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701A -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 및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 및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701A
KR20150045701A KR20130125290A KR20130125290A KR20150045701A KR 20150045701 A KR20150045701 A KR 20150045701A KR 20130125290 A KR20130125290 A KR 20130125290A KR 20130125290 A KR20130125290 A KR 20130125290A KR 20150045701 A KR20150045701 A KR 20150045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input device
conductive member
display
diffe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일
박한진
유준모
박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5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5701A/ko
Priority to EP20140170648 priority patent/EP2863296A1/en
Priority to US14/338,740 priority patent/US20150109240A1/en
Publication of KR20150045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transmitt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o be received by the digitiser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터치스크린에 접근 또는 접촉하여 정전용량을 서로 다르게 제공하는 복수의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에서 자신이 원하는 표시패턴이나 실행기능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 및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ND A INPUT DEVICE FOR A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 및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다른 정전용량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용 다기능 입력장치 및 다기능 입력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입력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이러한 입력 장치들 중 하나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터치 센서를 배치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터치스크린(20)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터치스크린(20)은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4), 디스플레이 패널에 배치되는 터치센서(22), 및 터치센서(22)에 입력된 값을 인식하는 터치 컨트롤러(26)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20)은 손가락을 이용하여 가해진 압력이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손가락으로 입력을 하면 지문 등의 이물질이 터치스크린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과 같은 형태의 입력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터치스크린용 입력펜(10)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입력펜(10)은 도전재질로 구성된 단일의 도전체(14), 도전체를 감싸는 지지체(12) 및 도전체 단부에 배치된 완충부(16)로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입력펜(10)은 컬러 변경, 굵기 변경, 지우개 전환을 위해서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펜의 기능을 일일이 선택하여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응력을 갖는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에 접근 또는 접촉하여 정전용량을 서로 다르게 제공하는 복수의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부재의 접촉 단부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도전성 부재는 각각 서로 다른 두께의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도전성 부재의 접촉 단부는 각각 서로 표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공하는 서로 다른 정전용량은 표시 패턴 컬러, 표시 패턴 굵기, 애플리케이션 도구, 표시 화면크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복수의 도전성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도전성 부재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부분 돌출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도전성 부재는, 하나의 봉상 도전성 부재와, 상기 봉상 도전성 부재를 중심으로 직진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상 도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에 접근 또는 접촉하여 정전용량을 제공하는 도전성 부재와, 상기 도전성 부재를 수용하는 배럴과, 상기 배럴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완충부와, 상기 배럴 내에 수용된 도전성 부재가 완충부에 대해 접근 또는 후퇴하도록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는 도전성 부재와 완충부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정정용량을 터치스크린에 제공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에 제공하는 서로 다른 정전용량은 표시 패턴 컬러, 표시 패턴 굵기, 애플리케이션 도구, 표시 화면크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나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배치되어,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근 또는 접촉하여 서로 다른 정전용량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서로 다른 정전용량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입력으로 인식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서로 다른 입력은 표시 패턴 컬러, 표시 패턴 굵기, 애플리케이션 도구, 표시 화면크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를 자체적으로 조작하여 펜의 굵기, 펜의 컬러, 펜의 용도를 편리하게 전환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터치스크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2는 종래의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종래의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의 펜 굵기, 펜 컬러, 용도 변경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도,
도 4 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도 5의 도전성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도 7의 도전성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및
도 11 및 12는 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면에 표현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튜너를 포함하는 영상수신부(미도시),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미도시), 저장부(미도시), 음성처리부(미도시) 등 다른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셋탑 박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영상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를 셋탑박스에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는 TV 또는 모니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터치스크린(120), 상기 터치스크린(120)에 접근 또는 접촉하여 서로 다른 정전용량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입력장치(110)와,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40)와, 상기 입력장치(110)에 의해 제공되는 서로 다른 정전용량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입력으로 인식하여 표시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2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24), 상기 표시패널(124)에 배치되어,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터치센서(122), 및 터치센서(122)에서 입력되는 정전용량을 인식하는 터치컨트롤러(126)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24)은 후술하는 영상처리부(140)에 의해 처리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표시패널(124)은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124)은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패널(124)은 액정 방식인 경우,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표시패널(124)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서(122)는 표시패널(124)상에 배치되는 정전용량식 센서로서, 손가락이나 도체가 접촉 또는 접근할 때 전압강하가 일어나는 좌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센서(122)의 구조는 별도로 표시하지 않았지만, 표시패널 상에 매트릭스로 배치된 투명전극과 정전용량 감지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126)는 후술하는 도체의 입력장치(110)에 의해 전하량 변화 위치 및 변화량을 인식하여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126)는 PLC(program logic controller), 마이컴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입력장치(110)는 도 5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도전성 부재(110a, 110b, 110c, 110d)를 배럴과 같은 수용부(116)에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는 간략한 표현을 위해 다수의 도전성 부재(110a, 110b, 110c, 110d)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수용부(116)로부터 부분 돌출시키는 가압부(미도시) 및 스프링(미도시)는 생략하였지만, 다색 펜과 같이 하나의 펜을 선택하여 밀어 내리는 구조와 유사한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수용부(116)는 플라스틱, 세라믹, 글라스와 같은 비도전성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도전성 부재(110a, 110b, 110c, 110d)는 터치스크린(120)에 접촉 또는 접근하여 정전용량, 즉 전하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다수의 도전성 부재(110a, 110b, 110c, 110d)는 각각 터치스크린(120)에 접근 또는 접촉하여 서로 다른 정전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다수의 도전성 부재(110a, 110b, 110c, 110d)는 각각 터치스크린에 접근 또는 접촉할 때 변화하는 전하량의 정도가 서로 다르다. 다수의 도전성 부재(110a, 110b, 110c, 110d)는 각각 단부에 완충부(112a, 112b, 112c, 112d)를 포함하고 있다. 완충부(112a, 112b, 112c, 112d)는 터치스크린(120)의 긁힘이나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탄성을 갖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완충부(112a, 112b, 112c, 112d)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 비도전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 및 6에서는 4개의 도전성 부재(110a, 110b, 110c, 110d)로 표시하여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더 많거나 적은 수로 제작할 수 있다.
다수의 도전성 부재(110a, 110b, 110c, 110d)가 터치스크린(120)에 접촉 또는 접근할 때 각각 서로 다른 정전용량, 즉 전하량의 변화를 주는 방법은 도 5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적용되는 완충부(112a, 112b, 112c, 112d)의 두께(t1, t2, t3, t4)를 서로 다르게 하여 달성할 수 있다. 즉, 완충부(112a, 112b, 112c, 112d)의 두께를 다르게 하면 터치스크린(120)으로부터 이격거리가 각각 달라져 변화하는 전하량도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완충부(112a, 112b, 112c, 112d)를 구성하는 물질은 플라스틱 등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 변화가 거의 없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하량(Q)과 정전용량(C)은 다음 식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Q=CV
C=εA/d
여기서 A는 단면적, d는 거리, ε은 유전율이다.
따라서, 단부의 단면적(A)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완충부(112a, 112b, 112c, 112d) 두께 차이에 의한 거리(d)가 달라져 정전용량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126)는 터치센서(122)에 의한 전하 변화량을 감지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영상처리부(140), 터치스크린(120) 및 도시되지 않은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터치 컨트롤러(126)가 감지한 정전용량 변화값에 따라 입력장치(110)의 입력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입력장치(110)가 제공하는 정전용량 변화에 따라 표시패턴의 컬러, 굵기, 입력장치의 용도, 예를 들면 펜, 지우개, 화면확대, 화면축소 등을 사전에 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감지되는 정전용량 변화량을 통해 현재 터치스크린(120)에 접촉 또는 접근하는 도전성 부재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도전성 부재에 할당된 패턴을 감지된 위치에 표시하거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입력에 대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어떤 반응을 할지는 펜 색깔과 지우개 기능으로 한정 짓지 않고,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펜의 굵기 전환, 펜 도구 변환(펜, 채우기, 지우개), 화면 확대와 축소, Undo, Redo 기능 등 역할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장치(110)의 다수의 도전성 부재(110a, 110b, 110c, 110d)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편리하게 자신이 원하는 컬러, 굵기, 기능 등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입력장치(110)를 통하여 들어오는 입력에 응답하여 특정 패턴이나 특정 기능을 식별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패턴의 표시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워드 프로세서, 게임, 웹, 그림 편집 프로그램 등 다양한 종류가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40)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어, 주어진 해상도에 맞게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스케일일, 다양한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및 인코딩(en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fresh rate) 변환,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인핸스먼트(detail enhancement),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개별 또는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10)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8에서 입력장치(210)는 제1실시예의 입력장치(11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도전성 부재(210a, 210b, 210c, 210d)를 배럴과 같은 수용부(216)에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7에는 간략하게 표현하기 위해 다수의 도전성 부재(210a, 210b, 210c, 210d)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수용부(216)로부터 부분 돌출시키는 가압부(미도시) 및 스프링(미도시)는 생략하였지만, 다색 펜과 같이 하나의 펜을 선택하여 밀어 내리는 구조와 유사한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수용부(216)는 플라스틱, 세라믹, 글라스와 같은 비도전성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도전성 부재(210a, 210b, 210c, 210d)는 터치스크린(120)에 접촉 또는 접근하여 정전용량, 즉 전하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다수의 도전성 부재(210a, 210b, 210c, 210d)는 각각 터치스크린(120)에 접근 또는 접촉하여 서로 다른 정전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다수의 도전성 부재(210a, 210b, 210c, 210d)는 각각 터치스크린(120)에 접근 또는 접촉할 때 변화하는 전하량의 정도가 서로 다르다. 다수의 도전성 부재(210a, 210b, 210c, 10d)는 각각 서로 다른 표면적의 단부(214a, 214b, 214c, 214d)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단부(214a, 214b, 214c, 214d)에는 동일한 두께의 완충부(212a, 212b, 212c, 212d)가 터치스크린(120)의 긁힘이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완충부(212a, 212b, 212c, 212d)를 구성하는 물질은 플라스틱 등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 변화가 거의 없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8에서는 4개의 도전성 부재(210a, 210b, 210c, 210d)로 표시하여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더 많거나 적은 수로 제작할 수 있다.
다수의 도전성 부재(210a, 210b, 210c, 210d)가 터치스크린(120)에 접촉 또는 접근할 때 각각 서로 다른 정전용량, 즉 전하량의 변화를 주는 방법은 도 7 및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214a, 214b, 214c, 214d)의 표면적을 서로 다르게 하여 달성할 수 있다. 즉, 단부(214a, 214b, 214c, 214d)의 표면적을 다르게 하면 터치스크린(120)에 접촉 또는 접근하는 면적이 달라져 변화하는 전하량도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전하량(Q)과 정전용량(C)은 다음 식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Q=CV
C=εA/d
여기서 A는 단면적, d는 거리, ε은 유전율이다.
따라서, 단부와 완충부의 거리(d)가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단면적(A) 차이에 의한 거리(d)가 달라져 정전용량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도 9 및 10은 제3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310)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장치(310)는 중앙에 봉상의 제1도전성 부재(310a), 상기 봉상의 제1도전성 부재(310a)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통형 제2도전성부재(310b), 및 상기 통형의 제2도전성 부재(310b)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통형 제3도전성부재(310c)와, 상기 제1 내지 3도전성 부재들(310a, 310b, 310c)를 수용하여 배치하는 배럴과 같은 수용부(31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3도전성 부재들(310a, 310b, 310c) 각각은 단부에 완충부(312a, 312b, 31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완충부(312a, 312b, 312c)를 구성하는 물질은 플라스틱 등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 변화가 거의 없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내지 3도전성 부재들(310a, 310b, 310c는 나사 결합부(315a와 315b, 315c와 315d)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상대적으로 전진 및 후퇴할 수 있다. 즉, 도 9에서 입력장치(310)는 중앙의 제1도전성부재(310a)만이 돌출된 상태에서 제1도전성부재(310a)의 단부만이 터치스크린(120)에 접촉 또는 접근하여 제1도전성부재(310a)의 단부의 표면적에 비례하여 정전용량이 정해질 것이다.
도 9에서 중앙의 제1도전성부재(310a)를 나사 진행의 반대방향으로 후퇴시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전성부재(210a)와 제2도전성부재(310b)가 일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터치스크린(120)에 접촉 또는 접근하는 도전성부재(310a, 310b)의 단부 단면적은 확대되어 도 9에서의 정전용량과 다른 정전용량 변화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0에서 제2도전성부재(310b)를 나사 진행의 반대방향으로 후퇴시키면, 제1전성부재(210a), 제2도전성부재(310b) 및 제3도전성부재(310c)가 일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터치스크린(120)에 접촉 또는 접근하는 도전성부재(310a, 310b, 310c)의 단부 단면적은 더 확대되어 도 9 및 10에서의 정전용량과 다른 정전용량 변화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Q=CV
C=εA/d
여기서 A는 단면적, d는 거리, ε은 유전율이다.
따라서, 단부와 완충부의 거리(d)가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단면적(A) 차이에 의한 거리(d)가 달라져 정전용량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도 9 및 10에 나타낸 제3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실시예에 비해 작은 부피를 가지므로 상대적으로 심플한 구조로 입력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410)는 단일의 봉상 도전성부재(410a) 및 상기 봉상 도전성부재(410a)를 둘러싸도록 통상의 수용부(41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입력장치(410)의 단부에는 완충부(412)가 터치스크린(120)의 긁힘이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완충부(412)를 구성하는 물질은 플라스틱 등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 변화가 거의 없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416)와 봉상 도전성부재(410a)는 나사 결합부(415a, 415b)에 의해 결합되어, 봉상 도전성부재(410a)는 수용부(416)에 대해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다.
도 11에서, 봉상 도전성부재(410a)을 나사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후퇴시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상 도전성부재(410a)의 단부와 완충부(412) 사이에 공간(413)이 형성되어 거리를 단계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Q=CV
C=εA/d
여기서 A는 단면적, d는 거리, ε은 유전율이다.
따라서, 단부의 단면적(A)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완충부(412)에서 단부 사이의 거리(d)가 달라져 정전용량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도 9 내지 12에 나타낸 제3 및 제4실시예에서 도전성 부재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정해지는 단면적(A) 또는 거리(d)를 선택하도록 시각적으로 표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1 및 12에 나타낸 제4실시예에 의하면 단일의 도전성부재(410a)만을 사용함으로써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비해 작은 부피로 상대적으로 심플한 구조로 입력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장치
110: 입력장치
120: 터치스크린
130: 제어부
140: 영상처리부

Claims (12)

  1.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 접근 또는 접촉하여 정전용량을 서로 다르게 제공하는 복수의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의 접촉 단부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부재는 각각 서로 다른 두께의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부재의 접촉 단부는 각각 서로 표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서로 다른 정전용량은 표시 패턴 컬러, 표시 패턴 굵기, 애플리케이션 도구, 표시 화면크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
  6. 제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도전성 부재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부분 돌출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부재는,
    하나의 봉상 도전성 부재와,
    상기 봉상 도전성 부재를 중심으로 직진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상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
  8.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 접근 또는 접촉하여 정전용량을 제공하는 도전성 부재와;
    상기 도전성 부재를 수용하는 배럴과;
    상기 배럴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완충부와;
    상기 배럴 내에 수용된 도전성 부재가 완충부에 대해 접근 또는 후퇴하도록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와 완충부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정정용량을 터치스크린에 제공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에 제공하는 서로 다른 정전용량은 표시 패턴 컬러, 표시 패턴 굵기, 애플리케이션 도구, 표시 화면크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나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
  1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배치되어,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근 또는 접촉하여 서로 다른 정전용량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서로 다른 정전용량에 대응하 서로 다른 입력으로 인식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입력은 표시 패턴 컬러, 표시 패턴 굵기, 애플리케이션 도구, 표시 화면크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130125290A 2013-10-21 2013-10-21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 및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150045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290A KR20150045701A (ko) 2013-10-21 2013-10-21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 및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EP20140170648 EP2863296A1 (en) 2013-10-21 2014-05-30 Input device for touch screen and display apparatus with touch screen
US14/338,740 US20150109240A1 (en) 2013-10-21 2014-07-23 Input device for a touch screen and display apparatus with a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290A KR20150045701A (ko) 2013-10-21 2013-10-21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 및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701A true KR20150045701A (ko) 2015-04-29

Family

ID=5084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5290A KR20150045701A (ko) 2013-10-21 2013-10-21 터치스크린용 입력장치 및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109240A1 (ko)
EP (1) EP2863296A1 (ko)
KR (1) KR201500457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8004B2 (ja) 2018-03-26 2022-08-30 日東電工株式会社 発泡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1780B2 (en) * 2005-08-11 2015-01-13 N-Trig Ltd. Apparatus for object information detection and methods of using same
US7785027B1 (en) * 2007-06-15 2010-08-31 Marvell International Ltd. Electronic pens with dynamic features
US9122322B2 (en) * 2011-03-17 2015-09-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racting tips for a digitizer styl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09240A1 (en) 2015-04-23
EP2863296A1 (en)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93933A1 (en) Touch detection device, display device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766950B1 (en) Modulated power supply for reduced parasitic capacitance
US8878802B2 (en) Display unit,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system
KR102240828B1 (ko) 터치 패널 및 이의 구동 장치
US9619086B2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4560031B2 (ja) タッチパネル式液晶表示器
TWI499948B (zh) 觸控感應裝置及驅動該觸控感應裝置的方法
US9778797B2 (en) Touch screen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touch sensitivity
US947118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Kanda et al. 55.2: Integrated Active Matrix Capacitive Sensors for Touch Panel LTPS‐TFT LCDs
CN107656651B (zh)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JP5894957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9164637B2 (en) Touch sensing device
US9292126B2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device
US9626048B2 (en) Touch screen and related touch sensing control circuit
KR20090060751A (ko)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389743B2 (en) Inform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input method, information input/output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program
US9761192B2 (en)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for improving uniformity of displayed image
US9268440B2 (en) Hybrid touch panel, hybrid touch screen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hybrid touch panel
Kim et al. 60.2: Invited Paper: Advanced In‐cell Touch Technology for Large Sized Liquid Crystal Displays
KR20170015809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US2010028976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KR20120054451A (ko) 터치 스크린과 그 구동방법, 및 그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한 표시장치
KR102071204B1 (ko) 터치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14034033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