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1503A -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1503A
KR20150051503A KR1020130133032A KR20130133032A KR20150051503A KR 20150051503 A KR20150051503 A KR 20150051503A KR 1020130133032 A KR1020130133032 A KR 1020130133032A KR 20130133032 A KR20130133032 A KR 20130133032A KR 20150051503 A KR20150051503 A KR 20150051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end block
adjusting
bridge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7471B1 (ko
Inventor
김도학김도학
김도학
신명규신명규
신명규
이재호이재호
이재호
박종헌박종헌
박종헌
오현식오현식
오현식
이연경이연경
이연경
박성민박성민
박성민
윤석민윤석민
윤석민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상일토건 주식회사
토웅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상일토건 주식회사, 토웅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3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471B1/ko
Publication of KR2015005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47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 말뚝(100)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에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가 적층되는 조정단 블록(300) 및 상기 조정단 블록(300)을 상기 기초 말뚝(10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방법{PRECAST BUIT-UP PI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토목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함에 있어서, 교각 기초 상부에 적층되는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의 위치 및 수직도를 맞추기 위한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을 지지하는 교각은 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된다. 도심 환경이 복잡해짐에 따라 도심의 효과적인 교통량의 분산을 위해서 교량이 건설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종래에는 도심지에 교량을 건설함에 있어서, 강재의 슬립 폼으로 이루어진 거푸집을 설치하고, 내부에 철근을 배치한 후 지표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 간격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슬립 폼을 상부로 이동시켜 점차 교각의 높이를 높여가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다만, 종래의 시공 방식은 소정 높이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이후에야 교각의 높이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교량의 시공에 장기간이 소요되고, 도심에 교량을 시공함에 있어 교통 혼잡 및 통행 불편의 문제점을 야기하여 왔다.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장에서 제작된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를 교량 가설 현장으로 운반하여 적층하고, 이를 조립하여 교각을 구축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방법은 확대 기초(1)에 철근(2)이 삽입되는 홀(4)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3)를 적층한 이후에, 철근(2)을 삽입하고, 철근(2) 삽입된 홀(4)에 그라우팅재를 충전하여 교각을 형성시키는 방식이 제시되어 왔다.
다만, 상술된 종래의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방법은 확대 기초(1)에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3)를 적층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프리캐스트 교각의 형성을 위해서는 확대 기초(1)의 형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따라서, 확대 기초(1)를 형성하지 않고 현장 타설로 형성되는 단일 기초 말뚝을 갖는 교각에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 방식이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는 현장에서 타설되어 시공되는 단일 기초 말뚝은 위치와 수직도에 시공 오차가 필연적으로 발생될 수 밖에 없고, 단일 기초 말뚝 상부의 마감면 또한 고르지 못하여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를 바로 적층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에 기인한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각 기초를 형성하지 아니하고도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를 제시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초 말뚝의 상부에 적층되는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의 위치 및 수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를 제시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초 말뚝의 상부에 적층되는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의 위치 및 수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초 말뚝(100)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에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가 적층되는 조정단 블록(300) 및 상기 조정단 블록(300)을 상기 기초 말뚝(10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기초 말뚝(100)과 상기 조정단 블록(300) 사이에 현장 타설 방식으로 형성되는 연결기둥(500) 및 상기 연결기둥(500)의 형성을 위해 상기 기초 말뚝(100)과 상기 조정단 블록(300)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측면거푸집(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 말뚝(100)에서 돌출 형성된 보강철근(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조정단 블록(300)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은, 복수의 상기 보강철근(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철근(110)의 직경의 5배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 말뚝(100)과 상기 조정단 블록(300) 사이의 공간에 상기 연결기둥(500)의 형성을 위한 충전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정단 블록(300)을 관통하여 형성된 충전재 삽입홀(3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은 상기 조정단 블록(300)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충전재 삽입홀(320)은 상기 복수의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철근(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 보강철근 삽입홀(210) 및 상기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의 자중을 줄이기 위해 상기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의 심부에 형성된 자중감소 홀(2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400)은, 상기 기초 말뚝(100)과 결합된 하부 프레임(410), 상기 조정단 블록(300)과 결합된 상부 프레임(420) 및 상기 하부 프레임(410) 및 상기 상부 프레임(420)과 결합되며, 상기 조정단 블록(300)의 위치 및 수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조정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부(430)는, 상기 하부 프레임(410) 및 상기 상부 프레임(420)과 수직으로 결합된 제1 조정부(431) 및 상기 하부 프레임(410) 및 상기 상부 프레임(420)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결합된 제2 조정부(4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부(430)는, 상기 상부 프레임(420)과 결합된 상부 연결부재(434), 상기 하부 프레임(410)과 결합된 하부 연결부재(435) 및 상기 상부 연결부재(434) 및 상기 하부 연결부재(435)와 나사결합된 조정부 본체(433)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연결부재(434)와 상기 조정부 본체(433)의 나사결합을 위한 제1 나사선(437)의 방향과, 상기 하부 연결부재(435)와 상기 조정부 본체(433)의 나사결합을 위한 제2 나사선(438)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부 본체(433)에 돌출 형성된 회전봉(4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초 말뚝(100)를 형성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기초 말뚝(100)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조정단 블록(300)을 설치하는 제2 단계(S200), 상기 기초 말뚝(100)과 상기 조정단 블록(300) 사이에 충전재를 타설하여 연결기둥(500)을 형성하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조정단 블록(300) 상부에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를 적층하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단계(S200)는, 상기 기초 말뚝(100)에 지지 프레임(400)을 결합하는 단계(S210) 및 상기 조정단 블록(300)에 상기 지지 프레임(400)을 결합하는 단계(S22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400)은, 상기 기초 말뚝(100)와 결합된 하부 프레임(410), 상기 조정단 블록(300)과 결합된 상부 프레임(420) 및 상기 하부 프레임(410) 및 상기 상부 프레임(420)과 결합되며, 상기 조정단 블록(300)의 위치 및 수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조정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부(430)의 길이를 신축하여 상기 조정단 블록(300)의 위치 및 수직도를 조정하는 단계(S21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도를 조정하는 단계(S215)는, 상기 조정단 블록(300)에 상기 지지 프레임(400)을 결합하는 단계(S220) 이후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부(430)는, 상기 하부 프레임(410) 및 상기 상부 프레임(420)과 수직으로 결합된 제1 조정부(431) 및 상기 하부 프레임(410) 및 상기 상부 프레임(420)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결합된 제2 조정부(432)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도를 조정하는 단계(S215)는, 상기 제1 조정부(431)를 이용하여 상기 조정단 블록(300)의 수평각을 조정하는 단계(S215a) 및 상기 제2 조정부(432)를 이용하여 상기 조정단 블록(300)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S215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단 블록(300)은, 상기 기초 말뚝(100)에서 돌출 형성된 보강철근(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조정단 블록(300)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는, 상기 보강철근(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 보강철근 삽입홀(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 및 상기 제2 보강철근 삽입홀(210)은 복수의 상기 보강철근(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철근(110)의 직경의 5배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철근(110)은 기계적 이음 또는 겹이음 방식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 및 상기 제2 보강철근 삽입홀(21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계(S300)는, 상기 기초 말뚝(100)와 상기 조정단 블록(300) 사이의 공간을 측면거푸집(600)으로 폐쇄하는 단계(S310) 및 상기 기초 말뚝(100)와 상기 조정단 블록(300) 사이의 공간에, 상기 조정단 블록(300)을 관통하여 형성된 충전재 삽입홀(320)을 통해 충전재를 충전하는 단계(S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420)은, 상기 조정부(430)와 결합되는 결합부재(421), 상기 조정단 블록(300)에 결합된 거치부재(423), 상기 결합부재(421)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재(423)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공간이 형성된 받침부재(422) 및 상기 거치부재(423)과 상기 받침부재(422)를 결합하는 결합수단(424);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단 블록(300)에 상기 지지 프레임(400)을 결합하는 단계(S220)는, 상기 결합부재(421)를 상기 조정부(430)에 결합시키는 단계(S221), 상기 거치부재(423)를 상기 조정단 블록(300)에 결합하는 단계(S222), 상기 받침부재(422) 상부에 상기 거치부재(423)를 거치하는 단계(S223) 및 상기 받침부재(422)와 상기 거치부재(423)를 상기 결합수단(424)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단계(S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각 기초를 형성하지 않고도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 말뚝의 상부에 적층되는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의 위치 및 수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시공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각의 조정단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각의 조정단 구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를 이용한 교각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종래의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방법은 교각 기초(1) 상부면에 적층되는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3)의 수직도를 맞추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교량의 구조적 안전성을 저해하고, 교량의 시공기간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도 1).
또한,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교각 기초(1)의 형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프리캐스트 교각 시공의 비용의 상승 및 시공기간이 장기화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방법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는 기본적으로, 기초 말뚝(100)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에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가 적층되는 조정단 블록(300) 및 조정단 블록(300)을 기초 말뚝(10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400)을 포함한다(도 2).
즉, 종래의 프리캐스트 교량의 시공에서는 기초 말뚝 상부에 교각 기초(1)를 형성시키고, 교각 기초(1) 상부에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3)를 적층시키는 구성(도 1)을 취하였음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교각 기초를 형성시키지 않고, 기초 말뚝(100) 상부에 직접 프리캐스트 세그먼트(3)를 적층시키는 구성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교각 기초의 형성이 필수적이지 않다는 효과가 있다.
다만, 기초 말뚝(100)의 상부에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를 적층 시키기 위해서는 기초 말뚝(100) 상부에 대한 두부정리가 추가적으로 요구되고, 기초 말뚝(100)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부에 적층되는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가 수직으로 적층될 수 없어, 교량 전체의 구조적 안전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는, 기초 말뚝(100)의 상부에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를 바로 적층시키는 구조가 아니라, 기초 말뚝(100) 상부에 조정단 블록(300)을 지지 프레임(400)을 이용하여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하고, 지지 프레임(400)을 조정하여 조정단 블록(300)의 위치 및 수직도를 조정한 다음, 조정단 블록(300) 상부에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을 적층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조정단 블록(300)의 위치 및 수직도 조정에 의해 상부에 적층되는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의 위치 및 수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가 기초 말뚝(100)의 상부면에 직접 적층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기초 말뚝(100)의 상부면에 대한 정교한 두부정리가 요구되지 않아, 교량 시공의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교량 시공의 편의성을 위해 조정단 블록(300)의 길이는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프레임(400)은 조정단 블록(300)을 기초 말뚝(100)의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함과 동시에, 조정단 블록(300)의 수직도를 조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의 지지 프레임(400)은 기초 말뚝(100)과 결합된 하부 프레임(410), 조정단 블록(300)과 결합된 상부 프레임(420), 하부 프레임(410) 및 상부 프레임(420)과 결합되며 조정단 블록(300)의 위치 및 수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조정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여기서 조정부(430)는, 상부 프레임(420)과 결합된 상부 연결부재(434), 하부 프레임(410)과 결합된 하부 연결부재(435), 상부 연결부재(434) 및 하부 연결부재(435)와 나사결합된 조정부 본체(433)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조정부 본체(433)는 양 단에 상부 연결부재(434)와 조정부 본체(433)의 나사결합을 위한 제1 나사선(437)과, 하부 연결부재(435)와 조정부 본체(433)의 나사결합을 위한 제2 나사선(438)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나사선(437)과 제2 나사선(438)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조정부 본체(433)가 회전하는 경우, 조정부 본체(433)와 나사결합 되어 있는 상부 연결부재(434)와 하부 연결부재(435)는 동시에 나사결합이 되어 있는 결합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정부 본체(433)의 회전에 따라 조정부(430) 전체 길이의 신축이 가능하게 되어 조정부(430)에 의한 조정단 블록(300)의 위치 및 수직도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조정부(43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는 경우 상부 프레임(420)과 조정단 블록(300)의 결합부가 위치된 부분은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조정부(430) 전체 길이가 줄어드는 경우 상부 프레임(420)과 조정단 블록(300)의 결합부가 위치된 부분은 하부로 이동하게 되어, 조정단 블록(300)의 상하부 위치 이동을 통한 위치 및 수직도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는 조정부 본체(433)에 돌출 형성된 회전봉(4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5).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시공자가 조정부(430)의 길이를 신축하기 위해 조정부 본체(433)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의 조정부(430)는, 하부 프레임(410) 및 상부 프레임(420)과 수직으로 결합된 제1 조정부(431), 하부 프레임(410) 및 상부 프레임(420)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결합된 제2 조정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제1 조정부(431)의 길이의 신축을 통해 조정단 블록(300)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제2 조정부(432)의 길이의 신축을 통해 조정단 블록(300)의 좌우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는, 기초 말뚝(100)에서 돌출 형성된 보강철근(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조정단 블록(300)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이 형성될 수 있다(도 4).
여기서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은, 복수의 보강철근(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철근(110)의 직경의 5배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의 형상은 호형, 사다리꼴 형,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4).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를 적층함에 있어,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에 보강철근(110)을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시공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는, 기초 말뚝(100)와 조정단 블록(300) 사이의 공간에 연결기둥(500)의 형성을 위한 충전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조정단 블록(300)을 관통하여 형성된 충전재 삽입홀(320)을 포함할 수 있다(도 4).
구체적으로는 충전재 삽입홀(320)에 호스를 삽입하여 가압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기초 말뚝(100)와 조정단 블록(300) 사이의 공간에 충전재를 삽입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충전재는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의 그라우팅재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은 조정단 블록(300)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충전재 삽입홀(320)은 복수의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 및 시공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는 보강철근(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 보강철근 삽입홀(210) 및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의 자중을 줄이기 위해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의 심부에 형성된 자중감소 홀(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보강철근 삽입홀(210)은 복수의 보강철근(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보강철근(110)의 직경의 5배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보강철근 삽입홀(310)의 형상은 호형, 사다리꼴 형,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자중감소 홀(220)은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의 이동 및 시공이 용이하도록 프리캐스트 교각 세스먼트(200)의 자중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을 이하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은, 기초 말뚝(100)를 형성하는 제1 단계(S100), 기초 말뚝(100)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조정단 블록(300)을 설치하는 제2 단계(S200), 기초 말뚝(100)와 조정단 블록(300) 사이에 충전재를 타설하여 연결기둥(500)을 형성하는 제3 단계(S300) 및 조정단 블록(300) 상부에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를 적층하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한다(도 8).
여기서 제2 단계(S200)는, 기초 말뚝(100)에 지지 프레임(400)을 결합하는 단계(S210), 조정단 블록(300)에 지지 프레임(400)을 결합하는 단계(S220), 조정부(430)의 길이를 신축하여 조정단 블록(300)의 위치 및 수직도를 조정하는 단계(S215)를 포함한다.
조정단 블록(300)에 상기 지지 프레임(400)을 결합하는 단계(S220)는, 결합부재(421)를 상기 조정부(430)에 결합시키는 단계(S221), 거치부재(423)를 조정단 블록(300)에 결합하는 단계(S222), 받침부재(422) 상부에 거치부재(423)를 거치하는 단계(S223) 및 받침부재(422)와 거치부재(423)를 결합수단(424)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단계(S224)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및 수직도를 조정하는 단계(S215)는, 조정단 블록(300)에 지지 프레임(400)을 결합하는 단계(S220) 이후에 실시되는 것이 위치 및 수직도 조정의 정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위치 및 수직도를 조정하는 단계(S215)는, 제1 조정부(431)를 이용하여 상기 조정단 블록(300)의 수평각을 조정하는 단계(S215a), 제2 조정부(432)를 이용하여 조정단 블록(300)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S215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정단 블록(300)은, 기초 말뚝(100)에서 돌출 형성된 보강철근(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조정단 블록(300)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을 포함하며,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는, 보강철근(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 보강철근 삽입홀(210)을 포함한다.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 및 제2 보강철근 삽입홀(210)은 보강철근(110)이 삽입된 이후에 충전재에 의하여 충전된다.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 및 제2 보강철근 삽입홀(210)은 복수의 보강철근(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보강철근(110) 직경의 5배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 및 제2 보강철근 삽입홀(210)의 형상은 호형, 사다리꼴 형,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강철근(110)은 기계적 이음 또는 겹이음 방식으로 연장되어,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 및 제2 보강철근 삽입홀(210)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체적으로 보강철근(110)은 커플러(120)를 사용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철근(110)의 양단에 커플러(120)의 결합을 위한 수나사선(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커플러(120)는 심부에 형성된 관통공(121)을 포함하며, 관통공 양단에는 보강철근(110)의 수나나선(111)이 삽입되기 위한 암나사선(1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플러(120)의 직경은 관통공(121)을 형성할 수 있는 최소한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 및 제2 보강철근 삽입홀(210)에 충전재를 충전함에 있어, 충전재가 커플러(120)를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충전재가 하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제3 단계(S300)는, 기초 말뚝(100)와 조정단 블록(300) 사이의 공간을 측면거푸집(600)으로 폐쇄하는 단계(S310) 및 기초 말뚝(100)와 조정단 블록(300) 사이의 공간에, 조정단 블록(300)을 관통하여 형성된 충전재 삽입홀(320)을 통해 충전재를 충전하는 단계(S320)를 포함한다.
측면 거푸집(600)은 재사용이 가능한 강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충전재의 양생이 종료된 이후에 제거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기초 말뚝
200 :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
300 : 조정단 블록
400 : 지지 프레임
500 : 연결기둥
600 : 측면거푸집

Claims (20)

  1. 기초 말뚝(100)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에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가 적층되는 조정단 블록(300); 및
    상기 조정단 블록(300)을 상기 기초 말뚝(10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말뚝(100)과 상기 조정단 블록(300) 사이에 현장 타설 방식으로 형성되는 연결기둥(500); 및
    상기 연결기둥(500)의 형성을 위해 상기 기초 말뚝(100)과 상기 조정단 블록(300)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측면거푸집(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말뚝(100)에서 돌출 형성된 보강철근(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조정단 블록(300)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은,
    복수의 상기 보강철근(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철근(110)의 직경의 5배 이상의 직경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말뚝(100)과 상기 조정단 블록(300) 사이의 공간에 상기 연결기둥(500)의 형성을 위한 충전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정단 블록(300)을 관통하여 형성된 충전재 삽입홀(3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은 상기 조정단 블록(300)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충전재 삽입홀(320)은 상기 복수의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근(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 보강철근 삽입홀(210); 및
    상기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의 자중을 줄이기 위해 상기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의 심부에 형성된 자중감소 홀(2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400)은,
    상기 기초 말뚝(100)과 결합된 하부 프레임(410);
    상기 조정단 블록(300)과 결합된 상부 프레임(420); 및
    상기 하부 프레임(410) 및 상기 상부 프레임(420)과 결합되며, 상기 조정단 블록(300)의 위치 및 수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조정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430)는,
    상기 하부 프레임(410) 및 상기 상부 프레임(420)과 수직으로 결합된 제1 조정부(431); 및
    상기 하부 프레임(410) 및 상기 상부 프레임(420)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결합된 제2 조정부(4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430)는,
    상기 상부 프레임(420)과 결합된 상부 연결부재(434);
    상기 하부 프레임(410)과 결합된 하부 연결부재(435); 및
    상기 상부 연결부재(434) 및 상기 하부 연결부재(435)와 나사결합된 조정부 본체(433);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연결부재(434)와 상기 조정부 본체(433)의 나사결합을 위한 제1 나사선(437)의 방향과, 상기 하부 연결부재(435)와 상기 조정부 본체(433)의 나사결합을 위한 제2 나사선(438)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 본체(433)에 돌출 형성된 회전봉(4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12.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초 말뚝(100)를 형성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기초 말뚝(100)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조정단 블록(300)을 설치하는 제2 단계(S200);
    상기 기초 말뚝(100)과 상기 조정단 블록(300) 사이에 충전재를 타설하여 연결기둥(500)을 형성하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조정단 블록(300) 상부에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를 적층하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S200)는,
    상기 기초 말뚝(100)에 지지 프레임(400)을 결합하는 단계(S210); 및
    상기 조정단 블록(300)에 상기 지지 프레임(400)을 결합하는 단계(S22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400)은,
    상기 기초 말뚝(100)와 결합된 하부 프레임(410);
    상기 조정단 블록(300)과 결합된 상부 프레임(420); 및
    상기 하부 프레임(410) 및 상기 상부 프레임(420)과 결합되며, 상기 조정단 블록(300)의 위치 및 수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조정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430)의 길이를 신축하여 상기 조정단 블록(300)의 위치 및 수직도를 조정하는 단계(S21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및 수직도를 조정하는 단계(S215)는, 상기 조정단 블록(300)에 상기 지지 프레임(400)을 결합하는 단계(S220) 이후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430)는,
    상기 하부 프레임(410) 및 상기 상부 프레임(420)과 수직으로 결합된 제1 조정부(431); 및
    상기 하부 프레임(410) 및 상기 상부 프레임(420)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결합된 제2 조정부(432);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도를 조정하는 단계(S215)는,
    상기 제1 조정부(431)를 이용하여 상기 조정단 블록(300)의 수평각을 조정하는 단계(S215a); 및
    상기 제2 조정부(432)를 이용하여 상기 조정단 블록(300)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S215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단 블록(300)은, 상기 기초 말뚝(100)에서 돌출 형성된 보강철근(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조정단 블록(300)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는, 상기 보강철근(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리캐스트 교각 세그먼트(200)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 보강철근 삽입홀(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 및 상기 제2 보강철근 삽입홀(210)은 복수의 상기 보강철근(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철근(110)의 직경의 5배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근(110)은 기계적 이음 또는 겹이음 방식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보강철근 삽입홀(310) 및 상기 제2 보강철근 삽입홀(21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S300)는,
    상기 기초 말뚝(100)와 상기 조정단 블록(300) 사이의 공간을 측면거푸집(600)으로 폐쇄하는 단계(S310); 및
    상기 기초 말뚝(100)와 상기 조정단 블록(300) 사이의 공간에, 상기 조정단 블록(300)을 관통하여 형성된 충전재 삽입홀(320)을 통해 충전재를 충전하는 단계(S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420)은,
    상기 조정부(430)와 결합되는 결합부재(421);
    상기 조정단 블록(300)에 결합된 거치부재(423);
    상기 결합부재(421)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재(423)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공간이 형성된 받침부재(422); 및
    상기 거치부재(423)과 상기 받침부재(422)를 결합하는 결합수단(424);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단 블록(300)에 상기 지지 프레임(400)을 결합하는 단계(S220)는,
    상기 결합부재(421)를 상기 조정부(430)에 결합시키는 단계(S221);
    상기 거치부재(423)를 상기 조정단 블록(300)에 결합하는 단계(S222);
    상기 받침부재(422) 상부에 상기 거치부재(423)를 거치하는 단계(S223); 및
    상기 받침부재(422)와 상기 거치부재(423)를 상기 결합수단(424)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단계(S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
KR1020130133032A 2013-11-04 2013-11-04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527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032A KR101527471B1 (ko) 2013-11-04 2013-11-04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032A KR101527471B1 (ko) 2013-11-04 2013-11-04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503A true KR20150051503A (ko) 2015-05-13
KR101527471B1 KR101527471B1 (ko) 2015-06-16

Family

ID=5338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032A Expired - Fee Related KR101527471B1 (ko) 2013-11-04 2013-11-04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47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1770A (zh) * 2016-04-01 2016-08-03 上海城建市政工程(集团)有限公司 钢结构主塔多塔根与大体积砼承台基础的连接定位方法
CN107558377A (zh) * 2017-09-13 2018-01-09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悬挂式单轨墩柱安装方法
CN109577206A (zh) * 2018-12-13 2019-04-05 杭州江润科技有限公司 空心高墩支模体系及施工方法
CN110820543A (zh) * 2019-10-18 2020-02-21 同济大学 可重复拆装圆柱型桥墩结构及设计方法
CN110886234A (zh) * 2019-12-17 2020-03-17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用于桥梁墩柱的接长模板及施工方法
CN112081013A (zh) * 2020-09-11 2020-12-15 上海城建市政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预制多边形桥墩拼装定位的导向装置及设计方法
CN114197296A (zh) * 2021-11-29 2022-03-18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承台内设反力架的预应力钢墩柱脚及其施工方法
CN115323935A (zh) * 2022-09-05 2022-11-11 中铁十局集团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装配式桥墩多维精调装置及方法
CN116575356A (zh) * 2023-07-14 2023-08-11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立柱节段拼装的位置控制装置及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481B1 (ko) * 2021-07-20 2023-06-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구조물용 지그를 이용한 기둥구조물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106B1 (ko) * 2008-06-10 2010-11-30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교각용 지그 시스템
KR101143310B1 (ko) * 2009-07-21 2012-05-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호형의 철근 구멍을 갖는 프리캐스트 세그멘트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1770A (zh) * 2016-04-01 2016-08-03 上海城建市政工程(集团)有限公司 钢结构主塔多塔根与大体积砼承台基础的连接定位方法
CN107558377A (zh) * 2017-09-13 2018-01-09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悬挂式单轨墩柱安装方法
CN109577206A (zh) * 2018-12-13 2019-04-05 杭州江润科技有限公司 空心高墩支模体系及施工方法
CN110820543A (zh) * 2019-10-18 2020-02-21 同济大学 可重复拆装圆柱型桥墩结构及设计方法
CN110886234A (zh) * 2019-12-17 2020-03-17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用于桥梁墩柱的接长模板及施工方法
CN110886234B (zh) * 2019-12-17 2024-11-19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用于桥梁墩柱的接长模板及施工方法
CN112081013A (zh) * 2020-09-11 2020-12-15 上海城建市政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预制多边形桥墩拼装定位的导向装置及设计方法
CN114197296A (zh) * 2021-11-29 2022-03-18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承台内设反力架的预应力钢墩柱脚及其施工方法
CN114197296B (zh) * 2021-11-29 2023-10-20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承台内设反力架的预应力钢墩柱脚及其施工方法
CN115323935A (zh) * 2022-09-05 2022-11-11 中铁十局集团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装配式桥墩多维精调装置及方法
CN116575356A (zh) * 2023-07-14 2023-08-11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立柱节段拼装的位置控制装置及控制方法
CN116575356B (zh) * 2023-07-14 2023-09-08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立柱节段拼装的位置控制装置及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471B1 (ko) 201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471B1 (ko)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방법
US8056299B2 (en) Foundation construction for superstructures
CN103741604B (zh) 全预制装配式钢筋混凝土桥梁拼装结构及其连接方法
US6550213B1 (en) Slab foundation construction fixture, particularly as adapts standard girts for pre-use as foundation forms
KR101848727B1 (ko) 피씨기둥의 접합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CN108425375A (zh) 一种基础预制柱及其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CN108265885B (zh) 高大非正交大倾角异型混凝土斜柱的施工方法
KR101588593B1 (ko) 가교의 시공방법
KR101285156B1 (ko) 현장타설말뚝 거푸집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스페이서의 중심잡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주파일 설치공법
AU2010328511A1 (en) Structural support system and method
KR101574253B1 (ko) Pc패널을 이용한 트윈 월 구조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312759B1 (ko) 강가로보를 이용한 피에스씨 곡선형 거더의 전도방지 시공 방법
CN103590510A (zh) 装配式结构与现浇结构中预埋钢筋的固定连接方法
US20090057531A1 (en) Column forming apparatus and methods
KR102269141B1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JP6543077B2 (ja) 構造物の施工方法
JP3752999B2 (ja) 上下部一体構造の橋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254229B1 (ko) 결합력이 향상된 조립식 잔교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AU2013366093B2 (en) Reinforced blockwork construction method
KR20170111850A (ko)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1664834B1 (ko) 토압 분리형 일체식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106760486A (zh) 基坑中外墙模具及其支设方法
CN209162874U (zh) 一种基础预制柱及基础结构
CN115288008B (zh) 一种预制立柱与承台的连接形式及其施工方法
KR101165972B1 (ko)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