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360A -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360A
KR20160051360A KR1020140151236A KR20140151236A KR20160051360A KR 20160051360 A KR20160051360 A KR 20160051360A KR 1020140151236 A KR1020140151236 A KR 1020140151236A KR 20140151236 A KR20140151236 A KR 20140151236A KR 20160051360 A KR20160051360 A KR 20160051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gesture mode
mode
gesture
po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6084B1 (ko
Inventor
우승현
안대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1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084B1/ko
Publication of KR20160051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는 포인터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제스처 인식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GESTURE RECOGNITION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제스처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탑재된다. 예를 들어, 라디오 장치, 음악 재생 장치, 내비게이션 장치, 공조 장치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탑재되고 있다.
종래의 차량에 탑재되는 전자 장치들은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작된다. 이때,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사용자(특히, 운전자)가 눈으로 확인하며 조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안전 운전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선 분산을 최소화하여 운전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차량에 탑재되는 전자 장치들을 작동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상기 전자 장치들을 조작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제스처 인식 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제스처를 수행하는 위치가 매번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라디오 장치의 볼륨 조절과 같은 미세한 조절이 필요한 기능의 경우에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라디오 장치의 볼륨 조절이 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매번 사용자가 동일한 거리만큼 손을 움직이더라도 사용자의 손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스처 인식 장치에서 판단하는 손의 이동 거리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매번 동일한 제스처를 취하더라도, 볼륨 조절량은 매번 달라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스테레오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와 공간 제스처 모두를 인식할 수 있는 차량용 제스처 인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는, 포인터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제스처 인식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는 모드 변경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스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스처 모드는 터치 제스처 모드와 공간 제스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스처 모드가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포인터의 접촉 위치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포인터의 접촉 위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스처 모드가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방향을 기초로 사용자의 공간 제스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차량 내에 구비된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제어 대상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기능들은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 및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설정된 영역 상에서 설정된 공간 제스처가 수행되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라디오 장치인 경우,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볼륨 조절 기능이고,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채널 탐색 기능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음악 재생 장치인 경우,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볼륨 조절 기능이고,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트랙 탐색 기능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전화 장치인 경우,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볼륨 조절 기능이고,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통화 응답 기능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내비게이션 장치인 경우,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볼륨 조절 기능이고,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목적지 탐색 기능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공조 장치인 경우,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풍량 조절 기능이고,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풍향 조절 기능일 수 있다.
상기 포인터는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골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포인터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암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와 공간 제스처 모두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탑재되는 전자 장치들에 제스처 인식 기능을 적용하는 경우 제스처 인식 기능의 성능 평가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인식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 모드 및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의 기능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인식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인식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10), 카메라(camera)(20), 및 제어 모듈(controller)(30)을 포함한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10)는 사용자의 몸에 부착되며, 포인터(pointer)(12) 및 근거리 통신 모듈(short-range communicator)(1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10)를 부착한 상태에서 터치 제스처 또는 공간 제스처를 취한다. 상기 터치 제스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다른 물체(예를 들어, 대시보드(5), 스티어링 휠(7) 등)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스처를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공간 제스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공간에서 제스처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포인터(12)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골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포인터(12)는 모드 변경 스위치(122) 및 광원(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122)는 돔 스위치(dome switch)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위칭 동작하는 다양한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포인터(12)가 끼워진 사용자의 손가락과 다른 물체 사이의 접촉에 따라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122)가 스위칭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122)는 접촉이 유지된 상태에서 턴 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광원(124)은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빛을 발광하는 다양한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원(124)이 빛을 방광함에 따라 야간 주행에서도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4)은 제어 모듈(30)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4)은 2.4 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어 모듈(30)로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122)의 스위칭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4)은 충전 배터리(142) 및 USB 드라이버(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SB 드라이버(144)를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하여 상기 충전 배터리(142)가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4)의 구동 전력은 별도의 배터리의 교체를 통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포인터(12)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4)은 케이블(18)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4)은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122)의 스위칭 동작에 따른 턴 온 신호 또는 턴 오프 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30)로 전송하고, 상기 광원(124)은 상기 충전 배터리(142)의 전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10)는 암 밴드(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 밴드(16)를 통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4)이 사용자의 손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10)의 착용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10)를 사용자의 몸에 부착할 수 있는 다양한 부착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0)는 제스처 인식 영역을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20)는 차량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스처 인식 영역은 사용자가 제스처를 취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당업자가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는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0)는 CCD(charge coupled device)를 포함하는 다양한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20)는 적외선 카메라 또는 스테레오 카메라 보다 저렴한 카메라(예를 들어, 웹캠)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12)는 상기 광원(124)을 포함하기 때문에,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30)은 스테레오 카메라를 통한 깊이 정보 없이도 사용자의 제스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30)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4)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카메라(20)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 모듈(30)은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포인터(12)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제어 모듈(30)은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제스처 인식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30)은 제스처 모드에 따라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한다. 상기 제스처 모드는 터치 제스처 모드와 공간 제스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터치 제스처를 수행할 때 설정되는 모드이고,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공간 제스처를 수행할 때 설정되는 모드이다.
상기 제어 모듈(30)은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12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스처 모드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30)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4)로부터 턴 온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가 설정되고, 턴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모듈(30)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4)로부터 턴 온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면,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가 설정된 상태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스처 모드가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30)은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포인터(12)의 접촉 위치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 모듈(30)은 상기 포인터(12)의 접촉 위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판단할 수 있다. 대시보드(5), 스티어링 휠(7), 및 상기 카메라(20)의 설치 위치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어 모듈(30)은 상기 포인터(12)의 접촉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인터(12)가 대시보드(5)와 스티어링 휠(7)과 같은 평면이 아닌 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하더라도, 상기 제어 모듈(30)은 상기 포인터(12)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20)가 깊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스테레오 카메라가 아니더라도, 상기 제어 모듈(30)은 상기 포인터(12)의 이동 거리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스처 모드가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30)은 포인터(12)의 이동 방향을 기초로 사용자의 공간 제스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스처 모드가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가 아닌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30)은 상기 포인터(12)의 이동 거리를 정확하게 판단할 필요 없이 상기 포인터(12)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따라서, 상기 제스처 모드가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인 경우, 제어 모듈(30)의 제스처 인식을 위한 연산량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30)은 차량 내에 구비된 복수의 전자 장치들(40) 중 제어 대상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40)은 라디오 장치(41), 음악 재생 장치(42), 전화 장치(43), 내비게이션 장치(44), 및 공조 장치(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30)은 설정된 영역 상에서 설정된 공간 제스처가 수행되면, 상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내비게이션 장치(44)인 경우, 상기 설정된 영역은 내비게이션 장치(44)의 표시 영역(A1)일 수 있고, 상기 설정된 공간 제스처는 회전 제스처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표시 영역(A1) 상에서 회전 제스처를 수행하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44)가 제어 대상 장치로 선택되고, 내비게이션 장치(44)의 기능들이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음악 재생 장치(42)인 경우, 상기 설정된 영역은 음악 재생 장치(42)의 기능 버튼들이 구비된 영역(A2)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 모드 및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의 기능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기능들은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 및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으로 구분되어 있다. 즉, 볼륨 조절 기능과 같이 정량적인 정보의 처리가 필요한 기능에 대해서는 상기 포인터(12)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터치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라디오 장치(41)인 경우,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볼륨 조절 기능과 주파수 탐색 기능이고,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채널 탐색 기능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음악 재생 장치(42)인 경우,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볼륨 조절 기능이고,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트랙 탐색 기능과 폴더 탐색 기능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전화 장치(43)인 경우,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볼륨 조절 기능이고,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통화 응답 기능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내비게이션 장치(44)인 경우,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볼륨 조절 기능이고,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목적지 탐색 기능과 경로 재탐색 기능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공조 장치(45)인 경우,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온도 조절 기능과 풍량 조절 기능이고,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풍향 조절 기능일 수 있다.
상기 기능들에 대응하는 제스처는 당업자가 바람직하다고 판단하는 제스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륨 조절 기능에 대응하는 제스처는 업/다운 제스처이고, 채널 탐색 기능에 대응하는 제스처는 좌/우 제스처이며, 주파수 탐색 기능에 대응하는 제스처는 회전 제스처일 수 있다. 상기 기능들에 대응하는 설정된 제스처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와 공간 제스처 모두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탑재되는 전자 장치들에 제스처 인식 기능을 적용하는 경우 제스처 인식 기능의 성능 평가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5: 대시보드 7: 스티어링 휠
10: 웨어러블 장치 12: 포인터
14: 근거리 통신 모듈 16: 암 밴드
18: 케이블 20: 카메라
30: 제어 모듈 40: 복수의 전자 장치들

Claims (16)

  1. 포인터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제스처 인식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모드 변경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스처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모드는 터치 제스처 모드와 공간 제스처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모드가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포인터의 접촉 위치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포인터의 접촉 위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모드가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방향을 기초로 사용자의 공간 제스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차량 내에 구비된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제어 대상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기능들은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 및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설정된 영역 상에서 설정된 공간 제스처가 수행되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라디오 장치인 경우,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볼륨 조절 기능이고,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채널 탐색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음악 재생 장치인 경우,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볼륨 조절 기능이고,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트랙 탐색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전화 장치인 경우,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볼륨 조절 기능이고,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통화 응답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내비게이션 장치인 경우,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볼륨 조절 기능이고,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목적지 탐색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공조 장치인 경우,
    상기 터치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풍량 조절 기능이고, 상기 공간 제스처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은 풍향 조절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광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골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암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KR1020140151236A 2014-11-03 2014-11-03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KR101886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236A KR101886084B1 (ko) 2014-11-03 2014-11-03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236A KR101886084B1 (ko) 2014-11-03 2014-11-03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360A true KR20160051360A (ko) 2016-05-11
KR101886084B1 KR101886084B1 (ko) 2018-08-07

Family

ID=56026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1236A KR101886084B1 (ko) 2014-11-03 2014-11-03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08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175A (ko) * 2017-09-27 2019-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0040461A1 (ko) * 2018-08-21 2020-02-27 송세흠 흐르는 유체로부터 에너지를 획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31366B1 (ko) * 2020-01-03 2021-03-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블랙박스 카메라를 이용한 생활 불편신고 시스템
CN113460070A (zh) * 2019-03-21 2021-10-0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车辆控制方法和装置
CN117032447A (zh) * 2022-05-31 2023-11-10 荣耀终端有限公司 隔空手势交互方法、装置、电子芯片及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667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
KR20050074800A (ko) * 2004-01-14 2005-07-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컴퓨터 시각 기반의 제스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52398A (ko) * 2006-12-05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식 영상 카메라를 구비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KR20140046343A (ko) * 2012-10-10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55033A (ko) * 2012-10-30 2014-05-0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667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
KR20050074800A (ko) * 2004-01-14 2005-07-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컴퓨터 시각 기반의 제스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52398A (ko) * 2006-12-05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식 영상 카메라를 구비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KR20140046343A (ko) * 2012-10-10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55033A (ko) * 2012-10-30 2014-05-0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175A (ko) * 2017-09-27 2019-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0040461A1 (ko) * 2018-08-21 2020-02-27 송세흠 흐르는 유체로부터 에너지를 획득하는 장치 및 방법
CN113460070A (zh) * 2019-03-21 2021-10-0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车辆控制方法和装置
CN113460070B (zh) * 2019-03-21 2022-12-1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车辆控制方法和装置
KR102231366B1 (ko) * 2020-01-03 2021-03-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블랙박스 카메라를 이용한 생활 불편신고 시스템
CN117032447A (zh) * 2022-05-31 2023-11-10 荣耀终端有限公司 隔空手势交互方法、装置、电子芯片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084B1 (ko) 201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084B1 (ko)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CN105045375B (zh) 头部佩戴型显示装置、其控制方法、控制系统及计算机程序
US10514790B2 (en) Display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716145B1 (ko) 이동단말기,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CN105446172B (zh) 一种车载控制方法、车载控制系统及汽车
US9891756B2 (en) Vehic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capacitive and light-based input sensors
KR20150072074A (ko) 차량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686009B1 (ko) 단말기,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11231860B (zh) 用于车辆的操作模块、操作方法、操作系统及存储介质
CN109147371B (zh) 行驶路线确定方法及装置和计算机设备
KR20150000076A (ko) 차량용 블라인드 콘트롤 시스템
KR101841501B1 (ko) 카 쉐어링을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카 쉐어링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60114486A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1698102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368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9043B1 (ko) 이동단말기,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JP2018103646A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及び車両用情報表示プログラム
JPWO2019176787A1 (ja) 操作画像表示装置、操作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操作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11724701B2 (en) Terminal device, personal mobility, method for controlling the personal mobility
KR101916425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KR101856255B1 (ko) 내비게이션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31174A (ko) 제스처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132992A (ko) 사용자 동작 인식 기반의 차량용 hmi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892498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KR20120046614A (ko)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24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415

Effective date: 2018020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