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470A -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470A
KR20150046470A KR20130125714A KR20130125714A KR20150046470A KR 20150046470 A KR20150046470 A KR 20150046470A KR 20130125714 A KR20130125714 A KR 20130125714A KR 20130125714 A KR20130125714 A KR 20130125714A KR 20150046470 A KR20150046470 A KR 20150046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ing
sewage
initial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훈
Original Assignee
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훈 filed Critical 전상훈
Priority to KR20130125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6470A/ko
Publication of KR20150046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지대 하수 및 초기우수를 실시간으로 집수하여 고지대의 차집관거로 펌핑하여 별도의 정화처리시설 없이 하수와 초기우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소규모의 펌핑탱크에 2개의 펌프를 설치하되, 초기우수의 유입량에 따라 자동으로 단일펌프를 가동하여 고지대의 차집관거로 펌핑시켜 배출하고, 선택적으로 초기우수의 유입량이 배출량 보다 많을 경우에는 2개의 펌프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LOW AREA PUMPING SYSTEM}
본 발명은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지대 하수 및 초기우수를 실시간으로 집수하여 고지대의 차집관거로 펌핑하여 별도의 정화처리시설 없이 하수와 초기우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지대에서는 하수 및 초기우수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도할 수 없어 별도의 정화처리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소규모 하수처리를 위한 모듈화된 하수처리장치(특허등록제572662호)"를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처리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회간접자본이 많이 발생하고, 또한 정화처리시설을 운영하는 운영비도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저지대 하수 및 초기우수를 실시간으로 집수하여 고지대의 차집관거로 펌핑하여 별도의 정화처리시설 없이 하수와 초기우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소규모의 펌핑탱크에 2개의 펌프를 설치하되, 초기우수의 유입량에 따라 자동으로 단일펌프를 가동하여 고지대의 차집관거로 펌핑시켜 배출하고, 선택적으로 초기우수의 유입량이 배출량 보다 많을 경우에는 2개의 펌프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저지대에 설치된 하수관거(50) 상의 초기우수 및 하수를 집수하여 근거리 고지대의 차집관거(60)로 펌핑 배출하기 위한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하수관거(50) 상의 우수토실(51)에 설치되어 하수와 초기우수만를 유입시키는 개폐수단(10);과, 지중에 매설되고 상기 우수토실(51)과 연결관(512)을 통해 연결되어 하수와 초기우수를 일시저장하는 펌핑탱크(20);와, 상기 펌핑탱크(20)의 바닥면 일지점에 설치되어 하수와 초기우수를 펌핑하는 펌핑부(30);와, 상기 펌핑탱크(2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펌핑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41)가 설치된 제어실(40);과, 상기 펌핑부(30)를 통해 펌핑된 하수와 초기우수를 고지대의 차집관거(60)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실(40)에서 펌핑부(30)와 상통하도록 연결되는 배출관(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펌핑탱크(20)는 하수와 초기우수의 이물질을 침전시키기 위해 상기 펌핑탱크(20)의 내부에 침사실(21)을 형성하는 격벽(211)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211)에는 이물질 걸러내고 하수와 초기우수만을 월류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스크린망(211a)이 더 설치되며, 상기 펌핑탱크(20)의 내벽면에는 센싱부(22)가 설치되어 하수 및 초기우수가 유입되면 제어부(41)가 펌핑부(30)를 자동으로 제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센싱부(22)는 펌핑탱크(20)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 1센서(221)와, 상기 펌핑탱크(20)의 중단에 설치되는 제 2센서(222)와, 상기 펌핑탱크(20)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 3센서(22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펌핑부(30)는 제 2센서(222)의 감지에 의해 가동되고 제 3센서(223)의 감지에 의해 가동이 중지되는 제 1펌프(31)와, 제 1센서(221)의 감지에 의해 가동되고 제 2센서(222)의 감지에 의해 가동이 중지되는 제 2펌프(3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펌핑탱크(20)의 상부면에는 맨홀뚜껑(23)을 형성시켜 침사실(21)에 침전된 토사 및 이물질을 준설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개폐수단(10)은 우수토실(51)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511)의 내측에 안착되되, 장치의 분해 없이 타측이 회동에 의해 우수토실(51)에서 OPEN 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511)과 일측이 힌지부(13)를 통해 결합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6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펌핑탱크(20)의 상부에는 제진기(24)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진기(24)의 밸트스크린(241)은 격벽까지 연장시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에 따르면, 저지대 하수 및 초기우수를 실시간으로 집수하여 고지대의 차집관거로 하수와 초기우수를 처리할 수 있어 고가의 정화처리시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소규모의 펌핑탱크에 2개의 펌프를 설치하되, 초기우수의 유입량에 따라 자동으로 단일펌프를 가동하여 고지대의 차집관거로 펌핑시켜 배출하고, 선택적으로 초기우수의 유입량이 배출량 보다 많을 경우에는 2개의 펌프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의 블록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의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지대의 하수 및 초기우수를 실시간으로 집수하여 고지대의 차집관거(60)로 펌핑하여 저지대에서 별도의 정화처리시설 없이 하수와 초기우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저지대 하수관거 핑핑 시스템은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개폐수단(10)과, 펌핑탱크(20)와, 펌핑부(30) 및 제어실(40)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수단(10)은 하수관거(50) 상의 우수토실(51)에 설치되어 우수는 하수관거(50) 상으로 배출시키고, 하수와 초기우수만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개폐수단(10)의 상류측에는 우수토실(51)의 내부로 토사나 자갈 및 하수와 협잡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침사지(52)와, 협잡물스크린(5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펌핑탱크(20)는 지중에 매설되고 상기 우수토실(51)과 제 1연결관(512)을 통해 연결되어 하수와 초기우수를 일시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펌핑탱크(20)는 유입되는 하수와 초기우수의 이물질을 침전시키기 위해 내부에 침사실(21)을 구획하는 격벽(211)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211)에는 이물질 걸러내고 하수와 초기우수만을 월류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스크린망(211a)이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펌핑탱크(20)의 상부면에는 맨홀뚜껑(23)을 형성시켜 침사실(21)에 침전된 토사 및 이물질을 준설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펌핑탱크(20)는 바닥면 일지점에 하수와 초기우수를 펌핑하는 펌핑부(30)가 설치된다.
이러한 펌핑부(30)는 펌핑탱크(20)의 바닥면 보다 더 낮게 설치되어 펌핑탱크(20)에 하수와 초기우수가 남지 않게 펌핑할 수 있도록 하여 악취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제어실(40)은 펌핑부(30)의 수직선상인 펌핑탱크(2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펌핑부(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1)가 설치된다.
또한 제어실(40)에는 펌핑부(30)를 통해 펌핑된 하수와 초기우수를 고지대의 차집관거(60)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펌핑부(30)와 상통하는 배출관(42)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펌핑탱크(20)의 내벽면에는 센싱부(22)가 설치되어 하수 및 초기우수가 유입되면 제어부(41)가 펌핑부(30)를 자동으로 가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센싱부(22)는 펌핑탱크(20)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 1센서(221)와, 상기 펌핑탱크(20)의 중단에 설치되는 제 2센서(222)와, 상기 펌핑탱크(20)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 3센서(22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펌핑부(30)는 수중펌프로 구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 2센서(222)의 감지에 의해 가동되고 제 3센서(223)의 감지에 의해 가동이 중지되는 제 1펌프(31)와, 제 1센서(221)의 감지에 의해 가동되고 제 2센서(222)의 감지에 의해 가동이 중지되는 제 2펌프(32)로 구성된다.
상술된 구조는 펌핑탱크(20)의 수위가 높아지면 맨 처음 제 1펌프(31)만이 가동되다가, 하수 및 초기우수의 유입량이 많아져 펌핑탱크(20)의 수위가 계속해서 높아지면 제 2펌프(32)가 동시 가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10)은 우수토실(51)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511)의 내측에 안착되되, 장치의 분해 없이 타측이 회동에 의해 우수토실(51)에서 OPEN 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511)과 일측이 힌지부(13)를 통해 결합되는 구조이다.(도 6에 도시)
이러한 구조는 우수토실(51)을 준설하거나 장치를 유지보수할 시 개폐수단(10)을 분리시키지 않고 회동에 의해 오픈시켜 준설 및 개폐수단(10)의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의 작동도이다.
먼저, 도 4와 같이, 평소 오수와, 우천시 초기우수는 개방된 개폐수단(10)을 통해 우수토실(51)로 집수된다.
우수토실(51)로 집수된 오수 및 초기우수는 연결관(512)을 통해 펌핑탱크(20) 내부의 침사실(21)로 유입된다.
상기 침사실(21)에서는 오수 및 초기우수에 포함된 이물질과 토사나 자갈을 침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침사실(21)의 수위가 점차 높이지면 오수 및 초기우수는 격벽(211)의 상부에 설치된 스크린망(211a)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지고 하수와 초기우수만이 펌핑탱크(20)의 내부로 월류 된다.
펌핑탱크(20)의 내부로 월류된 오수 및 초기우수의 수위가 점차 높아지면 제 2센서(222)가 오수 및 초기우수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고, 제 2센서(2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41)를 통해 제 1펌프(31)를 가동하여 배출관(42)을 통해 고지대의 차집관거(60)로 실시간으로 배출시킨다.
도 5와 같이, 계속해서 제 1펌프(31)의 펌핑량 보다 유입되는 오수 및 초기우수가 많을 경우에는 펌핑탱크(20)의 수위가 점차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 3센서(223)가 오수 및 초기우수의 수위를 감지하면 제어부(41)에서 제 2펌프(32)를 자동으로 가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펌프(31)와 제 2펌프(32)가 가동됨에 따라 규모가 작은 펌핑탱크(20)로 수량이 많은 초기우수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제 1펌프(31)와 제 2펌프(32)가 가동된 상태에서 펌핑탱크(20)의 내부수위가 낮아져 제 2센서(222)에 의해 내부수위가 감지될 경우에는 제 2펌프(32)는 가동을 중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내부수위가 낮아져 제 1센서(221)에 의해 내부수위가 감지되면 제 1펌프(31) 역시 가동이 중지된다.
아울러 우수토실(51) 및 침사실(21)을 준설할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우수토실(51)에 설치된 개폐수단(10)을 회동에 의해 오픈시켜 준설하고, 또한 침사실(21) 내부는 펌핑탱크(20)의 상부면에 설치된 맨홀뚜껑(23)을 오픈시켜 준설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펌핑탱크(20)의 상부에 제진기(24)를 더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진기(24)의 밸트스크린(241)은 펌핑탱크(20)의 격벽(211)까지 연장되어 하수 및 초기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실시간으로 반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2펌프(32)는 제 1펌프(31)가 고장으로 에러가 발생될 경우, 상기 제어부(41)는 이를 감지하여 제 2센서(222)의 검출값으로부터 제 2펌프(32)를 바로 가동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개폐수단 13: 힌지부
20: 펌핑탱크 21: 침사실 211: 격벽
211a: 스크린망 22: 센싱부
221: 제 1센서 222: 제 2센서
223: 제 3센서 23: 맨홀뚜껑
24: 제진기 241: 밸트스크린
30: 펌핑부 31: 제 1펌프 32: 제 2펌프
제 240: 제어실 41: 제어부 42: 배출관
50: 하수관거 51: 우수토실 511: 고정프레임
512: 연결관 52: 침사지
53: 협잡물스크린
60: 차집관거

Claims (6)

  1. 저지대에 설치된 하수관거(50) 상의 초기우수 및 하수를 집수하여 근거리 고지대의 차집관거(60)로 펌핑 배출하기 위한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에 있어서,
    하수관거(50) 상의 우수토실(51)에 설치되어 하수와 초기우수만를 유입시키는 개폐수단(10);
    지중에 매설되고 상기 우수토실(51)과 연결관(512)을 통해 연결되어 하수와 초기우수를 일시저장하는 펌핑탱크(20);
    상기 펌핑탱크(20)의 바닥면 일지점에 설치되어 하수와 초기우수를 펌핑하는 펌핑부(30);
    펌핑탱크(2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펌핑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41)가 설치된 제어실(40);
    상기 펌핑부(30)를 통해 펌핑된 하수와 초기우수를 고지대의 차집관거(60)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실(40)에서 펌핑부(30)와 상통하도록 연결되는 배출관(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펌핑탱크(20)는 하수와 초기우수의 이물질을 침전시키기 위해 상기 펌핑탱크(20)의 내부에 침사실(21)을 형성하는 격벽(211)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211)에는 이물질 걸러내고 하수와 초기우수만을 월류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스크린망(211a)가 더 설치되며,
    상기 펌핑탱크(20)의 내벽면에는 센싱부(22)가 설치되어 하수 및 초기우수가 유입되면 제어부(41)가 펌핑부(30)를 자동으로 제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22)는 펌핑탱크(20)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 1센서(221)와, 상기 펌핑탱크(20)의 중단에 설치되는 제 2센서(222)와, 상기 펌핑탱크(20)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 3센서(2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30)는 제 2센서(222)의 감지에 의해 가동되고 제 3센서(223)의 감지에 의해 가동이 중지되는 제 1펌프(31)와, 제 1센서(221)의 감지에 의해 가동되고 제 2센서(222)의 감지에 의해 가동이 중지되는 제 2펌프(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탱크(20)의 상부면에는 맨홀뚜껑(23)을 형성시켜 침사실(21)에 침전된 토사 및 이물질을 준설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10)은 우수토실(51)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511)의 내측에 안착되되, 장치의 분해 없이 타측이 회동에 의해 우수토실(51)에서 OPEN 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511)과 일측이 힌지부(13)를 통해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탱크(20)의 상부에는 제진기(24)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진기(24)의 밸트스크린(241)은 격벽까지 연장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
KR20130125714A 2013-10-22 2013-10-22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 KR20150046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714A KR20150046470A (ko) 2013-10-22 2013-10-22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714A KR20150046470A (ko) 2013-10-22 2013-10-22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470A true KR20150046470A (ko) 2015-04-30

Family

ID=5303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5714A KR20150046470A (ko) 2013-10-22 2013-10-22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64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5776A (zh) * 2017-03-17 2017-06-20 四川大学 一种海绵城市低洼地多级叠水旋转净化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5776A (zh) * 2017-03-17 2017-06-20 四川大学 一种海绵城市低洼地多级叠水旋转净化系统
CN106865776B (zh) * 2017-03-17 2020-05-01 四川大学 一种海绵城市低洼地多级叠水旋转净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953B2 (en) Integrated below-ground vault with a filtered catch basin
US7163635B2 (en) Integrated below-ground vault with a filtered catch basin
KR100684923B1 (ko) 하수용 우수토실
KR101039196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101369130B1 (ko) 일체형 점검구을 갖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CN107587595A (zh) 一种包含调蓄池和在线处理池的系统
KR101301042B1 (ko) 하수관거를 이용한 초기우수 저류장치
KR100801678B1 (ko) 하수도용 저류조 세척장치
EP2781666B1 (en) A method for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KR101764563B1 (ko) 스크류 필터를 이용한 집수, 저류, 여과 통합 빗물 처리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1608043B1 (ko) 비점오염 처리 시설
RU2634952C1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ема и очистки ливневой сточной воды
KR101202895B1 (ko) 빗물 저류 장치
KR20150046470A (ko) 저지대 하수관거 펌핑시스템
KR20130012534A (ko) 확장 저류조를 갖는 초기우수 보관 처리시스템
KR101468324B1 (ko) 자동 및 반자동 겸용 저류 시스템
KR200427026Y1 (ko)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KR100842368B1 (ko) 통합형 우수겸용 오수받이
KR101316313B1 (ko) 저류조를 이용한 계곡수용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200255619Y1 (ko) 배수처리 집수조 구조
CN108360646A (zh) 综合管廊雨水过滤排污调蓄装置
CN211597025U (zh) 一种地下雨水回收利用装置
KR100719496B1 (ko)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CN209259740U (zh) 初污分离旋流式弃分流器
KR101151090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