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640A - 수직갱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직갱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9640A
KR20150059640A KR1020150055353A KR20150055353A KR20150059640A KR 20150059640 A KR20150059640 A KR 20150059640A KR 1020150055353 A KR1020150055353 A KR 1020150055353A KR 20150055353 A KR20150055353 A KR 20150055353A KR 20150059640 A KR20150059640 A KR 20150059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odule
hole
vertical module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화
김문겸
지정민
Original Assignee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5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9640A/ko
Publication of KR2015005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640A/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면이 파형을 이루도록, 파형강판의 절곡에 의해 형성된 통형 벽체(110); 상기 통형 벽체(110)의 하단을 둘러 결합한 보강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갱 모듈(100) 및 이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우려가 적으면서도 공기를 크게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수직갱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PERPENDICULAR HALL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ERPENDICULAR HA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직갱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직갱(수직구)은 광업, 도로, 지하철 및 철도 교통 터널, 양수발전소의 수압터널 건설과정에서 굴착 혹은 운용을 위해 건설되는 지하공간 구조물의 일종을 말한다.
광업 분야에서는 1980년대 이전 채광을 위한 직경 7m 이상의 대규모 수직갱의 건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이후 광산의 수와 규모가 축소되어 현재는 환기용 3m 정도의 중소규모 수직갱의 수요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광산에서의 수직갱 연장은 광맥의 위치 편차로 인해서 100m 이하 규모에서 300m 이상까지 다양한 범위가 있다.
수자원 분야의 경우, 전력사용량이 적은 야간 시간대에 양수하여 전력사용량이 많은 주간에 양수한 물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양수발전소 건설시 수직갱의 수요가 발생한다.
양수발전소의 경우 높은 낙차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기 때문에 수직갱의 연장이 큰 것이 특징이다.
또한 낙차에 의한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수직갱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직도의 관리가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수직갱 건설공법 선정 조건으로 작용한다.
건설교통분야의 경우, 선형 및 지형조건으로 인하여 장대 도로 및 철도 터널이 건설되고 있으며, 공사기간의 단축을 목적으로 하는 작업갱과 환기를 목적으로 하는 환기갱의 설계 및 시공이 증가하고 있다.
전력망 및 통신망의 확대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서 전력구와 통신구를 지하화한 터널이 증가하고 있으며, 주통신구의 건설을 위한 작업용 및 유지관리 용도의 수직갱 건설도 더불어 증가하고 있다.
이 밖에도 적용 가능 분야로서, 광산에서의 작업갱 및 환기갱, 도로터널 및 철도터널의 환기갱, 비축기지의 공사용 및 운전용 수직갱, 양수발전수, 전력 및 통신구, 방사능 폐기물 처분장의 처분 공동 굴착을 위한 파일럿 수직갱 등을 들 수 있다.
종래의 수직갱 시공방법은, 지반을 발파 등에 의해 개착식으로 굴착하면서, 숏크리트, 락 볼트 등에 의해 굴착면의 붕괴를 방지하고, 지하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수시트에 의한 방수작업 후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공법은 현장 콘크리트 타설 방식을 취하므로 공사기간이 길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특히, 암질이 불량한 암반층의 경우, 굴착면의 낙석, 붕괴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크므로, 강지보공 등 가시설이 많이 필요하였는바, 이를 위한 비용의 소요가 크고 공기가 더욱 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안전사고의 우려가 적으면서도 공기를 크게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갱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횡단면이 파형을 이루도록, 파형강판의 절곡에 의해 형성된 통형 벽체(110); 상기 통형 벽체(110)의 하단을 둘러 결합한 보강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갱 모듈(100)을 제시한다.
상기 보강부재(120)는 웹(121)이 종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H 빔 구조이고, 상기 통형 벽체(110)의 하단은 상기 보강부재(120)의 외측 플랜지(122) 또는 웹(121)에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형 벽체(110)의 하단은 상기 파형강판의 외측 돌부(111)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형 벽체(110)는 하단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하단 연장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연장부(112)는 상기 보강부재(120)의 웹(121)에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심부에 계단공(131) 및 환기구(132)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보강부재(120)의 내측 영역에 결합한 바닥부(130); 상기 계단공(131)을 통해 하측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 계단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부(130)는, 내측 영역에 상기 계단공(131)이 형성되도록, 상기 보강부재(120)에 양단이 결합한 한 쌍의 계단공 프레임(133); 내측 영역에 상기 환기구(132)가 형성되도록, 상기 계단공 프레임(133) 및 보강부재(120)의 내측 영역에 결합한 복수의 환기구 프레임(134); 상기 계단공(131) 및 환기구(132)와 상기 보강부재(120)의 사이 영역에 형성된 바닥판(13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판(135)은 데크 플레이트 및 콘크리트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단공 프레임(133)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기둥 프레임(141); 상기 계단부(140)를 덮어 보호하도록, 상기 복수의 기둥 프레임(141)을 둘러 설치된 내부 벽체(1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직갱 모듈(100) 복수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수직공(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직갱 모듈(100) 중 제1 수직갱 모듈(100A)을 상기 수직공(10)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외면과 상기 수직공(10)의 내면 사이를 충전재(C)에 의해 충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직갱 모듈(100) 중 제2 수직갱 모듈(100B)을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상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통형 벽체(110)의 상단에 상기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보강부재(120)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외면과 상기 수직공(10)의 내면 사이를 충전재(C)에 의해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갱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직갱 모듈(100) 복수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수직공(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직갱 모듈(100) 중 제1 수직갱 모듈(100A)을 상기 수직공(10)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외면과 상기 수직공(10)의 내면 사이를 충전재(C)에 의해 충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직갱 모듈(100) 중 제2 수직갱 모듈(100B)을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상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통형 벽체(110)의 상단에 상기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보강부재(120)의 외측 플랜지(122) 또는 웹(121)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외면과 상기 수직공(10)의 내면 사이를 충전재(C)에 의해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갱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직갱 모듈(100) 복수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수직공(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직갱 모듈(100) 중 제1 수직갱 모듈(100A)을 상기 수직공(10)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외면과 상기 수직공(10)의 내면 사이를 충전재(C)에 의해 충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직갱 모듈(100) 중 제2 수직갱 모듈(100B)을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상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통형 벽체(110)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상단 연장부(113)에 상기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보강부재(120)의 웹(121)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외면과 상기 수직공(10)의 내면 사이를 충전재(C)에 의해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갱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직갱 모듈(100) 복수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수직공(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직갱 모듈(100) 중 제1 수직갱 모듈(100A)을 상기 수직공(10)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외면과 상기 수직공(10)의 내면 사이를 충전재(C)에 의해 충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직갱 모듈(100) 중 제2 수직갱 모듈(100B)을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상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통형 벽체(110)의 상단에 상기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보강부재(120)를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기둥 프레임(141)의 상단에 상기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계단공 프레임(133)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외면과 상기 수직공(10)의 내면 사이를 충전재(C)에 의해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갱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안전사고의 우려가 적으면서도 공기를 크게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갱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수직갱 모듈의 사시도.
도 2 내지 10은 수직갱 시공방법의 공정도.
도 11은 통형벽체와 보강부재의 결합구조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12는 통형벽체와 보강부재의 결합구조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13은 통형벽체와 보강부재의 결합구조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14는 바닥부의 사시도.
도 15는 바닥부의 분해사시도.
도 16은 계단부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직갱 모듈(100)은 기본적으로, 횡단면이 파형을 이루도록, 파형강판의 절곡에 의해 형성된 통형 벽체(110); 통형 벽체(110)의 하단을 둘러 결합한 보강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수직갱 모듈(100) 복수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구성된다.
지반에 수직공(10)을 형성하고, 기초 콘크리트(11)를 타설하며, 수직공(10)의 내벽에 시트방수(12)를 실시한다(도 2,3).
복수의 수직갱 모듈(100) 중 제1 수직갱 모듈(100A)을 수직공(10) 내부에 설치하는데, 이와 더불어 수직공(10) 근처에서 또 다른 수직갱 모듈(100B)을 조립한다(도 4,5).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외면과 수직공(10)의 내면 사이를 콘크리트 등의 충전재(C)에 의해 충전한다(도 6).
복수의 수직갱 모듈(100) 중 제2 수직갱 모듈(100B)을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상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통형 벽체(110)의 상단에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보강부재(120)를 결합한다(도 7).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외면과 수직공(10)의 내면 사이를 충전재(C)에 의해 충전한다(도 8).
위 과정을 반복하여, 다수의 모듈(100)이 적층된 구조의 수직갱을 형성한다(도 9,10).
파형강판이란 주조용 강판재를 일정 규격의 주름 모양으로 형성하여 강성을 증가시킨 강판을 의미한다.
이러한 파형강판을 이용한 위 수직갱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도록 한다.
첫째, 콘크리트의 현장 타설량이 최소화되므로, 공기를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둘째, 수직공 내부에 반드시 사람이 들어가서 작업할 필요가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작아지므로, 암질이 불량한 암반층의 경우라도 강지보공 등의 가시설이 별로 필요하지 않아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고, 이에 소요되는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이하, 수직갱 모듈(100)의 구체적 구조에 관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직갱 모듈(100)은 기본적으로, 횡단면이 파형을 이루도록, 파형강판의 절곡에 의해 형성된 통형 벽체(110); 통형 벽체(110)의 하단을 둘러 결합한 보강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
여기서, 보강부재(120)로는 웹(121)이 종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H 빔 구조를 적용하고, 통형 벽체(110)의 하단이 위 보강부재(120)의 외측 플랜지(122) 또는 웹(121)에 결합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도 11).
이 경우, 제2 수직갱 모듈(100B)을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상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통형 벽체(110)의 상단에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보강부재(120)의 외측 플랜지(122) 또는 웹(121)을 결합하는 방식의 시공을 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형 벽체(110)의 하단은 파형강판의 외측 돌부(111)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외측 돌부(111)의 외면이 보강부재(120)의 외측 플랜지(122)의 내면에 면접촉하여 볼트결합, 용접결합 등의 결합구조를 취하게 된다.
통형 벽체(110)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하단 연장부(112)가 돌출형성되고, 그 하단 연장부(112)가 보강부재(120)의 웹(121)에 결합(볼트결합, 용접결합 등)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얻을 수 있다는 점 등의 장점이 추가된다(도 12,13).
이 경우, 제2 수직갱 모듈(100B)을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상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통형 벽체(110)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상단 연장부(113)에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보강부재(120)의 웹(121)을 결합하는 방식의 시공을 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하단 연장부(112)는 파형강판 하단의 절곡, 또는 별도 자재의 용접결합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하단 연장부(112)에 미리 볼트공(113)을 형성해두는 경우, 더욱 우수한 시공성을 얻을 수 있다.
수직갱을 통한 사람의 왕래가 필요한 경우, 심부에 계단공(131) 및 환기구(132)가 형성됨과 아울러, 보강부재(120)의 내측 영역에 결합한 바닥부(130); 계단공(131)을 통해 하측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 계단부(14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14,16).
여기서 바닥부(130)는, 내측 영역에 계단공(131)이 형성되도록, 보강부재(120)에 양단이 결합한 한 쌍의 계단공 프레임(133); 내측 영역에 환기구(132)가 형성되도록, 계단공 프레임(133) 및 보강부재(120)의 내측 영역에 결합한 복수의 환기구 프레임(134); 계단공(131) 및 환기구(132)와 보강부재(120)의 사이 영역에 형성된 바닥판(135);을 포함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보강부재(120)에 결합한 계단공 프레임(133), 환기구 프레임(134)이 견고한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므로,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도 1,15).
바닥판(135)이 데크 플레이트 및 콘크리트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시공이 편리하면서도 안정적인 구조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계단공 프레임(133)의 상측으로 복수의 기둥 프레임(141)이 연장형성되는 경우, 제2 수직갱 모듈(100B)을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상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통형 벽체(110)의 상단에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보강부재(120)를 결합함과 아울러,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기둥 프레임(141)의 상단에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계단공 프레임(133)을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수직방향 지지구조가 형성된다는 효과가 있다.
계단부(140)를 덮어 보호하도록, 복수의 기둥 프레임(141)을 둘러 내부 벽체(142)를 설치하는 경우, 추락, 화재 등에 대한 안전성이 더욱 강화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수직공 100,100A,100B : 수직갱 모듈
110 : 통형 벽체 111 : 외측 돌부
112 : 하단 연장부 120 : 보강부재
121 : 웹 122 : 외측 플랜지
130 : 바닥부 131 : 계단공
132 : 환기구 133 : 계단공 프레임
134 : 환기구 프레임 135 : 바닥부
140 : 계단부 141 : 기둥 프레임
142 : 내부 벽체

Claims (12)

  1. 횡단면이 파형을 이루도록, 파형강판의 절곡에 의해 형성된 통형 벽체(110);
    상기 통형 벽체(110)의 하단을 둘러 결합한 보강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갱 모듈(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120)는 웹(121)이 종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H 빔 구조이고,
    상기 통형 벽체(110)의 하단은 상기 보강부재(120)의 외측 플랜지(122) 또는 웹(121)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갱 모듈(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벽체(110)의 하단은 상기 파형강판의 외측 돌부(111)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갱 모듈(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벽체(110)는 하단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하단 연장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연장부(112)는 상기 보강부재(120)의 웹(121)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갱 모듈(100).
  5. 제1항에 있어서,
    심부에 계단공(131) 및 환기구(132)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보강부재(120)의 내측 영역에 결합한 바닥부(130);
    상기 계단공(131)을 통해 하측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 계단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갱 모듈(1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30)는,
    내측 영역에 상기 계단공(131)이 형성되도록, 상기 보강부재(120)에 양단이 결합한 한 쌍의 계단공 프레임(133);
    내측 영역에 상기 환기구(132)가 형성되도록, 상기 계단공 프레임(133) 및 보강부재(120)의 내측 영역에 결합한 복수의 환기구 프레임(134);
    상기 계단공(131) 및 환기구(132)와 상기 보강부재(120)의 사이 영역에 형성된 바닥판(1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갱 모듈(1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35)은 데크 플레이트 및 콘크리트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갱 모듈(100).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공 프레임(133)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기둥 프레임(141);
    상기 계단부(140)를 덮어 보호하도록, 상기 복수의 기둥 프레임(141)을 둘러 설치된 내부 벽체(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갱 모듈(10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직갱 모듈(100) 복수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수직공(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직갱 모듈(100) 중 제1 수직갱 모듈(100A)을 상기 수직공(10)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외면과 상기 수직공(10)의 내면 사이를 충전재(C)에 의해 충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직갱 모듈(100) 중 제2 수직갱 모듈(100B)을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상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통형 벽체(110)의 상단에 상기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보강부재(120)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외면과 상기 수직공(10)의 내면 사이를 충전재(C)에 의해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갱 시공방법.
  10.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직갱 모듈(100) 복수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수직공(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직갱 모듈(100) 중 제1 수직갱 모듈(100A)을 상기 수직공(10)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외면과 상기 수직공(10)의 내면 사이를 충전재(C)에 의해 충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직갱 모듈(100) 중 제2 수직갱 모듈(100B)을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상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통형 벽체(110)의 상단에 상기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보강부재(120)의 외측 플랜지(122) 또는 웹(121)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외면과 상기 수직공(10)의 내면 사이를 충전재(C)에 의해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갱 시공방법.
  11. 제4항의 수직갱 모듈(100) 복수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수직공(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직갱 모듈(100) 중 제1 수직갱 모듈(100A)을 상기 수직공(10)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외면과 상기 수직공(10)의 내면 사이를 충전재(C)에 의해 충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직갱 모듈(100) 중 제2 수직갱 모듈(100B)을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상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통형 벽체(110)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상단 연장부(113)에 상기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보강부재(120)의 웹(121)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외면과 상기 수직공(10)의 내면 사이를 충전재(C)에 의해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갱 시공방법.
  12. 제8항의 수직갱 모듈(100) 복수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수직공(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직갱 모듈(100) 중 제1 수직갱 모듈(100A)을 상기 수직공(10)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외면과 상기 수직공(10)의 내면 사이를 충전재(C)에 의해 충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직갱 모듈(100) 중 제2 수직갱 모듈(100B)을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상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통형 벽체(110)의 상단에 상기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보강부재(120)를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수직갱 모듈(100A)의 기둥 프레임(141)의 상단에 상기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계단공 프레임(133)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2 수직갱 모듈(100B)의 외면과 상기 수직공(10)의 내면 사이를 충전재(C)에 의해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갱 시공방법.
KR1020150055353A 2015-04-20 2015-04-20 수직갱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 KR20150059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353A KR20150059640A (ko) 2015-04-20 2015-04-20 수직갱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353A KR20150059640A (ko) 2015-04-20 2015-04-20 수직갱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640A true KR20150059640A (ko) 2015-06-01

Family

ID=53490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353A KR20150059640A (ko) 2015-04-20 2015-04-20 수직갱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96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286B1 (ko) * 2015-10-26 2016-06-13 주식회사 유신 수직갱 시공방법
KR102214779B1 (ko) 2019-08-19 2021-02-10 (주)이안텍 프리캐스트 수직코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30119823A (ko) 2022-02-08 2023-08-16 송성민 분절접합형 프리캐스트 코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286B1 (ko) * 2015-10-26 2016-06-13 주식회사 유신 수직갱 시공방법
KR102214779B1 (ko) 2019-08-19 2021-02-10 (주)이안텍 프리캐스트 수직코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30119823A (ko) 2022-02-08 2023-08-16 송성민 분절접합형 프리캐스트 코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0725A (ko) 보강장치 및 다량 수분 함유 자갈 지층 중 심층 피트 국소 냉동 보강 시공 방법
US10030792B2 (en) Underground steel-concrete structure pipeline with spiral composite reinforcement ring on inner wa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4898721U (zh) 一种钢结构城市综合管廊
CN101509263A (zh) 钢盖板盖挖法基坑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358985B1 (ko) 안정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지주 정착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CN112832248B (zh) 一种城市隧道地铁车站施工方法和深大基坑群施工动态监控量测方法
CN210827541U (zh) 塔筒基础的中心筒构件、具有其的中心筒和塔筒基础
CN109838240B (zh) 过河隧道拱盖盖挖施工方法
KR20150059640A (ko) 수직갱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
CN105350561A (zh) 一种用于软土地区输电塔的装配式微型沉井基础
KR101628223B1 (ko) 수직갱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직갱 시공방법
CN211446950U (zh) 一种便于排水的基坑支护结构
CN105256836A (zh) 一种地下工程施工中快速恢复路面交通的施工方法
KR101638478B1 (ko) 수직갱과 횡갱의 결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0735641B (zh) 下穿管线的换乘通道的施工方法
KR101629286B1 (ko) 수직갱 시공방법
CN104895100B (zh) 建筑物密集区域建造地下空间沉箱施工方法
CN109163143A (zh) 一种装配式顶管工作沉井及利用其的施工方法
CN205063097U (zh) 一种土木工程用防火墙
CN106592632A (zh) 一种逆作法施工地下支撑结构及施工方法
CN112127910A (zh) 一种隧道施工超前支护套拱结构
JP6592331B2 (ja) 円周シールド掘進機の測量方法
CN210598097U (zh) 一种土建施工安装架
JP2013221241A (ja) トンネル拡幅工法およびトンネル拡幅構造
KR20200005841A (ko) 탑다운 공법을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