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2491A - 해수 거품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수 거품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32491A KR20150032491A KR1020140123417A KR20140123417A KR20150032491A KR 20150032491 A KR20150032491 A KR 20150032491A KR 1020140123417 A KR1020140123417 A KR 1020140123417A KR 20140123417 A KR20140123417 A KR 20140123417A KR 20150032491 A KR20150032491 A KR 201500324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water
- foam
- effluent
- aeration
- aspira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01D53/501—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16—Evaporating by spray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10—Inorganic absorbents
- B01D2252/103—Water
- B01D2252/1035—Sea wa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83—Flue ga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08—Subsequent treatment of concentrated product
- B03D1/082—Subsequent treatment of concentrated product of the froth product, e.g. wash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18—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urification of gaseous effluents
Abstract
해수 폭기조와 연관된 연도 가스 탈황 시스템 내의 유출물 해수의 폭기 동안 유출물 해수의 표면 상에 생성된 중금속이 가득한 거품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수 기반 연도 가스 탈황 시스템의 해수 폭기조로부터 유출물 해수의 처리 동안 생성된 중금속을 포함하는 거품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해수 기반 연도 가스 탈황 시스템의 해수 폭기조로부터 유출물 해수의 처리 동안 생성된 중금속을 포함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황(SO2)을 포함하는 처리 가스는 많은 산업 프로세스들에서 생성된다. 하나의 이러한 산업 프로세스는 발전소와 같은 연소 공장에서 석탄, 오일, 토탄, 폐기물 등과 같은 연료의 연소이다. 이러한 발전소에서, 연도 가스로 종종 지칭되는 고온의 처리 가스가 생성된다. 생성된 연도 가스는 예를 들어, 이산화황(SO2)과 같은 산성 가스와 같은 오염물을 함유한다. 연도 가스가 대기로 방출될 수 있기 전에 연도 가스로부터 가능한 한 많은 생성된 산성 가스를 제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오염물을 함유한 처리 가스를 재생하는 산업 프로세스의 다른 예는 알루미나로부터의 알루미늄의 전해 생산이다. 그 프로세스에서, 이산화황(SO2)을 함유한 처리 가스 또는 연도 가스는 전해 셀들의 환기 후드들 내에서 생성된다.
WO 2008/105212호는 보일러, 스팀 터빈 시스템, 및 연도 가스 탈황을 위한 해수 스크러버를 포함하는 보일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보일러는 전력을 생성하도록 연료의 연소에 의해, 스팀 터빈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고압 스팀을 생성한다. 해수는 바다로부터 수집되고, 스팀 터빈 시스템의 응축기 내의 냉각 매체로서 이용된다. 이어서 해수는 보일러 내에서 생성된 연도 가스로부터 이산화황(SO2)을 흡수하는데 유용한 해수 기반 연도 가스 탈황 스크러버에서 이용된다. 이산화황(SO2)은 해수 기반 연도 가스 탈황 스크러버에 접촉된 해수 내에 흡수되고 아황산염 및/또는 중아황산염 이온들을 형성한다. 해수 기반 연도 가스 탈황 스크러버로부터의 유출물 해수는 처리를 위한 해수 폭기조로 전송된다. 해수 폭기조에서, 공기는 이온들을 황산으로 처리하도록 폭기조 내의 아황산염 및/또는 중아황산염의 산화를 위해 해수 기반 연도 가스 탈황 스크러버로부터 전송된 유출물 해수를 통해 거품을 일으킨다. 폭기조 내의 아황산염 및/또는 중아황산염 이온들은 거품이 생긴 공기 내에 함유된 산소 가스에 의해 이온들을 황산으로 처리하도록 산화된다. 따라서 처리된 유출물 해수 내의 결과로 초래된 비활성 황산염 이온들은 바다로 다시 방출될 수 있다.
해수 폭기조 내의 유출물 해수 처리의 하나의 문제점은 유출물 해수 표면 상의 거품의 생성이다. 요즘에는, 이러한 유출물 해수의 표면 상에 생성된 거품이 일반적으로 바다로 다시 방출된다. 그러나, 이 생성된 거품은 바다로 다시 방출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중금속의 비교적 높은 농도를 갖고 있다. 유출물 해수 폭기조들 내의 해수 거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은 바다 내로 다시 중금속의 방출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물의 목적은 이산화황을 함유한 연도 가스와 해수를 접촉하여 연도 가스로부터 이산화황의 제거에서 생성되고, 해수 폭기조에서 처리되는, 유출물 해수의 표면 상의 해수 거품 생성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언급된 목적은 해수 폭기조 폭기 팬을 사용하여 성취된다. 폭기 팬의 고압측, 즉, 송풍기측은 해수 폭기조에서 유출물 해수에 공기를 쏘이도록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저압측, 즉, 폭기 팬의 흡입 측에 배관을 추가하는 것은 거품 저장, 처리 및 환경 보전 처리를 위한 해수 폭기조 내의 처리를 받는 유출물 해수의 표면으로부터 생성된 거품을 빨아내도록 폭기 팬을 작동하게 한다.
이 시스템의 이점은 시스템이 최소 추가된 가동 중인 및/또는 그것과 연관된 자본 비용을 가진 언급된 목적을 성취한다는 것이다. 폭기 팬의 저압 에너지의 일부를 사용하는 것은 최소의 고압 송풍기 효율 손실을 야기한다. 유사하게, 대부분의 적용들에서, 거품 제어는 비연속적인 모드에서 시스템 작동으로 성취된다. 비연속적인 모드에서 시스템을 작동하는 것은 유사하게 그에 기여된 임의의 폭기 팬 효율 손실을 감소시키고, 다시 연관된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개시물의 다른 목적은 이산화황을 함유하는 연도 가스를 해수와 접촉시켜 연도 가스로부터 이산화황의 제거에서 발생되고, 해수 폭기조에서 처리되는, 유출물 해수의 표면 상의 해수 거품 생성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언급된 목적은 유출물 해수의 해수 폭기조의 폭기 팬을 사용하여 성취된다. 폭기 팬의 고압측, 즉, 송풍기측은 해수 폭기조에서 유출물 해수에 공기를 쏘이거나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저압측, 즉, 폭기 팬의 흡입 측에 배관을 추가하는 것은 저장, 처리 및 환경 보전 처리를 위한 유출물 해수의 표면으로부터 생성된 거품을 빨아내도록 폭기 팬을 작동하게 한다.
이 방법의 이점은 방법이 최소 추가된 가동 중인 및/또는 그것과 연관된 자본 비용을 가진 언급된 목적을 성취한다는 것이다. 폭기 팬의 저압 에너지의 일부를 사용하는 것은 최소의 고압 송풍기 효율 손실을 야기한다. 유사하게, 대부분의 적용들에서, 거품 제어는 비연속적인 모드에서 대상 방법에 따라 작동하여 성취된다. 비연속적인 모드에서 작동하는 것은 유사하게 그에 기여된 임의의 폭기 팬 효율 손실을 감소시키고, 다시 연관된 비용을 감소시킨다.
요약하면, 대상 개시물은 해수 폭기조와 연관된 연도 가스 탈황 시스템 내의 유출물 해수의 폭기 동안 유출물 해수의 표면 상에 생성된 중금속을 포함하는 거품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대상 거품 제어 시스템은 산소 함유 가스를 유출물 해수의 폭기를 위한 해수 폭기조 내의 유출물 해수로 송풍시키기 위해 작동되고 해수 폭기조 내의 유출물 해수의 표면으로부터 거품을 흡입하기 위해 작동되는 폭기 팬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해수 폭기조를 포함한다. 폭기 팬을 사용한 유출물 해수의 표면으로부터의 거품의 흡입은 연속적인, 예정된 주기적인, 검출기 개시된 "필요에 따라" 주기적인 또는 다른 비연속적인 기반에서 실시될 수 있다. 거품 수집 탱크는 유출물 해수의 표면으로부터 흡입된 수은과 같은 중금속을 포함하는 거품의 수집, 저장 및 선택적으로 처리를 위해 사용된다. 흡입된 거품이 수은과 같은 중금속을 포함하기 때문에, 거품 수집 탱크 내의 흡입된 거품의 처리는 거품 수집 탱크로부터의 중금속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해, 흡입된 거품은 흡입된 거품의 처리 전 및/또는 후에 거품 수집 탱크에서 당분간 저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흡입된 거품은 발전소 또는 발전소 외에서 다른 곳으로의 처리를 위해 흡입된 거품의 수송 전에 거품 수집 탱크 내에서 당분간 수집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중금속을 포함하는 거품을 제어하기 위한 대상 방법은 산소 함유 가스를 해수 폭기조 내의 유출물 해수의 폭기를 위해 유출물 해수로 송풍시키기 위해 작동되고 해수 폭기조 내의 유출물 해수의 표면으로부터 수은과 같은 중금속을 포함하는 거품을 흡입하기 위해 작동되는 폭기 팬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해수 폭기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폭기 팬을 사용한 유출물 해수의 표면으로부터의 거품의 흡입은 연속적인, 예정된 주기적인, 검출기 개시된 "필요에 따라" 주기적인 또는 다른 비연속적인 기반에서 실시될 수 있다. 거품 수집 탱크는 유출물 해수의 표면으로부터 흡입된 수은과 같은 중금속을 포함하는 흡입된 거품의 수집, 저장 및 선택적으로 처리를 위해 사용된다. 흡입된 거품은 수은과 같은 중금속을 포함하기 때문에, 거품 수집 탱크 내의 흡입된 거품의 처리는 흡입된 거품으로부터 중금속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해, 흡입된 거품은 흡입된 거품의 처리 전 및/또는 후에 거품 수집 탱크에서 당분간 저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흡입된 거품은 발전소 또는 발전소 외에서 다른 곳으로의 처리를 위해 흡입된 거품의 수송 전에 거품 수집 탱크 내에서 당분간 수집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추가의 목적들 및 특징들은 다음의 설명과 청구항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이제 아래에 설명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물에 따른 장치를 구비한 발전소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확장된 해수 기반 연도 가스 탈황 시스템의 해수 폭기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확장된 해수 기반 연도 가스 탈황 시스템의 해수 폭기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은 발전소(10)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발전소(10)는 석탄, 오일 등과 같은 연료(F)가 그 내부의 연소를 위해 보일러(12)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공급 파이프(16)를 통해 연료원(14)으로부터 공급되는 보일러(12)를 포함한다. 연료(F)는 산소원(18)으로부터 유체적으로 연결된 산소 공급 덕트(20)를 통해 보일러(12)에 공급된 산소(O)의 존재시 보일러(12)에서 연소된다. 보일러(12)에 공급된 산소(O)는 예를 들어, 공기의 형태로 및/또는 산소 가스의 혼합물 및 재순환된 발전소(10)의 연도 가스(FG)의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보일러(12)는 흔히 "옥시-연료" 보일러라고 지칭되는 것일 것이다. 연료(F)의 연소는 연도 가스(FG)의 형태인 고온의 처리 가스를 생성한다. 연료(F) 내에 함유된 황 종류는 연료(F)의 연소시에 이산화황(SO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발전소(10)의 연도 가스(FG)는 연도 가스의 일부로서 이산화황을 포함한다.
생성된 연도 가스(FG)는 보일러(12)로부터 유체적으로 연결된 덕트(22)를 통해 직물 필터 또는 정전기 집진기의 형태인 미립자 수집 장치(24)로 유동한다. US 4,502,872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정전기 집진기와 같은 미립자 수집 장치(24)는 연도 가스(FG) 내에 유입된 먼지 및/또는 재 입자들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대안적으로, US 4,336,035호에 설명된 것과 같은 직물 필터는 연도 가스(FG)로부터 연도 가스 먼지 및/또는 재의 미립자 수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미립자 수집 장치(24)는 해수 기반 연도 가스 탈황 시스템(28)의 하류에 배열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미립자 수집 장치(24)는 해수 기반 연도 가스 탈황 시스템(28)에서만 발생하는 미립자 제거를 하는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대부분의 재 및/또는 먼지 입자들이 제거되었던 연도 가스(FG)는 미립자 수집 장치(24)로부터 유체적으로 연결된 덕트(26)를 통해 해수 기반 연도 가스 탈황 시스템(28)으로 유동한다. 해수 기반 연도 가스 탈황 시스템(28)은 습식 스크러버 타워 또는 흡수기(30)를 포함한다. 입구(32)는 흡수기(30)의 하부(34)에 배열된다. 덕트(26)는 입구(32)에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미립자 수집 장치(24)로부터 덕트(26)를 통해 유동하는 연도 가스(FG)가 입구(32)를 통해 흡수기(30)의 내부(36)에 들어갈 수 있다.
내부(36)에 들어간 후에, 연도 가스(FG)는 화살표 FG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기(30)를 통해 수직 상향으로 유동한다. 흡수기(30)의 중앙부(38)는 서로 위에 하나가 수직으로 배열된 복수의 스프레이 배열부들(40)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간단함의 목적들을 위해, 3개의 이러한 스프레이 배열부들(40)이 있다. 일반적으로, 흡수기(30) 내에 1 내지 20개의 이러한 스프레이 배열부들(40)이 있다. 각각의 스프레이 배열부(40)는 공급 파이프(42) 및 각각의 공급 파이프(42)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노즐들(44)을 포함한다. 각각의 공급 파이프들(42)을 통해 노즐들(44)로 공급되는 해수(SW)는 유동하는 연도 가스(FG)와 흡수기(30)의 내부(36)에서 접촉하는 노즐들(44)에 의해 분무된다. 이와 같이, 해수(SW)와 연도 가스(FG) 사이의 접촉은 흡수기(30)의 내부(36) 내의 연도 가스(FG)로부터 이산화황(SO2)의 해수(SW) 흡수를 가능하게 한다.
펌프(46)는 해수 공급 또는 바다(50)로부터 유체적으로 연결된 흡입 파이프(48)를 통해 해수(SW)를 펌핑하기 위해 그리고 해수(SW)를 유체적으로 연결된 압력 파이프(52)를 통해 유체적으로 연결된 공급 파이프들(42)로 전송하기 위해 배열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펌프(46)에 의해 공급 파이프들(42)로 공급되는 해수(SW)는 흡수기(30)로의 이러한 해수(SW)의 공급 전에 보일러(12)와 연관된 (도시되지 않은) 스팀 터빈 시스템들 내의 냉각수로서 사전에 이용된 해수(SW)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해수 기반 연도 가스 탈황 시스템(28)은 흡수기(30)의 내부(36)에 배열된 포장 재료(58)의 하나 이상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플라스틱, 강, 나무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포장 재료(58)는 가스-액체 접촉부를 강화한다. 포장 재료(58)에 의해, 노즐들(44)은 해수(SW)를 분무하는 것보다는 포장 재료(58)에 걸쳐 해수(SW)를 단지 분포시킬 것이다. 포장 재료(58)의 예들은 Sulzer Chemtech AG, Winterthur, CH로부터 시판된 Mellapak™, 및 Raschig GmbH, Ludwigshafen, DE로부터 시판된 Pall™ 링들을 포함한다.
흡수기(30)의 내부(36) 내의 노즐들(44)에 의해 분무된 해수(SW)는 흡수기(30)에서 하향으로 유동하고 흡수기(30)의 내부(36)에서 수직 상향으로 유동하는 연도 가스(FG)로부터 이산화황을 흡수한다. 내부(36)의 해수(SW)에 의한 이산화황의 흡수는 흡수기(30)의 하부에서 수집된 유출물 해수(ES)를 형성한다. 흡수기(30)의 하부(34)에 수집된 유출물 해수(ES)는 유체적으로 연결된 유출물 파이프(54)를 통해 해수 폭기조(56)로 전송된다.
선택적으로 필요하다면, 신선한 해수(SW)는 유출물 파이프(54)를 통해 해수 폭기조(56)로 유동하는 유출물 해수(ES)에 추가될 수 있다. 이것을 위하여, 선택적인 파이프(60)는 해수 폭기조(56)로 유출물 해수(ES)를 전송하는 유체적으로 연결된 유출물 파이프(54)로 신선한 해수(SW)의 유동을 전송하기 위해 압력 파이프(52)에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신선한 해수(SW)와 유출물 해수(ES)의 혼합은 유출물 파이프(54)에서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대안(도시되지 않음)으로서, 파이프(60)를 통해 전송된 신선한 해수(SW)는 내부에서 유출물 해수(ES)와 혼합한 해수 폭기조(56)로 직접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선택(도시되지 않음)으로서, 보일러(22) 또는 보일러와 연관된 스팀 터빈 시스템들(도시되지 않음)에서 생성된 잔류수 및/또는 응축물은 해수 폭기조(56)에서 유출물 해수(ES)와 혼합될 수 있다.
흡수기(30)의 내부(36) 내의 이산화황의 흡수는 다음의 반응에 따라 발생하도록 추정된다:
중아황산염 이온들(HSO3 -)은 유출물 해수(ES)의 pH 값에 따라 다음의 평형 반응에 따라 아황산염 이온들(SO3 2 -)을 형성하도록 추가로 해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산화황의 흡수의 효과로서, 유출물 해수(ES)는 바다(50)로부터의 신선한 해수(SW)의 것보다 이산화황의 흡수에서 생성된 수소 이온(H+)의 효과로서 낮은 pH 값을 가질 것이고, 중아황산염 및/또는 아황산염 이온들(HSO3 - 및 SO3 2 -)을 각각 함유할 것이다. 중아황산염 및/또는 아황산염 이온들은 산소 소비 물질들이고, 바다(50)로의 그것들의 방출은 제한된다.
해수 폭기조(56)에서, 중아황산염 및/또는 아황산염 이온들(HSO3 - 및 SO3 2 -)은 다음의 반응에 따라 이온들을 산소(A)와 반응시켜 산화된다:
해수 폭기조(56)는 유체적으로 연결된 배관(64)을 통해 공기와 같은 산소 함유 가스를 유출물 해수(ES) 내로 송풍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폭기 팬(62)을 포함한다. 폭기 팬(62) 및 배관(64)은 함께 해수 폭기조(56) 내의 유출물 해수(ES)에 산소(A)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 공급 시스템(66)을 형성한다. 해수 폭기조(56)의 더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 제공된다.
도 2는 해수 폭기조(56)를 더 상세하게 도시한다. 유출물 해수(ES)는 해수 폭기조(56)의 입구 단부인 제 1 단부(90)에서 유체적으로 연결된 유출물 파이프(54)를 통해 해수 처리 시스템(80)의 해수 폭기조(56) 부분에 공급된다. 유출물 해수(ES)는 제 1 단부(90)로부터 해수 폭기조(56)의 출구 단부인 제 2 단부(92)로 화살표 S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유동한다. 유출물 해수(ES)가 제 1 단부(90)로부터 제 2 단부(92)로 유동하기 때문에 거품(HM)은 제 2 단부(92) 근처의 유출물 해수(ES)의 표면(82) 상에 생성된다. 거품(HM)은 수은 등과 같은 중금속의 비교적 높은 농도를 갖는다. 제 2 단부(92)에서, 처리된 유출물 해수(TS)는 유체적으로 연결된 오버플로 파이프(68)를 통해 해수 폭기조(56)로부터 넘쳐 흐른다.
폭기 시스템(80)은 폭기 팬(62)과 배관(64)을 구비한 산소 공급 시스템(66)을 추가로 포함한다. 배관(64)은 해수 폭기조(56)의 내부(84) 내에 복수의 출구들(94)을 포함한다. 폭기 팬(62)은 해수 폭기조(56) 내의 유출물 해수(ES) 표면(82) 아래의 출구들(94)로부터의 방출을 위해 배관(64)을 통해 산소(A)를 송풍시킨다. 배관(64)은 제 1 단부(90)와 제 2 단부(92) 사이에서 해수 폭기조(56)를 따라 연장한다. 폭기 팬(62)의 고압측(86)에 의해 송풍되고 출구들(94)로부터 방출된 산소(A)는 해수 폭기조(56)에서 유출물 해수(ES)와 혼합된다. 산소(A)는 오버플로 파이프(68)를 통해 바다(50)로의 처리된 해수(TS)의 환경적 방출 전에 처리된 해수(TS) 내의 불활성 황산염을 형성하기 위해 내부에 존재하는 중아황산염 및/또는 아황산염 이온들을 산화하도록 유출물 해수(ES)와 혼합되고 유출물 해수(ES) 내에서 확산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유출물 해수(ES)는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화살표 S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단부(90)로부터 해수 폭기조(56)의 출구 단부인 제 2 단부(92)로 유동한다. 유출물 해수(ES)가 제 1 단부(90)로부터 제 2 단부(92)로 유동하기 때문에 거품(HM)은 유출물 해수(ES)의 표면(82) 상의 난류 및 폭기에 의해 생성된다. 제 1 단부(90)로부터 제 2 단부(92)로 유동하는 유출물 해수(ES)의 결과로서 거품(HM)은 제 2 단부(92) 근처에서 형성되거나 수집된다. 거품(HM)은 수은 등과 같은 중금속의 비교적 높은 농도를 갖는다.
거품(HM)이 해수 폭기조(56)로부터 오버플로 파이프(68)를 통해 바다(50)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저압측(88), 즉, 흡입측은 흡입 덕트(96)를 통해 거품 수집 탱크(98)로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거품 덕트(100)가 거품 수집 탱크(98)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거품 덕트(100)는 출구(102)를 통해 거품 수집 탱크(98)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거품 덕트(100)의 맞은편의 출구(102)는 자유 개방 단부(104)이다. 거품 덕트(100)의 자유 개방 단부(104)는 흡입을 통해 폭기 팬(62)으로부터 표면(82)으로부터의 거품(HM)을 제거하도록 작동된다. 표면(82)으로부터 제거된 거품(HM)은 처분 처리 전에 저장 및 처리를 위해 거품 수집 탱크(98)에 수집된다. 폭기 팬(62)을 사용하는 거품(HM)의 수집은 연속적인, 예정된 주기적인, 검출기 개시된 "필요에 따라" 주기적인 또는 다른 비연속적인 기반에서 실시될 수 있다.
선택으로서, 거품 수집 탱크(98)에 수집된 거품(HM)은 처리된 거품(TF)의 방출 전에 거품 중금속의 비교적 높은 농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처리된 거품(TF)은 거품 수집 탱크(98)로부터 바다(50)로의 처리된 거품(TF)의 복귀를 위한 오버플로 파이프(68)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유체적으로 연결된 처리된 거품 파이프(106)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거품 수집 탱크(98) 내에 수집된 거품(HM)은 발전소(10) 또는 발전소 외에서 다른 곳으로의 처리된 거품(TF)의 사용 또는 처리된 거품(TF)의 방출 전에 거품 중금속의 비교적 높은 농도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위해 추가의 발전소(10) 장비(도시되지 않음)로 운송될 수 있다.
요약하면, 대상 개시물은 해수 폭기조와 연관된 연도 가스 탈황 시스템 내의 유출물 해수의 폭기 동안 유출물 해수의 표면 상에 생성된 중금속을 포함하는 거품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대상 거품 제어 시스템은 산소 함유 가스를 유출물 해수의 폭기를 위한 해수 폭기조 내의 유출물 해수로 송풍시키기 위해 작동되고 해수 폭기조 내의 유출물 해수의 표면으로부터 거품을 흡입하기 위해 작동되는 폭기 팬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해수 폭기조를 포함한다. 폭기 팬을 사용하는 유출물 해수의 표면으로부터의 거품의 흡입은 연속적인, 예정된 주기적인, 검출기 개시된 "필요에 따라" 주기적인 또는 다른 비연속적인 기반에서 실시될 수 있다. 거품 수집 탱크는 유출물 해수의 표면으로부터 흡입된, 수은과 같은 중금속을 포함하는 거품의 수집, 저장 및 선택적으로 처리를 위해 사용된다. 흡입된 거품이 수은과 같은 중금속을 포함하기 때문에, 거품 수집 탱크 내의 흡입된 거품의 처리는 흡입된 거품으로부터 중금속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해, 흡입된 거품은 흡입된 거품의 처리 전 및/또는 후에 거품 수집 탱크 내에 당분간 저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흡입된 거품은 발전소 또는 발전소 외에서 다른 곳으로의 처리를 위해 흡입된 거품의 수송 전에 거품 수집 탱크 내에서 당분간 수집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중금속을 포함하는 거품을 제어하기 위한 대상 방법은 산소 함유 가스를 해수 폭기조 내의 유출물 해수의 폭기를 위해 유출물 해수로 송풍시키기 위해 작동되고 해수 폭기조 내의 유출물 해수의 표면으로부터 수은과 같은 중금속을 포함하는 거품을 흡입하기 위해 작동되는 폭기 팬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해수 폭기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폭기 팬을 사용한 유출물 해수의 표면으로부터의 거품의 흡입은 연속적인, 예정된 주기적인, 검출기 개시된 "필요에 따라" 주기적인 또는 다른 비연속적인 기반에서 실시될 수 있다. 거품 수집 탱크는 유출물 해수의 표면으로부터 흡입되는 수은과 같은 중금속을 포함하는 흡입된 거품의 수집, 저장 및 선택적으로 처리를 위해 사용된다. 흡입된 거품은 수은과 같은 중금속을 포함하기 때문에, 거품 수집 탱크 내의 흡입된 거품의 처리는 흡입된 거품으로부터 중금속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해, 흡입된 거품은 흡입된 거품의 처리 전 및/또는 후에 거품 수집 탱크에서 당분간 저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흡입된 거품은 발전소 또는 발전소 외에서 다른 곳으로의 처리를 위해 흡입된 거품의 수송 전에 거품 수집 탱크 내에서 당분간 수집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복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면서,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경들이 행해질 수 있고 등가물들이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본 발명의 원소들에 대해 치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많은 수정들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본 발명의 교시에 대한 특정한 상황 또는 재료로 조정되도록 행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이 발명을 실행하기 위해 고려되는 최고의 모드로서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이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할 것이라고 의도된다. 게다가, 용어 제 1, 제 2 등의 사용은 어떤 순서라던가 중요성을 나타내지 않지만 용어 제 1, 제 2 등은 다른 것으로부터 하나의 원소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술된 실시예들의 많은 수정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주 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5)
- 거품 제어 시스템으로서,
산소 함유 가스를 해수 폭기조(56) 내의 유출물 해수로 송풍시키기 위해 작동되고 상기 해수 폭기조(56) 내의 유출물 해수의 표면(82)으로부터 거품을 흡입하기 위해 작동되는 폭기 팬(62)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상기 해수 폭기조(56)를 포함하는, 거품 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물 해수의 상기 표면(82)으로부터 흡입된 거품의 수집을 위한 거품 수집 탱크(98)를 추가로 포함하는 거품 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된 거품은 중금속을 포함하는 거품 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된 거품은 수은을 포함하는 거품 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된 거품은 중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된 거품은 상기 흡입된 거품으로부터 중금속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거품 수집 탱크(98) 내에서 처리되는 거품 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된 거품은 중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된 거품은 처리 전에 저장을 위해 거품 수집 탱크(98) 내에 수집되는 거품 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된 거품은 중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된 거품은 다른 곳에서의 처리를 위한 수송 전에 거품 수집 탱크(98) 내에 수집되는 거품 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 팬(62)을 사용한 거품의 흡입은 연속적인, 예정된 주기적인, 검출기 개시된 "필요에 따라" 주기적인 또는 다른 비연속적인 기반에서 실시되는 거품 제어 시스템.
- 거품 제어 방법으로서,
산소 함유 가스를 해수 폭기조(56) 내의 유출물 해수로 송풍시키기 위해 작동되고 상기 해수 폭기조(56) 내의 유출물 해수의 표면(82)으로부터 거품을 흡입하기 위해 작동되는 폭기 팬(62)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상기 해수 폭기조(56)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품 제어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물 해수의 상기 표면(82)으로부터 흡입된 거품의 수집을 위한 거품 수집 탱크(98)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거품 제어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된 거품은 중금속을 포함하는 거품 제어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된 거품은 수은을 포함하는 거품 제어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된 거품은 중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된 거품은 상기 흡입된 거품으로부터 중금속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처리되는 거품 제어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된 거품은 중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된 거품은 내부의 처리 또는 다른 곳에서의 처리를 위한 수송 전의 저장을 위해 거품 수집 탱크(98) 내에 수집되는 거품 제어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 팬(62)을 사용한 거품의 흡입은 연속적인, 예정된 주기적인, 검출기 개시된 "필요에 따라" 주기적인 또는 다른 비연속적인 기반에서 실시되는 거품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030,239 | 2013-09-18 | ||
US14/030,239 US20150076079A1 (en) | 2013-09-18 | 2013-09-18 | Method and system for seawter foam contro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2491A true KR20150032491A (ko) | 2015-03-26 |
Family
ID=51492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3417A KR20150032491A (ko) | 2013-09-18 | 2014-09-17 | 해수 거품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076079A1 (ko) |
EP (1) | EP2851344B1 (ko) |
JP (1) | JP2015058430A (ko) |
KR (1) | KR20150032491A (ko) |
CN (1) | CN104445569A (ko) |
ES (1) | ES2596448T3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49114A (zh) * | 2021-04-06 | 2021-07-23 | 清华大学 | 一种太阳能水蒸发材料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71279B2 (en) | 2015-03-31 | 2017-09-26 |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 Foam intercept system |
CN107890732A (zh) * | 2017-12-21 | 2018-04-10 |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 一种用于焦炭中间仓加水增湿降尘系统的蒸汽吸收装置 |
CN108939767B (zh) * | 2018-07-13 | 2021-04-20 |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 一种含单质硫烟气湿法高效净化的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69841A (en) * | 1961-09-18 | 1965-02-16 | Union Tank Car Co | Method for eliminating foam from sewage treatment equipment |
DE2112401C3 (de) * | 1971-03-15 | 1980-04-30 | Max-Planck-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3400 Goettingen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Wasser, insbesondere Meerwasser |
FR2371968B3 (ko) * | 1976-11-26 | 1980-11-07 | Guigues Sa | |
US4336035A (en) | 1979-03-12 | 1982-06-22 | Wheelabrator-Frye Inc. | Dust collector and filter bags therefor |
US4502872A (en) | 1983-03-31 | 1985-03-05 | Combustion Engineering, Inc. | Discharge electrode wire assembly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
US5670020A (en) * | 1995-06-01 | 1997-09-23 | International Paper Company | Foam separation method for reducing AOX, COD, and color bodies of kraft pulp bleach plant effluents |
FR2758094B1 (fr) * | 1997-01-08 | 1999-03-26 | Alain Boulant | Dispositif de brassage et d'aeration d'un liquide et d'elimination de la mousse dans une cuve de traitement de ce liquide |
JP3919508B2 (ja) * | 2001-11-16 | 2007-05-30 | 株式会社ニクニ | 液処理装置 |
DK1713323T3 (da) * | 2004-02-05 | 2010-01-25 | Clarity Wts As | Forbedret proteinskumfjerner |
EP1812351A1 (en) * | 2004-11-22 | 2007-08-01 | Aquasystems International N.V. | Device to treat liquid and foam |
JP5259964B2 (ja) | 2007-02-28 | 2013-08-07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海水排煙脱硫システム |
TWI580778B (zh) * | 2007-06-19 | 2017-05-01 | 再生海藻能源公司 | 微藻類調理及濃縮的方法 |
WO2009014053A1 (ja) * | 2007-07-24 | 2009-01-29 |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 泡回収装置及び泡回収システム |
NO335697B1 (no) * | 2010-05-25 | 2015-01-26 | Alvestad As | Anvendelse av anordning for separasjon av proteiner fra klekkevæske |
EP2486969B1 (en) * | 2011-02-10 | 2016-06-15 | Alstom Technology Ltd | A method and a device for treating effluent seawater from a seawater scrubber |
MY192539A (en) * | 2011-09-20 | 2022-08-26 | Tsukishima Kikai Co |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flue gas desulfurization facility |
EP2578544B1 (en) * | 2011-10-07 | 2018-12-12 |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eatment of effluent from seawater flue gas scrubber |
-
2013
- 2013-09-18 US US14/030,239 patent/US2015007607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4
- 2014-09-08 EP EP14183937.3A patent/EP2851344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4-09-08 ES ES14183937.3T patent/ES2596448T3/es active Active
- 2014-09-17 KR KR1020140123417A patent/KR2015003249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4-09-18 CN CN201410477054.7A patent/CN104445569A/zh active Pending
- 2014-09-18 JP JP2014190130A patent/JP2015058430A/ja active Pend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49114A (zh) * | 2021-04-06 | 2021-07-23 | 清华大学 | 一种太阳能水蒸发材料 |
CN113149114B (zh) * | 2021-04-06 | 2022-05-24 | 清华大学 | 一种太阳能水蒸发材料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S2596448T3 (es) | 2017-01-09 |
JP2015058430A (ja) | 2015-03-30 |
CN104445569A (zh) | 2015-03-25 |
US20150076079A1 (en) | 2015-03-19 |
EP2851344A1 (en) | 2015-03-25 |
EP2851344B1 (en) | 2016-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942096B1 (en) | Antifoam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seawater foam control | |
JP5755340B2 (ja) | 海水スクラバーからの排出海水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 |
JP2014188406A (ja) | 海水排煙脱硫装置とその運用方法 | |
JP6230818B2 (ja) | 排ガス処理装置及び排ガス処理方法 | |
JP2015174025A (ja) | 海水排煙脱硫装置とその運用方法 | |
KR20150032491A (ko) | 해수 거품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
US9771279B2 (en) | Foam intercept system | |
JP2010269277A (ja) | 脱硫装置における水銀再放出抑制方法および装置 | |
JP5081000B2 (ja) | 湿式排煙脱硫装置の酸化用空気供給量制御方法 | |
EP2457634B1 (en) | A wet scrubber for removing sulphur dioxide from a process gas | |
EP3144281A1 (en) | Integrated air distributor arrangement for effluent seawater treatment basin | |
US9630864B2 (en) | Seawater plant with inclined aeration and mixed auto recovery | |
EP285134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talyzing the oxidation of sulphite to sulphate in seawater aeration basins | |
JP2008080261A (ja) | 排ガス処理方法 | |
EP3132839A1 (en) |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ber system | |
JP4728900B2 (ja) | バグフィルタによる乾式脱塩方法 | |
TWI414342B (zh) | 排煙脫硫系統 | |
JP2003205222A (ja) | 排煙脱硫装置 | |
TW201302621A (zh) | 煙道氣凝結器中壓縮凝結物之調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