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596U - 인체에 전압을 인가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인체에 전압을 인가하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3596U KR20160003596U KR2020150005536U KR20150005536U KR20160003596U KR 20160003596 U KR20160003596 U KR 20160003596U KR 2020150005536 U KR2020150005536 U KR 2020150005536U KR 20150005536 U KR20150005536 U KR 20150005536U KR 20160003596 U KR20160003596 U KR 2016000359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voltage
- electrically connected
- connecting means
- output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에 전압을 인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용, 마사지, 동통 완화 등을 목적으로 하여 인체에 미약 미세 전류(1~10,000uA)를 흐르게 하기 위해서 적합하게 사용 가능한 전압 인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강압 가능하고, 강압된 교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출력 단자와 제 2 출력단자를 구비하는 전압 발생부; 상기 제 1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연결수단; 상기 제 1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전극; 상기 제 2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연결수단;
상기 제 2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전극; 상기 제 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3 연결수단; 상기 제 3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3 전극; 상기 제 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4 연결수단; 및
상기 제 4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4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전극 및 상기 제 4 전극은 상기 제 2 전극을 기준으로 병렬 상태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강압 가능하고, 강압된 교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출력 단자와 제 2 출력단자를 구비하는 전압 발생부; 상기 제 1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연결수단; 상기 제 1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전극; 상기 제 2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연결수단;
상기 제 2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전극; 상기 제 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3 연결수단; 상기 제 3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3 전극; 상기 제 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4 연결수단; 및
상기 제 4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4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전극 및 상기 제 4 전극은 상기 제 2 전극을 기준으로 병렬 상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인체에 전압을 인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용, 마사지, 동통 완화 등을 목적으로 하여 인체에 미약 미세 전류(10~10,000uA)를 흐르게 하기 위해서 적합하게 사용 가능한 전압 인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용, 마사지 등의 분야에서는, 인체로 흐르게 하는 미약 전류를 얻기 위해서 전압 인가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 3119782호에는, 에너지 웨이브 발생기와 이 에너지 웨이브 발생기에 전선에 의해서 연결된 2개의 전기 전극을 가지는 건강 미용기구인 전압인가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문헌에는, 한쪽의 전기 전극에 마사지를 받는 사람(피시술자)의 족부를 맨발 상태에서 두는 것과 동시에, 다른 쪽의 전기 전극을 미용사 또는 마사지사(시술자)가 맨발로 밟아, 마사지를 받는 사람에게 시술자의 양손이 접촉함으로써, 마사지의 효능이 제공되는 점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전압 인가 장치는 미용사나 마사지사 등의 시술자에 의해서 밟히는 전극이 하나밖에 없었다. 따라서 시술자에 의한 시술을 받는 피시술자에 대해, 시술자가 어느 하나의 장소에 위치하여 시술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므로, 시술자의 자세가 불안정이 되기 쉽고, 발바닥에 의한 전류의 조정이 하기 어렵다.
또, 피시술자의 각 시술 부위에 대해서 시술자가 양손을 사용해 시술하려면 제약이 많아, 시술 자유도가 낮다.
본 고안은 시술자의 손을 통해 피시술자에게 미약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해서 이용되었을 경우에, 시술자가 다리 발바닥에 의해 전류의 조정을 하기 쉽고, 시술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배열을 제안한다.
또한 본 고안은 어느 위치에 배치된 전극이 시술자에게 사용되었을 경우에서도, 같은 시술자에 의해 같은 조건으로 전극이 밟히는 한, 피시술자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똑같이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한 인체에 전압을 인가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절연체의 바닥, 전극 및 전극상부에 전도성재질이 구비된 이동 가능한 전압인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인체에 전압을 인가하는 장치는,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강압 가능하고, 강압된 교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출력 단자와 제 2 출력단자를 구비하는 전압 발생부; 상기 제 1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연결수단; 상기 제 1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전극; 상기 제 2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연결수단; 상기 제 2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전극; 상기 제 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3 연결수단; 상기 제 3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3 전극; 상기 제 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4 연결수단; 및 상기 제 4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4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전극 및 상기 제 4 전극은 상기 제 2 전극을 기준으로 병렬 상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3 전극 및 상기 제 4 전극 각각에는 직렬적으로 접속되는 각각의 전극;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전극이 직렬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 3 전극에 직렬로 접속되는 후단 전극의 전기 전도도가 상기 제 3 전극의 전도도 보다 더 크게 하도록 한다.
상기 전압 인가 장치에 의하면, 피시술자의 몸의 일부에 제 1 전극을 접촉시키는 것과 동시에, 복수의 제 2 전극 중의 하나를 맨발 상태의 시술자가 발바닥에서 밟음으로써, 전압 발생부에 의해 출력된 교류 전압에 기초하는 전류를, 시술자의 손을 통해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인가 장치에 의하면, 침대에 누운 피시술자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 2 전극을 바닥 등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각 시술 부위에 맞추어 복수의 제 2 전극 간을 이동하면서 시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시술자는 시술 시에 무리한 자세로 시술 부위에 손을 대는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시술자는 안정된 자세로 시술하는 것이 가능해져, 안정된 자세에서도 제 2 전극의 밟는 방법을 바꾸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 2 전극에 접지시키는 발바닥의 접지 면적이나 제 2 전극을 발을 디딜 때의 중량 등을 세세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상기 전압 인가 장치에 의하면, 시술자가 다리에 의해 전류의 조정을 하기 쉽고, 시술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 인가 장치에 의하면, 복수 개가 있는 각각의 제 2 전극 중 , 어느 제 2 전극이 시술자에 의해서 밟힌 경우라도, 같은 시술자에 의해 같은 조건으로 제 2 전극이 밟히는 한, 피시술자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똑같이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시술자는 각 제 2 전극이 배치되는 각각의 장소에 있어서, 각 시술 부위의 사이에서 얼룩짐이 적은 시술 수행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절연체의 바닥, 전극 및 전극 상부에 전도성재질이 구비된 이동 가능한 전압인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시술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한 전류(전압)를 피 시술자에게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전극장치를 바닥에 고정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되어 공간에 구애받지 않으며 설치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a/1b는 본 고안의 전압 인가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a/1b의 전압 인가 장치에서의 전압 발생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서의 변조 회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1a/1b의 전압 인가 장치의 사용 형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도 1a/1b의 전압 인가 장치의 사용 형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
도 6(a) - 6(e)는 이동 가능한 전압인가장치를 보여주는 하나의 실시 예 도면
도 2는 상기 도 1a/1b의 전압 인가 장치에서의 전압 발생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서의 변조 회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1a/1b의 전압 인가 장치의 사용 형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도 1a/1b의 전압 인가 장치의 사용 형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
도 6(a) - 6(e)는 이동 가능한 전압인가장치를 보여주는 하나의 실시 예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 또는 유사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각 도면을 인용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전압 인가 장치(1)는 시술자의 손을 통해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에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해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극은 피시술자의 몸의 일부에 접촉시켜 사용된다. 또, 제 2 전극은 맨발 상태의 시술자의 발바닥에 의해 밟혀 사용된다. 덧붙여 상기 맨발 상태에는, 시술자가 맨발인 경우뿐만 아니라, 맨발에 도전성 양말 등을 착용함으로써, 맨발과 같이 발바닥을 통해서 전기를 흐르게 할 수 있는 상태도 포함된다.
상기 전압 인가 장치에 있어서, 전압 발생부(2)는 구체적으로는,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복수의 교류 전압에 강압가능하고, 강압된 하나의 교류 전압을 제 1 출력 단자(21) 및 제 2 출력 단자(22)보다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출력이 다른 각 교류 전압에 기초하는 각 전류를, 시술자의 손을 통해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로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덧붙여 전압 발생부는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1회 또는 다단계로 소정의 교류 전압에 강압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인가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연결수단 (케이블)의 각 전기 저항값은 대략 동일하다라고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복수 개가 직렬, 병렬/직렬로 배치 구성된 각 제 2 전극 중 , 어느 제 2 전극이 시술자에 의해서 밟힌 경우라도, 같은 시술자에 의해 같은 조건으로 제 2 전극이 밟히는 한, 피시술자에 대해서 똑같이 전류를 흐르게 하기 쉬워진다.
상기 전압 인가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각 연결수단인 각 케이블 재질, 각 케이블 길이, 및, 각 케이블 도체 지름은 대략 동일하다라고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전극이 직렬로 구성되는 경우 뒤에 구성되는 전극의 전기 전도도가 점점 커지도록 한다. 상기 전도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연결수단의 재질,길이, 면적 또는/및 전극의 재질,면적 들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전극이 직렬로 구성되는 경우 전압 발생부를 기준으로 후단에 접속되는 전극일수록 전기 전도도가 더 크게 하도록 하며, 예를 들어 전극이 직렬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 3 전극에 직렬로 접속되는 뒷쪽(후단)의 전극의 전기 전도도가 상기 제 3 전극의 전도도보다 더 크게 하도록 한다. 따라서 모든 전극에서의 출력값이 같아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도도를 크게 하기 위해, 전도율이 더 놓은 재료나 소재들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전압 인가 장치에 있어서, 제 2 전극의 수는 구체적으로는, 3~8개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제 2 전극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침대 상에 누운 피시술자의 주위를 미치지 않는 곳 없게 둘러싸도록 제 2 전극을 배치하기 쉬워진다. 그로 인해 시술자가 각 제 2 전극 간을 이동하기 쉬워져, 시술자가 안정된 자세를 지지하기 쉬운 위치를 보다 많이 확보하기 쉬워진다. 또, 제 2 전극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7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개 이하로 할 수 있다. 제 2 전극의 수가 너무 많아 지면 , 전압 인가 장치의 제조 비용이나 제 2 전극의 배설에 시간이 든다. 제 2 전극의 수의 상한이 상술한 범위 내이면, 상기 문제가 생기는 것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상기 전압 인가 장치에 있어서, 전압 발생부는 입력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를, 입력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낮은 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변조 회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입력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와는 다르다, 예를 들면, 인체에 의해 적합한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는, 변조 회로를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출력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의 폭을 확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한층 더 시술 자유도가 높은 전압 인가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전압 인가 장치에 있어서, 전압 발생부는 적어도 주파수 5~20 Hz의 교류 전압을 출력 가능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 경우에는, 물결 혹은 물결에 가까운 주파수의 교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시술자는 피시술자가 보다 릴랙스한 상태에서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주파수의 교류 전압은 입력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를 상기 변조 회로를 통해 변환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주파수는 바람직하게는, 6 Hz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Hz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7 Hz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주파수는 바람직하게는, 18 Hz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Hz이하,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4 Hz이하, 한층 더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Hz이하로 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인가 장치에 있어서, 제 2 전극은 스텐레스제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압 인가 장치의 사용시에 제 2 전극에 녹 등이 생기기 어렵고, 또, 전기 전도도가 적당하다 것으로, 유지보수성이 우수해 상술한 시술에 사용하기 쉬운 전압 인가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시술자의 시술의 편리성을 위하여 바닦에 놓여지는 복수의 전도성판을 구비하며 전도성 판은 금속,카본고무,전자파방지천 등 전기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직렬로 접속되는 전극의 경우, 후단에 구성되는 전극의 전도도가 더 좋도록 함으로써 출력이 동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덧붙여 상술한 각 구성은 상술한 각 작용효과 등을 얻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의 전압 인가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해 설명한다. 덧붙여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a/1b는 본 고안의 전압 인가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a/1b의 전압 인가 장치에서의 전압 발생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서의 변조 회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1a/1b의 전압 인가 장치의 사용 형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도 1a/1b의 전압 인가 장치의 사용 형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상기 도 1a/1b ~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본 실시 예의 전압 인가 장치 (1)은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강압 가능하고, 강압된 교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1 출력 단자 (21)과 제 2 출력 단자 (22)를 구비하는 전압 발생부 (2)와 제 1 출력 단자 (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연결수단 (케이블) (3)과 제 1 케이블 (3)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전극 (4)와, 제 2 출력 단자 (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연결수단 (케이블) (5)와 상기 제 2 케이블(5)의 선단부에 접속된 제 2 전극(55)과, 상기 제 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3 연결수단 (6), 상기 제 3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 2 전극과 직렬 접속된 제 3 전극 (66)과, 상기 제 3전극과 접속되는 제 4 연결수단(7)과 직렬적으로 접속되는 전극(77)이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배치로 제 5,6 연결수단 (8,9) 및 제 5, 6 전극 (88,99)를 포함한다.
상기 사항은 단지 하나의 예이고, 다른 예로써 전극을 직렬로 추가적으로 구성가능하고, 또한 다른 실시 예로써 중간에서 도 1b와 같이 분기하여 전극을 배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강압 가능하고, 강압된 교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제 1 출력 단자(21)와 제 2 출력단자(22)를 구비하는 전압 발생부 (2); 상기 제 1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연결수단 (케이블)(3); 상기 제 1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전극 (4); 상기 제 2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연결수단 (5); 상기 제 2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전극 (555); 상기 제 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3 연결수단 (61); 상기 제 3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3 전극 (616); 상기 제 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4 연결수단 (62); 및 상기 제 4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4 전극(626);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전극 및 상기 제 4 전극은 상기 제 2 전극을 기준으로 병렬 상태로 구성되어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 3 전극 및 상기 제 4 전극 각각에 직렬적으로 접속되는 각각의 전극 (717,727);을 더 포함한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본 예에 있어서, 인체에 전압을 인가하는 장치로서, 도 1a/1b와 같이 배열된 전극구조에서,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시술자 S의 손 S1를 통해 피시술자 C의 시술 부위에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덧붙여 도 4, 도 5에서는, 편의상 전압 인가 장치의 일부분만이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피시술자 C는 엎드려 또는 위로 돌려진 상태에서 침대 91상에서 누워 시술자 S에 의한 시술을 받을 수 있다. 제 1 전극 4는 피시술자 C의 몸의 일부에 접촉시켜 사용된다. 본 예에서는, 제 1 전극 4는 누운 피시술자 C의 배 윗부분 C1에 접촉시켜 사용된다. 제 1 전극 4는 금속제의 천이 매트상에 형성되어서 이루어진다. 제 1 전극 4의 크기는 세로 150 mm 세로 250 mm이다.
한편, 제 2 전극 (55,555)는 맨발 상태의 시술자 S의 발바닥 S2에 의해 밟혀 사용된다. 본 예에서는, 상기 제 2 전극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을 기준으로 병렬로 구성되어 있는 전극들은 도 4에 나타난 것처럼, 피시술자 C를 둘러싸도록 침대 91 주위에 배치되어 하나의 측면이 바닥면에 노출하도록 바닥 92에 매설되고 있다.
본 예에 있어서, 전압 발생부 2는 구체적으로는, 교류 전원 23보다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강압하기 위한 회로부 24를 가지고 있다. 회로부 24는 전원부 241과 트랜스부 242와 저항부 243과 변환 스위치부 244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본 예에서는, 교류 전원 23은 가정용의 교류 100V (50/60Hz )이다. 또, 본 예의 회로부 24는 변조 회로 245를 가지고 있다.
전원부 241은 외부의 교류 전원 23에 접속하기 위한 콘센트 241 b와 전원 스위치 241 a를 가지고 있다. 상기 교류 전원 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 스위치 241a가 ON 됨으로써, 전원부 241에 교류 100V(50/60Hz )의 교류 전압이 입력된다.
트랜스부 242의 일차측은 전원부 241에 접속되어 일차 측에 입력된 상기 교류 전압을 복수의 교류 전압으로 강압해, 2차 측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저항부 243은 트랜스부 242의 2 차측에 접속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저항부 243은 제 1 전기 저항 243 a, 제 2 전기 저항 243 b, 제3 전기 저항 243 c, 및, 제4 전기 저항 243 d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저항부 243은 약 100옴 정도로되고 있어 후술하는 변환 스위치부 244에 의한 변환 때의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 등을 가지고 있다. 본 예에서는, 상기 구성에 의해, 입력된 교류 전압이, 36 V, 55 V, 72 V, 90 V의 4 단계의 교류 전압에 강압되게 되어 있다.
저항부 243의 하류측 단부는 변환 스위치부 244에 접속되어 있다. 변환 스위치부 244는 구체적으로는, 2 회로 4 접점의 로터리 스위치이다. 본 예에서의 전압 발생부 2는 변환 스위치부 244의 변환 조작에 의해, 상술한 4 단계의 교류 전압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교류 전압을 선택 가능하게 되어 4 단계의 강약이 다른 교류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여 변환 스위치부 244는 도시하지 않는 출력 표시기용의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변환 스위치부 244에 의해 선택된 출력전압을 나타내기 위해서, 각 출력전압에 따라서 다른 색에서 점등하는 LED 램프를 4개 가지고 있다. 덧붙여 이 LED 램프는 정류된 직류 전류에 의해서 점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의 전압 발생부 2는 상기 입력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를, 당해 입력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낮은 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변조 회로 245를 가질 수 있다. 변조 회로 245는 구체적으로는, 변환 스위치부 244의 하류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변조 회로 245는 복수의 전자 릴레이 245a ~ 245d와 각 전자 릴레이 245a ~ 245d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저항값이 각각 다른 각 전기 저항 246a ~ 246 d를 구비한 변조부 245 A와 오퍼레이션 앰프 245 B와 마이크로컴퓨터부 245 C를 가지고 있다. 오퍼레이션 앰프 245 B는 변환 스위치부 244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교류 전압의 파형의 제로점으로 전자릴레이 245 a~245 d의 변환을 수행하기 위해서, 마이크로컴퓨터부 245 C에 안전하게 교류 전압을 입력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부 245 C는 오퍼레이션 앰프 245 B보다 입력되는 교류 전압에 기초해, 전자 릴레이 245 a~245 d의 변환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본 예에서는, 전압 발생부 2는 상기 변조 회로 245를 가짐으로써, 주파수가 7~14 Hz의 범위내에 있는 교류 전압을, 제 1 출력 단자 21 및 제 2 출력 단자 22를 통해 출력 가능하다.
본 예에서는, 변환 스위치부 244와 변조 회로 245 사이에, 보호 회로부 246이 설치되어 있어 설정을 초과하는 과전류가 인체로 흐르는 것을 방지 가능으로 되어 있다. 보호 회로부 246은 구체적으로는, 5000옴 정도의 전기 저항을 가지는 표시등을 구비하고 있어 최대 20 mA의 전류로 보호 기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 복수의 연결수단들은 침대 91 하의 바닥면 영역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의 바닥 9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예의 전압 인가 장치의 조작 방법의 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도 1a/1b의 배열 전극에 의거, 도 2,4,5등에서의 전극들이 침대 91 상에 피시술자 C가 엎드린 상태에서 누움으로써, 피시술자 C의 배 부분 C1와 제 1 전극 4를 접촉시킨다. 그 다음에, 교류 전원 23에 접속된 전압 발생부 2의 전원 스위치 241a를 ON으로 해, 변환 스위치부 244를 돌려 원하는 출력전압으로 설정한다.
그 다음에, 시술용의 젤이 임의로 칠해진 피시술자 C의 시술 부위에, 시술자 S가 손을 태운다. 그 다음에, 맨발 상태의 시술자 S가 천천히 발바닥 S2, 예를 들면, 발뒤꿈치 부분에서, 시술 부위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각각의 전극을 밟기 시작한다. 이것에 의해, 전압 인가 장치 1, 시술자 S 및 피시술자 C에 의해서 하나의 페회로가 구성되어 시술자 S의 손 S1를 통해 피 시술자 C의 시술 부위에 소정의 전류가 흐른다.
시술자 S는 시술 부위의 범위, 체적 등에 따라, 각 전극의 밟는 방법을 바꿈으로써, 피시술자 C로 흐르는 전류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바닥 S2와 해당 전극의 접지 면적, 중량이 커지면, 흐르는 전류가 커져, 발바닥 S2와 해당 전극의 접지 면적, 중량이 작아지면, 흐르는 전류가 작아진다.
다음으로, 본 예의 전압 인가 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전압 인가 장치 도 1a/1b, 4 또는/및 5에 의하면, 피시술자 C의 몸의 일부에 제 1 전극 4를 접촉시키는 것과 동시에, 복수 개 있는 전극 중의 하나를 맨발 상태의 시술자 S가 발바닥 S2에서 밟음으로써, 전압 발생부 2에서 출력된 교류전압에 기초하는 전류를, 시술자 S의 손 S1를 통해 피시술자 C의 시술 부위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서의 전압 인가 장치는 제 2 출력 단자 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케이블 5의 선단부에 접속된 전극 또는 접속된 각 전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전압 인가 장치에 의하면, 침대 91상에 누운 피시술자 C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전극들을 도 1a/1b와 같은 배열로 바닥 92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시술자 S는 피시술자 C의 각 시술 부위에 맞추어 복수의 제 2 전극간을 이동하면서 시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시술자 S는 시술 시에 무리한 자세로 시술 부위에 손 S1를 터치하는 필요가 없어진다.
시술자 S는 안정된 자세로 시술하는 것이 가능해져, 안정된 자세에서도 전극들의 밟는 방법을 바꾸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발을 디딜 때의 중량 등을 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전압 인가 장치 1에 의하면, 시술자 S가 다리에 의해 전류의 조정을 하기 쉽고, 시술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a) - 6(e)는 이동 가능한 전압인가장치를 보여주는 실시 예 도면들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강압하고, 강압된 교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단자가 형성된 전압 발생부가 구비된 장치에서, 절연체로 구성된 바닥면(111),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어 구비되고 전류를 출력하는 전극(113)과 상기 전극에 접촉되어 구비되며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커버(114)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대(112) 또는 상기 전극에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압이 인가되는 커넥터(115)가 구비되어 동작된다.
하나의 예로써, 절연체로 구성된 바닥면(111)과, 상기 바닥면 상부에 구비되고 전류가 출력되는 전극(113)과 상기 전극 상부에 구비되며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커버(114)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위에 시술자의 발바닥이 접촉하게 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또한 상기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대(112)의 일측 또는 상기 전극의 일측에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압이 인가되는 커넥터(115)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절연체의 바닥, 전극 및 전극 상부에 전도성재질이 구비된 이동 가능한 전압인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시술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한 전류(전압)를 피 시술자에게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전극장치를 바닥에 고정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공간에 구애받지 않으며 설치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취지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전압 발생부가 변조 회로를 가지는 예를 나타냈지만, 변조 회로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전압인가장치, 2 : 전압 발생부, 3 : 제 1 연결수단 (케이블)
4 : 제 1 전극, 5 : 제 2 연결수단
4 : 제 1 전극, 5 : 제 2 연결수단
Claims (6)
-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강압 가능하고, 강압된 교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출력 단자와 제 2 출력단자를 구비하는 전압 발생부;
상기 제 1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연결수단 ;
상기 제 1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전극;
상기 제 2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연결수단;
상기 제 2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전극;
상기 제 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3 연결수단; 및
상기 제 3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 2 전극과 직렬 접속된 제 3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인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전극과 직렬적으로 접속되는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인가 장치.
-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강압 가능하고, 강압된 교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출력 단자와 제 2 출력단자를 구비하는 전압 발생부;
상기 제 1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연결수단;
상기 제 1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전극;
상기 제 2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연결수단;
상기 제 2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전극;
상기 제 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3 연결수단;
상기 제 3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3 전극;
상기 제 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4 연결수단; 및
상기 제 4 연결수단의 선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4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전극 및 상기 제 4 전극은 상기 제 2 전극을 기준으로 병렬 상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인가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전극 및 상기 제 4 전극 각각에는 직렬적으로 접속되는 각각의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인가 장치.
- 제 1항,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전극이 직렬로 구성되는 경우 전압 발생부를 기준으로 후단에 접속되는 전극일수록 전기 전도도가 더 크게 하는 것으로 써, 상기 제 3전극에 직렬로 접속되는 전극의 전기 전도도가 상기 제 3 전극의 전도도보다 더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인가 장치.
-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강압하고, 강압된 교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단자가 형성된 전압 발생부가 구비된 장치에서,
절연체로 구성된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어 구비되고 전류를 출력하는 전극과 상기 전극에 접촉되어 구비되며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대 또는 상기 전극에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압이 인가되는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인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2209 | 2015-04-08 | ||
KR20150002209 | 2015-04-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3596U true KR20160003596U (ko) | 2016-10-18 |
KR200483163Y1 KR200483163Y1 (ko) | 2017-04-11 |
Family
ID=57234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5536U KR200483163Y1 (ko) | 2015-04-08 | 2015-08-19 | 인체에 전압을 인가하는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3163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2147B1 (ko) * | 2019-01-10 | 2020-06-11 | 양정동 | 전기자극 기능을 가지는 미세전류 공급 마사지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16037U (ko) * | 1996-09-14 | 1998-06-25 | 송기성 | 전화식 경보장치 |
JP3492927B2 (ja) * | 1998-12-14 | 2004-02-03 | ヤーマン株式会社 | 体脂肪測定装置 |
KR200435533Y1 (ko) * | 2006-09-18 | 2007-01-29 | 임재록 |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피부자극기 |
JP3193996U (ja) * | 2014-08-19 | 2014-10-30 | 株式会社エネ・フォース | 電圧印加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93996B2 (ja) * | 1994-11-15 | 2001-07-30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ヘテロ構造評価方法 |
-
2015
- 2015-08-19 KR KR2020150005536U patent/KR200483163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16037U (ko) * | 1996-09-14 | 1998-06-25 | 송기성 | 전화식 경보장치 |
JP3492927B2 (ja) * | 1998-12-14 | 2004-02-03 | ヤーマン株式会社 | 体脂肪測定装置 |
KR200435533Y1 (ko) * | 2006-09-18 | 2007-01-29 | 임재록 |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피부자극기 |
JP3193996U (ja) * | 2014-08-19 | 2014-10-30 | 株式会社エネ・フォース | 電圧印加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3163Y1 (ko) | 2017-04-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93996U (ja) | 電圧印加装置 | |
KR101795944B1 (ko) | 플라즈마 패드 | |
KR101191951B1 (ko) | 전기자극을 개선한 피부미용장치 | |
CN105188837A (zh) | 使用网状结构的生物信号测量和电刺激设备 | |
KR200483163Y1 (ko) | 인체에 전압을 인가하는 장치 | |
KR20020048907A (ko) | 전위치료장치 및 인체부위에 대한 최적의 도즈량제어방법 | |
CN2910252Y (zh) | 一种高电位治疗装置 | |
JPH08332234A (ja) | 低周波治療器 | |
KR102122147B1 (ko) | 전기자극 기능을 가지는 미세전류 공급 마사지 장치 | |
JP3202779U (ja) | 電圧印加装置 | |
CN104394928B (zh) | 电位治疗仪 | |
JP4938477B2 (ja) | 生命体の治癒力向上装置 | |
KR20120041525A (ko) | 전신용 전기 자극 치료기 | |
JP6703695B2 (ja) | 筋肉刺激装置 | |
KR101300695B1 (ko) | 고주파 치료기용 밴드타입 전극 유닛 | |
KR102007954B1 (ko) | Ret 및 cet 고주파 치료 기능을 구비한 전기 치료기 | |
CN106693166A (zh) | 一种家庭式电位治疗仪 | |
CN113271907A (zh) | 美容仪及其控制方法 | |
WO2018123997A1 (ja) | 美容の施術支援装置 | |
WO2015044636A1 (en) | Microcurrent electrical neuromuscular stimulator apparatus | |
US1049759A (en) | Electrotherapeutic appliance. | |
JP2015156887A (ja) | 電気刺激装置 | |
CN202569203U (zh) | 电脉冲点穴器及电子脉冲治疗仪 | |
KR20210143713A (ko) | 미용기 및 그 제어방법 | |
JP3210990U (ja) | 美容の施術支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