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8625A -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non-self launching beam launcher - Google Patent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non-self launching beam launch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08625A KR20150108625A KR1020140031647A KR20140031647A KR20150108625A KR 20150108625 A KR20150108625 A KR 20150108625A KR 1020140031647 A KR1020140031647 A KR 1020140031647A KR 20140031647 A KR20140031647 A KR 20140031647A KR 20150108625 A KR20150108625 A KR 201501086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beam launcher
- winch
- transverse
- brid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자주식 빔 런처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거더를 교각 상부로 인양하여 교각 상부에 가설하는 빔 런처(Beam Launcher)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visa stock beam launc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beam launcher that lifts a girder to an upper part of a pier and hits the upper part of the pier.
일반적으로, 교량은 도로 위에 시공되는 고가도로 또는 하천을 가로질러 시공되는 구조물로서, 이러한 교량은 크게 교각(교대 포함), 상기 교각 상부에 설치되는 거더 및 상기 거더 상부에 시공되는 슬래브로 구성된다.Generally, a bridge is a structure to be installed across an elevated road or a river to be installed on a road. Such a bridge is largely composed of a pier (including alternation), a girder installed on the pier and a slab installed on the girder.
상기 거더는 교각 위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빔(Beam)부재이다. 통상적인 교량 시공 방법의 경우, 다수의 교각(교대 포함)을 세우고, 교각 위에 다수의 거더를 거치하게 된다.The girders are a plurality of beam members arranged on the pier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bridge construction method, a plurality of bridge piers (including alternations) are built up and a plurality of girders are mounted on the bridge piers.
이와 같이 다수의 거더를 교각 위에 거치한 후, 거더 상부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등의 방법으로 슬래브를 시공함으로써 교량을 완성한다.In this manner, a plurality of girders are mounted on the bridge piers, and then the slabs are constructed by pouring the slab concrete over the girders, thereby completing the bridge.
통상 거더교 시공은 교각은 현장에서 타설 공법에 의해 시공하고,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거더를 현장에서 거치하는 방식을 사용한다.In general girder bridges construction, bridge bridges are constructed by putting method on site and pre-fabricated precast girders are mounted on site.
이때 산악지대에서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 없이도 교량 가설공사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마칠 수 있도록 빔 런처(Beam Launcher)를 이용한 거더 거치 작업이 소개되어 있다. At this time, a girder installation work using a beam launcher is introduced so that bridge construction work can be completed safely and efficiently without heavy equipment such as a crane in a mountainous area.
즉 거더 거치에 빔 런처를 이용함으로써, 거더를 안전하게 가설할 수 있고,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의 전도 및 거더 추락 없이도 도로용 교량을 건설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by using a beam launcher on the girder, the girder can be safely installed, and a road bridge can be constructed without heavy equipment such as a crane and a girder crash.
도 1a를 참조하면, 이러한 빔 런처(100)는 거더(220)를 교각(210)의 상부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인양하고 가설하는 이동식 장비라 할 수 있다.1A, the
이러한 빔 런처(100)는 교각(210)이 높아 크레인으로 인양하기 어렵거나, 교각(210) 하부로 거더(220)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로 정지작업이 필요한 산악지대, 계곡횡단부, 하천횡단부 등에서 뛰어난 시공 효율을 발휘한다. 특히, 산악지대가 많은 국내의 도로건설 현장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The
도 1b,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면, 종래 교량 가설용 빔 런처(100)는 주형트러스(110), 메인 윈치(120), 보조 윈치(130), 서포트(Support: 140), 횡레일(150), 언더롤러(Under Roller: 160), 전방엔드스트럿(170) 및 후방엔드스트럿(180)을 포함한다.1B, 1C and 1D, a conventional bridge
즉, 교량 가설용 빔 런처(100)는 도 1b와 같이 좌우 두 개(한 쌍)의 주형트러스(110)로 구성되며, 이러한 주형트러스(110) 상부에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30)가 탑재되어 상기 윈치들을 이용하여 도 1c 및 도 1d와 같이 거더(220)를 인양한 후, 윈치들에 의하여 인양된 거더(220)는 윈치들이 주형트러스(110)의 상부에 형성된 횡레일(150)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이때 상기 도 1c와 같이 이등변 삼각형 모양의 주형트러스(110)의 양 단부(전방(Front) 및 후방(Rear))에는 전방엔드스트럿(170) 및 후방엔드스트럿(180)이 형성되어 있어 교각에 설치된 언더롤러(16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빔 런처의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1C, the
이러한 교량 가설용 빔 런처(100)의 조립 및 교량 가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assembly of the
먼저 조립장에서 한쌍의 주형트러스(110) 조립한 후, 전방엔드스트럿(170) 및 후방엔드스트럿(180)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주형트러스(110)의 전면과 후면에 조립한다.First, a pair of
이후, 조립이 완료된 주형트러스(110) 상부에 메인 윈치(120)와 보조 윈치(130)를 각각 설치하고, 빔 런처(100) 구동을 위한 와이어(미도시)를 주형트러스(110)와 윈치(120, 130)를 통해 연결하면 빔 런처(100)의 조립이 완료된다.The
다음으로, 빔 런처(100), 거더(220) 등 중량물을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서포트(140)를 도 1d와 같이 교각(210) 상부 코핑부에 설치한다.Next, a
이러한 서포트(140) 상부에는 횡레일(150)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횡레일(150)에는 언더롤러(Under Roller, 160)가 설치되며 이러한 언더롤러(160)에 윈치(120,130)들과 전방엔드스트럿(170) 및 후방엔드스트럿(180)을 구비한 주형트러스(110)가 지지되도록 하게 된다.A
이러한 언더롤러(160)가 설치된 횡레일(150)은 교각마다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형트러스(110)가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언더롤러(160)로 런칭되면서 이동(전진 및 후진)하게 된다.The
이러한 이동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자유롭게 가능한데 이는 빔 런처(100)를 언더롤러(160)가 설치된 횡레일(150)을 가로질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This movement can be freely forward or backward, which facilitates moving the
도 1e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도심지 고가도로 교량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인데 고가도로는 교각(210) 상부에 코핑부(230)가 형성되어 있고, 코핑부 상면에 거더(220)가 설치되며 거더(220) 상부에 슬래브가 형성된 거더교로 시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1E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rban highway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vated road, a
이때 고가도로는 일반 교량과 달리 도로위에 시공되므로 고가도로용 교각은 도로에서 차지하는 부위를 최소화하는 반면 코핑부는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설계되다보니 필연적으로 교각(210)을 기준으로 코핑부(230)가 양 측방으로 캔틸레버 형식으로 시공될 수밖에 없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overpass is constructed on the road unlike the general bridge, the bridge for the overpass is minimized while the portion for the overpass is minimized while the coping portion is designed to extend lo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s a result, The cantilever type construction can not be avoided.
또한 고가도로의 특성상 거더를 시공할 때, 도로를 통제할 수밖에 없는데 도 1e를 기준으로 하면 일측 8차선 및 5차선 도로 모두 코핑부 하부의 6차선은 기본적으로 통제할 수밖에 없어 8차선도로는 5차선으로, 5차선도로는 2차선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게 된다.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pass, the construction of the girder is inevitable to control the road. However, in the case of 1e, it is basically necessary to control the six lanes of the lower part of the coping part in both of the one lane 8 lane and the 5 lane road. , And a five-lane road will be reduced to a two-lane road.
하지만 더 큰 문제는 교각(210)은 코핑부(230)가 횡방향으로 거의 6차선을 차지하는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만약 앞서 살펴본 중량의 빔 런처(100)를 코핑부 최 외곽측에 세팅할 경우 자칫 시공하중에 의한 코핑부 전도 등 안전상의 문제가 대두될 수밖에 없게 된다.However, a larger problem is that the
나아가 종래 빔 런처(100)는 자주식으로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전체 길이는 2 경간에 걸치는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함으로서 무게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어 1주식 교각을 이용한 고가도로에 설치할 경우 그 무게 때문에 고가도로에 종래 빔 런처를 운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될 수밖에 없어 빔 런처(100)를 이용한 고가도록 시공은 매우 제한적 일 수밖에 없게 된다.Further, since the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1주식 교각 위의 코핑부에 다수 주형을 거치해야 하는 고가도로 시공에 있어서, 무게를 최소화 시킨 빔 런처를 이용함에도 거더를 효과적으로 전방으로 런칭시킬 수 있는 비자주식 빔 런처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opening and unloading a girder even when a beam launcher that minimizes weight is used in an overpass constru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molds This is a technical problem to solve the provision of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visa stock beam launcher capable of making a visa.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비자주식 빔 런처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using a visa stock beam launcher,
첫째, 빔 런처는 서로 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주행트러스 상면에 2개의 인양윈치를 구비하도록 하여 주행트러스 사이에 고가도로 하부에 운반된 거더를 인양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거더의 거치가 완료되면 종래 빔 런처는 2 경간에 걸쳐 주형트러스가 걸쳐지도록 해야하므로 각각의 주형트러스의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중량이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빔 런처는 중량이 큰 관계로 1주식 교각 위에 설치되는 코핑부를 이용하는 고가도로에서는 사용하기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게 된다.First, the beam launcher is provided with two lifting winches on the upper surface of two traveling trusses spaced transversely from each other, so that the girders transported below the overpass can be lifted between the traveling trusses. When the loading of the girders is completed, Since the runner must extend the mold truss over two spans, the length of each of the mold trusses must be long and the weight must be increased accordingly. Therefore, the conventional beam launcher has a heavy weight, and therefore, there is a limit in using the beam launcher in a highway using a coping portion installed on one stock pier.
이에 본 발명의 빔 런처는 인양윈치와 한 쌍의 주행트러스를 포함하도록 하되 2 경간에 걸친 길이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1경간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하고 전방의 코핑부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고가도로 하부의 크레인과 같은 인양장치를 이용하게 된다.Accordingly, the beam launch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fting winch and a pair of traveling trusses, but is not made to have a length spanning two spans, but has a length of about one span, and a crane below the overpass The same lifting device is used.
이때 인양장치는 고가도로 측면의 교통흐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부 교각 사이의 작업부지(B)에 고정세팅하고, 작업반경 내에서 주형트러스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ifting device is fixed to the work site B between the lower piers to maintain the traffic flow on the side of the elevated road, so that the mold truss can be moved within the working radius.
이때 인양윈치는 작업부지에 내려놓고, 주행트러스는 유압실린더 또는 윈치 등으로 일정길이 전방으로 이동시켜 인양장치의 작업반경 위치에 세팅 후, 주행트러스를 1개씩 전방의 코핑부에 이동시켜 다시 인양윈치를 재설치하여 차례대로 거더를 코핑부 사이에 거치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lifting winch is lowered to the work site, the traveling truss is moved forward by a certain length by a hydraulic cylinder or a winch, and is set at the working radius position of the lifting device. Then, the traveling truss is moved to the front clamping portion one by one, And the girders are sequentially placed between the copings.
본 발명에 의하여 빔 런처는 거더의 인양 및 거치라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자력으로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할 뿐이므로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전방 이동 후 거더 인양 및 거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특히 1주식 교각 위에 다수 주형을 설치해야 하는 고가도로 시공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교량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의 빔 런처는 인양장치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킨다는 의미에서어 비자주식 이동방법을 이용함으로서 종래 자주식으로 제작하는 것과 대비하여 고가도로 측면의 교통 통행을 유지하면서도 중량을 최소화시켜 도시 고가도로 시공에 최적화되도록 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launcher can perform the operation of lifting and fixing the girder, but it can not move forward due to the magnetic for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lift the girder after the forward movement using the lifting devic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bridges in an overpass constru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molds are to be installed. The beam launcher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method of moving the visor stock in the sense that the beam launcher moves forward by means of the lifting device. Thu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elf-propelled manufacturing method, the weight is minimized while maintaining the traffic on the side of the overpass, .
도 1a는 종래 빔 런처를 이용한 거더교 시공 사진,
도 1b는 종래 빔 런처의 사진,
도 1c는 종래 빔 런처의 정면사시도 및 평면사시도,
도 1d는 종래 빔 런처(윈치 및 주형트러스), 언더롤러, 횡방향레일, 서포트, PSC거더의 설치단면도,
도 1e는 종래 고가도로의 시공도,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빔 런처를 이용한 1경간 거더의 시공순서도,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 도 3f, 도 3g 및 도 3h는 본 발명의 비자주식 빔 런처의 전방이동 방법의 순서도이다.FIG. 1A shows a girder bridge construction photograph using a conventional beam launcher,
1B is a photograph of a conventional beam launcher,
1C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plan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eam launcher,
1D is a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beam launcher (winch and mold truss), an under roller, a lateral rail, a support, a PSC girder,
FIG. 1E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conventional high-
FIGS. 2A, 2B, and 2C are a construction flowchart of a single span girder using the beam launch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3B, 3C, 3D, 3E, 3F, 3G and 3H are flow charts of a method of moving the visa stock beam launch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war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 본 발명의 빔 런처를 이용한 1경간 거더의 시공 ][Construction of one span girder using the beam launch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빔 런처를 이용한 1경간 거더의 시공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S. 2A, 2B, and 2C show a construction flowchart of a single span girder using the beam launcher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빔 런처(300)는 한 쌍의 주형트러스(310), 인양윈치(320), 횡방향이동대차(330) 및 횡방향레일(3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빔 런처(300)를 이용하여 거더(220)를 교각과 교각사이의 코핑부(230) 상면에 인양 후 양 단부가 지지되도록 거치하게 된다.The
이러한 거더(220)는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코핑부(230) 상면에 양 단부가 지지되도록 거치되며 횡방향으로도 복수개가 이격되어 거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빔 런처(300)도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인양된 거더(220)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이를 위하여 1경간을 기준으로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각 코핑부(230)의 상면에는 미리 횡방향레일(340)을 각각 설치하고, 횡방향레일(340)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1개의 횡방향이동대차(330)를 각 코핑부(230) 상면에 설치하게 된다.To this end,
이러한 횡방향이동대차(330) 상면에 한 쌍의 주형트러스(310)를 설치하게 된다.And a pair of mold trusses 31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이에 주형트러스(310) 사이로 인양된 거더(220)는 주형트러스(310)와 함께 횡방향이동대차(330)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거더(220)를 원하는 위치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 lifted
이에 상기 한쌍의 주형트러스(310)의 상면에는 인양윈치(320)가 장착된다. 이러한 인양윈치(320)는 주형트러스(310)의 상면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주형트러스(310) 상면에는 하부에 이동롤러가 형성된 윈치지지대(321)가 설치되고 운치지지대(321) 상면에서 윈치(322)의 횡방향 이동이 제한적으로 가능하도록 윈치(322) 하부에는 이동롤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mold trusses 310, a lifting
이때 거더(220)는 빔 부재(PSC 거더 등)이므로 양 단부에 장착된 와이어로프에 의하여 인양되도록 인양윈치(320)는 주형트러스(310)에 역시 한 쌍이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이에 이러한 빔 런처(300)의 세팅이 완료되면 빔 런처(300)를 이용하여 거더(220)를 인양 및 거치하게 되는데 이를 도 2a, 도 2b 및 도 2c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When the setting of the
먼저 도 2a와 같이 고가도로(200)의 1주식 교각(210) 위에 코핑부(230)가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시공되어 있고, 빔 런처(30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2A, the coping
이에 빔 런처(300)의 주형트러스(310)는 횡방향레일(340)을 따라 거더(220)를 인양하기 위한 위치로 횡방향이동대차(330)에 의하여 이동(최 외곽측)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The
고가도로(200) 하부는 차량 통행을 통제하고 작업부지에 트럭 등을 이용하여 미리 제작된 거더(220)를 운반해 놓은 상태이며, 빔 런처(300)의 주형트러스(310) 사이로 인양되도록 인양윈치(320)에는 와이어로프가 설치되어 있다.The lower part of the
이에 도 2b와 같이 와이어로프로 거더(220)를 인양하여 주형트러스(31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윈치를 윈치지지대에 고정 세팅하게 된다. 이는 인양된 거더(220)와 함께 주형트러스(310)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이동 시 전도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 2B, the
이에 도 2c와 같이 미도시된 횡방향 잭등을 이용하여 거더(220)가 인양되어 고정 세팅된 주형트러스(310)를 횡방향이동대차(330)를 이용하여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2C, the
이러한 이동은 코핑부(230)에 미리 설치된 횡방향레일(340)을 이용하게 되며 이에 인양된 거더(220)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키게 되면 횡방향이동대차(330)를 고정 세팅하고, 윈치(322)를 이용하여 거더(220)의 양 단부가 코핑부(230) 사이에 거치되도록 하게 된다.This movement makes use of the
이에 코핑부(230)에 설치해야할 거더(220) 모두가 거치되면 본 발명의 빔 런처(300)를 전방의 미시 시공된 코핑부(미도시)에 이동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의 빔 런처(300)는 중량 감소를 위하여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장치등이 존재하지 않아 본 발명은 1경간의 길이에 해당되는 정도의 주형트러스를 가지는 빔 런처(300)를 이용하되 전방으로의 이동은 크레인등과 같은 인양장치(400)를 이용하게 된다.The
이러한 인양장치(400)를 이용한 빔 런처(300)의 전방 이동은 아래에서 살펴본다.The forward movement of the
[ 본 발명의 비자주식 빔 런처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using visa stock beam launch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 도 3f, 도 3g 및 도 3h는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1경간에서의 거더(220) 거치 작업이 완료된 이후 전방의 코핑부(230)에 빔 런처(300)를 이동시키는 작업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3A, 3B, 3C, 3 D, 3 E, 3 F, 3 G and 3 H,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먼저, 본 발명의 고가도로(200)와 같은 1주식 교각(210a,210b,210c)을 고가도로 진행방향으로 먼저 시공하고, 각각의 교각(210a,210b,210c) 상부에는 코핑부(230a,230b,230c)도 함께 미리 시공하게 된다.
이에 상기 좌측의 교각(210a)과 코핑부(230a)는 후방 교각, 후방 코핑부라 지칭하고, 후방 교각과 코핑부와 인접한 전방의 교각(210b)과 코핑부(230b)는 중간 교각, 중간 코핑부라 지칭하고, 중간 교각과 코핑부에 인접한 전방의 교각(210c)과 코핑부(230c)는 전방 교각, 전방 코핑부라 지칭하기로 한다.The
물론 이러한 코핑부(230a,230b,230c)가 상부에 형성된 1주식 교각(210a,210b,210c)들은 고가도로의 종방향 연장길이에 따라 더 많은 개수로 설치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후방, 중간, 전방에 설치된 1주식 교각(210a,210b,210c)을 기준으로 살펴본다.Of course, the one-
이때 상기 후방 및 중간코핑부(230a,230b) 사이에는 거더(220)가 빔 런처(300)에 의하여 이미 거치 완료된 상태이며 이에 빔 런처(300)를 중간 교각과 코핑부에 이동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에 먼저 도 3a와 같이, 안정적인 빔 런처(300) 이동 및 인양장치(400)의 작업반경을 고려하여 후방 및 중간코핑부(230a,230b) 중앙부 쪽으로 한 쌍의 주형트러스(310)를 세팅하고, 중간교각(210b) 주위의 작업부지(B)에도 인양장치(400, 크레인등)를 세팅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3A, a pair of mold trusses 310 are set toward the center of the rear and
구체적으로 살펴보면,Specifically,
먼저 임시가로빔(500)을 거치된 거더(220) 후방쪽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여 주형트러스(310)가 임시가로빔(500)에 의하여 거더(220)에 지지되도록 세팅시키게 된다. The temporary
이때 상기 임시가로빔(50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여 주형트러스(310) 후방이 약간 들어 올려 지도록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temporary
이에 후방코핑부(230a)에 설치된 후방횡방향이동대차(330a)로부터 주형트러스(310) 후방이 인상되게 됨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rear portion of the
다음으로는 후방인양윈치(320a)의 와어어로프를 이용하여 분리된 후방횡방향이동대차(330a)를 주형트러스(310) 사이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전(미도시)시킨 후 중간코핑부(230b) 쪽으로 이동하여 거더(220) 상면에 안착시키고, 다시 후방인양윈치(320a)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후방코핑부(230a)로부터 분리시킨 후방횡방향레일(340a)을 중간코핑부(230b) 쪽으로 이동하여 거더(220) 상면에 안착시켜 놓게 된다.Next, the rear transverse moving
이에 도 3a와 같이 후방인양윈치(320a)는 전방인양윈치(320b)와 인접되도록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인양장치(400)의 작업반경 이내로 후방 및 전방인양윈치(320a,320b)가 위치하게 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3A, the
다음으로는 도 3b와 같이 인양장치(400)를 이용하여 주형트러스(310)로부터 후방인양윈치(320a)와 전방인양윈치(320b)를 주형트러스(310)로부터 분리하여 중간교각(210b) 주변 작업부지(B)에 내려놓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3B, the
이때 인양장치(400)는 예컨대 주변 차량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면서 주형트러스(310)를 전방 코핑부(230c)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인양용량과 크기를 가진 것이 이용되도록 하여 효율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다음으로는 도 3c와 같이, 중간코핑부(230b)의 거더(220)에 안착된 후방횡방향레일(340a)과 후방횡방향이동대차(330a)를 인양장치(400)를 이용하여 전방코핑부(230c)에 이동시켜 그 상면에 재 설치하게 된다. 이로서 후방횡방향레일(340a)과 후방횡방향이동대차(330a)를 그대로 이용하게 됨을 알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3C, the rear
다음으로는 도 3d와 같이, 중간코핑부(230b) 상면에 설치된 중간횡방향이동대차(330b)에 유압잭(P)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주형트러스(310) 저면에 설치한 런칭브라켓레일(Q)에 유압잭의 타단부가 연결되도록 한 후, 상기 유압잭을 이용하여 한쌍의 주형트러스(310)를 전방으로 압출시키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3D, one end of the hydraulic jack P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transverse moving
이러한 주형트러스(310)의 압출은 주형트러스 후방이 임시가로빔(500)의 위치까지 진행되도록 하여 상기 압출과정에서도 주형트러스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되 인양장치(400)의 위치가 고정 세팅된 상태이므로 주형트러스(310)의 중간 부분에 와이어로프를 설치하여 안정적인 주형트러스(310) 이동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The extrusion of the
다음으로는 도 3e와 같이 1개의 주형트러스(310a)를 먼저 인양장치(400)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를 통해 인상하고, 도 3f와 같이 전방코핑부(230c)의 상면에 재설치된 후방횡방향이동대차(330a) 상면에 지지되도록 이동시키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3E, one of the
다음으로는 도 3g와 같이, 다른 1개의 주형트러스(310b)도 인양장치(400)를 이용하여 인상한 후, 전방코핑부(230c)의 상면에 설치된 후방횡방향이동대차(330a)에 지지되도록 다른 1개의 주형트러스(310a)도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3G, the other one of the
다음으로는 도 3h와 같이, 작업부지(B)에 안착시킨 후방인양윈치(320a)와 전방인양윈치(320b)를 중간코핑부(230b) 및 전방코핑부(230c) 사이에 이동된 주형트러스(310) 상면에 재설치하여 도 2a, 도 2b 및 도 2c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중간코핑부(230b) 및 전방코핑부(230c) 사이에 거더(220)를 추가로 인양 후 거치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3H, the
이때, 임시가로빔(500)은 인양장치(400)의 작업반경 내로 이동시켜 추가 이용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emporary
이로서 고가도로 전체에 있어 설치된 교각(210)에 슬래브를 별도 시공함으로서 최종 고가도로를 완성시키게 된다.In this way, the slab is separately installed in the
즉, 거더를 모두 설치한 후 빔 런처(300)를 인양장치(400)를 이용하여 작업부지에 안착시켜 거더 상부에 슬래브를 시공함으로서 교량을 완성시키게 된다.That is, after all the girders are installed, the
이에 본 발명은 코핑부(230) 하부의 제한된 작업부지(B)만을 사용하여 차량 통행 을 최대한 허용하면서 되, 1주열 교각(210)를 이용한 고가도로에서도 안정적으로 거더(220)를 빔 런처(300)를 이용하여 거치할 수 있게 되며 인장장치(400)도 1경간에 걸친 길이로 제작된 것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가도로(200) 시공에 최적화 시켜 안정적이면서도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가도로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210: 교각
210a,210b,210c: 후방, 중간, 전방교각
220: 거더
230: 코핑부
230a,230b,230c: 후방, 중간, 전방코핑부
300: 빔 런처(Beam Launcher)
310: 주형트러스(Main Truss)
310a,310b: 한쌍의 주형트러스
320: 인양윈치
320a,320b: 후방 인양윈치, 전반 인양윈치
321:윈치지지대
322: 윈치
330: 횡방향이동대차
330a,330b: 후방횡방향이동대차, 전방횡방향이동대차
340:횡방향레일
340a,340b: 후방횡방향레일, 전방횡방향레일
400: 인양장치210: Pier
210a, 210b, 210c: rear, middle,
220: girder
230:
230a, 230b, 230c: rear, middle,
300: Beam Launcher
310: Mold Truss (Main Truss)
310a, 310b: a pair of mold trusses
320: lifting winch
320a, 320b: rear lifting winch, front lifting winch
321: winch support 322: winch
330: transverse moving lane
330a, 330b: a rear lateral moving truck, a forward lateral moving truck
340: transverse rail
340a, 340b: a rear lateral rail, a front lateral rail
400: lifting device
Claims (5)
(b) 서로 인접한 코핑부(230)에 각각 횡방향레일(340)과 횡방향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횡방향이동대차(330)를 설치한 후, 상기 인접한 코핑부(230)에 설치된 횡방향이동대차 사이에 종방향으로 1경간의 길이를 가진 한쌍의 주형트러스(310)를 설치하고, 상기 주형트러스(310) 상부에 후방 및 전방인양윈치(320a,320b)를 포함하는 인양윈치(320)를 설치하여, 상기 인접한 코핑부(230) 사이에 빔 런처(300)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빔 런처(300)를 이용하여 1주식 교각(210) 하부의 작업부지(B)에 운반된 거더(220)를 주형트러스(310) 사이에 인양하여 서로 인접한 코핑부(230) 사이에 거치하여 1경간에 걸쳐 거더(220)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빔 런처(300)를 코핑부(230) 중앙부쪽으로 횡방향 이동시킨 후 인접한 코핑부(230)의 전방 교각 하부에 고정 세팅된 인양장치(400)를 이용하여 인양장치 작업반경 내의 위치시킨 빔 런처(300)를 인상후 전방의 코핑부에 이동시키는 단계; 및
(e) 이동된 빔 런처(300)를 이용하여 상기 전방의 코핑부에 거더를 인양후 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자주식 빔 런처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a) installing a plurality of one-piece bridge piers (210) having a coping portion (230) on an upper portion thereof in a longitudinal direction;
(b) a transverse moving rail 330 moving along a transverse rail and a transverse rail 340 are provided on adjacent coping portions 230, respectively, and then a transverse moving rail 330 mounted on the adjacent coping portion 230 A pair of mold trusses 310 having a length of one spa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stalled between the bogies and a lifting winch 320 including rear and front lifting winches 320a and 320b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mold truss 310 Installing a beam launcher (300) between adjacent coping portions (230);
(c) Using the beam launcher 300, the girder 220 carried to the work site B under the one stock pier 210 is lifted between the mold trusses 310, And installing a girder 220 over one span;
(d) The beam launcher 300 is moved laterally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ping portion 230 and then moved to a position within the lifting device working radius by using the lifting device 400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ier of the adjacent coping portion 230 Moving the donut beam launcher 300 to the front coping portion after pulling; And
(e) lifting the girder to the front coping portion by using the moved beam launcher 300, and then mounting the girder to the coping portion.
상기 (d) 단계는
임시가로빔(500)을 (c) 단계에서 거치된 거더(220)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여 주형트러스(310)가 임시가로빔(500)에 의하여 거더(220)에 지지되도록 세팅하되 임시가로빔(50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여 주형트러스(310) 후방이 들어 올려 지도록 하여 주형트러스(310)를 횡방향이동대차(33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고, 1개의 인양윈치(320)의 와어어로프를 이용하여 분리된 횡방향이동대차(330)를 주형트러스(310) 사이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전시킨 후 전방으로 이동시켜 거더(220) 상면에 안착시키고, 인양윈치(3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횡방향레일(340)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거더(220) 상면에 안착시켜 놓는 단계;
상기 전방으로 이동된 인양윈치(320)를 인접한 코핑부의 전방 교각 하부의 작업부지에 해체하여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전방의 코핑부에 거더 상면에 안착시킨 횡방향레일(340)과 횡방향이동대차(330)를 상기 인양장치(400)를 이용하여 재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재 설치된 횡방향이동대차(330)에 주형트러스를 1개씩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자주식 빔 런처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d)
The temporary transverse beam 5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220 which is fixed in the step (c) so that the template truss 310 is supported on the girder 220 by the transverse transverse beam 500, 500 to lift the rear portion of the truss 310 to separate the truss 310 from the transverse movement truck 330 and to use the hoist rope of one lifting winch 320 The separated lateral movement bogie 330 is rotated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mold trusses 310 and then moved forward so as to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220. After the lifting winch 32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Moving the transverse rail (340) forward and seating i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220);
Dismounting the forwards winch 320 moved forward by dismounting it to a work site under a front bridge bridge of an adjacent coping portion;
Re-installing the lateral rail (340) and the transverse moving truck (330)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with the lifting device (400) in the front coping portion; And
And moving the cast truss by one lifting device to the re-installed transverse moving bogie (330).
상기 인양장치(400)는 작업부재(B)에 고정 세팅되어 작업반경 이내에 위치시킨 주형트러스를 전방의 코핑부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작업반경 이내에 위치하도록 주형트러스는 인접한 코핑부로부터 전방으로 유압잭을 이용하여 전방으로 압출되도록 하는 비자주식 빔 런처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fting device 400 is configured to move the mold truss fixedly set on the work member B and positioned within the working radius to the front coping portion so that the mold truss can move forward from the adjacent coping portion forward,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visa stock beam launcher for pushing forward by using a visor stock beam launcher.
상기 (e) 단계 이후, 거더를 모두 설치한 후 빔 런처(300)를 인양장치(400)를 이용하여 작업부지(B)에 안착시켜 거더 상부에 슬래브를 시공함으로서 교량을 완성시키는 비자주식 빔 런처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step (e), the visor stock beam launcher 300 completes the bridge by placing the beam launcher 300 on the work site B using the lifting device 400 and installing the slab o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상기 인양윈치(320)는 하부에 이동롤러가 형성된 윈치지지대(321)가 설치되고 운치지지대(321) 상면에서 윈치(322)의 횡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윈치(322) 하부에는 이동롤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비자주식 빔 런처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isting winch 320 is provided with a winch support base 321 on which a moving roller is formed and a moving roller is integrally formed under the winch 322 so that the winch 322 can be moved later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inch support base 321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using a visa stock beam launcher to be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1647A KR101632922B1 (en) | 2014-03-18 | 2014-03-18 |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non-self launching beam launch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1647A KR101632922B1 (en) | 2014-03-18 | 2014-03-18 |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non-self launching beam launch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8625A true KR20150108625A (en) | 2015-09-30 |
KR101632922B1 KR101632922B1 (en) | 2016-07-08 |
Family
ID=5424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1647A KR101632922B1 (en) | 2014-03-18 | 2014-03-18 |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non-self launching beam launch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2922B1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88117A1 (en) * | 2015-11-25 | 2017-06-01 | 陈修缘 | Lift-type construction system for use in constructing structure of upper portion of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996819B1 (en) * | 2018-07-18 | 2019-07-05 |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 Short girder launching system using count weight and intermediate transverse rail, girder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CN110172923A (en) * | 2019-06-17 | 2019-08-27 | 中国建筑第六工程局有限公司 | A kind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ownlink Self-propelled steel trestle work structure |
CN110184945A (en) * | 2019-07-12 | 2019-08-30 | 贵州路桥集团有限公司 | Four front leg strut systems and erection method for Bridge Erector |
KR20200010021A (en) * | 2019-05-13 | 2020-01-30 |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 Short girder launching system using count weight and intermediate transverse rail, girder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CN111002893A (en) * | 2019-12-16 | 2020-04-14 | 苏州大方特种车股份有限公司 | Beam transporting vehicle |
CN111485479A (en) * | 2020-04-24 | 2020-08-04 | 中铁十局集团第八工程有限公司 | Traffic channel beam device for crossing railway business line and construction method |
CN113585073A (en) * | 2021-06-28 | 2021-11-02 | 浙江理工大学 | Counterweight method of suspension platform |
CN113818364A (en) * | 2021-10-14 | 2021-12-21 | 上海公路桥梁(集团)有限公司 | Girder body transporting and erecting device of viaduct and replacing metho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7092B1 (en) * | 2010-10-29 | 2011-10-26 | 주식회사 장헌산업 | Girder installation method using trolly without closing nor detouring existing road |
KR101193608B1 (en) * | 2012-04-18 | 2012-10-23 |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 Beam launcher anchorage system for constructing bridge |
KR101239621B1 (en) * | 2012-11-29 | 2013-03-07 |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 Beam launching method using beam launcher with end strut having roller guide |
-
2014
- 2014-03-18 KR KR1020140031647A patent/KR10163292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7092B1 (en) * | 2010-10-29 | 2011-10-26 | 주식회사 장헌산업 | Girder installation method using trolly without closing nor detouring existing road |
KR101193608B1 (en) * | 2012-04-18 | 2012-10-23 |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 Beam launcher anchorage system for constructing bridge |
KR101239621B1 (en) * | 2012-11-29 | 2013-03-07 |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 Beam launching method using beam launcher with end strut having roller guide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88117A1 (en) * | 2015-11-25 | 2017-06-01 | 陈修缘 | Lift-type construction system for use in constructing structure of upper portion of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996819B1 (en) * | 2018-07-18 | 2019-07-05 |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 Short girder launching system using count weight and intermediate transverse rail, girder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KR20200010021A (en) * | 2019-05-13 | 2020-01-30 |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 Short girder launching system using count weight and intermediate transverse rail, girder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CN110172923A (en) * | 2019-06-17 | 2019-08-27 | 中国建筑第六工程局有限公司 | A kind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ownlink Self-propelled steel trestle work structure |
CN110172923B (en) * | 2019-06-17 | 2024-02-13 | 中国建筑第六工程局有限公司 | Environment-friendly type descending self-propelled steel trestle structure |
CN110184945A (en) * | 2019-07-12 | 2019-08-30 | 贵州路桥集团有限公司 | Four front leg strut systems and erection method for Bridge Erector |
CN111002893A (en) * | 2019-12-16 | 2020-04-14 | 苏州大方特种车股份有限公司 | Beam transporting vehicle |
CN111485479A (en) * | 2020-04-24 | 2020-08-04 | 中铁十局集团第八工程有限公司 | Traffic channel beam device for crossing railway business line and construction method |
CN113585073A (en) * | 2021-06-28 | 2021-11-02 | 浙江理工大学 | Counterweight method of suspension platform |
CN113818364A (en) * | 2021-10-14 | 2021-12-21 | 上海公路桥梁(集团)有限公司 | Girder body transporting and erecting device of viaduct and replac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2922B1 (en) | 2016-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2922B1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non-self launching beam launcher | |
CN108330842B (en) | Bridge girder erection machine for erection construction of large-span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 |
US11634877B2 (en) | Method for removal of temporary support system for road bridge pre-fabricated small box girder-type concealed bent cap, and equipment therefor | |
KR101654742B1 (en) | Movable scaffolding system mounted upper-structure of bridg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CN110042769B (en) | Auxiliary span full-cantilever assembling construction method for composite beam cable-stayed bridge | |
KR101193608B1 (en) | Beam launcher anchorage system for constructing bridge | |
JP5059491B2 (en) | Assembly method of mobile suspension support | |
KR20140084107A (en) | Self-Launching Movable Scaffolding System | |
JP2008274637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ous viaduct | |
JP4264470B2 (en) | Bridge girder member erection method and erection device | |
JP3440422B2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and bridge construction device | |
US5940916A (en) | Bridge span-by-span con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 |
JPH11511822A (en) | Continuous, progressive bridge construction system | |
JP2006077521A (en) | Bridge constructing apparatus | |
KR20100034097A (en) | Carriage system used for manufacturing u-typed channel brige | |
KR101200986B1 (en) | Beam launcher having service winch for constructing bridge | |
CN208533370U (en) | A kind of Bridge Erector of large span steel reinforced concrete combination beam erection construction | |
CN207987749U (en) | Ride cable-styled erection crane | |
CN112160246B (en) | Method for installing composite beam | |
CN109371852A (en) | A kind of high-level bridge construction method across rail yard | |
CN110344334B (en) | Construction method for two-span continuous steel-concrete composite bridge by adopting back cable type bridge girder erection machine | |
CN113136810A (en) | Bridge girder erection machine for integral erection construction of superstructure of long-spa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0627102B1 (en) | Upper bridge structure construcion method with precast segment deck or box using a lifting traveller | |
CN110939071A (en) | Non-buttress construction method for assembled steel-concrete I-shaped composite beam bridge | |
KR200363059Y1 (en) | Upper bridge structure construcion system with precast segment deck or box using a lifting travel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