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679A - Connecter - Google Patents
Connec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81679A KR20150081679A KR1020140001405A KR20140001405A KR20150081679A KR 20150081679 A KR20150081679 A KR 20150081679A KR 1020140001405 A KR1020140001405 A KR 1020140001405A KR 20140001405 A KR20140001405 A KR 20140001405A KR 20150081679 A KR20150081679 A KR 201500816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ontact
- contact portion
- connector
- exten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11 non-condu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제1하우징, 및 제1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터미널을 포함하는 제1커넥터; 및 제2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터미널과 접촉되는 제2터미널을 포함하는 제2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터미널에는, 제1접촉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터미널에는,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되는 제2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가 구비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One aspect of an embodiment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comprising: a first connector including a first housing and a first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connector including a second housing and a second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second housing and contacting the first terminal; Wherein the first terminal is provided with a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tact portion for contac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for elastically supporting one sid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커넥터란, 전선과 전선, 전선과 기판, 또는 기판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장 부품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에는,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미널이 각각 구비된다. A connector is an electrical component that electrically connects a wire and an electric wire, a wire and a substrate, or a substrate and a substrate. Such a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terminal which is in contact with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경우에는, 각각에 구비되는 터미널이 양자 또는 어느 일방의 탄성력에 의하여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터미널이 외력에 의하여 접촉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거나 불완전하게 접촉될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terminals provided in each are kept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elastic force of both or either one of them.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art, there is a fear that the terminal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are incomplet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by an external forc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견고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which can be more firmly contacted.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제1하우징, 및 제1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터미널을 포함하는 제1커넥터; 및 제2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터미널과 접촉되는 제2터미널을 포함하는 제2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터미널에는, 제1접촉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터미널에는,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되는 제2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가 구비된다. One aspect of an embodiment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comprising: a first connector including a first housing and a first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connector including a second housing and a second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second housing and contacting the first terminal; Wherein the first terminal is provided with a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tact portion for contac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for elastically supporting one sid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접촉부는, 그 저면이 상기 제1접촉부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제1접촉부의 저면을 탄성 지지한다.In an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tact portion has its bottom surfac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elastic support portion elastically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제2접촉부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의 하단에서 상기 제2접촉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 를 포함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second contacting portion;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contact; .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제2접촉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 경사부를 포함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lient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 supporting inclined portion extending obliquely toward the second abutt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접촉부에는 접촉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부에는 상기 접촉홈에 위치되는 접촉 돌기가 구비된다.In an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ct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a contact projection located in the contact groove is provided in the second contact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접촉부에는, 상기 탄성 지지부가 위치되는 지지홈이 형성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formed with a support groove in which the elastic support portion is loca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제1터미널이 구비되는 제1커넥터, 및 제1터미널과 접촉되는 제2터미널이 구비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터미널은, 제1터미널 본체; 상기 제1터미널 본체에서 연장되어 제1기판에 실장되는 제1리드부; 및 상기 제1터미널 본체에서 연장되는 제1접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터미널은, 제2터미널 본체; 상기 제2터미널 본체에서 연장되어 제2기판에 실장되는 제2리드부; 상기 제2터미널 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되는 제2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접촉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를 포함한다.Another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comprising a first connector having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connector having a second terminal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A terminal body; A first lead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terminal body and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And a first contact extending from the first terminal body; The second terminal comprising: a second terminal body; A second lead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terminal body and mounted on the second substrate; A second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terminal body and contac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터미널의 상면은 상기 제2접촉부의 저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1터미널의 저면은 상기 탄성 지지부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다.In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is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elastic support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제2접촉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 경사부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lient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 supporting inclined portion extending obliquely toward the second abutt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제2접촉부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경사부는, 상기 제2연장부의 일부가 상기 제2접촉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In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lient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second contacting portion;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low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And the supporting ramp is formed such that a part of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extends obliquely toward the second contacting portion.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터미널의 일면이 서로 면접촉된 상태에서, 제2터미널에 구비되는 탄성 지지부가 제1터미널의 타면을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터미널이 보다 견고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support portion provided at the second terminal elastically supports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with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that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re kept in a more firm contact stat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rst and second connectors constitut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connector constitut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connector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rst and second connectors constitut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connector constitu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connector constitu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rst and second connectors constitu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rst and second connectors constitut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connector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connector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는 제1 및 제2커넥터(101)(20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1)(201)는, 예를 들면, 각각 기판, 즉 제1 및 제2기판(B1)(B2)에 실장되어 양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1 to 3,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first and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커넥터(101)는, 제1하우징(110) 및 제1터미널(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하우징(110)은 상기 제1커넥터(101)의 외관을 정의한다. 상기 제1하우징(110)은, 비전도성 재질, 예를 들면,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터미널(120)은, 전도성 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제1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된다.Referring to FIG. 2, 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하우징(110)에는, 제1터미널 삽입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 삽입홀(111)은 상기 제1터미널(120)이 삽입되는 곳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터미널 삽입홀(111)은, 상기 제1하우징(110)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a first
또한 상기 제1하우징(110)에는, 록킹 돌기(113)가 구비된다. 상기 록킹 돌기(113)는 상기 제1하우징(110)의 일면에서 돌출된다. 상기 록킹 돌기(113)는, 후술할 록킹홈(21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1)(201)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Also, the
그리고 상기 제1터미널(120)은, 제1터미널 본체(121), 제1리드부(123), 및 제1접촉부(1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터미널 본체(121)는, 상기 제1터미널 삽입홀(111)에 삽입된다. 상기 제1리드부(123) 및 제1접촉부(125)는, 상기 제1터미널 본체(121)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에서 연장된다. 상기 제1리드부(123) 및 제1접촉부(125)는, 상기 제1터미널 본체(121)가 상기 제1터미널 삽입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 상기 제1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리드부(123)는, 상기 제1기판(B1)에 납땜되고, 상기 제1접촉부(125)는, 후술할 제2터미널(220)에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터미널 본체(121), 제1리드부(123), 및 제1접촉부(125)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1터미널(120)은 제1가이드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127)는, 상기 제1터미널(120)의 일단에서 상기 제1접촉부(125)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가이드부(127)는, 상기 제1터미널(120)이 상기 제1터미널 삽입홀(1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터미널(120)을 안내하거나 상기 제1터미널(120)이 상기 제1터미널 삽입홀(111)에 보다 견고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커넥터(201)는, 제2하우징(210) 및 제2터미널(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2하우징(210)은 상기 제2커넥터(201)의 외관을 정의하고, 상기 제2터미널(220)은 상기 제2하우징(2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제2하우징(210) 및 제2터미널(220)은, 각각 상기 제1하우징(110) 및 제1터미널(120)과 동일한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하우징(210)에는, 상기 제2터미널(220)이 삽입되는 제2터미널 삽입홀(211)이 형성된다. 상기 제2터미널 삽입홀(211)은, 상기 제2하우징(210)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a second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210)에는, 록킹홈(213)이 형성된다. 상기 록킹홈(213)은 상기 제2하우징(210)의 일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정의된다. 상기 록킹홈(213)은, 실질적으로 상기 록킹 돌기(113)와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In the
한편 상기 제2터미널(220)은, 제2터미널 본체(221), 제2리드부(223), 및 제2접촉부(225)를 포함한다. 상기 제2터미널 본체(221)는, 상기 제2터미널 삽입홀(211)에 삽입된다. 상기 제2리드부(223) 및 제2접촉부(225)는, 상기 제2터미널 본체(221)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에서 연장된다. 상기 제2리드부(223)는, 상기 제2터미널 본체(221)가 상기 제2터미널 삽입홀(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하우징(2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2기판(B2)에 납땜된다. 또한 상기 제2접촉부(225)는, 상기 제2터미널 본체(221)가 상기 제2터미널 삽입홀(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터미널(120)과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접촉부(225)의 저면이 상기 제1접촉부(125)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터미널 본체(221), 제2리드부(223), 및 제2접촉부(225)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Meanwhile,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터미널(220)이 탄성 지지부(227)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 지지부(227)는,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120)(220)이 접촉된 상태,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접촉부(125)(225)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접촉부(125)의 저면을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 지지부(227)는, 상기 제2터미널 본체(221)의 일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27A) 및 상기 제1연장부(227A)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227B)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지지부(227)는, 제2연장부(227B)의 일부가 상기 제2접촉부(225)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 경사부(22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 경사부(228)의 상단은 상기 제2접촉부(225)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접촉부(125)는, 상기 제2접촉부(225)의 저면 및 상기 탄성 지지부(227)의 상면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다고도 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부(227)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터미널 본체(221), 제2리드부(223), 및 제2접촉부(225)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제2커넥터(201)는, 결합 리브(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리브(230)는, 상기 제2기판(B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하우징(2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하우징(210)이 상기 제2기판(B2)에 결합되는 위치를 안내하거나 상기 제2하우징(210) 및 제2기판(B2)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210)에는, 상기 결합 리브(230)가 결합되는 리브 결합홀(215)이 형성된다.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커넥터(101)(201)의 결합에 의하여 제1 및 제2기판(B1)(B2)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1)(201)가 결합되면, 록킹 돌기(113)가 록킹홈(21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1)(201)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Referring to FIG. 4,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boards B1 and B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engagement of the first and
또한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1)(201)가 결합되면, 제1터미널(120), 실질적으로 제1접촉부(125)가 제2터미널(220), 실질적으로 제2접촉부(225) 및 탄성 지지부(227)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접촉부(225) 및 탄성 지지부(227)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 상기 제1접촉부(125)의 상면이 상기 제2접촉부(225)의 저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기판(B1)(B2)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When the first and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 지지부(227)가 상기 제1접촉부(125)의 저면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접촉부(125)가 상기 제2접촉부(225)에 보다 견고하게 접촉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성 지지부(227)가 상기 제2접촉부(225) 등과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120)(220)이 실질적으로 2점에서 접촉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astic support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connector constitu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connector constitut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rst and second connectors constitu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f FIGS. 1 to 4,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터미널(120), 실질적으로 제1접촉부(125)의 상면에 접촉홈(125A)이 형성된다. 상기 접촉홈(125A)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접촉부(125)의 상면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접촉부(125)의 저면에는 지지홈(125B)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125B)은, 상기 제1접촉부(125)의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촉홈(125A) 및 지지홈(125B)은, 상하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5 to 7, 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제2터미널(220), 실질적으로 제2접촉부(225)에는 접촉 돌기(225A)가 구비된다. 상기 접촉 돌기(225A)는 상기 제2접촉부(225)의 일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촉 돌기(225A)는, 상기 제1 및 제2접촉부(125)(225)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홈(125A)의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2터미널(220), 실질적으로 탄성 지지부(227)는, 상기 제1 및 제2접촉부(125)(225)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홈(125B)의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커넥터(102)(202)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제1 및 제2접촉부(125)(225)가 접촉된 상태에서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101, 102: 제1커넥터
110: 제1하우징
111: 제1터미널 삽입홀
113: 록킹 돌기
120: 제1터미널
121: 제1터미널 본체
123: 제1리드부
125: 제1접촉부
125A: 접촉홈
125B: 지지홈
127: 가이드부
201, 202: 제2커넥터
210: 제2하우징
211: 제2터미널 삽입홀
213: 록킹홈
215: 리브 결합홀
220: 제2터미널
221: 제2터미널 본체
223: 제2리드부
225: 제2접촉부
225A: 접촉 돌기
227: 탄성 지지부
227A: 제1연장부
227B: 제2연장부
228: 지지 경사부101, 102: first connector 110: first housing
111: first terminal insertion hole 113: locking projection
120: first terminal 121: first terminal body
123: first lead portion 125: first contact portion
125A:
127: guide
210: second housing 211: second terminal insertion hole
213: locking groove 215: rib engagement hole
220: second terminal 221: second terminal body
223: second lead portion 225: second contact portion
225A: contact projection 227: elastic support
227A:
228: Support inclination part
Claims (10)
제2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터미널과 접촉되는 제2터미널을 포함하는 제2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터미널에는, 제1접촉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터미널에는,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되는 제2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가 구비되는 커넥터.
A first connector including a first housing and a first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connector including a second housing and a second terminal provided inside the second housing and contacting the first terminal; Lt; / RTI >
The first terminal is provided with a first contact portion,
Wherein the second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tact portion for contac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for elastically supporting one sid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상기 제2접촉부는, 그 저면이 상기 제1접촉부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제1접촉부의 저면을 탄성 지지하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elastic support portion elastically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제2접촉부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의 하단에서 상기 제2접촉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 를 포함하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support portion
A first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second contact;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contacting portion; ≪ / RTI >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제2접촉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 경사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resilient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 supporting inclined portion extending obliquely toward the second abutting portion.
상기 제1접촉부에는 접촉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부에는 상기 접촉홈에 위치되는 접촉 돌기가 구비되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tact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ntact projection located in the contact groove.
상기 제1접촉부에는, 상기 탄성 지지부가 위치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formed with a support groove in which the elastic support portion is located.
상기 제1터미널은,
제1터미널 본체;
상기 제1터미널 본체에서 연장되어 제1기판에 실장되는 제1리드부; 및
상기 제1터미널 본체에서 연장되는 제1접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터미널은,
제2터미널 본체;
상기 제2터미널 본체에서 연장되어 제2기판에 실장되는 제2리드부;
상기 제2터미널 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되는 제2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접촉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를 포함하는 커넥터.
A connector comprising a first connector having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connector having a second terminal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the connector comprising:
Wherein the first terminal comprises:
A first terminal body;
A first lead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terminal body and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And
A first contact extending from the first terminal body; Lt; / RTI >
The second terminal,
A second terminal body;
A second lead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terminal body and mounted on the second substrate;
A second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terminal body and contac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 / RTI >
상기 제1터미널의 상면은 상기 제2접촉부의 저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1터미널의 저면은 상기 탄성 지지부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커넥터.
8. The method of claim 7,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is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support portion.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제2접촉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 경사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resilient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 supporting inclined portion extending obliquely toward the second abutting portion.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제2접촉부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경사부는, 상기 제2연장부의 일부가 상기 제2접촉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커넥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lastic support portion
A first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second contact;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low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Lt; / RTI >
Wherein the support inclined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 part of the second extended portion extends obliquely toward the second contact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1405A KR20150081679A (en) | 2014-01-06 | 2014-01-06 | Connec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1405A KR20150081679A (en) | 2014-01-06 | 2014-01-06 | Connec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1679A true KR20150081679A (en) | 2015-07-15 |
Family
ID=5379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1405A Ceased KR20150081679A (en) | 2014-01-06 | 2014-01-06 | Connec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81679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275837A (en) * | 2017-06-30 | 2017-10-20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Connector assembly and terminal device |
-
2014
- 2014-01-06 KR KR1020140001405A patent/KR20150081679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275837A (en) * | 2017-06-30 | 2017-10-20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Connector assembly and terminal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84752B2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 |
TWI614947B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7794253B2 (en) | Coaxial connector with a new type of contact | |
CN104810641A (en) | Connector | |
KR20160080636A (en) | Contact of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 |
JP6555028B2 (en) | Cable crimp terminal assembly | |
JP5134943B2 (en) | connector | |
KR101488891B1 (en) | Connector assembly for board-to-board | |
KR20150081679A (en) | Connecter | |
US20110086523A1 (en) | Battery Connector | |
KR20090016778A (en) | Floating connector | |
KR20170045627A (en) | Board to board connector | |
KR101488892B1 (en) | Connector assembly for board-to-board | |
JP6327287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20150054089A (en) | Connecter | |
KR102644964B1 (en) | Socket connector | |
KR100842725B1 (en) | Vibration resistant connector | |
JP3141134U (en) | Card connector | |
KR20090008541A (en) | connector | |
KR102723264B1 (en) | Plug Connector | |
CN215266746U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0933534B1 (en) | Connector pin for circuit connection | |
CN210111085U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KR20160046173A (en) |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for board-to-board including the same | |
TWM552687U (en) | Metal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