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139A -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139A
KR20160041139A KR1020140134335A KR20140134335A KR20160041139A KR 20160041139 A KR20160041139 A KR 20160041139A KR 1020140134335 A KR1020140134335 A KR 1020140134335A KR 20140134335 A KR20140134335 A KR 20140134335A KR 20160041139 A KR20160041139 A KR 20160041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low rate
unit
power
fl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7551B1 (ko
Inventor
황상윤
Original Assignee
(주)씨엠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엠엔텍 filed Critical (주)씨엠엔텍
Priority to KR1020140134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551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5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7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 G01F15/075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using electrically-operated integr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전원 없이 배터리 만으로 동작허여 관로내 유량을 특정하는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배터리 전원으로 작동하여, 관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산출하는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로에 결합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부; 상기 유량측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량측정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동작을 멈추도록 상기 유량측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유량측정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BATTERY POWERED FLOWMETER SYSTEM}
본 발명은 관로 내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외부 전원 없이 배터리만으로 동작하여 관로 내 유량을 측정하는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수를 각 가정과 산업현장에 공급하거나 이로부터 생성되는 하수를 다시 배출하기 위한 상하수도를 설치하는 경우를 비롯하여, 도시가스의 공급, 송유관을 통한 원유의 이송, 농업용수를 위한 개수로의 설치 및 철강, 화학, 석유화학분야의 냉각수의 순환 등 오늘날 기체나 액체 등 유체를 이용하고 있는 산업분야는 수없이 많으며, 이러한 산업분야들에서는 유체의 유량 및 유속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렇게 유체의 유량관리가 중요한 산업현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유량계를 사용하여 유관 내의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고 있으며, 유체의 유량은 유관 내를 통과하는 유체의 평균속도 V와 유관 단면적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즉, 유량 = 유관의 단면적 × 유체의 평균유속 V으로 구해진다.
일반 배전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하는 유량계는 사용자의 인위적인 전원 차단에 의하여 측정이 중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 유량 측정 기능이 정지되어 유량에 따른 요금과금이 불가능한 우려가 있다. 또한, 낙뢰나 단전 등의 사고로도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유량 측정이 불가능해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고성능의 배터리 개발과 저전력 소비형 전자설계 기술의 개발이 합쳐져서 외부 전원없이 배터리만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량계가 개발되고 있다.
배터리 전원에 의한 유량계는 일단 동작이 온(on)되면 사용자가 임의로 동작의 오프(off)를 할 수 없게 된다. 왜냐하면, 유량계를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on/off 조절 가능시, 사용자에 의한 유량계의 임의 on/off에 의하여 측정되는 유량과 실제 유관을 흐르는 유량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여 유량에 따른 요금 과금이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가 임의로 유량계의 on/off를 조절하여 측정되는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유량에 따라 부과되는 요금을 줄이는 꼼수를 막기 위함이다. 다시말해, 공정한 조세원칙을 제공하기 위하여 battery On 시점을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적용하고, 이를 개별적으로 On/Off를 조절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배터리 전원 유량계에는 소모성 배터리(battery)가 장착되어 유량계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데, 만약 제조가 완료된 시점부터 유량계의 동작의 개시(On)가 이루어지게 되면, 실제 유관에 설치되어 유량을 측정하기 전까지 배터리가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전원 유량계가 유관에 설치된 이후에도 유관을 흐르는 유량이 없는 경우에 유량계가 작동된다면 쓸모없는 에너지 소모로 배터리가 빠르게 방전될 수도 있다.
결국, 누구에게나 공정한 조세원칙을 위하여 개별적으로 배터리 전원을 On/Off 할수 없는 조건하에서 배터리 전원 유량계의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가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9880호(2010.05.18 등록, 수직 폴을 이용한 블록 유량계 일체형 시스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전원 유량계에 있어서, 배터리 전원 유량계의 동작 개시 시점을 늦추거나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유량 측정을 하여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유량계의 유관에 실제 설치된 이후에 유량계의 동작이 개시되도록 조절하거나, 유관을 통과하는 유량이 실제로 없거나 또는 측정되는 유량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유량계의 동작을 멈추도록 설정하여, 배터리의 에너지가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 전원으로 작동하여, 관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산출하는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로에 결합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부; 상기 유량측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량측정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동작을 멈추도록 상기 유량측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유량측정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부는, 전원인 배터리;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유량측정부 및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전력전달부; 및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력전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이 상기 전력전달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력차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력차단부는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력전달부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전력전달부는,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배터리의 일부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온도는 섭씨 40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량측정부는 일정 주기로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도록 설정되며, 일정주기로 측정되는 유량의 변화량에 따라 유량측정 주기를 변경하도록 상기 유량측정부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컨트롤러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부는, 일정주기로 측정되는 유량의 변화량이 기설정값이하인 경우 상기 유량 측정 주기를 길게 증가시킬 수 있다.
배터리 전원 유량계의 배터리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원 유량계는 유량계의 유관에 실제 설치된 이후에 유량계의 동작이 개시되도록 동작 개시 시점을 조정할 수 있어, 종래 유량계 제조 완료시부터 유관에 설치되어 실제 유량을 측정하기 전까지 배터리가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관을 통과하는 유량이 없거나 또는 측정되는 유량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유량계가 동작을 멈추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유량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시스템의 배터리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시스템의 배터리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은 배터리 전원 유량계의 제작시점부터 현장에 설치되어 실제 유량을 측정하기 전까지, 또는 현장에 설치된 이후 유관을 통과하는 유량이 없거나 또는 측정되는 유량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경우에 유량계의 동작을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은 관로 사이에 설치되어 관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외부전원이 아닌 배터리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는 것이다. 배터리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배터리가 모두 방전되면 이를 교체해 주어야하며, 연속적인 측정을 위하여는 배터리 방전 감시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이러한 배터리 전원에 의한 유량계 시스템은 배터리의 사용용량을 늘리거나, 배터리 전원 사용 효율을 높이는 것과 더불어 유량 측정시 배터리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여 동일 능력, 동일 효율의 배터리라도 그 사용기한을 늘리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은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여 배터리 사용기한을 줄이고, 이에 따라 배터리 방전 감시에 대한 긴장을 늦출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은 개별적으로 배터리 전원을 On/Off 할 수 없는 조건 하에서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관로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이 관측되거나, 또는 측정되는 유량의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자동적으로 유량 측정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관로 내 온도가 일정온도이상인 경우에만 관로 내 유량을 측정하도록 유량측정부를 제어하는 방법, 유량계의 제작이 완료된 다음부터 현장에 설치전까지 불필요하게 초음파측정부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에 전력차단부를 구비하는 방법, 관로 내 유량이 없거나 측정되는 유량의 변화량이 없는 경우, 측정주기를 길게 연장하여 불필요한 초음파측정부의 동작을 감소시키는 방법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유량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은 유량측정부(400), 온도측정부(300), 제어부(200) 및 배터리부(100)를 포함한다. 유량측정부(400)는 관로에 결합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것이며, 온도측정부(300)는 유량측정부(400)에 결합되어 유량측정부(4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고, 나이가 유량측정부(400)를 통과하는 유체의 온도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은 유량계의 제작시점부터 현장에 설치되어 실제 유량을 측정하기 전까지 유량측정부(400)가 불필요하게 동작하여 쓸모없는 배터리(110)의 에너지 소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일정온도 이상의 유체가 관로를 통과하는 관로의 유량을 산출하기 위한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200)가 온도측정부(300)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동작을 멈추도록 유량측정부(400)를 제어하고,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유량측정부(4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온도측정은 액티브(active) 방식이 아니라 패시브(passive) 방식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저전력이 소모된다. 이때, 온도측정부(300)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일정온도 이상의 유체가 관로를 통과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관로에 유체가 실제로 통과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유량측정부(400)가 작동될 수 있다. 다시말해, 온도측정부(300)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관로에 유량이 흐르거나 또는 흐르지 않음을 판단하여, 관로에 유량이 흐르는 경우에만 유량측정부(400)가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유량이 흐르지 않는 경우에 불필요하게 유량측정부(400)가 작동하여 쓸모없이 배터리(110)를 소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부(100)는 제어부(200)에 끊임없이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즉, 배터리부(100)는 제어부(200)에 전력을 늘 공급하지만, 유량측정부(400)에는 제어부(200)의 동작 명력에 의하는 경우에만 공급하게 된다. 유량측정부(400)는 온도측정부(300)에서 측정된 일정온도 이상의 정보를 받은 제어부(200)의 명령에 따라서만 동작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이때의 기설정된 온도는 섭씨 40도일 수 있다. 즉, 관로를 통과하는 유체가 온수인 경우, 섭씨 40도를 초과하여 유체의 온도가 형성될 것이며, 이에 따라 관로의 온도가 40도를 초과하여 형성될 것이다. 따라서 온도측정부(300)의 측정된 온도가 40도 이하인 경우, 관로에 온수가 흐르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유량측정부(400)의 동작을 멈추고, 40도를 초과하는 경우, 온수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하여 유량측정부(400)의 측정을 개시할 수 있다. 이때의 기설정 온도는 사용하는 유체의 종류 또는 환경에 따라 상술한 예의 반대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110) 전원 시스템의 배터리부(10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110) 전원 시스템의 배터리부(10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부(100)는 전원인 배터리(110)와 전력전달부(120) 및 전력차단부(130)를 포함한다. 전력전달부(120)는 전원인 배터리(110)로부터 전달된 전력을 유량측정부(400) 및 제어부(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배터리(110)와 전력전달부(120) 사이에는 전력차단부(130)가 배치되어, 배터리(110)의 전력이 전력전달부(12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전력차단부(130)는 배터리(110)의 양극(A)과 음극(C)이 전력전달부(120)에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테이프 또는 종이 리본 등의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력차단부(130)는 또한 전력전달부(120)의 케이스에 형성된 홀(H)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는 전력차단부(130)의 노출영역을 잡아당김으로써, 이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즉, 유량계의 제작이 완료된 다음부터 현장에 설치전까지 전력차단부(130)는 전력전달부(120)와 배터리(110) 사이의 전력전달을 차단하고, 설치직전 사용자가 전력차단부(130)를 제거함으로써, 배터리(110)의 공급이 시작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전력차단부(130)는 유량계의 제작이 완료된 시점부터 유량계가 현장에 설치되기까지 배터리(110)의 전력 공급을 강제적으로 차단하여 유량측정부(400)가 불필요하게 작동하여 배터리(110)의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력차단부(130)는 배터리(110) 및 전력전달부(12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유량계가 현장에 설치된 이후에는 전력차단부(130)를 분리 제거하여 배터리(110)의 전원이 전력전달부(120)로 공급되어 유량계의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
전력전달부(120)는 배터리(110)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케이스에는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110)의 일부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는 투시창(121)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110)에 배터리(110)의 제작연도가 표시될 수 있고,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케이스를 열러보지 않고 케이스의 투시창(121)을 통하여 배터리(110)의 제작연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력차단부(130)를 제거하기 전 배터리(110)의 제작연도를 체크함으로써, 자연방전까지 함께 고려하여 배터리(110)의 사용 수명을 예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은 일단 유량의 측정이 개시되었지만, 유관을 통과하는 유량이 거의 없게 되는 경우이거나, 유량이 있어도 유량의 변동이 거의 없는 경우에도 유량 측정 주기를 변경하여 배터리(110) 전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컨트롤러부(500)를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의 유량측정부(400)는 일정 주기로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도록 설정되고, 이러한 유량 측정 주기는 유량의 변화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컨트롤러부(500)는 일정주기로 측정되는 유량의 변화값이 기설정값 이하인 경우 유량 측정 주기를 길게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일정 주기 간격으로 유량측정부(400)가 관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측정되는 유량의 변화량이 일정 범위이내이면 측정 주기를 길게 증가시키고, 측정되는 유량의 변화량이 일정범위를 벗어나면 측정주기를 그대로 유지하며 측정을 계속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1초 간격으로 유량을 측정하는데, 측정되는 유량의 변화량이 일정범위 이내이면, 측정의 주기를 2초로 증가시키고, 2초의 간격으로 측정되는 유량의 변화량이 또한 일정범위 이내이면 측정의 주기를 4초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측정의 주기가 4초인 경우에도 유량의 변화량이 일정범위 이내이면 이를 8초로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측정주기 증가는 최대 20초 내로 제한될 수 있다. 측정주기의 무한 증가로 측정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측정되는 유량의 변화량이 일정범위를 벗어나게되면 측정주기는 1초를 유지해가며 지속적인 측정을 계속하게 된다. 또한, 측정주기가 2초 또는 4초, 8초 등으로 증가한 이후에 측정되는 유량의 변화량이 일정범위를 넘어가게 되면, 측정주기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또는 짧게 감소시켜, 변화하는 유량에 대한 반복적인 측정에 의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의 변화량은 최초 측정값과 그 다음 주기의 측정값 등 연속적인 복수개의 측정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측정값으로부터 변화량을 산출하여 이를 기준으로 변화량의 제한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설정된 변화량 제한에 따라 측정주기를 길게 증가시키거나 짧게 감소시켜 측정주기가 변화하더라도 적산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되는 유량의 변화량이 일정범위 이내일 경우, 유량측정주기를 증가시키는 것은 그만큼 초음파측정부의 동작의 간격을 넓히게 되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소모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배터리의 불필요한 소비를 방지하여 배터리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배터리부
A: 양극
C: 음극
H: 홀
110: 배터리
120: 전력전달부
121: 투시창
130: 전력차단부
200: 제어부
300: 온도측정부
400: 유량측정부
500: 컨트롤러부

Claims (6)

  1. 배터리 전원으로 작동하여, 관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산출하는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로에 결합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부;
    상기 유량측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량측정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동작을 멈추도록 상기 유량측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유량측정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전원인 배터리;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유량측정부 및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전력전달부; 및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력전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이 상기 전력전달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력차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력차단부는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력전달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전달부는,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배터리의 일부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유량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온도는 섭씨 4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측정부는 일정 주기로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도록 설정되며,
    일정주기로 측정되는 유량의 변화량에 따라 유량측정 주기를 변경하도록 상기 유량측정부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컨트롤러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일정주기로 측정되는 유량의 변화량이 기설정값이하인 경우 상기 유량 측정 주기를 길게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
KR1020140134335A 2014-10-06 2014-10-06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 Active KR101727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335A KR101727551B1 (ko) 2014-10-06 2014-10-06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335A KR101727551B1 (ko) 2014-10-06 2014-10-06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139A true KR20160041139A (ko) 2016-04-18
KR101727551B1 KR101727551B1 (ko) 2017-05-04

Family

ID=5591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335A Active KR101727551B1 (ko) 2014-10-06 2014-10-06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507A (ko) * 2017-02-20 2018-08-29 (주)씨엠엔텍 유량측정장치에서 배터리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지능형 유량샘플링 방법
CN110749358A (zh) * 2019-09-11 2020-02-04 江苏微浪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生产用的工业流量仪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3472B (zh) * 2021-04-24 2021-11-30 天津市金凤来仪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水务水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5142A (ja) * 1998-09-30 2000-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量計測装置
JP4806853B2 (ja) * 2001-03-16 2011-11-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水道メータ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507A (ko) * 2017-02-20 2018-08-29 (주)씨엠엔텍 유량측정장치에서 배터리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지능형 유량샘플링 방법
CN110749358A (zh) * 2019-09-11 2020-02-04 江苏微浪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生产用的工业流量仪及其使用方法
CN110749358B (zh) * 2019-09-11 2020-10-16 江苏微浪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生产用的工业流量仪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551B1 (ko)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9537B2 (en) Pump monitoring device
CN202470455U (zh) 用水终端恒温装置及带该装置的多点供水恒温热水体
KR101727551B1 (ko) 배터리 전원 유량계 시스템
US10251316B1 (en) Air conditioner mister, apparatus and method
GB2440295A (en)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rate of a pump on a water drainage outlet of a water dispensing unit
KR20160041140A (ko) 배터리 전원 유량계
KR20150047737A (ko) 지역난방용 환수온도 제어시스템
CN202660753U (zh) 用水点恒温装置及带该装置的多点供水恒温热水体
US2014011995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t least a part of a pump station
KR200463542Y1 (ko) 전기 순간온수기
EP2722598A1 (en) Water heater
US10435874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optimizing the usage of water and other resources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applications
WO2018044686A1 (en) Using a foam panel in water-based cooling
CN103615567B (zh) 恒温水阀
CN203686237U (zh) 恒温水阀
CN210835739U (zh) 一种液体微流量控制设备
CN102920375A (zh) 一种淋浴器
JP2015210004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JP2015040650A (ja) 流量自動調節システム
KR20110083877A (ko) 자성물질을 주기적으로 자동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유체 진동방식의 적산 열량계
JP2003269721A (ja) ガス消費量推定方法及びシステム
CN203132261U (zh) 采用可编程控制器控制的冷却装置
KR20160044713A (ko) 스마트 농촌용수 공급 시스템
KR101399407B1 (ko) 압축성유체 공급 제어 시스템
JP2006326374A (ja) 液体の改質装置、導電率管理装置、酸化還元電位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6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0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2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2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0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2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