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906A - Joint plate controlling length of rebar on drilled shaft - Google Patents
Joint plate controlling length of rebar on drilled shaf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18906A KR20160018906A KR1020140101661A KR20140101661A KR20160018906A KR 20160018906 A KR20160018906 A KR 20160018906A KR 1020140101661 A KR1020140101661 A KR 1020140101661A KR 20140101661 A KR20140101661 A KR 20140101661A KR 20160018906 A KR20160018906 A KR 201600189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gth
- coupling plate
- present
- body portion
- adjuste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ed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27 percu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장타설말뚝에 사용되는 결합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철근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aging plate used in a field drilling pil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aging plate that enables the length of a reinforcing bar to be adjusted.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기초나 지하층을 구축하기 위해 얕거나, 깊은 터파기를 해야 한다. 터파기는 흙막이벽 및 횡지지 없이 지반종류에 따라서 내부마찰각을 유지하면서 굴토하거나 흙막이벽 설치 및 횡지지 지보를 대면서 굴착하기도 한다. In order to construct a building, it is necessary to make shallow or deep trenches to build foundation or base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oil, the terraces may be excavated while retaining the internal friction angle, or by installing the retaining wall and supporting the transverse support.
그러나 최근에는 토지의 이용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점차로 지하공간의 대형화, 대심도화 되고 있어 버팀 길이가 100m 이상을 넘거나 굴착 깊이가 30m를 넘는 현장도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설계법 및 시공법으로는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된다. In recent years, however, in order to maximize the utilization rate of the land, the underground space has gradually become large-sized and large-scale, and there are sites where the support length exceeds 100 meters or the excavation depth exceeds 30 meters. In such a case, the conventional design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can not be reasonably solved.
또한 지하공간의 다용도화로 상가, 주차장뿐만 아니라 극장 등의 여러 시설로 인해 지하층고가 커지기 때문에 지하공간을 구축하는데 여러 가지 복잡한 어려움을 갖게 된다. 이러한 어려움은 도심지에서의 공사뿐만 아니라 매립지, 연약지반, 전석층이나 지하수가 풍부한 지역 등에서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심지 공사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분진 등의 공해와 그로 인한 민원 등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 공법으로 탑다운(Top Down)공법이 많은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In addition, underground space has many complicated difficulties to construct an underground space due to the increase in the underground level due to various facilities such as shopping malls, parking lots, and theaters. This difficulty occurs not only in urban areas but also in landfills, soft grounds, alluvial floors, and areas rich in groundwater. In addition, top-down construction methods are being applied in the field in response to pollution such as noise and dust generated in downtown works and civil complaints caused by them.
탑다운(Top Down)공법은 암반에 천공을 한 후에 현장타설말뚝의 일종인 PRD 말뚝(Percussion Rotary Methed Pile)을 설치하고, 지상에 슬래브를 설치하고 지하 1층, 지하 2층 순으로 굴착하면서 시공된다. 굴착을 수행하기 전에, 지상층에 슬래브를 설치하기 때문에, 분진 및 소음 등의 발생이 적고, 그로 인한 민원 또한 줄일 수 있어 도심지에 적합한 공법으로 평가받고 있다.The top down method consists of installing percussion rotary methed pile, which is a kind of on-site drilled pile after drilling in the rock bed, installing a slab on the ground, do. Since the slab is installed on the ground layer prior to excavation, the generation of dust and noise is less, and civil complaints caused by it are also reduced, which is regarded as a suitable method for urban areas.
여기서 PRD 말뚝은 지상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초의 일종으로서, 소구경인 직경 600mm~1000mm 까지에 해당하는 단면으로 지내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시공되는 파일에 해당된다.Here, the PRD pile is a kind of foundation supporting the ground structure, and corresponds to the file to be constructed when the grounding force can be ensured by the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600mm ~ 1000mm.
참고로 도 1은 탑다운(Top Down)공법의 시공순서를 나타내며, 도 2는 PRD공법의 시공순서를 나타낸다.For reference, FIG. 1 shows a construction procedure of a top down method, and FIG. 2 shows a construction procedure of a PRD method.
탑다운(Top Down)공법의 안정성은 암반에 천공을 한 후 공장에서 선제작한 PRD를 제대로 설치 해야 하는 것이 관건이다. 그러나, 지반조사를 수행한 후라도 계획한 심도에 암반이 출현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The stability of the Top Down method is the key to properly installing PRDs made in the factory after drilling into the rock bed. However, even after performing the ground survey, rocks often do not appear at the planned depth.
기존에는, PRD 말뚝을 설치할 암반선이 계획 천공심도에서 나타나지 않은 경우, 암반이 출현하는 심도까지 천공을 추가로 실시해야 하며, 선 제작된 철골빔 및 스터드(STUD)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공장에서 다시 제작해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철골 구조물을 다시 제작하는 시간과 현장으로 이동으로 인해 공사 기간에 길어지고, 결과적으로 공사비 또한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추가로 파생되었다.In the past, if the rock line to install the PRD pile does not appear at the planned perforation depth, additional drilling must be performed to the depth where the rocks appear, and the pre-fabricated steel beams and studs can not be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must be manufactured and installed. In this case, the time required for rebuilding the steel structure and the move to the site lead to an increase in the construction perio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construction cost.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말뚝의 철근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플레이트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천공 깊이가 달라지더라도, 결합플레이트를 통한 철근의 설치와 길이 조절이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First, even if the depth of drilling is changed, it is desired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length adjustment of the rebar through the coupling plate.
둘째, 천공을 더 깊은 심도까지 실시하더라도 현장에서 간단히 길이 조절이 가능한 철근과 결합플레이트의 결합을 통해 연결이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Second, even if the drilling is carried out to a deeper depth, it is intended to facilitate connection through a combination of a reinforcing bar and a coupling plate which can be simply adjusted in length in the field.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형강과 철근을 각각 상부 및 하부에 결합시키는 결합플레이트로서, 몸체부; 몸체부의 상측에 형강 형상으로 함몰된 홈으로 구비된 상부결합홈; 및 몸체부의 하측에 철근이 삽입결합되는 하부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plate for coupling a section steel and a reinforcing steel to upper and lower sections, respectively, comprising: a body portion; An upper engaging groov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with a recess recessed in a shape of a steel; And a lower engaging portion to which a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nd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형강은 H형강, I형강, C형강, L형강 및 Z형강 중 어느 하나의 형강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tion steel is preferably a section steel of any one of an H-shaped steel, an I-shaped steel, a C-shaped steel, an L-shaped steel and a Z-shaped steel.
본 발명에 따른 하부결합부는 중공형상으로 돌출된 중공돌출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hollow protrusion protruding in a hollow shape.
본 발명에 따른 하부결합부는 중공형상의 홈이 패인 중공함몰부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llow depression having a hollow groove.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를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통공은 상광하협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body is formed, and the through hole is preferably in a shape of a light shield.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는 평단면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몸체부는 상측면이 하측면보다 넓도록 측면부가 테이퍼진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portion has a circular cross-section with a flat cross-section, and that the body portion is tapered so that the upper side is wider than the lower side.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말뚝의 철근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플레이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coupling plate for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bars of the cast-in-plac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천공 깊이가 달라지더라도, 결합플레이트를 통한 철근의 설치와 길이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First, even if the depth of perforation is changed, it is easy to adjust the length and length of the reinforcing bar through the coupling plate.
둘째, 천공을 더 깊은 심도까지 실시하더라도 현장에서 간단히 길이 조절이 가능한 철근과 결합플레이트의 결합을 통해 연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Second, even if the drilling is carried out to a deeper depth, it is easy to connect through a combination of a reinforcing bar and a coupling plate which can be simply adjusted in length in the fiel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탑다운(Top Down)공법의 시공순서를 나타낸다.
도 2는 PRD 공법의 시공순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플레이트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플레이트에 형강과 철근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1 shows a construction procedure of a top down method.
2 shows a construction procedure of the PRD method.
3 is a conceptual view of a coupl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the lower part of Fig.
Fig. 5 shows a steel plate and a reinforcing bar bonded to an engag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herever possible,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express the opposite meaning theret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s specified and that other specific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 /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a group.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Predefined terms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evant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otherwise.
이하에서는 도면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플레이트의 상부를 중심으로 표현한 개념도이고, 도 4는 결합플레이트의 하부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upper part of the coupl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shows a lower part of the coupling plate.
본 발명은 형강과 철근을 각각 상부 및 하부에 결합시키는 결합플레이트로서, 현장타설말뚝의 철근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plate for coupling a section steel and a reinforcing steel to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reinforcing bar of a cast-in-place pile.
본 발명에 따른 결합플레이트(100)는 몸체부(110), 몸체부의 상측에 형강 형상으로 함몰된 홈으로 구비된 상부결합홈(120) 및 몸체부의 하측에 철근이 삽입결합되는 하부결합부(130)를 포함한다.The
본 발명에 따른 결합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형강은 H형강, I형강, C형강, L형강 및 Z형강 중 어느 하나의 형강에 해당되며, 일반적으로는 H형강이 사용될 것이다.The section steel joined to the coupl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the H-section steel, the I-section steel, the C-section steel, the L-section steel and the Z-section steel.
본 발명에 따른 상부결합홈(120)은 결합되는 형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아래로 함몰된 홈이 패이고, 그 홈에 형강이 삽입결합되는 구조이다. 도 3 및 도 4는 H 형강을 예로 들어 표현한 것이며, 다른 형상의 형강에는 그 형강이 삽입가능하도록 대응된 형상이 아래로 함몰되어 홈이 패인 구조가 될 것이다.The upper joining
본 발명에 따른 하부결합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상으로 돌출된 중공돌출부(131)인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철근은 중공돌출부(131)의 중공부분에 삽입결합될 것이다.As shown in FIG. 4, the lower join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한편, 하부결합부(130)는 중공형상의 홈이 패인 중공함몰부(미도시)인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철근은 중공함몰부의 중공부분에 삽입결합될 것이다. 만약 하부결합부(130)가 중공함몰부 구조를 채택하게 된다면, 몸체부(110)의 두께가 중공돌출부(131)의 구조를 채택한 경우보다 더 두꺼워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lower engaging portion 130 may be a hollow depression (not shown) having a hollow groove. In this case, the reinforcing bars will be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hollow depress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110)에는 몸체부를 관통하는 통공(14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공(140)을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콘크리트를 유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통공(140)은 상광하협의 형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110)는 굴착된 구멍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며, 일반적으로 원형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원형이 구멍에 삽입이 용이한 점과 H형강 등 다양한 형강의 대응형상을 상부에 형성시키기 용이하기 때문이다.The
또한, 몸체부(110)는 상측면이 하측면보다 넓도록 측면부가 테이퍼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몸체부가 구멍을 통해 하향 삽입이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플레이트(100)에 형강(10)과 철근(20)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현장에서 지반의 이방성과 예측의 어려움으로 인해 실제 시공 중에 설계심도에서 암반이 출현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결합플레이트(100)와 철근(20)간의 커플링결합을 통해 실제 암반까지의 천공심도까지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FIG. 5 shows a
즉 실제 시공 중에 천공 심도가 계획 심도와 달라질 경우, 종래에는 현장에서 떨어진 공장에서 철골 구조물을 다시 제작하고, 현장으로 운송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결합플레이트를 사용하면 실제 암반까지의 길이조절이 현장에서 즉시 가능하므로, 공사 기간의 장기화를 방지하고, 그로 인한 공사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depth of drilling is different from the planned depth during actual constru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re-manufacture the steel structure at the factory and to transport it to the site. However, when the coupl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up to the actual rocking point immediately on site, thereby preventing the construction period from being prolonged and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pparent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결합플레이트
110 : 몸체부
120 : 상부결합홈
130 : 하부결합부
131 : 중공돌출부
140 : 통공100: coupling plate 110:
120: upper coupling groove 130: lower coupling portion
131: hollow protrusion 140: through hole
Claims (8)
몸체부;
몸체부의 상측에 형강 형상으로 함몰된 홈으로 구비된 상부결합홈; 및
몸체부의 하측에 철근이 삽입결합되는 하부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말뚝의 철근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플레이트.An engaging plate for engaging a steel section and a reinforcing bar to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A body portion;
An upper engaging groov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with a recess recessed in a shape of a steel; And
And a lower engaging portion in which a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nd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A coupling plate that allows the length of the reinforced pile to be adjusted.
상기 형강은 H형강, I형강, C형강, L형강 및 Z형강 중 어느 하나의 형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말뚝의 철근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플레이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tion steel is a section steel of any one of an H-section steel, an I-section steel, a C-section, an L-section and a Z-section
A coupling plate that allows the length of the reinforced pile to be adjusted.
상기 하부결합부는 중공형상으로 돌출된 중공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말뚝의 철근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플레이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ower engaging portion is a hollow projecting portion protruding in a hollow shape
A coupling plate that allows the length of the reinforced pile to be adjusted.
상기 하부결합부는 중공형상의 홈이 패인 중공함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말뚝의 철근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플레이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engaging portion is a hollow depression having a hollow groove.
A coupling plate that allows the length of the reinforced pile to be adjusted.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말뚝의 철근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플레이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the body portion
A coupling plate that allows the length of the reinforced pile to be adjusted.
상기 통공은 상광하협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말뚝의 철근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플레이트.The method of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A coupling plate that allows the length of the reinforced pile to be adjusted.
상기 몸체부는 평단면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말뚝의 철근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플레이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is circular in a flat section
A coupling plate that allows the length of the reinforced pile to be adjusted.
상기 몸체부는 상측면이 하측면보다 넓도록 측면부가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말뚝의 철근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플레이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is tapered at its side portions such that the upper side is wider than the lower side.
A coupling plate that allows the length of the reinforced pile to be adjus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1661A KR101604658B1 (en) | 2014-08-07 | 2014-08-07 | Joint plate controlling length of rebar on drilled shaf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1661A KR101604658B1 (en) | 2014-08-07 | 2014-08-07 | Joint plate controlling length of rebar on drilled shaf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8906A true KR20160018906A (en) | 2016-02-18 |
KR101604658B1 KR101604658B1 (en) | 2016-03-21 |
Family
ID=55457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1661A KR101604658B1 (en) | 2014-08-07 | 2014-08-07 | Joint plate controlling length of rebar on drilled shaf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4658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9829B1 (en) | 2011-01-31 | 2012-03-09 | (주)리치이엔씨 | Method for cast-in-place pile construction using punctured couplers |
KR101314080B1 (en) | 2011-12-27 | 2013-10-04 | (주)하경엔지니어링 | Constructing method of cast-in-place concrete pile using mold case tremi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3313Y1 (en) * | 2001-03-20 | 2001-10-08 | 이호경 | a bolt coupling method of th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for H-pile |
-
2014
- 2014-08-07 KR KR1020140101661A patent/KR10160465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9829B1 (en) | 2011-01-31 | 2012-03-09 | (주)리치이엔씨 | Method for cast-in-place pile construction using punctured couplers |
KR101314080B1 (en) | 2011-12-27 | 2013-10-04 | (주)하경엔지니어링 | Constructing method of cast-in-place concrete pile using mold case tremi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4658B1 (en) | 2016-03-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1139B1 (en) | Construction method using soil retaining wall | |
KR101834847B1 (en) | Echo-environmental construction method of tunnel portal area using mini pipe-roof | |
US20220098817A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structure | |
KR20100068597A (en) | A shoring method using arch plate pile and h-pile | |
CN102733413A (en) | Method for controlling subsidence of operating subway tunnel | |
KR101378814B1 (en) | Microf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jet grouting | |
KR101065017B1 (en) | A shoring method using arch plate pile and H-Pile | |
JP4558145B2 (en) | Seismic isolation method for existing buildings | |
KR101021915B1 (en) | A method for constructing cut-off temporary structure for sheathing work | |
JP2005146849A (en) | Reinforcing method for retaining wall and the retaining wall | |
KR101604658B1 (en) | Joint plate controlling length of rebar on drilled shaft | |
KR101282770B1 (en) | Precast straight wall found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101386558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 |
JP3185440U (en) | Solar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 |
JP5512600B2 (en) | Retaining wall extension method and retaining wall structure | |
CN208023591U (en) | A kind of foundation pit supporting construction of steel sheet pile combined deposited pile | |
KR102072889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smallcaliber composite pile wall using small drilling rig at adjacent building proximity section | |
JPH0559728A (en) | Sheathing work above underground structure | |
KR101253841B1 (en) | Vertically Inserting Column into the Eccentrically Bored Hole & the Method Thereof | |
RU2623397C1 (en) | Method of tunnel construction | |
KR101257905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foundation work | |
KR101079188B1 (en) | The Method for Construction Walls of Underground Structure | |
KR20110043976A (en) | Top-down method using precast column and building structure thereof | |
KR101952669B1 (en) | Temporary facility circular retaining wall method using arched steel plate and guide structure | |
KR101625101B1 (en) | Steel pipe wall temporary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