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1401A -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1401A
KR20150051401A KR1020130132785A KR20130132785A KR20150051401A KR 20150051401 A KR20150051401 A KR 20150051401A KR 1020130132785 A KR1020130132785 A KR 1020130132785A KR 20130132785 A KR20130132785 A KR 20130132785A KR 20150051401 A KR20150051401 A KR 20150051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tient
disease
management server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하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32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1401A/ko
Publication of KR20150051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관리 서버에 만성질환 환자의 정보를 입력하는 환자정보 입력단계와;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 폰을 통하여 환자 자신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질환 정보와 현재 상태를 입력하는 현재상태 입력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에 입력되는 환자 정보와 함께 환자의 상태와 대응하는 정보를 환자의 스마트 폰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폰에 장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의료 기관의 방문 없이도 만성질환자의 질병 추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 및 이동 중 상시 진료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만성질환과 관련된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만성질환 치료에 대한 환자의 의료비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Chronic Diseas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만성질환자의 건강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만성질환은 환자의 혈당, 혈압, 심전도 등을 지속적으로 측정해야 하는 고혈압, 당뇨, 천식, 심혈관 질환 등 1차 유헬스 만성질환군과, 의사의 지속적인 상담과 관찰이 필요관절염, 고지혈증, 뇌졸증 등 2차 유헬스 만성질 환군으로 분류되며, 이러한 만성질환자수는 현재 1천만명을 넘어서고 있어 개인의 문제를 넘어 국가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만성질환 치료에 대한 의료비 지출도 급증하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집중적인 의료 서비스를 요하는 급성질환과는 달리, 만성질환의 경우 장기간에 걸친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경제적인 측면 등을 고려하여 질병의 진행 추이에 따라 병원 내 서비스뿐만 아니라 재택 서비스 등 다양한 원격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고, 특히 의료비 부담을 경감시키면서 의사가 직접 만성질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그리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마련이 시급하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기존에는 방문 간호사를 활용하여 환자가 위치한 원격지에서 원격 진료기구를 사용하여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방문 간호사의 방문으로 진료를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만성질환자와 같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한 환자에게는 부적합하며, 특히 방문 간호사이 도움으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취득하여 다시 주치의에게 전송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하게 이중 의료 행위가 발생되어, 오히려 환자에게 의료비 부담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환자 관리와 관련하여 해외에서도 다양한 의료 서비스가 제안된 바 있으나, 원격 화상 및 생체 센싱, 방문 간호 형태의 개별적인 서비스만이 제공되는 방식이거나, 독거노인 및 양로원을 위한 서비스로서 긴급 통보 서비스, 휴대 전화 메시지 신고 서비스, 가정 간호 서비스 등 이원화된 서비스만이 제공되는 방식이어서, 생체 정보 전송, 원격 모니터링, 원격 진료 서비스 등의 서비스 연계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70201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 폰에 장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의료 기관의 방문 없이도 만성질환자의 질병 추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 및 이동 중 상시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리 서버에 만성질환 환자의 정보를 입력하는 환자정보 입력단계와;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 폰을 통하여 환자 자신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질환 정보와 현재 상태를 입력하는 현재상태 입력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에 입력되는 환자 정보와 함께 환자의 상태와 대응하는 정보를 환자의 스마트 폰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단계 후 상기 관리 서버에 입력되는 환자의 정보를 담당 의사에게 전달하는 환자정보 전달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자정보 입력단계에서 관리 서버에는 환자의 개인정보와 생체정보 및 질환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현재상태 입력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상기 관리 서버에 로그인 과정과; 상기 관리 서버에 로그인 후 환자의 해당 질환을 선택하는 질환 선택과정과; 상기 질환 선택 후 질환에 관련된 항목을 선택 및 기재하여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환자 상태 입력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단계는 관리 서버에 입력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환자 정보 제공과정과 환자의 상태와 대응하는 질환 정보와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질환 관련 정보 제공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단계에는 일정 및 시간에 맞춰 관련된 정보와 함께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스케줄 정보 제공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폰에 장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의료 기관의 방문 없이도 만성질환자의 질병 추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 및 이동 중 상시 진료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만성질환과 관련된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만성질환 치료에 대한 환자의 의료비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순차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순차도이다.
본원발명인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S100)은 환자정보 입력단계(S200)와, 현재상태 입력단계(S300)와, 정보 제공단계(S400)와, 환자정보 전달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환자정보 입력단계(S200)는 관리 서버(20)에 만성질환 환자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환자정보 입력단계(S200)는 관리 서버(20)에 환자의 개인정보(21), 생체정보(22), 질환정보(23), 질환 관련 정보(24), 검사 프로그램(25)을 입력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21)는 신상정보와 가족병력 및 신체정보가 상기 관리 서버(20)에 입력되고, 상기 생체정보(22)는 혈압, 맥박수, 혈당, 콜레스테롤, 운동량 및 각 만성질환별 검사항목이 관리 서버(20)에 입력되며, 상기 질환정보(23)는 과거 및 현재 질환에 대한 정보와 환자가 치료받고 있는 병원과 담당 의사가 관리 서버(20)에 입력되고, 상기 질환 관련 정보(24)는 만성 질환과 관련된 각종 정보가 관리 서버(20)에 입력되며, 상기 검사 프로그램(25)은 만성 질환에 따른 환자의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 프로그램(25)을 관리 서버(20)에 입력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20)에는 환자 자신 이외에 타인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인증서, 암호, 스캔 등의 공지된 보안 프로그램이 설치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현재상태 입력단계(S300)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 폰(30)을 통하여 환자 자신이 상기 관리 서버(20)에 접속하여 자신의 질환 정보와 현재 상태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현재상태 입력단계(S30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관리 서버(20)에 로그인 과정(S310)과, 상기 관리 서버(20)에 로그인 후 환자의 해당 질환을 선택하는 질환 선택과정(S320)과, 상기 질환 선택 후 질환에 관련된 항목을 선택 및 기재하여 관리 서버(20)에 저장하는 환자 상태 입력 과정(S33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현재상태 입력단계(S300)는 보안프로그램이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 서버(20)에 로그인 후, 환자 자신의 질환에 해당하는 질환(예를 들면, 신부전, 혈압, 당뇨, 갑상선 질환, 천식, 비염 등)을 선택한 다음, 질환에 관련된 세부항목을 선택 또는 기재하여 관리 서버(20)에 저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정보 제공단계(S400)는 관리 서버(20)에 입력되는 환자 정보와 함께 환자의 상태와 대응하는 정보를 환자의 스마트 폰(30)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정보 제공단계(S400)는 환자 자신이 스마트 폰(30)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20)에 접속하여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보 제공단계(S400)는 관리 서버(20)에 입력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환자 정보 제공과정(S410)과, 환자의 상태와 대응하는 질환 정보와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질환 관련 정보 제공과정(S420)과, 일정 및 시간에 맞춰 관련된 정보와 함께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알람 정보 제공과정(S430)으로 구성된다.
이를 좀더 살펴보면, 상기 환자 정보 제공과정(S410)은 관리 서버(20)에 입력된 환자 자신의 질환 관련 정보(질환기간, 병명, 진행과정 등)를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정보 제공과정(S420)은 환자 자신과 대응되는 질환에 대한 질환 정보와 질환 치료자의 경험기록과,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알람 정보 제공과정(S430)은 관리 서버(20)에 입력된 요구사항에 맞춰 환자의 음식 및 약물 섭취와, 운동 정보 제공과, 질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환자정보 전달단계(S500)는 관리 서버(20)에 입력되는 환자의 정보를 담당 의사에게 전달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환자정보 전달단계(S500)는 환자정보 입력단계(S200)를 통해 관리 서버(20)에 입력된 환자의 담당 의사에게 상기 관리 서버(20)에 입력된 환자 관련 정보를 실시간 또는 일정간격으로 담당 의사에 전달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만성질환 환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관리 서버(20)에 신상정보와 가족병력 및 신체정보의 개인정보(21)와 혈압, 맥박수, 혈당, 콜레스테롤, 운동량 및 각 만성질환별 검사항목과 관련되는 생체정보(22)와, 과거 및 현재 질환에 대한 정보와 환자가 치료받고 있는 병원과 담당 의사 등의 질환정보(23)와, 만성질환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질환 관련 정보(24)와, 만성 질환에 따른 환자의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 프로그램(25)을 관리 서버(20)에 입력한다.
그리고 환자의 스마트 폰(30)으로 만성질환 관리 서버(20)에 접속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이때 스마트 폰(30)에는 관리 서버(20)에서 제공되는 보안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환자 자신이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만성질환을 관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안프로그램이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 서버(20)에 로그인 후, 환자 자신의 질환에 해당하는 질환(예를 들면, 신부전, 혈압, 당뇨, 갑상선 질환, 천식, 비염 등)을 선택한 다음, 질환에 관련된 세부항목을 선택 또는 기재하여 관리 서버(20)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20)에 저장된 환자 정보와 함께 환자의 상태와 대응하는 질환의 정보를 받고자 할 경우에는, 환자 자신이 스마트 폰(30)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20)에 접속한 후 상기 관리 서버(20)에 저장된 입력된 환자 자신의 질환 관련 정보(질환기간, 병명, 진행과정 등)를 제공하는 환자 정보 제공과정(S410), 환자 자신과 대응되는 질환에 대한 질환 정보와 질환 치료자의 경험기록과,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과정(S420), 관리 서버(20)에 입력된 요구사항에 맞춰 환자의 음식 및 약물 섭취와, 운동 정보 제공과, 질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알람 정보 제공과정(S430) 중 택일하여 정보를 제공받으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은 환자 자신이 간단하게 자신의 질환과 그에 따른 정보를 담당 의사에게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0 :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
S200 : 환자정보 입력단계,
S300 : 현재상태 입력단계,
S400 : 정보 제공단계,
S500 : 환자정보 전달단계.

Claims (6)

  1. 관리 서버에 만성질환 환자의 정보를 입력하는 환자정보 입력단계와;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 폰을 통하여 환자 자신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질환 정보와 현재 상태를 입력하는 현재상태 입력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에 입력되는 환자 정보와 함께 환자의 상태와 대응하는 정보를 환자의 스마트 폰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단계 후 상기 관리 서버에 입력되는 환자의 정보를 담당 의사에게 전달하는 환자정보 전달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정보 입력단계에서 관리 서버에는 환자의 개인정보, 생체정보, 질환정보, 질환 관련 정보 및 검사 프로그램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상태 입력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상기 관리 서버에 로그인 과정과;
    상기 관리 서버에 로그인 후 환자의 해당 질환을 선택하는 질환 선택과정과;
    상기 질환 선택 후 질환에 관련된 항목을 선택 및 기재하여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환자 상태 입력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단계는 관리 서버에 입력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환자 정보 제공과정과 환자의 상태와 대응하는 질환 정보와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질환 관련 정보 제공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단계에는 일정 및 시간에 맞춰 관련된 정보와 함께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스케줄 정보 제공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
KR1020130132785A 2013-11-04 2013-11-04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 KR20150051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785A KR20150051401A (ko) 2013-11-04 2013-11-04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785A KR20150051401A (ko) 2013-11-04 2013-11-04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401A true KR20150051401A (ko) 2015-05-13

Family

ID=53388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785A KR20150051401A (ko) 2013-11-04 2013-11-04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14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484A (ko) * 2018-11-12 2020-05-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484A (ko) * 2018-11-12 2020-05-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elberg Sorensen et al. The multiple sclerosis care unit
Parati et al. Home blood pressure telemonitoring in the 21st century
Maric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telemonitoring technologies in heart failure
Evans et al. Remote health monitoring for older adults and those with heart failure: adherence and system usability
Celler et al.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
Van den Berg et al. Telemedicine and telecare for older patients—a systematic review
Baron et al. The impact of mobile monitoring technologies on glycosylated hemoglobin in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KR101141425B1 (ko)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US20140257836A1 (en) Automated interactive health care application for patient care
US20120129139A1 (en) Disease management system using personalized education, patient support community and telemonitoring
US200803192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evaluating patient compliance status
CN111128333A (zh) 一种一站式智能诊断与智能就医管理系统
WO2018218789A1 (zh) 中医治未病健康管理系统及方法
US20140156297A1 (en) Computer program, method, and system for pharmacist-assisted treatment of patients
KR101228586B1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질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TWI749621B (zh) 用藥提醒與回報系統及其實施方法
Mars et al. Electronic patient-generated health data for healthcare
Greenup et al. The efficacy of telemedicine-supported discharge within an in-home model of care
Tsoi et al. Blood pressure monitoring on the cloud system in elderly community centres: a data capturing platform for application research in public health
US201702557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a discharge moment
KR20150051401A (ko)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
Dimengo et al. Team-based care for external telemonitoring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Gupta et al. IOT based Patient Health Monitoring System using ML
Fursse et al. Early experience in using telemonitoring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 in primary care
Schmid et al. A multidisciplinary stroke clinic for outpatient care of veteran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