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9672A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9672A
KR20150109672A KR1020140032739A KR20140032739A KR20150109672A KR 20150109672 A KR20150109672 A KR 20150109672A KR 1020140032739 A KR1020140032739 A KR 1020140032739A KR 20140032739 A KR20140032739 A KR 20140032739A KR 20150109672 A KR20150109672 A KR 20150109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lectrode
secondary battery
reversing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005B1 (ko
Inventor
권민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2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005B1/ko
Priority to US14/619,528 priority patent/US10944092B2/en
Publication of KR20150109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제1 극판, 제2 극판 및 상기 제1 극판과 제2 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납하고, 일면이 개구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밀폐하며, 일 영역에 단락홀이 구비된 캡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캡플레이트의 단락홀에는 제1 반전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반전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반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이차전지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단락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 전지의 폭발 및 발화가 방지되어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년간 전자, 통신 등의 산업이 급속히 성장하면서, 캠코더, 셀룰러폰, 노트북 등의 휴대형 전자 기기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이차 전지의 사용량도 증가하고 있다. 상기 이차 전지는 휴대형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고출력 및 고 전력을 필요로 하는 전동 공구, 자동차, 보트, 우주 운송 수단, 모토바이크, 스쿠터, 항공 운송 수단 등의 중대형 장치에도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한 고출력 이차 전지는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이차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의 대용량 이차 전지는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로 이루어지며, 이차 전지는 원통형과 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차 전지 내부에서 단락이 발생하거나 외부의 이물질에 의하여 단락이 발생하면 이차 전지에 과전류가 흐른다. 과전류가 지속적으로 흐르면 이차 전지 내부에서 과도한 열이 발생하여 이차 전지가 폭발하거나 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과전류시 이차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및 제2 반전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돌출부가 구비된 제2 반전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지 내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지는 경우 단락이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제1 극판, 제2 극판 및 상기 제1 극판과 제2 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납하고, 일면이 개구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밀폐하며, 일 영역에 단락홀이 구비된 캡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캡플레이트의 단락홀에는 제1 반전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반전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반전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 상기 제1 반전플레이트는 테두리로부터 중심으로 갈수록 하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반전플레이트는 테두리로부터 중심으로 갈수록 하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중심에 인접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외주연으로부터 테두리까지의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영역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캡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단자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단자부의 하부면에는 제1 수용홈 및 제1 수용홈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2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단락홀 상부까지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은 상기 단락홀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 상기 돌출부의 직경은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간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은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케이스 내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지는 경우, 상기 제2 반전플레이트의 돌출부가 상기 제1 단자부의 제1 및 제2 수용홈에 접촉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단자부는 음극이고, 상기 제2 단자부는 양극일 수 있다.
또 상기 제2 반전플레이트는 양극을 띨 수 있다.
또한, 상기 캡플레이트의 상부 및 하부 일부 영역에는 각각 상부 및 하부 절연플레이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에 의하면, 단락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 전지의 폭발 및 발화가 방지되어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에 의하면, 제2 반전플레이트에 돌출부를 구비함에 의해 단락시, 제2 반전플레이트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재사용가능하여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차 전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I-I'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제2 반전플레이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의 단면도,
도 6은 작동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이 도시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차 전지(100)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제1 극판(111), 제2 극판(112) 및 상기 제1 극판(111)과 제2 극판(112)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113)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110)를 수납하고, 일면이 개구되는 케이스(140), 및 상기 케이스(140)의 개구를 밀폐하며, 일 영역에 단락홀(151a)이 구비된 캡플레이트(151), 상기 캡플레이트(151)의 단락홀(151a)에는 제1 반전플레이트(161) 및 상기 제1 반전플레이트(161)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반전플레이트(162)를 포함한다.
전극조립체(110)는 서로 적층된 제1 및 제2 극판(111, 112)과 세퍼레이터(113)를 권취하여 젤리롤(J/R) 형태로 제조하거나, 또는 복수개의 제1 및 제2 극판(111, 112)과 세퍼레이터(113)를 적층하여 스택(stack)형태로 제조하거나, 또는 권취 및 적층 양측 모두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1 극판(111)은 시트형태의 도전물질인 제1 기재에 제1 활물질을 간헐적으로 코팅하여 형성된 제1 활물질코팅부, 상기 제1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아 상기 제1 기재가 노출되는 부분인 제1 무지부(111a)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무지부(111a)는 제1 극판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극판은 음극판일 수 있고, 상기 제1 활물질은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탄소 복합체, 탄소 섬유 등의 탄소 재료, 리튬 금속 또는 리튬 합금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일 수 있다.
제2 극판(112)은 상기 제1 극판(111)과 다른 극성을 갖는 것으로, 시트형태의 도전물질인 제2 기재에 제2 활물질을 간헐적으로 코팅하여 형성된 제2 활물질코팅부, 상기 제2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아 상기 제2 기재가 노출되는 부분인 제2 무지부(112a)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무지부(112a)는 제2 극판(112)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극판(112)은 양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활물질은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또는 LiNi1 -x- yCoxMyO2등의 리튬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퍼레이터(113)는 상기 제1 극판(111)과 제2 극판(112) 사이에 위치되어 권취되며, 제1 극판(111) 및 제2 극판(112) 사이를 상호 절연시킨다. 그리고, 세퍼레이터(113)는 제1 극판(111)과 제2 극판(112) 간에 리튬이온이 교환될 수 있다. 이러한 세퍼레이터(113)는 전극조립체(110)가 수축 및 팽창되더라도 제1 극판(111)과 제2 극판(112) 사이를 완전히 절연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또는 제2 기재는 전류 또는 전자의 집전체로써 작용하며, 박막(thin film)으로 이루어진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기재는 구리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재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극판(111, 112)은 전해액 중으로 이온을 배출하여 전류 또는 전자의 흐름을 발생시키고, 상기 전류 또는 전자는 제1 및 제2 무지부(111a, 112a)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된다. 상기 제1 무지부(111a)은 음극이고, 제2 무지부(112a)는 양극일 수 있다.
케이스(140)는 일부가 개구된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전극 조립체(110) 및 전해액을 수납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는 캡조립체(15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케이스(140)를 직육면체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통형, 파우치형 및 코인형 등으로 제작가능하다.
캡조립체(150)는 케이스(140)의 개구를 밀폐하고, 단락홀(151a)이 구비된 캡플레이트(151), 상기 단락홀(151a)에 마련된 제1 반전플레이트(161) 및 제2 반전플레이트(162)와 상기 캡플레이트(15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단자부(123, 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자부(123, 133)는 제1 및 제2 집전체(121, 131)에 접합된 연결단자(122, 132)를 매개로 제1 및 제2 무지부(111a, 112a)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 2단자부(123, 133)와 캡플레이트(151)에는 밀봉을 위한 실링 가스켓(152)이 연결단자(122, 132)가 관통되는 홀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플레이트(151)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절연플레이트(155a, 155b)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제1 단자부(123) 영역에 한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캡플레이트(151), 케이스(140) 및 제2 단자부(133)는 양극, 제1 단자부(122)는 음극으로 대전될 수 있고, 하기 후술할 제1 단자부(123)와 제1 및 제2 반전플레이트(161, 162)간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플레이트(151)에는 벤트 홀 및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될 수 있도록 노치(154a)가 형성된 벤트플레이트(15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플레이트(151)의 일 영역에는 단락홀(151a)이 구비되고, 상기 단락홀(151a)에는 제1 및 제2 반전플레이트(161, 162)가 마련되며, 상기 단락홀(151a)은 제1 단자부(123)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123)는 제1 캡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단락홀(151a)의 상부까지 연장형성되며, 상기 단자부(123)의 하부면에는 제1 수용홈(124a) 및 상기 제1 수용홈(124a)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2 수용홈(124b)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124a, 124b)은 단락홀(151a)의 상부에 위치되고, 하기 후술할 돌출부(164)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제2 반전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반전플레이트(162)는 테두리로부터 중심으로 갈수록 하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중심에 인접한 제1 영역(164) 및 상기 제1 영역(164) 외주연으로부터 테두리까지의 제2 영역(16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되게 돌출부(16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64)의 직경(D)은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 간 거리(d)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반전플레이트(162)에 돌출부(164)가 형성됨으로 인해 압력에 의해 단락이 유도될 시, 제1 및 제2 반전플레이트(162, 162)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반전플레이트(161, 162)는 이차 전지 내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지면, 압력에 의해 반전되어 제2 반전플레이트(162)의 돌출부(164)가 제1 단자부(123)의 제1 및 제2 수용홈(124a, 124b)에 접촉되어 단락이 유도됨으로, 이와 같은 단락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단자부(123)와 제2 반전플레이트(162)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단자부(123)는 음극일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반전플레이트(161, 162)는 양극일 수 있다.
이차 전지(100)의 내부에서 이상반응으로 가스가 발생하면 이차 전지(1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한다. 상기 상승된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지면 제1 반전플레이트(161)가 상부로 볼록하도록 반전되고, 제1 반전플레이트(161)의 변형으로 내부 공기가 압축되면서 제2 반전플레이트(162)를 팽창시킨다. 이때, 제2 반전플레이트(162)가 반전되면서 돌출부(164)가 제1 단자부(123)의 제1 및 제2 수용홈(124a, 124b)에 접촉되어 단락을 유발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이차전지 110 : 전극조립체
121, 131 : 제1 및 제2 집전판
123, 132 : 제1 및 제2 단자부
140 : 전지케이스 150 : 캡조립체
151 : 캡플레이트 161 : 제1 반전플레이트
162 : 제2 반전플레이트

Claims (11)

  1. 제1 극판, 제2 극판 및 상기 제1 극판과 제2 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납하고, 일면이 개구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밀폐하며, 일 영역에 단락홀이 구비된 캡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캡플레이트의 단락홀에는 제1 반전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반전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반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전플레이트는 테두리로부터 중심으로 갈수록 하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이차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전플레이트는 테두리로부터 중심으로 갈수록 하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중심에 인접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외주연으로부터 테두리까지의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영역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는 이차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단자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단자부의 하부면에는 제1 수용홈 및 제1 수용홈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2 수용홈이 형성되는 이차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단락홀 상부까지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은 상기 단락홀 상부에 위치되는 이차전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직경은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간 거리에 대응하는 이차전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은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이차전지.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지는 경우, 상기 제2 반전플레이트의 돌출부가 상기 제1 단자부의 제1 및 제2 수용홈에 접촉되는 이차전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는 음극이고, 상기 제2 단자부는 양극인 이차전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전플레이트는 양극을 띠는 이차전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의 상부 및 하부 일부 영역에는 각각 상부 및 하부 절연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는 이차전지.
KR1020140032739A 2014-03-20 2014-03-20 이차 전지 KR102198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739A KR102198005B1 (ko) 2014-03-20 2014-03-20 이차 전지
US14/619,528 US10944092B2 (en) 2014-03-20 2015-02-11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739A KR102198005B1 (ko) 2014-03-20 2014-03-20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672A true KR20150109672A (ko) 2015-10-02
KR102198005B1 KR102198005B1 (ko) 2021-01-04

Family

ID=54142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739A KR102198005B1 (ko) 2014-03-20 2014-03-20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44092B2 (ko)
KR (1) KR102198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8710B2 (en) 2014-08-04 2018-06-2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Overcharge protection assembly for a battery module
CN109564999B (zh) 2016-08-01 2022-06-24 Cps科技控股有限公司 电化学电池单元的可焊接铝端子焊盘
CN116845475A (zh) 2016-08-01 2023-10-03 Cps 科技控股有限公司 电池单元的过充保护组件
US11355823B2 (en) 2016-08-01 2022-06-07 Cps Technology Holdings Llc Overcharge protection systems for prismatic lithium ion battery cells having neutral or non-conductive packaging
KR102571489B1 (ko) * 2018-03-21 2023-08-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39136A1 (en) * 2009-08-14 2011-02-17 Sang-Won Byun Rechargeable battery
KR20120104911A (ko) * 2011-03-14 2012-09-24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20120288744A1 (en) * 2011-05-09 2012-11-15 Min-Hyung Guen Battery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39047A3 (en) * 1995-04-21 1999-04-07 Wako Electronics Co., Ltd. Safety device for use in secondary battery
US6342826B1 (en) * 1999-08-11 2002-01-29 Therm-O-Disc, Incorporated Pressure and temperature responsive switch assembly
JP2005353409A (ja) * 2004-06-10 2005-12-22 Alps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1233470B1 (ko) 2011-01-25 2013-02-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KR101274806B1 (ko) * 2011-07-26 2013-06-1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KR101274909B1 (ko) 2011-07-29 2013-06-1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JP5945989B2 (ja) * 2012-07-19 2016-07-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流遮断装置を備えた蓄電装置
EP2930779B1 (en) * 2013-03-01 2017-09-2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DE102013010472A1 (de) * 2013-06-24 2014-12-24 Kme Germany Gmbh & Co. Kg Verbindungsstück zum Verbinden von Polen zweier Batterien oder Batteriezellen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 Verbindungsstück zum Verbinden von Polen zweier Batterien oder Batteriezelle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39136A1 (en) * 2009-08-14 2011-02-17 Sang-Won Byun Rechargeable battery
KR20110017820A (ko) * 2009-08-14 2011-02-2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20104911A (ko) * 2011-03-14 2012-09-24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20120288744A1 (en) * 2011-05-09 2012-11-15 Min-Hyung Guen Battery module
KR20120125874A (ko) * 2011-05-09 2012-11-1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44092B2 (en) 2021-03-09
US20150270528A1 (en) 2015-09-24
KR102198005B1 (ko) 202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1854B2 (en) Secondary battery
US9263723B2 (en) Secondary battery having a collecting plate
US8895181B2 (en) Battery module
US20120171525A1 (en) Secondary battery
KR20160021406A (ko) 이차 전지
KR20170017520A (ko) 이차 전지
KR102198005B1 (ko) 이차 전지
US9324987B2 (en) Secondary battery
US10312497B2 (en) Rechargeable battery
US9209436B2 (en) Secondary battery
US9028999B2 (en) Secondary battery
US8835028B2 (en) Rechargeable battery
EP2477257A1 (en) Secondary battery
KR102172843B1 (ko) 이차 전지
JP5114063B2 (ja) 密閉型電池
KR20150118729A (ko) 이차 전지
KR20160123787A (ko) 이차 전지
KR20160057220A (ko) 이차 전지
KR102457497B1 (ko) 이차 전지
KR20170033543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20150138788A (ko) 이차 전지
JP6630492B2 (ja)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8492014B2 (en) Secondary battery
KR100612396B1 (ko) 이차 전지
KR20060087182A (ko)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