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650U - 흡착 물품 표면의 컵 현상을 제거 가능한 진공 흡착 패드 - Google Patents

흡착 물품 표면의 컵 현상을 제거 가능한 진공 흡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650U
KR20160002650U KR2020150000480U KR20150000480U KR20160002650U KR 20160002650 U KR20160002650 U KR 20160002650U KR 2020150000480 U KR2020150000480 U KR 2020150000480U KR 20150000480 U KR20150000480 U KR 20150000480U KR 20160002650 U KR20160002650 U KR 201600026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adsorption
hole
pad
stret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004Y1 (ko
Inventor
송창동
권승용
Original Assignee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0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00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6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6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0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25J15/0683Details of suction cup structure, e.g. grooves or 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B65G2249/045Details of suction cups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정의 물품을 진공 흡착하여 이동시킬때 사용하는 흡착 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 흡착패드의 과다한 흡입력에 의해 이동시키는 물품 표면에 변형이 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흡착 물품 표면의 컵 현상을 제거 가능한 진공 흡착 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진공 흡입하는 통로인 통공(6)과, 통공(6)과 소통하며 흡착대상물에 대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흡착공(24)을 갖춘 구조의 흡착 패드에 의하여 흡착 대상 물품을 흡착하여 위치 이동시키는 흡착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흡착판(13)은 오목한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판의 외주에 형성하는 선단부(27)와, 선단부(27)에서 부터 흡착공(24) 쪽으로 선단부(27)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춘 두께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착 물품 표면의 컵 현상을 제거 가능한 진공 흡착 패드{VACCUM SUCTION PAD BEING POSSIBLE TO PREVENT FROM CUP PHENOMENON}
본 고안은 소정의 물품을 진공 흡착하여 이동시킬때 사용하는 흡착 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 흡착패드의 과다한 흡입력에 의해 이동시키는 물품 표면에 변형이 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흡착 물품 표면의 컵 현상을 제거 가능한 진공 흡착 패드에 관한 것이다.
[문헌1] 실용신안등록번호 : 20-0434642(등록일자 : 2006.12.18)
[문헌2] 특허등록번호 : 10-0584515(등록일자 : 2006.05.23)
[문헌3] 특허등록번호 : 10-1341894(등록일자 : 2013.12.10)
도 1 은 종래의 흡착 패드를 예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흡착 패드(1)는 몸체(2) 상부에 통공(6)이 형성되고, 반대편 하부에는 흡착판(3)이 형성된다. 흡착판(3)에는 내부 원주상으로 돌기(4)가 형성된다. 통공(6) 하부에는 통공(6) 보다 확장된 공간을 갖는 패드고정부(7)가 형성되는데 이 위치에는 고정부재(8)가 장착되어 패드(1)가 이 고정부재(8)에서 빠지지 않게 잡아준다.
그리고 흡착판(3)에 의한 소정의 물품을 흡착시, 통공(6)을 통한 공기 흡입이 이루어져 흡착판(3)에 부착한 물품이 흡착되고 흡착된 물품은 소정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종래 구조에 의하면, 흡착판(3)에 붙여 이동시키고자 하는 물품을 흡착시켜 붙일 때, 흡착되는 물품이 얇은 판 형상, 특히 휘어짐이 가능한 필름이나 판상의 플라스틱 물품일 경우, 흡착 압력에 의해 판 형상의 흡착 물품이 휘어지거나 또는 흡착 부분만 볼록하게 솟아 나오는 컵 현상이 발생한다.
흡착 물품이 휘어지는 이유는 물품에 지나치게 크게 흡착 압력이 걸리기 때문이다. 흡입력이 작용되면 그 흡입력으로 물품을 흡착하고, 여분의 흡입력은 자바라 형상의 신축부(9)가 받아주어 신축부(9)가 납작하게 된다. 다시 말해, 흡착판(3)에서 흡착력이 작용하여 물품을 흡착으로 잡아 준 후, 여분의 남는 흡입력은 신축부(9)에서 받아주는데, 신축부(9)가 여분의 흡입력을 충분히 받아주지 못하면 그 흡입력은 흡착물품에 전가되어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축부(9)가 여분의 흡입력을 받아주기 위하여는 신축부(9)가 비교되는 다른 부분 보다 큰 공간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여분의 흡입력을 받아주고, 아울러 흡착 패드 자체가 변형이 오지 않게 구조 개선하여 흡착 패드에 의한 흡착 물품의 컵 현상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진공 흡입하는 통로인 통공(6)과, 통공(6)과 소통하며 흡착대상물에 대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흡착공(24)을 갖춘 구조의 흡착 패드에 의하여 흡착 대상 물품을 흡착하여 위치 이동시키는 흡착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흡착판(13)은 오목한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판의 외주에 형성하는 선단부(27)와, 선단부(27)에서 부터 흡착공(24) 쪽으로 선단부(27)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춘 두께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두께부(23)에는 돌기(1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돌기(14)는 평면을 갖는 흡착 대상물과 동일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흡착면(2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돌기(14)는 중앙의 흡착공(24)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돌기(14)는 흡착공(24) 외주로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패드는 흡착공(24) 상부에 신축부(19)를 형성하고, 신축부(19) 상부에는 오목부(21)를 형성하며, 오목부(21) 내경 상부에는 공간을 이루는 신장부(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신축부(19)의 직경은 통공(6)과 흡착공(24) 내경 보다 2배 이상 큰 직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소정의 이동시키고자 하는 물품에 일정하게 작용하는 흡입력 중 여분의 흡입력을 충분히 받아주고, 아울러 흡착 패드 자체가 변형이 오지 않아, 흡착 패드에 의한 흡착 물품의 컵 현상이 제거될 수 있어 물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흡착판(13)의 돌기(14)에 구성한 흡착면(26)이 수평한 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흡착 대상물과 동일한 평면으로 접할 수 있어, 흡착 대상물과의 흡착 강도롤 더욱 높여, 흡착 후 물품의 이동 과정 중 물품이 분리되어 떨어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있다.
도 1 은 종래으 패드 구조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패드 구조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 예
도 4 는 본 고안의 흡착 패드에 대한 사시도
도 5 는 종래의 흡착 패드에 의한 컵현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해 컵 현상이 제거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함께 추가로 상술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라 개선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정부재(18) 설치 부분 앞에 소정의 공간을 이루는 신장부(20)를 두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신장부(20)가 없었다. 신장부(20)는 신축부(19)에서 받아주는 흡입 압력을 한번 더 받아 주는 효과를 갖는다. 신장부(20)의 외주에는 오목부(21)를 주어서 신장부(20)가 흡입 압력에 의해 수축될 수 있게 구성하였다.
그리고 신축부(19) 부분의 최대직경은, 아래 및 위의 직경(d) 부분 보다 적어도 2 배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약 2-3배 정도의 직경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면 신축부(19)에서 물품 흡착 후의 여분의 흡입압력을 충분히 받아 줄 수 있다. 즉, 여분의 흡입 압력은 1차적으로 신축부(19)에서 받아주고, 2 차적으로는 오목부(21) 및 신장부(20)에서 받아준다. 신축부(19), 오목부(21) 및 신장부(20)는 그 구조가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면서 수축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여분의 흡입 압력을 충분히 받아 줄수 있다.
본 고안은 또한 도 2 에서 보듯이, 흡착판(13) 내측에 구성되는 돌기(14)를 더욱 조밀하게 함과 아울러 돌기의 구조를 개선하였다. 돌기(14)는 흡착판(3)이 찌그러지지 않게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보강 역할이 충분하지 못하면 흡착 압력에 못이겨 나란히 제 위치에 유지되지 못하고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돌기(14) 구조를 변형이 되지 않고 강도 유지 가능한 구조로 만들었다. 또한 흡착판(13)의 구조도 흡착이 잘되면서도 보강이 되도록 하였다.
흡착판(13)에 대하여 단면도로 도시한 도 3 및 도 2 에서 살펴보면, 흡착판(13)의 구조를 단이 진 구조로 만들었다. 흡착판(13)의 원주상 가장 외주는 얇게 만들고 중심으로 일정 거리 안으로 들어가면 두께가 두꺼운 두께부(23)를 주었다.
도 2 의 변형 실시 예는 도 3 이다. 흡착판(13)에서 돌기(14)가 형성되는 위치에서는 흡착판(13)의 외곽 보다는 더 두껍게 이루어진다
두께부(23) 안쪽으로는 돌기(14)를 형성하되 중앙의 흡착공(24) 까지 길게 연장하여 형성한다. 돌기(14)는 두께부(23)에 형성되어 두께부(23) 부분을 더욱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돌기(14)는 흡착편(13) 내측에 방사상으로 둥그렇게 여러 개 형성한다. 돌기(14)의 가장 외측의 면, 즉 흡착 물건과 접착하는 면인 흡착면(26)은 수평면을 이루게 한다. 또는 호 형상을 이루는 호면을 이루게 할 수도 있다. 흡착 대상면이 필름이나 판상의 물건과 같이 평면인 경우엔 흡착면(26)을 평면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흡착대상 물체가 호형이면 호형상으로 만드는 것이 긴밀한 흡착에 유리하다.
흡착판(13)의 선단부는 두께부(13)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으므로 흡착 대상 물건에 대하여 긴밀한 밀착이 가능하다. 그리고 흡착판(13)은 대부분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흡착시 좌우로 벌어져 흡착 대상물체에 대하여 거의 수평면으로 밀착한다
거기에 더하여 두께부(23)에 형성된 돌기(14)의 흡착면(26)도 거의 수평면이므로 흡착력이 더욱 강화되며 아울러 두께부(23)의 두께에 더하여 돌기(14)의 두께도 더해지므로 그 부분의 강도는 매우 높아 두께부(23)가 찌그러지거나 하는 변형이 오지 않는다.
참고로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흡착 패드를 사시도로 예시하였다
또한 참고도, 도 5 는 종래의 경우 패드가 오목하게 휘어지고 아울러 흡착 대상물도 볼록하게 휘어짐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구성에 의하면 필름이나 얇은 플라스틱 제품이 흡착시 휘지 않는 것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상기 구성에 의하면, 흡착 패드(1)가, 필름이나 판형상의 플라스틱과 같은 흡착 대상물을 흡착시, 흡착대상물이 오목하게 빨려 나오는 컵 현상이 생기지 않아 제품의 손상을 방지 가능하다
컵 현상이 방지되는 이유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흡착판(13)에 두께부(23)를 주고 그에 더하여 돌기(23)가 흡착공(24) 위치까지 길게 형성되어있어 두께부(23) 부분이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므로 이 부분이 오목하게 찌그러지지 않으며 아울러 돌기(23)에는 흡착면(26)이 수평으로 이루어져 흡착 대상물에 대하여 평면으로 흡착하게 되므로, 흡착대상물의 표면에 변형을 주지 않는다.
아울러 신축부(19)는 흡입공의 직경 보다 2배 이상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신축부(19) 위에는 추가적으로 신장부(20) 공간이 형성되어, 신축부(19) 및 그 위 공간이 과다한 흡입력을 수용해 주므로, 흡입 대상물에 대한 지나친 흡입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흡입 대상물 표면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1 패드 2 몸체
3,13 흡착판 4,14 돌기
6 통공 7,17 패드고정부
8,18 고정부재 9,19 신축부
20 신장부 21 오목부
23 두께부 24 흡착공
26 흡착면 27 선단부

Claims (7)

  1. 진공 흡입하는 통로인 통공(6)과, 통공(6)과 소통하며 흡착대상물에 대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흡착공(24)을 갖춘 구조의 흡착 패드에 의하여 흡착 대상 물품을 흡착하여 위치 이동시키는 흡착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흡착판(13)은 오목한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판의 외주에 형성하는 선단부(27)와, 선단부(27)에서 부터 흡착공(24) 쪽으로 선단부(27)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춘 두께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물품 표면의 컵 현상을 제거 가능한 진공 흡착 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부(23)에는 돌기(1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물품 표면의 컵 현상을 제거 가능한 진공 흡착 패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4)는 평면을 갖는 흡착 대상물과 동일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흡착면(2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물품 표면의 컵 현상을 제거 가능한 진공 흡착 패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4)는 중앙의 흡착공(24)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물품 표면의 컵 현상을 제거 가능한 진공 흡착 패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4)는 흡착공(24) 외주로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특징으로 하는 흡착 물품 표면의 컵 현상을 제거 가능한 진공 흡착 패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흡착공(24) 상부에 신축부(19)를 형성하고, 신축부(19) 상부에는 오목부(21)를 형성하며, 오목부(21) 내경 상부에는 공간을 이루는 신장부(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물품 표면의 컵 현상을 제거 가능한 진공 흡착 패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19)의 직경은 통공(6)과 흡착공(24) 내경 보다 2배 이상 큰 직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물품 표면의 컵 현상을 제거 가능한 진공 흡착 패드.

KR2020150000480U 2015-01-21 2015-01-21 흡착 물품 표면의 컵 현상을 제거 가능한 진공 흡착 패드 KR2004830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480U KR200483004Y1 (ko) 2015-01-21 2015-01-21 흡착 물품 표면의 컵 현상을 제거 가능한 진공 흡착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480U KR200483004Y1 (ko) 2015-01-21 2015-01-21 흡착 물품 표면의 컵 현상을 제거 가능한 진공 흡착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50U true KR20160002650U (ko) 2016-07-29
KR200483004Y1 KR200483004Y1 (ko) 2017-03-24

Family

ID=5661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480U KR200483004Y1 (ko) 2015-01-21 2015-01-21 흡착 물품 표면의 컵 현상을 제거 가능한 진공 흡착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00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126B1 (ko) * 2019-07-15 2020-07-15 (주)연우 흡착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 시스템
WO2020172114A1 (en) * 2019-02-18 2020-08-27 Material Handling Systems, Inc. Dual-material vacuum cup for a vacuum-based end effector
US11839987B2 (en) 2020-01-17 2023-12-12 Material Handling Systems, Inc. Vacuum-based end effector with extendible vacuum cup
KR102720471B1 (ko) * 2024-05-28 2024-10-22 (주)브이텍 진공 시스템용 흡착-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894B1 (ko) * 2018-08-02 2019-12-02 홍승민 진공 흡착 장치
KR102295645B1 (ko) * 2020-12-10 2021-08-27 오종석 환판 자동 배치와 접착제 자동 도포 방식이 포함된 지관 자동 제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082A (ja) * 2000-05-11 2001-11-13 Myotoku Ltd 吸着パッ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082A (ja) * 2000-05-11 2001-11-13 Myotoku Ltd 吸着パッド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2114A1 (en) * 2019-02-18 2020-08-27 Material Handling Systems, Inc. Dual-material vacuum cup for a vacuum-based end effector
US11241802B2 (en) 2019-02-18 2022-02-08 Material Handling Systems, Inc. Dual-material vacuum cup for a vacuum-based end effector
KR102134126B1 (ko) * 2019-07-15 2020-07-15 (주)연우 흡착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 시스템
US11839987B2 (en) 2020-01-17 2023-12-12 Material Handling Systems, Inc. Vacuum-based end effector with extendible vacuum cup
KR102720471B1 (ko) * 2024-05-28 2024-10-22 (주)브이텍 진공 시스템용 흡착-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004Y1 (ko) 201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004Y1 (ko) 흡착 물품 표면의 컵 현상을 제거 가능한 진공 흡착 패드
USD959679S1 (en) Adhesive bandage with decorated pad
USD1054568S1 (en) Adhesive bandage with decorated pad
US11525475B2 (en) Object holder with quick-release anchoring capability
KR20160108112A (ko) 흡착판
JP2020089936A (ja) 吸着パッド
USD889684S1 (en) Blood storage device
KR101674971B1 (ko) 이중 흡착판을 구비한 진공 흡착 패드
CN205173199U (zh) 一种置物架强力吸盘
JP2001173632A (ja) 吸 盤
CN205047628U (zh) 一种带塞头的真空吸盘
CN108656144A (zh) 微孔真空吸盘
CN217394713U (zh) 高精密工业加工真空吸附系统
CN206503833U (zh) 一种吸盘及选用这种吸盘的抽真空吊具
CN104613076A (zh) 真空吸盘
KR20160102614A (ko) 진공흡착구
CN210910066U (zh) 一种防转动的真空吸盘装置
CN210178737U (zh) 弹性胶体及应用了该弹性胶体的真空吸盘
CN204512154U (zh) 真空吸盘
JP7597692B2 (ja) 吸着パッド
JPH07214489A (ja) 吸着パッド
JP6327422B2 (ja) 吸着板
TWM576211U (zh) Suction cup and its suction cup auxiliary suction cup
CN219095897U (zh) 一种手机贴膜器和手机贴膜装置
CN221680323U (zh) 用于微针药膜转移的吸盘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12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622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61213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U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8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U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2

Patent event code: UX07013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9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61213

Patent event code: UX07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2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3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0123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