롯(111)이 형성된 흙빠짐판(110)을 장착함으로써, 흙분쇄와 흙빠짐 효과는 증대시킬 수 있다.
10 : 콤바인
20 : 예취부
100 : 버켓
110, 110S : 흙빠짐판
111, 111S : 슬롯
113, 133 : 받침부
115, 117, 119, 135, 137, 139 : 절곡부
121 : 버켓 플레이트
123 : 보강대
125 : 후단 보강대
127 : 고정대
130 : 폐쇄판

Claims (10)

  1. 콤바인 예취부(20) 버켓(100)의 바닥면인 버켓 플레이트(121)에 있어서,
    상기 버켓 플레이트(121)에는 개방부(129)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129)는 상기 예취부(20)로 유입된 흙이 배출될 수 있도록 슬롯(111)들이 형성된 흙빠짐판(100) 또는 상기 개방부(129)를 폐쇄하는 폐쇄판(130)이 탈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예취부의 버켓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버켓 플레이트(121)의 개방부(129)는 사각 구조로서, 개방부(129)의 일변에 대응하여 고정대(127)가 버켓 플레이트(121)의 저면에 고정되고, 개방부(129)의 타변에는 후단 보강대(125)가 버켓 플레이트(121)에 고정되며, 선단과 후단이 절곡된 흙빠짐판(110)의 선단 절곡부(115)가 고정대(127)에 체결되고 후단 절곡부(117)가 후단 보강대(125)에 체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예취부의 버켓 플레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버켓 플레이트(121)의 개방부(129)는 사각 구조로서, 개방부(129)의 일변에 대응하여 고정대(127)가 버켓 플레이트(121)의 저면에 고정되고, 개방부(129)의 타변에는 후단 보강대(125)가 버켓 플레이트(121)에 고정되며, 선단과 후단이 절곡된 폐쇄판(130)의 선단 절곡부(135)가 고정대(127)에 체결되고 후단 절곡부(137)가 후단 보강대(125)에 체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예취부의 버켓 플레이트.
  4. 제2항에 있어서,
    양측이 절곡된 흙빠짐판(110)의 양측 절곡부(119)는 버켓 플레이트(121)의 저면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보강대(123)에 접하여 위치함으로써, 흙빠짐판(110)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예취부의 버켓 플레이트.
  5. 제3항에 있어서,
    양측이 절곡된 폐쇄판(130)의 양측 절곡부(139)는 버켓 플레이트(121)의 저면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보강대(123)에 접하여 위치함으로써, 폐쇄판(130)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예취부의 버켓 플레이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방부(129)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흙빠짐판(110) 또는 폐쇄판(130)에 있어 흙빠짐판(110) 및 폐쇄판(130)은 버켓 플레이트(121)의 곡률반경과 같은 곡률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예취부의 버켓 플레이트.
  7. 제2항에 있어서,
    고정대(127)에는 스터드볼트(127B)가 고정되고, 후단 보강대(125)에는 탭(125T)이 형성되며, 흙빠짐판(110)의 선단 절곡부(115)에는 스터드볼트(127B)가 관통하는 구멍(115H)이 형성되고, 흙빠짐판(110)의 후단 절곡부(117)에는 탭(125T)에 체결되는 볼트가 관통하도록 구멍(117H)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예취부의 버켓 플레이트.
  8. 제3항에 있어서,
    고정대(127)에는 스터드볼트(127B)가 고정되고, 후단 보강대(125)에는 탭(125T)이 형성되며, 폐쇄판(130)의 선단 절곡부(135)에는 스터드볼트(127B)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폐쇄판(130)의 후단 절곡부(137)에는 탭(125T)에 체결되는 볼트가 관통하도록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예취부의 버켓 플레이트.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켓 플레이트(121)의 개방부(129)에 장착된 흙빠짐판(110S)의 슬롯(111S)들은 오거(105)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예취부의 버켓 플레이트.
  10. 제9항에 있어서,
    예취된 곡물을 공급부(3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오거(105)에 있어 곡물이 오거(105)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부위에 장착된 흙빠짐판(110S)의 슬롯(111S)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공급부(30)의 전방에 위치한 흙빠짐판(110)의 슬롯(111)은 공급부(30)를 향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예취부의 버켓 플레이트.
KR1020140172718A 2014-12-04 2014-12-04 탈착식 흙빠짐판을 구비한 콤바인 버켓 플레이트 KR101942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718A KR101942121B1 (ko) 2014-12-04 2014-12-04 탈착식 흙빠짐판을 구비한 콤바인 버켓 플레이트
CN201520998584.6U CN205584799U (zh) 2014-12-04 2015-12-04 联合收割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718A KR101942121B1 (ko) 2014-12-04 2014-12-04 탈착식 흙빠짐판을 구비한 콤바인 버켓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394A true KR20160067394A (ko) 2016-06-14
KR101942121B1 KR101942121B1 (ko) 2019-01-24

Family

ID=5619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718A KR101942121B1 (ko) 2014-12-04 2014-12-04 탈착식 흙빠짐판을 구비한 콤바인 버켓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1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105A (ko) * 2019-07-08 2021-01-1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청소수단의 기능이 개선된 콤바인 공급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36Y2 (ja) * 1980-04-25 1985-06-04 帝人株式会社 多錘取り用の紡糸口金パツク
JPS6244116A (ja) * 1985-08-19 1987-02-26 井関農機株式会社 大豆収穫機における大豆回収装置
JPH04325023A (ja) * 1991-04-24 1992-11-13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JP2001333619A (ja) * 2000-05-30 2001-12-04 Iseki & Co Ltd 汎用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US20030010010A1 (en) * 2001-07-12 2003-01-16 Dominik Buermann Cutting mechanism for harvesters
KR200406493Y1 (ko) 2005-11-02 2006-01-23 최정희 콤바인 탈곡기의 선별망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8436B2 (ja) 2012-06-28 2016-11-02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筒状体支持部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36Y2 (ja) * 1980-04-25 1985-06-04 帝人株式会社 多錘取り用の紡糸口金パツク
JPS6244116A (ja) * 1985-08-19 1987-02-26 井関農機株式会社 大豆収穫機における大豆回収装置
JPH04325023A (ja) * 1991-04-24 1992-11-13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JP2001333619A (ja) * 2000-05-30 2001-12-04 Iseki & Co Ltd 汎用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US20030010010A1 (en) * 2001-07-12 2003-01-16 Dominik Buermann Cutting mechanism for harvesters
KR200406493Y1 (ko) 2005-11-02 2006-01-23 최정희 콤바인 탈곡기의 선별망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105A (ko) * 2019-07-08 2021-01-1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청소수단의 기능이 개선된 콤바인 공급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121B1 (ko) 2019-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1652B1 (en) Removable covering plate and agricultural harvester
US10390490B1 (en) Concaves for an agricultural combine
US9723791B1 (en) Concaves for an agricultural combine
US8142266B2 (en) Threshing system including threshing elements having openings for grain passage
EP3815508A1 (en) Threshing components for combine harvester
US8833048B2 (en) Harvesting header bat with adjustably spaced quick release fingers
US7975462B1 (en) Modular floor assembly for a combine header
US20210380718A9 (en) Combine harvester concave threshing bar
KR101942121B1 (ko) 탈착식 흙빠짐판을 구비한 콤바인 버켓 플레이트
US20170079212A1 (en) Transition cone liner for a farm combine
US20060205452A1 (en) Combine harvester
CN204669919U (zh) 一种排草方向可调的收割机
KR101942122B1 (ko) 흙빠짐 기능을 구비한 콤바인 공급부
JP2021065146A (ja) コンバイン
KR20160067396A (ko) 콤바인의 릴
US2159663A (en) Grain screen for feeders
JP6891251B2 (ja) コンバイン
US11647693B2 (en) Stomping shoe assembly for an agricultural harvester header
KR102287488B1 (ko) 청소수단의 기능이 개선된 콤바인 공급부
US20110179760A1 (en) Offset guard bolt attachment system
JP2019010071A (ja) 脱穀装置
JP6193090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
JP6482907B2 (ja) 脱穀装置
JP6578112B2 (ja) 脱穀装置
JP3298704B2 (ja) コンバインの排藁カッタ−切換カ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