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969A -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969A
KR20160066969A KR1020140172452A KR20140172452A KR20160066969A KR 20160066969 A KR20160066969 A KR 20160066969A KR 1020140172452 A KR1020140172452 A KR 1020140172452A KR 20140172452 A KR20140172452 A KR 20140172452A KR 20160066969 A KR20160066969 A KR 20160066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color
graphical user
readability
proces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학
명지혜
박상현
정종일
이은주
한봉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2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6969A/ko
Publication of KR2016006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96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 색상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들을 설정하는 동작; 상기 설정된 구성 요소들이 적용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가독성 정도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설정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여, 가독성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상술한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Description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DISPLAYING GRAPHIC USER INFTERFACE SCREE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tablet) PC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는, 제조 회사의 디자인 결정에 맞추어진 획일적이며 단일화된 디자인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변경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매우 복잡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러 사용자들의 개인적 욕구 및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종류의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많은 사용자들이,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한 디자인의 GUI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을 가독성(legibility) 있게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 색상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들을 설정하는 동작; 상기 설정된 구성 요소들이 적용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가독성 정도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설정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여, 가독성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선택 색상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들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구성 요소들이 적용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가독성 정도를 판단한 후, 상기 설정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여, 가독성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가독성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적층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설정 메뉴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설정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설정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색상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의 가독성 판단 기준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HSBA 바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독성 판단 기준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여러 형태의 변경을 가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 100은, 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tablet) PC 등과 같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 100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101, 입출력 인터페이스 102, 프로세서 103, 통신 모듈 104, 그리고 메모리 105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 105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작동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여러 종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들이, GUI 세트 정보(GUI Set Info.) 105a 로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05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는 디자인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에 대한 가독성(legibility) 정도(또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기준 정보(Reference Info.) 105b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가독성은, 알려진 바와 같이, 문자, 기호 또는 도형 등이 얼마나 쉽게 읽히는가 하는 능률의 정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색상에 대한 가독성은, 시인성 또는 명시성 등으로 다양하게 일컬어질 수 있다. 상기 명시성은 먼 거리에서 잘 보이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명도, 채도, 그리고 색상 차가 큰 색일수록 명시성이 높다. 이하에서는, 상기 시인성 또는 명시성 등을 통칭하여 가독성이라고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적층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Display Layer)들이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보는 하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200은, 제1 배경(background 1) 201, 제2 배경(background 2) 202, 메인 프레임(main frame) 203, 분배 라인(divide line) 304, 오버레이 텍스트(overlay text) 205, 버튼(button) 206, 바디 텍스트(body text) 207, 그리고 컴포넌트(component) 208 등과 같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들이 차례대로 적층되어, 하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들은, 예를 들어, 서로 연관성 있는 구성 요소(Element)들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색상(Hue), 채도(Saturation), 밝기(Brightness), 그리고 투명도(Alpha) 등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설정 메뉴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의 프로세서 103은,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예: 색상)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임시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뉴 화면 300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Hue)을 선택할 수 있는 컬러 바(color bar)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상기 컬러 바는, 예를 들어, 메인 컬러 바 301과, 서브 컬러 바 302 등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03은, 사용자가 상기 메인 컬러 바 301를 이용하여 임의의 한 컬러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컬러에 해당하는 보다 상세한 컬러 바를 서브 컬러 바 302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메인 컬러 바 301를 통해 오렌지색(orange)을 선택하면, 상기 오렌지색에 해당하는 보다 상세한 서브 컬러 바 302를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03은,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에 기반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들을 설정한 후, 상기 구성 요소들이 설정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소형 크기의 미리 보기(preview) 화면 등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은, 임시 설정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뉴 화면 300에는, 원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303와, 상기 구성 요소들이 설정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304가 미리 보기 화면으로 대비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임의의 색상에 기반하여, 적용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설정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의 프로세서 103은, 상기와 같이 메뉴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임의의 한 색상(H: Hue) 400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색상과, 상기 색상에 연계된 채도(S: Saturation) 및 밝기(B: Brightness) 를 적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구성하는 컴포넌트 (Component)들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어 401를 구성하는 타이틀 배경(Title BG) 401a, 리스트 서브 텍스트 컬러(List sub text color) 401b, 리스트 프레스(List press) 401c, 그리고 툴바(Toolbar) 401d 등의 색상(H), 채도(S), 밝기(B) 등을, 상기 선택된 색상 400에 기반하여 설정한 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 402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설정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의 프로세서 103은,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H)과, 상기 색상에 연계된 채도(S) 및 밝기(B)를, 여러 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500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틀(tile)이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501, 502, 505, 메시지(message)가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503, 앱 아이콘이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504, 그리고 전화 다이얼 버튼이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506 등의 색상(H), 채도(S), 밝기(B), 그리고 투명도(A)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색상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의 프로세서 103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색상을, 다양한 컬러 세트(color set)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컬러 세트는, 고유의 색상(H), 채도(S), 밝기(B) 등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색상은, 1 개의 메인 세트(main set) 600으로 설정되거나, 1 개의 메인 세트(main set) 및 1 개의 서브 세트(sub set) 601으로 설정되거나, 1 개의 메인 세트(main set) 및 2 개의 서브 세트들(sub set 1, 2) 602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의 가독성 판단 기준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의 프로세서 103은,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에 기반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색상(H), 채도(S), 밝기(B)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추가적 또는 대체적으로 투명도(A: Alpha)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 103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정해진 색상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색상표 700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원하는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색상표는 RGB, HSB, Hue circle, 먼셀(munsell)/오스트발트(ostward) 색입체 등과 같이 널리 알려진 다양한 색상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03은,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에 기반하여 적용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가독성 정도(또는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에 대한 색상, 채도, 밝기, 투명도 중 어느 하나를 변경하여, 가독성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선택 색상이, 도 7의 최고 명도 색상 α 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 이내의 색상인 경우, 전체적으로 밝은 계열(Light theme)로 GUI가 설정되고, 최저 명도 색상 β 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 이내 색상인 경우에는, 어두운 계열(Dark theme)로 GUI가 설정된다.
상기 최고 명도 색상과 최저 명도 색상인 α 와 β 의 이론적인 색상 값은 α = 60˚, 와 β = 240˚ 가 된다. 이는 국제 조명 위원회(CIE)에서 사용중인 먼셀 색 입체(Munsell renotation color system)에 기반한다. 다만,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예: LCD, OLED 터치 스크린, LED 등)의 화상 보정 값에 따라, 실제 기준 각도 α’ 와 β’ 는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상기 실제 기준 각도 α’ 와 β’ 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 이내의 색은 밝은 계열과 어두운 계열로 자동 설정될 수 있고, 그 이외에 중간색들은 사용자의 직접 설정이나 GUI 공급자(예: 개발자 또는 디자이너)의 설정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HSBA 바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HSBA 바 800은, 색상(H) 바 801, 채도(S) 바 802, 밝기(B) 바 803, 그리고 투명도(A) 바 804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색상 바 805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 806 기준으로, GUI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 예를 들어, 텍스트(Text), 배경(Background), 포인트 컬러(Point color) 등에 대한 색상, 채도, 밝기, 투명도 등은, GUI 개발자가 미리 설정한 GUI 세트 정보 105a로서, 상기 메모리 105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03은, 상기 GUI 세트 정보 105a를 참조하여, 사용자 선택 색상 806에 기반한 색상, 채도, 밝기, 투명도의 GUI로 변경한 후, 상기 변경된 GUI의 가독성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GUI의 색상, 채도, 밝기 투명도 중 어느 하나를 다시 변경함으로써, 가독성 있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 103은,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 806의 HSBA 요소를 파악하여, 텍스트(text) 등과 같은 GUI 구성 요소를 밝은 색으로 보정할 지 또는 어두운 색으로 보정할 지를 소프트웨어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03은,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이 밝은 색 계열인 경우, 텍스트를 검은 색으로 보정하고, 어두운 색 계열인 경우, 텍스트를 흰색으로 보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03은, 채도가 Saturation ≤ γ 인 경우, 색상에 상관 없이, 밝기에 기반하여 텍스트를 흑 또는 백으로 전환하여 보정하고, 밝기가 Brightness ≤ x 인 경우, 텍스트를 백색으로 보정하며, 밝기가, Brightness ≥ y 인 경우, 텍스트를 흑색으로 보정한다. 이에 대한 이론적인 기준 값은 γ=20, x=40, y=30 이다. 다만, 디스플레이의 화상 보정 값으로 인해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03은, 상기와 같이, H, S, B, A의 각 요소들을 복합적인 관계식으로 분석하여, 가독성의 최소 수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합적인 관계식으로 분석하는 소프트웨어의 계산을 통해, 가시성 확보가 필요한 요소(예: 텍스트, 아이콘, 인디케이터 등)들이 현재 사용중인 배경 이미지(예: 홈 스크린, 락 스크린 등)에서도 허용 범위 이상의 차이가 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독성 판단 기준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가독성 판단 기준 정보 900은, 예를 들어, GUI 개발자 또는 디자이너가, 사전에 실시한 다양한 실험 결과 값들로부터 추출한 적정 범위의 가독성 판단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독성 판단 기준 정보는, 룩업 테이블 형태, 또는 알고리즘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저장 및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가독성 판단 기준 정보 900은, 카테고리 필드 901, 컴포넌트 필드 902, 세부 컴포넌트 필드 903, 코드 명 필드 904, 입력 색상 필드 905, HSB 변화 량 필드 906, 그리고 투명도 907 등의 다양한 필드들이 서로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 필드 901에는, 변경 가능한 컴포넌트(Changeable component) 등이 기록될 수 있고, 상기 컴포넌트 필드 902에는, 네비게이션 바(Navigation bar) 등이 기록될 수 있고, 상기 세부 컴포넌트 필드 903에는, 타이틀 배경(Title BG) 등이 기록될 수 있고, 상기 코드 명 필드 904에는, 상기 타이틀 배경에 대응되는 코드 값(C0111)이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색상 필드 905에는, 특정 색상을 나타내는 값(A)이 기록될 수 있고, 상기 HSB 변화 량 필드 906 에는, 색상(H:0), 채도(S:0), 밝기(B:0)의 변화 값이 기록될 수 있고, 상기 투명도 필드 907에는, 투명 율(100%)이 기록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03은, 사용자 선택 색상에 기반하여 임시로 설정된 GUI의 가독성 정도를, 상기 가독성 판단 기준 정보 900를 참조하여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준 정보 보다 높으면 가독성이 있거나 높은 것이고, 상기 기준 정보 보다 낮으면, 가독성이 없거나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03은,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정보 900의 HSB 변화 량 필드 906에 기록된 HSB 변화 량에 기반하여, 가독성이 있고 없음 또는 높고 낮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 선택 색상에 기반하여 적용할 GUI의 타이틀 배경(일반)의 HSB 변화 량 및 투명도를, 도 9의 기준 정보 900에 저장되어 있는 타이틀 배경(일반)의 HSB 변화 량(예: H:0, S:0, B:0) 및 투명도(예: 100%)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교 결과, 80 % 이상 유사하면, 가독성이 있으면서 높다고 판단하고, 80% 미만 내지 50% 이상 유사하면, 가독성이 있지만 낮다고 판단하고, 50% 미만 유사하면, 가독성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단순한 실시 예를 설명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 103은, 상기 판단 결과, 가독성이 낮거나 없는 경우, 사용자 선택 색상과 유사한 다른 색상으로 보정하여 가독성 있는 GU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00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 103은, 사용자의 요청 등에 따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설정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동작 1001에서, 상기 프로세서 103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101을 동작 제어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설정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작 1002에서, 상기 프로세서 103은, 상기 디스플레이 101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을 확인하고, 동작 1003에서, 상기 프로세서 103은, 상기 사용자 선택 색상에 기반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색상, 채도, 밝기, 그리고 투명도 등을 임시로 설정할 수 있다.
동작 1004에서, 상기 프로세서 103은, 상기 색상, 채도, 밝기, 그리고 투명도 등이 임시로 설정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가독성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005에서, 상기 판단 결과가 가독성 정도가 낮으면, 동작 1006에서, 상기 프로세서 103은, 상기 임시로 설정된 색상, 채도, 밝기, 그리고 투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고, 동작 1007에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가독성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가 가독성 정도가 높으면, 동작 1006을 생략한 채로, 가독성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전자 장치 101: 디스플레이
102: 입출력 인터페이스 103: 프로세서
104: 통신 모듈 105: 메모리?

Claims (21)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 색상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들을 설정하는 동작;
    상기 설정된 구성 요소들이 적용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가독성 정도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설정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여, 가독성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택 색상을 획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에는, 사용자 선택이 가능한 다단계의 색상 선택 바들이 디스플레이 되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소형 크기의 미리 보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들은, 색상, 채도, 밝기, 그리고 투명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선택 색상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색상을 설정하고, 상기 색상에 연계된 채도, 밝기, 그리고 투명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설정된 구성 요소들이 적용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가독성 정도를, 사전에 설정된 가독성 판단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판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독성 판단 기준 정보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색상, 채도, 밝기, 그리고 투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계된 실험 결과 값들로서, 미리 저장되거나 업데이트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설정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가독성 판단 기준 정보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디스플레이될 텍스트, 아이콘, 인디케이터, 그리고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독성 있게 표시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선택 색상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들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구성 요소들이 적용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가독성 정도를 판단한 후, 상기 변경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여, 가독성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선택 색상을 획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에는, 사용자 선택이 가능한 다단계의 색상 선택 바들이 디스플레이 되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소형 크기의 미리 보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들은, 색상, 채도, 밝기, 그리고 투명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선택 색상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색상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색상에 상응하는 채도, 밝기, 그리고 투명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경된 구성 요소들이 적용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가독성 정도를, 사전에 설정된 가독성 판단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 정보 보다 높으면 가독성이 있거나 높은 것이고, 상기 기준 정보 보다 낮으면, 가독성이 없거나 낮은 것으로 판단하는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독성 판단 기준 정보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색상, 채도, 밝기, 그리고 투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계된 실험 결과 값들로서, 미리 저장되거나 업데이트되는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변경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가독성 판단 기준 정보에 기반하여 변경하는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디스플레이될 텍스트, 아이콘, 인디케이터, 그리고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독성 있게 표시하는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21. 전자 장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 색상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들을 설정하는 동작; 상기 설정된 구성 요소들이 적용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가독성 정도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설정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여, 가독성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1020140172452A 2014-12-03 2014-12-03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ithdrawn KR20160066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452A KR20160066969A (ko) 2014-12-03 2014-12-03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452A KR20160066969A (ko) 2014-12-03 2014-12-03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969A true KR20160066969A (ko) 2016-06-13

Family

ID=56191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452A Withdrawn KR20160066969A (ko) 2014-12-03 2014-12-03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69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430A1 (ko) * 2022-05-30 2023-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430A1 (ko) * 2022-05-30 2023-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595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1124963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RU264242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ставл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CN104778047B (zh) 一种内容显示方法及终端
CN104965631B (zh) 桌面配色方法、装置及智能终端
US9311000B2 (en)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for smart devices
CN103870155B (zh) 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US20080252604A1 (en) OSD controll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4536771B (zh) 根据图标颜色的图标排序显示方法及系统
CN113808120B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4978186B (zh) 一种界面皮肤的渲染方法和装置
CN106502689A (zh) 一种状态栏的显示方法以及装置
CN111796889A (zh) 终端界面颜色矫正方法、装置、电子设备和终端
WO2018103418A1 (zh) 应用图标的生成方法和装置
EP3285474B1 (en) Colour gamut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04449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umber input in an electronic device
CN105955754A (zh) 一种用户界面文字显示方法及装置
US10679383B2 (en) Interface color branding
CN104346042A (zh) 显示区域设置方法和显示区域设置装置
KR20160066969A (ko)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5134573A (zh) 一种色彩设置方法、显示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653250A (zh) 屏幕显示的演示方法、装置以及终端设备
CN111459440A (zh) 控制方法、控制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EP3604949B1 (en) Facility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US20100060657A1 (en) Digital photo frame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