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254A -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254A
KR20150078254A KR1020130167483A KR20130167483A KR20150078254A KR 20150078254 A KR20150078254 A KR 20150078254A KR 1020130167483 A KR1020130167483 A KR 1020130167483A KR 20130167483 A KR20130167483 A KR 20130167483A KR 20150078254 A KR20150078254 A KR 20150078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toy according
toy
assembl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의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의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의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167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8254A/ko
Priority to PCT/KR2014/012949 priority patent/WO2015102327A1/ko
Publication of KR20150078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1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clip or snap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는 원통형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와 동일한 중심선을 갖도록 배열되는 주름관을 포함하고, 상기 주름관의 반경은 상기 몸체의 반경보다 크고, 상기 주름관은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Junction Member of Assembly Toys}
본 발명은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름을 가진 모양의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에 관한 것이다.
유아 또는 어린이의 지능발달을 위한 장난감으로서,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블럭을 조립하여 임의의 조형물을 만들 수 있는 조립식 블럭완구 세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블럭 완구 세트는 어린이의 상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조형물을 조립할 수 있고, 조립한 조형물을 다시 분해한 뒤 다른 조형물을 만들 수 있는 등 반복 사용이 가능하고, 어린이의 창작성과 상상력을 자극하여 두뇌활동과 지능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이러한 블럭들은 대부분 연결 부재를 가지고 있다. 연결 부재는 맞물리는 구조나 조립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연결용 부재들이 다양하게 제작되어, 어린이들은 다양한 형태로 블록을 조립할 수도 있고, 보다 섬세하게 완구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어떠한 연결용 부재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완구들이 제작되고,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형태의 조립식 완구의 연결부재 및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는, 원통형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와 동일한 중심선을 갖도록 배열되는 주름관을 포함하고, 상기 주름관의 반경은 상기 몸체의 반경보다 크고, 상기 주름관은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립완구의 연결부재는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제1 연결부재는 원통형 몸체와 동일한 중심선을 갖도록 배열되는 주름관을 포함하는 볼록한 수나사 형상이고, 제2 연결부재는 원통형 몸체와 동일한 중심선을 갖도록 배열되는 주름관을 포함하는 오목한 암나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부재는 측면에 좁고 긴 2개의 개구부를 평행하게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2개의 개구부 사이에 탄성을 갖는 탄성띠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띠는 내부에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의 일단부(End Part)는 갈고리 모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갈고리는 C형으로된 상부면 및 하부면을 구비하고, 곡면으로된 내부측면 및 외부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은 C형으로된 동공(aperture)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갈고리는 내부측면과 외부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측면은 내부 돌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와 상기 주름관에 사용되는 재료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완구는 원통형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와 동일한 중심선을 갖도록 배열되는 주름관을 포함하고, 상기 주름관의 반경은 상기 몸체의 반경보다 크고, 상기 주름관은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된 조립완구의 연결부재 및 상기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와 맞물려서 연결될 수 있는 결합 홈을 구비하는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립완구의 연결부재는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제1 연결부재는 볼록한 수나사 형상이고, 제2 연결부재는 오목한 암나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부재는 측면에 좁고 긴 2개의 개구부를 평행하게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부재는 상기 2개의 개구부 사이에 탄성을 갖는 탄성띠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띠는 내부에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의 일단부(End Part)는 갈고리 모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갈고리는 C형으로된 상부면 및 하부면을 구비하고, 곡면으로된 내부측면 및 외부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은 C형으로된 동공(aperture)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갈고리는 내부측면과 외부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측면은 내부 돌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와 상기 주름관에 사용되는 재료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 홈을 구비하는 블록은 복수의 결합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 홈을 구비하는 블록은 LED 램프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LED 램프는 상기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에 내장되는 도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완구의 연결부재는 주름관을 구비하여 블록과 연결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블록과 연결될 수 있어, 조립식 완구의 다양한 응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a)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제1 측면도이다.
도 5(b)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제2 측면도이다.
도 5(c)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제3 측면도이다.
도 5(d)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제4 측면도이다.
도 5(e)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9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1(a)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11(b)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블록의 상면도이다.
도 12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블록과 연결부재의 결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블록과 연결부재의 결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를 통한 블록과 블록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의 A-A의 선을 따라서 절단한 도면이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제1 연결부재(10)는 몸체(11) 및 주름관(13)을 포함한다.
몸체(11)는 원통형일 수 있다. 주름관(13)은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주름관(13)은 원통형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주름관(13)의 반경은 몸체(11)의 반경보다 클 수 있다. 주름관(13)은 몸체(11)로부터 돌출된 형태 일 수 있다.
몸체(11) 및 주름관(13)에 사용되는 재료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1)에 사용되는 재료는 주름관(13)에 사용되는 재료보다 탄성도가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1)에 사용되는 재료는 주름관(13)에 사용되는 재료보다 경도가 높을 수 있다. 주름관(13)에 사용되는 재료는 몸체(11)에 사용되는 재료보다 탄성도가 더 높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제1 연결부재(10)의 내부에는 전기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도선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도선을 통하여 전기적인 에너지를 블록이나 다른 연결부재에 전달 할 수 있고, 블록이나 다른 연결부재는 도선을 통하여 전달되는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다.
도 4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제1 측면도 내지 제4 측면도이다.
도 5(e)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a)의 A-A의 선을 따라서 절단한 도면이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제2 연결부재(20)는 몸체(21) 및 주름관(23)을 포함한다.
제2 연결부재(20)의 몸체(21) 및 주름관(23)은 제1 연결부재(10)의 몸체(11) 및 주름관(13)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몸체(21)는 원통형일 수 있다. 주름관(23)은 몸체(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주름관(23)은 원통형 몸체(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주름관(23)의 반경은 몸체(21)의 반경보다 클 수 있다. 주름관(23)은 몸체(21)로부터 돌출된 형태 일 수 있다.
몸체(21) 및 주름관(23)에 사용되는 재료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21)에 사용되는 재료는 주름관(23)에 사용되는 재료보다 탄성도가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21)에 사용되는 재료는 주름관(23)에 사용되는 재료보다 경도가 높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c를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20)는 평행하게 형성되는 개구부들(25_a, 25_b)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20)는 측면에 좁고 긴 2개의 개구부들(25_a, 25_b)을 구비하여, 다른 연결부재들 또는 블록과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부재(20)는 좁고 긴 2개의 개구부들(25_a, 25_b)의 사이에 탄성을 갖는 탄성띠(27)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e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20)는 탄성띠(27)의 내부에 걸림돌기(29)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20)는 탄성띠(27)의 내부에 걸림돌기(29)를 구비하여 다른 연결부재들 또는 블록과 연결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제2 연결부재(20)의 내부에는 전기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도선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도선을 통하여 전기적인 에너지를 블록이나 다른 연결부재에 전달 할 수 있고, 블록이나 다른 연결부재는 도선을 통하여 전달되는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부재(20)는 도 1의 제1 연결부재(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20)는 도 1의 제1 연결부재(10)가 블록과 연결되는 경우, 제1 연결부재(10)와 블록 사이에서 위치하여 제1 연결부재(10)와 블록을 연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9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의 A-A의 선을 따라서 절단한 도면이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부재(30)는 도 1의 제1 연결부재(10) 및 도 4의 제2 연결부재(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0)는 수나사 형상이고, 제2 연결부재(20)는 암나사 형상일 수 있다. 연결부재(30)는 결과적으로, 주름관(13) 및 주름관(23)을 구비할 수 있고, 주름관(13) 및 주름관(23)을 통하여 다른 연결부재 또는 블록(예를 들어, 도 10의 100)의 결합 홈(예를 들어, 도 10의 101)과의 연결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0)의 주름관(13)과 주름관(13)의 사이에 제2 연결부재(20)의 걸림돌기(29)이 위치되도록 제1 연결부재(10) 및 제2 연결부재(20)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29)를 통하여 제1 연결부재(10) 및 제2 연결부재(2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4의 제2 연결부재(20)와 도 1의 제1 연결부재(10)가 결합하여, 블록과 블록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4의 제2 연결부재(20)와 도 1의 제1 연결부재(10)가 결합된 연결부재(30)는 블록의 결합 홈의 사이즈가 상이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연결부재(20)가 블록과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제1 연결부재(10)는 제2 연결부재(20)와 연결을 통하여 블록과 블록을 연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연결부재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연결부재를 제작하고, 2개 이상의 연결부재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연결부재를 통하여 블록과 블록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1(a)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11(b)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블록의 상면도이다.
도 12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11(a)의 A-A의 선을 따라서 절단한 도면이 도 12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조립완구의 블록(100)은 하나 이상의 결합 홈(101)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완구의 블록(100)은 결합 홈(101)를 통하여 도 1의 제1 연결부재(10), 도 4의 제2 연결부재(20), 도 7의 연결부재(30)와 결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결합 홈(101)의 크기는 도 1의 제1 연결부재(10), 도 4의 제2 연결부재(20), 도 7의 연결부재(30)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홈(101)의 크기는 도 1의 제1 연결부재(10)에 맞추어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합 홈(101)에는 결합 홈(101)에 대응하는 크기의 연결부재를 삽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결합 홈(101)의 위치는 블록(100)의 사용에 따라서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0)은 결합 홈(101)을 블록(100)의 상하 좌우에 각각 하나씩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블록(100)은 결합 홈(101)을 상하 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블록(100)은 결합 홈(101)을 상하 측에 각각 하나 이상씩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블록(100)의 모양은 직육면체, 정육면체, 사면체, 팔면체, 12면체, 피라미드형 등으로 다양한게 제작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블록과 연결부재의 결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조립완구(1000)는 제1 연결부재(10), 제2 연결부재(20) 및 블록(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0)는 제2 연결부재(20)와 결합된 블록(10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재(10)는 제2 연결부재(20)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블록(10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재(10)는 제2 연결부재(20) 및 블록(100)과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재(10) 및 제2 연결부재(20)는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20)와 블록(100)은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0) 및 제2 연결부재(20)는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0) 및 제2 연결부재(20)의 도선은 블록(100)에 포함된 램프를 동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재(10) 및 제2 연결부재(20)의 도선은 블록(100)에 포함된 LED 램프를 동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100)에 포함된 LED 램프는 다양한 색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블록(100)에 포함된 LED 램프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또는 미리 정해진 방법에 의하여 점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100)에 포함된 LED 램프는 마이콤(미도시)에 의하여 켜지고 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100)에 포함된 LED 램프는 스위치(미도시)에 의하여 켜지고 꺼질 수 있다.
도 14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블록과 연결부재의 결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을 참조하면, 조립완구(3000)는 제2 연결부재(20) 및 블록(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20)는 블록(100)과 일체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20)는 블록(100)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20)들 중 적어도 하나는 블록(100)과 일체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20)들 중 적어도 하나는 블록(100)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도 15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블록과 블록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조립완구(5000)는 제1 블록(100), 제2 블록(200), 제1 연결부재(10), 제2 연결부재(20_a), 제3 연결부재(20_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록(100)은 제1 연결부재(10), 제2 연결부재(20_a), 제3 연결부재(20_b)를 통하여 제2 블록(2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블록(100)은 제2 연결부재(20_a)와 일체형일 수 있다. 제1 블록(100)은 제2 연결부재(20_a)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20_a)는 제1 연결부재(10)와 일체형일 수 있다. 제2 연결부재(20_a)는 제1 연결부재(10)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제3 연결부재(20_b)는 제1 연결부재(10)와 일체형일 수 있다. 제3 연결부재(20_b)는 제1 연결부재(10)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제2 블록(200)은 제3 연결부재(20_b)와 일체형일 수 있다. 제2 블록(200)은 제3 연결부재(20_b)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0)는 수나사 형상이고, 제2 연결부재(20_a) 및 제3 연결부재(20_b)는 암나사 형상일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0)는 주름관(13)을 구비하여 제2 연결부재(20_a) 및 제3 연결부재(20_b)와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재(20_a)는 주름관(23_a)를 포함하여 제1블록(100)의 연결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제3 연결부재(20_b)는 주름관(23_b)를 포함하여 제2 블록(200)과 연결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10)의 주름관(13)과 주름관(13)의 사이에 제2 연결부재(20_a)의 걸림돌기(29_a)이 위치되도록 제1 연결부재(10) 및 제2 연결부재(20_a)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29_a)를 통하여 제1 연결부재(10) 및 제2 연결부재(20_a)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10)의 주름관(13)과 주름관(13)의 사이에 제3 연결부재(20_b)의 걸림돌기(29_b)이 위치되도록 제1 연결부재(10) 및 제3 연결부재(20_b)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29_b)를 통하여 제1 연결부재(10) 및 제3 연결부재(20_b)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블록(100) 및 제2 블록(200)은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0), 제2 연결부재(20) 및 제3 연결부재(25)에 포함된 도선은 제1 블록(100) 및 제2 블록(200)에 포함된 LED 램프를 동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연결부재(40)는 몸체(41), 주름관(43) 및 일단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의 일단부(45, End Part)는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갈고리 모양의 일단부(45, 이하 갈고리)는 섬유 소재의 직물을 결합할 수 있다. 갈고리의 모양은 직물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갈고리의 모양은 사용자의 안전을 감안하여 둥근 모서리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갈고리(45)는 C형으로된 상부면 및 하부면을 구비하고, 곡면으로된 내부측면 및 외부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갈고리(45)는 상부면과 하부면은 C형으로된 동공(47, aperture)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갈고리(45)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다른 연결부재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갈고리(45)는 내부측면은 내부 돌기(49)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갈고리(45)는 다른 연결부재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내부 돌기(49)는 탄성력을 가진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갈고리 모양의 일단부(45)에는 LED 램프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몸체(41)는 전기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6 및 도 17의 몸체(41) 및 주름관(43)의 크기는 도 1의 제1 연결부재의 몸체(11) 및 주름관(13)의 크기와 일치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을 참조하면, 연결부재(50)는 몸체(51), 주름관(53) 및 일단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의 경우과 같이, 연결부재(40)의 일단부(55, End Part)는 갈고리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갈고리 모양의 일단부(55, 이하 갈고리)는 섬유 소재의 직물을 결합할 수 있다. 갈고리의 모양은 직물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갈고리의 모양은 사용자의 안전을 감안하여 둥근 모서리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갈고리(55)는 C형으로된 상부면 및 하부면을 구비하고, 곡면으로된 내부측면 및 외부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갈고리(55)는 상부면과 하부면은 C형으로된 동공(57, aperture)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갈고리(55)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다른 연결부재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갈고리(55)는 내부측면은 내부 돌기(59)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갈고리(55)는 다른 연결부재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내부 돌기(59)는 탄성력을 가진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갈고리 모양의 일단부(45)에는 LED 램프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몸체(41)는 전기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51) 및 주름관(53)의 크기는 도 4의 제2 연결부재의 몸체(21) 및 주름관(23)의 크기와 일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3)

  1. 원통형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와 동일한 중심선을 갖도록 배열되는 주름관을 포함하고,
    상기 주름관의 반경은 상기 몸체의 반경보다 크고, 상기 주름관은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된 조립완구의 연결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완구의 연결부재는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제1 연결부재는 원통형 몸체와 동일한 중심선을 갖도록 배열되는 주름관을 포함하는 볼록한 수나사 형상이고, 제2 연결부재는 원통형 몸체와 동일한 중심선을 갖도록 배열되는 주름관을 포함하는 오목한 암나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의 연결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측면에 좁고 긴 2개의 개구부를 평행하게 구비하는 조립완구의 연결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2개의 개구부 사이에 탄성을 갖는 탄성띠를 구비하는 조립완구의 연결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띠는 내부에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의 연결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단부(End Part)는 갈고리 모양인 조립완구의 연결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는 C형으로된 상부면 및 하부면을 구비하고, 곡면으로된 내부측면 및 외부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은 C형으로된 동공(aperture)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의 연결부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는 내부측면과 외부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측면은 내부 돌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의 연결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주름관에 사용되는 재료는 상이한 조립완구의 연결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도선을 포함하는 조립완구의 연결부재.
  11. 원통형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와 동일한 중심선을 갖도록 배열되는 주름관을 포함하고,
    상기 주름관의 반경은 상기 몸체의 반경보다 크고, 상기 주름관은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된 조립완구의 연결부재 및
    상기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와 맞물려서 연결될 수 있는 결합 홈을 구비하는 블록을 포함하는 조립식 완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완구의 연결부재는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제1 연결부재는 볼록한 수나사 형상이고, 제2 연결부재는 오목한 암나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측면에 좁고 긴 2개의 개구부를 평행하게 구비하는 조립식 완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2개의 개구부 사이에 탄성을 갖는 탄성띠를 구비하고 조립식 완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띠는 내부에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단부(End Part)는 갈고리 모양인 조립식 완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는 C형으로된 상부면 및 하부면을 구비하고, 곡면으로된 내부측면 및 외부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은 C형으로된 동공(aperture)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는 내부측면과 외부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측면은 내부 돌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주름관에 사용되는 재료는 상이한 조립식 완구.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을 구비하는 블록은 복수의 결합 홈을 구비하는 조립식 완구.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도선을 포함하는 조립완구의 연결부재.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을 구비하는 블록은 LED 램프를 구비하는 조립식 완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LED 램프는 상기 조립완구의 연결부재에 내장되는 도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조립식 완구.
KR1020130167483A 2013-12-30 2013-12-30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 KR20150078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483A KR20150078254A (ko) 2013-12-30 2013-12-30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
PCT/KR2014/012949 WO2015102327A1 (ko) 2013-12-30 2014-12-29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483A KR20150078254A (ko) 2013-12-30 2013-12-30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254A true KR20150078254A (ko) 2015-07-08

Family

ID=5349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483A KR20150078254A (ko) 2013-12-30 2013-12-30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78254A (ko)
WO (1) WO20151023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806A (ko) 2015-09-04 2017-03-14 (주)짐월드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515Y1 (ko) * 2002-05-08 2002-08-13 버그토이 주식회사 다변형 조립완구
KR200441034Y1 (ko) * 2007-01-23 2008-07-17 박건찬 조립 블럭
KR101260572B1 (ko) * 2010-10-05 2013-05-06 정태성 조명 연결장치
KR101324698B1 (ko) * 2011-10-31 2013-11-04 박경화 레고블록들간의 결합 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레고블록용 연결장치, 및 이를 채용한 레고블록과 레고블록 세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806A (ko) 2015-09-04 2017-03-14 (주)짐월드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
KR20170028809A (ko) 2015-09-04 2017-03-14 (주)짐월드 조립형 연결부재
KR20170028808A (ko) 2015-09-04 2017-03-14 (주)짐월드 조립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02327A1 (ko)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79850A1 (en) Decorative tree and quick assembly connector therefor
WO2018148913A1 (zh) 连接线及电子积木系统
CN107224741B (zh) 玩具搭建元件
CN109768411A (zh) 一种新能源汽车线对板连接器
US20180250605A1 (en) Assembly toy
KR20150078254A (ko)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
CN201596348U (zh) 拼装公仔活动关节
KR101924453B1 (ko) 완구용 조립 블록
JPH0419739Y2 (ko)
CN107224739B (zh) 玩具搭建元件
KR20130117838A (ko) 전기 연결 유닛을 갖는 발광 조립 블록 및 이를 위한 전원공급 베이스
JP2012200299A (ja) 電気的接続構造を備えたポールフレームセット
CN107224736B (zh) 玩具搭建元件
US11557869B2 (en) Combined power socket for artificial tree
CN109260725B (zh) 电连接积木
CN205019736U (zh) 组装玩具的连接部件
CN107224731B (zh) 玩具搭建元件
CN109107197B (zh) 积木连接器
CN107224728B (zh) 玩具搭建元件
CN218415130U (zh) 一种室内外两用的智能插座及防水模块
CN115693258B (zh) 一种防水智能插座
CN205319337U (zh) 一种接线端子
CN210806208U (zh) 一种插件连接用的按扣装置
CN203648082U (zh) 双向卡接积木条
CN219739427U (zh) 连接器装置及电子积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