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5387A -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기완자 - Google Patents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기완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45387A KR20160045387A KR1020140140853A KR20140140853A KR20160045387A KR 20160045387 A KR20160045387 A KR 20160045387A KR 1020140140853 A KR1020140140853 A KR 1020140140853A KR 20140140853 A KR20140140853 A KR 20140140853A KR 20160045387 A KR20160045387 A KR 201600453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k
- weight
- meat
- powder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5000012970 cak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10000003800 Pharynx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0000003670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159 sesame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1803 sesame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6927 Foeniculum vulgare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4204 Foeniculum vulgare Nutrition 0.000 claims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abstract 4
- 230000014860 sensory perception of taste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35917 taste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YBHQCJILTOVLHD-YVMONPNESA-N (5Z)-2-amino-5-[(4-hydroxyphenyl)methylidene]-1,3-thiazol-4-one Chemical compound S1C(N)=NC(=O)\C1=C\C1=CC=C(O)C=C1 YBHQCJILTOVLHD-YVMONPNE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09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357 Cac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3276 Euphorbia heterophyll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6092 Faecal incontin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135 Micromeria jul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114 Satureja hort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315 Satureja hort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1377 Auricul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28550 Auricularia auricu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023 Auricularia auricu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3830 Bacillus <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32536 Cirs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848 Dysente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287 Hemorrhoid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47 Intestinal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36 Intestin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613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396 Mas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982 Ocimum basil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76 Ocimum basil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06264 Opuntia compres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039 Opuntia compres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727 Opuntia ficus ind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9297 Opuntia ficus-ind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129 Piper nig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423 Pleuris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128 Pulmonary Tubercul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14 Rib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394 Sorghum bicolo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316 Vitamin 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8 Vitamin D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877 Whooping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92 analgesi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917 carbamoyl group Chemical group [H]N([H])C(*)=O 0.000 description 1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8 carbonyl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188 collag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872 defe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935 flavonoid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46 flu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6 glycan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68 intesti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22 meat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13 mill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07 pa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125 pain agno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06 pear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702 pertus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7 poultry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709 sapon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6 side d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94 supercritical-fluid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36 tranquil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4 tranquiliz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00 vitamin C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6 vitamin 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0 vitamin 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10 vitamin 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고기완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돈육을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돈육을 누룽지 분말, 목이버섯, 천년초 분말, 야채 및 양념과 배합하는 단계; 상기 배합된 돈육을 냉장실에서 숙성하는 단계; 숙성된 돈육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기완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완자는 누룽지 분말을 1~30 중량% 함유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완자는 돈육의 잡냄새가 없고, 육질이 부드러우며,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소화불량 개선에 도움을 주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은 돈육을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돈육을 누룽지 분말, 목이버섯, 천년초 분말, 야채 및 양념과 배합하는 단계; 상기 배합된 돈육을 냉장실에서 숙성하는 단계; 숙성된 돈육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기완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완자는 누룽지 분말을 1~30 중량% 함유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완자는 돈육의 잡냄새가 없고, 육질이 부드러우며,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소화불량 개선에 도움을 주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고기완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돈육을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돈육을 누룽지 분말, 목이버섯, 천년초 분말, 야채 및 양념과 배합하는 단계; 상기 배합된 돈육을 냉장실에서 숙성하는 단계; 숙성된 돈육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기완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완자는 누룽지 분말을 1~30 중량% 함유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완자는 돈육의 잡냄새가 없고, 육질이 부드러우며,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소화불량 개선에 도움을 주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고기완자는 다진 육류, 특히 다진 쇠고기 또는 돼지고기를 양념하여 치댄 후 구형으로 반죽하여 구운 요리로써 떡갈비라고도 하며, 평상 식사시의 반찬 또는 명절 요리 등으로 다양하게 응용된다.
그러나 고기완자는 재료로써 육류를 사용하므로, 영양, 맛 및 소화 면에 있어서 일부 문제점이 거론되는 식품이다.
고기완자는 1인분(130 g)의 열량이 550 kcal로 고열량 음식에 속한다. 또한 떡갈비는 육류를 주로 이용하여 만든 음식이므로, 기름지고 소화에 부담을 느낄 수 있다.
육류 위주의 고지방, 고단백 식품을 많이 섭취하면 장내 유해균이 증식한다. 이에 따라 독성물질이 많아져서 장 점막을 자극하고 장내 환경을 나쁘게 하여 장 운동이 느려지고 배변량도 적어진다.
또한 고기완자의 재료인 육류는 누린내가 나는 식품으로, 누린내를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대다수의 경우 육류를 요리할 시에는 누린내를 제거하기 위하여 미림 또는 청주의 첨가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고기완자 역시 누린내를 제거하기 위하여 조리 과정에서 미림 또는 청주가 첨가되나, 미림 또는 청주는 누린내를 제거하는 효과만 있을 뿐, 향과 맛을 더해주는 등의 풍미 증진 효과는 없다.
정리하여 보면, 고기완자의 누린내를 제거함과 동시에 고기완자의 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조리 기술과, 고기완자 섭취시 소화력을 높일 수 있는 조리 기술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돈육의 잡냄새가 없고, 육질이 부드러우며,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소화불량 개선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보유한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고기완자를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였다.
누룽지는 밥을 지을 때 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을 이르는 것으로, 맛이 고소하여 간식거리로 먹기도 하고, 물을 부어 숭늉으로 끓여서 먹기도 한다.
밥은 열에 의해 아미노카보닐 반응을 하여 갈변되고, 동시에 휘발성의 '카보닐 화합물'을 생성하는데, 이 성분이 밥에 스며들어 특유한 구수한 밥의 향미를 이루게 된다. 누룽지를 끓인 숭늉은 단당류인 덱스트린 성분이 많아 소화에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기완자는 재료로 목이버섯과 천년초를 사용하는바, 목이버섯 및 천년초에 관하여 하기에서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목이버섯(Auricularia auricula- judae)은 담자균류 목이과의 버섯으로 흐르레기라고도 한다. 여름에서 가을까지 활엽수의 죽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라며 몸 전체가 아교질로 반투명하며 울퉁불퉁하게 물결처럼 굽이친 귀 모양을 하고 있다.
생산지에서는 생 것으로 식용되나 일반적으로 건조품이 이용된다. 부드럽고 쫄깃쫄깃한 맛과 검은 색깔로 시각적인 면에서 즐길 수 있는 식품이다.
목이버섯은 칼로리가 낮고, 식이 섬유소 함량이 40% 이상으로 매우 높아 변비와 다이어트에 좋은 식품이다. 목이버섯은 버섯 중에서 식이 섬유소가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버섯에는 많지 않은 비타민 D2 및 D3가 풍부하다.
또한 목이버섯은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성이 인정되었는데, 김태일 등(2004)이 배변 빈도, 배변 경도, 배변감 등에서 불편을 겪는 사람 34명에게 4주 동안 하루 12 g의 목이버섯 분말을 섭취시킨 결과, 배변 빈도, 배변 경도, 배변감 등이 개선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천년초(Opuntia humifusa)는 부채선인장 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며, 잔가시가 나 있다. 열매, 줄기, 잎, 껍질, 꽃 및/또는 전초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식이섬유, 비타민 C, 무기질, 사포닌, 아미노산, 복합 다당류, 칼슘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열량은 100g당 18kcal이며, 당도는 약 13.7 브릭스(brix)이다.
천년초의 효능은 소염, 진통, 폐결핵, 혈액순환 증진, 해열 및 해독 등이며, 심장 또는 위의 통증, 이질, 치질, 기침, 기관지 천식, 수면부족, 백일해, 늑막염, 화농성 유선염, 부스럼, 종기 및 관절염 등에 효과가 있다.
부채선인장 속에 속하는 또다른 식물로, 백년초(Opuntia ficus indica)가 있으나 백년초는 천년초보다 당도가 현저히 낮으며, 가시가 더 두껍고 날카로워 가공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백년초는 껍질에 독성이 있어 간에 해를 끼치므로, 잎 및 열매만을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천년초가 미각적 측면, 가공 효율 및 안전성 등의 측면에서 백년초보다 더 뛰어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을 살펴보면, 등록특허공보 제10-1383851호에 누룽지를 이용한 돈가스의 제조방법이 기대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돈육 분쇄물과 누룽지 분쇄물을 혼합하여 돈육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돈육혼합물을 양념액에 침지하는 단계; 상기 양념액으로부터 건져낸 상기 돈육혼합물을 돈가스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물에 튀김옷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돈육 분쇄물 100 중량부에 누룽지 분쇄물 70~90 중량부, 고구마 무스 40~60 중량부를 혼합하여 돈육 혼합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돈가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누룽지 분쇄물을 돈육 분쇄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70~90 중량부를 함유하고 있다.
이는 누룽지 분쇄물의 함량이 매우 높은 것으로, 돈육 고유의 맛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에는 야채와 목이버섯, 천년초 분말 등의 식물소재를 사용하지 않아, 소화 불량 개선, 느끼한 맛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김태일 등, 만성 기능성 변비환자에 대한 목이버섯의 효과, 대한소화기학회지 44:34-41, 2004.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기완자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돈육의 잡냄새가 없고, 육질이 부드러우며,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소화불량 개선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보유한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기완자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돈육을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돈육을 누룽지 분말, 목이버섯, 천년초 분말, 야채 및 양념과 배합하는 단계; 상기 배합된 돈육을 냉장실에서 숙성하는 단계; 숙성된 돈육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기완자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누룽지 분말을 1~3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기완자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돈육의 잡냄새가 없고, 육질이 부드러우며,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소화불량 개선에 도움을 주는 효능을 보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기완자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완자는 돈육의 잡냄새가 없고, 육질이 부드러워 기호도가 증진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완자는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소화불량 개선에 도움을 주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참조예 및 도면에 기술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1) 돈육을 분쇄하는 단계
돈육을 분쇄한다.
이때 돈육은 갈비살, 뒷다리살, A지방 등 다양한 부위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갈비살 40~50 중량%, 뒷다리살 35~40 중량% 및 A지방 15~20 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살코기만 사용하여 고기완자를 제조할 경우, 맛이 퍽퍽하고 부드럽지 않아 다양한 부위의 돈육을 중량% 별로 제조하여 맛을 평가하였으며, 상기 비율로 고기완자를 제조하였을 시, 가장 기호성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어 상기 비율을 바람직한 제조의 예로 설정하였다.
(2) 분쇄된 돈육과 재료를 배합하는 단계
분쇄된 돈육과 누룽지분말, 목이버섯, 천년초, 야채 및 양념 등의 재료를 배합한다.
이때 누룽지 분말은 1~30 중량%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한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야채는 전체 고기완자 중량 기준으로, 사과 및 배 3~4 중량%, 대파 3~4 중량%, 양파 3~4 중량%, 마늘 2~3 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목이버섯은 생 것, 건조된 것, 분말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설계 조건에 따라 추출, 분쇄, 발효, 농축 등의 공정을 수행한 후 돈육과 혼합할 수 있다. 각 공정은 1종 이상 수행될 수 있으며,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다.
추출 방법은 용매 추출, 초임계 추출, 압착 추출 등에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농축 방법은 증발 농축, 진공 농축, 감압 농축 등에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발효 방법은 젖산 발효, 알코올 발효 등에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발효시의 배양 배지 역시 고체 배지, 액체 배지, 복합 배지, 제한 배지 등에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목이버섯의 중량비 전체 고기완자 중량 기준으로, 목이버섯 0.5~1.5 중량%가 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0.7 중량%가 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천년초 역시 생 것, 건조된 것, 분말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설계 조건에 따라 추출, 분쇄, 발효, 농축 등의 공정을 수행한 후 돈육과 혼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고기완자 중량 기준으로, 천년초 분말이 0.5~1.5 중량% 혼합될 수 있다.
양념은 고기완자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엿 2~3 중량%, 간장 2~3 중량%, 설탕 2~3 중량%, 참기름 1~2 중량%, 정종 1~2 중량% 및 참깨 1~2 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념에 추가적으로 배즙, 생강, 양파, 미림, 후추 및 청주 등을 1종 이상 선택하여 첨가할 수 있다.
(3) 숙성하는 단계
배합된 돈육을 냉장실에서 숙성하여 고기완자의 맛과 향을 좋게 한다.
숙성 시간은 10~30 시간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숙성할 수 있다.
(4) 성형하는 단계
배합 후 숙성 단계를 거친 돈육을 고기완자 형상으로 성형하여 고기완자를 완성한다.
고기완자의 형상은 둥근 모양, 네모 모양, 별 모양 등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 완성된 고기완자는 급냉동하여 진공포장될 수 있다. 포장된 제품은 냉동고에 보관하고 자가규격 및 축산물위생가공처리법의 규격기준에 준하여 완제품에 대한 검사를 실시 후 출하할 수 있다.
참조예
1. 누룽지 분말을 함유한
고기완자의
관능 평가
제조 조건의 차이에 따른 맛 및 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30명의 패널을 선정하여, 제조 조건을 각각 달리한 실험군 3군(고기완자 군, 누룽지 고기완자 군, 누룽지+목이버섯+천년초 고기완자 군)의 맛 및 향 항목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고기완자 군에는 육류 및 양념장 외의 기타 소재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누룽지 고기완자 군에는 돈육에 누룽지 분말을 첨가하였다.
누룽지+목이버섯+천년초 고기완자 군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단계에 따라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5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5점으로 갈수록 맛 및 향의 선호도가 높아지는 평가 방식을 책정하였다.
(2) 실험 결과
하기의 [표 1]은 고기완자, 누룽지 고기완자, 누룽지+목이버섯+천년초 고기완자를 비교한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평가 항목 | 시료 | ||
고기완자 | 누룽지 고기완자 | 누룽지+목이버섯+천년초 고기완자 | |
맛 선호도 | 4.02±0.84 | 4.16±1.23 | 4.75±0.77 |
향 선호도 | 3.74±1.24 | 4.57±0.80 | 4.67±0.75 |
실험 결과, 맛 선호도 항목에서는 고기완자 군이 4.02±0.84, 누룽지 고기완자 군은 4.16±1.23, 누룽지+목이버섯+천년초 고기완자 군은 4.45±0.77로 나타났다.
고기완자 군은 육질이 퍽퍽하며, 느끼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누룽지 고기완자 군은 고기완자 군에 비해 육질이 부드럽고 쫄깃하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누룽지+목이버섯+천년초 고기완자 군은 육질이 부드러우면서, 느끼한 맛이 없고, 단맛과 구수한 맛이 난다는 의견이 있었다.
향 선호도 항목에서는 고기완자 군이 3.74±1.24, 누룽지 고기완자 군은 4.57±0.80, 누룽지+목이버섯+천년초 고기완자 군은 4.67±0.75로 나타나, 누룽지 분말을 함유한 고기완자에서 향 선호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고기완자 군은 돈육의 누린내가 약간 난다는 의견이 있었던 반면, 누룽지 고기완자 군은 누린내가 없고 누룽지 특유의 구수한 향이 난다는 의견이 있었다.
또한 누룽지+목이버섯+천년초 고기완자 군 역시 돈육 특유의 이취가 나지 않고, 고소한 향이 난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누룽지, 목이버섯 및 천년초를 함유하는 고기완자는 기존의 고기완자에 비해 기호성이 증진되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누룽지만을 함유한 고기완자도 기존의 고기완자에 비해서는 맛과 향이 증진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5)
- 돈육을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돈육을 누룽지 분말, 목이버섯, 천년초 분말, 야채 및 양념과 배합하는 단계; 상기 배합된 돈육을 냉장실에서 숙성하는 단계; 숙성된 돈육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돈육을 분쇄하는 단계에서, 돈육은 갈비살 40~50 중량%, 뒷다리살 35~40 중량% 및 A지방 15~2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합하는 단계에서, 배합비는 돈육 65~75 중량%, 누룽지 분말 1~30 중량%, 목이버섯 0.5~1.5 중량%, 천년초 분말 0.5~1.5 중량%, 대파 3~4 중량%, 양파 3~4 중량%, 마늘 2~3 중량%, 사과 및 배 3~4 중량%, 물엿 2~3 중량%, 간장 2~3 중량%, 설탕 2~3 중량%, 참기름 1~2 중량%, 정종 1~2 중량% 및 참깨 1~2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합된 돈육을 냉장실에서 숙성하는 단계에서, 숙성 시간은 20~30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0853A KR20160045387A (ko) | 2014-10-17 | 2014-10-17 |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기완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0853A KR20160045387A (ko) | 2014-10-17 | 2014-10-17 |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기완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5387A true KR20160045387A (ko) | 2016-04-27 |
Family
ID=55914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0853A KR20160045387A (ko) | 2014-10-17 | 2014-10-17 |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기완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45387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6610B1 (ko) * | 2016-11-09 | 2017-04-14 | 함께하면돼지식품(주) | 돼지 뒷다리살과 곶감을 이용한 떡갈비 양념육의 제조 방법 |
CN108208619A (zh) * | 2018-01-19 | 2018-06-29 | 闽南师范大学 | 一种富含芦笋膳食纤维的低脂肉丸及其制备方法 |
CN109418781A (zh) * | 2017-08-22 | 2019-03-05 | 云南佳奇食品有限公司 | 一种肉丸加工制作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3851B1 (ko) | 2013-03-06 | 2014-04-10 |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산마루 | 누룽지를 이용한 돈가스의 제조방법 |
-
2014
- 2014-10-17 KR KR1020140140853A patent/KR2016004538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3851B1 (ko) | 2013-03-06 | 2014-04-10 |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산마루 | 누룽지를 이용한 돈가스의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김태일 등, 만성 기능성 변비환자에 대한 목이버섯의 효과, 대한소화기학회지 44:34-41, 2004.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6610B1 (ko) * | 2016-11-09 | 2017-04-14 | 함께하면돼지식품(주) | 돼지 뒷다리살과 곶감을 이용한 떡갈비 양념육의 제조 방법 |
CN109418781A (zh) * | 2017-08-22 | 2019-03-05 | 云南佳奇食品有限公司 | 一种肉丸加工制作方法 |
CN108208619A (zh) * | 2018-01-19 | 2018-06-29 | 闽南师范大学 | 一种富含芦笋膳食纤维的低脂肉丸及其制备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80642B1 (ko) | 식이섬유를 함유한 어묵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40016736A (ko) | 약선재료와 산채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 |
KR102004293B1 (ko) | 양념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장 | |
KR102223390B1 (ko) |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60007855A (ko) | 훈제 닭갈비용 소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훈제 닭갈비의 제조방법 | |
KR20160045387A (ko) |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기완자 | |
KR102129077B1 (ko) | 커틀릿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658048B1 (ko) | 능이버섯을 이용한 양념돼지갈비의 제조방법 | |
KR20190112702A (ko) | 떡갈비를 함유한 가래떡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55824B1 (ko) | 떡갈비를 함유한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 |
KR100944965B1 (ko) | 육류요리용 양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념 | |
KR101551241B1 (ko) | 고추장 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81605B1 (ko) | 마라장의 제조 방법 | |
KR102037760B1 (ko) | 건나물 파스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나물 파스타 | |
KR101974210B1 (ko) | 카레 불 닭발 및 이의 제조 방법 | |
CN111671076A (zh) | 一种咖喱杏鲍菇状元豆牛肉酱及其制作方法 | |
KR100667922B1 (ko) | 산채가 함유된 된장의 제조방법 | |
KR101599919B1 (ko) | 천년초를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고기완자 | |
KR102215379B1 (ko) | 식이섬유를 함유한 면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344663B1 (ko) | 비빔면 테이스트 분말형 천연 샐러드 시즈닝 | |
KR102522257B1 (ko) | 굴을 주재로 한 떡국떡과 그 조성물 및 제조방법 | |
KR102486176B1 (ko) | 마농 두부 바게트 및 그 제조방법 | |
KR20130052980A (ko) | 유자청을 이용한 보쌈 김치양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77356B1 (ko) | 전복 내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소스 | |
KR102308287B1 (ko) | 혼합 성형육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